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4360A - 동적 사용자 상태에 따른 처리 - Google Patents

동적 사용자 상태에 따른 처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4360A
KR20050084360A KR1020057011131A KR20057011131A KR20050084360A KR 20050084360 A KR20050084360 A KR 20050084360A KR 1020057011131 A KR1020057011131 A KR 1020057011131A KR 20057011131 A KR20057011131 A KR 20057011131A KR 20050084360 A KR20050084360 A KR 20050084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all processing
instructions
state
ind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1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디르크 트로쎈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50084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436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65Presence services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willingness to communicate or the ability to communicate in terms of media capability or network connectivity
    • H04M3/42374Presence services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willingness to communicate or the ability to communicate in terms of media capability or network connectivity where the information is provided to a monitoring entity such as a potential calling party or a call processing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2Gateways
    • H04L65/1023Media gateways
    • H04L65/103Media gateways in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2Gateways
    • H04L65/1033Signalling gateways
    • H04L65/104Signalling gateways in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69Session establishment or d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96Supplementary features, e.g. call forwarding or call hol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101Sessio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101Session protocols
    • H04L65/1104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4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with provision for checking the normal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36Arrangements for screening incoming calls, i.e.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of a call before deciding whether to answer 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6Networks other than PSTN/ISDN providing telephone service, e.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including next generation networks with a packet-switched transport lay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34Calling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59Making use of the calling party identifier
    • H04M3/42068Making use of the calling party identifier where the identifier is used to access a prof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85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102Making use of the called party identifier
    • H04M3/4211Making use of the called party identifier where the identifier is used to access a prof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229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i.e. services related to one subscriber independent of his terminal and/or 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통신 네트워크 사용자(10)는 다수의 상태들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10)의 상태는 호 처리 서버에 전송된다. 한세트의 명령어들은 상기 사용자(10)가 정의된 상태들 중 하나의 상태에 있는 경우에 수신되는 착신 또는 발신 호들에 대하여 다양한 호 처리 옵션들을 확립한다. 상기 사용자(10)에게서부터나 또는 상기 사용자(10)에게 이루어지는 통신을 확립하도록 하는 요구의 수신시, 상기 호 처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에 매핑되는 한세트의 명령어들에 의해 규정된 바와 같이 상기 요구를 처리한다. 상기 명령어들은 호 처리 언어(Call Processing Language; CPL) 스크립트의 형태를 이루고 있을 수 있으며,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을 따르는 프록시 서버(14) 상에 상주할 수 있다. 사용자 상태는 여러 방식들을 통해 상기 서버에 업로드될 수 있다.

Description

동적 사용자 상태에 따른 처리{Dynamic user state dependent processing}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기술하면 통신 네트워크들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본 발명은 피호출측 또는 호출측 당사자의 동적 변경가능 상태를 기반으로 하는 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전화는 종래의 유선 전화 요금의 고비용을 회피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점점 보편화되고 있다. 또한, 상기 인터넷 전화는 비싸지 않은 멀티미디어 세션들의 가용성과 같은, 일반 전화 사용을 통해 제공될 수 있는 부가 특징들 때문에도 보편화되고 있다. 전화 소프트웨어 및 호 처리 소프트웨어의 환경 설정들을 실행하는 것과 같은 다른 특징들은 또한 음성 메시지들을 추가한 데이터의 전송 때문에 이용가능하다. 부가적인 특징들은 호 세션들을 개시 및 처리하는 방법들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은 비디오, 게임, 음성, 가상 현실 등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대화식 사용자 세션을 개시하는 표준 프로토콜이다. 일례로서, SIP는 인터넷 전화 호들을 확립 및 유지할 수 있다. SIP는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ser Datagram Protocol; UDP) 또는 전송 제어 프로토콜(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을 통해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인 애플리케이션 계층 시그널링을 제공한다. SIP 표준은 2002년 7월,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이라는 제목의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IETF) RFC 3261에 세부적으로 언급되어 있다. 요구-응답 프로토콜로서, SIP는 클라이언트들로부터의 요구들을 받아들여서 서버들로부터의 응답들을 전달한다. 참가자들은 URI들(Universal Resource Identifiers)에 의해 식별된다. SIP는 통신 세션 종료시 호 매개변수들을 확립하고 호 전송 및 호 종단을 조작한다.
호 처리 언어들은 사용자 환경 설정들에 호 제어 서비스들을 조정 및 적응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위치, 시간, 가용성, 또는 기타의 개인 정보와 같은 콘텍스트 정보를 기반으로 할 수도 있다(또한, 위치, 시간, 가용성, 또는 기타의 개인 정보와 같은 콘텍스트 정보에 응답할 수도 있다).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는 현재 그러한 호 처리 기능을 허용하는 "CPL"로서 공지되어 있는 호 처리 언어를 표준화하고 있다(2002년 7월에 기간 만료로 실효된 IETF 인터넷 드라프트(Internet Draft) "draft-ietf-iptel-cpl-06.txt"라는 문서를 참조하기 바람). CPL은 SIP 프록시에 등록되어 있는 당사자에게 호 처리에 대한 여러 옵션들 및 매개변수들을 확립할 수 있게 해 준다. 몇몇 경우들에서는, 상기 당사자가 호출측 당사자(또는 SIP에서 볼 때 "안내하는(inviting)"측 당사자)이며, 결과적으로는 상기 SIP 프록시를 통해 발신 호를 신청한다. 다른 경우들에서는, 상기 당사자가 피호출측 당사자(또는 "안내받는(invited)" 당사자)일 수 있으며, 상기 SIP 프록시를 통해 착신 호를 수신할 수 있다. 어느 경우든 간에, 상기 호 처리 옵션들은 등록용 SIP 프록시에 업로드되는 CPL 스트립트에서 언급된다. 상기 CPL 스트립트는 (다른 기능들 중에서) (상기 당사자에게 지정되는) 착신용 INVITE 또는 (상기 당사자로부터 발신되는) 발신용 INVITE의 필드들의 검사를 가능하게 한다. 위에서 인용된 IETF RFC 3261에 언급되어 있는 바와 같이, INVITE 메시지는 인터넷 전화 또는 다른 멀티미디어 통신을 설정하도록 호출측 당사자에 의해 발행된다. 그후, (상기 호출측 당사자 또는 상기 피호출측 당사자를 호스트할 수 있는) SIP 프록시는 상기 INVITE 메시지를 파싱(parsing)하고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은) CPL 스크립트에 포함된 명령어들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INVITE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에 의해 결정되는 여러 호 처리 옵션들을 실행할 수 있다. INVITE 메시지 내의 다른 매개변수들, 키워드들 및 다른 정보들을 검사함으로써, 당사자는 결과적으로 착신 및 발신 호들 또는 다른 통신들에 대하여 이용가능한 여러 대안들을 지닐 수 있다.
그러나, 변경 상태들에 CPL로 정의된 호 처리 규칙들을 동적으로 적응시키는 것이 대체로 어렵다. 예를 들면, 당사자가 (피호출측 당사자로서의 역할을 할 경우) 단지 특정 사람들로부터 걸려온 전화통화들만을 받기를 바랄 수 있는 몇몇 경우들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당사자는 다른 모든 전화통화들을 음성 메일 또는 보조자로 지정하기를 바랄 수 있다. 다른 경우들에서는, 상기 당사자가 보다 큰 그룹으로부터 걸려온 전화통화들을 받고자 할 수 있다.
한가지 예상가능한 해결 방안은 호들이 처리되는 방식을 변경하기를 바랄 때에는 언제든지 자신의 호스트 SIP 프록시에 새로운 CPL 스크립트를 업로드할 것을 상기 당사자에게 요구하는 것이다. 이는 상기 당사자의 SIP 클라이언트 장치에서의 CPL 스크립트들의 지식과 아울러, CPL 스크립트들을 저장 및/또는 편집할 수 있는 능력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CPL 스크립트들은 상당히 복잡할 수 있으며, 보다 한정된 기능을 갖는 이동 전화 또는 다른 클라이언트 장치 상의 웹 기반 도구들을 통해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데스크탑 PC(또는 유사한 기능을 지닌 다른 컴퓨터) 상의 웹 기반 도구들을 통해 종종 구성된다. CPL 스크립트들을 저장, 편집 및 업로드할 수 있는 능력을 추가시킬 경우에는 이동 장치의 복잡성 및 비용이 상당히 증가될 수 있다.
다른 한가지 예상가능한 해결 방안은 SIP 클라이언트 상에서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내에서 호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착신 호의 경우에, 이는 상기 호에 관한 임의의 동작이 취해질 수 있기 전에 상기 호를 완료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기타의 단점들 중에서, 이는 자신이 회피하고자 하거나 또는 다른 사람들에 의한 조작을 위해 리라우팅하고자 하는 호들과 피호출측 당사자의 자원들을 결속시킬 수 있다.
또 다른 한가지 예상가능한 해결 방안은, 발명의 명칭이 "SIP 환경들에서의 외부의 피신뢰자 호 처리(External Trusted Party Call Processing In SIP Environments)"인 관련된 미국 특허출원 제09/995,568호에 언급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부의 제3의 피신뢰자 호 처리 실체의 사용을 포함한다. 상기 미국 특허출원에 언급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부 전환(external-switch)" 구성요소는 상기 외부 전환의 매개변수로서 규정된 URI에 대한 실행하는 SIP 프록시로부터의 호 처리의 전송을 개시한다. 상기 URI는 외부의 제3의 피신뢰자 서버에 해당할 수 있으며, 상기 외부의 제3의 피신뢰자 서버는 자신의 프로그램에 따른 콘텍스트 전용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SIP 클라이언트 및 상기 제3의 피신뢰자 서버 간의 통신을 통해, 피호출측 당사자의 상태를 기반으로 하여 호 처리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그리고, 실제로는 훨씬 복잡한 문제들에 대한 해결 방안들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제3자 서버의 도입은 제3자 서버와의 추가적인 통신에 기인하여 상기 SIP 프록시에 복잡성을 추가시킨다.
따라서, 통신 네트워크 사용자가 피호출측 또는 호출측 당사자 중 어느 한 당사자로서의 역할을 할 경우 통신 네트워크 사용자의 상태를 기반으로 하여 호 처리 옵션들을 결정하는 문제에 대하여 복잡하지 않은 해결 방안들이 필요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호 처리 방법을 지원하는 아키텍쳐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장치의 기능적인 선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호 처리 서버의 기능적인 선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CPL 스크립트의 예들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는 호출측 당사자들 및 피호출측 당사자를 보여주는 블록선도이다.
도 6은 추가적인 호 처리 옵션들을 보여주는 블록선도이다.
도 7은 CPL 스크립트의 일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통신 네트워크 사용자가 다수의 상태들을 정의할 수 있게 하고, 상기 다수의 상태들 중 하나의 상태에 있을 때 착신 호 또는 발신 호에 대한 호 처리 옵션들을 확립할 수 있게 한다. 호 처리 서버 상에 상주할 수 있는 한세트의 명령어들은 다수의 사용자 상태들을 여러 호 처리 옵션들에 매핑시킨다. 상기 한세트의 명령어들에 내재하는 다른 명령어들은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처리 옵션들 중 하나 이상의 처리 옵션들을 호출한다.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의 표시를 수신하고, 그러한 현재 상태를 표시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사용자에게서부터나 또는 상기 사용자에게 이루어지는 통신을 확립하도록 하는 요구를 수신할 경우, 상기 서버는 현재 저장된 상태에 매핑되는 하나 이상의 호 처리 옵션들에 의해 규정된 바와 같이 상기 요구를 처리한다. 그후,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새로운 상태의 표시를 수신 및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및 다른측 당사자 간의 통신을 확립하도록 하는 제2 요구를 수신할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새로운 상태에 매핑되는 하나 이상의 호 처리 옵션들에 의해 규정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요구를 처리한다.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명령어들은 호 처리 언어(Call Processing Language; CPL)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서버 및 사용자 클라이언트는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을 따른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 및 이점들은 이하의 설명 및 첨부도면들에 언급 및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설명 및 첨부도면들로부터 자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등록한 서버를 통해 호들을 신청 또는 (잠재적으로) 수신하려는 사용자의 상태에 따른 호 처리 문제를 해결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회의중에 있는 경우, 사용자는 모든 착신 호들이 자신의 음성 메일로 재지정되기를 원할 수 있다. 사용자가 회의중에 있지 않음으로써 전화받기가 조금 더 손쉬워진 경우, 사용자는 단지 친구들 및 가족으로부터 걸려온 착신 호들만을 받고, 다른 모든 호들을 음성 메일로 라우팅(routing)하기를 원할 수 있다. 사용자가 가정에 있는 경우, 사용자는 모든 착신 호들이 개별 전화 번호, IP 주소 또는 다른 로케이터(locator)로 식별되는 개별 가정내 통신 시스템으로 리라우팅(re-routing)되기를 바랄 수 있다. 사용자는 또한 호의 리라우팅 외에도(또는 호의 리라우팅 대신에) 동작들을 취하는 상태에 따른 규칙들을 생성하기를 바랄 수 있다. 예를 들면, 음성 메일로 리라우팅되는 착신 호들에 의해, 사용자가 회의중에 있을 때 하나의 메시지가 수신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전화를 받기를 바라지 않는 다른 상태에 있을 때 다른 하나의 메시지가 수신될 수 있다. 사용자의 상태에 대한 결정은 사용자의 전화, 단말기 또는 다른 클라이언트 장치 상에서 현재 활성 상태인 애플리케이션에 의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회의 상태는 사용자의 회의 스케줄이 저장되어 있는 내부 캘린더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또는 외부 캘린더 시스템과의 통신을 이루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 상태들은 또한 애드 혹(ad hoc)을 기반으로 하여 수동으로 설정될 수도 있고, (특정의 이동 전화들을 통해 가능한 것과 같은 특정의 프로파일을 설정함으로써와 같이) 특정의 프로파일로 정의될 수도 있으며, 기타의 방식들로 설정될 수도 있다.
사용자의 상태는 동적인 변경이 가능하다고 생각되며, 그럼으로써 이러한 상태 정보가 호 처리용으로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게 하는 것이 유리하다.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호 처리 언어(Call Processing Language; CPL)의 확장자를 통해 상태에 따른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확장자는 호 처리 서버에 대한 상태 정보의 업로드 및 그러한 서버를 통한 호 처리에 대한 그러한 상태 정보의 적용을 허용한다. 상기 상태 정보는 착신 호들과 아울러 발신 호들의 조작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CPL 스크립트들 및 SIP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예를 참조하여 설명되고는 있지만,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들, 프로토콜들 및 데이터 포맷들이 사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은 다양한 하드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주어진 임의의 예들은 대표적인 예들이며 청구항에서 그 자체로 특별히 인용되지 않는 한은 제한예들로서 의도된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는 한가지 예상가능한 아키텍쳐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통신 시스템의 사용자(10)는 클라이언트 장치(12)를 통해 상기 시스템에 액세스한다.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SIP를 따르는 클라이언트 장치(12)는 (핸드헬드 컴퓨터 또는 이동 전화와 같은) 이동 단말기, 데스크탑 PC, 랩탑 컴퓨터, 다른 서버 등등일 수 있다. SIP 프록시(14)는 (장치(12)와 같은) 사용자(10)용의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장치들을 호스트하며, 사용자(10)로부터 장치(12)를 통해 요구들을 수신하고 이러한 요구들을 처리하여 발신 호들을 생성한다. 프록시(14)는 추가로 다른측 당사자들로부터 요구들을 수신하고 이러한 요구들을 처리하여 사용자(10)에 대한 호들을 생성하며, 그러한 호들을 장치(12)에 접속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록시(14)는 사용자(10)로부터 다른 장치들을 통해 요구들을 수신할 수 있음과 아울러 다른 장치들에서 사용자(10)와의 통신을 확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10)는 사용자 자신이 현재 통신을 위해 다른 장치를 사용하고 있으며 그러한 장치를 통해 연락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하에서 언급되겠지만 SIP REGISTER 방법을 통해) 프록시(14)에게 통지할 수 있다. 예들 들면, 도 1에 도시된 장치(12')는 사용자(10)의 사무실 내에 있는 데스크탑 PC를 나타내며, 장치(12")는 가정용 컴퓨터 또는 사용자(10)가 통신들을 수신하기를 바랄 수 있는 다른 어떤 장치를 나타낼 수 있다.
호를 개시하기 위해, 사용자(10)는 장치(12)(또는 참조번호(12' 또는 12")와 같은 다른 장치)를 사용하여 발신용 SIP INVITE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INVITE 메시지의 생성은 자동화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함으로써 개시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장치(12)는 일반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I/F; 32), 입력(예컨대, 키패드(36) 및 음성/영상 입력들(A/V; 34), 디스플레이(38), 메모리(Mem.; 40), 및 프로세서(Proc.; 42)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32)는 프록시(14)와의 통신을 이루는 데 적합하다. 이동 장치의 경우에, 인터페이스(32)는 기지국에 대한 RF 링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기지국은 다시 중간 네트워크 접속들을 통해 프록시(14)와의 통신을 이룰 수 있다. 컴퓨터의 경우에, 인터페이스(32)는 인터넷(또는 다른 네트워크) 접속일 수 있다. 메모리(40) 내에는 세션 초기화 명령들을 수신하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INVITE 메시지와 같은) 세션 초기화 메시지를 생성하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및 상기 메시지를 프록시(14)에 전송하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가 저장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10)와의 멀티미디어 전화 통화 또는 다른 통신을 확립하고자 하는 다른측 당사자들은 프록시(14)에 라우팅되는 INVITE 메시지들(도 1에서 착신용 INVITE 메시지로서 도시됨)을 개시한다. 그러한 착신용 INVITE 메시지들은 발신측 당사자의 클라이언트 장치(도시되지 않음)를 호스트하는 다른 프록시(또한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전송될 수도 있으며, 프록시(14)에 의해 호스트되는 다른 클라이언트 장치들에 의해 개시될 수도 있다. 착신용 INVITE 메시지들은 프록시(14)에 의해 수신되며 사전에 준비되어 프록시(14) 상에 저장되는 (또는 달리 프록시(14)가 이용가능한) 사용자(10)로부터의 명령들에 따라 처리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록시(14)는 메모리(42), 프로세서(46), 및 사용자(10)와의 통신(예컨대 도 1의 장치(12, 12' 또는 12")에서의 통신) 및 다른측 당사자들(도시되지 않음)과의 통신을 이루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44)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42) 내에는 사용자(10)로부터의 발신용 SIP INVITE 메시지와 아울러 다른측 당사자들로부터의 착신용 INVITE 메시지들을 처리하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이 저장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명령어들은 프록시(14)에게 다양한 호 처리 동작들을 수행할 것을 지시하는 CPL 스크립트(24)를 포함한다. CPL이 확장성 생성 언어(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XML 인터프리터(48)는 또한 메모리(42) 내에 저장된다. XML 인터프리터(48)는 CPL 스크립트(24)를 파싱(parsing) 및 실행한다. 상기 스크립트(24)는 사용자(10)에 의해서만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 있어서, 단일 스크립트는 한그룹의 사용자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INVITE 메시지를 수신할 경우, 프록시(14)는 CPL 스크립트(24)를 실행한다. 상기 스크립트(24)는 사용자(10)에 의해 (또는 사용자(10)용으로) 사전에 준비되어 프록시(14)에 업로드된다. 위에서 인용된 IETF draft-ietf-iptel-cpl-06.txt에 언급되어 있는 바와 같이, CPL 스크립트들은 일반적으로 최상위 동작들 및 부속 동작들을 포함하는 호 처리 동작들의 계층을 포함한다. 발신 호를 개시하거나 착신 호를 처리하는 것과 같은 최상위 동작들은 INVITE 메시지와 같은 착신 메시지에 내재하는 시그널링 이벤트들에 의해 유발되지만, 부속 동작들은 다른 동작들로부터 호출될 수 있다. 발신용 SIP INVITE를 수신할 경우, 프록시(14)는 CPL 스크립트(24)의 발신 호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는 반대로, 프록시(14)는 착신용 SIP INVITE를 수신할 경우 CPL 스크립트(24)의 착신 호 동작을 실행한다.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에서, CPL 스크립트(24)는 사용자(10)에 대한 다양한 상태들의 정의들을 포함한다. 그같은 상태 정의들은 사용자(10) 및 다른측 당사자 간의 호 또는 다른 통신을 확립하도록 하는 요구들에 관해 취해져야 하는 동작들일 수 있다. 그러한 요구들은 (사용자(10)가 피호출측 당사자일 경우에) 다른측 당사자를 통해 생성될 수도 있고 (사용자(10)가 호출측 당사자일 경우에) 사용자(10)를 통해 생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정의된 상태들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정의된 상태들 중 하나의 정의된 상태에 있을 때 착신 및/또는 발신용 INVITE 메시지들이 조작되는 방식을 규정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를 프록시(14)에 전송하기 위해, CPL은 다음과 같이 사용자(10)의 현재 상태를 표현하는 언어 구성요소로 확장될 수 있다:
<state>
"string"
</state>
여기서, "스트링(string)"이 사용자(10)의 상태이다. 상태들은 "회의(meeting)", "가정(home)", "프라이빗(private)" 등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제의 신택스는 가변적일 수 있으며, 다수의 상태들이 정의될 수 있다. 상태는 또한 다음과 같이 상태 정의에 추가적인 매개변수를 추가함으로써 착신 호들 및 발신 호들용으로 개별 정의될 수 있다:
<state mode=incoming>
"string"
</state>
모드(mode)=착신(incoming)일 경우, 주어진 상태("string")가 단지 착신 호들용으로만 정의된다. 이와는 반대로, 모드(mode)=발신(outgoing)"일 경우, 상기 상태("string")는 단지 발신 호들용으로만 정의된다. 발신 상태의 일례로서, 사용자(10)의 CPL 스크립트(24)는 "업무(business)"라고 언급되는 상태를 정의할 수 있다. 사용자(10)는 자신이 중요한 업무적인 전화 통화를 하고 있을 때 이러한 상태를 호출할 수 있고, 그럼으로써 개인적인 전화 통화를 하고 있을 때보다 엄격한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QoS) 또는 다른 요건들을 지닐 수 있다. 다른 일례로서, 사용자(10)는 호출 카드 기반 서비스를 호스트하는 SIP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발신 호들이 재지정되는 "개인적인(personal)"이라고 언급되는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호들에 대한 규칙들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모드 매개변수가 생략된 경우, 상태 "string"은 모든(다시 말하면, 착신 및 발신) 호들에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10)의 상태는 장치(12) 상에서 동작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에 내재하는 논리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장치(12)는 회의들의 메모가 가능한 캘린더 프로그램을 지닐 수 있다. 그러한 회의들 중 한 회의의 시간 동안, 장치(12)는 사용자(10)의 상태를 "meeting", "private" 또는 최소한의 인터럽션들(interruptions)이 감안되는 다른 어떤 상태로 자동 변경시킬 수 있다. 그러나, 장치(12)에 의한 자동(또는 수동) 상태 변경들은 시간에 의존해야 할 필요가 없다. 예를 들면, 장치(12)는 자신의 실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닐 수 있으며, 또한 특정 위치들에서 특정 상태로 변경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10)의 상태는 또한 사용자(10)에 의해 직접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키패드(36) 상에 있는 하나 이상의 키들은 특정 상태들에 대응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사용자(10)는 "전화 통화 금지(do not disturb)" 상태를 위한 하나의 키 조합, "모든 전화 통화 허용(take all calls)" 상태를 위한 다른 하나의 키 조합 등등을 누를 수 있다. 또 다른 가능성으로서, 사용자(10)는 사용자 자신이 특정 클라이언트 장치를 사용하는 것에 대응하는 특정 상태들을 사전에 정의할 수도 있다. 장치(12'; 도 1)가 예를 들면 사무실용 PC일 경우, 사용자(10)는 특정의 호출자들(예컨대, 중요한 업무적인 연락자들)이 우선순위로 주어지는 상태를 정의할 수도 있다. 장치(12")가 가정용 컴퓨터일 경우, 사용자(10)는 특정의 가족 구성원들 및 친구들이 우선순위로 제공되고 다른 호출자들이 음성 메일로 라우팅될 수 있는 상태를 또한 정의할 수도 있다.
사용자(10)는 여러 방식들을 통해 자신의 상태를 프록시(14)에 업로드시킬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상기 상태는 SIP 요구시 REGISTER 방법의 일부로서 통신된다. SIP 요구들 및 방법들은 위에서 인용된 IETF RFC 3261에 언급되어 있다. SIP 클라이언트는 사용자가 연락될 수 있는 주소를 프록시 또는 재지정 서버에 통지하기 위해 상기 REGISTER 방법을 포함하는 요구를 발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10)를 통해, 사용자 자신이 초기에 장치(12)를 활성화시킬 경우 제1 REGISTER 방법이 발행될 수 있으며, 제2 REGISTER 방법이 장치(12') 상에 로깅될 경우에 발행될 수 있고, 이하의 REGISTER 방법이 경우에 따라 발행될 수 있다. REGISTER 요구들은 또한 서버측의 호 조작 특징들을 설치 또는 변경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사용의 일례로서, 장치(12)는 초기에 활성화될 경우에 제1 REGISTER 방법을 발행할 수 있으며, 상태 변경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자(10)가 키패드(36)에 내재하는 키들을 누를 경우 후속 REGISTER 방법을 발행할 수 있다. 사용자(10)의 상태는 상기 REGISTER 방법을 포함하는 요구의 메시지 몸체 내에나 또는 상기 요구 내의 다른 필드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REGISTER 방법을 포함하는 요구를 수신할 경우, 프록시(14) 상의 XML 인터프리터(48)는 상태 키워드들에 대한 요구를 파싱한다. 상태 키워드를 발견할 경우, 프록시(14)는 사용자(10)의 상태를 변경시킨다.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에서, 상기 상태는 프록시(14) 상의 메모리(42) 내에 적합한 위치의 새로운 상태에 대응하는 스트링을 저장함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사용자 상태는 또한 다른 방식들을 통해 프록시(14)에 업로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태는 SIP PUBLISH 방법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PUBLISH 방법은 2002년 10월 인터넷 드라프트(Internet Draft) draft-olson-simple-publish-01.txt라는 문서에 실린 "SIMPLE 프리젠스 공표 메카니즘(SIMPLE Presence Publication Mechanism)"에 언급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태양으로서, CPL은 또한 상태 전환 언어 구성요소를 포함하도록 확장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INVITE 메시지와 같은) 착신 또는 발신 호에 응답하여 사용자(10)의 CPL 스크립트를 실행할 경우, 그러한 상태 전환을 통해, 프록시(14)가 메모리(42) 내에 사용자(10)에 대해 저장될 수 있는 다양한 상태들에 대한 테스트를 수행한다. 상태 전환 언어 구성요소에 대한 예상가능한 언어의 일례는 다음과 같다:
Node: state-switch
Outputs: state
Parameter: none
Output: state
Parameter: is
이하에서 언급되겠지만, 상기 상태 전환 구성요소는 프록시(14)에 의해 저장되는 사용자(10)의 현재 상태를 획득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로부터의 출력, 다시 말하면 사용자의 현재 상태는, 그후 다른 예상가능한 상태들에 대응하는 스크립트에 내재하는 다양한 스트링 값들에 대해 테스트된다. 상기 상태 전환으로부터의 "state" 출력이 그러한 스트링들 중 하나와 부합할 경우(다시 말하면, 상태가 그러한 스트링들 중 하나와 동일한 상태"인(is)" 경우), 상기 부합된 스트링에 대응하는 호 처리 동작들이 호출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사용자(10)에 의해 (또는 사용자(10)를 위해) 프록시(14)에 업로드될 수 있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CPL 스크립트의 일례이다. 도 4a 및 도 4b의 스크립트는 인터넷을 통해서나 또는 다른 수단을 통해 사용자(10)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웹 기반 프로그램으로 준비될 수 있다. 그러한 프로그램은 사용자(10)가 정의하고자 하는 상태들의 유형들에 관한 일련의 질문들과 아울러, 그러한 상태들 각각에서의 원하는 호 처리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10)에게 질의할 수 있다. 그러한 질의들에 응답하여, 상기 웹 기반 프로그램은 사용자(10)의 스크립트(24)를 자동으로 준비할 수 있다. 변형적으로는, 스크립트(24)는 사용자(10) 대신에 사용자(10)에게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회사 대표자나 또는 다른 수단을 통해 준비될 수 있다. 그리하여, 스크립트(24)는 SIP 프록시(14) 상에 로드되고 사용자(10)를 위한 (또는 사용자(10)로부터의) 착신 (또는 발신) 호들이 스크립트(24)를 호출하도록 적합하게 부호화된다.
도 5는 사용자(10)의 잠재적인 착신 호들과 아울러, 그러한 호들에 대한 예상가능한 수신지들을 보여주는 블록선도이다. 사용자(10)의 호들의 한 잠재적인 발신은 사용자 자신의 배우자(52)로부터 걸려온 것이지만, 배우자(52) 및 사용자(10)는 동일한 제공자로부터 통신 서비스들을 획득할 수도 있고 그러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5에서, 배우자(52)는 "ABC"로부터 통신 서비스들을 획득하며, ABC 프록시 서버(54)에 의해 호스트된다. 부모(56)는 또한 사용자(10)에게 연락하려고 시도할 수 있지만, 부모(56)는 "DEF"를 통해 통신 서비스들을 획득하며 DEF 프록시 서버(58)에 의해 호스트된다. 마찬가지로, 친구(72)는 "HIJ"로부터 통신 서비스들을 획득하며, HIJ 프록시 서버(74)에 의해 호스트된다. 사용자(10)의 고객(64)은 ("QRS"에 의해 제공되는) 프록시 서버(66)에 의해 호스트되지만, 사용자(10)가 고객(판매자(68))인 실체가 "123"에 의해 제공되는 프록시 서버(70)에 의해 호스트된다.
도 5는 또한 착신 호들에 대한 예상가능한 여러 수신지들을 보여준다. 클라이언트 장치들(12,12',12") 외에도, 사용자(10)의 착신 호들은 음성 메일(15)이나 또는 사용자(10)의 사무 보조자(17)로 지정될 수 있다. 다른 여러 호 라우팅 및/또는 처리 능력들이 가능하며, 총괄적으로 블록(19)에 나타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도 5와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을 또한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일례로, 사용자(10)는 사용자 자신의 상태를 사전에 "meeting"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상태 전환(80; 도 4a 참조)에서 보여주고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10)가 회의 상태에 있는 경우(태그 82) 사용자(10)는 모든 착신 호들이 사용자 자신의 음성 메일에 재지정되기로 사전에 결정하였다. 그러한 음성 메일에 대한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은 위치 구성요소에 제공된다(태그 84). 사용자(10)가 배우자(52), 부모(56), 친구(72), 고객(64), 판매자(68) 또는 그밖의 사람으로부터 걸려온 전화 통화를 받을 경우, 그러한 전화 통화는 음성 메일(15)로 지정된다. 사용자(10)의 "private" 상태에 대한 호 처리 규칙들은 상태 태그 86에서 개시된다. 주소 전환(태그 88)은 착신용 INVITE 메시지의 원래 주소가 테스트받아야 하고 상기 호가 그러한 원래 주소를 기반으로 하여 지정되어야 한다고 명시한다. 주소 태그 90에서 보여주고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10)는 사용자 자신의 배우자로부터 걸려온 전화 통화들이 프록시(14)를 통해 전송되어야 한다고 표시하였다. 이러한 경우에, 사용자(10)는 사용자(10)가 현재 사용중에 있다는 통지를 프록시(14)가 최근에 (예컨대, REGISTER 방법을 통해) 받았거나 또는 사용자(10)가 연락을 받을 수 있는 장치(12, 12', 12" 또는 다른 장치)에서 배우자(52)로부터 걸려온 전화 통화를 받게 된다. 마찬가지로, 부모로부터 걸려온 전화 통화(주소 태그 92), 친구로부터 걸려온 전화 통화(주소 태그 94) 또는 고객으로부터 걸려온 전화 통화(주소 태그 96)는 프록시(14)에 의해 사용자(10)가 현재 사용중에 있는 장치로 라우팅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10)는 사용자(10)와 사업을 하고자 하는 측 당사자와 바로 통화하는 것에 관한 걱정을 덜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판매자(68)로부터 걸려온 전화 통화들을 사용자(10)에게로 직접 라우팅하지 않을 수 있다. 그 대신에, 판매자(68)로부터 걸려온 전화 통화(주소 태그 98)는 사무 보조자(17)로 라우팅된다. "기타의 전화 통화(otherwise)" 태그(100)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다른 모든 전화 통화들은 음성 메일(15)로 라우팅된다. 사용자(10)의 상태가 "가정(home)"일 경우(태그 102), 사용자(10)는 모든 전화 통화들을 받기를 바랄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10)는 "home" 상태 키워드를 포함하는 REGISTER 방법을 자신의 가정용 컴퓨터(12")로부터 전송함으로써 "home" 상태를 호출할 수 있다. 착신용 INVITE 메시지를 수신할 경우, 프록시(14)는 태그 104의 URL 위치에서 전화 통화를 사용자(10)에게로 라우팅시킨다. 마지막으로, 사용자(10)가 상태를 호출할 수 없는 경우, "otherwise" 태그 106은 사용자(10)가 장치를 사용중에 있다라는 통지를 프록시(14)가 최근에 받았던 장치에 착신 호를 라우팅한다.
사용자(10)의 상태 정보는 또한 특정의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착신 호들을 지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단지 하나의 일례만으로서, 그리고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단말기(13)는 (제3세대 이동 시스템, 또는 "3G"와 같지만, 이것에 국한되지 않는) 셀룰러 전화 네트워크와 아울러 무선 구내 정보 통신 네트워크(Wireless Local Area Network; 무선 LAN, 또는 WLAN)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을 이룰 수 있는 능력을 지닐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10)는 어느 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SIP 개시 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10)는 가능할 때에는 언제든지 무선 허브(16)를 통해서 WLAN 인터페이스를 통해 착신 호들을 수신하기를 원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그러한 호들은 3G 셀룰러 네트워크(200)를 통해 수신되는 호들보다 비용이 덜 든다. 그러나, 어떠한 WLAN 접속도 이용가능하지 않을 경우(예컨대, 사용자가 원격 WLAN 허브(16)로부터 매우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 사용자(10)는 여전히 3G 접속을 통해 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10)는 "WLAN"과 같은 상태를 정의할 수 있다. 프록시(14)에 대한 이러한 상태의 업로드시, 사용자(10)에 대한 호들은 WLAN 허브(16)를 통해 라우팅된다. 이러한 상태는 사용자(10)에 의해 (예컨대, 단말기(13) 상의 키들의 특정 조합을 누름으로써) 수동으로 업로드될 수도 있고 자동으로 업로드될 수도 있다(예컨대, 단말기(13) 및/또는 허브(16)는 허브(16)에 대한 단말기(13)의 접근을 검출하여 상태 변경을 업로드시킬 수 있다). 사용자(10)는 또한 (프록시(14) 상의 CPL 스크립트에 내재하는) "3G" 및 대응 명령들과 같은 개별 상태를 지님으로써 사용자(10)가 "3G" 상태에 있을 때 3G 네트워크(200)를 통해 전화 통화들을 라우팅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대응하는 샘플 CPL 스크립트의 일례이다. 태그 120("상태가 "WLAN"이다("state is "WLAN" ")에서 보여주고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10)에 대한 전화 통화들은 상태 "WLAN"에 있는 경우 자신의 WLAN 제공자 계정에 재지정된다(태그 122). 사용자(10)가 상태 "3G"에 있는 경우(태그 124), 모든 전화 통화들은 자신의 3G 계정에 재지정된다(태그 126). 마지막으로, 사용자(10)가 상태를 호출할 수 없는 경우, "otherwise" 태그 128은 사용자(10)가 장치를 현재 사용중에 있다라는 통지를 프록시(14)가 최근에 받았던 장치에 착신 호를 라우팅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실시하는 특정 예들이 설명되었지만, 당업자가 이해하여야 할 점은 첨부된 청구항들에 기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위에서 언급된 시스템들 및 방법들의 여러 수정예들 및 치환예들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이 저장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이 적합한 장치 (또는 장치들)에 의해 판독 및 실행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단계들이 수행된다. 다른 여러 상태들 및 호 처리 옵션들은 정의 및/또는 조합될 수 있다. 단지 일례만으로서, 특정의 호출측 당사자들이 사전에 진행중인 호를 인터럽트할 수 있는 특정의 상태들이 정의될 수 있다. 호출측 당사자 및 피호출측 당사자의 다른 여러 물리적인 구성들이 가능하다. 일부 또는 모든 호출측 당사자들은 피호출측 당사자를 호스트하는 동일한 프록시에 의해 호스트될 수 있으며 피호출측 당사자는 하나의 프록시보다 많은 프록시에 의해 호스트될 수 있다. 본원에서 언급되고 있는 프록시의 기능들은 다수의 플랫폼들에 분포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CPL 및 SIP 외에도(또는 CPL 및 SIP 대신에) 다른 언어들 및 프로토콜들이 구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원에서 언급되고 있는 CPL 확장자들의 포맷 및 신택스는 단지 예들이며, 다른 신택스 및 포맷들이 사용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여러 절차들 및 단계들은 재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의 수행은 다수의 하드웨어 플랫폼들 및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에 분포될 수 있다. 이들 및 다른 변형예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에 정의되어 있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Claims (44)

  1. 사용자의 상태를 기반으로 하여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라우팅되는 호들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다수의 사용자 상태들을 다수의 호 처리 옵션들에 매핑시키는 한세트의 명령어들을 식별하는 단계로서, 상기 한세트의 명령어들이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표시하는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옵션들 중 하나 이상의 옵션들을 호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표시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및 다른측 당사자 간의 통신을 확립하도록 하는 제1 요구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에 매핑되는 하나 이상의 호 처리 옵션들에 의해 명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요구를 처리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새로운 상태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새로운 상태를 표시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및 다른측 당사자 간의 통신을 확립하도록 하는 제2 요구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새로운 상태에 매핑되는 하나 이상의 호 처리 옵션들에 의해 명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요구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데이터는 상기 한세트의 명령어들의 변경 없이 변경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상태의 표시가 하나의 스트링으로서 통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상태는 상기 사용자 및 다른측 당사자들 중 한 당사자 간의 통신을 확립하도록 하는 제1 또는 제2 요구의 시간에 의존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상태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상태는 상기 사용자가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고 있는 클라이언트 장치를 기반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상태는 상기 사용자의 활동을 기반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상태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현재 액세스하고 있는 액세스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세트의 명령어들은,
    다수의 잠재적인 호출측 및 피호출측 당사자들에 대한 식별자들을 포함하며,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잠재적인 호출측 또는 피호출측 당사자에 대하여, 다른 사용자 상태들에 대하여 다른 호 처리 옵션들을 호출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상태의 표시들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는 사용자가 상기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고 있는 클라이언트 장치의 등록시에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상태의 표시들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고 있는 클라이언트 장치 상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스케줄링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호 처리 옵션들은 다수의 수신지들 중 하나의 수신지에 호들을 라우팅시키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세트의 명령어들은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을 따르는 프록시 서버에 명령어들을 제공하는 호 처리 언어(Call Processing Language; CPL) 스크립트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상태의 표시는 SIP 요구의 일부로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통신을 확립하도록 하는 요구들 각각은 SIP INVITE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라우팅되는 호들의 처리에 관련된 단계들을 수행하는 컴퓨터 실행가능 커맨드들을 지니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처리는 사용자의 상태를 기반으로 하며,
    상기 단계들은,
    다수의 사용자 상태들을 다수의 호 처리 옵션들에 매핑시키는 한세트의 명령어들을 식별하는 단계로서, 상기 한세트의 명령어들이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표시하는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옵션들 중 하나 이상의 옵션들을 호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표시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및 다른측 당사자 간의 통신을 확립하도록 하는 제1 요구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에 매핑되는 하나 이상의 호 처리 옵션들에 의해 명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요구를 처리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새로운 상태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새로운 상태를 표시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및 다른측 당사자 간의 통신을 확립하도록 하는 제2 요구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새로운 상태에 매핑되는 하나 이상의 호 처리 옵션들에 의해 명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요구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데이터는 상기 한세트의 명령어들의 변경 없이 변경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상태의 표시는 하나의 스트링으로서 통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상태는 상기 사용자 및 다른측 당사자들 중 한 당사자 간의 통신을 확립하도록 하는 제1 또는 제2 요구의 시간에 의존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상태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상태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고 있는 클라이언트 장치를 기반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상태는 상기 사용자의 활동을 기반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상태는 상기 사용자가 현재 상기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액세스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4.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한세트의 명령어들은,
    다수의 잠재적인 호출측 및 피호출측 당사자들에 대한 식별자들을 포함하며,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잠재적인 호출측 또는 피호출측 당사자에 대하여, 다른 사용자 상태들에 대해 다른 호 처리 옵션들을 호출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5.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상태의 표시들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고 있는 클라이언트 장치의 등록시에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6.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상태의 표시들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고 있는 클라이언트 장치 상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스케줄링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호 처리 옵션들은 다수의 수신지들 중 하나의 수신지에 호들을 라우팅시키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한세트의 명령어들은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에 따르는 프록시 서버에 명령어들을 제공하는 호 처리 언어(Call Processing Language; CPL) 스크립트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상태의 표시는 SIP 요구의 일부로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을 확립하도록 하는 요구들 각각은 SIP INVITE 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31. 호 처리 서버에 있어서,
    메모리;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다수의 사용자 상태들을 다수의 호 처리 옵션들에 매핑시키는 한세트의 명령어들을 식별하는 커맨드로서, 상기 한세트의 명령어들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표시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옵션들 중 하나 이상의 옵션들을 호출하는 커맨드를 실행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의 표시를 수신하는 커맨드를 실행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표시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커맨드를 실행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사용자 및 다른측 당사자 간의 통신을 확립하도록 하는 제1 요구를 수신하는 커맨드를 실행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에 매핑되는 하나 이상의 호 처리 옵션들에 의해 명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요구를 처리하는 커맨드를 실행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사용자의 새로운 상태의 표시를 수신하는 커맨드를 실행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사용자의 새로운 상태를 표시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커맨드를 실행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사용자 및 다른측 당사자 간의 통신을 확립하도록 하는 제2 요구를 수신하는 커맨드를 실행하도록 설정되며; 그리고
    상기 사용자의 새로운 상태에 매핑되는 하나 이상의 호 처리 옵션들에 의해 명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요구를 처리하는 커맨드를 실행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처리 서버.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한세트의 명령어들의 변경 없이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표시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커맨드를 실행하도록 추가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처리 서버.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한세트의 명령어들은,
    다수의 잠재적인 호출측 및 피호출측 당사자들에 대한 식별자들을 포함하며,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잠재적인 호출측 또는 피호출측 당사자에 대하여, 다른 사용자 상태들에 대해 다른 호 처리 옵션들을 호출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처리 서버.
  3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가 통신하고 있는 클라이언트 장치의 등록시에 상기 사용자 상태의 표시들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를 수신하는 커맨드를 실행하도록 추가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처리 서버.
  35.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가 통신하고 있는 클라이언트 장치 상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되는 사용자 상태의 표시들 중 적어도 하나의 표시를 수신하는 커맨드를 실행하도록 추가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처리 서버.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스케줄링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처리 서버.
  37.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호 처리 옵션들은 다수의 수신지들 중 하나의 수신지에 호들을 라우팅시키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처리 서버.
  38.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호 처리 서버는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을 따르는 프록시이며,
    상기 한세트의 명령어들은 호 처리 언어(Call Processing Language; CPL) 스크립트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SIP 요구의 일부로서 상기 사용자 상태의 표시를 수신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처리 서버.
  39. 인터넷 호들에 참가하기 위한 통신 단말기로서,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요구에 따라 개시되는 인터넷 호들을 수신하기에 적합한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SIP를 따르는 프록시와의 통신을 이루기에 적합한 통신 인터페이스로서, 상기 프록시는 단말기 사용자의 다수의 상태들을 다수의 호 처리 옵션들에 매핑시키는 한세트의 명령어들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한세트의 명령어들은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표시하는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옵션들 중 하나 이상의 옵션들을 호출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SIP를 따르는 프록시 상에의 저장을 위해 상기 현재 상태의 표시를 상기 SIP를 따르는 프록시에 전송하는 단계로서, 상기 현재 상태는 상기 프록시가 상기 사용자 및 제1측 당사자 간의 통신을 확립하게 하고 상기 사용자 및 제2측 당사자 간의 통신을 확립하지 못하게 하는 명령어들에 대응하는 단계를 수행하며,
    새로운 상태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그리고
    상기 SIP를 따르는 프록시 상에의 저장을 위해 상기 새로운 상태의 표시를 상기 SIP를 따르는 프록시에 전송하는 단계로서, 상기 새로운 상태는 상기 프록시가 상기 사용자 및 상기 제1측 또는 상기 제2측 당사자 간의 통신을 확립하지 못하게 하는 명령어들에 대응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 상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상태의 표시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41.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REGISTER 방법을 포함하는 SIP 요구시 사용자 상태의 표시를 전송하도록 추가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42.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PUBLISH 방법을 포함하는 SIP 요구시 사용자 상태의 표시를 전송하도록 추가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43.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호 처리 언어(Call Processing Language; CPL) 스크립트에 의해 인식되는 포맷으로 사용자 상태의 표시를 전송하도록 추가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44. 사용자 상태를 기반으로 하여 세션 초기화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을 따르는 프록시에서 호들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다수의 사용자 상태들을 다수의 호 처리 옵션들에 매핑시키는 한세트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호 처리 언어(Call Processing Language; CPL) 스크립트를 식별하는 단계로서, 상기 한세트의 명령어들은,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며 상기 스트립트의 변경 없이 변경가능한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옵션들 중 하나 이상의 옵션들을 호출하고,
    다수의 잠재적인 호출측 및 피호출측 당사자들에 대한 식별자들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잠재적인 호출측 또는 피호출측 당사자에 대하여, 다른 사용자 상태들에 대해 다른 호 처리 옵션들을 호출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그리고
    사용자 상태를 기반으로 하여 다수의 수신지들 중 하나의 수신지에 호들을 라우팅시키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통신하고 있는 클라이언트 장치에 등록하는 SIP 요구 메시지의 스트링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의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및 다른측 당사자 간의 통신을 확립하고자 하는 제1 착신용 INVITE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현재 상태에 매핑되는 하나 이상의 호 처리 옵션들에 의해 명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INVITE 메시지를 처리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새로운 상태의 표시를 다른 SIP 요구 메시지의 스트링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새로운 상태를 표시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및 다른측 당사자 간의 통신을 확립하고자 하는 제2 착신용 INVITE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새로운 상태에 매핑되는 하나 이상의 호 처리 옵션들에 의해 명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INVITE 메시지를 처리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발신 호 상태의 표시를 다른 SIP 요구 메시지의 스트링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및 다른측 당사자 간의 통신을 확립하고자 하는 발신용 INVITE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발신 호 상태에 매핑되는 하나 이상의 호 처리 옵션들에 의해 명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신용 INVITE 메시지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57011131A 2002-12-17 2003-12-09 동적 사용자 상태에 따른 처리 KR200500843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320,636 2002-12-17
US10/320,636 US6904140B2 (en) 2002-12-17 2002-12-17 Dynamic user state dependent process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4360A true KR20050084360A (ko) 2005-08-26

Family

ID=32506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1131A KR20050084360A (ko) 2002-12-17 2003-12-09 동적 사용자 상태에 따른 처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904140B2 (ko)
EP (2) EP1574029B1 (ko)
KR (1) KR20050084360A (ko)
AU (1) AU2003303046A1 (ko)
WO (1) WO2004054346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057B1 (ko) * 2007-11-07 2012-05-03 리앙 홀딩스 엘엘씨 우뇌를 활용하는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관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20707B2 (en) * 2001-05-30 2006-03-28 Tekelec Scalable, reliable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signaling routing node
US7792973B2 (en) * 2002-03-12 2010-09-07 Verizon Business Global Llc Systems and methods for initiating announcements in a SIP telecommunications network
KR20040093656A (ko) * 2002-07-29 2004-11-06 아이피 토크 가부시키가이샤 인터넷 통신 시스템 및 인터넷 통신 방법 및 세션 관리서버 및 무선 통신 장치 및 통신 중계 서버 및 프로그램
US20040028080A1 (en) * 2002-08-06 2004-02-12 Harish Samarasinghe Method of defining a SIP message body for communications between core network elements
US7254643B1 (en) 2002-08-08 2007-08-07 At&T Corp.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services to communication devices over a communications network
US7180912B1 (en) 2003-01-06 2007-02-20 At&T Corp.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plurality of multi-media services using a number of media servers to form a preliminary interactive communication relationship with a calling communication device
US7508923B1 (en) 2003-02-27 2009-03-24 At&T Corp. Call control element constructing a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message including provisions for incorporating address related information of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based devices
KR100677342B1 (ko) * 2004-07-30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환경 설정방법
KR100666945B1 (ko) 2005-01-19 2007-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Sip 프로토콜을 이용한 단말간의 미디어 정보 교환 방법
US8059665B2 (en) * 2005-05-10 2011-11-15 Nextel Communica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US8190568B2 (en) * 2005-05-20 2012-05-29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active communications
WO2007012553A1 (de) * 2005-07-26 2007-02-01 Nokia Siemens Networks Gmbh & Co. Kg Vorrichtung zum sicherstellen der erreichbarkeit von teilnehmern von kommunikationsnetzen über netzgrenzen hinweg
US7912203B2 (en) 2005-09-09 2011-03-22 Avay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alled party information to a coverage point during survivable processor operation
US8103253B2 (en) * 2005-09-22 2012-01-24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essag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20070104186A1 (en) * 2005-11-04 2007-05-10 Bea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a gatekeeper in a communications network
CN101346634B (zh) * 2005-11-04 2012-10-24 甲骨文国际公司 用于通信网络中的网守的系统和方法
CA2526791C (en) * 2005-11-14 2012-01-10 Bce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service mobility
US8171466B2 (en) * 2006-05-16 2012-05-01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Hitless application upgrade for SIP server architecture
US8219697B2 (en) * 2006-05-17 2012-07-10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Diameter protocol and SH interface support for SIP server architecture
US7929419B2 (en) * 2006-08-04 2011-04-19 Tekelec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inhibiting message traffic to an unavailable terminating SIP server
US7661027B2 (en) * 2006-10-10 2010-02-09 Bea Systems, Inc. SIP server architecture fault tolerance and failover
US8078737B2 (en) * 2006-12-13 2011-12-13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 storage of long-lived session state in a SIP server
JP4216876B2 (ja) * 2006-12-21 2009-01-28 株式会社東芝 通信端末を認証する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726293B2 (en) * 2007-01-25 2014-05-13 Cisco Technology, Inc. Dynamic application policy for service based interaction
JP4764368B2 (ja) * 2007-03-19 2011-08-31 株式会社東芝 通信を確立してメッセージを中継する装置、通信を確立する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080273678A1 (en) * 2007-05-01 2008-11-06 Igor Balk Systems and methods for phone call management
US7286661B1 (en) * 2007-05-01 2007-10-23 Unison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scalable hunt-group management
US20080285736A1 (en) * 2007-05-16 2008-11-20 Unison Technol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unified collaboration systems with conditional communication handling
US20080285587A1 (en) * 2007-05-16 2008-11-20 Unison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unified collaboration systems with user selectable reply format
US20080285588A1 (en) 2007-05-16 2008-11-20 Unison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unified collaboration systems with combined communication log
JP4920516B2 (ja) * 2007-07-10 2012-04-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話システムおよび代理応答電話機
EP2179541B1 (en) * 2007-07-31 2018-11-21 Tekelec, Inc.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distributing application or higher layer communications network signaling entity operational status information among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entities
US20090119327A1 (en) * 2007-11-07 2009-05-07 Liang Holdings Llc R-smart person-centric networking
US20100318577A1 (en) * 2007-11-20 2010-12-16 Gonzalo Camarillo Operation of p2p telecommunications networks
US20090259721A1 (en) * 2008-04-09 2009-10-15 Alcatel Lucent IMS quietude manager
US8468382B2 (en) 2008-05-08 2013-06-18 Elektrobit Wireless Communications Oy Methods and equipment for fault tolerant IP service
KR101268895B1 (ko) * 2009-06-17 2013-05-30 알까뗄 루슨트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존재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IN2012CN06917A (ko) * 2010-02-12 2015-05-29 Tekelec Inc
US9071512B2 (en) 2010-08-06 2015-06-30 Tekelec, Inc.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distributing diameter network management information
US9948726B2 (en) * 2013-07-01 2018-04-17 Avaya Inc. Reconstruction of states on controller failover
US11671533B1 (en) * 2016-06-23 2023-06-06 8X8, Inc. Programming/data sets via a data-communications server
US10778527B2 (en) 2018-10-31 2020-09-15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providing a service proxy function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core using a service-based architecture
US10750000B1 (en) 2019-01-28 2020-08-18 Blackberry Limited Opportunistic initiation of voice or video calls between smart speaker devices
US11012931B2 (en) 2019-05-24 2021-05-18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enhanced signaling gateway (SGW) status detection and selection for emergency calls
US11018971B2 (en) 2019-10-14 2021-05-25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distributing network function (NF) topology information among proxy nodes and for using the NF topology information for inter-proxy node message routing
US11528334B2 (en) 2020-07-31 2022-12-13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preferred network function (NF) location routing using service communications proxy (SCP)
US11570262B2 (en) 2020-10-28 2023-01-31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rank processing for network function selection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6386A (en) * 1996-03-11 1999-08-31 Xantel Corporation Call management system with call control from user workstation computers
US6195424B1 (en) * 1997-03-17 2001-02-27 Eagletech Communications, Inc. Automatic person-following communication system
US6185288B1 (en) * 1997-12-18 2001-02-06 Nortel Networks Limited Multimedia call signalling system and method
US6438222B1 (en) * 1998-12-23 2002-08-20 At&T Corp.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a telephone call while on-line
US6463145B1 (en) * 1999-01-29 2002-10-08 Microsoft Corporation Computer-implemented call forwarding options and methods therefor in a unified messaging system
WO2000060840A2 (en) * 1999-04-01 2000-10-12 Callwav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xpanded telecommunications service
US6526034B1 (en) * 1999-09-21 2003-02-25 Tantivy Communications, Inc. Dual mode subscriber unit for short range, high rate and long range, lower rate data communications
US6687360B2 (en) * 1999-12-30 2004-02-03 At&T Corp. Personal IP follow-me service
JP3763816B2 (ja) * 2000-09-01 2006-04-05 ノキア コーポレイション サービススクリプトの実行及び管理のためのネットワークアーキテクチャー及び方法
EP1198113A1 (en) * 2000-10-13 2002-04-17 Dansk Mobiltelefon I/S Intelligent Call Manager for routing calls to subscriber's fixed or mobile telephone according to availability
JP3743620B2 (ja) * 2001-02-22 2006-02-08 日本電気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アプリケーション分散実行システム
US7725133B2 (en) * 2001-03-30 2010-05-25 Motorola, Inc.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with quick-send features and methods therefor
US8868659B2 (en) * 2001-05-15 2014-10-21 Avay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notification and response
US20030112948A1 (en) * 2001-12-19 2003-06-19 Wendell Brow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connection between parties based on their availabilit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057B1 (ko) * 2007-11-07 2012-05-03 리앙 홀딩스 엘엘씨 우뇌를 활용하는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관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54346A3 (en) 2005-01-20
AU2003303046A1 (en) 2004-07-09
WO2004054346A2 (en) 2004-07-01
US20040114744A1 (en) 2004-06-17
AU2003303046A8 (en) 2004-07-09
US6904140B2 (en) 2005-06-07
EP3367650A1 (en) 2018-08-29
EP1574029B1 (en) 2018-04-18
EP1574029A4 (en) 2009-04-08
EP1574029A2 (en) 2005-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04140B2 (en) Dynamic user state dependent processing
RU2499359C2 (ru) Управляемое клиентом динамическое перенаправление вызова
JP4199670B2 (ja) 収束通信サービスのための通信アプリケーション・サーバ
US7042871B2 (en) Method and system for suppressing early media in a communications network
EP1790149B1 (en) Method and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server for the exchange of end-point capabilities
JP3928953B2 (ja) Ip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基本的コールファンクションとサービス提供の分離
US8983043B2 (en) Data communication
EP1817682B1 (en) Providing a proxy server feature at an endpoint
Kolberg et al. Managing feature interactions between distributed SIP call control services
US20090254665A1 (en) Trigger-Based Session Completion Using External Parties
Chou et al. Web services for service-oriented communication
El Saghir et al. An intelligent assistant for context-aware adaptation of personal communications
EP1793560A1 (en) Distributed communication through media services
Wu et al. SIPC–a SIP user agent
Chang et al. Towards mobile agent based provision of voice over IP services
Otten An investigation into the provision of video capabilities in iLanga
Aye et al. Implementation and Analysis of VoIP appl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