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1147A - 광가입자망을 통해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광전송수신기장치 - Google Patents

광가입자망을 통해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광전송수신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1147A
KR20050081147A KR1020040038717A KR20040038717A KR20050081147A KR 20050081147 A KR20050081147 A KR 20050081147A KR 1020040038717 A KR1020040038717 A KR 1020040038717A KR 20040038717 A KR20040038717 A KR 20040038717A KR 20050081147 A KR20050081147 A KR 20050081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signal
broadcast signal
subscriber network
broad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8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9696B1 (ko
Inventor
이상연
이형섭
신동범
이강복
김봉태
김관중
양재우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050081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1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9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96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01Add-and-drop multiplexing
    • H04J14/0202Arrangements therefor
    • H04J14/0204Broadcast and select arrangements, e.g. with an optical splitter at the input before adding or dr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71Wireless systems
    • H04H20/74Wireless systems of satellite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76Wired systems
    • H04H20/77Wired systems using carrier waves
    • H04H20/78CATV [Community Antenna Telev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27Operation, administration, maintenance or provisioning [OAMP] of WDM networks, e.g. media access, routing or wavelength allocation
    • H04J14/0241Wavelength allocation for communications one-to-one, e.g. unicasting wavelengths
    • H04J14/0242Wavelength allocation for communications one-to-one, e.g. unicasting wavelengths in WDM-PON
    • H04J14/0249Wavelength allocation for communications one-to-one, e.g. unicasting wavelengths in WDM-PON for upstream transmission, e.g. ONU-to-OLT or ONU-to-ONU
    • H04J14/0252Sharing one wavelength for at least a group of ONUs, e.g. for transmissions from-ONU-to-OLT or from-ONU-to-ONU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가입자망을 통해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광전송수신기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위성 방송 신호 또는 CATV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광가입자망을 통해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광가입자망에 따른 소정 파장의 광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전광송신부 및 전광송신부에서 전송된 광신호를 수신하여 방송 신호로 변환하고 위성 방송 신호 또는 CATV 방송 신호의 소정의 대역 신호를 분리하여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광전수신부를 포함하여, 하나의 시스템으로 광가입자망을 통해 위성 방송과 CATV 방송을 가입자에게 서비스할 수 있으며, 단일 광케이블을 통해 CATV 방송 및 위성 방송 서비스를 동시에 서비스할 수 있고, 위성 방송 혹은 CATV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각종 시스템(안테나)을 각 가입자마다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위성방송 서비스에 따른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안테나가 불필요해짐에 따라 수신기 구조에서 안테나 구동에 필요한 기능부들을 줄일 수 있으며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광가입자망을 통해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광전송수신기 장치 {Apparatus for electric/optic transmitter and receiver providing the broadcasting signal through optical subscriber network}
본 발명은 방송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CATV 방송 및 위성 방송을 수용할 수 있는 송수신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통신과 방송 네트워크 인프라는 여러 가지로 분할되어 있다. 방송은 지상파, CATV 및 위성 방송망으로, 통신은 적용되는 위치와 성능에서 유무선을 비롯하여 다양한 형태의 통신망으로 나뉘어져 발전되어 왔다. 이러한 네트워크 구조는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주류인 현재의 네트워크에서 방송과 통신을 통합하는 융합 서비스를 기대하는 소비자들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므로, 이를 구현할 수 있는 통합적인 네트워크 구조에 대한 수요와 기대는 커지고 있다.
따라서 현재와 같이 별도의 전송 채널과 수신기를 이용하여 가입자에게 방송과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통합하여, 하나의 전송선로와 수신기를 이용하여 서비스하고자 하는 방법이 여러 측면에서 시도되고 있다. 또한, 현재의 가입자 접속 망의 단점을 극복하고 낮은 비용으로 가입자에게 보다 많은 대역폭과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미래의 가입자 접속망으로 점 대 다중점 구조를 갖는 PON(Passive Optical Network)과 같은 FTTH(Fiber To The Home) 또는 FTTC(Fiber To The Curb)형 망 구조가 크게 대두되고 있다.
FTTH 또는 FTTC 망의 일환으로 광 매체를 이용한 PON 구조는 낮은 비용으로 데이터, 영상(방송) 및 전화 서비스를 가입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통신과 방송을 융합하기에 적절한 방안으로 제안되었다. 이러한 PON 구조는 상, 하향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별도의 파장을 이용하는 파장 분할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방송 서비스의 전송을 위하여 별도의 파장을 추가하여 가입자에게 전송하는 것이 용이한 방식이다. 별도의 파장을 추가하여 가입자에게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은 구조적인 면에서 기존 HFC 방식과 동일하기 때문에 기존 셋탑 박스의 사용이 가능하므로 가입자에게 친숙한 이점이 있다.
현재 일반 가정 가입자들의 경우, 인터넷 서비스와 VOD 방송 서비스는 ISP(Internet Service Provider)를 통해 PC로 서비스를 전달받고, 다채널 방송은 지상파를 통하여 직접 서비스 받거나, CATV 유선방송망 또는 인공위성을 통한 위성 방송과 같이 다양한 매체를 통하여 TV로 서비스를 받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매체를 이용한 방송 서비스가 존재함으로써 동일한 가입자가 다양한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서비스에 적절한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 즉, CATV 방송 서비스를 위해서는 케이블 망과 CATV용 STB등의 시스템이 필요하고, 위성 방송 서비스를 위해서는 별도의 위성 안테나와 위성 STB가, 또한 VOD 서비스를 위해서 IP DSLAM 시스템 및 모뎀과 별도의 장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현실은 방송이 통합되지 않으므로 가정내의 가입자는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따른 원가를 증가시키고 결과적으로는 서비스 제공에 따른 부담을 가중시키게 된다.
따라서 방송과 통신을 융합하여 TV를 통하여 인터넷과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는 형태로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을 뿐 아니라, 방송 서비스 내에서도 각각 다른 매체를 이용한 다양한 형태의 방송 서비스를 하나의 통신망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기술들이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개발 방법으로 방송과 통신의 융합서비스는 기존 케이블 망을 이용하는 방법과, 기존의 통신선로에 광신호의 오버레이(Overlay) 구성을 이용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또는 인터넷 망에서 IP 패킷 및 RTP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방송 서비스를 통합하는 방법 등이 제안되고 있다. 기존 케이블망인 HFC망을 이용하는 방법은 방송망에서 초고속 인터넷 등의 데이터 통신서비스를 수용하는 형태이다.
기존에 방송과 통신을 위하여 제안된 망 구조 제안된 방법들 중 도 1은 현재 설치되어 있는 HFC(광동축 혼합망)을 이용한 CATV망의 구성도이다.
도 1의 CATV망은 크게 방송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공급하는 방송프로그램 제작자(Program Provider, 101), 방송 프로그램 제작자(PP)로부터 수신된 프로그램과 자체 제작된 프로그램을 채널 변경하여 가입자에게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인 SO(System Operator, 102), SO(102)까지 방송 신호를 전달하는 CATV 전달망(103)과 SO(System Operator)에서 가입자까지 방송신호를 전달하는 CATV 가입자 분배망(104)으로 구성된다.
CATV 가입자 분배망(104)은 분배센터(107)로부터 가입자(105)까지 광케이블과 코엑시얼(Coaxial) 케이블이 혼재되어 있어 HFC망으로 부르고 있으며 케이블 TV 서비스와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인 SO(102)는 전송 받은 콘텐츠를 가입자에게 전송하거나 자체 광고나 자막을 삽입하여 가입자들에게 전송하는 방송 기능부(106)와 방송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분배센터(Distribution Center, 107)로 구성된다.
전송망 중 가입자분배망(104)은 전송된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바꾸어 주는 ONU(108)시스템이 있으며, ONU 시스템(108)에서 전기신호로 바뀐 방송 데이터는 동축 케이블 선로를 이용하여 가입자에게 서비스를 전달하며, 거리에 따라 중계기와 스필리터(splitter)를 사용하여 가입자를 수용한다.
HFC를 이용한 CATV 케이블 망의 주 목적은 케이블 TV 방송의 서비스 제공에 있고, 설치된 망의 대역폭 중 일부를 활용하여 인터넷 서비스, VOD(Video on demand) 서비스, 전화 서비스 등의 결합을 시도하고 있으며, 현재 상용화된 방송과 통신을 융합하여 동시에 서비스하는 가장 강력한 추천 기술이다. 그러나 CATV 망은 CATV망과 인터넷 서비스만을 위한 망으로써, 현재 또 다른 다채널 방송인 위성방송을 수신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도 2는 현재 제공되고 있는 또 다른 방송 서비스의 형태인 위성 방송 서비스를 보여주고 있다. 위성 방송은 방송국에서 방송 전파를 각 지역에 있는 송출소로 보내고, 이 송출소에서 각 가정으로 송출하는 지상파 방송과는 달리 PP라 불리는 채널 사업자(201)로부터 제공받은 프로그램들을 인공위성(202)을 통하여 지상으로 전파를 송출하면서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법이다. 현재 국내에서는 디지털 위성방송이라는 이름으로 서비스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이용료와 장비(위성 안테나, STB 등)가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위성방송의 개념은 VOD나 인터넷 서비스를 위해서는 전화선(204)과 같은 별도의 망이 필요하고 추가적인 비용이 필요하므로 통신/방송 융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단점이 있으며, 또한 CATV 방송 서비스와는 콘텐트의 호환도 없는 상태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EPON(Ethernet PON) 망과 같이 광케이블을 사용하는 FTTH 또는 FTTC형의 광가입자망을 이용해서 CATV 및 위성 방송과 같은 다채널의 방송 서비스를 통합해서 서비스할 수 있는 광가입자망을 통해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광전송수신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광가입자망을 통해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광전송수신기 장치는, 위성 방송 신호 또는 CATV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광가입자망을 통해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광가입자망에 따른 소정 파장의 광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전광송신부; 및 상기 전광송신부에서 전송된 광신호를 수신하여 방송 신호로 변환하고 위성 방송 신호 또는 CATV 방송 신호의 소정의 대역 신호를 분리하여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광전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광송신부는 소정 대역의 위성 방송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소정 대역의 위성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LNB모듈; 상기 광가입자망에 따른 소정의 신호 레벨로 상기 LNB모듈을 통해 수신한 RF 방송 신호를 유지하는 RF신호레벨제어부; 및 상기 레벨이 유지되는 RF 방송 신호를 상기 광가입자망에 따른 파장을 가지는 광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광가입자망을 통해 상기 광전수신부로 전송하는 전/광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광송신부가 소정 대역의 CATV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광가입자망에 따른 소정의 신호 레벨로 상기 수신한 RF 방송 신호를 유지하는 RF신호레벨제어부; 및 상기 레벨이 유지되는 RF 방송 신호를 상기 광가입자망에 따른 광파장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광가입자망을 통해 상기 광전수신부로 전송하는 전/광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전광송신부는 상기 RF 방송 신호에 포함될 수 있는 직류 성분을 제거하는 DC바이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수신된 RF 방송 신호의 레벨을 상기 광가입자망에 따른 소정의 신호 레벨로 증폭하는 RF증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신호 레벨이 유지되는 RF 방송 신호와 상기 전광송신부간의 임피던스 매칭을 시키는 임피던스매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전/광 변환부의 파워를 상기 광가입자망에 따른 소정의 레벨로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광신호이득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광전수신부는, 상기 광가입자망을 통해 전송되는 광파장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부; 및 상기 광/전 변환부에서 변환된 RF 신호를 소정의 신호 레벨로 유지하며 소정의 케이블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RF신호레벨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광전수신부는 상기 광/전 변환부에서 변환된 RF 신호와 상기 광전수신부간의 임피던스 매칭을 시키는 임피던스 매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변환된 RF 신호를 소정 레벨의 신호로 증폭하는 RF 증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변환된 RF 신호에서 소정 주파수 대역의 위성 방송 RF 신호 또는 CATV 방송 RF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RF 신호에 포함될 수 있는 직류 성분을 제거하는 DC바이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PON 망은 하향 방향이 브로드캐스트인 기본적인 특성을 이용하여 별도의 아날로그 파장을 사용하여 CATV와 같은 다채널 방송 서비스를 데이터 서비스와 같이 가입자에게 전송하고 있다. PON망의 구조가 새로운 광 파장의 추가가 용이한 이점이 있으므로 위성 방송 서비스를 위해서 새로운 광 파장을 추가하여 CATV 방송(50~870MHz)뿐만 아니라 위성방송(950~2150MHz)도 동시에 PON과 같은 FTTH 또는 FTTC형 망에서 서비스하는 것이 가능하다.
현재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가입자 접속 망으로 xDSL(Digital Subscriber Line)과 HFC(Hybrid-Fiber Coaxial) 망이 가장 큰 인기를 얻고 있다. 그러나, xDSL과 HFC망은 가입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대역폭이 제한적인 문제 때문에 인터넷 트래픽의 폭발적인 증가를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하다.
이러한 현재의 가입자 접속 망의 단점을 극복하고 낮은 비용으로 가입자에게 보다 많은 대역폭과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미래의 가입자 접속 망으로 PON(Passive Optical Network)과 같은 FTTH(Fiber To The Home) 또는 FTTC(Fiber To The Curb) 망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광 매체를 이용한 PON 구조는 크게 APON(ATM PON)과 EPON(Ethernet PON), GPON(Gigabit PON)으로 구분되며 상, 하향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각기 다른 파장을 사용하는 파장 분할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다채널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별도의 파장을 망에 추가하여 가입자에게 전송하는 방안이 가장 설득력 있게 제안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FTTH(Fiber To The Home) 또는 FTTC(Fiber To The Curb)망에서 위성 방송을 수용하여 방송과 통신의 통합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 별도의 방송용 선로를 이용하지 않고 광 다중화를 통하여 단일회선으로 단방향성의 다채널 위성 방송 및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 위성방송 혹은 CATV 방송 및 두가지 방식을 모두 지원할 수 있는 전/광 송신기 및 광/전 수신기를 개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광가입자망의 일례로써 EPON 망에서 액세스 시스템의 구성 및 광가입자망 구조이다.
도 3의 광가입자망 구성은 크게 액세스 시스템인 OLT(304), WDM MUX(305)와 WDM DEMUX(307), 스플리터(306), 가입자 장치인 ONT 혹은 ONU(308)로 구성된다.
OLT 시스템(304)은 CATV 방송(301), 위성방송(302) 및 인터넷 데이터(303)를 정합하여 가입자들에게 분배하는 기능으로 본 발명에서는 방송 전송부(311)와 데이터 전송부(312)로 구성된다.
방송 전송부(311)는 CATV 방송(301) 및 위성방송(302)을 각각의 광신호로 변환하여 각 광신호를 다중화하여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블록으로 단방향의 전송 기능을 수행한다.
데이터 전송부(312)는 IP 기반의 데이터를 정합하는 기능 블록으로 인터넷 망을 통하는 데이터뿐만 아니라 VOD 방송 서비스를 정합하는 기능 블록이다. 데이터 전송부(312)는 통신 기능을 수행하므로 양방향의 광 전송 기능을 수행하고 도3 의 예시로 든 EPON 망에서는 단일 광섬유를 사용하여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므로 두개의 다른 광 파장(1490nm/1310nm)을 적용하여 데이터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예시의 EPON 망에서는 데이터의 하향 광신호(OLT 출력 신호) 파장으로 1490nm, 상향 광신호(OLT 입력 신호) 파장으로 1310nm 을 적용하여 인터넷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방송 전송부(311)의 출력 광신호 파장(1550nm)은 데이터 전송부(312)의 입출력 광신호의 파장과는 달라야 한다.
방송 전송부(311)의 출력 광신호 파장은 구성 방법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데 위성과 CATV를 별도의 RF 광 송/수신기 모듈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2개의 파장(예로 1490nm, 1550nm)이 요구되고 통합 모듈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광 신호파장(예로 1550nm)이 요구된다.
OLT 시스템(304) 에서 방송 전송부(311)와 데이터 전송부(312)의 출력 광신호 파장은 송신용 WDM 커플러(305)로 입력되어 단일 광섬유로 광 다중화 되어 하향 광신호로 출력되며, 상향 입력 광신호는 데이터 전송부로 정합된다. 결국 광선로 상에는 통신과 방송의 융합서비스를 위하여 다른 파장을 가지는 3개 이상의 광신호가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통신망을 통한 데이터와 다중화된 다채널 방송 신호들이 단일 광선로로 융합되어 서비스 된다. 스플리터는(306) PON망에서 가입자의 수를 확장하기 위한 수동 소자이며 보통은 1:64까지 확장이 가능한 상태이다.
이때 EPON망은 가입자망의 일례로서 적용한 것이기 때문에 메트로 이더넷망과 같이 송수신이 분리하는 망이라도 수용할 수 있으며, 적용된 광섬유는 단일 광섬유가 아니어도 무방하다. 또한 송신용 WDM 커플러(305)는 OLT 시스템(304)의 한 기능 블록으로 존재할 수 있다. 수신용 WDM 커플러(307)는 가입자에 위치하는 수동 소자로 송신용 WDM 커플러(305)에서 광다중된 방송 전송부(311)와 데이터 전송부(312)의 광신호 파장을 분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ONU 혹은 ONT(308)는 다시 방송용 광신호와 데이터용 광신호로 분리되어 수신되는 광신호들을 서비스별로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가입자 댁내의 위성 STB(Set Top Box, 309) 및 CATV STB(310), 혹은 PC(322) 등의 서비스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서비스 플랫폼은 각각의 특성에 따라 여러 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하나의 플랫폼에 구축할 수도 있다.
도 4는 통신 방송 융합 서비스를 위한 FTTH 망을 구성하기 위한 일례로써 EPON 망에서 사용되는 통신과 방송 융합 액세스 시스템(OLT)의 상세 내부 구성도를 나타낸다.
OLT 방송부(401)는 CATV 방송(402) 및 위성방송(403)을 동축 케이블로 수신하여 각각의 RF 영역을 기 정해진 별도의 광 파장으로 변환하는 위성 전/광 송신부(404)와 CATV 전/광 송신부(405)로 구성되며 각각의 광 파장을 EPON 망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광 증폭기(406)로 증폭한 이후에 여러 포트로 분할하는 1*N 스플리터(407)와 OLT 데이터의 EPON MAC(408)에서 사용하는 상하향 데이터 파장(상향:1310nm, 하향:1490nm, 409)과 CATV 광 파장과 위성 광 파장을 다중화하여 EPON 망으로 전송하는 WDM 커플러(410)로 구성된다. 현재의 방송 특성상 위성방송과 CATV 방송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고 있으며, CATV 방송은 50~870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고 있고, 위성방송은 LNB 모듈을 거친 후 950~2150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고 있다.
OLT 방송부(401)의 기능 블록을 살펴보면 이러한 두개의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CATV 및 위성 방송의 RF 신호는 해당 전/광 송신부(404, 405)를 거쳐서 각각 다른 파장의 광신호로 변환된다. 사용되는 광 파장은 시스템에 따라서 정해질 수 있으며 일례로써 위성방송은 1530nm을 사용하고 CATV 방송은 1550nm를 사용할 수 있다. 두 개의 다른 파장의 광신호는 방송용 데이터 전송부(411)의 상하향 파장과 WDM 커플러(410)를 거쳐서 다중화된다.
데이터 전송부(411)는 IP 기반의 데이터를 정합하는 기능 블록으로 종래의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L2/L3 스위칭 기능의 시스템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며, 예시의 EPON 망에서는 IP/Ethernet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용 EPON 시스템과 동일하게 EPON MAC 마스터 기능을 수행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인터넷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전송부(411)는 종래의 인터넷 망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며 광 신호를 이용하는 종래 방식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위성 방송 신호 또는 CATV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광가입자망을 통해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장치는, 상기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광가입자망에 따른 소정 파장의 광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전광송신부 및 상기 전광송신부에서 전송된 광신호를 수신하여 방송 신호로 변환하고 위성 방송 신호 또는 CATV 방송 신호의 소정의 대역 신호를 분리하여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광전수신부를 포함한다. 이하 전광송신부와 광전수신부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광송신부의 구성의 일예를 블록으로 도시한 것이다. 특히 이 경우 전광송신부(501)는 950 내지2150 MHz 대역의 위성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위성 안테나의 LNB를 통해 전송된 위성 방송 신호인 RF 신호는 LNB 모듈(502)로 수신된다. LNB(Low Noise Blockdown connecter)는 위성주파수를 중간주파수로 변환하는 기기이며, 위성 신호를 수신하는 곳에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기이다.
LNB 모듈(502)은 위성 안테나의 LNB에 +12V 전원을 공급하여 위성 안테나의 LNB를 동작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LNB 모듈(502)을 통과한 RF 신호는 DC 바이어스부(503)를 통과하면서 RF 신호 중에 포함될 수 있는 DC 성분을 제거한 이후에 RF 증폭부(504)로 전송된다.
RF 증폭부(504)는 FTTH 또는 FTTC망으로 위성 방송 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FTTH 또는 FTTC망에 따라 미리 정해진 신호 레벨로 RF 신호를 증폭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적정 레벨로 RF 신호를 증폭한 이후에 RF 신호를 RF 신호 레벨 제어부(505)로 전송한다.
RF 신호 레벨 제어부(505)는 입력된 RF 신호를 상기와 같이 미리 정해진 RF 신호 레벨을 유지하도록 조절하거나 운용자가 기 정한 RF 신호 레벨을 유지하도록 RF 신호 레벨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과한 RF 신호는 임피던스 매칭부(506)에서 RF 신호와 전광송신부(501)간에 임피던스를 매칭한 이후에 전/광 변환부(507)로 전송된다. 전광송신부(501)가 구현되고 입력되는 위성 방송 신호에 대한 특성은 미리 계산할 수 있으므로 임피던스를 미리 계산할 수 있어 임피던스 매칭에 필요한 임피던스 매칭부(506)의 구성을 결정할 수 있다. 임피던스 매칭을 통해 신호의 파워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신호 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에 RF 신호와 전광송신부(501) 간에 임피던스를 매칭한다고 하였으나, 이는 실질적으로는 RF 신호와 전/광 변환부(507)간에 임피던스를 매칭하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전광송신부(501)의 각 구성부들을 이루는 전자, 전기적인 부품들은 각각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PCB와 같은 기판에 실장되어 각 부품들이 기판의 회로선을 따라 서로 연결된 것이므로, 전광송신부(501)와 임피던스 매칭을 한다는 것은 전광송신부(501)를 구성하기 위해 장착되어 있는 도 5의 각종 구성부들을 이루는 부품의 어느 하나, 예를 들면 전/광 변환부(507)와 혹은 부품들의 결합된 전체와 임피던스 매칭을 한다는 것을 뜻한다. 특히 이 경우 전/광 변환부(507)에 연결되는 전송 케이블도 포함하여 임피던스 매칭을 하게된다.
전/광 변환부(507)는 입력되는 RF 신호를 FTTH 또는 FTTC망에 따라 미리 정해진 광 파장으로 변환하여 광가입자망을 통해 가입자에게 전송한다. 광 신호 이득 제어부(508)는 기 설정된 전/광 변환부(507)의 광 파워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전/광 변환부의 상태에 따라서 전/광 변환부(507)의 광 파워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상기의 구성에서 RF 증폭부(504)의 경우 입력되는 방송 신호의 레벨이 충분하다면 별도로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사용되는 경우에도 도 5에 표시된 위치가 아닌 예를 들면 임피던스 매칭부(506)의 전에 혹은 다음에 위치할 수도 있고, 그 외에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DC 바이어스부(503) 및 임피던스 매칭부(506)도 별도로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혹은 다른 위치에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광신호이득 제어부(508) 역시 필요에 따라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별도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전광송신부가 50 내지 870 MHz 대역의 CATV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광가입자망에 따른 소정의 신호 레벨로 상기 수신한 RF 방송 신호를 유지하는 RF신호레벨제어부 및 상기 레벨이 유지되는 RF 방송 신호를 상기 광가입자망에 따른 광파장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광가입자망을 통해 상기 광전수신부로 전송하는 전/광 변환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위성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비해 LNB 모듈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외에는 도 5의 전광송신부(501)의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 및 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CATV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전광송신부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위성 방송 신호에 대해 혹은 CATV 방송 신호에 대해 처리할 수 있으며, 이는 구현 예에 따라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를 혹은 동시에 위성 방송 신호와 CATV 방송 신호를 전부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하나의 광전수신부 내부에 위성 방송 신호를 위한 구성과 CATV 방송 신호를 위한 구성이 모두 포함되어야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광전수신부의 구성의 일예를 블록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전수신부(601)는 가입자단의 ONU 또는 ONT에 포함되도록 구현되거나 혹은 가입자단에 별도의 시스템으로 배치될 수 있다.
광전수신부(601)의 광/전 변환부(602)는 EPON과 같은 FTTH 또는 FTTC형 망을 통하여 입력된 소정 파장의 광신호인 방송 신호를 RF의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임피던스 매칭부(603)는 상기와 같이 변환된 RF 신호를 광전수신부와 임피던스를 매칭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5에서의 임피던스 매칭부(506)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러한 과정을 통과한 RF 신호는 RF 증폭부(604)에서 가입자에게 전송되는 동축 케이블에 따라 미리 정해진 소정의 신호 레벨로 RF 신호를 증폭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적정 레벨로 RF 신호를 증폭한 이후에 필터부(605)를 통하여 위성 방송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950 - 2150 MHz) 혹은 CATV 방송 신호에 따른 주파수 대역(50 - 870 MHz)만을 통과하여 RF 신호 레벨 제어부(606)로 전송한다.
RF 신호 레벨 제어부(606)는 입력된 RF 신호를 미리 정해진 RF 신호 레벨을 유지하도록 조절하거나 운용자가 미리 정한 RF 신호 레벨을 유지하도록 RF 신호 레벨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 기능을 수행한 RF 신호는 필요시에는 추가적인 RF 증폭부(607)를 통하여 한번 더 증폭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과정을 통과한 RF 신호는 DC 바이어스부(608)를 통과하면서 RF 신호 중에 포함될 수 있는 DC 성분이 제거된 후에 소정의 동축 케이블을 통해 가입자의 TV나 셋탑박스로 전송되게 되어, 최종적으로 방송 신호가 가입자에게 전달되게 된다. 도면에 별도로 표시하지 않았지만 도 6과 같은 구성의 경우 DC바이어스부(608)를 통과한 신호는 소정의 전송 수단에 의해 가입자에게 전달된다.
도 6의 경우 도 5의 경우와 유사하게 RF증폭부(604, 607)는 신호 레벨 증폭을 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둘다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도 6과 같이 두 군데가 아니라 한 곳에서만 사용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임피던스 매칭부(603)도 별도의 임피던스 매칭이 필요없다면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에 설명된 광가입자망의 예로 FTTH(Fiber To The Home) 또는 FTTC(Fiber To The Curb)가 예시되었으나, 다른 형태의 광가입자망을 사용하더라도 본 발명의 요지는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상기의 설명에 포함된 예들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위해 도입된 것이며, 이 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의 각 단계는 일반적인 프로그래밍 기법을 이용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또는 하드웨어적으로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은 이 분야에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위성 방송 신호 또는 CATV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광가입자망을 통해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광가입자망에 따른 소정 파장의 광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전광송신부 및 전광송신부에서 전송된 광신호를 수신하여 방송 신호로 변환하고 위성 방송 신호 또는 CATV 방송 신호의 소정의 대역 신호를 분리하여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광전수신부를 포함하여, 하나의 시스템으로 광가입자망을 통해 위성 방송과 CATV 방송을 가입자에게 서비스할 수 있으며, 이는 기존의 방송 서비스 범주에는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써 새로운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종래의 위성을 통해서만 전송할 수 있는 위성방송을 인터넷 망의 일종인 광가입자망을 통해 전송함으로써 통신, 방송 융합을 통한 단일 네트워크 구축이 용이해진다는 것이다. 즉 단일 광케이블을 통해 CATV 방송 및 위성 방송 서비스를 동시에 서비스할 수 있다.
둘째, 위성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각종 시스템(안테나)을 각 가입자마다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위성방송 서비스에 따른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안테나가 불필요해짐에 따라 수신기 구조에서 안테나 구동에 필요한 기능부들을 줄일 수 있으며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셋째, 송신기 구조에서, 위성 LNB 모듈을 내장함으로써 별도의 안테나 구동을 위한 별도의 전원이 불필요하며 송신기 구조가 간단해지고 저가로 시스템 구조를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도 1은 종래의 케이블 TV망인 HFC 방송망 구성도이다.
도 2는 인공위성을 이용한 종래의 디지털 위성 방송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광가입자망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EPON 망에서 사용되는 통신과 방송 융합 액세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광송신부의 구성의 일예를 블록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광전수신부의 구성의 일예를 블록으로 도시한 것이다.

Claims (12)

  1. 위성 방송 신호 또는 CATV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광가입자망을 통해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광가입자망에 따른 소정 파장의 광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전광송신부; 및
    상기 전광송신부에서 전송된 광신호를 수신하여 방송 신호로 변환하고 위성 방송 신호 또는 CATV 방송 신호의 소정의 대역 신호를 분리하여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광전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가입자망을 통해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광전송수신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광송신부는 소정 대역의 위성 방송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소정 대역의 위성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LNB모듈;
    상기 광가입자망에 따른 소정의 신호 레벨로 상기 LNB모듈을 통해 수신한 RF 방송 신호를 유지하는 RF신호레벨제어부; 및
    상기 레벨이 유지되는 RF 방송 신호를 상기 광가입자망에 따른 파장을 가지는 광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광가입자망을 통해 상기 광전수신부로 전송하는 전/광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가입자망을 통해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광전송수신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광송신부는 소정 대역의 CATV 방송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광가입자망에 따른 소정의 신호 레벨로 상기 수신한 RF 방송 신호를 유지하는 RF신호레벨제어부; 및
    상기 레벨이 유지되는 RF 방송 신호를 상기 광가입자망에 따른 광파장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광가입자망을 통해 상기 광전수신부로 전송하는 전/광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가입자망을 통해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광전송수신기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광송신부는 상기 RF 방송 신호에 포함될 수 있는 직류 성분을 제거하는 DC바이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가입자망을 통해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광전송수신기 장치.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광송신부는 상기 수신된 RF 방송 신호의 레벨을 상기 광가입자망에 따른 소정의 신호 레벨로 증폭하는 RF증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가입자망을 통해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광전송수신기 장치.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광송신부는 상기 신호 레벨이 유지되는 RF 방송 신호와 상기 전광송신부간의 임피던스 매칭을 시키는 임피던스매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가입자망을 통해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광전송수신기 장치.
  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광송신부는 상기 전/광 변환부의 파워를 상기 광가입자망에 따른 소정의 레벨로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광신호이득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가입자망을 통해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광전송수신기 장치.
  8.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수신부는,
    상기 광가입자망을 통해 전송되는 광파장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부; 및
    상기 광/전 변환부에서 변환된 RF 신호를 소정의 신호 레벨로 유지하며 소정의 케이블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RF신호레벨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가입자망을 통해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광전송수신기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수신부는 상기 광/전 변환부에서 변환된 RF 신호와 상기 광전수신부간의 임피던스 매칭을 시키는 임피던스 매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가입자망을 통해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광전송수신기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수신부는 상기 변환된 RF 신호를 소정 레벨의 신호로 증폭하는 RF 증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가입자망을 통해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광전송수신기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수신부는 상기 변환된 RF 신호에서 소정 주파수 대역의 위성 방송 RF 신호 또는 CATV 방송 RF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가입자망을 통해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광전송수신기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수신부는 상기 RF 신호에 포함될 수 있는 직류 성분을 제거하는 DC바이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가입자망을 통해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광전송수신기 장치.
KR1020040038717A 2004-02-11 2004-05-29 광가입자망을 통해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광전송수신기장치 KR1006096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9023 2004-02-11
KR20040009023 2004-02-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1147A true KR20050081147A (ko) 2005-08-18
KR100609696B1 KR100609696B1 (ko) 2006-08-08

Family

ID=37267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8717A KR100609696B1 (ko) 2004-02-11 2004-05-29 광가입자망을 통해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광전송수신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969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01981A1 (en) * 2006-06-28 2008-01-03 A & P Technology Co., Ltd. Impedance matching multiplexer for communication system using cable network constructed in buildings and in-building system using the same
KR100842291B1 (ko) * 2006-12-08 2008-06-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광케이블 tv망 구축을 위한 장치 및 신호 처리 방법
KR100900966B1 (ko) * 2007-07-26 2009-06-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채널간 높은 격리도를 가지는 마이크로웨이브 이미징 장치및 그 방법
KR101366214B1 (ko) * 2012-06-12 2014-02-21 폰 시스템주식회사 광가입자망을 통해 방송신호를 전송하는 광전송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01981A1 (en) * 2006-06-28 2008-01-03 A & P Technology Co., Ltd. Impedance matching multiplexer for communication system using cable network constructed in buildings and in-building system using the same
KR100842291B1 (ko) * 2006-12-08 2008-06-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광케이블 tv망 구축을 위한 장치 및 신호 처리 방법
US8050562B2 (en) 2006-12-08 2011-11-01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for implementing electro-optical CATV network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used by the apparatus
KR100900966B1 (ko) * 2007-07-26 2009-06-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채널간 높은 격리도를 가지는 마이크로웨이브 이미징 장치및 그 방법
KR101366214B1 (ko) * 2012-06-12 2014-02-21 폰 시스템주식회사 광가입자망을 통해 방송신호를 전송하는 광전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9696B1 (ko) 2006-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9256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creasing downstream bandwidth in an optical network
US7366415B2 (en)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passive optical network capable of integrating broadcast and communication services
CN101755410B (zh) 一种用于提供双向射频服务的无源光网络系统
US8406629B2 (en) Architecture to communicate with standard hybrid fiber coaxial RF signals over a passive optical network (HFC PON)
US7434249B2 (en) FTTH PON that O/E converts 1310 nm for output to transmitters for E/O as 1550 nm
US6775433B2 (en) Deep fiber network with high speed data and video on demand
CA2740012C (en) "smart" rf over glass (rfog) cpe unit with seamless pon upgrade capability
KR100687707B1 (ko) 통신 방송 융합 액세스 시스템과 그 방법
KR100582556B1 (ko) 통신 방송 융합 액세스 시스템과 그 방법
KR100744540B1 (ko) 결합된 방송 신호를 위한 전광 수신/전송 장치 및 광전수신/송신 장치
KR100609696B1 (ko) 광가입자망을 통해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광전송수신기장치
US7197205B1 (en) Deep fiber network with high speed data and video on demand
JP2005229572A (ja) 光加入者網を通じて放送信号を結合して提供する光電送受信器装置
KR100687708B1 (ko) 광가입자망을 통해 방송 신호를 결합하여 제공하는광전송수신기 장치
JP5400918B2 (ja) ノード装置、信号伝送システム、及び、信号伝送システムの変更方法
KR100576730B1 (ko) 수동형 광 네트워크에서 방송 데이터 서비스와 통신 데이터 서비스의 융합 서비스 제공을 위한 광 회선 터미널과 광 네트워크 터미널
KR20040094141A (ko) 광섬유를 이용한 미디어 통합형 홈 게이트웨이 시스템
KR100628326B1 (ko) Hfc 망 시스템 및 신호 전송 방법
KR200320149Y1 (ko) 광섬유를 이용한 미디어 통합형 홈 게이트웨이 시스템
KR200434028Y1 (ko) 방송 통신 통합형 광수신 모듈
KR20040098859A (ko)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에 적용되는 가입자 광 분배기
JP2003519958A (ja) ファイバ漏話を防ぐためのアップ・コンバータを有するdwdmケーブルテレビ上りシステム
WO2008070441A1 (en) Architecture to communicate with standard hybrid fiber coaxial rf signals over a passive optical network (hfc pon)
JPWO2007083384A1 (ja) 受動光網システムにおける片方向伝送信号分配方法、局側装置及び加入者宅側装置
Kumozaki et al. Fiber optic video signal transmission technique employing optical heterodyne AM/FM converter and its application to multimedia access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