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1028A - 박막 시트 창 구비 접철식 경량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박막 시트 창 구비 접철식 경량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1028A
KR20050081028A KR1020040009251A KR20040009251A KR20050081028A KR 20050081028 A KR20050081028 A KR 20050081028A KR 1020040009251 A KR1020040009251 A KR 1020040009251A KR 20040009251 A KR20040009251 A KR 20040009251A KR 20050081028 A KR20050081028 A KR 20050081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lates
sheet window
base plate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9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0886B1 (ko
Inventor
박기범
Original Assignee
박기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범 filed Critical 박기범
Priority to KR1020040009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0886B1/ko
Priority to CNA2005800048508A priority patent/CN1918038A/zh
Priority to PCT/KR2005/000335 priority patent/WO2005077770A1/en
Publication of KR20050081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1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0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08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54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joining or terminating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9/00Machining specially adapted for treating particular metal objects or for obtaining special effects or results on metal objects
    • B23H9/12Forming parts of complementary shape, e.g. punch-and-di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65D11/1833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whereby all side walls are hingedly connected to the base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막 시트 창을 구비한 접철식(摺綴式) 경량 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는 돌출 프레임을 갖는 베이스판과, 돌출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며 중앙 대부분의 영역에 플라스틱 박막 시트 창이 부착되는 좌우측판 및 전후면판, 그리고 베이스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박막 시트 창을 구비한 접철식 경량 컨테이너는 베이스판, 전후면판 및 좌우측판의 영역 대부분을 공간부로 구성함으로써 경량화하고 그 공간부에 플라스틱 박막 시트 창을 장착함으로써 그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이 간편하며 성형에 필요한 원료 소요량이 일반적인 접철식 컨테이너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어 제작비용의 현저한 저감을 도모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박막 시트 창 구비 접철식 경량 컨테이너{FOLDABLE LIGHT-WEIGHT CONTAINER WITH THIN LAYER SHEET WINDOWS}
본 발명은 박막 시트 창을 구비한 접철식(摺綴式) 경량 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스판, 전후면판 및 좌우측판의 영역 대부분을 공간부로 구성함으로써 경량화하고 그 공간부에 두께 0.3~1.5mm 범위의 플라스틱 박막 시트 창을 형성시킴으로써 그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이 간편하여 제작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가 있는 새로운 유형의 플라스틱 박막 시트 창을 구비한 접철식 경량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접철식 컨테이너란 베이스판 주연부의 전후면판과 좌우측판을 힌지 결합함으로써 접철 가능하게 구성한 운반 컨테이너 또는 박스를 지칭하며, 물건을 수납한 상태로 운반, 취급, 보관할 경우에는 펼쳐서 통상의 컨테이너 형태로 사용하고 물건을 수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간단히 접철하여 부피를 줄임으로써 보관 공간 및 운송 공간을 줄여 물류 및 보관비용을 저감시킬 수가 있는 형태의 컨테이너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접철식 컨테이너는 운송, 보관 시 불필요한 공간 점유를 피할 수 있도록 적층 가능한 육면체 형태로 플라스틱 사출 성형됨이 통상적이다.
종래의 접철식 컨테이너에 대한 전형적인 예로서는, 화산정공주식회사에 의한 한국 특허공개 제2002-0062714호(공개일: 02.07.29.) 및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에 의한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169031호(등록일: 99.11.16.)를 들 수 있다.
종래의 기술로서의 상기한 한국 특허공개 제2002-0062714호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은 특수한 형태의 로커(60')를 포함하는 접철식 컨테이너를 제안하고 있으며, 그 전체적인 구성은 베이스판(10')과, 그 전후측 가장자리에 힌지부(12')를 통하여 힌지 결합되는 전후면판(30'), 그 좌우측 가장자리에 힌지부(11')를 통하여 힌지 결합되는 좌우측판(20'), 이 좌우측판(20')의 양측단에 형성되며 다수의 결합 돌기와 고정 돌기 및 잠금홀을 갖는 제1 결합부(40')와, 이 제1 결합부(40')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전후면판(30')에 형성되며 다수의 결합홈을 갖는 제2 결합부(50')와, 좌우측판(20') 및 전후면판(30')의 입설 상태를 유지시키며 슬라이드판과 잠금 돌기, 탄지부재와 손잡이를 갖고 있는 로커(60')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169031호 역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특수한 형태의 로커(60')를 사용하고 있으며, 그 전체적인 구성은 베이스판(10')과, 베이스판(10')의 낮은 돌출단(11')에 힌지부(11a',31')를 통하여 힌지 결합되는 전후면판(30')과, 베이스판(10')의 높은 돌출단(12')에 힌지부(12a',21')를 통하여 힌지 결합되는 좌우측판(20')과, 이 좌우측판(20')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며 체결홈을 갖는 체결판(22')과, 이에 대응하는 전후면판(30')에 형성되는 체결돌기(32')와, 좌우측판(20')에 설치되는 한 쌍의 카드 지지핀(70')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접철식 컨테이너는 어느 것이나 베이스판, 전후면판, 좌우측판이 완전 밀폐되어 있는 형태이거나 또는 일부 판재에 약간의 구멍이 천공되어 있는 형태에 불과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박막 시트 창 구비 접철식 컨테이너에 비해 무게가 현저히 무겁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접철식 컨테이너는 부품수가 많고 특수하고 복잡한 형태의 부품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플라스틱 소요량이 크므로, 플라스틱 수지 원료비용, 금형제작비용 및 조립비용의 상승을 피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물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는 경량화된 접철식 컨테이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경량화에도 불구하고 적층에 적합하도록 충분한 지지 강도를 갖는 접철식 경량 컨테이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제작 시 플라스틱 수지 소요량이 상대적으로 현저히 적을 뿐만 아니라, 복잡한 형태의 로커 구성을 채택하지 않으므로 부품수가 적고 조립이 간편하면서도 용이하여 제작 시 원료비용, 금형비용 및, 조립비용을 저감시킬 수가 있는 접철식 경량 컨테이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네 번째 목적은 내용물 자체에 대한 정보나 배송 및 보관 등에 관한 정보 또는 시각적 광고 내용 등을 용이하게 부착, 탈착, 또는 교체 가능한 명판의 구비가 가능한 접철식 경량 컨테이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섯 번째 목적은 적층된 상태에서도 수납된 내용물을 임의의 모든 방향에서 용이하고도 정확하게 확인할 수가 있어 물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는 접철식 경량 컨테이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첫 번째, 세 번째 및 다섯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樣態)에 따르면, 통상의 접철식 컨테이너에 있어서, 베이스판, 전후면판 및 좌우측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플라스틱 박막 시트 창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경량 컨테이너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 따르면, 통상의 접철식 컨테이너에 있어서, 전후면판 또는 좌우측판의 적어도 양 모서리 부분의 내부에 지지 바(supporting bar)가 이합(異合) 내재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경량 컨테이너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네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 따르면, 물품의 종류나 수량 또는 배송지 정보, 또는 광고 문구나 그림을 포함하는 카드 또는 명판 삽입부를 구비한 접철식 경량 컨테이너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제1 돌출 프레임과 제2 돌출 프레임을 갖는 베이스판과; 상기한 제1 돌출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며 중앙 대부분의 영역에 플라스틱 박막 시트 창을 갖는 좌우측판과; 상기한 제1 돌출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며 중앙 대부분의 영역에 플라스틱 박막 시트 창을 갖는 전후면판으로 구성되며: 컨테이너로 형성시 상기한 좌우측판의 상방 횡 프레임과 전후면판의 상방 횡 프레임이 상호 체결 고정되며, 접철시 상기한 전후면판이 상기한 베이스판 내측으로 피봇 운동하여 접철되고 상기한 좌우측판이 접철된 상기한 전후면판 상면에 피봇 운동에 의해 접철되는 박막 시트 창 구비 접철식 경량 컨테이너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체예에 따른 플라스틱 박막 시트 창을 구비한 접철식 경량 컨테이너(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부분적으로 접철되고 있는 상태를, 도 5는 완전히 접철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설명의 편의상 함께 언급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플라스틱 박막 시트 창을 구비한 접철식 경량 컨테이너(1)는 제1 돌출 프레임(13)과 제2 돌출 프레임(14)을 갖는 베이스판(10)과, 상기한 제1 돌출 프레임(13)의 양단부에 힌지 결합되며 중앙 대부분의 영역에 박막 시트 창(31)을 갖는 좌우측판(30)과; 상기한 제2 돌출 프레임(14)에 힌지 결합되며 중앙 대부분의 영역에 박막 시트 창(21)을 갖는 전후면판(20)으로 구성된다.
또한, 선택적으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좌우측판(30)의 양단부의 모서리부(도면부호 미부여)에 지지 바(80)를 수직으로 설치하여 본 발명의 접철식 경량 컨테이너(1)를 다수 개 적층 시 충분한 지지 강도를 갖도록 할 수도 있으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필요하다면 상기한 지지 바(80)를 상기한 전후면판(20)의 양단부의 모서리부(도면부호 미부여)에도 수직으로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또한 필요하다면 베이스판(10)의 네 모서리에도 설치 가능하고, 상기한 전후면판(20) 및/또는 좌우측판(30)의 횡 방향 강도 증대를 위하여 수평 방향으로 임의의 위치에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한 지지 바(80)의 소재는 충분한 지지 강도를 부여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은 없으나, 예컨대 알루미늄, 강철, 스테인리스강, 또는 이들의 임의의 합금,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강화 세라믹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한 지지 바(80)는 인서트 몰딩에 의해 좌우측판(30) 등의 성형 시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좌우측판(30) 등의 성형 시 미리 지지 바 삽입용 통공을 형성하고 성형이 완료된 좌우측판(30) 등에 상기한 지지 바(80)를 삽지하거나, 또는 삽지된 지지 바(80) 양단에 확대된 면적을 갖는 캡(미도시)을 나사 고정 또는 강제 압입 고정 등과 같은 적절한 수단에 의하여 장착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상기한 베이스판(10)은 제1 돌출 프레임(13)과 제2 돌출 프레임(14), 그리고 경량화를 위하여 이들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는 다수의 정방형 또는 장방형 격자를 형성하는 격자 구조체(12)와, 상기한 격자 사이를 밀폐하는 하나의 큰 바닥 박막 시트 창(11)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닥 박막 시트 창(11)은 격자 구조체(12)의 상면이나 하면 또는 두께 중간의 어디에도 형성될 수 있으나, 상자가 놓여지는 바닥면과의 마찰에 의한 마모 방지를 위하여 상기한 격자 구조체(12)의 상면에 부착되거나 또는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에 의하여 상면 또는 그 두께 중간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이러한 격자 구조체(12)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선택적이며, 상기한 바닥 박막 시트 창(11)이나 격자 구조체(12)를 갖지 않는 정방형 또는 장방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시된 예에서 좌우측판(30)은 그 내측 중앙 대부분의 영역에 하나의 큰 박막 시트 창(31)을 가지고 있으나, 그 외측 또는 중간에 형성할 수도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필요하다면 좌우측판(30) 또는 전후면판의 상방 횡 프레임(36)과 하방 횡 프레임(36a) 사이에 지지 강도 강화를 위한 복수개의 세로 지지체(33)를 형성시킬 수도 있다.
한편, 도 3에서 확대 도시된 부분은 상기한 세로 지지체(33)의 내측에 박막 시트 창(31)을 고정하는 리벳부(33b)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에 있어 선택적 사항에 불과하다.
상기한 리벳부(33b)는 몰딩 시 미리 상기한 세로 지지체(33)의 내측에 접하는 박막 시트 창(31)의 임의의 적절한 개소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31a)을 미리 형성하고 인서트 몰딩에 의해 몰드 내에서 상기한 세로 지지체(33)를 성형하면 상기한 통공(31a)을 관통하는 부분에 충진되는 몰딩수지에 의한 관통부(33d)와 일체로 연결 형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한 박막 시트 창(31)은 상기한 좌우측판(30)에 더욱 견고히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와 동일한 구조는 상기한 좌우측판(30) 뿐만 아니라, 전후면판(20) 및/또는 베이스판(10)에도 형성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상방 횡 프레임(36)은 평활한 표면을 가지며 단면이 정방형, 장방형, 원형, 또는 타원형인 중밀형 또는 중공형 구조로 할 수도 있으나, 도시된 예에서는 경량화 및 강도 강화를 위하여 스트립상의 가로 지지체(34)와 가로 지지체(34b) 사이에 다수의 세로 지지체(35)가 형성된 형태로 되어 있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한 좌우측판(30)의 양측 단부에는 지지 강도 강화를 위하여 복수개의 세로 지지체(35a)를 두고 상기한 세로 지지체(35a) 사이에는 복수개의 가로 지지체(34a)가 형성되어 있는 한편, 양측 단부가 전후면판 쪽으로 만곡(彎曲)되어 약간 연장되어 있는 연장부(37)를 갖고 있으며, 그 구조는 전술한 양측 단부에 대한 것과 동일하다. 상기한 연장부(37)의 연장면 상부 내측에는 개구부(38b)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위치에 요입(凹入) 결착부(38)가 형성되며 상기한 요입 결착부(38)의 입구는 하나 또는 한 쌍의 단턱(38a)에 의해 경계 지워진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한 연장부(37)의 존재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임의적이며, 연장부(37)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한 좌우측판(30)의 양측 단부 상방 내측에 상기한 바와 같은 개구부, 단턱, 요입 결착부를 형성시키게 된다.
또한, 필요하다면, 사용 편의성 증대를 위하여 상기한 좌우측판(30)의 상부 중앙에 그립부(32)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전후면판(20)은 그 내측 중앙 대부분의 영역에 하나의 큰 박막 시트 창(21)을 가지고 있으나, 그 외측 또는 중간에 형성할 수도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으며, 필요하다면 상방 횡 프레임(24)과 하방 횡 프레임(29) 사이에 지지 강도 강화를 위한 복수개의 세로 지지체(23)를 형성시킬 수 있음도 또한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방 횡 프레임(24)의 형상 및 구조도 전술한 좌우측판(30)의 상방 횡프레임(36)에 대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경량화 및 강도 강화를 위하여 스트립상의 가로 지지체(28)와 가로 지지체(28a) 사이에 복수개의 세로 지지체(25)가 형성된 형태로 되어 있다. 상기한 세로 지지체(25)는 수직 또는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한 전후면판(20)의 양측 단부에는 지지 강도 강화를 위하여 복수개의 종 프레임(26)을 두고 있으며, 필요하다면 상기한 종 프레임 (26) 사이에 별도의 가로 지지체(미도시)를 형성시킬 수도 있다.
또한, 사용 편의성 증대를 위하여 상기한 전후면판(20)의 상부 중앙에 그립부(22)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한 적어도 둘 이상의 세로 지지체(23) 사이를 수평으로 가로지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드 지지대(24a)를 몰딩 시 전후면판(20)과 일체로 성형하거나 또는 상기한 적어도 둘 이상의 세로 지지체(23)의 외측으로 오목공을 형성하고 여기에 상기한 카드 지지대(24a)를 압입시켜 착탈 가능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한 카드 지지대(24a)의 너비는 상기한 각각의 세로 지지체(23)의 너비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물품의 종류나 수량 또는 배송지 정보, 또는 광고 문구나 그림을 포함하는 카드 또는 명판의 삽입 및 취출 교체가 가능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적어도 둘 이상의 세로 지지체(23)와 상기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드 지지대(24a)는 카드 삽입부(도면부호 미부여)를 구성하게 되며, 이러한 구성은 전후면판(20)의 양쪽 모두에, 또는 어느 한쪽에만, 또는 좌우측판(30)의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곳에 설치할 수도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이다.
이어서, 힌지부(40)에 대하여 설명하면, 베이스판(10)의 제1 돌출 프레임(13)의 내측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며 그 중앙에 체결공(미도시)을 갖는 한 쌍의 연결 고정구(42,43)와, 좌우측판(30)의 하방 양측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한 양쪽 체결공에 피봇 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돌출핀(미도시)을 갖는 연결 돌출부(41)로 구성된다.
이러한 힌지부(40) 구성에 의하여 베이스판(10)의 제1 돌출 프레임(13) 상에 위치하는 좌우측판(30)은 상기한 베이스판(10)의 내측으로 접철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전후면판 힌지부(70)는 전후면판(20)의 종 프레임(26) 양측 하단부에 형성되는 돌출핀 형성부(27)와 베이스판(10)의 외측 연결 고정구(42)의 돌출 연장면에 형성되는 장홈(71)으로 구성되며, 조립 시에는 상기한 전후면판(20)을 약간 기울여 상기한 장홈(71) 내에 상기한 돌출핀 형성부(27)의 돌출핀(미도시)을 삽입 하게 되며, 이에 의해 상기한 전후면판(20)은 피봇 운동에 의해 상기한 베이스판(10)의 내측으로 접철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전후면판(20)의 상기한 좌우측판(30)에 대한 체결 고정은 상기한 전후면판(20)의 양측 상방에 형성되는 원형 돌기(26a)가 좌우측판(30) 양측 연장부(37) 내측에 형성되는 전술한 개구부(38b)를 통하여 요입 결착부(38)내로 이동되고 단턱(38a)에 의해 체결 고정된다.
도 3 내지 5를 따라 본 발명의 박막 시트 창 구비 접철식 경량 컨테이너(1)의 접철 순서를 살펴보면, 먼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면판(20)과 좌우측판(30)이 입설(立設)되어 상호 체결 고정된 상태로부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면판(20)의 상단부를 베이스판(10)의 내측으로 압압하는 것에 의해 상기한 전후면판(20)의 양측 상단부에 형성된 원형 돌기(26a)가 상기한 좌우측판(30)의 연장부(27) 상단부에 형성되는 요입 결착부(38)로부터 단턱(38a)을 이탈한 다음, 개구부(38b)를 통하여 빠져 나오게 되며, 전술한 전후면판 힌지부(70)에 의한 피봇 운동에 의해 상기한 전후면판(20)은 상기한 베이스판(10)의 내측면 상에 접철되고, 이어서 측판 힌지부(40)에 의한 피봇 운동에 의하여 상기한 좌우측판(30)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전후면판(20)의 외측면 상에 접철된다.
도 5에 나타낸 접철 상태에서 컨테이너(1)를 박스 형태로 펴는 과정은 상기한 순서의 역순에 따르면 되므로 이에 대한 부연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한 바닥 박막 시트 창(11), 전후면판(20)의 박막 시트 창(21) 및, 좌우측판(30)의 박막 시트 창(31)은 투명, 반투명, 불투명일 수 있으며, 그 선택은 수납되는 상품의 종류나 특성, 또는 보관자나 전시자의 의도나 수요층의 기호 등에 따라 임의로 선택 가능하며, 반투명 또는 불투명인 경우에는 색상을 부여할 수 있으며 그 색상의 선택 또한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한 창의 재질이나 두께는 본 발명에 있어 제한적이지 않으며 선택적이나, 일반적으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폴리에틸렌계, 폴리프로필렌계, 폴리스티렌계, 아세탈계, 나일론계, 불소 수지계, 아크릴계, 폴리카보네이트계 등의 다양한 수지 소재를 수납 대상 상품의 특성이나 컨테이너 사용 또는 보관 장소나 목적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그 두께는 일반적으로 0.3~1.5 mm이며, 바람직하게는 0.3~0.8mm의 범위로 할 수 있다.
상기한 시트의 형성은 인서트 몰딩법에 의해 일체로 성형 제작하거나, 또는 시트 형성 부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큰 개구를 형성시킨 상태로 성형한 다음 상기한 시트를 미리 형성시킨 홈에 삽지하거나 또는 접착하거나 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부착 또는 교체할 수가 있다.
도 6은 전술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일구체예에 대한 변형예로서, 좌우측판(30)의 체결부(60)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예에서는 좌우측판(30)에 전술한 바와 같은 연장부(도 4에서의 도면부호 27)는 존재하지 않는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이러한 체결부(60)을 전술한 도 3 내지 5에 나타낸 일구체예에 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좌우측판(30)의 체결부(60)는 하방에 걸림턱(62)을 갖는 체결 스톱퍼(61)와, 그 하방에 형성되는 단턱(63) 및, 상기한 체결 스톱퍼(61)의 상방에 형성되는 오목부(65)로 구성된다. 한편, 돌출단(64)은 전후면판(20)의 연장부(미도시) 두께 만큼 낮게 형성된다.
도 7은 도 6의 체결부(60)에 장착되는 체결구(50)의 사시도로서, 상기한 체결구(50)는 도 6에서의 체결 스톱퍼(61)에 체결되는 개구부(53)와, 어깨부(52)를 통하여 상방으로 돌출된 노브로서 기능하는 돌출 헤드부(51)와, 2개의 요홈(55)에 의해 형성되며 스프링(54)과 같은 탄발 부재가 장착된 돌출부(54)를 갖는 전체적으로 장방형인 플레이트로 구성된다.
도 8은 도 6에서의 체결부(60)와 유사한 구조(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장부(27)를 갖는 구조)에 도 7의 체결구(50)가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 설명도로서, 상기한 체결구(50)의 개구부(53)가 체결 스톱퍼(61)의 걸림턱(62)에 체결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며, 전술한 스프링(56)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한 체결구(50)의 돌출 헤드부(51)는 상방으로 솟아 있는 상태로 유지되며, 전후면판(20)의 양측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20a)에 형성되는 체결공(20b)을 관통하여 돌출 고정된다. 이에 의해 상기한 전후면판(20)은 상기한 좌우측판(30)에 입설 상태로 체결 고정된다.
상기한 체결 고정 상태 해제는 상기한 체결구(50)의 돌출 헤드부(51)를 하방으로 압압하는 것에 의해 수행되며, 이에 의해 상기한 전후면판(20)은 상기한 좌우측판(30)으로 이탈될 수 있게 되며, 체결 해제 후에는 상기한 압압력을 제거하는 것에 의해 상기한 돌출 헤드부(51)는 돌출된 원상태로 환원된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57은 상기한 체결구(50)를 은폐하기 위한 커버판이며, 미설명 부호 80은 지지 바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박막 시트 창 구비 접철식 경량 컨테이너는 시트가 부착되는 영역이 개구부로 형성되므로 경량화 되어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한 개구부의 존재로 인하여 제작 시 플라스틱 수지 소요량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가 있고 복잡한 형태의 로커 구성을 채택하지 않으면서도 부품수가 적고 조립이 간편하여 제작 시 원료비용, 금형비용 및 조립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박형 투명 시트를 적용함에 따라 적층된 상태에서도 수납된 내용물을 임의의 어떤 방향에서도 용이하고도 정확하게 확인할 수가 있고 창에 다양한 색상을 적용함으로써 작업자로 하여금 전체적으로 미려하고도 쾌적한 느낌을 부여함으로써 물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선택적으로는 내용물 자체에 대한 정보나 배송 및 보관 등에 관한 정보 또는 시각적 광고 내용 등을 용이하게 부착 및 탈착, 또는 교체할 수가 있는 한편, 경량화에도 불구하고 스틸바를 적용함으로써 적층에 적합하도록 충분한 지지 강도를 갖도록 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구체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일탈하는 일 없이도 다양한 변화 및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임을 유의하여야만 할 것이다.
도 1a는 종래의 접철식 컨테이너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1b는 도 1의 접철식 컨테이너의 좌우측판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다른 종래의 접철식 컨테이너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구체예에 따른 박막 시트 창을 구비한 접철식 경량 컨테이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박막 시트 창을 구비한 접철식 경량 컨테이너가 부분적으로 접철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3의 박막 시트 창을 구비한 접철식 경량 컨테이너가 완전히 접철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좌우측판의 체결부에 대한 확대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체결부에 장착되는 체결구의 사시도
도 8은 도 6에서의 체결부 유사 구조에 도 7의 체결구가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 발명의 박막 시트 창을 구비한 접철식 경량 컨테이너
10: 베이스판
11: 바닥 박막 시트 창 12: 격자 구조체
13: 제1 돌출 프레임 14: 제2 돌출 프레임
20: 전후면판
21: 박막 시트 창 22: 그립부
23,25: 세로 지지체 24: 상방 횡 프레임
24a: 카드 지지대 26: 종 프레임
26a: 원형 돌기 27: 돌출핀 형성부
28,28a: 가로 지지체 29: 하방 횡 프레임
30: 좌우측판
31: 박막 시트 창 31a: 통공
32: 그립부 33,35,35a: 세로 지지체
33b: 리벳부 33d: 관통부
34, 34a,34b: 가로 지지체 36: 상방 횡 프레임
36a: 하방 횡 프레임 37: 연장부
38: 요입 결착부 38a: 단턱
38b: 개구부
40: 측판 힌지부
41: 연결 돌출부 42,43: 연결 고정부
44: 단턱
50: 체결구
51: 돌출 헤드부 52: 어깨부
53: 개구부 54: 돌출부
55: 요홈 56: 스프링
60: 체결부
61: 체결 스톱퍼 62: 걸림턱
63: 단턱 64: 돌출단
65: 오목부
70: 전후면판 힌지부
80: 지지 바
90: 카드

Claims (7)

  1. 통상의 접철식 컨테이너에 있어서,
    베이스판, 전후면판, 좌우측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면에 플라스틱 박막 시트 창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摺綴式) 경량 컨테이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플라스틱 박막 시트 창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아세탈, 나일론, 불소 수지,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및,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임의의 1종의 수지로 형성되는 접철식 경량 컨테이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플라스틱 박막 시트 창의 두께가 0.3mm~1.5mm인 접철식 경량 컨테이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플라스틱 박막 시트 창이 투명 또는 반투명인 접철식 경량 컨테이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플라스틱 박막 시트 창이 리벳부에 의해 상기한 베이스판, 전후면판, 또는 좌우측판에 고정되어 있는 접철식 경량 컨테이너.
  6. 통상의 접철식 컨테이너에 있어서,
    전후면판, 좌우측판, 또는 베이스판의 모서리부에 지지 강도 강화 내지 보강용 지지 바가 이합(異合) 내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경량 컨테이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품의 종류나 수량 또는 배송지 정보, 또는 광고 문구나 그림을 포함하는 카드 또는 명판의 삽입 및 취출 교체가 가능한 카드 또는 명판 삽입부를 구비한 접철식 경량 컨테이너.
KR1020040009251A 2004-02-12 2004-02-12 박막 시트 창 구비 접철식 경량 컨테이너 KR100580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9251A KR100580886B1 (ko) 2004-02-12 2004-02-12 박막 시트 창 구비 접철식 경량 컨테이너
CNA2005800048508A CN1918038A (zh) 2004-02-12 2005-02-04 可折叠轻型容器
PCT/KR2005/000335 WO2005077770A1 (en) 2004-02-12 2005-02-04 Foldable lightweight container having film sheet window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9251A KR100580886B1 (ko) 2004-02-12 2004-02-12 박막 시트 창 구비 접철식 경량 컨테이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3529U Division KR200354009Y1 (ko) 2004-02-12 2004-02-12 박막 시트 창 구비 접철식 경량 컨테이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1028A true KR20050081028A (ko) 2005-08-18
KR100580886B1 KR100580886B1 (ko) 2006-05-22

Family

ID=34858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9251A KR100580886B1 (ko) 2004-02-12 2004-02-12 박막 시트 창 구비 접철식 경량 컨테이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580886B1 (ko)
CN (1) CN1918038A (ko)
WO (1) WO200507777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972B1 (ko) * 2012-09-27 2014-11-21 인팩글로벌 주식회사 포장용 접이식 다단상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96308A1 (en) * 2007-05-30 2008-12-04 Daniel Barbalho Collapsible container
KR200447246Y1 (ko) 2007-11-12 2010-01-11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절첩상자
KR200457548Y1 (ko) 2009-09-16 2011-12-26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절첩식 상자
CN102211692A (zh) * 2010-04-03 2011-10-12 王福春 片烟包装箱及其使用方法
CN102092509B (zh) * 2010-12-27 2012-06-27 烟台三环科技有限公司 一种柜体手把
JP5843311B2 (ja) * 2011-08-26 2016-01-13 三甲株式会社 折畳コンテナ
KR101258612B1 (ko) * 2013-01-10 2013-04-26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접이식 컨테이너
CN105050905B (zh) * 2013-03-22 2017-03-29 舒乐阿卡有限公司 可伸缩轻质容器
CN104960737A (zh) * 2015-05-08 2015-10-07 黄永怀 一种双层储物箱
EP3339205A1 (en) * 2016-12-23 2018-06-27 Inpack Global Co., Ltd. Folding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29485A (en) * 1976-08-12 1978-10-18 Worldwide Plastics Dev Collapsible container
AUPO827697A0 (en) * 1997-07-29 1997-08-21 Technosearch Pty. Limited Improvements in liquid container sides
DE29809950U1 (de) * 1998-06-04 1998-08-27 Westo Kunststofftech Klappbox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972B1 (ko) * 2012-09-27 2014-11-21 인팩글로벌 주식회사 포장용 접이식 다단상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18038A (zh) 2007-02-21
KR100580886B1 (ko) 2006-05-22
WO2005077770A1 (en) 2005-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0886B1 (ko) 박막 시트 창 구비 접철식 경량 컨테이너
US9145246B2 (en) Composite package
JPH08299131A (ja) 改良された掲示用額縁コーナー部材と額縁
US20120325713A1 (en) Composite package
JP2002140018A (ja) フラットディスプレイの外框モジュール及びその組立方法
KR200354009Y1 (ko) 박막 시트 창 구비 접철식 경량 컨테이너
US10242603B2 (en) Display frame
KR200382459Y1 (ko) 커버가 구비된 접철식 경량 컨테이너용 커버
KR200356938Y1 (ko) 업다운 핸들형 접철식 경량 컨테이너
KR200382460Y1 (ko) 커버가 내장된 접철식 경량 컨테이너용 커버
KR200382458Y1 (ko) 커버가 구비된 접철식 경량 컨테이너용 커버
KR200462829Y1 (ko) 전면개폐식 게시판
KR100634057B1 (ko) 착탈가능한 연결부재를 갖는 사인 조립체
JP2022521677A (ja) 簡単にされた形状を有する折り畳み可能なパッケージ
KR20170002750U (ko) 1회용 개폐문이 설치된 사물함
KR200380337Y1 (ko) 거울 프레임
KR102435621B1 (ko) 종이접이식 액자
KR20080004819U (ko) 케익 받침대
JP4705235B2 (ja) 折り畳み式運搬用容器
KR200242349Y1 (ko) 즉석 조립용 액자
KR200355805Y1 (ko) 합성수지수납상자
CN2780008Y (zh) 百变磁力相架
KR200289677Y1 (ko) 재활용이 가능한 포장 어셈블리
KR101410060B1 (ko) 액자
JPH08295336A (ja) 折りたたみコンテ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