KR20190037598A - 풀 사이즈 웹 페이지 출력을 위한 콘텐츠 크기 제어 방법, 이를 이용한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 Google Patents

풀 사이즈 웹 페이지 출력을 위한 콘텐츠 크기 제어 방법, 이를 이용한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7598A
KR20190037598A KR1020170127107A KR20170127107A KR20190037598A KR 20190037598 A KR20190037598 A KR 20190037598A KR 1020170127107 A KR1020170127107 A KR 1020170127107A KR 20170127107 A KR20170127107 A KR 20170127107A KR 20190037598 A KR20190037598 A KR 20190037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ze
content
web page
user terminal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7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7059B1 (ko
Inventor
이정민
Original Assignee
이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민 filed Critical 이정민
Priority to KR1020170127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7059B1/ko
Publication of KR20190037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7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7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7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풀 사이즈 웹 페이지 출력을 위한 콘텐츠 크기 제어 방법은, 소셜 플랫폼 상에서 유저 단말을 통해 기 저장된 웹 페이지를 서버로부터 로드하는 웹 페이지 로드 단계; 유저 단말의 웹 브라우저 뷰어 영역을 가로 및 세로의 크기로서 추출하는 뷰어 영역 크기 추출 단계; 웹 페이지 로드 단계에서 로드된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및 텍스트 콘텐츠를 포함하는 콘텐츠 컨테이너가 뷰어 영역의 크기 내에서 하나의 화면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콘텐츠 컨테이너의 크기를 제어하는 콘텐츠 컨테이너 크기 제어 단계; 및 콘텐츠 컨테이너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및 텍스트 콘텐츠의 크기를 콘텐츠 컨테이너의 크기에 비례하도록 리사이징하는 콘텐츠 리사이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서, 어떤 디바이스의 어떤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더라도 마우스 또는 터치 입력에 따른 스크롤 없이도 웹 페이지를 한 화면에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풀 사이즈 웹 페이지 출력을 위한 콘텐츠 크기 제어 방법, 이를 이용한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CONTENTS SIZE CONTROL FOR DISPLAYING A FULL-SIZEED WEB PAGE}
본 발명은 유저 단말의 웹 브라우저 뷰어 영역의 크기를 추출하고, 웹 페이지의 콘텐츠 크기를 제어함으로써 유저 단말의 뷰어 영역에 하나의 화면으로 웹 페이지가 구현되도록 하기 위한 기술에 관련된 것이다.
최근 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서 유저가 유저 단말을 통하여 웹 페이지에 접하는 시간과 기회가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유저 단말에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웹 페이지를 효과적으로 브라우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이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한편, 한국 공개특허 제10-2008-0047695호("웹페이지 표시방법 및 그 방법을 사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제한된 크기를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면에 적합하게 웹 페이지를 재구성하여 표시하고,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웹 페이지 화면에서 웹 페이지 화면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 중 어느 한 구성요소를 선택하여 선택된 구성요소를 삭제하거나 선택된 구성요소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웹페이지를 재구성하여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크기에 적합하도록 웹 페이지를 재구성하는 기술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선행 발명의 경우, 유저가 본인의 단말기에 적합하게 재구성된 웹 페이지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직접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의 삭제 또는 크기를 조절하는 과정을 반드시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존재하며, 휴대 단말과 같이 웹 페이지가 출력되는 화면이 작은 경우, 콘텐츠들을 밑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어서 유저가 전체적인 웹 페이지를 보기 위해서는 유저 단말에서 터치 또는 마우스와 같은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스크롤을 조작하는 동작이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에 사용상 불편할 뿐만 아니라 유저가 웹 페이지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하여 왔다.
이에 본 발명은 유저 단말의 웹 브라우저 뷰어 영역의 크기를 추출하고, 상술한 뷰어 영역의 크기 내에서 웹 페이지의 콘텐츠 크기를 제어함으로써 유저 단말의 웹 브라우저에서 스크롤 없이 하나의 화면에 웹 페이지를 풀 사이즈로 출력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에 일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풀 사이즈 웹 페이지 출력을 위한 콘텐츠 크기 제어 방법은, 소셜 플랫폼 상에서 유저 단말을 통해 기 저장된 웹 페이지를 서버로부터 로드하는 웹 페이지 로드 단계; 유저 단말의 웹 브라우저 뷰어 영역을 가로 및 세로의 크기로서 추출하는 뷰어 영역 크기 추출 단계; 웹 페이지 로드 단계에서 로드된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및 텍스트 콘텐츠를 포함하는 콘텐츠 컨테이너가 뷰어 영역의 크기 내에서 하나의 화면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콘텐츠 컨테이너의 크기를 제어하는 콘텐츠 컨테이너 크기 제어 단계; 및 콘텐츠 컨테이너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및 텍스트 콘텐츠의 크기를 콘텐츠 컨테이너의 크기에 비례하도록 리사이징하는 콘텐츠 리사이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풀 사이즈 웹 페이지 출력을 위한 콘텐츠 크기 제어 장치는 소셜 플랫폼 상에서 유저 단말을 통해 기 저장된 웹 페이지를 서버로부터 로드하는 웹 페이지 로드부; 유저 단말의 웹 브라우저 뷰어 영역을 가로 및 세로의 크기로서 추출하는 뷰어 영역 크기 추출부; 웹 페이지 로드부에서 로드된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및 텍스트 콘텐츠를 포함하는 콘텐츠 컨테이너가 뷰어 영역의 크기 내에서 하나의 화면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콘텐츠 컨테이너의 크기를 제어하는 콘텐츠 컨테이너 크기 제어부; 및 콘텐츠 컨테이너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및 텍스트 콘텐츠의 크기를 콘텐츠 컨테이너의 크기에 비례하도록 리사이징하는 콘텐츠 리사이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풀 사이즈 웹 페이지 출력을 위한 콘텐츠 크기 제어 방법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어떤 디바이스의 어떤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더라도 마우스 또는 터치 입력에 따른 스크롤 없이도 웹 페이지를 한 화면에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유저는 서버를 통하여 원하는 디자인 및 성능을 구현하는 웹 페이지를 코딩 없이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누구나 쉽게 자신의 상징적인 웹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유저 단말에 제공되는 URL을 통하여 개인 홈페이지 및 각종 SNS를 통해 공유 및 배포될 수 있어서 온라인 홍보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풀 사이즈 웹 페이지 출력을 위한 콘텐츠 크기 제어 방법의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저 단말의 화면 모드 변경 시 뷰어 영역 크기 추출의 실시 예.
도 3은 이미지 및 텍스트 콘텐츠 크기 리사이징의 실시 예.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유저 단말에서 풀 사이즈 웹 페이지가 구현되는 실시 예.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저 단말의 모드 변경에 따른 웹 페이지 출력의 실시 예.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한 유저 단말에서 풀 사이즈로 구현되는 웹 페이지의 출력을 나타내는 실시 예.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웹 페이지 생성의 실시 예.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풀 사이즈 웹 페이지 출력을 위한 콘텐츠 크기 제어 장치의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풀 사이즈 웹 페이지 출력을 위한 콘텐츠 크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유저 단말의 웹 브라우저 뷰어 영역의 크기를 추출함으로써 추출한 뷰어 영역의 크기 내에서 유저가 생성한 웹 페이지를 하나의 화면에 구현해내기 위한 기술에 관련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유저 단말의 웹 브라우저 뷰어 영역의 크기를 추출하고, 상술한 뷰어 영역의 크기 내에서 웹 페이지의 콘텐츠 크기를 제어함으로써 유저 단말의 웹 브라우저에서 스크롤 없이 하나의 화면에 웹 페이지를 풀 사이즈로 출력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풀 사이즈 웹 페이지 출력을 위한 콘텐츠 크기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소셜 플랫폼 상에서 유저 단말을 통해 기 저장된 웹 페이지를 서버로부터 로드하는 웹 페이지 로드 단계(S10)가 수행된다.
한편, 상술한 소셜 플랫폼은 의사소통 등 일상생활에서 조직의 운영과 비즈니스에 이르기까지 인간 행위의 모든 분야에 소셜화가 가능토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의미하며, 본 발명은 상술한 소셜 플랫폼을 이용함에 따라서 기술적, 산업적 가치와 유저 중심의 사회적 가치의 결합을 촉진하여 사회 전체의 가치를 극대화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유저 단말은, 본 발명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통신 가능하며, 적어도 유/무선 전화기(wire/wireless telephone),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술한 기 저장된 웹 페이지는 유저가 소셜 플랫폼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및 텍스트 콘텐츠에 대하여, 속성 변경, 필터 처리, 레이아웃 설정, 및 템플릿 삽입 중 적어도 하나의 편집 기능을 적용하여 저장함으로써 자동으로 생성된 웹 페이지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는 유저의 취향에 맞는 다양한 목적의 적어도 이미지 및 텍스트 콘텐츠가 포함된 웹 페이지(적어도 프로필 카드, 프로필 슬라이드 및 홍보용 팸플릿 중 하나)를 별다른 코딩 없이도 누구나 손쉽게 생성할 수 있도록 유저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이미지 및 텍스트 콘텐츠에 속성변경, 예를 들어 크기 비율 변경, 회전, 상하좌우 반전, 투명도 조절, 크롭 영역 및 콘텐츠 삭제 등을 수행할 수 있고, 흑백, 세피아, 색상반전, 밝기 및 노이즈 설정 등을 포함한 필터 처리가 가능하며, 레이어의 순서, 배치 설정 등이 가능한 레이아웃 설정 및 디자인 된 템플릿의 선택 또는 유저가 생성한 템플릿을 적용하는 템플릿 삽입 기능의 콘텐츠 편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콘텐츠 편집 외에도 공지된 통상적으로 이미지 및 텍스트 콘텐츠에 적용 가능한 편집 기능이라면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이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즉, 상술한 S10 단계의 기능 수행에 의하여, 유저는 원하는 디자인 및 성능을 구현하는 웹 페이지를 코딩 없이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누구나 쉽게 자신의 상징적인 웹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S10 단계 이후, 유저 단말의 웹 브라우저 뷰어 영역을 가로 및 세로의 크기로서 추출하는 뷰어 영역 크기 추출 단계(S2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유저 단말의 웹 브라우저 뷰어 영역은, 유저 단말을 통해 유저에게 웹 페이지를 볼 수 있도록 하는 뷰어 영역을 의미하고, 예를 들어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하여 뷰어 영역의 크기를 추출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인 실시 예로써, 유저 단말에서 호출한 HTML이 최상위 프레임일 경우, 웹 브라우저의 가로 크기를 자바스크립트의 clientwidth와 element.width()를 이용하여 추출해내고, 세로 크기를 html과 body의 css속성을 overflow:hidden으로 지정함으로써 단말화면의 올바른 clientHeight속성을 읽어 들여 세로 크기를 추출해낼 수 있다.
여기서, 원래 clientHeight 크기는 웹 페이지 전체 콘텐츠의 길이 및 높이에 의해 결정되는데, 예를 들어, 화면이 본래의 콘텐츠 전체의 길이(높이)보다 클 경우에는 clientHeight 크기가 단말화면의 크기보다 작은 값을 가져올 수 있다. 반대로 웹 브라우저에 콘텐츠가 화면영역을 넘어갈 만큼 있다라고 지정(body,html{overflow:hidden;})한다면, 단말화면의 실제 크기를 가져올 수도 있다.
즉, 상술한 실시 예에 따라서 유저 단말의 웹 브라우저의 뷰어 영역 크기를 추출해냄에 따라서 후술할 웹 페이지의 크기 제어 범위를 도출해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S20 단계는 유저 단말의 웹 브라우저의 크기 변경 및 유저 단말의 화면 모드 변경이 감지될 경우, 변경된 뷰어 영역의 크기를 재추출할 수 있다.
한편, 유저 단말의 화면 모드 변경은 예를 들어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에 있어서 유저가 단말을 사용하는 방향의 변화에 따라 뷰어 영역이 세로 화면 또는 가로 화면으로 변경되는 것을 의미한다.
최근 출시되는 모든 PC,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 등을 포함하는 유저 단말은 웹 브라우저에서 유저가 크기를 원하는 대로 변경할 수 있으며, 유저가 단말을 이용하고자 하는 방향에 따라서 화면 모드가 변경될 수 있는데 이에 본 발명에서는 웹 브라우저의 크기 변경 및 유저 단말의 화면 모드 변경이 감지된 즉시 서버는 변경된 뷰어 영역의 크기를 재추출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뷰어 영역의 크기를 재추출을 수행하는 것을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자바스크립트의 window.resize()함수를 adhoc하여 화면 크기가 변경되더라도 언제든지 화면 크기를 재계산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를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도 2의 A 및 B는 유저 단말(10)의 화면 모드가 각각 세로 모드(A) 및 가로 모드(B)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예이다.
즉, 유저 단말(10)의 화면 모드에 따라서 가로(w) 및 세로(h)의 뷰어 영역(11)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변경된 화면 모드에 따라서 뷰어 모드(11)의 크기가 달라짐에 따라서 뷰어 영역(11)의 크기 범위 내에서 콘텐츠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웹 브라우저 뷰어 영역(11)의 변경 또는 유저 단말(10)의 화면 모드 변경 시 웹 페이지의 크기를 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도 1로 돌아와서, S20 단계 이후, 웹 페이지 로드 단계에서 로드된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및 텍스트 콘텐츠를 포함하는 콘텐츠 컨테이너가 뷰어 영역의 크기 내에서 하나의 화면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콘텐츠 컨테이너의 크기를 제어하는 콘텐츠 컨테이너 크기 제어 단계(S30)가 수행될 수 있다.
S30 단계에서는 콘텐츠 컨테이너의 크기는 기 설정된 가로, 세로 비율을 유지한 상태로 크기가 제어되되, 상술한 S20 단계에서 유저 단말의 웹 브라우저 뷰어 영역의 크기 범위 내에서 가능한 최대의 크기를 갖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때, 기 설정된 비율은 유저가 소셜 플랫폼을 이용하여 웹 페이지를 생성시 생성하고자 하는 웹 페이지의 종류 및 목적과 같은 특성에 따라 정해진 가로:세로의 비율이거나 유저가 직접 설정하여 정해진 가로:세로의 비율일 수 있다.
한편, S30 단계에서 기 설정된 비율을 갖는 콘텐츠 컨테이너를 뷰어 영역의 크기 범위 내에서 가능한 최대의 크기를 갖도록 제어하기 위해서는 뷰어 영역의 크기 비를 계산하여야 하며, 이때 뷰어 영역의 크기 비는 상술한 S20 단계에서 추출한 뷰어 영역 크기를 이용하여 "뷰어 영역의 크기 비 = 뷰어 영역 가로 크기(w)/뷰어 영역 세로 크기(h)"로 도출할 수 있다.
상술한 뷰어 영역의 크기 비를 이용하여 콘텐츠 컨테이너의 크기를 제어하는 알고리즘의 한 실시 예로써, 상술한 콘텐츠 컨테이너의 크기 비를 r'으로 가정했을 때, 뷰어 영역의 크기 비가 콘텐츠 컨테이너의 크기 비와 같거나 큰 값을 가질 경우, 콘텐츠 컨테이너의 가로 크기는 뷰어 영역의 세로 크기에 콘텐츠 컨테이너의 크기 비인 r'을 곱한 것과 같고, 콘텐츠 컨테이너의 세로 크기는 뷰어 영역의 세로 크기인 h와 같을 수 있다.
한편, 뷰어 영역의 크기 비가 콘텐츠 컨테이너의 크기보다 작은 값을 가질 경우, 콘텐츠 컨테이너의 가로 크기는 뷰어 영역의 가로 크기인 w와 같고, 콘텐츠 컨테이너의 세로 크기는 뷰어 영역의 가로 크기인 w를 콘텐츠 컨테이너의 크기 비인 r'으로 나눈 값과 같을 수 있다.
즉 상술한 알고리즘에 의하여 본 발명에서는 기 설정된 비율을 갖는 콘텐츠 컨테이너를 웹 브라우저의 뷰어 영역의 크기 범위 내에서 가능한 최대의 크기를 갖도록 콘텐츠 컨테이너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하나의 화면에 웹 페이지가 풀 사이즈로 구현되어 유저 단말에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S30 단계의 수행 이후, 콘텐츠 컨테이너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및 텍스트 콘텐츠의 크기를 콘텐츠 컨테이너의 크기에 비례하도록 리사이징 하는 콘텐츠 리사이징 단계(S40)가 수행된다.
이때, S40 단계는 상술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및 텍스트 콘텐츠를 벡터화하여 원본 콘텐츠의 배열을 유지하되, 상술한 콘텐츠 컨테이너의 크기에 비례하도록 리사이징될 수 있다.
상술한 이미지 및 텍스트 콘텐츠의 벡터화는 콘텐츠 컨테이너의 크기가 뷰어 영역에 따라서 변화함에 따라서 콘텐츠 컨테이너에 포함된 콘텐츠의 배열을 원본 콘텐츠에서와 동일한 배열로 유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콘텐츠의 위치에 관한 상대적인 정보로서 정의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며, 각각의 콘텐츠의 크기는 콘텐츠 컨테이너가 변화되는 크기에 비례하여 리사이징될 수 있다.
결국, S40 단계는 콘텐츠 컨테이너의 크기가 뷰어 영역에 따라서 변화되더라도 콘텐츠 컨테이너에 포함된 각각의 콘텐츠들이 벡터화되어 유저가 생성하여 저장한 웹 페이지에 대응되는 상대적인 위치 및 크기가 정의됨으로써 콘텐츠의 배열이 원본 웹 페이지에서의 배열과 달라지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S40 단계의 수행 이후, 서버는 상술한 S10 내지 S40 단계의 수행을 통하여 유저 단말이 풀 사이즈 웹 페이지에 접속 가능한 링크 정보로서, URL을 부여하고, 유저 단말로부터 부여된 URL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 시 유저 단말에 풀 사이즈 웹 페이지를 출력하는 출력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S40 단계의 수행에 의하여, 유저 단말에서 수신된 URL을 선택 입력 시 웹 브라우저를 통하여 연결된 웹 페이지는 터치나 마우스 입력에 따른 스크롤 없이도 풀 사이즈 웹 페이지가 한 화면에 구현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URL은 개인 홈페이지, 각종 SNS를 통해 공유 및 배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효과적인 온라인 홍보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종합적으로 본 발명은 상술한 단계들의 기능 수행에 의하여, 어떤 디바이스의 어떤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더라도 마우스 또는 터치 입력에 따른 스크롤 없이도 웹 페이지를 한 화면에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저는 서버를 통하여 원하는 디자인 및 성능을 구현하는 웹 페이지를 코딩 없이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누구나 쉽게 자신의 상징적인 웹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저 단말(10)의 화면 모드 변경 시 뷰어 영역(11) 크기 추출의 실시 예이다.
도 2의 A 및 B는 유저 단말(10)의 화면 모드가 각각 세로 모드(A) 및 가로 모드(B)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예이다.
즉, 유저 단말(10)의 화면 모드 변경에 따라서 가로(w) 및 세로(h)의 뷰어 영역(11)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변경된 뷰어 모드(11)의 크기에 따라 뷰어 영역(11)의 크기 범위 내에서 콘텐츠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웹 브라우저 뷰어 영역(11)의 변경 또는 유저 단말(10)의 화면 모드 변경 시 이를 즉시 감지하고, 변경된 웹 브라우저의 뷰어 영역(11)에 따라서 웹 페이지의 크기를 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어떤 디바이스의 어떤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더라도 마우스 또는 터치 입력에 따른 스크롤 없이도 웹 페이지를 한 화면에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도 3은 이미지 및 텍스트 콘텐츠 크기 리사이징의 실시 예이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써 콘텐츠 컨테이너(12)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포함하고 있는 이미지 컨테이너(121) 및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포함하고 있는 텍스트 컨테이너(131)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콘텐츠 컨테이너(12)의 크기에 비례하여 콘텐츠 컨테이너(12)를 구성하는 이미지 및 텍스트 콘텐츠들의 크기가 리사이징 된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미지 콘텐츠(122)의 크기를 리사이징 하는 또 다른 실시 예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121은 이미지 콘텐츠(122)가 삽입되는 이미지 컨테이너(121)이다. 이 때, 이미지 콘텐츠(122) 및 이미지 컨테이너(121)의 대각선 길이를 각각 r' 및 r로 가정하였을 경우, r이 r'보다 같거나 큰 값을 가질 경우, 이미지 콘텐츠(122)의 가로 길이는 w이고, 이미지 콘텐츠(122)의 세로 길이는 w/r'일 수 있다.
반대로, r이 r'보다 작을 경우, 이미지 콘텐츠(122)의 가로 길이는 hⅹr'이고, 이미지 콘텐츠(122)의 세로 길이는 h일 수 있다. 한편, r이 r'보다 작은 값을 가질 경우, 이미지 컨테이너(121)에 포함되지 않는 영역은 크롭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써, 텍스트 콘텐츠의 경우, 텍스트 컨테이너(131)의 넓이를 전체 글자 수로 나누어 계산될 수 있다.
즉, 텍스트 콘텐츠의 텍스트 크기는 다음과 같이 정의 될 수 있다.
"텍스트 크기(px)=Max(7, 텍스트 컨테이너 크기/전체글자수)"
한편 텍스트 콘텐츠는 콘텐츠 컨테이너(12)의 크기에 비례하도록 리사이징되고, 이때, 텍스트 콘테이너(131)에 포함된 텍스트의 최소 크기는 7px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텍스트 콘텐츠의 최소 크기를 7px로 설정하는 것은, 뷰어 영역의 크기에 따라서 콘텐츠들의 사이즈가 리사이징 될 시, 큰 뷰어 영역을 가질 때는 별다른 문제가 없지만 작은 뷰어 영역을 갖는 경우, 텍스트의 크기가 과도하게 작아지면 유저의 가독성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상술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텍스트 콘텐츠의 텍스트는 유저가 읽을 수 있는 범위의 크기를 갖도록 최소 7px로 설정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상술한 알고리즘을 이미지 및 텍스트 콘텐츠에 적용함으로써 유저가 원하는 이미지 및 텍스트 콘텐츠가 웹 페이지에 삽입되어 유저 단말(10)에 출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유저 단말(10)에서 풀 사이즈 웹 페이지가 구현되는 실시 예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유저 단말(10)에는 웹 브라우저의 뷰어 영역(11)이 존재하고, 도 1에서 상술하였듯이, 뷰어 영역(11)의 크기가 추출되면 추출된 뷰어 영역(11)의 크기에 따라서 콘텐츠 컨테이너(12)의 크기가 뷰어 영역(11)의 크기 내에서 하나의 화면으로 구현될 수 있는 가능한 최대의 크기로 제어되고, 제어된 콘텐츠 컨테이너(12)의 크기에 비례하여 콘텐츠 컨테이너(12)를 구성하는 각각의 콘텐츠(120)들의 크기가 리사이징될 수 있다.
이때 콘텐츠(120) 크기가 콘텐츠 컨테이너(12)의 크기에 비례하여 리사이징되는 것은, 예를 들어 추출된 뷰어 영역(11)의 크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가능한 최대의 크기가 콘텐츠 컨테이너(12)의 x배일 때, 각각의 콘텐츠(120)들 역시, 동일한 비율을 갖도록 x배의 크기를 갖도록 리사이징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상술한 기능 수행에 의하여 어떤 디바이스의 어떤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더라도 마우스 또는 터치 입력에 따른 스크롤 없이도 웹 페이지를 한 화면에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저 단말의 화면 모드 변경에 따른 웹 페이지 출력의 실시 예이다.
한편, 최근 출시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를 포함하는 유저 단말의 경우, 유저의 사용 환경에 따라 동적으로 모드가 변경되는 기능을 탑재하고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기능이 탑재됨에 따라서 유저 단말의 화면 모드 변경이 감지되는 즉시, 뷰어 영역의 크기를 재추출하여 웹 페이지를 동적으로 최적화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유저 단말의 세로 모드 및 가로 모드에 대한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웹 페이지 출력이 유저 단말의 화면 모드에 대응하여 터치나 마우스 입력에 따른 스크롤 없이도 하나의 화면에 웹 페이지를 구현하기 위하여 콘텐츠 컨테이너(12) 및 각각의 콘텐츠 컨테이너(12)를 구성하는 각각의 콘텐츠(a, b, c)들의 크기가 제어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는 유저 단말의 화면 모드 변경에 따른 실시 예에 한정하여 도시하였으나, 상술하였듯이 유저 단말에서 웹 브라우저의 크기가 변경될 시에도 상술한 기능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한 유저 단말에서 풀 사이즈로 구현되는 웹 페이지의 출력을 나타내는 실시 예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5를 참고하면, 각각 다른 뷰어 영역 크기를 갖는 유저 단말에서 구현되는 풀 사이즈 웹 페이지의 출력을 도시하였다.
도 6의 1000은 스마트폰에서 구현되는 풀 사이즈 웹 페이지의 출력을 나타낸 실시 예이고, 1100은 노트북에서 구현되는 풀 사이즈 웹 페이지의 출력을 나타낸 실시 예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어떤 디바이스의 어떤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더라도 뷰어 영역의 크기를 유효하게 추출해낼 수 있으며, 추출한 뷰어 영역에 따라서 웹 페이지를 뷰어 영역의 크기 내에서 하나의 화면으로 구현될 수 있는 가능한 최대의 크기를 갖는 웹 페이지의 크기로 제어하여 최적화함으로써 마우스 또는 터치 입력에 따른 스크롤 없이도 웹 페이지를 한 화면에 출력하여 유저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유저 단말은 상술한 스마트폰, 노트북 외에도 본 발명의 기능 수행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 웹 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는 단말이라면 어느 것이든 제한되지 않고 이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웹 페이지 생성의 실시 예이다.
도 7의 2000에서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웹 페이지의 생성에 관한 실시 예를 도시하였다.
유저는 소셜 플랫폼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및 텍스트에 대하여 속성 변경, 필터 처리, 레이아웃 설정, 및 템플릿 삽입 중 적어도 하나의 편집 기능을 적용하여 유저 자신의 목적에 맞는 웹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코딩에 대한 지식이 없는 유저들이 단순히 콘텐츠를 삽입하여 배치하고, 기능을 추가하는 단순한 입력을 수행하는 것만으로도, 서버에서 유저의 선택 입력에 따라 자동으로 코딩되어 웹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여 누구나 쉽게 자신만의 상징적인 웹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유저는 유저 단말을 통해 자신이 생성하고 있는 웹 페이지를 실시간 뷰어로 제공받을 수 있다.
더욱 구체적인 실시 예로써 상술한 실시간 뷰어가 적용된 웹 페이지를 생성하기 위하여 서버는 가상의 iframe을 생성해놓은 후, 유저가 선택한 옵션들을 적용한 값들을 코드화하고, 가상의 iframe에 자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풀 html코드 값을 rewrite함으로써 유저만의 독특한 디자인 및 기능이 적용된 웹 페이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생성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실시간 뷰어는 필요에 따라 임시 저장기능 및 히스토리 저장 기능이 부가되어 유저가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데 있어서 저장, 수정 및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게 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유저는 서버를 통하여 원하는 디자인 및 성능을 구현하는 웹 페이지를 코딩 없이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누구나 쉽게 자신의 상징적인 웹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풀 사이즈 웹 페이지 출력을 위한 콘텐츠 크기 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7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을 참고하면, 풀 사이즈 웹 페이지 출력을 위한 콘텐츠 크기 제어 장치는, 유저 단말(10), 데이터베이스(20) 및 서버(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유저 단말(10)은 예를 들어 적어도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즉, 상술한 유저 단말(10)들 중 본 발명의 기능 수행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 웹 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는 단말이라면 어느 것이든 제한되지 않고 이용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0)는 유저가 유저 단말(10)에 설치된 소셜 플랫폼 상에서 생성한 유저만의 상징적인 웹 페이지를 저장하고 있거나 유저의 웹 페이지 생성에 이용될 수 있는 적어도 이미지 콘텐츠, 텍스트 콘텐츠 및 디자인된 템플릿 콘텐츠 등이 저장되어 서버(30)에서 로드 요청이 입력될 경우 상술한 콘텐츠들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유저가 소셜 플랫폼 상에서 생성하는 웹 페이지에 삽입 또는 이용되는 콘텐츠는 상술한 데이터베이스(20)에 저장된 콘텐츠 외에도 유저 단말(10)에서 직접 로드하여 이용되거나 외부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로드된 콘텐츠일 수도 있다.
서버(30)는 예를 들어 웹 페이지 로드부(31), 뷰어 영역 크기 추출부(32), 콘텐츠 컨테이너 크기 제어부(33), 콘텐츠 리사이징부(34) 및 출력부(35)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웹 페이지 로드부(31)는 유저가 소셜 플랫폼 상에서 생성하여 기 저장된 웹 페이지를 로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기 저장된 웹 페이지는 상술한 데이터베이스(20)에 저장된 콘텐츠, 유저 단말(10)에 저장된 콘텐츠 및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로드된 콘텐츠를 이용하여 생성된 유저의 상징적인 웹 페이지일 수 있다.
즉, 웹 페이지 로드부(31)는 상술한 도 1에서 언급한 S10 단계가 수행하는 모든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상술한 웹 페이지 로드부(31)의 수행에 의하여 유저는 원하는 디자인 및 성능을 구현하는 웹 페이지를 코딩 없이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누구나 쉽게 자신의 상징적인 웹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뷰어 영역 크기 추출부(32)는 유저 단말(10)의 웹 브라우저 뷰어 영역의 크기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뷰어 영역 크기 추출부(32)는 상술한 유저 단말(10)의 웹 브라우저 뷰어 영역의 크기를 가로 및 세로의 길이로 추출할 수 있으며, 이때 추출하는 단위는 가로, 세로의 길이 단위로 추출되며 예를 들어 px, mm, cm 및 inch 등의 규격화된 길이 단위가 이용될 수 있다.
뷰어 영역의 크기를 추출하는데 있어서, 자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유저 단말(10)에서 호출한 html이 최상위 프레임일 경우, 웹 브라우저의 가로 크기를 자바스크립트의 clientwidth와 element.width()를 이용하여 추출해내고, 세로 크기를 html과 body의 css속성을 overflow:hidden으로 지정함으로써 단말화면의 올바른 clientHeight속성을 읽어 들여 세로 크기를 추출해낼 수 있다.
한편, 원래 clientHeight 크기는 웹 페이지 전체 콘텐츠의 길이 및 높이에 의해 결정되는데, 예를 들어, 화면이 본래의 콘텐츠 전체의 길이(높이)보다 클 경우에는 clientHeight 크기가 단말화면의 크기보다 작은 값을 가져올 수 있다. 반대로 웹 브라우저에 콘텐츠가 화면영역을 넘어갈 만큼 있다라고 지정(body,html{overflow:hidden;})한다면, 단말화면의 실제 크기를 가져올 수도 있다.
즉, 뷰어 영역 크기 추출부(32)에 의하여 따라서 유저 단말(10)의 웹 브라우저의 뷰어 영역 크기를 추출해냄에 따라서 후술할 웹 페이지의 크기 제어 범위를 도출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한편, 뷰어 영역 크기 추출부(32)는 유저 단말(10)의 웹 브라우저 크기 변경 및 유저 단말(10)의 화면 모드 변경이 감지될 경우, 변경된 뷰어 영역의 크기를 재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뷰어 영역 크기 추출부(32)는 상술한 도 1에서 언급한 S20 단계가 수행하는 모든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콘텐츠 컨테이너 크기 제어부(33)는 상술한 웹 페이지 로드부(31)에서 로드한 유저가 생성한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및 텍스트 콘텐츠를 포함하는 콘텐츠 컨테이너가 유저 단말(10)의 웹 브라우저 뷰어 영역의 크기 내에서 하나의 화면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그 크기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유저가 생성하여 로드한 웹 페이지의 콘텐츠 컨테이너의 기 설정된 비율을 유지한 상태로 콘텐츠 컨테이너의 크기를 제어하되, 유저 단말(10)의 웹 브라우저 뷰어 영역의 크기 범위 내에서 가능한 최대의 크기를 갖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때 기 설정된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다.
한 실시 예로써, 뷰어 영역의 크기 비는 뷰어 영역 가로 크기(w)/뷰어 영역 세로 크기(h)로 도출될 수 있으며, 이 때, 콘텐츠 컨테이너의 크기 비를 r'으로 가정했을 때, 뷰어 영역의 크기 비가 콘텐츠 컨테이너의 크기 비와 같거나 큰 값을 가질 경우, 콘텐츠 컨테이너의 가로 크기는 뷰어 영역의 세로 크기에 콘텐츠 컨테이너의 크기 비인 r'을 곱한 것과 같고, 콘텐츠 컨테이너의 세로 크기는 뷰어 영역의 세로 크기인 h와 같을 수 있다.
한편, 뷰어 영역의 크기 비가 콘텐츠 컨테이너의 크기보다 작은 값을 가질 경우, 콘텐츠 컨테이너의 가로 크기는 뷰어 영역의 가로 크기인 w와 같고, 콘텐츠 컨테이너의 세로 크기는 뷰어 영역의 가로 크기인 w를 콘텐츠 컨테이너의 크기 비인 r'으로 나눈 값과 같을 수 있다.
상술한 알고리즘에 의하여 본 발명에서는 기 설정된 비율을 갖는 콘텐츠 컨테이너를 웹 브라우저의 뷰어 영역의 크기 범위 내에서 가능한 최대의 크기를 갖도록 콘텐츠 컨테이너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하나의 화면에 웹 페이지가 풀 사이즈로 구현되어 유저 단말(10)에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콘텐츠 컨테이너 크기 제어부(33)은 상술한 도 1의 S30 단계에서 언급된 모든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콘텐츠 리사이징부(34)는 상술한 콘텐츠 컨테이너에 포함된 이미지 및 텍스트 콘텐츠의 크기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술한 콘텐츠 컨테이너 크기 제어부(33)에서 그 크기가 임의의 값으로 제어된 콘텐츠 컨테이너의 크기에 비례하여 콘텐츠 컨테이너에 포함된 콘텐츠들의 크기를 제어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때, 각각의 콘텐츠들은 벡터화되어 있어서 유저가 생성하여 저장한 웹 페이지에 대응되는 상대적인 위치 및 크기가 정의됨으로써 콘텐츠 컨테이너의 크기가 달라지더라도 콘텐츠의 배열이 초기 상태와 동일하게 유지하면서도 각각의 크기만 리사이징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콘텐츠 리사이징부(34)는 상술한 도 1의 S40 단계에서 언급된 모든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출력부(35)는 각각의 구성들의 기능 수행에 의하여 유저 단말(10)에서 풀 사이즈 웹 페이지에 접속 가능한 링크 정보로서 URL을 부여하고, 유저 단말(10)로부터 부여된 URL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 시 유저 단말(10)에 풀 사이즈 웹 페이지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유저 단말(10)에 URL을 송신함으로써, 유저 단말(10) 측에서는 수신된 URL을 선택 입력 시 웹 브라우저를 통해 연결된 웹 페이지는 터치나 마우스 입력에 따른 스크롤 없이도 풀 사이즈로 웹 페이지가 한 화면에 구현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1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1000)은 촉각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된 유저단말기(A) 혹은 전술한 컴퓨팅 장치(B)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 장치(11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 장치(11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 장치(11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9의 실시 예는, 컴퓨팅 장치(11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 장치(11000)은 도 9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9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 장치는 도 9에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1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9)

  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인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풀 사이즈 웹 페이지 출력을 위한 콘텐츠 크기 제어 방법에 있어서,
    소셜 플랫폼 상에서 유저 단말을 통해 기 저장된 웹 페이지를 서버로부터 로드하는 웹 페이지 로드 단계;
    상기 유저 단말의 웹 브라우저 뷰어 영역을 가로 및 세로의 크기로서 추출하는 뷰어 영역 크기 추출 단계;
    상기 웹 페이지 로드 단계에서 로드된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및 텍스트 콘텐츠를 포함하는 콘텐츠 컨테이너가 상기 뷰어 영역의 크기 내에서 하나의 화면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상기 콘텐츠 컨테이너의 크기를 제어하는 콘텐츠 컨테이너 크기 제어 단계; 및
    상기 콘텐츠 컨테이너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및 텍스트 콘텐츠의 크기를 상기 콘텐츠 컨테이너의 크기에 비례하도록 리사이징하는 콘텐츠 리사이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 사이즈 웹 페이지 출력을 위한 콘텐츠 크기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리사이징 단계 후,
    상기 서버는 상기 유저 단말이 풀 사이즈 웹 페이지에 접속 가능한 링크 정보로서 URL을 부여하고, 상기 유저 단말로부터 부여된 URL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 시, 상기 유저 단말에 풀 사이즈 웹 페이지를 출력하는 출력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 사이즈 웹 페이지 출력을 위한 콘텐츠 크기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컨테이너 제어 단계에서,
    상기 콘텐츠 컨테이너의 크기는 기 설정된 가로, 세로 비율을 유지한 상태로 크기가 제어되되, 추출된 상기 뷰어 영역의 크기 범위 내에서 가능한 최대의 크기를 갖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 사이즈 웹 페이지 출력을 위한 콘텐츠 크기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리사이징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및 텍스트 콘텐츠를 벡터(vector)화하여 원본 콘텐츠의 배열을 유지하되, 상기 콘텐츠 컨테이너의 크기에 비례하도록 리사이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 사이즈 웹 페이지 출력을 위한 콘텐츠 크기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뷰어 영역 크기 추출 단계는,
    적어도 상기 웹 브라우저의 크기 변경 및 상기 유저 단말의 화면 모드 변경이 감지될 경우, 변경된 뷰어 영역의 크기를 재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 사이즈 웹 페이지 출력을 위한 콘텐츠 크기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 저장된 웹 페이지는,
    유저가 소셜 플랫폼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및 텍스트 콘텐츠에 대하여, 속성 변경, 필터 처리, 레이아웃 설정, 및 템플릿 삽입 중 적어도 하나의 편집 기능을 적용하여 저장함으로써 자동으로 생성된 웹 페이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 사이즈 웹 페이지 출력을 위한 콘텐츠 크기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리사이징 단계에서,
    상기 텍스트 콘텐츠는, 상기 콘텐츠 컨테이너의 크기에 비례하도록 리사이징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텍스트 콘텐츠의 최소 크기는 7px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 사이즈 웹 페이지 출력을 위한 콘텐츠 크기 제어 방법.
  8.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인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풀 사이즈 웹페이지 출력을 위한 콘텐츠 크기 제어 장치에 있어서,
    소셜 플랫폼 상에서 유저 단말을 통해 기 저장된 웹 페이지를 서버로부터 로드하는 웹 페이지 로드부;
    상기 유저 단말의 웹 브라우저 뷰어 영역을 가로 및 세로의 크기로서 추출하는 뷰어 영역 크기 추출부;
    상기 웹 페이지 로드부에서 로드된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및 텍스트 콘텐츠를 포함하는 콘텐츠 컨테이너가 상기 뷰어 영역의 크기 내에서 하나의 화면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상기 콘텐츠 컨테이너의 크기를 제어하는 콘텐츠 컨테이너 크기 제어부; 및
    상기 콘텐츠 컨테이너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및 텍스트 콘텐츠의 크기를 상기 콘텐츠 컨테이너의 크기에 비례하도록 리사이징하는 콘텐츠 리사이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 사이즈 웹 페이지 출력을 위한 콘텐츠 크기 제어 장치.
  9.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며, 상기 단계들은:
    소셜 플랫폼 상에서 유저 단말을 통해 기 저장된 웹 페이지를 서버로부터 로드하는 웹 페이지 로드 단계;
    상기 유저 단말의 웹 브라우저 뷰어 영역을 가로 및 세로의 크기로서 추출하는 뷰어 영역 크기 추출 단계;
    상기 웹 페이지 로드 단계에서 로드된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및 텍스트 콘텐츠를 포함하는 콘텐츠 컨테이너가 상기 뷰어 영역의 크기 내에서 하나의 화면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상기 콘텐츠 컨테이너의 크기를 제어하는 콘텐츠 컨테이너 크기 제어 단계; 및
    상기 콘텐츠 컨테이너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및 텍스트 콘텐츠의 크기를 상기 콘텐츠 컨테이너의 크기에 비례하도록 리사이징하는 콘텐츠 리사이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1020170127107A 2017-09-29 2017-09-29 풀 사이즈 웹 페이지 출력을 위한 콘텐츠 크기 제어 방법, 이를 이용한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101987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107A KR101987059B1 (ko) 2017-09-29 2017-09-29 풀 사이즈 웹 페이지 출력을 위한 콘텐츠 크기 제어 방법, 이를 이용한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107A KR101987059B1 (ko) 2017-09-29 2017-09-29 풀 사이즈 웹 페이지 출력을 위한 콘텐츠 크기 제어 방법, 이를 이용한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7598A true KR20190037598A (ko) 2019-04-08
KR101987059B1 KR101987059B1 (ko) 2019-06-10

Family

ID=66164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7107A KR101987059B1 (ko) 2017-09-29 2017-09-29 풀 사이즈 웹 페이지 출력을 위한 콘텐츠 크기 제어 방법, 이를 이용한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70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28524A (zh) * 2022-05-20 2022-08-19 浪潮思科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web端与交换机的交互方法、设备及介质
KR102625671B1 (ko) * 2022-08-03 2024-01-15 김정웅 인공지능을 이용한 리테일 교육 운영 장치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9096A (ko) * 2004-03-03 2005-09-0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단말기 모니터 영상의 해상도 조절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40833A (ko) * 2011-06-29 2014-04-03 애플 인크. 고정 레이아웃 전자 출판
KR20150026120A (ko) * 2013-08-30 2015-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객체 편집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기기
JP2015138541A (ja) * 2014-01-26 2015-07-30 UiMaker株式会社 ウェブ・コンテンツ生成システム
KR20160069402A (ko) * 2014-12-08 2016-06-16 전부건 이용자 반응형 웹페이지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9096A (ko) * 2004-03-03 2005-09-0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단말기 모니터 영상의 해상도 조절 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40833A (ko) * 2011-06-29 2014-04-03 애플 인크. 고정 레이아웃 전자 출판
KR20150026120A (ko) * 2013-08-30 2015-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객체 편집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기기
JP2015138541A (ja) * 2014-01-26 2015-07-30 UiMaker株式会社 ウェブ・コンテンツ生成システム
KR20160069402A (ko) * 2014-12-08 2016-06-16 전부건 이용자 반응형 웹페이지 제공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28524A (zh) * 2022-05-20 2022-08-19 浪潮思科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web端与交换机的交互方法、设备及介质
CN114928524B (zh) * 2022-05-20 2024-03-26 浪潮思科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web端与交换机的交互方法、设备及介质
KR102625671B1 (ko) * 2022-08-03 2024-01-15 김정웅 인공지능을 이용한 리테일 교육 운영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7059B1 (ko) 201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25003B (zh) 平移动画
KR102219861B1 (ko) 화면 공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EP3443452B1 (en) Application producing apparatus, system,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US20160042723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thereof
CN103946783B (zh) 可滚动桌面导航的装置、方法及系统
US10809981B2 (en) Code generation and simulation for graphical programming
US20150347377A1 (en) Method for processing contents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102368044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EP298819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drag and drop
EP3196744A1 (en) Method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double screen
KR20160005609A (ko)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WO2017032078A1 (zh) 一种界面控制方法及移动终端
CN107533568A (zh) 确定应用缩放等级的系统和方法
US20170090725A1 (en) Selecting at least one graphical user interface item
KR101987059B1 (ko) 풀 사이즈 웹 페이지 출력을 위한 콘텐츠 크기 제어 방법, 이를 이용한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CN107967344A (zh) 网页动画效果的实现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CN106250109A (zh) 一种桌面应用程序显示方法、装置以及移动终端
CN112817376A (zh) 信息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20150002358A (ko) 전자 장치의 전자책 표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5518618B (zh) 将针对视觉元素的输入路由到图形框架的方法和系统
KR20150083718A (ko) 전자 장치의 텍스트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50096956A (ko) 전자 장치에서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CN109992580A (zh) 列表数据的处理方法及装置、存储介质、计算机设备
CN102567524A (zh) 一种立体旋转浏览的实现方法和装置
US9507765B2 (en) Displaying rotated text inside a table ce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