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7213A - 유기 전계 발광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유기 전계발광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전계 발광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유기 전계발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7213A
KR20050087213A KR1020040012902A KR20040012902A KR20050087213A KR 20050087213 A KR20050087213 A KR 20050087213A KR 1020040012902 A KR1020040012902 A KR 1020040012902A KR 20040012902 A KR20040012902 A KR 20040012902A KR 20050087213 A KR20050087213 A KR 20050087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ight emitting
electrons
holes
transpor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2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2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87213A/ko
Publication of KR20050087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721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1/00Properties of the organic materials covered by group H10K85/00
    • H10K2101/40Interrelation of parameters between multiple constituent active layers or sublayers, e.g. HOMO values in adjacent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5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 H10K50/13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comprising stacked EL layers within one EL unit
    • H10K50/13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comprising stacked EL layers within one EL unit with spacer layers between the electroluminescent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5Hole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6Electron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7Carrier injection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1/00Properties of the organic materials covered by group H10K85/00
    • H10K2101/30High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 [HOMO], lowest unoccupied molecular orbital [LUMO] or Fermi energy valu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특정 파장의 빛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정공 수송층은 외부로부터 주입된 정공들을 제공한다. 전자 수송층은 외부로부터 주입된 전자들을 제공한다. 발광층들은 제공된 정공들 및 전자들을 결합하여 소정의 파장에 상응하는 빛을 발생시킨다. 장벽층들은 발광층들 사이에 각기 위치하여 제공된 정공들 및 전자들을 발광층들에 이동시킨다. 장벽층이 에너지 장벽의 역할을 수행하여 발광층에서 더 많은 여기자들을 발생되므로, 발광 효율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유기 전계 발광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유기 전계 발광 장치{METHOD OF ORGANIC ELECTROLUMINESECENCE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기 전계 발광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유기 전계 발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 전계 발광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유기 전계 발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 전계 발광 장치는 유기물을 포함하는 유기물층에 정공들 및 전자들을 주입하여 빛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의미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장치는 특정 색에 상응하는 유기물을 포함하는 유기물층에 상기 정공들 및 전자들을 이용하여 상기 색에 해당하는 빛을 발생시킨다. 즉, 상기 유기물에 따라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장치로부터 발생되는 빛의 색이 달라진다. 상기 주입된 정공들 및 전자들이 결합하여 여기자(exciton)들을 형성하고, 상기 형성된 여기자들이 소멸하여 소멸 에너지에 상응하는 빛을 발생시킨다.
도 1은 에너지 레벨에 따른 종래의 유기 전계 발광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장치는 인듐 주석 산화물층(Indium Tin Oxide Film, ITO층), 금속층, 정공 수송층, 전자 수송층 및 발광층을 포함한다.
상기 ITO층은 기판(미도시)의 상부에 일방향으로 패터닝(patterning)되어 있고, 애노드(anode)의 기능을 수행한다. 즉, 순방향의 전압이 인가된 경우, 정공들을 상기 정공 수송층에 제공한다.
상기 금속층은 상기 전자 수송층의 상부에 위치하며, 캐소드(cathode)의 기능을 수행한다. 즉, 순방향의 전압이 인가된 경우, 전자들을 상기 전자 수송층에 제공한다.
상기 정공 수송층은 상기 제공된 정공들을 상기 발광층으로 수송한다.
상기 전자 수송층은 상기 제공된 전자들을 상기 발광층으로 수송한다.
상기 발광층은 상기 수송된 정공들 및 전자들을 결합하여 특정 파장의 빛을 발생시킨다.
상기 정공 수송층의 에너지 준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ITO층의 에너지 준위보다 높다. 상기 발광층의 에너지 준위는 상기 정공 수송층의 에너지 준위보다 높다. 상기 전자 수송층의 에너지 준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금속층의 에너지 준위보다 높다. 상기 발광층의 에너지 준위는 상기 전자 수송층의 에너지 준위보다 높다. 그 결과, 상기 정공들 및 상기 전자들이 상기 ITO층 및 상기 금속층에서 상기 발광층으로 주입되기 쉽다. 그러나, 상기 정공들과 상기 전자들의 이동 속도가 다르고, 여기자 형성 전에 트랩(trap)되는 현상으로 인해 발광 효율이 떨어진다.
도 2는 에너지 준위에 따른 종래의 다른 유기 전계 발광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장치는 ITO층, 금속층, 정공 수송층, 전자 수송층 및 발광층을 포함한다. 상기 발광층을 제외하고는 도 1에 도시된 유기 전계 발광 장치와 기능이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겠다.
상기 발광층은 호스트(host) 준위와 게스트(guest) 준위를 가진다. 이와 같은 방식을 사용한 경우, 적색 발광이 쉽다. 그러나, 이 유기 전계 발광 장치의 경우에도, 상기 정공들과 상기 전자들의 이동 속도가 다르고, 여기자 형성 전에 트랩(trap)되는 현상으로 인해 발광 효율이 떨어진다. 그러므로,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 전계 발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상기 유기 전계 발광 방법을 수행하는 데 특히 적합한 유기 전계 발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장치에서의 유기물층은 정공 수송층, 전자 수송층, 발광층들 및 장벽층들을 포함한다. 상기 정공 수송층은 외부로부터 주입된 정공들을 제공한다. 상기 전자 수송층은 외부로부터 주입된 전자들을 제공한다. 상기 발광층들은 상기 제공된 정공들 및 전자들을 결합하여 소정의 파장에 상응하는 빛을 발생시킨다. 상기 장벽층들은 상기 발광층들 사이에 각기 위치하여 상기 제공된 정공들 및 전자들을 상기 발광층들에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장치에서의 유기물층은 정공 수송층, 전자 수송층, 제 1 발광층, 장벽층 및 제 2 발광층을 포함한다. 상기 정공 수송층은 외부로부터 주입된 정공들을 제공한다. 상기 전자 수송층은 외부로부터 주입된 전자들을 제공한다. 상기 제 1 발광층은 상기 정공 수송층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공된 정공들 및 전자들을 결합하여 제 1 파장에 상응하는 빛을 발생시킨다. 상기 장벽층은 상기 제 1 발광층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정공들 및 상기 전자들을 이동시키며, 상기 제 1 발광층의 에너지 준위와 다른 에너지 준위를 가진다. 상기 제 2 발광층은 상기 장벽층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장벽층을 통하여 이동된 정공들 및 상기 전자들을 결합하여 제 2 파장에 상응하는 빛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장치는 기판, 인듐 주석 산화물층, 금속층 및 유기물층을 포함한다. 상기 기판은 투명하다. 상기 인듐 주석 산화물층은 상기 기판의 상부에 형성되며, 정공들을 제공한다. 상기 금속층은 전자들을 제공한다. 상기 유기물층은 상기 인듐 주석 산화물층과 상기 금속층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공된 정공들을 수송하는 정공 수송층, 상기 제공된 전자들을 수송하는 전자 수송층, 상기 수송된 정공들 및 전자들을 결합하여 소정의 파장에 상응하는 빛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발광층들과 상기 발광층들의 사이에 각기 위치하는 복수의 장벽층들을 가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방법은 정공들을 제 1 발광층에 제공하는 단계, 전자들을 제 2 발광층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공된 정공들이 상기 제 1 발광층과 상기 제 2 발광층 사이에 위치하는 장벽층을 통하여 상기 제 2 발광층으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제공된 전자들이 상기 장벽층을 통하여 상기 제 1 발광층으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제공된 정공들과 상기 이동된 전자들이 결합하여 제 1 파장에 상응하는 빛을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공된 전자들과 상기 이동된 정공들이 결합하여 제 2 파장에 상응하는 빛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방법은 정공들을 제 1 발광층에 제공하는 단계, 전자들을 제 2 발광층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공된 정공들이 상기 제 1 발광층과 상기 제 2 발광층의 사이에 위치하는 N(1이상의 정수)개의 제 3 발광층들 및 상기 발광층들 사이에 각기 위치하는 장벽층들을 통하여 이동하는 단계, 상기 제공된 전자들이 상기 제 3 발광층들 및 상기 장벽층들을 통하여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각 발광층들의 내부에 존재하는 정공들과 전자들이 결합하여 각기 소정의 파장에 상응하는 빛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장벽층이 에너지 장벽의 역할을 수행하여 발광층에서 더 많은 여기자들을 발생시키므로, 발광 효율이 향상된다. .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유기 전계 발광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준위를 기준으로 유기 전계 발광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장치는 인듐 주석 산화물층(10), 유기물층(20) 및 금속층(30)을 포함한다.
인듐 주속 산화물층(Indium Tin Oxide Film, 이하 ITO층, 10)은 순방향의 전압이 인가된 경우, 정공들을 유기물층(20)에 제공한다. 즉, ITO층(10)은 애노드(anode)의 기능을 수행한다.
금속층(30)은 상기 순방향의 전압이 인가된 경우, 전자들을 유기물층(20)에 제공한다. 즉, 금속층(30)은 캐소드(cathode)의 기능을 수행한다.
유기물층(20)은 정공 수송층(50), 전자 수송층(70), 제 1 발광층(90), 장벽층(110) 및 제 2 발광층(1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물층(20)은 위의 구성 요소 외에 정공 주입층(미도시) 및 전자 주입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공 주입층은 기판(미도시)의 상부에 위치하며, ITO층(10)으로부터 제공된 상기 정공들을 정공 수송층(50)에 주입한다.
정공 수송층(50)은 상기 정공 주입층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주입된 정공들을 제 1 발광층(90)에 수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공 수송층(50)은 ITO층(10)의 에너지 준위와 제 1 발광층(90)의 에너지 준위 사이의 에너지 준위를 가진다. 여기서, 제 1 발광층(90)의 에너지 준위가 ITO층(10)의 에너지 준위보다 높다.
상기 전자 주입층은 금속층(30)의 하부에 위치하며, 금속층(30)으로부터 제공된 상기 전자들을 전자 수송층(70)에 주입한다.
전자 수송층(70)은 상기 전자 주입층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주입된 전자들을 제 2 발광층(130)에 수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수송층(70)은 금속층(30)의 에너지 준위와 제 2 발광층(130)의 에너지 준위 사이의 에너지 준위를 가진다. 여기서, 제 2 발광층(130)의 에너지 준위가 금속층(30)의 에너지 준위보다 높다.
제 1 발광층(90)은 정공 수송층(50)의 상부에 위치한다. 또한, 제 1 발광층(90)은 상기 수송된 정공들과 장벽층(110)을 통하여 이동된 전자들을 결합하여 안정한 상태의 제 1 여기자(exciton)들을 발생시킨다. 이어서, 상기 제 1 여기자들이 소멸하면서 소멸 에너지에 상응하는 빛을 발생시킨다. 상기 발생된 빛은 특정 파장을 가진다.
장벽층(110)은 제 1 발광층(90)과 제 2 발광층(130)의 사이에 위치하여 에너지 장벽(energy barrier)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벽층(110)은 전자 수송층(70)과 동일한 물질일 수 있다. 즉, 장벽층(110)의 에너지 준위는 전자 수송층(70)의 에너지 준위와 동일하다. 또한, 장벽층(110)은 제 1 발광층(90) 및 제 2 발광층(130)의 두께들에 비하여 얇다. 그러므로, 장벽층(110)에서 적은 양의 빛 또는 열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장벽층(110)으로부터 발생된 빛이 발광층들(90 및 130)로부터 발생되는 빛에 비하여 매우 적으므로, 전체적인 빛의 색은 장벽층(110)을 포함하지 않은 유기 전계 발광 장치로부터 발생되는 빛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수송된 정공들의 일부는 장벽층(110)을 통하여 제 2 발광층(130)으로 이동된다. 반면에, 상기 수송된 전자들의 일부는 장벽층(110)을 통하여 제 1 발광층(90)으로 이동된다. 이는 상기 순방향 전압이 상기 유기물 전계 발광 장치에 인가되었기 때문이다. 즉, 인듐 주석 산화물층(10)이 애노드로 동작하므로 상기 전자들이 인듐 주석 산화물층(10)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금속층(30)이 캐소드로 동작하므로 상기 정공들이 금속층(30)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 2 발광층(130)은 장벽층(110)과 전자 수송층(70)의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제 2 발광층(130)은 상기 수송된 전자들과 장벽층(110)을 통하여 이동된 상기 정공들을 결합하여 제 2 여기자들을 발생시킨다. 이어서, 상기 제 2 여기자들이 소멸하면서 소멸 에너지에 상응하는 빛을 발생시킨다. 상기 발생된 빛은 특정 파장을 가진다.
본 발명의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장치는 에너지 장벽의 역할을 수행하는 장벽층(110)을 포함하므로, 종래의 유기 전계 발광 장치에 비하여 발광 효율이 향상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장벽층(110)이 에너지 장벽의 역할을 수행하므로, 정공들과 전자들이 종래의 유기 전계 발광 장치의 발광층들보다 본 발명의 발광층들(90 및 130) 에 더 오래 머물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유기 전계 발광 장치에서 발생되는 여기자들의 수가 종래의 유기 전계 발광 장치에서 발생되는 여기자들의 수보다 많다. 그러므로, 발광 효율이 향상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준위를 기준으로 유기 전계 발광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유기 전계 발광 장치는 IOT층(200), 금속층(220), 정공 주입층(240), 전자 주입층(260), 발광층들(280 및 320) 및 장벽층(300)을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유기 전계 발광 장치는 장벽층(300)을 제외한 모든 구성 요소들의 기능은 도 3에 도시된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장치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하여는 이하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벽층(300)은 정공 수송층(240)과 동일한 물질일 수 있다. 즉, 장벽층(300)의 에너지 준위는 정공 수송층(240)의 에너지 준위와 동일하다. 또한, 장벽층(300)은 제 1 발광층(280) 및 제 2 발광층(320)의 두께들에 비하여 얇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준위를 기준으로 유기 전계 발광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장치는 ITO층(400), 금속층(420), 정공 수송층(440), 전자 수송층(460), 복수의 발광층들 및 복수의 장벽층들을 포함한다. 상기 발광층들 및 상기 장벽층들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 요소들은 도 3의 유기 전계 발광 장치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겠다.
상기 장벽층들은 상기 발광층들 사이에 각기 위치한다. 즉, 상기 발광층들의 수가 N(3이상의 정수)인 경우, 상기 장벽층들의 수는 N-1개이다. 상기 장벽층들은 에너지 장벽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각 장벽층들은 상기 발광층의 두께보다 작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각 장벽층들은 정공 수송층(440)과 동일한 물질일 수도 있고, 전자 수송층(460)과 동일한 물질일 수도 있다. 물론, 상기 각 장벽층들은 정공 수송층(440) 또는 전자 수송층(460)과 다른 물질일 수도 있으나,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주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한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한 사실일 것이다.
순방향의 전압이 인가된 경우, 정공 수송층(440)으로부터 수송된 정공들은 전자 수송층(460)을 향하여 이동한다. 반면에, 전자 수송층(460)으로부터 수송된 정공들은 정공 수송층(440)을 향하여 이동한다. 상기 정공들과 상기 전자들이 이동을 하는 동안 상기 발광층들에서 결합하여 여기자들을 발생시킨다. 이어서, 상기 여기자들이 소멸하면서 소멸 에너지에 상응하는 빛이 발생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순방향의 전압이 인가된 경우, 정공들 및 전자들이 주입되어 수송된다(S100).
상기 수송된 정공들 및 이동된 전자들이 결합하여 제 1 여기자들을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된 제 1 여기자들이 소멸하면서 제 1 발광층에서 빛을 발생시킨다(S120).
상기 수송된 정공들 및 전자들의 일부가 장벽층을 통하여 이동된다(S140).
상기 이동된 정공들 및 상기 수송된 전자들이 결합하여 제 2 여기자들을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된 제 2 여기자들이 소멸하면서 제 2 발광층에서 빛을 발생시킨다(S160).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순방향의 전압이 인가된 경우, 정공들 및 전자들이 주입되어 수송된다(S200).
상기 수송된 정공들 및 전자들이 N(1이상의 정수)번째 발광층에서 재결합하여 빛을 발생시킨다(S220).
이어서, 상기 수송된 정공들 및 전자들 중 결합되지 않은 정공들 및 전자들이 이동할 장벽층이 있는 지의 여부가 판단된다(S240).
계속하여, 상기 장벽층이 있는 경우, 상기 정공들 및 전자들이 이동하고, 상기 이동된 정공들 및 전자들이 재결합하여 빛을 발생시킨다(S260).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벽층이 에너지 장벽의 역할을 수행하여 발광층에서 더 많은 여기자들을 발생시키므로,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에너지 레벨에 따른 종래의 유기 전계 발광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에너지 준위에 따른 종래의 다른 유기 전계 발광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준위를 기준으로 유기 전계 발광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준위를 기준으로 유기 전계 발광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준위를 기준으로 유기 전계 발광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Claims (15)

  1. 외부로부터 주입된 정공들을 제공하는 정공 수송층;
    외부로부터 주입된 전자들을 제공하는 전자 수송층;
    상기 제공된 정공들 및 전자들을 결합하여 소정의 파장에 상응하는 빛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발광층들; 및
    상기 발광층들 사이에 각기 위치하여 상기 제공된 정공들 및 전자들을 상기 발광층들에 이동시키는 복수의 장벽층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장치에서의 유기물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벽층들은 상기 전자 수송층과 동일한 물질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장치에서의 유기물층.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벽층들은 상기 정공 수송층과 동일한 물질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장치에서의 유기물층.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 수송층의 에너지 레벨이 상기 전자 수송층의 에너지 레벨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장치에서의 유기물층.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들은 각기 호스트(host) 준위와 게스트(guest) 준위에 상응하는 유기물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장치에서의 유기물층.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벽층들은 상기 발광층들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장치에서의 유기물층.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 수송층보다 낮은 에너지 준위를 가지며, 상기 정공들을 상기 정공 수송층에 주입하는 정공 주입층; 및
    상기 전자 수송층보다 낮은 에너지 준위를 가지며, 상기 전자들을 상기 전자 수송층에 주입하는 전자 주입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장치에서의 유기물층.
  8. 외부로부터 주입된 정공들을 제공하는 정공 수송층;
    외부로부터 주입된 전자들을 제공하는 전자 수송층;
    상기 정공 수송층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공된 정공들 및 전자들을 결합하여 제 1 파장에 상응하는 빛을 발생시키는 제 1 발광층;
    상기 제 1 발광층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정공들 및 상기 전자들을 이동시키며, 상기 제 1 발광층의 에너지 준위와 다른 에너지 준위를 가지는 장벽층; 및
    상기 장벽층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장벽층을 통하여 이동된 정공들 및 상기 전자들을 결합하여 제 2 파장에 상응하는 빛을 발생시키는 제 2 발광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장치에서의 유기물층.
  9. 투명한 기판;
    상기 기판의 상부에 형성되며, 정공들을 제공하는 인듐 주석 산화물층;
    전자들을 제공하는 금속층; 및
    상기 인듐 주석 산화물층과 상기 금속층의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공된 정공들을 수송하는 정공 수송층, 상기 제공된 전자들을 수송하는 전자 수송층, 상기 수송된 정공들 및 전자들을 결합하여 소정의 파장에 상응하는 빛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발광층들과 상기 발광층들의 사이에 각기 위치하는 복수의 장벽층들을 가지는 유기물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 수송층은 상기 인듐 주석 산화물층의 에너지 준위와 상기 발광층의 에너지 준위 사이의 에너지 준위를 가지는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수송층은 상기 금속층의 에너지 준위와 상기 발광층의 에너지 준위 사이의 에너지 준위를 가지는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장치.
  12. 정공들을 제 1 발광층에 제공하는 단계;
    전자들을 제 2 발광층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공된 정공들이 상기 제 1 발광층과 상기 제 2 발광층 사이에 위치하는 장벽층을 통하여 상기 제 2 발광층으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제공된 전자들이 상기 장벽층을 통하여 상기 제 1 발광층으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제공된 정공들과 상기 이동된 전자들이 결합하여 제 1 파장에 상응하는 빛을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공된 전자들과 상기 이동된 정공들이 결합하여 제 2 파장에 상응하는 빛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파장은 상기 제 2 파장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2 파장들은 각기 적색에 상응하는 파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방법.
  15. 정공들을 제 1 발광층에 제공하는 단계;
    전자들을 제 2 발광층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공된 정공들이 상기 제 1 발광층과 상기 제 2 발광층의 사이에 위치하는 N(1이상의 정수)개의 제 3 발광층들 및 상기 발광층들 사이에 각기 위치하는 장벽층들을 통하여 이동하는 단계;
    상기 제공된 전자들이 상기 제 3 발광층들 및 상기 장벽층들을 통하여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각 발광층들의 내부에 존재하는 정공들과 전자들이 결합하여 각기 소정의 파장에 상응하는 빛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방법.
KR1020040012902A 2004-02-26 2004-02-26 유기 전계 발광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유기 전계발광 장치 KR200500872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2902A KR20050087213A (ko) 2004-02-26 2004-02-26 유기 전계 발광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유기 전계발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2902A KR20050087213A (ko) 2004-02-26 2004-02-26 유기 전계 발광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유기 전계발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7213A true KR20050087213A (ko) 2005-08-31

Family

ID=37270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2902A KR20050087213A (ko) 2004-02-26 2004-02-26 유기 전계 발광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유기 전계발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8721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221B1 (ko) * 2005-03-22 2007-03-27 주식회사 메디아나전자 복수 발광층이 내부에 삽입된 고성능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774200B1 (ko) * 2006-04-13 2007-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기 el 소자 및 그 제조방법
WO2008020696A1 (en) * 2006-08-14 2008-02-21 Inktec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434358B1 (ko) * 2007-07-24 2014-09-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색 유기발광소자
KR101493408B1 (ko) * 2008-03-11 2015-02-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221B1 (ko) * 2005-03-22 2007-03-27 주식회사 메디아나전자 복수 발광층이 내부에 삽입된 고성능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774200B1 (ko) * 2006-04-13 2007-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기 el 소자 및 그 제조방법
WO2008020696A1 (en) * 2006-08-14 2008-02-21 Inktec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0881455B1 (ko) * 2006-08-14 2009-02-06 주식회사 잉크테크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US8866128B2 (en) 2006-08-14 2014-10-21 Inktec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434358B1 (ko) * 2007-07-24 2014-09-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색 유기발광소자
KR101493408B1 (ko) * 2008-03-11 2015-02-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45445B (zh) 有機發光裝置及其製造方法
KR101202515B1 (ko) 디스플레이 제조 방법
US11507649B2 (en) Optical fingerprint authentication device
KR100768995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60045998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06245003A (ja) 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装置
KR100811996B1 (ko) 유기 전계 발광소자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발광표시장치
JP2010226059A (ja) 有機電界発光素子
KR100864159B1 (ko) 발광 패턴을 갖는 유기발광소자, 이의 제조 방법 및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100952420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127572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2008131029A (ja) 移動度を有するように設計され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トデバイス
KR20050087213A (ko) 유기 전계 발광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유기 전계발광 장치
JP2001176667A (ja) 有機el素子
KR101674250B1 (ko) 고효율 백색 유기발광다이오드
KR102258673B1 (ko) 유기 발광 소자와 그 제조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JP2004342383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ディスプレイ素子
KR101906868B1 (ko) 유기전계 발광소자 제조용 증착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 발광소자 제조방법
KR101744874B1 (ko) 유기발광소자
WO2019104848A1 (zh) 具有空穴传输功能的阳极及有机发光显示器件
KR101291801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KR100981015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WO2023012877A1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20050069727A1 (en) Oled emissive polymer layer
KR100665700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