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7517A - 보호대상의 위치 추적 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보호대상의 위치 추적 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7517A
KR20050087517A KR1020040013366A KR20040013366A KR20050087517A KR 20050087517 A KR20050087517 A KR 20050087517A KR 1020040013366 A KR1020040013366 A KR 1020040013366A KR 20040013366 A KR20040013366 A KR 20040013366A KR 20050087517 A KR20050087517 A KR 20050087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rotected
call
location
tr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3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0363B1 (ko
Inventor
김정숙
Original Assignee
김정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숙 filed Critical 김정숙
Priority to KR1020040013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0363B1/ko
Publication of KR20050087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7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0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03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6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91Terminal block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lugs or sock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 H02G3/381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in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 아동, 노약자, 애완동물은 물론 이동이 가능한 기계장치, 자동차, 개인 소장품 등의 물품과 같은 보호대상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관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특정영역내에 존재하는 보호대상의 위치를 실시간을 추적하여 관리하는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도난이나 분실에 따른 정신적인 피해는 물론 경제적인 손실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보호대상의 위치 추적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보호대상의 위치 추적 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Position monitoring care system of the protector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보호가 필요한 대상(예; 유아, 아동, 노약자, 애완동물, 이동이 가능한 기계장치, 자동차, 개인 소장품 등의 물품, 이하 보호대상 이라함)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같이, 유아, 아동, 노약자, 애완동물 등과 같이 보호가 필요한 대상은 물론, 이동이 가능한 물품들은 그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거나 또는, 보호자의 실수로 분실되는 경우 그에 따른 정신적인 피해가 상당하였다.
이에 종래에는 보호가 필요한 대상의 경우에는 그 보호대상을 제 3 자라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식별장치가 제공되었고, 이동이 가능한 물품의 경우에는 보험가입이라는 보장상품을 통해 물질적인 피해를 보상받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식별장치와 보험가입의 경우에는 분실과 도난을 가정한 상태에서 제 3 자에 의한 식별력과 피해보상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이는 분실과 도난을 예방하는 방식이 아님은 물론, 그 경제적인 손실이 클 수밖에 없었다.
즉, 보호대상이 보호자로부터 떨어져 제 3 자에 의해 보호되고 있다고 가정할 경우, 제 3 자에 의한 보호대상의 보호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 보호자는 물론 보호대상자 모두에게 상당한 정신적인 피해가 발생할 수 있음은 물론, 보호대상을 찾아 나서는데 따른 경제적 물질적 피해가 크게 나타날 수밖에 없었다.
또한, 이동이 가능한 물품의 경우에 있어서도, 도난이나 분실이 발생되어 그에따른 피해를 보상받는다 하더라도, 이는 어디까지나 물질적인 피해 보상에 지나지 않으며, 정신적인 피해보상까지 보상해 주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이동이 가능한 물품의 경우에는 사용자만의 노하우가 담겨 있을 수도 있는데, 만약 이러한 물품을 잃어버릴 경우 그 정신적인 피해는 물론 경제적인 손실이 상당하리라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특정영역내에 존재하는 보호대상의 위치를 실시간을 추적하여 관리하는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도난이나 분실에 따른 정신적인 피해는 물론 경제적인 손실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보호대상의 위치 추적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을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보호대상 위치 추적 관리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보호대상 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호출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제어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컴퓨터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위치추적의 화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보호대상의 위치 추적 좌표도 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동이 가능한 보호대상에 착용되어 알에프(RF)신호를 송출하는 보호대상 단말기(10);
상기 보호대상 단말기(10)가 근접되었을 때 그 보호대상 단말기(10)로부터 송출된 RF신호를 수신하도록 특정영역내에 분산 설치되는 수집단말기(20);
상기 수집단말기(20)와 무선통신을 하되, 상기 수집단말기(20)로부터 수신된 RF신호를 토대로 이동하는 보호대상의 위치를 실시간 추적 관리함은 물론 그 보호대상 단말기(10)로 호출신호를 송출하는 메인단말기(30);
상기 메인단말기(30)와 통신케이블로 연결하되, 상기 메인단말기(30)로부터 추적 관리된 보호대상의 위치를 디스플레이시키는 정보표시 단말기(40); 및,
상기 보호대상 단말기(10)를 호출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메인단말기(30)로 송출하는 호출단말기(50); 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보호대상 단말기(10)는,
제 1 수신부(11)를 통해 호출단말기(50)의 호출신호가 수신될 때 내장형의 스피커(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경보음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경보음발생부(12), 온/오프 기능의 추적버튼(13) 및, 상기 추적버튼(13)의 온시 안테나를 통해 소정의 중계거리를 가지는 RF신호를 송출하는 송출부(14)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수집단말기(20)는,
전원공급이 가능하도록 가로등주, 전신주, 아파트와 같은 주택 현관의 램프의 전원단자에 연결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호출단말기(50)는,
보호대상 단말기(10)의 호출을 위한 호출버튼(51)과,
상기 호출버튼(51)에 의해 보호대상 단말기(10)의 호출이 이루어질 때 메인단말기(30)의 통보메세지를 수신하는 제 2 수신부(52),
상기 제 2 수신부(52)에 의해 수신된 통보메세지를 화면표시부(LCD)(53)를 통해 디스플레이시키는 표시구동부(54)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보호대상 단말기(10)와 수집단말기(20)는,
진폭위상변조(ASK; Amplitude Shift Keying)의 방식으로 통신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수집단말기(20)와 메인단말기(30) 및 호출단말기(50)는 각각 주파수위상변조(FSK; Frequency Shift Keying)의 방식으로 통신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수집단말기(20)는,
보호대상 단말기(10)와는 진폭위상변조(ASK; Amplitude Shift Keying)의 방식으로 통신하고, 메인단말기(30)와는 주파수위상변조(FSK; Frequency Shift Keying)의 방식으로 통신하는 하이브리드(hybrid) 중계형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메인단말기(30)는,
보호대상 단말기(10)와 호출단말기(50)의 신호를 수신하는 제 3 수신부(31),
상기 제 3 수신부(31)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위치추적신호인지 호출신호인지를 분석하는 신호분석부(32),
상기 신호분석부(32)로부터 분석된 위치추적 및 호출신호에 따라 보호대상 단말기(10)와 호출단말기(50)에 대한 채널(CH1,CH2)을 설정한 후 호출발생 제어는 물론 보호대상 단말기(10)의 위치를 판별하는 관리제어부(33),
상기 관리제어부(33)의 구동프로그램은 물론 위치판별 프로그램을 탑재하되, 보호대상 단말기(10)와 수집단말기(20) 및 호출단말기(50)의 식별코드(ID)를 저장한 메모리부(34),
상기 관리제어부(33)에 의해 판별된 보호대상 단말기(10)의 추적위치가 표시될 지도를 실행시키는 맵 실행부(35),
상기 수신부(31)로 호출신호가 수신될 때 관리제어부(33)의 제어에 따라 위치 추적된 보호대상 단말기(10)를 호출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호출신호 발생부(36),
상기 호출신호 발생부(36)에 의한 보호대상 단말기(10)의 호출이 이루어질 때 그 결과를 통보하는 메세지를 발생시키는 메세지 발생부(37) 및,
상기 맵 실행부(35)와 메세지 발생부(37) 및 수집단말기(20)로부터 발생되는 정보를 정보표시 단말기(40)와 호출단말기(50) 및 수집단말기(20)로 각각 전송하는 전송부(38)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도 7 내지 도 9는 상기 설명된 보호대상의 위치 추적 관리 시스템에 의해 구현되는 위치추적 관리 방법을 보인 흐름도로서 그 진행단계는,
보호대상의 위치 추적 및 보호대상 호출용 단말기(10)(50)는 물론, 보호대상 단말기(10)의 위치 추적이 가능하도록 분산 설치된 수집단말기(20)의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등록된 보호대상 단말기(10)의 동작 온으로부터 RF신호를 송출시 그 보호대상 단말기(10)와 가장 근접된 수집단말기(20)가 송출되는 RF신호를 수신한 후 이를 메인단말기(30)로 중계하여 보호대상 단말기(10)의 위치를 추적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등록된 호출단말기(50)의 동작 온으로부터 호출신호가 발생될 때 메인단말기(30)가 상기의 호출신호를 수집단말기(20)를 통해 위치 추적된 보호대상 단말기(10)로 중계하는 단계; 로 진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등록단계는,
특정영역내에서 분산 설치된 수집단말기(20)의 위치값(C1,C2,…,Cn)을 각각 코드화하여 등록하는 단계;
상기 등록된 수집단말기(20)를 통해 위치 추적이 이루어지도록 이동이 가능한 보호대상 단말기(10)와 보호자용 호출단말기(50)의 채널 및 식별코드(ID)를 메인단말기(30)로 등록하는 단계;
메인단말기(30)와 정보표시 단말기(40)를 통신케이블로 연결한 후 그 정보표시 단말기(40)로 보호대상 단말기(10)의 추적된 위치를 디스플레이할 프로그램을 다운로드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진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위치 추적 관리단계는,
이동되는 보호대상에 단말기(10)를 장착한 후 그 보호대상 단말기(10)의 추적버튼(13)을 온시켜 RF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상기 송출된 RF신호를 보호대상 단말기(10)와 근접된 수집단말기(20)가 수신한 후 이를 메인단말기(30)로 중계하여 보호대상 단말기(10)의 채널(CH1)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채널(CH1)에 따라 보호대상 단말기(10)의 위치 추적이 가능한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보호대상 단말기(10)의 위치가 추적되면 그 결과를 보호자가 열람할 수 있도록 정보표시 단말기(40)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보호대상 단말기(10)의 위치 추적이 불가능하면 보호대상 단말기(10)의 호출을 통해 오류여부를 검증한 후 그 검증된 오류결과를 보호자가 열람할 수 있도록 정보표시 단말기(40)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진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검증단계는,
보호대상 단말기(10)의 호출결과로부터 위치 추적 불능이 단말기(10)의 오프상태로 인한 것인지 잡음에 의한 것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단말기(10)의 오프 또는 잡음에 의해 위치 추적이 불가능하면 그 추적 불능된 보호대상 단말기(10)의 위치를 정보표시 단말기(40)에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된 추적불능의 위치를 보호자가 클릭시 현재까지 이루어진 보호대상 단말기(10)의 추적위치 경로를 디스플레이한 후 그 경로를 일시 저장하는 단계;
상기 단계로부터 일시 저장된 보호대상 단말기(10)의 추적불능 위치는 소정기간이 경과된 시점에 자동 삭제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진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호출단계는,
보호자가 소지한 호출단말기(50)의 호출버튼(51)을 눌러 보호대상 단말기(10)의 호출신호를 메인단말기(30)로 송출하는 단계;
상기의 호출신호로부터 메인단말기(30)가 위치추적에 따른 채널(CH1)과 다른 채널(CH2)을 선택한 후 보호대상 단말기(10)의 추적위치 경로를 탐색하는 단계;
상기 탐색결과 보호대상 단말기(10)의 추적위치가 파악되면 그 보호대상 단말기(10)의 위치와 가장 근접되는 수집단말기(20)를 통해 보호대상 단말기(10)로 호출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상기 송출과 동시에 메인단말기(30)가 보호대상 단말기(10)의 호출결과를 보호자의 호출단말기(50)로 통보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진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특정영역 즉, 아파트 단지는 물론, 일반 주택가 등의 가로등주 및 전신주와 주택 현관의 램프에 각각 진폭위상변조(ASK)의 통신방식과 주파수위상변조(FSK)의 통신방식이 혼합된 하이브리드 중계형의 수집단말기(20)를 분산 연결함으로써, 상기 수집단말기(20)가 가로등주 및 전신주와 램프로부터 전원을 공급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특정영역내에서 분산 설처된 수집단말기(20)의 위치값(C1,C2,…,Cn)을 각각 코드화하여 메인단말기(30)의 메모리부(34)에 등록하여 둔다.
이때,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수집단말기(20)를 통해 위치 추적이 이루어지도록 이동이 가능한 보호대상 단말기(10)와 보호자용 호출단말기(50)의 채널 및 식별코드(ID)를 메인단말기(30)의 메모리부(34)로 등록시키는 한편, 상기 메인단말기(30)는 주택내에 위치하는 보호자의 정보표시 단말기(예; 컴퓨터)(40)와 통신케이블로 연결한다.
이후,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정보표시 단말기(40)가 통신케이블을 통해 메인단말기(30)로부터 위치 추적 및 호출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하면, 이동이 가능한 보호대상의 위치 추적 및 그 보호대상을 호출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완료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축 완료된 시스템을 통해 이동되는 보호대상의 위치를 추적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보호대상에 제 1 수신부(11), 경보음발생부(12), 추적버튼(13), 송출부(14)를 포함하는 보호대상 단말기(10)를 장착한다.
여기서, 상기 보호대상 단말기(10)는 보호대상이 아동, 유아, 노약자, 애완동물일 경우 목걸이 형태로 제공하고, 물품일 경우에는 별도의 결합부재를 통해 그 장착이 이루어지도록 설계하였다.
이후, 상기의 단말기(10)를 착용한 보호대상이, 상기 보호대상 단말기(10)에 구비된 추적버튼(13)을 온시킨 상태에서 움직일 경우, 그 움직임은 상기 보호대상 단말기(10)의 송출부(14)를 통해 출력되는 RF신호를 특정영역내에서 분산 설치된 수집단말기(20)가 진폭위상변조(ASK)이 통신방식으로 수집함으로써 위치 추적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즉, 도 8에서와 같이 보호대상이 단말기(10)를 장착한 후 추적버튼(13)을 온시켜 RF신호를 송출시키면, 상기 송출된 RF신호는 상기 보호대상 단말기(10)와 가장 근접된 수집단말기(20)가 진폭위상변조(ASK)의 통신방식으로 수신한 후 이를 주파수위상변조(FSK)의 통신방식으로 메인단말기(30)에 중계한다.
그러면, 상기 메인단말기(30)내의 제 3 수신부(31)는 상기 중계된 RF신호를 신호분석부(32)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신호분석부(32)에서는 수신된 RF신호가 위치 추적신호임을 분석한 후 그 결과를 관리제어부(33)로 통보하게 된다.
이때, 상기 관리제어부(33)는 신호 분석부(32)로부터 분석된 위치추적의 신호에 따라 메모리부(34)를 검색하여 보호대상 단말기(10)에 대한 채널(CH1)을 설정한 후, 상기 보호대상 단말기(10)의 위치를 판별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메인단말기(30)에는 맵 실행부(35)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상기 맵 실행부(35)는 관리제어부(33)에 의해 판별된 보호대상 단말기(10)의 추적위치가 표시될 지도를 실행시킨 후 이를 전송부(38)를 통해 정보표시 단말기(4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정보표시 단말기(40)의 모니터에는 보호자가 열람할 수 있도록 도 5에서와 같이 보호대상의 이동경로를 지도창(A)과 코드창(B)을 통해 디스플레이시키게 되는 것이다.
일예로, 도 6에서와 같이 식별코드(ID)가 부여된 보호대상 단말기(10)의 이동경로가 "ID1→ID2→ID3→ID4→ID5" 인 경우, 상기 모니터의 지도창(A)에는 보호대상 단말기(10)의 식별코드에 순차적으로 번호를 부여하여 이동경로를 지도에 표시하고, 상기 모니터의 코드창(B)에는 보호대상 단말기(10)의 위치를 추적한 수집단말기(20)의 위치값(C1,C2,…,Cn)을 코드화하여 표시하게 된다.
즉, 분산 설치된 수집단말기(20)의 위치인 C1,C2,C3,C4의 중심점(P1)에 최초 추적된 경우, 상기 모니터의 코드창(B)에는 최초로 추적된 보호대상 단말기(10)의 식별코드값 ID1과 그 추적위치값 P1이 표시된다.
상기 분산 설치된 수집단말기(20)의 위치인 C2,C3,C6,C7에서 C2의 위치값으로 다음 경로가 추적된 경우에는, 상기 모니터의 코드창(B)에는 2차 위치 추적된 보호대상 단말기(10)의 식별코드값 ID2과 그 추적위치값인 C2,C3,C6가 표시된다.
상기 분산 설치된 수집단말기(20)의 위치인 C3,C4,C7,C8에서 C7의 위치값으로 다음 경로가 추적된 경우에는, 상기 모니터의 코드창(B)에는 3차 위치 추적된 보호대상 단말기(10)의 식별코드값 ID3와 그 추적위치값인 C7,C3,C8이 표시된다.
상기 분산 설치된 수집단말기(20)의 위치인 C5,C6,C9,C10에서 C10의 위치값으로 다음 경로가 추적된 경우에는, 상기 모니터의 코드창(B)에는 4차 위치 추적된 보호대상 단말기(10)의 식별코드값 ID4와 그 추적위치값인 C10,C6,C9가 표시된다.
상기 분산 설치된 수집단말기(20)의 위치인 C6,C7,C10,C11에서 C6의 위치값으로 다음 경로가 추적된 경우에는, 상기 모니터의 코드창(B)에는 5차 위치 추적된 보호대상 단말기(10)의 식별코드값 ID5과 그 추적위치값인 C6,C7,C10이 표시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모니터 지도창(A)에는 상기 5차까지의 모든 경로에 해당하는 보호대상 단말기(10)의 식별코드인 ID1,ID2,ID3,ID4,ID5가 차례대로 표시된다.
한편, 상기 보호대상 단말기(10)를 착용한 보호대상의 위치추적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메인단말기(30)내의 관리제어부(33)는 호출신호 발생부(36)를 통해 보호대상 단말기(10)을 호출하는 신호를 모든 수집단말기(20)로 송출함으로써, 상기 보호대상 단말기(10)의 오류를 검증하는 한편, 그 검증된 결과를 보호자가 열람할 수 있도록 상기 정보표시 단말기(40)의 오류검증창(D)에 디스플레이시키도록 하였다.
즉, 상기 관리제어부(33)는 보호대상 단말기(10)의 호출결과로부터 위치 추적 불능이 단말기(10)의 오프상태로 인한 것인지 잡음에 의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기 판단결과 단말기(10)의 오프 또는 잡음에 의해 위치 추적이 불가능할 경우 상기 관리제어부(33)는 추적 불능된 보호대상 단말기(10)의 위치를 정보표시 단말기(40)의 오류검증창(D)에 디스플레이시킨다.
일예로, 보호대상 단말기(10)의 위치가 앞서의 설명에서와 같이 ID1,ID2,ID3,ID4,ID5의 경로로 추적된 상태에서 수집단말기(10)가 분산 설치된 C7,C8,C11,C12의 영역내에서 불능상태로 전환될 경우, 상기 관리제어부(33)는 그 불능된 추적위치에 대한 보호대상 단말기(10)의 식별코드 ID6을 오류검증창(D)에 디스플레이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도 5에서와 같이 보호자가 오류검증창(D)에 디스플레이된 식별코드인 ID6을 클릭하는 경우, 상기 관리제어부(33)는 정보표시 단말기(40)의 모니터 경로표시창(F)에 보호대상 단말기(10)의 이전까지 추적된 위치의 경로 즉, ID1,ID2,ID3,ID4,ID5를 디스플레이시키는 한편, 그 경로를 메모리부(34)에 일시 저장하도록 하였다.
여기서, 상기 일시 저장되는 보호대상 단말기(10)의 추적 불능 위치는 소정기간동안 상기 모니터의 경로표시창(F)에 지속적으로 디스플레이되고 있다가 소정기간(예; 하루정도)이 경과되거나 또는 경과된 시점을 근거로 자동 삭제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위치 추적된 결과의 모니터링을 통해 보호자가 보호대상을 호출하고자 호출단말기(50)의 호출버튼(51)을 눌러 호출신호를 발생시키면, 상기 호출신호는 주파수위상변조(FSK)의 통신방식으로 메인단말기(30)로 전송된다.
이때, 상기 메인단말기(30)는 상기의 호출신호로부터 위치추적에 따른 채널(CH1)과 다른 채널(CH2)을 선택한 후 호출할 보호대상 단말기(10)의 위치추적 경로를 탐색하여 보호대상 단말기(10)의 위치를 파악하게 된다.
이후, 상기 메인단말기(30)는 위치 파악된 보호대상 단말기(10)와 가장 근접되는 수집단말기(20)에 진폭위상변조(ASK)의 통신방식으로 보호대상 단말기(10)의 호출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보호대상 단말기(10)내의 경보음발생부(12)에서는 호출신호가 제 1 수신부(11)를 통해 수신될 때 그 호출상태를 보호대상이 인지할 수 있도록 경보음을 내장형의 스피터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메인단말기(30)는 메세지 발생부(37)를 통해 상기의 호출결과를 주파수위상변조(FSK)의 통신방식으로 보호자의 호출단말기(50)로 송출하도록 하였는 바,
상기 호출단말기(50)내의 제 2 수신부(52)는 보호대상 단말기(10)의 호출이 이루어질 때 메인단말기(30)의 통보메세지를 수신하게 된다.
이때, 상기 호출단말기(50)내의 표시구동부(54)는 제 2 수신부(52)에 의해 수신된 호출결과의 통보메세지를 화면표시부(LCD)(53)를 통해 디스플레이시킴으로써, 보호자는 보호대상의 호출결과를 상기의 화면표시부(53)를 통해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 보호대상의 위치 추적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은 특정영역내에 존재하는 보호대상의 위치를 실시간을 추적하여 관리하는 시스템 구축을 통해 도난이나 분실에 따른 정신적인 피해는 물론 경제적인 손실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보호대상 위치 추적 관리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보호대상 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호출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제어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컴퓨터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는 위치추적의 화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보호대상의 위치 추적 좌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보호대상의 위치 추적을 위한 단말기의 등록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보호대상의 위치 추적 및 그 표시 상태의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보호자에 의해 이루어지는 위치추적된 보호대상의 호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보호대상 단말기 11; 제 1 수신부
12; 경보음 발생부 13; 추적버튼
14; 송출부 20; 수집단말기
30; 메인단말기 31; 제 3 수신부
32; 신호분석부 33; 관리제어부
34; 메모리부 35; 맵 실행부
36; 호출신호 발생부 37; 메세지 발생부
38; 전송부 40; 정보표시 단말기
50; 호출단말기 51; 호출버튼
52; 제 2 수신부 53; 화면표시부
54; 표시구동부

Claims (13)

  1. 이동이 가능한 보호대상에 착용되어 RF신호를 송출하는 보호대상 단말기;
    상기 보호대상 단말기가 근접되었을 때 그 보호대상 단말기로부터 송출된 RF신호를 수신하도록 특정영역내에 분산 설치되는 수집단말기;
    상기 수집단말기와 무선통신을 하되, 상기 수집단말기로부터 수신된 RF신호를 토대로 이동하는 보호대상의 위치를 실시간 추적 관리함은 물론 그 보호대상 단말기로 호출신호를 송출하는 메인단말기;
    상기 메인단말기와 통신케이블로 연결하되, 상기 메인단말기로부터 추적 관리된 보호대상의 위치를 디스플레이시키는 정보표시 단말기; 및,
    상기 보호대상 단말기를 호출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메인단말기로 송출하는 호출단말기; 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대상의 위치 추적 관리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대상 단말기는,
    제 1 수신부를 통해 호출단말기의 호출신호가 수신될 때 내장형의 스피커를 통해 경보음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경보음발생부, 온/오프 기능의 추적버튼 및, 상기 추적버튼의 온시 안테나를 통해 소정의 중계거리를 가지는 RF신호를 송출하는 송출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대상의 위치 추적 관리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단말기는,
    전원공급이 가능하도록 가로등주, 전신주, 아파트와 같은 주택 현관의 램프 전원단자에 연결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대상의 위치 추적 관리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단말기는,
    보호대상 단말기의 호출을 위한 호출버튼, 호출버튼에 의해 보호대상 단말기의 호출이 이루어질 때 메인단말기의 통보메세지를 수신하는 제 2 수신부, 상기 제 2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통보메세지를 화면표시부를 통해 디스플레이시키는 표시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대상의 위치 추적 관리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대상 단말기와 수집단말기는,
    진폭위상변조(ASK)의 방식으로 통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대상의 위치 추적 관리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단말기와 메인단말기 및 호출단말기는,
    주파수위상변조(FSK)의 방식으로 통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대상의 위치 추적 관리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단말기는,
    보호대상 단말기와는 진폭위상변조(ASK)의 방식으로 통신하고, 메인단말기와는 주파수위상변조(FSK)의 방식으로 통신하는 하이브리드 중계형 단말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대상의 위치 추적 관리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단말기는,
    보호대상 단말기와 호출단말기의 신호를 수신하는 제 3 수신부,
    상기 제 3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위치추적신호인지 호출신호인지를 분석하는 신호분석부,
    상기 신호분석부로부터 분석된 위치추적 및 호출신호에 따라 보호대상 단말기와 호출단말기에 대한 채널을 설정한 후 호출발생 제어는 물론 보호대상 단말기의 위치를 판별하는 관리제어부,
    상기 관리제어부의 구동프로그램은 물론 위치판별 프로그램을 탑재하되, 보호대상 단말기와 수집단말기 및 호출단말기의 식별코드를 저장한 메모리부,
    상기 관리제어부에 의해 판별된 보호대상 단말기의 추적위치가 표시될 지도를 실행시키는 맵 실행부,
    상기 제 3 수신부로 호출신호가 수신될 때 관리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위치 추적된 보호대상 단말기를 호출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호출신호 발생부,
    상기 호출신호 발생부에 의한 보호대상 단말기의 호출이 이루어질 때 그 결과를 통보하는 메세지를 발생시키는 메세지 발생부 및,
    상기 맵 실행부와 메세지 발생부 및 수집단말기로부터 발생되는 정보를 정보표시 단말기와 호출단말기 및 수집단말기로 각각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대상의 위치 추적 관리시스템.
  9. 보호대상의 위치 추적 및 보호대상 호출용 단말기는 물론, 보호대상 단말기의 위치 추적이 가능하도록 분산 설치된 수집단말기의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등록된 보호대상 단말기의 동작 온으로부터 RF신호를 송출시 그 보호대상 단말기와 가장 근접된 수집단말기가 송출되는 RF신호를 수신한 후 이를 메인단말기로 중계하여 보호대상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등록된 호출단말기의 동작 온으로부터 호출신호가 발생될 때 메인단말기가 상기의 호출신호를 수집단말기를 통해 위치 추적된 보호대상 단말기로 중계하는 단계; 로 진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대상의 위치 추적 관리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단계는,
    특정영역내에서 분산 설치된 수집단말기의 위치값을 각각 코드화하여 등록하는 단계;
    상기 등록된 수집단말기를 통해 위치 추적이 이루어지도록 이동이 가능한 보호대상 단말기와 보호자용 호출단말기의 채널 및 식별코드를 메인단말기로 등록하는 단계;
    메인단말기와 정보표시 단말기를 통신케이블로 연결한 후 그 정보표시 단말기로 보호대상 단말기의 추적된 위치를 디스플레이할 프로그램을 다운로드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진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대상의 위치 추적 관리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추적 관리단계는,
    이동되는 보호대상에 단말기를 장착한 후 그 보호대상 단말기의 추적버튼을 온시켜 RF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상기 송출된 RF신호를 보호대상 단말기와 근접된 수집단말기가 수신한 후 이를 메인단말기로 중계하여 보호대상 단말기의 채널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채널에 따라 보호대상 단말기의 위치 추적이 가능한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보호대상 단말기의 위치가 추적되면 그 결과를 보호자가 열람할 수 있도록 정보표시 단말기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보호대상 단말기의 위치 추적이 불가능하면 보호대상 단말기의 호출을 통해 오류여부를 검증한 후 그 검증된 오류결과를 보호자가 열람할 수 있도록 정보표시 단말기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진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대상의 위치 추적 관리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단계는,
    보호대상 단말기의 호출결과로부터 위치 추적 불능이 단말기의 오프상태로 인한 것인지 잡음에 의한 것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단말기의 오프 또는 잡음에 의해 위치 추적이 불가능하면 그 추적 불능된 보호대상 단말기의 위치를 정보표시 단말기에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된 추적불능위치를 보호자가 클릭시 현재까지 이루어진 보호대상 단말기의 추적위치 경로를 디스플레이한 후 그 경로를 일시저장하는 단계;
    상기 단계로부터 일시 저장된 보호대상 단말기의 추적불능 위치는 소정기간이 경과된 시점에 자동 삭제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진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대상의 위치 추적 관리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단계는,
    보호자가 소지한 호출단말기의 호출버튼을 눌러 보호대상 단말기의 호출신호를 메인단말기로 송출하는 단계;
    상기의 호출신호로부터 메인단말기가 위치추적에 따른 채널과 다른 채널을 선택한 후 보호대상 단말기의 추적위치 경로를 탐색하는 단계;
    상기 탐색결과 보호대상 단말기의 추적위치가 파악되면 그 보호대상 단말기의 위치와 가장 근접되는 수집단말기를 통해 보호대상 단말기로 호출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상기 송출과 동시에 메인단말기가 보호대상 단말기의 호출결과를 보호자의 호출단말기로 통보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진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대상의 위치 추적 관리방법.
KR1020040013366A 2004-02-27 2004-02-27 보호대상의 위치 추적 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KR100630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3366A KR100630363B1 (ko) 2004-02-27 2004-02-27 보호대상의 위치 추적 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3366A KR100630363B1 (ko) 2004-02-27 2004-02-27 보호대상의 위치 추적 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05242U Division KR200351439Y1 (ko) 2004-02-27 2004-02-27 보호대상의 위치 추적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7517A true KR20050087517A (ko) 2005-08-31
KR100630363B1 KR100630363B1 (ko) 2006-10-11

Family

ID=37307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3366A KR100630363B1 (ko) 2004-02-27 2004-02-27 보호대상의 위치 추적 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03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45431A2 (ko) * 2008-03-31 2009-12-03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전자감독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144866A (ko) 2015-06-09 2016-12-19 이동훈 비콘과 nfc를 이용한 반려동물 분실 사고 지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88226A1 (en) * 2009-01-29 2010-07-2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vice configuration manager and absent connection alerter
GB2518234B (en) * 2013-09-17 2017-06-21 Ford Global Tech Llc Reminder apparatus for items left in a vehicle
KR101894154B1 (ko) * 2016-12-08 2018-10-04 나병옥 미아추적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45431A2 (ko) * 2008-03-31 2009-12-03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전자감독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09145431A3 (ko) * 2008-03-31 2010-01-2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전자감독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144866A (ko) 2015-06-09 2016-12-19 이동훈 비콘과 nfc를 이용한 반려동물 분실 사고 지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0363B1 (ko) 2006-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59075B2 (en) Alert system, delivery system and method and door bell system
US6498565B2 (en) Two way tracking system and method using an existing wireless network
EP1018457B1 (en) Positioning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5972858B2 (ja) ターゲット捜索システム及びその捜索方法
EP1831850B1 (en) Position finding system for people, animals and objects
CN102804815A (zh) 用于移动设备的基于上下文的交互模型
CN105206113A (zh) 弯道会车预警方法和装置
JP2008502030A (ja) マーケットリサーチデータを収集する方法とシステム
US20180012259A1 (en) Product display systems integrated with beacon technology to assist shopper navigation
CN104933885A (zh) 智能提醒路况的方法、装置及智能设备
CN105069967A (zh) 一种基于wifi直连技术的防走失报警方法及报警系统
KR100630363B1 (ko) 보호대상의 위치 추적 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KR20070029882A (ko) Rfid 리더기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rfid를 이용한 미아찾기 시스템 및 그 방법
US7307548B2 (en) Geographical information supply system and method using RFID, and traffic information supply system using RFID
KR101722713B1 (ko) 구역별 위치 추적 시스템
KR100926239B1 (ko) 지피에스 기능을 이용한 사용자 위치 추적장치
KR200351439Y1 (ko) 보호대상의 위치 추적 관리시스템
TWI583983B (zh) 藍芽定位系統及方法
JP2001076289A (ja) 移動者安全確認装置および携帯端末
US7085568B2 (en) Provision of local data in a wireless system
KR101085851B1 (ko) 미아 방지 시스템
JP2006277422A (ja) 移動体監視誘導システムおよびその監視誘導方法
WO2016153348A1 (en) Alert system, delivery system and method and door bell system
EP1515155A1 (en) Two-way tracking system and method using an existing wireless network
KR100554401B1 (ko) 불루투스를 이용한 개인용품의 위치안내 경보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