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1497A -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도움말 출력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도움말 출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1497A
KR20050081497A KR1020040009754A KR20040009754A KR20050081497A KR 20050081497 A KR20050081497 A KR 20050081497A KR 1020040009754 A KR1020040009754 A KR 1020040009754A KR 20040009754 A KR20040009754 A KR 20040009754A KR 20050081497 A KR20050081497 A KR 200500814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p
voice
terminal
function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9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2217B1 (ko
Inventor
박준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9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2217B1/ko
Publication of KR20050081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1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2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22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user help function

Landscapes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각 장애인이 안경을 쓰지 않고도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단말기의 각종 메뉴 및 버튼 입력 시 해당 메뉴의 도움말을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각 장애인은 물론 노인 등 단말기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가 친근하고 편리하게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도움말 출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움말 호출 버튼이 입력되는지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도움말 호출 버튼이 입력된 기능에 해당하는 음성 도움말을 단말기에 내장된 음성 도움말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된 음성 도움말을 음성 출력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도움말 출력 방법{VOICE HELP MESSAGE OUTPUT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도움말 출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각 장애인이 안경을 쓰지 않고도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단말기의 각종 메뉴 및 버튼 입력 시 해당 메뉴의 도움말을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각 장애인은 물론 노인 등 단말기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가 친근하고 편리하게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도움말 출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단순한 전화 기능에 여러 가지 부가기능을 더하여 휴대 가능한 정보기기로 점차 발전하고 있으며, SMS(Short Message Service)나 전화번호, 스케줄, 메모 및 기타정보 등의 입력 기능은 기본으로 구비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재는 채팅 및 무선 인터넷까지도 가능한 상황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기능들은 단말기에 부착된 키패드 버튼을 누름으로써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단말기 제조업체에서는 통화 품질을 좋게 하는 것 이외에도, 키패드 버튼의 숫자를 줄이면서 최대한 많은 기능을 구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버튼의 모양 및 버튼을 배치할 위치도 중요한 연구 분야가 되고 있다.
그 중 한가지 방법으로 버튼 하나에 한 가지 이상의 기능을 부가하여, 그 버튼을 짧게 눌렀을 때 수행할 기능과 길게 눌렀을 때 수행할 기능을 다르게 하는 방법이 있다.
가령, 키패드의 숫자 버튼을 소정 시간 이하로 짧게 누를 경우에는, 해당하는 숫자 하나만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되지만, 소정 시간 이상 길게 누를 경우에는 같은 숫자가 연속해서 계속 표시되는 경우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 키패드의 '통화' 버튼(또는 '종료' 버튼)은 소정 시간 이하로 짧게 누를 경우에는, 현재 수행되고 있는 기능(예를 들어, 전화 통화 또는 메뉴 조작 등)을 중지시키게 되고, 소정 시간 이상 길게 누를 경우에는 단말기의 전원을 온/오프 하는 경우이다.
상기 두 가지 실시예는 버튼의 눌림 시간에 따라 다른 기능이 수행되도록 한 가장 대표적인 경우로, 사용 중 편의에 따라 더 많은 기능이 부가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하나의 버튼에 한 가지 이상의 기능이 설정된 경우, 이를 버튼에 표시하지 않는 한 사용자는 그 버튼에 설정된 기능을 알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는 매뉴얼이나 여러 번의 시행 착오를 통해서 숙지하거나 단말기에 따라서는 도움말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도움말 기능은 단말기의 화면이 크지 않고 도움말 내용이 많을 경우가 있다. 특히, 시각 장애인이나 노인들의 경우에는 번호 입력을 위한 숫자도 크게 하고 있는 상황에서, 도움말 기능이 있다고 하더라도 시각 장애인이 읽을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표시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시각 장애인이 안경을 쓰지 않고도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단말기의 각종 메뉴 및 버튼 입력 시 해당 메뉴의 도움말을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각 장애인은 물론 노인 등 단말기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가 친근하고 편리하게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도움말 출력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움말 호출 버튼이 입력되는지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도움말 호출 버튼이 입력된 기능에 해당하는 음성 도움말을 단말기에 내장된 음성 도움말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된 음성 도움말을 음성 출력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시각 장애인이나 노인과 같이 작은 크기의 텍스트로 정보를 전달할 수 없는 특정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도움말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의 제공을 요지로 하는 것으로, 시각이 좋지 않은 사용자들은 매뉴얼을 참조하더라도 단말기의 각종 기능을 습득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음성으로 사용자에게 도움말 내용 전달하여 단말기의 각종 기능의 사용 방법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도움말을 출력시키는 방법에 대해서는 요지로 하지 않는다. 예컨대, 도움말 출력 버튼(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버튼)을 별도로 구비할 수도 있고, 임의의 기능 버튼에 대한 누름 방법을 두 가지로 구비하여, 해당 버튼을 짧게 누를 때는 해당 기능을 수행하게 하고, 길게 누르거나 연속해서(짧게) 두 번 누르는 경우에는 도움말이 출력되게 하는 등, 단말기 제조업자에 따라서 다양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어떠한 방식으로 도움말이 출력되도록 설정되어 있더라도 그에 대응하여 해당 도움말을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요지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도움말 출력 방법을 보인 순서도로서, 우선 사용자는 음성 도움말 설정 메뉴를 통해 음성 도움말 기능을 사용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시각 장애자가 단말기를 구입할 경우를 위하여 모든 기능의 도움말 음성 출력 기능이 디폴트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말기 내부적으로는 음성 도움말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여, 도움말 출력 이벤트가 발생할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하는 기능에 대한 도움말을 검색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음성 도움말 데이터베이스에는 각종 기능에 대하여 각기 간단 음성 도움말 및 풀 음성 도움말을 저장한다.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도움말 호출 방법에 대해서는 어떠한 방식을 사용하더라도 관계하지 않으며, 다만 도움말 기능이 호출되는지 여부만 판단한다. 예컨대, 버튼 눌림 시간을 이용하여 도움말 기능을 호출한다고 할 경우, 버튼이 길게 눌리는지 여부를 검출하여 도움말 기능이 호출되는지 판단한다.
이때, 상기 도움말 기능은 설정에 따라 간단히 제목만을 출력하게 하거나, 해당 기능이 어떤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것인지 설명까지 해주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메뉴' 버튼을 누를 경우 "메뉴 버튼을 누르셨습니다. 방향키를 눌러 원하는 메뉴로 이동하세요."라는 음성을 출력하고, 그 음성 도움말에 따라 방향키를 눌러 이동할 경우, 이동하는 메뉴에 따라 "전화번호부 기능입니다.", "음량벨소리 설정 기능입니다.", "화면설정 기능입니다.", "카메라 기능입니다." 와 같은 간단한 제목 정도만을 출력하게 하거나, "음량벨소리 설정 기능입니다. 이 메뉴에서 폴더음 및 버튼음 벨/진동 전환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와 같이 해당 기능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한 도움말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를 처음 구입한 사용자는 기능 설명까지 음성으로 출력하는 풀 도움말 기능으로 설정하고, 단말기 사용이 어느정도 익숙한 사용자는 간단 도움말 기능으로 설정함으로써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도움말 출력 방법은, 시각 장애인이 안경을 쓰지 않고도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단말기의 각종 메뉴 및 버튼 입력 시 해당 메뉴의 도움말을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각 장애인은 물론 노인 등 단말기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가 친근하고 편리하게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도움말 출력 방법을 보인 순서도.

Claims (3)

  1. 도움말 호출 버튼이 입력되는지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도움말 호출 버튼이 입력된 기능에 해당하는 음성 도움말을 단말기에 내장된 음성 도움말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된 음성 도움말을 음성 출력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도움말 출력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도움말 데이터베이스에는 각종 기능에 대하여 각기 간단 음성 도움말 및 풀 음성 도움말을 저장하고, 도움말 출력 환경 설정에 따라 한가지 도움말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도움말 출력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움말 출력 환경 설정은 선택한 메뉴 또는 기능의 제목 정도만을 간단히 출력하는 간단 도움말 출력 설정과, 선택한 기능이 어떤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것인지 상세하게 설명하는 풀(Full) 도움말 출력 설정을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성 도움말 출력 방법.
KR1020040009754A 2004-02-13 2004-02-13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음성 도움말 출력 방법 KR101072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9754A KR101072217B1 (ko) 2004-02-13 2004-02-13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음성 도움말 출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9754A KR101072217B1 (ko) 2004-02-13 2004-02-13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음성 도움말 출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1497A true KR20050081497A (ko) 2005-08-19
KR101072217B1 KR101072217B1 (ko) 2011-10-10

Family

ID=37268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9754A KR101072217B1 (ko) 2004-02-13 2004-02-13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음성 도움말 출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22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0877B1 (ko) * 2005-08-19 2006-11-27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의 매뉴얼 정보 구성 관리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4404A (ja) 1996-09-06 1998-03-31 Nippon Denki Ido Tsushin Kk 携帯電話
JP2002247670A (ja) 2001-02-16 2002-08-30 Sanwa Denshi Kiki Kk リモコン装置および携帯電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0877B1 (ko) * 2005-08-19 2006-11-27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의 매뉴얼 정보 구성 관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2217B1 (ko) 2011-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08386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for
JP2001243243A (ja) 携帯電話機におけるurl表示方法及び該表示方法を用いた携帯電話機
KR20040083788A (ko) 제스쳐 커맨드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구동시킬 수 있는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프로그램 구동 방법
US7289768B2 (en)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guiding user to invoke a function and method thereof
JP4371798B2 (ja) 携帯端末装置
US20070072642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RU2366113C2 (ru) Конфигурирование функциональных клавиш
JP2001245037A (ja) 携帯電話機
KR10067824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10107221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음성 도움말 출력 방법
KR20030083896A (ko) 휴대폰의 대기화면 설정방법
KR20050081600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화면 캡쳐 방법
KR20040026716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검색방법
KR100796335B1 (ko) 입력수단의 모르스부호 입력 구조 및 입력 방법
KR10055685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KR20060078883A (ko) 휴대폰 사용자가 지정한 핫키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
KR10061877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신 모드 운용 방법
KR10065138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데이터 입력 방법
KR100678157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단축키 설정 및 그의 이용 방법
JP2001298521A (ja) ハンズフリー装置
KR100762633B1 (ko) 휴대단말기에서 사용자 환경에 따른 부가 기능 수행 방법
KR20040093347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매너모드에서 알람모드로 자동으로전환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40066299A (ko) 폴더형 휴대단말기의 아이콘 위치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063809B1 (ko) 메트로놈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40058719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