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1774A -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 - Google Patents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1774A
KR20050081774A KR1020040010149A KR20040010149A KR20050081774A KR 20050081774 A KR20050081774 A KR 20050081774A KR 1020040010149 A KR1020040010149 A KR 1020040010149A KR 20040010149 A KR20040010149 A KR 20040010149A KR 20050081774 A KR20050081774 A KR 200500817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r
chamber
air
condensation chamber
in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0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명
이동정
Original Assignee
이동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순 filed Critical 이동순
Priority to KR1020040010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81774A/ko
Publication of KR20050081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1774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18Flexible soft ducts, e.g. ducts made of permeable text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서로 격리된 응축실 및 증발실이 형성된 케이싱과, 응축실에 설치되어 공기를 응축실 내로 흡입하고 이를 응축기를 경유시켜 배출하는 흡배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응축실로 흡입되는 모든 공기가 응축기 표면에 접촉하여 통과되도록 응축기가 응축실 공간을 질러 그 측변이 상기 응축실 내측벽에 인접되게 설치되어, 작은 부피를 갖는 제품에서도 보다 넓은 표면적의 응축기를 확보함과 동시에 응출실로 흡입되는 모든 공기를 확보된 응축기 표면에 빠짐없이 접촉시키면서 냉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냉방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Out door machine unifying type portable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은 부피를 갖는 제품에서도 보다 넓은 표면적의 응축기를 확보함과 동시에 응출실로 흡입되는 모든 공기를 확보된 응축기 표면에 빠짐없이 접촉시키면서 냉각시켜 냉방성능을 대폭 향상시키는 데 적당하도록 한 공기 유통관을 구비하는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이라 함은 압축기(compressor)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기(condenser)에서 액화시킨 뒤 팽창밸브(expansion valve)를 통해 증발기(evaporator)에서 다시 기화시켜, 이때 흡수되는 기화열에 의해 실내를 냉각시키는 장치를 일컫는다.
이와 같은 에어컨에서는 냉매를 응축시킬 때 응축기에서 발생하는 열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제거하는가가 에어컨 전체의 성능과 냉방용량을 좌우하게 된다.
따라서, 응축기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키기 위해 다양한 방식 및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상기 응축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방식으로는 공냉식과 수냉식, 또는 공냉식과 수냉식을 혼합한 형태인 혼합식이 대표적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실외기 설치를 위한 설치 공간 확보의 어려움과 미관상의 이유로 실외기 없는 에어컨을 요구하는 소비자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이동 및 설치가 편리한 작은 크기의 포터블 에어컨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포터블 에어컨의 경우 실내에 설치되기 때문에 설치 공간이 제한되는 것은 물론, 응축기를 냉각하기 위한 신선한 공기를 확보하는 데도 어려움이 있어서 이에 대한 기술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도 1은 종래의 포터블 에어컨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포터블 에어컨은 증발실(153)과 응축실(151)이 각각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케이싱(155)과, 상기 증발실(151)에 설치되는 증발기(157)와, 상기 응축실(151)에 설치되는 압축기(159)와, 응측기(161), 배기팬(163)을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배기팬(163)에 의하여 실내로부터 상기 응축실(151) 내로 공기가 흡입되고, 상기 응축실(151) 내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응축기(161)의 표면에 접촉되면서 열교환을 수행하게 된다.
이렇게 열교환을 수행하여 상기 응축기(161)를 냉각시킨 공기는 상기 배기팬(163)에 의해 실외로 배출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구성에 따르면 응축기(161)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공기를 실내로부터 공급받는 관계로 응축기(161)에 대한 냉각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구성에 따르면 상부와 하부에 증발실(153)과 응축실(151)이 배치되어 응축실(151)의 높이가 높지 않은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전측으로부터 흡입되는 공기에 응축기(161)의 표면을 접촉시키기 위해서는 통상 응축기(161)를 수직으로 세워 설치해야 하므로 응축기(161)가 충분한 크기로 설치되는 데 한계가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에어컨에서는 공기의 저항이 작은 응축기(161)와 응축실(151) 내측벽이 이격된 사이로 많은 공기가 흐르는 관계로, 흡입되는 공기 중 상당량이 응축기(161) 표면에 접촉되지 못하고 그냥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결국 상기와 같은 문제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종래의 포터블 에어컨에서는 일정 이상의 냉방성능을 갖기 위하여 제품 크기의 증가 및 대량의 전력소비가 불가피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넓은 표면적을 갖는 응축기를 확보함과 동시에 흡입되는 모든 공기를 응축기 표면에 빠짐없이 접촉시킬 수 있는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은, 압축기, 응축기 및 증발기가 설치되는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가 설치되는 응축실 및, 상기 증발기가 설치되고 상기 응축실과는 격리된 증발실이 형성되며, 실외공기가 상기 응축실로 유입 및 유출되는 공기 유입구와 공기 유출구가 각각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응축실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 유입구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이를 상기 응축기를 경유시켜 상기 공기 유출구로 배출하는 흡배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응축실로 흡입되는 모든 공기가 상기 응축기 표면에 접촉하여 통과되도록 상기 응축기는 상기 응축실 공간을 질러 그 측변이 상기 응축실 내측벽에 인접되게 설치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증발실은 상기 케이싱 상부 전측에 형성되고, 상기 응축실은 상기 케이싱의 상부 후측 및 하부에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증발실은 상기 케이싱 좌우 일측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응축실은 상기 케이싱의 좌우 일측 하부 및 타측에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에는 압축기가 설치되는 압축실이 더욱 형성되어, 상기 케이싱의 좌우 일측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기 증발실 및 압축실이 배치되고, 상기 케이싱의 좌우 타측에는 상기 응축실이 상기 증발실 및 압축실과 격리되어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흡배기수단은 상기 응축기를 사이에 두고 상기 공기유입구의 반대편에 설치되는 흡배기팬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배기수단은 상기 흡배기팬의 배출측과 상기 공기 유출구를 연결하는 배출관을 더욱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출관은 공기 유출구가 형성되는 높이에 맞추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조립 및 분리 가능한 복수개의 짧은 배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흡배기팬은 흡입측이 상측을 향하도록 하여 상기 응축실의 하부 중앙에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흡배기팬은 흡입측이 각각 좌우측을 향하도록 상기 응축실 중앙에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흡배기팬은 흡입측이 전측을 향하도록 하여 상기 응축실 하부 후측에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흡배기팬은 흡입측이 타측을 향하도록 상기 응축실 하부 좌우 일측에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흡배기팬은 흡입측이 서로 대향하도록 상기 응축실 하부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유출구는 상기 공기 유입구 인근에 나란히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응축기는 상기 응축실을 수평하게 가로질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응축기는 상기 흡배기수단 주변을 감싸도록 상변과 하변이 각각 상기 응축실의 좌우 일측벽 및 바닥에 인접되게 설치되고, 양측변은 상기 응축실의 전후 측벽에 인접되게 설치되는 곡면형 응축기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기는 응축실에 비스듬히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기는 하변이 인접된 브이자형의 제 1응축기 및 제 2응축기로 구성되고, 상기 제 1응축기 및 제 2응축기의 양측변 및 상변이 각각 상기 응축실 내측벽에 인접되게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기는 상변이 인접된 역브이자형의 제 1응축기 및 제 2응축기로 구성되고, 상기 제 1응축기 및 제 2응축기의 양측변 및 하변이 각각 상기 응축실의 내측벽에 인접되게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기는 삼각형 패널 형상을 갖는 네 개의 응축기가 각각 양측변이 상호 인접되어 피라미드형을 이루고, 하변은 응축실 내벽에 인접되는 피라미드형 응축기인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압축기, 응축기 및 증발기가 설치되는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에 있어서, 상부 전측에 증발기가 설치되는 증발실이 형성되고, 상부 후측 및 하부에 응축기가 설치되는 응축실이 형성되며, 실외공기가 상기 응축실로 유입 및 유출되는 공기 유입구와 공기 유출구가 각각 상기 응축실 상부 후측벽에 나란히 형성되는 케이싱과; 상기 응축실 내에서 상기 응축기를 사이에 두고 상기 공기유입구의 반대편인 하부에 설치되는 흡배기팬과, 상기 흡배기팬의 배출측과 상기 공기 유출구를 연결하는 배출관으로 구성되어 상기 공기 유입구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이를 상기 응축기를 경유시켜 상기 공기 유출구로 배출하는 흡배기수단과; 응축실로 흡입되는 모든 공기가 상기 응축기 표면에 접촉하여 통과되도록 상기 응축기는 상기 응축실 공간을 수평하게 가로질러 그 측변이 상기 응축실 내측벽에 인접되게 설치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은 응축기 및 증발기가 하나의 케이싱 내에 설치되는 일체형 제품으로 컴팩트한 작은 부피의 외형을 가지며, 실내에서 이동 및 설치가 대단히 간단하고 용이하다.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이와 같이 작은 부피를 갖는 제품임에도 불구하고 넓은 표면적의 응축기가 설치되고, 설치된 응축기에 대하여는 신선한 실외공기가 원활한 흐름으로 충분히 접촉되도록 구성되어 열교환 효과가 극대화된다. 이로써, 전력소모는 적으면서도 냉방효율이 뛰어나게 되어 제품의 크기는 작지만 작은 규모의 실내는 물론 중간급 규모의 실내까지도 냉방 가능할 정도의 냉방성능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의 경우 압축기(compressor)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기(condenser)에서 액화시킨 뒤 팽창밸브(expansion valve)를 통해 증발기(evaporator)에서 다시 기화시켜, 이때 흡수되는 기화열에 의해 실내를 냉각시키는 것은 공지의 기술과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러나, 전술된 바와 같이 최대한 열교환 면적을 확보하기 위해 제한된 공간에 적절한 형태 및 배치로 설치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에 흡입되는 공기를 충분히 접촉시키기 위한 구성에서 기술적 특징이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이를 중심으로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이에, 도 2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부분 절개한 입면도이고, 도 3은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정면을 개방한 정면도이며, 도 4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배면을 개방한 배면도이며, 도 5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우측면이 개방된 우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흡배기수단의 분리 가능한 배출관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케이싱(1), 압축기(2), 응축기(3), 증발기(4), 흡배기수단(5) 및 송풍팬(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케이싱(1)은 응축기(3)가 설치되는 응축실(11)을 비롯, 증발기(4)가 설치되고 상기 응축실(11)과는 공기가 유통되지 않도록 격리된 증발실(13)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증발실(13)은 상기 케이싱(1) 상부 전측에 형성되고, 상기 응축실(11)은 상기 케이싱(1)의 상부 후측 및 하부에 하나의 공간을 이루면서 형성된다. 이같은 구성에 따르면 증발실(13)이 차지하는 부피는 최소화하는 대신 상기 응축실(11)의 부피를 극대화하여 응축실(11) 내에서 공기가 흐를 수 있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응축실(11)의 후측벽 상부에는 실외공기가 응축실(11) 내로 유입 및 유출 가능하도록 공기 유입구(15) 및 공기 유출구(17)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공기 유입구(15) 및 공기 유출구(17)는 가까운 인근에 나란히 형성된다.
이같이 공기 유입구(15) 및 공기 유출구(17)가 응축실(11) 후측벽 상부에 나란히 형성되면 건물에 형성된 창문과 대략 같은 높이를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 유입구(15) 및 공기 유출구(17)와 실외를 연결하는 연결배관들을 과다한 노출없이 깔끔하게 정돈된 상태로 실외에 드리울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응축실(11)의 내부공간 높이가 케이싱(1)의 높이와 비슷하게 형성되고 상기 공기 유입구(15)가 응축실(11)의 상부에 형성되면 상기 공기 유입구(15)가 응축기(3)로부터 충분한 거리를 두고 위치하게 된다.
이로써, 공기 유입구(15)로 흡입되는 공기가 응축기(3)에 접촉하기 전에 고르게 퍼질 수 있는 여유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공기 유입구(15)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가 응축기(3) 표면 전체에 충분히 퍼지면서 접촉할 수 있도록, 응축기(3)와 공기 유입구(15) 간 거리를 길게 하거나 공기 유입구(15)의 개구된 넓이를 크게 하는 방식으로 적절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구(15) 및 공기 유출구(17)는 창문과 같이 실외와 통할 수 있는 개소가 있는 건물구조에 적합하게 상기 응축실(11)의 후측벽, 좌우 측벽 또는 상측벽 등에 높낮이를 조절하여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흡배기수단(5)은 흡배기팬(51)과 배출관(5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중 흡배기팬(51)은 응축기(3)를 사이에 두고 상기 공기 유입구(15)의 반대편에 설치되고, 상기 배출관(53)은 상기 흡배기팬(51)의 배출측과 공기 유출구(17)에 연결, 설치된다.
이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흡배기팬(51)의 흡입력에 의해 응축실(11) 내에서 흐르는 공기가 상기 응축기(3)를 경유하면서 접촉하게 되어 자연스럽게 열교환이 일어나게 된다.
이때, 상기 배출관(53)은 상기 응축실(11) 내에서 상기 흡배기팬(51)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공기 유출구(17)로 배출하는 격리된 유로를 형성시켜주며, 흡배기팬(51)에 흡입되는 공기와 어떠한 충돌도 없이 공기를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이같은 상기 배출관(53)이 구비되면 상기 흡배기팬(51) 및 공기 유출구(17)의 위치를 보다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어, 전술된 것처럼 상기 공기 유입구(15)와 공기 유출구(17)를 나란히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관(53)은 도 6을 참조하면 조립 및 분리 가능한 복수개의 짧은 배관(53a,53b)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각 배관(53a,53b)들은 도시된 것처럼 상단과 하단이 체결을 위한 플랜지(54) 형태를 갖거나 상단이 하단 내부로 끼워지는 끼움구조를 갖는다.
또한, 최상단에 위치하는 배관(53b)은 응축실(11) 후측벽에 형성된 공기 유출구(17)에 결합되기 적합하도록 "L" 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적당하다.
상기 응축기(3)는 응축실(11) 공간을 수평하게 가로질러 그 측변이 상기 응축실(11) 내측벽에 인접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응축기(3)의 측변 중 일부는 배출관(53)이 하부에서 상부로 지나가는 관계로 응축실(11) 내측벽 대신에 배출관(53)에 인접되고, 필요하다면 상기 응축실(11) 내측벽에서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응축기(3) 측변의 대부분은 상기 응축실(11) 내측벽에 인접되게 설치된다.
이로써, 넓은 표면적을 갖는 상기 응축기(3)가 응축실(11) 내에서 공기 유입구(15)와 흡배기팬(51) 사이를 빈틈없이 가로막게 되어, 상기 응축실(11)로 흡입되는 모든 공기가 상기 흡배기팬(51)에 흡입되기 직전에 상기 응축기(3) 표면에 빠짐없이 접촉하게 된다.
이같이, 본 발명은 응축실(11) 내로 흡입되는 모든 공기가 원활하게 흐르면서 응축기(3) 표면에 최대한 접촉하게 되어 뛰어난 열교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응축기(3)를 냉각하기 위한 공기의 흐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흡배기팬(51)의 흡입력에 의해 실외공기가 응축실(11) 상부 후측벽에 형성된 공기 유입구(15)를 통해 응축실(11)로 흡입된다.
흡입된 실외공기는 계속해서 흡배기팬(51)에 의한 흡입력의 영향을 받으면서 응축실(11) 상부에서 하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그러면 흐르는 공기는 응축실(11) 상부의 협소한 공간을 지나 하부의 넓은 공간으로 내려오면서 자연스럽게 퍼지게 되며, 응축실(11) 공간을 가로질러 설치된 응축기(3) 표면에 의한 저항을 받으면서 더욱 넓게 퍼진 상태로 응축기(3)를 통과하게 된다.
이로써, 흡입된 공기가 응축기(3) 표면에 충분한 면적으로 접촉되면서 응축기(3)와 활발히 열교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응축실(11)은 공기의 원활한 흐름을 보존하는 통로 역할을 하고, 상기 응축기(3)는 이러한 응축실(11) 공간을 수평하게 가로질러 설치되기 때문에 흡입된 모든 공기가 빠짐없이 응축기(3) 표면에 활발하게 접촉하면서 열교환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 응축기(3)를 통과한 공기는 흡배기팬(51)에 흡입된 후 배출되어 배출관(53) 내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공기 유출구(17)로 배출된다. 이렇게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공기 유출구(17)로부터 실외로 연결되는 연결배관을 통해 최종적으로 실외에 배출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며, 이하에서는 몇가지 다른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7은 변형된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전면이 개방된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된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서는 제 1실시예와 비교하여 흡배기팬(51)의 흡입측이 전측을 향하도록 하여 상기 응축실(11) 하부 후측에 설치되는 구성상의 차이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 1실시예에서 흡배기팬(51)이 우측에 설치되었을 경우에 비해 공기가 편중되지 않고 보다 균일하게 응축기(3)에 접촉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전면이 개방된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실시예에서는 응축기(203)가 응축실(211)에 비스듬히 경사지게 설치된다. 또한, 설치된 응축기(203)에 적합하도록 흡배기팬(251)은 응축실(211)의 하부 우측에서 흡입측이 좌측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이로써, 응축실(211) 내에 넓은 표면적을 갖는 응축기(203)를 확보하면서 흡입되는 모든 공기가 빠짐없이 상기 응축기(203) 표면과 접촉하여 열교환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 2실시에서는 제 1실시예와 비교하여 비스듬히 경사지게 설치되는 응축기(203) 구성에 의해 더 넓은 열교환 면적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9는 제 3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전면이 개방된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실시예에서는 흡배기팬(351) 주변을 감싸는 곡면형 응축기(303)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곡면형 응축기(303)는 상변과 하변이 각각 상기 응축실(311)의 좌측벽 및 바닥에 인접되게 설치된다.
또한, 이같이 설치된 곡면형 응축기(303)에 적합하도록 흡배기팬(351)은 응축실(311)의 하부 좌측에서 흡입측이 우측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이로써, 응축실(311) 내에 넓은 표면적을 갖는 응축기(303)를 확보하면서 흡입되는 모든 공기가 빠짐없이 상기 응축기(303) 표면과 접촉하여 열교환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 3실시예에 따른 구성 역시 제 1실시예에 비해 더 넓은 역교환 면적으로 확보함과 동시에 약간 곡선지게 형성된 응축기(303)에 형상에 의해 공기가 더 넓게 퍼지면서 응축기(303)와 더 균일한 접촉이 가능하게 된다.
도 10은 제 4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전면이 개방된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실시예에서는 브이자형 응축기(403a,403b)가 설치된다. 상기 브이자형 응축기(403a,403b)는 하변이 브이자형으로 인접된 제 1응축기(403a) 및 제 2응축기(403b)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응축기(403a) 및 제 2 응축기(403b)의 양측변 및 상변은 각각 상기 응축실(411)의 내측벽에 인접되게 설치된다.
또한, 흡배기팬(451a,451b)은 흡입측이 서로 대향하도록 응축실(411) 하부 좌우축에 각각 설치된다. 이는 상기 브이자형 응축기(403)의 경우 흡입된 공기와 충분히 접촉되기 위해서는 흡입되는 공기가 좌우로 퍼지면서 흐르는 것이 적당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제 4실시예는 공기 흐름의 지장을 받지 않는 가운데 부이자형 응축기(403a,403b)에 의해 상당히 넓은 열교환 면적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변형된 제 4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전면이 개방된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된 제 4실시예에서는 제 4실시예와 비교해서 브이자형 응축기(403a,403b)를 뒤집어 놓은 형상을 갖는 역브이자형 응축기(403a',403b')가 설치된다.
상기 역브이자형 응축기(403a',403b')는 상변이 역브이자형으로 인접된 제 1응축기(403a') 및 제 2응축기(403b')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응축기(403a') 및 제 2 응축기(403b')의 양측변 및 하변은 상기 제 4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각각 상기 응축실(411)의 내측벽에 인접되게 설치된다.
또한, 흡배기팬(451)은 응축실(411) 하부 중앙에서 흡입측이 상측을 향하도록 설치되거나, 양측에 흡입측을 갖는 것으로 구비되어 응축실(411) 하부 중앙에서 흡입측이 좌우 양측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도 12는 제 5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전면이 개방된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5실시예에서는 변형된 형태의 케이싱(501) 및 이에 적절한 형태로 설치되는 브이자형 응축기(503a,503b)를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싱(501)에는 압축기가 설치되는 압축실(514)이 더욱 형성되면, 상기 케이싱(1)의 우측 상부와 하부에 각각 증발실(513) 및 압축실(514)이 배치되고, 좌측에는 증발실(513) 및 압축실(514)과 격리된 응축실(511)이 배치되는 독특한 구조를 갖는다.
이같은 케이싱(501) 구조는 응축실(511) 높이를 최대한 확보하여 넓은 표면적의 응축기(503)를 설치하는 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응축실(511)이 매끄러운 일직선의 관 형태를 갖게 되어 공기 유입구(515)를 통해 흡입되는 실외공기가 흡배기팬(551)에 흡입되기까지 공기 흐름이 거의 방해받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브이자형 응축기(503a,503b)는 하변이 인접된 브이자형의 제 1응축기(503a) 및 제 2응축기(503b)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응축기(503a) 및 제 2 응축기(503b3)의 양측변 및 하변은 각각 상기 응축실(511)의 내측벽에 인접되게 설치된다.
이같은 제 5실시예에서는 제 4실시예와 비교하여 응축실(511)이 보다 높게 형성되기 때문에 이에 맞추어서 더 높은 형태의 브이자형 응축기(503a,503b)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흡배기팬(551)은 상기 응축실(511) 및 브이자형 응축기(503)의 구성에 적절하도록 응축실(511) 하부에 설치되고 흡입측은 브이자형 응축기(503a,503b)가 있는 상측을 향하도록 한다.
이같은 구성에 따르면, 공기 유입구(515)를 통해 흡입되는 실외공기가 상기 흡배기팬(551)에 흡입되는 동안 흐름을 거의 방해받지 않으면서 전량이 상기 브이자형 응축기(503)에 원활하게 접촉하면서 열교환을 수행하게 된다.
도 13은 변형된 제 5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전면이 개방된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된 제 5실시예에서는 제 5실시예와 비교하여 브이자형 응축기(503a,503b)가 역브이자형 응축기(503a',503b')로 대체 설치되는 특징으로 갖는다.
이러한 역브이자형 응축기(503a',503b')는 상변이 인접된 역브이자형의 제 1응축기(503a') 및 제 2응축기(503b')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응축기(503a') 및 제 2 응축기(503b')의 양측변 및 하변은 각각 상기 응축실(511)의 내측벽에 인접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흡배기팬(551) 및 케이싱(501)은 전술된 제 5실시예와 대동소이한 구성을 가지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는 또 다른 형태로 변형된 제 5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전면이 개방된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형태로 변형된 제 5실시예에서는 제 5실시예와 비교하여 브이자형 응축기(503a,503b) 대신 피라미드형 응축기(503P)가 설치된다.
상기 피라미드형 응축기(503P)는 삼각형 패널 형상을 갖는 네 개의 응축기가 각각 측변이 상호 인접된 피라미드형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흡배기팬(551) 및 케이싱(501)은 전술된 제 5실시예와 대동소이한 구성을 가지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된 제 2실시예 내지 제 5실시예는 공통적으로 넓은 표면적을 갖는 응축기를 확보함과 동시에 확보된 응축기에 대하여 흡입되는 모든 공기를 접촉시키므로 뛰어난 냉방성능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은, 넓은 표면적의 응축기를 확보함과 동시에 응출실로 흡입되는 모든 공기를 응축기 표면에 접촉시킬 수 있게 되어 냉방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우수한 냉방성능을 거두면서도 복잡하지 않은 간단한 구성을 가지므로 작은 제품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포터블 에어컨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2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부분 절개한 입면도.
도 3은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정면을 개방한 정면도.
도 4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배면을 개방한 배면도.
도 5는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우측면이 개방된 우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흡배기수단의 분리 가능한 배출관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도.
도 7은 변형된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전면이 개방된 정면도.
도 8은 제 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전면이 개방된 정면도.
도 9는 제 3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전면이 개방된 정면도.
도 10은 제 4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전면이 개방된 정면도.
도 11은 변형된 제 4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전면이 개방된 정면도.
도 12는 제 5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전면이 개방된 정면도.
도 13은 변형된 제 5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전면이 개방된 정면도.
도 14는 또 다른 형태로 변형된 제 5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전면이 개방된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싱 2 : 압축기
3 : 응축기 4 : 증발기
5 : 흡배기수단 6 : 송풍기

Claims (20)

  1. 압축기, 응축기 및 증발기가 설치되는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가 설치되는 응축실 및, 상기 증발기가 설치되고 상기 응축실과는 격리된 증발실이 형성되며, 실외공기가 상기 응축실로 유입 및 유출되는 공기 유입구와 공기 유출구가 각각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응축실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 유입구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이를 상기 응축기를 경유시켜 상기 공기 유출구로 배출하는 흡배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응축실로 흡입되는 모든 공기가 상기 응축기 표면에 접촉하여 통과되도록 상기 응축기는 상기 응축실 공간을 질러 그 측변이 상기 응축실 내측벽에 인접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실은 상기 케이싱 상부 전측에 형성되고, 상기 응축실은 상기 케이싱의 상부 후측 및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실은 상기 케이싱 좌우 일측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응축실은 상기 케이싱의 좌우 일측 하부 및 타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에는 압축기가 설치되는 압축실이 더욱 형성되어, 상기 케이싱의 좌우 일측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기 증발실 및 압축실이 배치되고, 상기 케이싱의 좌우 타측에는 상기 응축실이 상기 증발실 및 압축실과 격리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배기수단은 상기 응축기를 사이에 두고 상기 공기유입구의 반대편에 설치되는 흡배기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흡배기수단은 상기 흡배기팬의 배출측과 상기 공기 유출구를 연결하는 배출관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은 공기 유출구가 형성되는 높이에 맞추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조립 및 분리 가능한 복수개의 짧은 배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흡배기팬은 흡입측이 상측을 향하도록 하여 상기 응축실의 하부 중앙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흡배기팬은 흡입측이 각각 좌우측을 향하도록 상기 응축실 중앙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흡배기팬은 흡입측이 전측을 향하도록 하여 상기 응축실 하부 후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흡배기팬은 흡입측이 타측을 향하도록 상기 응축실 하부 좌우 일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
  12.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흡배기팬은 흡입측이 서로 대향하도록 상기 응축실 하부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
  13.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출구는 상기 공기 유입구 인근에 나란히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
  1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는 상기 응축실을 수평하게 가로질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
  1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는 상기 흡배기수단 주변을 감싸도록 상변과 하변이 각각 상기 응축실의 좌우 일측벽 및 바닥에 인접되게 설치되고, 양측변은 상기 응축실의 전후 측벽에 인접되게 설치되는 곡면형 응축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
  1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는 응축실에 비스듬히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
  17.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는 하변이 인접된 브이자형의 제 1응축기 및 제 2응축기로 구성되고, 상기 제 1응축기 및 제 2응축기의 양측변 및 상변이 각각 상기 응축실 내측벽에 인접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
  18.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는 상변이 인접된 역브이자형의 제 1응축기 및 제 2응축기로 구성되고, 상기 제 1응축기 및 제 2응축기의 양측변 및 하변이 각각 상기 응축실의 내측벽에 인접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
  19.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는 삼각형 패널 형상을 갖는 네 개의 응축기가 각각 양측변이 상호 인접되어 피라미드형을 이루고, 하변은 응축실 내벽에 인접되는 피라미드형 응축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
  20. 압축기, 응축기 및 증발기가 설치되는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에 있어서,
    상부 전측에 증발기가 설치되는 증발실이 형성되고, 상부 후측 및 하부에 응축기가 설치되는 응축실이 형성되며, 실외공기가 상기 응축실로 유입 및 유출되는 공기 유입구와 공기 유출구가 각각 상기 응축실 상부 후측벽에 나란히 형성되는 케이싱과;
    상기 응축실 내에서 상기 응축기를 사이에 두고 상기 공기유입구의 반대편인 하부에 설치되는 흡배기팬과, 상기 흡배기팬의 배출측과 상기 공기 유출구를 연결하는 배출관으로 구성되어 상기 공기 유입구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고 이를 상기 응축기를 경유시켜 상기 공기 유출구로 배출하는 흡배기수단과;
    응축실로 흡입되는 모든 공기가 상기 응축기 표면에 접촉하여 통과되도록 상기 응축기는 상기 응축실 공간을 수평하게 가로질러 그 측변이 상기 응축실 내측벽에 인접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
KR1020040010149A 2004-02-16 2004-02-16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 KR200500817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0149A KR20050081774A (ko) 2004-02-16 2004-02-16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0149A KR20050081774A (ko) 2004-02-16 2004-02-16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1774A true KR20050081774A (ko) 2005-08-19

Family

ID=37268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0149A KR20050081774A (ko) 2004-02-16 2004-02-16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8177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55189A (zh) * 2019-03-20 2019-06-07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便携式空调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55189A (zh) * 2019-03-20 2019-06-07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便携式空调
CN109855189B (zh) * 2019-03-20 2024-05-14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便携式空调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40162B2 (en) Integrated air conditioner
KR20050022680A (ko) 에어컨 실내기
US11578877B2 (en) Air conditioner having fan module with installation space and stabilizer modifier spaced apart from the fan module
KR100471438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응축기 냉각구조
KR20050081774A (ko)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
KR200163495Y1 (ko)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
KR100409007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가이드 구조
KR100608128B1 (ko) 공기조화기
KR100437055B1 (ko) 공기조화기의 에어 가이드
KR100579572B1 (ko) 공기조화기
KR100529914B1 (ko)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50089274A (ko)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
KR200335241Y1 (ko) 공기 유통관을 구비하는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
JP3832011B2 (ja) 空冷吸収式冷凍装置
KR20220080065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200339846Y1 (ko) 공기 유통관을 구비하는 실외기 일체형 포터블 에어컨
KR200335239Y1 (ko) 공기 유통관을 구비하는 포터블 에어컨
KR20040020709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0140250B1 (ko) 창문형 에어콘의 풍향분산구조
KR200163496Y1 (ko) 에어컨의 실외기
KR20230106451A (ko) 공기조화기
KR20040015880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케이스 구조
KR100564464B1 (ko) 에어컨 실내기
KR20020061761A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냉기토출 구조
KR20030053868A (ko) 에어컨 실내기의 공기흐름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