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9532A - 칼라 음극선관 - Google Patents

칼라 음극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9532A
KR20050079532A KR1020040008020A KR20040008020A KR20050079532A KR 20050079532 A KR20050079532 A KR 20050079532A KR 1020040008020 A KR1020040008020 A KR 1020040008020A KR 20040008020 A KR20040008020 A KR 20040008020A KR 20050079532 A KR20050079532 A KR 200500795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y tube
cathode ray
red
blue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8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근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8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79532A/ko
Publication of KR20050079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953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being coupled to the light guide
    • G02B6/007Incandescent lamp or gas discharge lamp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4Light-guides, e.g. fibre-optic bundles, louvered or jalousie light-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53Refle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6Fix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칼라 음극선관의 색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백색 휘도 및 퓨리티 여유도, 콘트라스트 특성이 개선된 칼라 음극선관에 관한 것이다. 또한, 각 캐소드에 인가되는 전류의 차를 줄여 스크린에 형성되는 전자빔의 포커스 특성이 향상된 칼라 음극선관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상술한 칼라 음극선관의 특성들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내면에 스크린이 형성된 패널을 포함하는 칼라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칼라 음극선관의 백색 좌표가 x=0.283, y=0.298이고, 캐소드에 인가되는 총 인가전류가 600㎂이며, 칼라 음극선관의 패널 외면에 나타나는 적색 발광면적과 녹색 발광면적의 폭이 청색 발광면적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칼라 음극선관 {Colar-CRT}
본 발명은 칼라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칼라 음극선관의 패널 내면에 형성된 형광체의 색좌표와 칼라 음극선관의 패널 외면에 나타나는 적색, 청색, 녹색의 발광면적을 조절하여 백색 휘도 및 퓨리티 여유도 뿐만 아니라 콘트라스트 특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각 캐소드에 인가되는 전류의 불균형을 개선시켜 전자빔 포커스 특성이 향상된 칼라 음극선관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칼라 음극선관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칼라 음극선관은 패널(10)이라고 하는 전면유리와 펀넬(20)이라고 하는 후면 유리가 결합되고 그 내부는 소정의 발광 역할을 하는 형광면(40)과 형광면을 발광시키는 전자빔(60)의 근원인 전자총과 소정의 형광체를 발광시키도록 색을 선별해주는 새도우마스크(30) 및, 이를 지지하는 프레임(7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를 패널에 결합되도록 해주는 스프링(80)과 음극선관이 동작 중 외부 지자계에 영향을 적게 받도록 차폐 역할을 해주는 인너 쉴드(90)가 프레임에 고정된 체로 고 진공으로 밀폐된다.
이러한 음극선관은 관 내부가 고 진공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폭축이 일어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패널(10)의 스커트(Skirt)부에 보강 밴드(110)를 장착하여 고 진공 상태의 음극선관의 응력을 분산 및 내 충격 성능을 확보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칼라 음극선관의 동작 원리는, 펀넬(20)의 넥크(Neck)부에 내장된 전자총에서 전자빔(60)이 음극선관에 인가된 양극전압에 의해서 패널(10)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형광면(40)을 타격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전자빔은 형광면에 도달하기 전 편향요크(50)에 의해서 상, 하, 좌, 우로 편향되고, 편향요크 후면의 형성된 2, 4, 6극 마그네트(Magnet,100)에 의해 지정된 형광체에 정확히 타격 하여 화상을 구현하게 된다.
한편, 패널 내면에 형성된 형광면은 색을 재현하는 적색, 녹색, 청색 형광체가 흑연막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형광체는 칼라 음극선관 구동시 전자빔에 의해 여기 되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정의 반사 스펙트럼을 갖는다.
도 2는 종래 칼라 음극선관의 형광체 반사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칼라 음극선관 패널 내면에 형성된 R(적색,2), G(녹색,1), B(청색,3) 형광체의 반사 스펙트럼은 각각의 색 영역에서 반사율을 갖게 된다. 형광체에는 각 색에 따라 소정의 안료가 포함되어 고유의 반사율을 갖게 된다. 예를 들어, 적색과 청색 형광체에 평균 직경 300㎚이하의 적색안료(산화철)와 청색안료(코발트블루)를 유기 바인드로 부착하여 외부광을 적색 형광체는 적색 영역에서 반사하고, 그 외의 영역색은 흡수하는 기능을 가지며 청색형광체는 청색영역에서 반사하고 그 외의 영역의 파장에서는 흡수하는 기능을 갖는다.
패널 내면 형광체에 부착되는 안료의 양은 음극선관의 품질 특성에 따라 조절된다. 통상적으로는 콘트라스트 특성을 높이기 위해 형광체 전체 양에 대하여 적색 형광체의 경우는 약 0.3%중량 정도의 적색안료가 부착되고, 청색 형광체의 경우는 약 3중량%정도의 청색안료가 부착된다.
한편, 칼라 음극선관은 화상을 표시하는 장치이므로 사용자들이 화면을 시청할 때는 시감이 좋아야 한다. 종래에는 칼라 음극선관의 맥색 화면이 화이트 칼라 조정시 백색 색좌표를 x=0.281, y=0.311로 하였다. 최근에는 칼라 음극선관의 화상을 구현할 때, 고전압을 인가함에 따라 패널 전면으로 방출하는 전자파를 최소화하기 위해 백색 색좌표를 x=0.283, y=0.298로 조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각 캐소드에 인가되는 전류는 녹색, 청색 캐소드에 비해 적색 캐소드에 많은 전류가 인가되어 캐소드 간의 전류차가 많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전류값의 불균형은 전자빔의 포커스 특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야기 시킨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칼라 음극선관의 패널 외면에 나타나는 적색 발광면적을 크게 하거나 녹색 및 청색의 발광면적을 작게 하여 캐소드 간의 전류차이를 줄이도록 하였다. 이럴 경우 포커스 특성은 개선될 수 있지만 적색 발광면적이 커질 경우. 콘트라스트 특성 및 퓨리티 여유도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녹색 및 청색 발광면적이 작아질 경우 백색 휘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3은 종래 칼라 음극선관의 형광체 발광 면적에 따라 적색, 녹색, 청색 캐소드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칼라 음극선관의 적색 캐소드에 인가되는 전류가 녹색, 청색 캐소드에 인가되는 전류보다 최대 43㎂ 만큼 더 큼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전류차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크린에 형성되는 전자빔 포커스 특성에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표 1은 종래 형광체를 포함하는 칼라 음극선관의 특성을 나타낸 것으로, 백색 색좌표 x=0.283, y=0.298이고, 캐소드에 인가되는 총 인가전류가 600㎂일 때, 칼라 음극선관의 패널 외면에 나타나는 발광면적에 따라 각 캐소드에 인가되는 전류값과 포커스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실시한 종래의 실시예 들이다.
구 분 종래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백색휘도(총 인가전류: 600㎂) 32.5 34.0 30.3 29.8 33.4
인가전류(㎂) 적색(R) 226 210 210 207 207
녹색(G) 183 191 190 196 197
청색(B) 191 200 200 198 196
최대값-최소값 43 19 20 11 11
색좌표 적색(R) x 0.638 0.638 0.638 0.638 0.638
y 0.329 0.329 0.329 0.329 0.329
녹색(G) x 0.270 0.270 0.270 0.270 0.270
y 0.609 0.609 0.609 0.609 0.609
청색(S) x 0.143 0.143 0.143 0.143 0.143
y 0.058 0.058 0.058 0.058 0.058
발광 면적율(%) 적색(R) 12.4 13.9 12.4 12.4 13.9
녹색(G) 12.4 12.4 11.1 10.6 11.8
청색(B) 12.4 12.4 11.0 11.0 12.4
합계 37.2 38.7 34.5 34.0 38.1
비 발광부(BM) 면적율(%) 62.8 61.3 65.5 66.0 61.9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개선된 실시예 1은 종래 칼라 음극선관의 패널 외면에 나타나는 각 적색, 녹색, 청색의 발광면적이 동일한 경우와는 달리 칼라 음극선관의 패널 외면에 나타나는 적색 발광면적을 증가시킨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칼라 음극선관은 각 캐소드에 인가되는 전류 값의 차이는 감소되고, 백색휘도 특성은 증가된다. 그러나 적색 발광 면적의 증가로 적색의 퓨리티 여유도가 저하되고, 비 발광부 면적이 감소되어 콘트라스트 특성이 저하된다.
실시예 2, 3은 칼라 음극선관의 패널 외면에 나타나는 적색, 녹색, 청색의 발광면적이 동일한 종래와는 달리 녹색, 청색의 발광면적을 줄이는 것으로, 각 캐소드에 인가되는 전류 값의 차이는 감소되고, 녹색, 청색의 퓨리티 여유도 및 콘트라스트 특성은 증가되지만 백색 휘도가 크게 감소된다.
실시예 4는 종래 칼라 음극선관의 패널 외면에 나타나는 적색, 녹색, 청색의 발광면적이 동일한 경우와는 달리 적색 발광면적을 증가시키고 녹색, 청색 발광면적을 줄이는 것으로, 각 캐소드에 인가되는 전류 값의 차이는 감소되고, 녹색, 청색의 퓨리티 여유도 및 백색휘도는 증가한다. 그러나 적색 발광 면적의 증가로 인해 적색의 퓨리티 여유도가 저하되고 비발광부 면적의 감소로 콘트라스트 특성이 저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종래 캐소드에 인가되는 전류값의 차이를 줄이기 위한 실시예 들을 종합하여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칼라 음극선관의 패널 외면에 나타나는 적색 발광면적을 크게 하면 전류값 차이가 줄어들게 되어 포커스 특성이 향상될 수는 있지만 적색의 퓨리티 여유도와 콘트라스트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칼라 음극선관의 패널 외면에 나타나는 녹색 및 청색의 발광면적을 작게 하면 백색휘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됨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칼라 음극선관의 화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칼라 음극선관의 패널 외면에 나타나는 적색, 녹색, 청색의 발광면적을 조절하고, 종래의 적색, 청색에 비해 보다 짙은 색을 가지게 하여 각 적색, 녹색, 청색의 퓨리티 여유도, 백색 휘도, 콘트라스트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칼라 음극선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색 좌표 조절시, 각 캐소드에 인가되는 전류값 차이를 줄여 전자빔의 포커스 특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칼라 음극선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수단은 내면에 형광면이 형성된 패널을 포함하는 칼라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칼라 음극선관의 백색 좌표가 x=0.283, y=0.298이고, 캐소드에 인가되는 총 인가전류가 600㎂이며, 칼라음극선관의 패널 외면에 나타나는 적색 발광면적과 녹색 발광면적의 폭이 청색 발광면적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캐소드에 인가되는 전류 중 녹색 캐소드의 인가전류 대비 적색 캐소드의 인가전류 비(CR/CG)는 1.00 ~ 1.10의 값을 갖고, 청색 캐소드의 인가전류 대비 적색 캐소드의 인가전류 비(CR/CB)는 1.00 ~ 1.10의 값을 갖도록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칼라 음극선관의 패널 외면에 나타나는 적색의 색좌표는 x=0.640 ~ 0.652, y=0.316 ~ 0.328이고, 청색 형광체의 색좌표는 x = 0.137 ~ 0.149, y = 0.043 ~ 0.055의 범위 값을 갖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칼라 음극선관의 패널 외면에 나타나는 적색, 녹색, 청색의 발광면적을 포함하는 패널 외면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조는 패널 외면에서 보면 적색(R), 녹색(G), 청색(B)의 발광면적이 소정의 간격으로 띠를 이루고 있고, 각각의 발광면적 사이에 블랙매트릭스(BM, )가 존재하여 패널 외면의 유효화면을 구성한다.
본 발명의 스크린 구조를 갖는 칼라 음극선관에 있어서, 적색, 녹색, 청색 캐소드에 인가되는 전류의 불균형을 개선하기 위하여는 칼라 음극선관의 패널 외면에 나타나는 적색, 녹색, 청색의 발광면적을 조절하고, 종래의 적색, 청색에 비해 보다 짙은 색을 가지게 하여 해결할 수 있다. 즉, 칼라 음극선관의 패널 외면에 나타나는 적색, 녹색, 청색의 발광면적 중 적색 발광면적의 폭(Rw)과 녹색 발광면적의 폭(Gw)을 청색 발광면적의 폭(Bw)보다 크게 형성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칼라음극선관 패널 내면의 스크린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형성된다.
먼저, 블랙매트릭스가 형성된 패널 내면을 순수로 세척하여 내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피브이에이(PVA) 용액을 주성분으로 하는 프리코트액을 도포하고, 탈수ㆍ건조시킨다. 이후, 형광체, 폴리비닐알코올과 감광제 및 계면 활성제 등의 현탁된 녹색 형광체 슬러리를 도포하고 회전 도포법에 의해 도포막을 형성시킨다. 완성된 도포막은 히터를 사용하여 건조시키고, 섀도우 마스크를 패널에 결합하여 소정의 자리를 노광하여 광경화 시키면 물에 불용인 상태로 된다.
이어서 섀도우 마스크를 패널에서 분리한 후, 순수를 사용하여 패널 내면을 현상하면 녹색 형광층이 완성된다. 동일한 방법으로 청색 및 적색 형광막을 이어 형성한 후, 적색, 청색, 녹색 형광막 위에 에멀젼 또는 락카를 사용하여 형광막 위를 평탄화 시킨 후 알루미늄막을 증착하여 스크린을 완성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형광면에 도포된 형광체의 제조 과정을 나타낸 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적색 형광체는 적색 형광체 코아에 젤라틴과 아라비아고무의 유기바인더를 이용하여 형광체 표면에 적색안료인 산화철입자가 부착된다.
적색 형광체에 안료를 부착하는 방법은 형광체와 안료를 부착하는 바인더로서 젤라틴과 아리비아고무를 사용하는데, 젤라틴 수용액에 형광체를 분산시킨 형광체 분산액과 다른 쪽에 아리비아고무 수용액에 입자 안료를 분산시킨 안료 수용액을 혼합하여 교반한 후, 이 혼합액에 경화제를 첨가함으로써 젤라틴과 아리비아고무의 혼합물을 안료로 하여 형광체 표면에 부착한다. 이 때, 적색 형광체는 Eu의 농도와 안료량을 적절히 조절하여 원하는 색좌표를 갖도록 형성한다.
청색 형광체는 적색 형광체와 같이 청색 형광체 코아에 젤라틴과 아라비아고무의 유기바인더를 형광체 표면에 청색 안료인 코발트 블루 입자가 부착된다. 청색 형광체에 안료를 부착하는 방법은 적색 형광체 제조 방법과 동일하다. 다만, 이때 사용하는 융제인 Ag 농도와 안료량을 적절히 조절하여 원하는 색좌표를 갖도록 형성한다.
다음 표 2는 종래의 형광체와 본 발명의 형광체를 사용하여 제작된 칼라 음극선관에 있어서, 백색 색좌표가 x=0.283, y=0.298이고, 캐소드에 인가되는 총 인가전류가 600㎂일 때, 칼라 음극선관의 패널 외면에 나타나는 색 좌표 및 발광면적에 따라 각 캐소드에 인가되는 전류값과 휘도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구분 종래 본 발명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White 휘도(총인가전류:600㎂) 32.5 34.1 32.4 33.2 32.2 32.4 32.7 32.9 32.6
인가전류(㎂) Red 226 217 207 211 205 206 208 210 213
Green 183 201 196 196 190 206 193 199 194
Blue 191 182 197 193 205 188 199 191 193
최대값-최소값 43 35 11 18 15 18 15 19 20
색좌표 Red x 0.638 0.646 0.646 0.646 0.646 0.646 0.646 0.646 0.646
y 0.329 0.322 0.322 0.322 0.322 0.322 0.322 0.322 0.322
Green x 0.270 0.277 0.277 0.277 0.277 0.277 0.277 0.277 0.277
y 0.609 0.601 0.601 0.601 0.601 0.601 0.601 0.601 0.601
Blue x 0.143 0.143 0.143 0.143 0.143 0.143 0.143 0.143 0.143
y 0.058 0.049 0.049 0.049 0.049 0.049 0.049 0.049 0.049
발광면적율(%) Red 12.4 12.4 12.4 12.4 12.4 12.4 12.4 12.4 12.1
Green 12.4 12.4 12.1 12.4 12.4 11.5 12.4 12.1 12.3
Blue 12.4 12.4 10.9 11.4 10.4 11.4 10.9 11.4 11.2
Total 37.2 37.2 35.4 36.2 35.2 35.3 35.7 35.9 35.6
비괄광부(BM) 면적율(%) 62.8 62.8 64.6 63.8 64.8 64.7 64.3 64.1 64.4
전류비 (CR/CG) 1.23 1.08 1.05 1.08 1.08 1.00 1.08 1.05 1.10
(CR/CB) 1.18 1.19 1.05 1.09 1.00 1.09 1.05 1.09 1.10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 칼라 음극선관은 패널 외면에 나타나는 적색, 녹색, 청색의 발광면적이 동일하고, 백색 색좌표가 x=0.283, y=0.298 일 때, 적색(R), 녹색(G), 청색(B) 캐소드에 인가되는 전류값의 차이가 약 43㎂만큼 매우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캐소드에 인가되는 전류값이 크게 차이가 나면 스크린에 형성되는 전자빔 포커스특성이 크게 저하된다.
반면, 본 발명의 형광체는 종래 적색 형광체에 비해 더 짙은 적색의 색감을 나타내는 적색 형광체와 종래 청색 형광체에 비해 더 짙은 청색의 색감을 나타내는 적색 형광체를 x=0.295, y=0.619의 색좌표를 갖는 녹색 형광체와 함께 사용한다. 여기에 패널 외면에 나타나는 적색, 녹색, 청색의 발광면적의 폭을 조절하여 발광 면적을 조절하고, 칼라 음극선관의 백색 색 좌표가 x=0.283, y=0.298이고, 캐소드에 인가되는 총 인가 전류가 600㎂가 되도록 조정한다. 이 때, 칼라 음극선관의 패널 외면에 나타나는 적색의 색좌표는 x=0.640 ~ 0.652, y=0.316 ~ 0.328이고, 청색의 색좌표는 x = 0.137 ~ 0.149, y = 0.043 ~ 0.055의 범위 값을 갖는다.
이에 대한 본 발명의 실시예 들을 살펴보면, 먼저, 실시예 1에서 종래와 같이, 본 발명의 형광체를 포함하는 음극선관에 있어서, 패널 외면에 나타나는 적색, 녹색, 청색의 발광면적을 종래와 동일하게 하더라도 적색 캐소드에 인가되는 전류가 종래보다 감소하고, 백색 휘도가 크게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2에서부터 실시예 7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형광체를 포함하는 칼라 음극선관은 종래 대비 녹색, 청색 발광면적을 감소시킨 것으로, 적색 캐소드에 인가되는 전류가 감소되고, 비 발광부 면적(BM)의 증가로 콘트라스트가 향상되며 녹색, 청색 발광면적의 감소로 녹색, 청색의 퓨리티 여유도가 증가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녹색, 청색의 발광면적이 감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종래와 동일한 수준의 백색 휘도 값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8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형광체를 포함하는 칼라 음극선관은 종래 대비 적색, 녹색, 청색 발광면적을 감소시킨 것으로, 적색 캐소드에 인가되는 전류가 감소되고, 비 발광부 면적(BM)의 증가로 콘트라스트가 향상되며, 적색, 녹색, 청색 발광면적의 감소로 적색, 청색, 녹색의 퓨리티 여유도가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적색, 녹색, 청색의 발광면적이 감소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종래와 같은 수준의 백색 휘도 값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의 각 형광체 색좌표와 패널 외면에 나타나는 발광면적을 조절함으로써 나타나는 각 캐소드의 인가 전류비 중 녹색 캐소드의 인가전류 대비 적색 캐소드의 인가전류 비(CR/CG)는 1.00 ~ 1.10의 값을 갖고, 청색 캐소드의 인가전류 대비 적색 캐소드의 인가전류 비(CR/CB)는 1.00 ~ 1.10의 값을 갖는다.
도 6은 종래 및 본 발명의 칼라 음극선관 캐소드에 인가되는 전류차를 비교하여 그래프로 나타낸 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시예 1을 제외한 나머지 실시예들은 적색, 녹색, 청색의 캐소드에 인가되는 전류의 차이가 종래보다 현저히 낮아짐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캐소드에 인가되는 전류가 균일하게 되면 스크린에 형성되는 전자빔의 포커스 특성이 향상되어 화질이 우수한 칼라음극선관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칼라 음극선관의 형광체 색좌표 및 패널 외면에 나타나는 발광면적을 조절하여 칼라 음극선관 구동시, 각 캐소드에 인가되는 전류의 차를 줄여 전자빔 포커스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화면의 백색 휘도 및 콘트라스트 특성과 퓨리티 여유도 특성이 한층 더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칼라 음극선관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종래 칼라 음극선관의 형광체 반사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종래 칼라 음극선관의 형광체 발광 면적에 따라 적색, 녹색, 청색 캐소드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그래프로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칼라 음극선관 패널 외면에 나타나는 발광면적을 포함하는 패널 외면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형광면에 도포된 형광체의 제조 과정을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종래 및 본 발명 칼라 음극선관의 각 캐소드에 인가되는 전류차를 그래프로 비교하여 나타낸 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녹색 형광체 2: 적색 형광체
3: 청색 형광체 10: 패널
20: 펀넬 30: 새도우 마스크
40: 형광면 50: 편향요크
60: 전자빔 70: 프레임
80: 스프링 90: 인너 쉴드
100: 마그네트 110: 보강밴드

Claims (3)

  1. 내면에 형광면이 형성된 패널을 포함하는 칼라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칼라 음극선관의 백색 좌표가 x=0.283, y=0.298이고, 캐소드에 인가되는 총 인가전류가 600㎂일 때,
    패널 외면에 나타나는 적색, 녹색, 청색의 발광면적 중 적색 발광면적의 폭과 녹색 발광면적의 폭이 청색 발광면적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에 인가되는 전류 중 녹색 캐소드의 인가전류 대비 적색 캐소드의 인가전류 비(CR/CG)는 1.00 ~ 1.10의 값을 갖고, 청색 캐소드의 인가전류 대비 적색 캐소드의 인가전류 비(CR/CB)는 1.00 ~ 1.10의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외면에 나타나는 적색의 색좌표는 x=0.640 ~ 0.652, y=0.316 ~ 0.328이고, 상기 패널 외면에 나타나는 청색의 색좌표는 x = 0.137 ~ 0.149, y = 0.043 ~ 0.055의 범위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KR1020040008020A 2004-02-06 2004-02-06 칼라 음극선관 KR200500795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8020A KR20050079532A (ko) 2004-02-06 2004-02-06 칼라 음극선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8020A KR20050079532A (ko) 2004-02-06 2004-02-06 칼라 음극선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9532A true KR20050079532A (ko) 2005-08-10

Family

ID=37266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8020A KR20050079532A (ko) 2004-02-06 2004-02-06 칼라 음극선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7953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120515B2 (ja) 光選択吸収膜付カラー陰極線管
JP3276105B2 (ja) カラー受像管
KR20050079532A (ko) 칼라 음극선관
US6819040B2 (en) Cathode ray tube having an internal neutral density filter
JPH0927284A (ja) カラー陰極線管
KR100229708B1 (ko) 음극선관용 형광막 제조방법
KR100636447B1 (ko) 표시장치
KR100445026B1 (ko) 녹색 필터막을 채용한 음극선관 스크린막
KR100249264B1 (ko) 칼라브라운관의형광막구조
KR20050006705A (ko) 칼라 음극선관
KR100323705B1 (ko) 칼라 음극선관의 형광막구조
KR100428969B1 (ko) 흑색 필터막을 채용한 음극선관 스크린막
KR100907330B1 (ko) 칼라 음극선관용 패널
KR20040105452A (ko) 칼라 음극선관
JPH07120513B2 (ja) カラー陰極線管
KR100238759B1 (ko) 칼라음극선관용 프리코트액 조성물
KR100243030B1 (ko) 칼라브라운관의 형광막 조성물
KR100552626B1 (ko) 칼라음극선관의 형광막 형성방법
KR100734350B1 (ko) 칼라음극선관의 스크린 표시장치
KR100361813B1 (ko) 칼라음극선관용 형광막을 갖는 영상 표시장치
EP1098348A2 (en) Color cathode ray tube and manufacture for contrast improvement
JPH10125252A (ja) カラー陰極線管
KR20030060682A (ko) 선택투과막이 형성된 칼라 음극선관용 패널 및 그선택투과막의 형성방법
JPH06260096A (ja) カラー受像管
JP2005536838A (ja) ニュートラルデンシティフィルタを有するc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