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6118A - 멀티 공기조화기의 냉매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멀티 공기조화기의 냉매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6118A
KR20050086118A KR1020040012472A KR20040012472A KR20050086118A KR 20050086118 A KR20050086118 A KR 20050086118A KR 1020040012472 A KR1020040012472 A KR 1020040012472A KR 20040012472 A KR20040012472 A KR 20040012472A KR 20050086118 A KR20050086118 A KR 20050086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distributor
unit
outdoor unit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2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귀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2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86118A/ko
Publication of KR20050086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6118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21On-off valves controlled by pulse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하나의 실외기와 다수개의 실내기간의 연결을 분배기 제어시스템을 통해 실현 가능하도록 설계하는 단배관 방식을 적용하고자 한 것으로, 하나의 실외기에 다수개의 실내기가 연결된 멀티 공기조화기에서, 상기 실외기 및 다수개의 실내기와 통신이 가능하고, 상기 실외기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다수개의 실내기에 냉매 공급을 제어하는 분배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분배기는 상기 다수개의 실내기로 공급되는 냉매량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팽창변과, 상기 실외기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전자 팽창변의 개/폐를 제어하는 분배기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멀티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실외기의 실내기를 연결하는 종래의 다배관 방식에서 실외기와 다수개의 실내기 사이에 분배기 제어시스템을 통하여 단배관 방식으로 제어가 가능함으로써 다수의 연결배관을 적용했던 종래와는 달리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을뿐더러, 실외기와 실내기간의 간격이 수M 이상의 길이로 떨어져 있는 관계로, 그만큼의 연결배관을 증가시키는 등의 설치성이 나쁜 것을, 분배기를 사용함으로써 실외기와 가까운 쪽에 분배기를 장착하고, 그로 인해 연결배관이 짧아짐으로써 설치성을 편리하게 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멀티 공기조화기의 냉매 제어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a) refrigerant of multi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실외기에 다수개의 실내기가 연결되는 멀티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실외기에서 실내기 각실의 냉매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멀티 공기조화기의 냉매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용도, 목적에 따라 가장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가전기기이다. 이를테면, 여름에는 실내를 시원한 냉방상태로, 겨울에는 실내를 따뜻한 난방상태로 조절하고, 또한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며, 실내의 공기를 쾌적한 청정상태로 조절한다. 이렇게 공기조화기와 같은 생활의 편의 제품이 점차적으로 확대, 사용되면서 소비자들은 높은 에너지 사용 효율과, 성능향상 및 사용에 편리한 제품을 요구하게 되었다.
이러한 공기 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를 각각 분리된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내기와 실외기를 하나의 장치로 결합된 일체형 공기조화기와, 벽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벽걸이형 공기 조화기 및 액자형 공기조화기와, 거실에 세울 수 있도록 구성된 슬림형 공기조화기와, 하나의 실내기를 구동시킬 수 있는 용량으로 구성되어 가정집과 같이 좁은 장소에서 이용되도록 구성된 싱글형 공기조화기와, 회사 또는 음식점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매우 큰 용량으로 구성된 중대형 공기조화기와, 다수개의 실내기를 충분히 구동시킬 수 있는 용량으로 구성된 멀티 공기 조화기 등으로 구분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실내에 설치되어 공조공간 내부로 온풍 또는 냉풍을 공급하는 실내기와, 상기 실내기에서 충분한 열교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냉매를 압축, 팽창 등을 수행하는 실외기로 구성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멀티 공기조화기는 학교와 같이 분리된 다수개의 공조공간을 구비하고 있는 장소에서 각 공조공간 내부로 개별적으로 충분한 온풍 또는 냉풍이 공급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실내기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외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멀티 공기조화기는 상기 다수개의 실내기가 모두 100%의 출력상태로 작동되더라도 상기 다수개의 실내기를 모두 구동시킬 수 있는 실외기의 용량을 구비해야만 한다. 즉, 상기 멀티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다수개의 실내기가 모두 100% 출력상태로 작동될 때, 이에 비례하는 용량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냉방 사이클을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난방 사이클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일반적인 공기조화기는 냉매의 압축 및 응축, 팽창, 증발과정을 거쳐 생성된 냉기를 실내로 토출시켜 실내 온도를 저하시키는 기기로서, 실외측에 설치되는 실외기와, 실내측에 설치되는 실내기로 구분되며, 상기 실외기는 압축기(10) 및 어큐뮬레이터(20), 사방밸브(11), 실외 열교환기(12), 실외팬(13)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실내기는 팽창밸브(14) 및 실내 열교환기(15), 실내팬(16)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조화기의 경우, 다수의 실내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 시킬 수 있도록 하나의 실외기에 다수의 실내기를 연결한 멀티 형태로 구성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의 냉방과정을 살펴보면,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 열교환기(15)로부터 압축기(10)로 유입된 저온 저압의 기상냉매는 압축기(10)의 가압작용을 통해 고온 고압의 기상상태로 가압됨과 동시에, 냉방 사이클이 이루어지도록 절환된 사방밸브(11)를 통해 실외 열교환기(12)로 토출되게 되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12)로 토출된 냉매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12)의 내부를 유동하면서 실외팬(13) 구동을 통해 실외기 내로 흡입된 외부공기와 열교환을 이뤄 상온 고압의 액상상태로 상변화를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 변화된 냉매는 팽창밸브(14)로 토출됨과 동시에, 상기 팽창밸브(14)의 내부를 유동하면서 증발작용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저온 저압의 액상상태로 감압되어 실내 열교환기(15)로 토출되게 되고, 상기 실내 열교환기(15)로 토출된 냉매는 상기 실내 열교환기(15)의 주위 공기와 열교환을 이뤄 저온 저압의 기상상태로 상변화를 이룬 후, 사방밸브(11)를 통해 다시 압축기(10)로 유입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실내 열교환기(15)에서 팽창밸브(14)를 통해 감압된 냉매와 열교환된 주위 공기는 상기 냉매에 열을 빼앗기면서 차가운 냉기로 변화되고, 상기 냉기는 실내팬(16)을 통해 실내로 토출되면서 에어컨의 냉방과정이 종료되게 된다.
또한 에어컨의 난방과정은, 전술한 냉방과정과 반대의 사이클을 이루는 것으로서,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외 열교환기(12)로부터 압축기(10)로 유입된 저온 저압의 기상냉매는 압축기(10)의 가압작용을 통해 고온 고압의 기상상태로 가압됨과 동시에, 난방 사이클이 이루어지도록 절환된 사방밸브(11)를 통해 실내 열교환기(15)로 토출되어 실내 열교환기(15)의 주위 공기와 열교환을 통해 상온 고압의 액상상태로 상변화를 이룬 후 팽창밸브(14)로 토출되게 되는데, 이 때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와 열교환된 주위 공기는 상기 냉매 열에 의해 더운 공기로 변화됨과 동시에, 실내팬(16)을 통해 실내로 토출되어 실내의 온도를 상승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팽창밸브(14)로 토출된 냉매는 실외 열교환기(12)에서 증발작용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저온 저압의 액상상태로 감압된 다음 실외 열교환기(12)로 토출되게 되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12)로 토출된 냉매는 실외기 내로 유입된 외부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저온 저압의 기상상태로 상변화를 이룬 후, 사방밸브(11)를 통해 다시 압축기(10)로 유입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에어컨에 있어, 실내기의 부하 용량에 따라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압축기(10)를 실외기에 설치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실외기 내에 하나 이상의 압축기(10)가 설치된 상태에서 실내기의 가변 부하(냉방/난방 부하)에 따라 하나 이상의 압축기(10) 즉, 복수의 압축기(10)를 동시에 운전시킬 경우, 압축기(10) 내에 있던 오일이 가압 된 냉매와 함께 토출되어 사이클을 이룬 다음, 기액 분리기인 어큐뮬레이터(20)를 거쳐 각 압축기(10)로 재 흡입되게 되는데, 이 때 오일의 경우 냉매와 함께 압축기(10)로 재 흡입되는 과정에서 용량이 큰 압축기(10) 쪽으로 많은 양이 유입되게 되고, 상대적으로 용량이 작은 압축기(10) 쪽으로는 적은 양이 유입되어 오일이 부족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공기 조화기는 기능이나 유닛의 구성에 따라 여러 종류로 구분되어지는데, 기능 면에서는 냉방전용, 냉방 및 제습전용, 냉방 및 난방겸용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유닛의 구성면에서는 냉방과 방열 기능을 일체화하여 창문 등에 설치되는 일체형과 실내 측에는 냉각장치를 실외 측에는 방열 및 압축장치를 각각 분리시켜 설치하는 분리형으로 구분되어진다.
상기한 분리형 에어컨에는 하나의 실외기에 두 대 이상의 실내기를 연결하여 다수의 실내공간을 각각 공기 조화시키는 멀티도 포함되어진다.
또한, 상기 멀티 공기조화기에서는 냉방용량이 자동 제어됨으로써 실내온도가 설정치에 가깝게 유지되도록 하는 냉방용량 조절시스템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러한 냉방용량 조절시스템은 정속 압축기 한 대를 사용하는 단순 제어식과, 가변 압축기를 사용한 가변 제어식으로 구분된다.
상기 단순 제어식은 설정온도를 기준으로 실내온도가 제한범위(대략 1℃) 이상 낮아지면, 압축기가 멈추게 되고, 실내온도가 제한범위(대략 1℃) 이상 높아지면 압축기가 재가동 되는 방식으로서, 이에 따르면 실내온도가 설정온도를 중심으로 상하 제한범위(약 2℃) 만큼 오르내리게 되므로, 사용자가 쾌적함을 느낄 수 없으며, 압축기가 반복적으로 가동/정지됨으로써 전력 소모량이 많아지게 된다.
또한, 최근에는 컨버터(Converter) 및 인버터(Inverter)를 공기조화기에 장착하여 압축기의 회전수를 제어함으로써 공기조화기의 냉방능력을 가변 시키는 인버터형 공기조화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컨버터는 상용교류전원(통상 220V/60㎐)을 입력받아 직류로 변환하여 상용의 주파수에서 직류(DC)로 정류시키는 것이며, 인버터는 이 직류를 원하는 교류의 전압/주파수로 재 변환시키는 장치를 말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멀티 공기조화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멀티 공기조화기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멀티 공기조화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멀티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멀티 공기 조화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실외기에 두 대 이상의 실내기가 연결된 것이다. 즉, 상기 종래의 멀티 공기 조화기는 하나의 실외기(100)에 제 1 및 2 실내기(210)(220)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 1 및 2 실내기(210)(220) 측으로 각각 공급되는 냉매를 개폐하기 위한 유로절환밸브(도시생략)가 설치되며, 상기 유로절환밸브(도시생략)는 후술되는 제어부에 의해 개폐 동작이 제어된다.
보통, 멀티 공기 조화기는 다수개의 실내기가 모두 100% 출력상태로 작동되더라도 이에 대응되는 용량의 실내기가 구비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제시되는 싱글형 공기 조화기는 비록 제 1 및 2 실내기(210)(220)가 하나의 실외기(100)에 연결되지만, 상기 실외기(100)는 하나의 실내기가 100% 용량으로 작동될 때 이에 대응되는 용량으로 구성되어 진다.
따라서, 상기 제 1 및 2 실내기(210)(220)가 100% 용량으로 모두 작동되는 것을 불가능하지만, 상기 제 1 및 2 실내기(210)(220)가 100% 용량으로 선택적으로 작동되거나, 일부의 용량으로 동시에 작동되는 것은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공기 조화기는 상기 실외기에 대응되는 하나의 실내기만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선택 사항에 의해 별도의 공간에 추가적으로 하나의 실내기가 더 설치되어 시스템을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멀티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제어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용전원을 입력받아 정류하는 제 1 PCB(100)와, 상기 제 1 PCB(100)를 통해 정류된 전원을 입력받아 냉방용량에 따라 압축기(140)에 구동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 2 PCB(120)와, 상기 제 1 PCB(11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제 1 및 제 2 실내기(210, 220)와의 통신 결과에 따라 냉방능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 3 PCB(130)로 구성된다. 이때 압축기(140)는 AC 또는 DC 구동형 인버터 압축기이다.
상기 제 1 PCB(110)는 상용전원을 입력받는 전원 입력부(111)와, 상기 전원 입력부(111)를 통해 입력되는 상용전원에서 노이즈를 필터링 하기 위한 노이즈 필터(112)로 구성된다.
상기 제 2 PCB(120)는 상기 제 1 PCB(110)를 통해 출력되는 전원을 입력받아 역률을 보상하기 위한 컨버터부(121)와, 상기 컨버터부(121)에서 역률이 보상된 전원을 입력받아 상기 실내기(210)(220)의 냉방용량에 따라 상기 압축기(140)를 차등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인버터부(122)로 구성된다.
상기 제 3 PCB(130)는 각종 조건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부(131)와, 상기 감지부(131)를 통해 감지된 조건 및 사용자 요구에 따라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42)과, 상기 마이컴(42)의 제어신호에 따라 부하를 구동시키기 위한 부하 구동부(134)와, 상기 제 1 및 제 2 실내기(210)(22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통신 제어부(133)와, 상기 마이컴(42)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컨버터(121)에서 역률이 보상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PSC 제어부(135)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멀티 공기조화기의 제어장치 동작을 설명하면, 상기 제 1 및 제 2 실내기(210)(220)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마이컴(42)은 상기 감지부(131)를 통해 감지되는 각종 조건 및 동작되는 실내기의 냉방능력에 따라 상기 압축기(140)의 압축용량을 세분화하여 구동시킴으로써 실내온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멀티 공기 조화기는 다배관 방식으로 다수개의 실내기에 연결됨으로써 실외기 제조시 제작이 난이하고, 통상 실내외간이 소정거리 이상이기 때문에, 그 연결배관이 길어지게 되어 제조단가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실내기 및 실외기간의 전원 및 통신선의 길이가 제약적이므로 설치상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하나의 실외기와 다수개의 실내기간의 연결을 단배관 방식으로 제어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공기 조화기는 분배기 제어 시스템을 통해 실현 가능하도록 설계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공기조화기는 하나의 실외기에 다수개의 실내기가 연결된 멀티 공기조화기에서, 상기 실외기 및 다수개의 실내기와 통신이 가능하고, 상기 실외기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다수개의 실내기에 냉매 공급을 제어하는 분배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분배기는 상기 다수개의 실내기로 공급되는 냉매량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팽창변과, 상기 실외기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전자 팽창변의 개/폐를 제어하는 분배기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분배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개의 실내기와 통신하기 위한 실내기 통신 제어부와, 상기 실외기와 통신하기 위한 실외기 통신 제어부와, 상기 실내기 통신제어부 및 실외기 통신 제어부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분배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분배기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 팽창변의 개/폐를 제어하는 전자팽창변 제어부와,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분배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전자 팽창변은 상기 다수개의 실내기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장착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멀티 공기조화기의 냉매 제어장치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공기조화기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공기조화기의 냉매 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공기조화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실외기에 두 대 이상의 실내기가 연결된 것이 종래와 비슷해 보이나, 본 발명은 분배기(200)를 통해 다수의 실내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종래의 멀티 공기조화기는 하나의 실외기(100)에 다수개의 제 1 내지 제 6 실내기(501∼506)가 직접 연결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제 1 내지 제 6 실내기(501∼506)를 설치장소에 따라 효율적으로 냉매를 개폐하기 위해 상기 제1 내지 제 6 실내기(501∼506) 측으로 각각 공급되는 냉매를 개폐하기 위한 분배기(400)가 상기 실외기(300)와 제 1 내지 제 6 실내기(501∼506) 사이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분배기(400)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실내기(501∼503)의 냉매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제 1 분배기(401)와, 상기 제 4 내지 제 6 실내기(504∼506)의 냉매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제 2 분배기(40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분배기(401) 및 제 2 분배기(402)에 연결되는 실내기의 대수는 설치거리나 위치에 따라서 가변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분배기(400)는 상기 실외기(100)로부터 전송되는 명령에 따라 상기 다수개의 실내기(501∼506)의 냉매를 제어할 수 있도록 분배기 제어부(4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공기조화기의 냉매 제어장치는 상기 도 6에 도시된 제 1 내지 제 6 실내기(510∼506)에서 제 1 내지 제 3 실내기(501∼503)만이 분배기에 연결된 형태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외기 제어부(310)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다수개의 실내기(501∼506)로 분배되는 냉매량을 조절하기 위한 분배기 제어부(410)와, 상기 분배기 제어부(4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다수개의 실내기(501∼506)로 공급되는 냉매량을 제어하는 전자 팽창변(417)으로 구성된다.
상기 분배기 제어부(410)는 상기 실외기 제어부(31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를 전송받아 통신하는 실외기 통신 제어부(411)와, 상기 분배기(400) 및 다수개의 실내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412)와, 상기 분배기(40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413)와, 상기 다수개의 실내기(501∼503)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실내기 통신 제어부(415)와, 상기 실외기 통신 제어부(415) 및 실내기 통신 제어부(415)와의 통신에 따라 상기 전자 팽창변(417)의 동작을 제어하는 분배기 마이컴(414)과, 상기 분배기 마이컴(414)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 팽창변(417)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는 전자 팽창변 제어부(416)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실내기 통신 제어부(415)는 상기 다수개의 실내기 중 제 1 실내기(501)과 통신하기 위한 제 1 실내기 통신 제어부(415a)와, 제 2 실내기(502)와 통신하기 위한 제 2 실내기 통신 제어부(415b)와, 상기 제 3 실내기(503)와 통신하기 위한 제 3 실내기 통신 제어부(415c) 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자팽창변 제어부(416)는 상기 제 1 실내기(501)에 공급되는 냉매량을 제어하기 위한 제 1 전자팽창변(LEV)(417a)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 1 LEV 제어부(416a)와, 상기 제 2 실내기(502)에 공급되는 냉매량을 제어하기 위한 제 2 전자팽창변(LEV)(417b)에 공급되는 냉매량을 제어하기 위한 제 2 LEV 제어부(416b)와, 상기 제 3 실내기(503)에 공급되는 냉매량을 제어하기 위한 제 3 LEV(417c)에 공급되는 냉매량을 제어하기 위한 제 3 LEV 제어부(416c)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공기조화기의 냉매 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파워 온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다수개의 실내기 중 해당 실내기 및 상기 실외기(300)가 구동되며, 상기 실외기(300)가 구동됨에 따라 상기 분배기(400)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실내기(500)로 공급되는 냉매 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함에 따라 상기 전자팽창변(417)의 개/폐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 실외기(300)와 분배기(400)사이에 단배관을 연결하고, 상기 실외기(300) 및 분배기(400)를 통신하여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분배기(400)와 다수개의 실내기(500)가 통신함에 따라 분배기 제어시스템을 통해 냉매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실외기의 실외기 제어부(310)와 상기 분배기 제어부(410)의 실외기 통신제어부(411)와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분배기 제어부(410)의 실내기 통신 제어부(415)와 상기 다수개의 실내기(501∼503)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분배기 제어부(410)는 상기 실외기 통신 제어부(411)와 상기 분배기 마이컴(414)간의 통신을 통해, 상기 전자팽창변(417)의 제 1 내지 제 3 LEV(417a∼417c)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명령을 전달받으며, 상기 분배기 마이컴(414)은 또한 상기 제 1 내지 제 3 실내기 통신 제어부(415a∼415c)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제 1 내지 제 3 실내기(501)(502)(503)의 냉방 능력에 따라 상기 전자팽창변 제어부(416)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전자팽창변 제어부(416)는 상기 분배기 마이컴(414)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내지 제 3 LEV 제어부(416a∼416c)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LEV(417a∼417c)의 개/폐를 선택적으로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공기 조화기는 실외기와 실내기간의 연결을 분배기 제어 시스템을 통하여 설계함으로써, 상기 분배기 제어부(410)에서 상기 실외기 제어부(310)로부터 제 1 내지 제 3 LEV(417a∼417c) 구동 명령을 입력받아, 분배기 제어부(410)에서 상기 제 1 내지 제 3 실내기(501∼503)에 공급되는 냉매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공기 조화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멀티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실외기의 실내기를 연결하는 종래의 다배관 방식에서 실외기와 다수개의 실내기 사이에 분배기 제어시스템을 통하여 단배관 방식으로 제어가 가능하다.
둘째, 단배관 방식으로 제어함에 따라 다수의 연결배관을 적용했던 종래와는 달리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다.
셋째, 실외기와 실내기간의 간격이 수M 이상의 길이로 떨어져 있는 관계로, 그만큼의 연결배관을 증가시키는 등의 설치성이 나쁜 것을, 분배기를 사용함으로써 실외기와 가까운 쪽에 분배기를 장착하고, 그로 인해 연결배관이 짧아짐으로써 설치성이 편리하다.
도 1은 일반적인 싱글 공기조화기의 냉방 사이클을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일반적인 싱글 공기조화기의 난방 사이클을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멀티 공기조화기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멀티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실내기 연결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멀티 공기조화기를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공기조화기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공기조화기의 냉매 제어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 실외기 310 : 실외기 제어부
400 : 분배기 410 : 제 1 분배기
411 : 실외기 통신 제어부
412 : 전원부 413 : 디스플레이부
414 : 분배기 마이컴 415 : 실내기 통신 제어부
416 : 전자팽창변 제어부
417 : 전자팽창변
420 : 제 2 분배기 500 : 실내기
501∼506 : 제 1 내지 제 6 실내기

Claims (4)

  1. 하나의 실외기에 다수개의 실내기가 연결된 멀티 공기조화기에서,
    상기 실외기 및 다수개의 실내기와 통신이 가능하고, 상기 실외기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다수개의 실내기에 냉매 공급을 제어하는 분배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분배기는 상기 다수개의 실내기로 공급되는 냉매량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팽창변과, 상기 실외기와의 통신을 통해 상기 전자 팽창변의 개/폐를 제어하는 분배기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공기조화기의 냉매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개의 실내기와 통신하기 위한 실내기 통신 제어부와,
    상기 실외기와 통신하기 위한 실외기 통신 제어부와,
    상기 실내기 통신제어부 및 실외기 통신 제어부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분배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분배기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 팽창변의 개/폐를 제어하는 전자팽창변 제어부와,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분배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공기조화기의 냉매 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팽창변은 상기 다수개의 실내기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공기조화기의 냉매 제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는 상기 다수개의 실내기 개수 및 실내기 설치위치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복수개로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공기조화기의 냉매 제어장치.
KR1020040012472A 2004-02-25 2004-02-25 멀티 공기조화기의 냉매 제어장치 KR200500861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2472A KR20050086118A (ko) 2004-02-25 2004-02-25 멀티 공기조화기의 냉매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2472A KR20050086118A (ko) 2004-02-25 2004-02-25 멀티 공기조화기의 냉매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6118A true KR20050086118A (ko) 2005-08-30

Family

ID=37270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2472A KR20050086118A (ko) 2004-02-25 2004-02-25 멀티 공기조화기의 냉매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8611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32737B1 (en) Air-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iving thereof
CN1325850C (zh) 空气调节器
EP1598606A2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KR101045451B1 (ko) 멀티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619733B1 (ko) 유니터리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방법
JP2006145192A (ja) 空気調和機及びその運転制御方法
KR101151321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방법
KR101064412B1 (ko) 공기조화기의 냉매누설 감지장치 및 방법
KR101064372B1 (ko) 멀티 공기조화기의 냉매 제어장치
KR20090079078A (ko)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1075299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19163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3326999B2 (ja) 多室空気調和機
KR20050086118A (ko) 멀티 공기조화기의 냉매 제어장치
KR20090131158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02771A (ko)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
JPH0285647A (ja) 空気調和機
KR20050075062A (ko) 멀티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50074664A (ko) 멀티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135849B1 (ko)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 제어장치 및 방법
JP3333955B2 (ja) 多室空気調和機
KR20050078534A (ko) 멀티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40042346A (ko) 공기조화기
KR20240042306A (ko) 공기조화기
KR20060005687A (ko) 공기조화기의 예약시간 표시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