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6030A - 전자식 도어록의 잠금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식 도어록의 잠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6030A
KR20050086030A KR1020040012352A KR20040012352A KR20050086030A KR 20050086030 A KR20050086030 A KR 20050086030A KR 1020040012352 A KR1020040012352 A KR 1020040012352A KR 20040012352 A KR20040012352 A KR 20040012352A KR 20050086030 A KR20050086030 A KR 20050086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rod
plate
key
locking devic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2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8634B1 (ko
Inventor
윤상열
Original Assignee
윤상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상열 filed Critical 윤상열
Priority to KR1020040012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8634B1/ko
Publication of KR20050086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6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8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86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9/0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 B65H59/38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by regulating speed of driving mechanism of unwinding, paying-out, forwarding, winding, or depositing devices, e.g. automatically in response to variations in tension
    • B65H59/384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by regulating speed of driving mechanism of unwinding, paying-out, forwarding, winding, or depositing devices, e.g. automatically in response to variations in tension using electron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20Belt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1/00Forward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1/02Rotary devices, e.g. with helical forwarding surfaces
    • B65H51/04Rollers, pulleys, capstans, or intermeshing rotary elements
    • B65H51/06Rollers, pulleys, capstans, or intermeshing rotary elements arranged to operate sing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28Traversing devices; Package-shaping arrangements
    • B65H54/2806Traversing devices driven by c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40Arrangements for rotating packages
    • B65H54/44Arrangements for rotating packages in which the package, core, or former is engaged with, or secured to, a driven member rotatable about the axis of the package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식 도어록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조가 단순하여 제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고장이 적으며, 비상시 잠금의 해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전자식 도어록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전자식 도어록의 잠금 장치에 있어서, 판체 형상으로 다수의 핀고정공이 형성된 하우징과 ; 상기 하우징의 측방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키봉과, 판체 형상으로써 상기 키봉의 일측에 설치되고 일측에 다수의 기어치가 형성되며 키봉을 측방으로 이송시키는 키봉 이송판으로 구성된 키뭉치와 ; 상기 키봉 이송판에 형성된 기어치에 치합되는 기어와, 상기 기어의 축을 회전시키는 기어들이 서로 맞물려 설치된 기어박스와, 상기 기어박스내의 기어를 구동시키는 모터로 구성된 키뭉치 이송수단 및 ; 상기 키뭉치 이송수단을 구성하는 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모터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서 키봉을 작동시키는 제어기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전자식 도어록의 잠금 장치{A locking-equipment of electronic door lock}
본 발명은 전자식 도어록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조가 단순하여 제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고장이 적으며, 비상시 잠금의 해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전자식 도어록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계는 물론 전자 기술의 발달에 따라 많은 종류의 잠금 장치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자식 디지탈 도어록은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에 많은 비용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고장이 잦아 사용자에게 많은 불편을 주고 있다.
더욱이 기존의 전자식 디지탈 도어록은 구동 방법이 모두 "동력분리형"으로서 전자제어에 의해 외부의 간접 동력을 전달받아 잠금 장치에 의해 구동되므로 제품 구조가 취약하여 고장 및 도난사고 발생원인 되었고, 또한 화재로 전자 회로가 손상되면 문개방시 레버 및 회전형으로 제작되어 오동작으로 인한 인명과 재산 피해를 가중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비상시 실내의 사용자가 용이하게 도어를 강제 개방할 수 있도록 한 전자식 도어록 잠금장치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식 도어록의 잠금 장치에 있어서, 판체 형상으로 다수의 핀고정공이 형성된 하우징과 ; 상기 하우징의 측방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키봉과, 판체 형상으로써 상기 키봉의 일측에 설치되고 일측에 다수의 기어치가 형성되며 키봉을 측방으로 이송시키는 키봉 이송판으로 구성된 키뭉치와 ; 상기 키봉 이송판에 형성된 기어치에 치합되는 기어와, 상기 기어의 축을 회전시키는 기어들이 서로 맞물려 설치된 기어박스와, 상기 기어박스내의 기어를 구동시키는 모터로 구성된 키뭉치 이송수단 및 ; 상기 키뭉치 이송수단을 구성하는 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모터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서 키봉을 작동시키는 제어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도어록의 잠금 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잠금 장치의 일측에 보조 잠금 장치를 더 설치함에 의해 그 목적을 이룰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의 잠금 장치의 일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 잠금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에서 도시한 핸들 결합부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 잠금장치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 잠금장치를 구성하는 키뭉치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 잠금장치를 구성하는 키뭉치 이동수단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 잠금장치를 구성하는 보조 키뭉치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 잠금장치를 구성하는 종동판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 잠금장치을 구성하는 구동판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 잠금장치을 구성하는 비틀림 스프링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 잠금장치를 구성하는 핸들 및 비상 버튼을 도시한 부분단면 조립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 잠금장치를 구성하는 핸들 고정봉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 잠금장치를 구성하는 고정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 잠금장치는 도어 프레임(미도시)에 형성된 키홈에 삽입되는 키봉(21)을 갖는 키뭉치(20)와 상기 키뭉치(20)를 측방으로 이동시키는 키뭉치 이동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키뭉치(2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기둥 형상의 키봉(21)과 상기 키봉의 일측에 형성된 연결편(21a)에 연결된 키봉 이송판(22)으로 구성된다.
상기 키봉(21)은 도시하고 상기한 바와 같이 원기둥의 형상을 갖으나 그 단부 즉, 도어 프레임에 형성?? 키홈에 삽입되는 단부는 모따기를 하여 키홈에 용이하게 출입될 수 있게 하였으며, 상기 키봉 이송판(22)은 그 양 가장자리가 절곡되어 ""형상으로 형성하여 잘 굽혀지지 않게 하였으며, 굽혀진 부분에는 기어치(23)를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키봉 이송판(22)의 키봉(21)과 결합되는 부분은 도시한 바와 같이 상방으로 절곡하여 그 높이가 상기 키봉(21)의 굵기의 반정도가 되게 한다.
상기 키봉 이송판(22)에 형성된 기어치(23)에는 키뭉치 이동수단(30)과 치합된다.
상기 키뭉치 이동수단(3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33)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박스(32)와, 상기 기어박스(32)에 의해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2개의 기어(31)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잠금장치(100)는 위치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키봉(21)의 위치에 따라 제어기(미도시)가 구동되어 통해 모터(33)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함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제어기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수단으로 이는 통상적으로 전자식 도어록에 사용되는 것과 유사하게 사용자의 비밀번호에 의해 동작한다.
즉, 모터(33)를 정회전시키면 기어(31)가 회전하여 키봉 이송판(22)에 형성된 기어치(23)를 밀어 키봉 이송판(22)의 일측 단부에 설치된 키봉(21)이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하여 도어 프레임에 형성된 키홈에 삽입되어 잠기고, 모터(33)를 역회전시키면 기어(31)가 역회전하여 키봉 이송판(22)에 형성된 기어치(23)를 기어박스(32)측으로 당겨 키봉 이송판(22)의 일측 단부에 설치된 키봉(21)이 하우징의 내부로 들어가 도어 프레임에 형성된 키홈으로부터 키봉(21)이 이격되어 해제된다.
열림과 닫힘 인식은 키봉 이송판(22)의 형성된 돌기(24)와 위치 감지제어판에 의해 감지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잠금장치(100)의 일측에는 보조 잠금 장치(20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잠금장치(2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잠금 장치(100)이 구성된 하우징(10)의 내부에 형성되며, 보조 키뭉치(40), 종동판(50), 구동판(60) 및 핸들 뭉치(89)로 구성된다.
상기 보조 키뭉치(40)는 상기한 키뭉치(20)와 유사한 구조를 갖으나 그 차이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보조 키뭉치(4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 키봉(41)과, 보조키봉 이송판(42)으로 구성된다.
상기 보조 키봉(41)은 보조키봉 이송판(42)에 나사 등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보조키봉 이송판(42)은 상기한 키봉 이송판(22)과 유사하게 그 양 가장자리가 절곡되어 굽혀지는 것을 방지하였다.
상기 보조키봉 이송판(42)은 그 중단에 종동판 걸림편(42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키봉(41)의 반대측 단부에는 구동판 걸림편(42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종동판 걸림편(42a)과 보조키봉(41) 사이에는 길게 고정핀 이동공(42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핀 이동공(42c)은 보조키봉 이송판(42)을 하우징(10)에 고정시키되 측방으로 이동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즉, 보조키봉 이송판(42)은 측방으로 이동될 수 있어야 그 단부에 설치된 보조키봉(41)이 하우징(10)으로부터 출입될 수 있음으로 고정핀(11)에 의해 고정되데 고정핀(11)이 지날 수 있는 통로가 요구됨으로 상기와 같이 길게 고정핀 이동공(42c)을 형성하였다.
상기 고정핀(11)에는 코일스프링(43)의 일측 단부가 고정되고, 이 코일 스프링(43)의 타측 단부는 고정핀 이동공(42c) 단부에 형성된 걸림편 즉, 구동판 걸림편(42b)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코일 스프링(43)이 고정핀(11)과 구동판 걸림편(42b) 사이에 설치됨으로서 보조키봉 이송판(42)은 항상 보조키봉(41)측으로 당겨진 상태 즉, 보조키봉(41)이 하우징의 단부에 형성된 구멍을 통과하여 바깥쪽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키봉(41)은 도시한 바와 같이, 문이 닫히는 방향으로 경사면을 형성하여 후술하는 핸들(82)을 작동시키지 않아도 문이 용이하게 닫힐 수 있게 하였다.
상기와 같이 항상 하우징(10)의 단부로 돌출된 보조키봉(41)을 하우징의 내부로 밀어 넣기 위한 수단들이 상기한 종동판(50)과 구동판(60 및 핸들 뭉치(89)이다.
상기 종동판(50)은 판체 형상으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중앙을 관통하여 핀 관통공(51)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는 상기한 보조키봉 이송판(42)의 중단에 형성된 종동판 걸림편(42a)에 걸리는 이송판 걸림부(5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송판 걸림부(52)와 소정의 각을 갖고 구동판 걸림부(5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송판 걸림부(52)는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동판 걸림편(42a)의 좌측에 위치하여 보조키봉 이송판(42)을 우측으로 밀수 있게 설치된다.
상기 종동판(50)의 구동판 걸림부(53)는 구동판(60)의 종동판 걸림부(63)와 대면되어 있다.
상기 구동판(60)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체 형상으로 그 중앙에는 각을 갖는 핀 고정공(6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종동판 걸림부(63)와 소정의 각을 갖고 이송판 걸림부(62)가 형성되어 있다.
즉, 도 1에 도시한바와 같이 상기 종동판(50)과 구동판(60)은 서로 다른 것의 걸림부(53, 63)가 서로 대면되고 설치되고 구동판(60)의 이송판 걸림부(63)는 보조키봉 이송판(42)의 단부에 형성된 구동판 걸림편(42b)에 걸린 상태가 되게 설치된다.
상기 구동판(60)의 중앙에 관통된 핀 고정공(61)에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성된 각형 고정핀(13)이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각형 고정핀(13)은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외주면이 각을 갖는 관체 형상으로 그 중앙에는 또 다른 각을 갖는 들 고정봉 삽입구(13b)가 형성되어 있고 그 양단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하우징(10)에 형성된 핀 고정구(13a)에 삽입 설치되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각형 고정핀(13)은 하우징(10)에 그 양단이 설치되어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각형 고정핀(13)의 회전에 의해 구동판(60)이 회전되어 종동판을 회전시키고 종동판(50)의 회전은 구동판(50)에 형성된 이송판 걸림부(52)가 보조키봉 이송판(42)의 중단에 형성된 종동판 걸림편(42a)을 밀어 보조키봉 이송판(42)이 우측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보조키봉(41)의 단부가 하우징(10)의 단부로 출입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각형 고정핀(13)을 회전시키는 수단으로 핸들 고정봉(15)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핸들 고정봉(15)의 단부 즉, 하우징의 외부를 향한 단부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 뭉치(8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핸들 뭉치(89)는 핸들 고정구(80)와 비상버튼(90)으로 구성된다.
상기 핸들 고정구(80)는 일측이 막힌 원통형 통체 형상으로 막힌 면의 중앙에는 상기한 핸들 고정봉(15)이 삽입되는 핸들 고정봉 관통공(81)이 형성되어 있고 이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부분에 핀 관통공(80a, 90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핸들 고정봉 관통공(81)은 상기한 바와 같이 핸들 고정봉(15)이 끼워지는 구멍으로 핸들 고정봉(15)의 외주면과 동일한 각을 갖게 형성한다.
상기 핸들 고정구(80)의 외주면에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8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핸들(82)을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한 바와 같이 핸들 고정봉(15)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구동판(60) 및 종동판(50)이 회전하고 이에 따라 보조키봉 이송판(42)이 이동하여 보조키봉(41)을 작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핸들 고정구(80)의 중앙에는 스프링(93)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비상버튼(90)이 더 설치된다.
상기 비상버튼(90)은 화재 등으로 인해 도어를 개방하여야 하나 도어록을 작동시키기 위한 급박한 상황에서 강제도 문을 개방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핀(91, 92)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비상버튼(90)에 설치된 핀(91, 92)들 중 하나 즉, 버튼 고정핀(91)은 비상버튼(90)을 핸들 고정구(80)의 내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2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길이가 짧아 설치되었을 때 그 단부가 하우징(10)의 외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가 되고, 기어박스 이동핀(92)은 그 길이가 길어 하우징(10)에 형성된 핀관통공(15a)을 통과하되 후술하는 비틀림 스프링(70)에 못미치는 정도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비상버튼(90)은 비상시 강한 힘으로 누르면 도 2의 (나)에 도시한 도와 같이 기어박스 이동핀(92)의 단부가 비틀림 스프링(70)을 지나 비틀림 스프링(70)의 일측에 대면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핸들을 시계방향(도 1의 도시 상태에서)으로 회전시키면 비틀림 스프링(70)의 기어박스 걸림부(73)가 시계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기어박스가 우측으로 이동하여 키봉(21)이 이동하여 잠금이 해제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비틀림 스프링(70)은 도 9에 도시하였다.
상기 비틀림 스프링(7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판(60)의 하부에 설치되며, 그 일측의 기어박스 걸림부(73)은 기어박스의 저면에 형성된 스프링 걸림홈(34)에 삽입되고, 반대측의 핀 걸림부(74)는 하우징(10)에 형성된 핀 고정공(14a)에 설치된 고정핀(14)에 대면되게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잠금 장치에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개의 감지센서(S1, S2, S3)와 도어개방 감지구(25)로 구성된 도어 개방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구가 더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감지 수단에 의해 감지되는 감지깃(24)이 키봉 이송판(22)의 일측에 측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도어개방 감지구(25)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일측에 경사면(25a)이 형성되어 도어가 닫힐 때 도어 프레임에 걸려 도어개방 감지구(25) 자체가 하우징(10)의 내부로 밀려들어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와 같이 도어프레임에 의해 밀려 하우징(10)의 내부로 밀려들어가 도어개방 감지구(25)의 타측 단부는 감지 센서(S3)에 의해 감지되고 이 감지된 신호는 미도시한 제어기에 전달되어 모터(33)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서 키봉(21)을 밀러나 당기게 된다.
상기 키봉 이송판(22)의 일측에 형성된 감지깃(24)은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판(22)의 이동 경로중에 형성된 두 개의 감지 센서(S1, S2)에 의해 감지되어 키봉(21)의 위치 즉, 키봉이 하우징(10)의 단부로부터 돌출되었는가 여부를 알 수 있게 된다.
즉, 도어는 개방된 상태에서 키봉(21)이 돌출된 상태로 도어를 닫게 되면 키봉(21)이 도러 프레임에 부딛혀 키봉(21)은 물론 키 박스 전체가 손상되게 되므로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키봉(21)이 반드시 하우징(10)의 내부로 들어간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야 하며, 이러한 상태가 되기 위한 수단이 상기한 도어개방 감지구(25)와 감지센서(S3)이다.
도어가 개방된 상태가 되면 상기 도어개방 감지구(25)는 그 일측을 지지하는 스프링(25c)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됨으로 돌출된 상태가 되고, 도어가 닫히면 도어 프레임에 의해 눌려 하우징(10)의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도어가 닫힌 상태 즉, 도어개방 감지구(25)가 하우징(10)의 내부로 들어간 상태가 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감지 센서(S3)가 도어개방 감지구(25)를 감지하여 도어가 닫힌 상태임을 제어기에 전송하고, 전송된 정보에 의해 도어의 닫힘 상태를 확인하고 키봉(21)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33)에 신호를 전송할 준비를 하게 된다.
반대로 도어가 닫히지 않은 상태, 도어개방 감지구(25)가 하우징(10)으로부터 돌출되어 그 일측 단부가 감지 센서(S3)에 의해 감지되지 않으면, 이를 제어기에 전송하여 도어가 개방된 상태임을 알려 키봉(21)이 돌출된 상태인지 하우징(10)내에 들어간 상태인지를 감지하고, 키봉(21)이 돌출된 상태이면 모터(33)에 신호를 보내 키봉(21)이 하우징(10)의 내부로 들어간 상태로 구동시켜 키봉(21)을 하우징(10)의 내부로 들어가게 한다.
상기에서 키봉(21)의 돌출 여부는 키봉(21)과 일체로 구성된 키봉 이송판(22)의 일측에 형성된 감지깃(24)의 위치를 감지하여 이루어지며, 도시하고 상기한 바와 같이, 감지센서(S1)에서 감지깃(24)을 감지하면 키봉(21)이 돌출된 상태이고, 감지센서(S2)에서 감지깃(24)을 감지하면 키봉(21)이 하우징(10)의 내부로 들어간 상태로 판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의 잠금 장치의 작동예를 다시 한번 요약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자식으로 구동되는 잠금장치(10)의 구동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기에 구성된 버튼 중 도어 개방에 따른 번호를 누르면 모터(33)에 전원이 공급되어 모터(33)가 구동되고 이 모터(33)의 구동에 의해 기어박스(32)내의 기어가 회전하여 기어(31)가 회전하여 키봉 이송판(22)을 우측(도 1의 도면 기준)으로 이동시켜 키봉(21)이 도어 프레임의 키홈으로부터 분리되어 하우징(10)으로 들어온다.
잠글 때에는 상기의과정과 반대로 모터(33)가 구동되어 키봉(21)이 도어 프레임의 키홈에 삽입되어 잠긴다.
보조 잠금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보조키봉(41)이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닫힐 때에는 보조키봉(41)의 경사면이 도어 프레임에 닿아 보조키봉(41)이 밀려들어가게 되고, 닫힌 상태에서 도어를 개방할 때에는 핸들을 회전시켜 구동판(60)과 종동판(50)을 회전시키고 이 회정에 의해 보조키봉 이송판(42)이 우측으로 이동되게 함에 의해 보조키봉(41)이 도어 프레임의 기홈으로부터 분리되게 한다.
이러한 과정은 통상적인 기계식 도어록과 동일하나 후술하는 비상시의 작동은 본원 발명만의 개방 방법으로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비상시 즉,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면 도어록의 전자회로 손상 경우가 발생되며, 이때 실내에서 외부로 탈출시 상기한 비상버튼(90)을 누른다.
비상버튼(90)이 눌려지면 도 2의 (나)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상버튼(90)의 내측에 설치된 핀중 기어박스 이동핀(92)의 단부가 비틀림 스프링(70)의 기어박스 걸림부(73)를 지나 돌출되고 핸들(82)을 시계 방향으로 강하게 회전시키면 구동판(60) 및 종동판(50)이 회전함과 동시에 비틀림 스프링(70)의 기어박스 걸림부(73)가 시계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기어박스(32)가 우측으로 이동한다.
상기와 같이 기어박스(32)가 우측으로 이동하면 기어박스(32)와 일체로 구성된 기어(31)가 이를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고, 기어(31)와 치합된 키봉 이송판(22)이 우측으로 이동하여 키봉(21)을 당긴다.
당겨진 키봉(21)은 도어 프레임의 키홈으로부터 이탈되어 도어가 개방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잠금 장치는 그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이 용이함은 물론 제품이 견고하여 도난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특히 호환성을 갖춤으로서 제품 개발시 투자 비용 절감 및 원가 하락 요인된다. 또한 비상시 실내에서 키봉을 강제로 작동시켜 도어를 개방할 수 있으므로 도어의 개방이 늦어짐에 따른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 잠금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에서 도시한 핸들 결합부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 잠금장치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편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 잠금장치를 구성하는 키뭉치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 잠금장치를 구성하는 키뭉치 이동수단의 일예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 잠금장치를 구성하는 보조 키뭉치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 잠금장치를 구성하는 종동판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 잠금장치을 구성하는 구동판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 잠금장치을 구성하는 비틀림 스프링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 잠금장치를 구성하는 핸들 및 비상 버튼을 도시한 부분단면 조립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 잠금장치를 구성하는 핸들 고정봉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 잠금장치를 구성하는 고정핀을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 잠금장치의 키봉 감지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도어록 잠금 장치에 구성된 도어 개방 감지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하우징 11, 12, 14 : 고정핀 13 : 각형 고정핀
11a~14a : 핀고정공 15a : 핸들봉 관통공 15 : 핸들 고정봉
20 : 키뭉치 21 : 키봉 22 : 키봉 이송판 23 : 기어치
25 : 도어개방감지구 S1~S3 : 감지센서
30 : 키뭉치 이동수단 31 : 기어 32 : 기어박스 33 : 모터
40 : 보조 키뭉치 41 : 보조 키봉 42 : 보조키봉 이송판
43 : 코일스프링 42a : 종동판 걸림편 42b : 구동판 걸림편
42c : 고정핀 이동공 50 : 종동판 51, 61, 75 : 핀 관통공
52 : 이송판 걸림부 53 : 구동판 걸림부
60 : 구동판 62 : 이송판 걸림부 63 : 종동판 걸림부
70 : 비틀림 스프링 73 : 기어박스 걸림부 74 : 핀 걸림부
89 : 핸들 뭉치 80 : 핸들 고정구 81 : 핸들고정봉 관통공
80a, 80b : 핀 관통공 90 : 비상버튼 91 : 버튼 고정핀
92 : 기어박스 이동핀 90a, 90b : 핀고정공 91a : 고정나사
100 : 주 잠금장치 200 : 보조 잠금장치

Claims (4)

  1. 전자식 도어록의 잠금 장치에 있어서,
    판체 형상으로 다수의 핀고정공이 형성된 하우징과 ;
    상기 하우징의 측방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키봉과, 판체 형상으로써 상기 키봉의 일측에 설치되고 일측에 다수의 기어치가 형성되며 키봉을 측방으로 이송시키는 키봉 이송판으로 구성된 키뭉치와 ;
    상기 키봉 이송판에 형성된 기어치에 치합되는 기어와, 상기 기어의 축을 회전시키는 기어들이 서로 맞물려 설치된 기어박스와, 상기 기어박스내의 기어를 구동시키는 모터로 구성된 키뭉치 이송수단 및 ;
    상기 키뭉치 이송수단을 구성하는 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모터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서 키봉을 작동시키는 제어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도어록의 잠금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장치에는 보조 잠금장치가 더 설치되고,
    상기 보조 잠금장치는
    하우징의 측벽에 관통 형성된 구멍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된 보조 키봉과, 판체 형상으로서 측방으로 길게 고정핀 이동공이 형성되고 그 중단에 종동판 걸림편이 형성되며, 상기 보조 키봉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 키봉을 측방으로 이동시키는 보조키봉 이송판으로 구성된 보조 키뭉치와 ;
    일측 단부는 상기 보조키봉 이송판에 형성된 고정핀 이동공을 관통하여 설치된 고정핀에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보조키봉 이송판의 보조 키봉 반대측 단부에 형성된 구동판 걸림편에 고정되어 상기 보조 키뭉치의 보조키봉 이송판을 하우징의 외부를 향해 밀어주는 코일 스프링과 ;
    고정핀에 의해 하우징에 형성된 핀 고정공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보조키봉 이송판의 중단에 형성된 종동판 걸림편에 걸리는 이송판 걸림부와, 상기 이송판 걸림부와 소정의 각을 이루는 구동판 걸림부로 이루어진 종동판과 ;
    그 외주면이 각을 갖는 각형 고정핀에 의해 하우징에 형성된 핀 고정공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는 상기 종동판에 형성된 구동판 걸림부와 대향되는 종동판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키봉 이송판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구동판 걸림편에 걸리는 이송판 걸림부가 상기 종동판 걸림부와 소정의 각을 이루고 형성된 구동판 및 ;
    소정의 깊이를 갖는 통체 형상으로서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설치되데, 상기 종동판을 고정시키는 각형 고정핀을 관통하는 사각의 핸들봉 관통공에 삽입되는 핸들 고정봉에 삽입 고정되고 그 외부면으로부터 핸들이 돌출 형성된 핸들 고정구를 포함하는 핸들 뭉치로 이루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도어록의 잠금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의 하우징을 향한 면에는 스프링 걸림홈이 더 형성되며, 상기 구동판의 일측에는 비틀림 스프링이 더 설치되고,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일측 단부는 상기 기어박스의 저면에 형성된 스프링 걸림홈에 삽입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된 핀고정홈에 고정된 고정핀에 걸리도록 설치되며,
    상기 핸들 뭉치는 비상버튼을 더 포함하며, 상기 비상버튼은 상기 핸들 고정구의 내부에 설치되고, 핸들 고정구를 향한 단부에 버튼 고정핀과 기어박스 이동핀이 설치되며, 상기 비상버튼은 핸들 고정구의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도어록의 잠금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장치에는 도어의 개방 여부를 감지하여 키봉의 출입을 제어하기 위한 도어개방 감지구와, 상기 도어개방 감지구가 도어 개방 또는 닫힘 상태에 있는 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를 더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키봉 이송판의 일측에는 감지깃이 더 형성되고 상기 감지깃과 대응하여 키봉의 위치를 감지하여 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기 위한 위치 감지 센서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도어록의 잠금 장치.
KR1020040012352A 2004-02-24 2004-02-24 전자식 도어록의 잠금 장치 KR100558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2352A KR100558634B1 (ko) 2004-02-24 2004-02-24 전자식 도어록의 잠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2352A KR100558634B1 (ko) 2004-02-24 2004-02-24 전자식 도어록의 잠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6030A true KR20050086030A (ko) 2005-08-30
KR100558634B1 KR100558634B1 (ko) 2006-03-13

Family

ID=37270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2352A KR100558634B1 (ko) 2004-02-24 2004-02-24 전자식 도어록의 잠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86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114B1 (ko) * 2008-09-26 2010-07-23 (주)이엘에스티 강제해정수단이 구비된 데드볼트 전자석 도어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114B1 (ko) * 2008-09-26 2010-07-23 (주)이엘에스티 강제해정수단이 구비된 데드볼트 전자석 도어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8634B1 (ko) 2006-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99374B1 (en) High security lock
US10174522B2 (en) Vending machine lock with motor controlled slide-bar and hook mechanism and electronic access
JP4210624B2 (ja) 電気モーター駆動ドロップボルト
EP2141664B1 (en) Programmable electronic lock
US8635893B2 (en) High security lock
JP2006194075A (ja) 門駆動法及び該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門駆動装置
KR101179560B1 (ko) 도어락 제어장치
JP5385431B2 (ja) 閉止装置
KR100558634B1 (ko) 전자식 도어록의 잠금 장치
JP2005160511A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010084987A (ko) 감속기어 조합체가 구비된 도어록 장치
KR200458730Y1 (ko) 오링 내장형 동력 전달수단을 구비한 패닉 기능을 갖는 도어록
EP2565352A2 (en) Door lock drive assembly
KR200442949Y1 (ko) 패닉 릴리스 감지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락
KR102318848B1 (ko) 도어락의 클러치 모듈조립체
KR200186546Y1 (ko) 전자식 쇄정장치
JP6506246B2 (ja) 安全性の高いロック
JP2006233658A (ja) 遊技機の施錠装置
EP0723057A1 (en) Highly safe automatic lock for overhead doors, gates or the like
JP2008057179A (ja) 施解錠操作回数検出装置
US20210123178A1 (en) Two-positioning blocking device of a washing drums
CN112664063A (zh) 离合装置及具有其的智能锁
AU2650101A (en) Door lock
KR20050026743A (ko) 전자식 도어록장치
WO2000070172A1 (en) Security arran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