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8056A - 바퀴가 장착된 가방 - Google Patents

바퀴가 장착된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8056A
KR20050088056A KR1020050074101A KR20050074101A KR20050088056A KR 20050088056 A KR20050088056 A KR 20050088056A KR 1020050074101 A KR1020050074101 A KR 1020050074101A KR 20050074101 A KR20050074101 A KR 20050074101A KR 20050088056 A KR20050088056 A KR 20050088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bag body
wheels
support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4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7209B1 (ko
Inventor
정동원
Original Assignee
정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동원 filed Critical 정동원
Priority to KR1020050074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7209B1/ko
Publication of KR20050088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8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7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72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04Trunks; Travelling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26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 A45C13/262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for wheeled lugga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8Luggage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14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built-in rolling means
    • A45C5/146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built-in rolling means retractable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퀴가 장착된 가방(40)에 관한 것으로서, 수화물이 삽입되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가방본체(41)와, 가방본체(41)에서 지면과 대향하는 하부면의 일측 모서리에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바퀴(43)들과, 가방본체(41)를 이끌 수 있도록 가방본체(41)의 상부에 설치되는 손잡이(42)를 구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1 바퀴(43)들보다 전방에 위치하면서 제1 바퀴(43)들과 동일하게 지면과 맞닿는 제2 바퀴(44)와; 제2 바퀴(44)가 그 일단에 결합되는 지지대(45)와; 지지대(45)의 타단이 일정 각도 범위로 회전되도록 결합되며, 제1 바퀴(43)들의 후방 상부측의 어느 일 지점에 위치하도록 가방본체(41)의 측부에 결합되는 축회전 지지구(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본 발명의 바퀴가 장착된 가방(40)은 가방본체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들어 올리는 힘에 의해 가방본체를 지탱하지 않아도 제1, 제2 바퀴들에 의해 균형감 있게 지지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가방본체(41)를 직립상태로 복원시키더라도, 외부 조작없이도 원상태로 돌아오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행동을 방해하지 않으며 미관상으로 멋진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바퀴가 장착된 가방{Luggage Bag with Wheels}
본 발명은 바퀴가 장착된 가방에 관한 것이며, 특히 가방본체에 설치된 다수 개의 바퀴들이 가방본체의 기울어짐에 따라 상호 멀어지거나 좁혀지면서도 지지면을 따라 밀착 회전됨으로써, 사용자가 들어 올리는 힘으로 지탱하지 않으면서도 균형감이 있는 안정된 상태로 사용자가 끄는 힘에 의해서 이동되는 바퀴가 장착된 가방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바퀴가 장착된 가방의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실생활에 수화물 운송장치로 사용되고 있는 바퀴가 장착된 가방(10)은 사용자가 수화물을 들고 다니기 보다는 주로 끌고 다닐 수 있도록 개발된 것으로서, 가방본체(11)의 하부면 일측 모서리에 한 쌍으로 이루어진 바퀴들이 장착되어, 비교적 작은 힘으로도 크고 무거운 수화물이 운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편리성으로 인해, 실생활에서 여행용 수화물 가방 뿐만 아니라 화물 운반용 손수레에도 바퀴가 장착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바퀴가 장착된 가방(10)의 구성 및 작동원리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바퀴가 장착된 가방(10)은 운반하고자 하는 물건이 수납되는 공간이 형성된 가방본체(11)를 구비한다. 가방본체(11)는 그 크기와 형상이 다양할 수 있지만, 안정한 자세로 직립될 수 있도록 비교적 평평한 하부면이 형성된다. 그리고, 가방본체(11)의 하부면 일측 모서리에는 이동수단인 한 쌍의 바퀴(13)들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런 바퀴(13)들은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의 가방본체(11)를 지지하면서 지면을 따라 회전 거동된다.
이때, 가방본체(11)는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무게중심(G)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13)들의 수직 축선과 일치하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해, 바퀴가 장착된 가방(10)은 그 상부에 설치된 손잡이(12)에서 사용자가 들어 올리는 힘(F1)에 의해 지탱된다. 그리고, 바퀴가 장착된 가방(10)은 사용자가 견인하는 힘(F2)에 의해 한 쌍의 바퀴(13)들이 회전하면서 움직이게 된다.
즉, 기울어진 상태의 바퀴가 장착된 가방(10)에는 가방본체(11)의 무게가 증가할수록 이를 중력과 반대방향으로 들어 올리는 힘(F1)이 더 작용되어야 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바퀴가 장착된 가방(10)의 무게 부담감에 의해 쉽게 피로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손잡이(12)를 견인하는 사용자의 손의 위치는 사용자의 걷는 동작에 따라 상하로 파형지게 변동되는데, 이로 인해 사용자는 바퀴가 장착된 가방(10)의 무게가 더해져 그 피로감이 더욱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종래에는 기울어진 상태로 거동되는 가방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보조바퀴를 추가로 설치하는 기술들이 제시되어 있다.
도 2는 종래기술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바퀴가 추가로 장착된 가방의 측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바퀴가 장착된 가방(20)은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331141호에 공지된 바와 같이 가방본체(21)의 전방 일면에 보조바퀴(24)가 설치되어, 가방본체(21)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보조바퀴(24)가 지지대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종래기술의 바퀴가 장착된 가방(20)은 보조바퀴(24)가 부착된 지지대(25)를 사용자가 가방본체(21)의 기울어짐에 따라 고정했다가 접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즉, 사용자는 가방(20)을 견인하지 않고 직립된 상태로 잠시 방치해 둘 수도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보조바퀴(24)가 부착된 지지대(25)를 원상태로 복귀시켜야 하며, 다시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에 보조바퀴(24)가 부착된 지지대(25)를 이동상태로 조정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즉, 보조바퀴가 추가로 장착된 가방(20)은 보조바퀴(24)의 장착으로 인한 효과가 있더라도, 상기와 같은 불편함으로 인해 대중화 및 실용화가 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도 3은 종래기술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바퀴가 추가로 장착된 가방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보조바퀴가 지면에 맞닿은 상태를 나타낸 보조바퀴가 추가로 장착된 가방의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바퀴가 추가로 장착된 가방(30)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4-0063622호에 공개된 기술로서, 상기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가방(20)과 유사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즉, 보조바퀴가 추가로 장착된 가방(30)은 가방본체(31)의 전방 일면에 절첩식 보조바퀴(34)가 장착되어, 기울어진 상태의 가방본체(31)를 지지한다는 기술적 특징이 동일하다. 다만, 도 3의 보조바퀴가 추가로 장착된 가방(30)은 절첩식 보조바퀴(34)가 결합된 힌지부(35)에서 경사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보조바퀴가 추가로 장착된 가방(30)도 사용자가 가방본체(31)를 기울이기 전에 절첩식 바퀴(34)를 미리 이동상태로 고정해야 하며, 가방본체(31)를 직립된 상태로 잠시 방치해 두는 경우엔 다시 보관상태로 복귀시켜야만 사용자의 활동을 방해하지 않기 때문에 종래기술의 문제점이 해결되지는 못했다. 이로 인해, 도 3의 보조바퀴가 추가로 장착된 가방(30)도 상기와 같은 불편함으로 인해 대중화 및 실용화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으로서, 한 쌍의 바퀴들로 구성된 제1 이송수단이 가방본체의 하부 일측 모서리에 결합되고, 제2 이동수단이 가방본체의 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도 그 바퀴들이 지면에 맞닿은 상태로 위치함으로써, 가방본체가 기울어짐에 따라 제2 이동수단이 가방본체에 형성된 결합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제1, 제2 이동수단의 바퀴들이 상호 벌어지면서, 기울어진 상태의 가방본체를 안정되게 지탱할 수 있으며, 가방본체가 직립된 상태로 복귀하더라도 제2 이동수단이 다시 원상태로 복귀되는 바퀴가 장착된 가방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아래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퀴가 장착된 가방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바퀴가 장착된 가방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바퀴가 장착된 가방이 직립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바퀴가 장착된 가방이 이동을 위해서 기울어진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퀴가 장착된 가방(40)은 가방본체(41)의 측부에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2 이송수단이 설치되며, 이런 제2 이송수단의 바퀴(44)들이 지면에 맞닿게 위치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바퀴가 장착된 가방(40)은 사용자가 이동하기 위해 가방본체(41)를 기울이는 경우에 제2 이송수단의 바퀴(44)들이 지면을 따라 회전 거동되면서도 제1, 제2 이송수단의 바퀴(43, 44)들 간의 간격이 넓어지면서 가방본체(41)의 무게중심이 제1, 제2 이송수단의 바퀴(43, 44)들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이동하는 경우에도 기울어진 상태의 가방본체(41)의 하중을 제1, 제2 이송수단이 지지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견인하는 힘만으로도 균형감 있는 안정된 상태로 이동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견인되지 않고 직립된 상태로 복원 방치되더라도, 제2 이송수단이 가방본체(41)의 거동에 따라 회전되면서 원상태로 위치함으로써 사용자의 행동을 방해하지도 않는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퀴가 장착된 가방(40)의 구성관계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바퀴가 장착된 가방(40)은 수화물이 그 내부 공간에 수납되도록 형성된 가방본체(41)를 구비한다. 가방본체(41)는 가방의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지만, 제작의 편리성과 가방의 규격화 현상에 의해 일반적으로 육면체 형상으로 제작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가방본체(41)는 그 상부에 사용자가 견인할 수 있도록 손잡이(42)가 설치되며, 그 하부면이 지면과의 간섭이 없도록 평평하게 형성되고, 하부면의 일측 모서리에 제1 이송수단인 한 쌍의 바퀴(43)들이 폭방향으로 상호 떨어져 장착 결합된다.
본 발명의 제1 이송수단은 한 쌍의 바퀴(43)들과, 이런 바퀴(43)들을 상호 연결하는 제1 연결축으로 구성되며, 제1 연결축의 양 단에 바퀴(43)들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제1 이송수단의 바퀴(43)들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면, 제1 연결축을 제외하고 가방본체(41)의 외곽형상을 구성하는 프레임에 직접 장착될 수도 있다. 이런 제1 이송수단의 바퀴(43)들은 가방본체(41)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가방본체(41)의 하중을 일부 지지할 뿐만 아니라, 가방본체(41)를 견인하는 힘에 의해 지면을 따라 회전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인 제2 이송수단은 기울어진 상태의 가방본체(41)의 하중을 일부 지탱하도록 가방본체(41)의 양 측면부에 각각 결합된다. 제2 이송수단은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지면을 따라 마찰 회전하는 바퀴(44)와, 상기 바퀴(44)와 가방본체(41)를 연결하는 지지대(45)와, 상기 지지대(45)가 축회전되도록 결합된 축회전 지지구(46) 및, 상기 지지대(45)가 일정 각도범위로 회전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47)로 각각 구성된다.
제2 이송수단의 바퀴(4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도상에서 그 축 중심이 제1 이송수단의 바퀴(43)와 동일한 폭방향 선상에 위치하거나, 그 전방에 위치한다. 이때, 제1, 제2 이송수단의 바퀴(43, 44)들은 지면과 맞닿는 접촉점이 동일 평면상에 위치해서, 지면을 따라 각각 회전 거동된다.
제2 이송수단의 지지대(45)는 그 일단에 바퀴(44)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타단에 축회전 지지구(46)가 베어링 결합된다. 이때, 본 발명의 제2 이송수단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도상(가방본체의 직립상태)에서 가방본체(41)에 결합되는 축회전 지지구(46)가 바퀴(44)의 후방 상부측에 위치함으로써, 가방본체(41)의 높이방향 축상에서 지지대(45)가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형상이 된다.
그리고, 축회전 지지구(46)에는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이 설치되는데, 이런 토션 스프링은 그 일측이 가방본체(41)에 고정되고, 그 타측이 지지대(45)에 부착된다. 이때, 토션 스프링은 그 탄성력이 지지대(45)를 끌어 당기도록 작용하면서도, 지지대(45)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되지 못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제2 이송수단의 지지대(45)에는 그 길이방향의 어느 일 지점에 가이드 부재(47)가 가방본체(41)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부착 고정된다. 가이드 부재(47)는 판 형상 부재로서, 그 내부에 곡선형 슬라이딩 홈(48)이 형성된다. 이때, 슬라이딩 홈(48)은 그 곡선이 축회전 지지구(46)를 중심점으로 하는 원호이지만, 그 일측 부분(51)이 원호 반경 내부로 원만하게 휘어진다. 그리고, 슬라이딩 홈(48)에는 가방본체(41)의 프레임에 고정된 스토퍼(49)가 끼워지는데, 이런 스토퍼(49)는 자유 회동이 가능하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스토퍼(49)가 슬라이딩 홈(48)의 곡선 범위 내에서 마찰 접촉하면서 이동되고, 슬라이딩 홈(48)의 일측 부분(51)에 걸쳐짐으로써 이동이 제한되기도 한다(도 8참조).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이송수단은 한 쌍으로 된 구성물이 상호 유기적으로 동시 거동되도록, 각각의 지지대(45)들 사이에 제2 연결축(50)이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퀴가 장착된 가방(40)은 가방본체(41)의 상부에 견인을 위한 손잡이(42)가 설치되는데, 이런 손잡이(42)는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신장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인 바퀴가 장착된 가방(40)의 작동관계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먼저, 사용자는 직립된 상태의 가방(40)을 견인하기 위해서 손잡이(42)를 신장시키고, 바퀴가 장착된 가방(40)을 진행방향인 전방으로 끌어 당긴다.
그러면, 본 발명의 가방(40)은 가방본체(41)의 상부측이 이끌려지면서, 제1 이송수단의 바퀴(43)를 지지점으로 가방본체(41)의 하부 후방측이 상부로 들리면서 기울어짐이 시작된다. 이때, 제2 이송수단은 가방본체(41)가 직립된 상태에서 지지대(45)가 일정 각도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가방본체(41)의 하중에 의해 지지대(45)가 축회전 지지구(46)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바퀴(44)가 전방으로 거동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제1, 제2 이송수단은 바퀴(43,44)들이 상호 멀어지면서, 가방본체(41)가 기울어진다.
이때, 본 발명은 가방본체(41)가 직립상태에서 스토퍼(49)가 도 8의 슬라이딩 홈(48)의 B지점에 위치해 있다가, 가방본체(41)의 기울어짐에 따라 스토퍼(49)가 슬라이딩 홈(48)과 마찰 접촉되면서 슬라이딩 홈(48)의 일측 부분(A지점)으로 이동된다. 즉, 본 발명은 축회전 지지구(46)를 중심으로 제2 이송수단의 지지대(45)가 상대적으로 회전되는 경우에, 슬라이딩 홈(48)에 의해 그 회전 각도가 제한된다. 또한, 본 발명은 슬라이딩 홈(48)의 일측 부분(51)에 스토퍼(49)가 걸쳐짐으로써, 가방(40)의 견인과정에서 제2 이송수단의 바퀴(44)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이와 같은 후방으로 밀리는 힘에 의해 제2 이송수단이 용이하게 복원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가방본체(41)의 무게중심이 상호 이격된 제1, 제2 이송수단의 바퀴(43, 44)들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사용자가 들어 올리는 힘에 의해 가방본체(41)를 지탱하지 않아도 제1, 제2 이송수단에 의해 균형감 있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일시적으로 견인하지 않고 가방본체(41)를 후방 상부로 들어 올리는 경우에, 제1 이송수단의 바퀴(43)를 지지점으로 가방본체(41)가 회전하면서 직립상태로 돌아온다. 이때, 본 발명의 제2 이송수단은 가방본체(41)가 회전하면서 바퀴(44)가 지면으로 부터 일시적으로 떨어졌다가, 그 자중 및 토션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축회전 지지구(46)를 중심으로 지지대(45)가 회전하려고 한다. 즉, 본 발명의 제2 이송수단은 가방본체(41)가 기울어져 있는 상태에서 스토퍼(49)가 슬라이딩 홈(48)의 일측 부분(51)에 끼워져 고정되어 있다가, 가방본체(41)가 직립상태로 가까워지면서 스토퍼(49)가 슬라이딩 홈(48)의 일측 부분(51)인 A지점에서 B지점으로 빠져 나오게 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가방본체(41)를 직립상태로 복원시키더라도, 외부 조작없이도 제2 이송수단이 원상태로 돌아오기 때문에, 제2 이송수단이 사용자의 행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2 이송수단은 스토퍼(49)가 지지대(45)에 결합되고, 가이드 부재(47)가 가방본체(41)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결합되어, 스토퍼(49)가 가이드 부재(47)의 슬라이딩 홈(48)에 끼워지는 형식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제2 이송수단이 외부로 보여지지 않도록, 가방본체(41)의 전방면에서 그 내부로 향하는 일정 공간에 제2 이송수단이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서 제2 이송수단이 한 쌍으로 구성된 구조물이라고 설명했지만, 하나의 구조물로 된 제2 이송수단이 가방본체(41)의 전방면 일측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퀴가 장착된 가방은 가방본체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그 무게중심이 상호 이격된 제1, 제2 이송수단의 바퀴들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사용자가 들어 올리는 힘에 의해 가방본체를 지탱하지 않아도 제1, 제2 이송수단에 의해 균형감 있게 지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가방본체를 직립상태로 복원시키더라도, 외부 조작없이도 제2 이송수단이 원상태로 돌아오기 때문에, 제2 이송수단이 사용자의 행동을 방해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퀴가 장착된 가방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바퀴가 장착된 가방의 측면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바퀴가 추가로 장착된 가방의 측면도이고,
도 3은 종래기술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바퀴가 추가로 장착된 가방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보조바퀴가 지면에 맞닿은 상태를 나타낸 보조바퀴가 추가로 장착된 가방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바퀴가 장착된 가방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바퀴가 장착된 가방이 직립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바퀴가 장착된 가방이 이동을 위해서 기울어진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바퀴가 장착된 가방에서 제2 이동수단의 거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확대해서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20, 30, 40 : 가방
11, 21, 31, 41 : 가방본체
12, 42 : 손잡이
13, 43, 44 : 바퀴
24, 34 : 보조바퀴

Claims (4)

  1. 수화물이 삽입되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가방본체와, 상기 가방본체에서 지면과 대향하는 하부면의 일측 모서리에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바퀴들과, 상기 가방본체를 이끌 수 있도록 상기 가방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손잡이를 구비한 가방에 있어서,
    상기 제1 바퀴들보다 전방에 위치하면서 상기 제1 바퀴들과 동일하게 지면과 맞닿는 제2 바퀴와;
    상기 제2 바퀴가 그 일단에 결합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타단이 일정 각도 범위로 회전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1 바퀴들의 후방 상부측의 어느 일 지점에 위치하도록 상기 가방본체의 측부에 결합되는 축회전 지지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가 장착된 가방.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축회전 지지구에는 그 일측이 상기 가방본체에 고정되고 그 타측이 상기 지지대에 부착되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지지대를 끌어 당기도록 작용하면서도 상기 지지대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되지 못하도록 토션 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바퀴가 장착된 가방.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에는 그 길이방향의 어느 일 지점에 가이드 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에는 슬라이딩 홈이 상기 축회전 지지구를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부재의 슬라이딩 홈에는 상기 가방본체에 결합된 스토퍼가 끼워져 접촉 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가 장착된 가방.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슬라이딩 홈의 일측 끝단이 상기 원주 반경보다 더 내측으로 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가 장착된 가방.
KR1020050074101A 2005-08-12 2005-08-12 바퀴가 장착된 가방 KR100827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4101A KR100827209B1 (ko) 2005-08-12 2005-08-12 바퀴가 장착된 가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4101A KR100827209B1 (ko) 2005-08-12 2005-08-12 바퀴가 장착된 가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8056A true KR20050088056A (ko) 2005-09-01
KR100827209B1 KR100827209B1 (ko) 2008-05-07

Family

ID=37271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4101A KR100827209B1 (ko) 2005-08-12 2005-08-12 바퀴가 장착된 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720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00566A (zh) * 2013-07-10 2013-09-18 平湖市南桥箱包有限公司 一种四轮拉杆箱
CN106231950A (zh) * 2014-05-11 2016-12-14 赵源上 轮子折叠式搬运工具
WO2018174519A1 (ko) * 2017-03-20 2018-09-27 김도완 여행가방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8848A (en) 1994-07-01 1996-10-29 Liang; Joseph Laterally movable suitcase with wheeled, pivotable leg
JPH11346815A (ja) 1998-06-10 1999-12-21 Kazutoshi Kiyotaki 旅行用キャリヤバッグ
US6604615B2 (en) 2001-11-07 2003-08-12 Yi-Ming Wu Roller device of luggage case
KR200276383Y1 (ko) 2001-12-28 2002-05-22 이영순 여행용 가방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00566A (zh) * 2013-07-10 2013-09-18 平湖市南桥箱包有限公司 一种四轮拉杆箱
CN106231950A (zh) * 2014-05-11 2016-12-14 赵源上 轮子折叠式搬运工具
CN106231950B (zh) * 2014-05-11 2018-01-30 赵源上 轮子折叠式搬运工具
WO2018174519A1 (ko) * 2017-03-20 2018-09-27 김도완 여행가방
US11324293B2 (en) 2017-03-20 2022-05-10 Dowan KIM Suitc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7209B1 (ko) 2008-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68507A1 (en) Steerable Carriage Apparatus
US9302728B1 (en) Scooter structure
US6478315B1 (en) Wheel assembly
JP4038623B2 (ja) かばん
US5197579A (en) Luggage with pull handle
US5323887A (en) Luggage case on wheels
US8720655B2 (en) Luggage case with large folding wheels
RU2743758C2 (ru) Багажный чемодан и его колёсная база
JP2000325126A (ja) キャリア付き旅行鞄
CA2471692A1 (en) Foldable mobility support device
US20150203136A1 (en) Foldable luggage carrier
JP2006507176A (ja) 個人用移動手段
KR100827209B1 (ko) 바퀴가 장착된 가방
CA2337356A1 (en) Golf bag pull cart having integral extendable rollers and handle
US5338054A (en) Cart for hand baggage
US20190047653A1 (en) Deployable foot platform personal transportation device
KR101281375B1 (ko) 편리한 여행용 가방
US5586775A (en) Foldable apparatus of a baggage cart
US11324293B2 (en) Suitcase
GB2433426A (en) Wheeled luggage with supplementary support device
CA2284417A1 (en) Extendible and retractable wheel assembly for luggage
US20040036240A1 (en) Cart bag
KR100671971B1 (ko) 여행용 가방
FR2905658A1 (fr) Engin de transport
KR102370847B1 (ko) 탈부착이 가능한 캐리어용 보조바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