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8963A - 통신 단말장치의 전화번호 리스트 전송 방법 및 그 통신단말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단말장치의 전화번호 리스트 전송 방법 및 그 통신단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8963A
KR20050078963A KR1020040007063A KR20040007063A KR20050078963A KR 20050078963 A KR20050078963 A KR 20050078963A KR 1020040007063 A KR1020040007063 A KR 1020040007063A KR 20040007063 A KR20040007063 A KR 20040007063A KR 20050078963 A KR20050078963 A KR 20050078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st
communication terminal
telephone number
wired
tele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7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2645B1 (ko
Inventor
박세동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7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2645B1/ko
Publication of KR20050078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8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2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26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47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with open cavities, e.g. for covering sunken roads
    • E01F8/0052Grate-style, e.g. as wall facing
    • E01F8/0058Grate-style, e.g. as wall facing with damping material, e.g. rockwool, san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11Plank-lik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유무선 인터페이스부와, 전화번호를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에 의해 관리되는 전화번호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로딩하여 전화번호 관리 기능모듈을 구동하여 전송할 전화번호를 선택하고 그 선택된 전화번호를 리스트로 작성하여 기설정된 전송방식에 의해 유무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지정된 통신 단말장치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통신 단말 장치에 저장된 전화번호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전화번호들을 사용자가 선택한 형태의 리스트로 작성하여 이메일 서비스 또는 팩스 서비스를 이용하여 다른 통신 단말 장치에 전송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자신의 통신 단말 장치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자신이 작성한 전화번호 리스트를 수정하기 쉬운 통신 단말장치로 전송한 후, 해당 통신 단말장치에서 수정함으로써 전화번호 리스트를 효과적으로 수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 단말장치의 전화번호 리스트 전송 방법 및 그 통신 단말장치{METHOD FOR TRANSMITTING PHONE NUMBER LIST IN TERMINAL AND THE SAME}
본 발명은 통신 단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전화번호 리스트를 팩스 또는 이메일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는 통신 단말장치의 전화번호 리스트 전송 방법 및 그 통신 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유무선 전화기는 물론 보급이 급속도로 신장되고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와 같은 각종 통신 단말 장치에는 전화번호 저장 기능 및 검색기능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아울러 이러한 통신 단말 장치들은 전화번호들을 최근 발신된 번호순으로 저장하여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다.
종래의 통신 단말 장치에서의 전화번호 저장기능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각 전화번호별로 각종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관련정보의 예로는 사용자 성명, 주소, 유선 전화번호, 휴대폰 전화번호, 팩스번호, 집주소, 메모 사항 등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자신이 저장해놓은 전화번호를 검색하여 단축키들을 통해 전화를 할 수 도 있고, 발신자 표시장치에 등록된 경우에는 전화가 걸려오는 경우 기저장된 전화번호에 대하여는 기저장된 전화번호의 관련정보를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하여 표시하여 주고 있다.
또한 전화를 걸 전화번호가 떠오르지 않는 경우에는 전화번호 리스트 메뉴를 선택하여 유무선 전화기에 구비된 키입력부를 조작하여 원하는 전화번호를 조회할 수 있고, 그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전화번호를 호출할 수 도 있다.
이와같이 종래의 통신 단말 장치에서는 사용자가 저장해놓은 전화번호들에 대하여 조회하고, 그 조회된 전화번호를 호출하는 정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통신 단말 장치에서는 하나의 통신 단말장치에 저장된 전화번호 정보는 해당 통신 단말 장치에서는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나,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통신 단말 장치에 그 저장된 전화번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 각 통신 단말 장치마다 일일히 해당 전화번호의 정보를 입력해야하는 번거롭이 있었다.
또한,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전화번호 리스트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전화번호들만을 따로 분류하여 다른 사용자의 통신 단말 장치에 전송하고 싶은 경우에도 그럴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통신 단말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 정보들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전화번호 정보를 사용자가 지정하는 다른 통신 단말 장치에 전송할 수 있는 통신 단말장치의 전화번호 리스트 전송 방법 및 그 통신 단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유무선 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유무선 인터페이스부와, 전화번호를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에 의해 관리되는 전화번호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로딩하여 전화번호 관리 기능모듈을 구동하여 전송할 전화번호를 선택하고 그 선택된 전화번호를 리스트로 작성하여 기설정된 전송방식에 의해 유무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지정된 통신 단말장치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전화번호를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로딩하여 전화번호 관리 기능모듈을 구동하는 단계와, 그 구동된 전화번호 관리 기능모듈에 의하여 전송할 전화번호를 선택하고 그 선택된 전화번호를 리스트로 작성하여 기설정된 전송방식에 의해 유무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지정된 통신 단말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통신 단말 장치의 전화번호 리스트 전송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화번호 관리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전체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전화번호중에 사용자가 선택한 전화번호를 사용자가 원하는 포맷으로 리스트를 작성하여 원격지로 전송하는 통신 단말 장치(10)와, 유무선 네트워크(20)를 통해 통신 단말 장치(10)로부터 전화번호 리스트를 전송받아 이메일 서버(40)를 통하여 이메일을 전송하거나 유무선 네트워크(20)를 통해 지정된 팩스(50)에 그 전화번호 리스트를 전송하는 서비스 서버(30)로 구성된다.
서비스 서버(30)는 유무선 네트워크(20)를 통해 연결된 통신 단말장치(10)에 이메일 서비스 또는 팩스 서비스 또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서버이다. 여기에서, 통신 단말 장치(10)는 서비스 서버(30)를 통해 사용자에게 이메일 서비스 또는 팩스 서비스 또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복합 기능 통신 단말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홈메신저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통신 단말장치는 제어부(11)와, 키입력부(12)와, 표시부(13)와, 메모리(14)와, 유무선 인터페이스부(15)와, 음성처리부(16)로 구성된다.
키 입력부(12)는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기 위한 숫자버튼들과 다수의 기능버튼을 구비하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키에 대응되는 키 데이터를 발생하여 제어부(11)로 전송한다.
메모리(14)는 통신 단말장치의 동작 제어시 필요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프로그램 메모리와, 전체 전화번호 데이터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고 전송하기 위해 리스트로 작성된 전화번호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 등을 포함하고 있다.
메모리(14)는 전송할 전화번호를 사용자별 또는 전화번호별로 검색하여 정렬된 리스트의 저장영역을 가진다. 사용자에 의한 전화번호 전송 메뉴선택에 대응된 키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선택된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들을 정렬하여 저장한다.
제어부(11)는 메모리(14)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통신 단말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여 전송할 전화번호를 사용자별로 리스트로 작성하여 그 작성된 리스트를 이메일 또는 팩스로 전송하기 위한 전화번호의 선택 및 전송을 제어를 수행한다.
표시부(13)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어부(11)의 제어하에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한 메뉴 및 동작 상황과 통신 단말 장치의 동작상태에 따른 메시지를 표시하여 준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표시부(13)에는 무선통신신호 수신 및 발신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발광 표시등인 LED(Light Emission Diode)를 포함하고 있다.
유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15)는 유무선 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여 제어부(11)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변조 및 주파수 변환하여 유선 또는 무선 안테나(ANT)를 통해 무선신호를 전송하고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된 무선신호로부터 수신신호를 분리하여 수신 무선신호를 주파수변환 및 복조하여 제어부(11)로 전송한다. 여기에서, 유무선 통신망은 팩스망, IP망, 유선 랜, 무선 랜, 블루투스망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음성 처리부(16)는 제어부(11)의 제어를 받아 마이크(MIC)로 입력되는 음성을 처리하여 디지털화하고 유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부(15)를 통해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복조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통신 단말 장치에서 사용자가 키입력부(12)를 통하여 전화번호 관리 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11)는 키입력부(12)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메모리(14)에 저장된 전화번호 관리 프로그램을 로딩하고, 그 로딩된 프로그램에 의해 표시부(13)에 전화번호 관리 메뉴를 표시한다. 사용자는 키입력부(12)를 통해 전화번호 리스트 전송 메뉴를 실행하기 위한 명령을 하고, 제어부(11)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전화번호 리스트 전송 메뉴를 실행하여 표시부(13)에 표시한다. 사용자는 표시부(13)에 표시된 각종 메뉴를 참조하여 전화번호를 조회하고 조회된 전화번호중에서 전송할 전화번호를 선택하여 리스트로 저장하고, 그 리스트에 대한 포맷변경 작업을 통해 이메일이나 팩스를 통하여 임의의 다른 통신 단말 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한다. 제어부(11)는 키입력부(12)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메모리(14)에 저장된 각종 전화번호 정보를 읽어들여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전화번호 리스트로 가공하여 유무선 인터페이스부(15)를 통하여 지정된 통신 단말 장치에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메모리에 저장된 전화번호 관리 프로그램이 로딩되어 수행되는 기능모듈의 구성블록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화번호 관리 기능모듈은 메뉴 제공 모듈(1)과, 전화번호 조회모듈(2)과, 전화번호 선택 모듈(3)과, 리스트 작성 모듈(4)과, 리스트 포맷 변경모듈(5)과, 전송처리모듈(6)로 이루어진다.
메뉴 제공 모듈(1)은 전화번호 관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메뉴를 표시부(12)에 표시한다.
전화번호 조회 모듈(2)은 사용자가 메뉴 제공 모듈(1)에 의해 표시부(12)에 표시된 전화번호 관리 메뉴를 보고, 키입력부(11)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조회하고자 하는 전화번호, 성명, 그룹 들중 어느 하나의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메모리(14)에 저장된 전체 전화번호 데이터 베이스에서 해당 전화번호를 조회한다. 전화번호 조회 모듈(2)에 의해 조회된 결과는 메뉴 제공모듈(1)를 통해 표시부(13)에 표시된다.
전화번호 선택 모듈(3)은 사용자가 표시부(13)에 표시된 전화번호를 보고, 키입력부(12)를 통해 임의의 전화번호를 선택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면, 해당 명령에 의해서 표시부(13)에 표시된 전화번호중에서 선택된 전화번호를 선택한다.
리스트 작성 모듈(4)은 전화번호 선택 모듈(3)에 의해 선택된 전화번호들을 리스트로 작성하여 메모리(14)에 저장한다.
리스트 포맷 변경모듈(5)은 키입력부(12)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메모리(14)에 저장된 전화번호 리스트를 사용자가 전송하기를 원하는 형태로 생성한다. 예를 들면, 이메일로 전송할 경우에는 엑셀(excel) 프로그램에서 읽어서 작업할 수 있도록 엑셀 포맷으로 변경할 수 도 있다. 엑셀 포맷으로 변경하는 것은 입력값과 입력값 사이를 탭(TAB)키 또는 스페이스바(SPACE BAR)를 통해 구별함으로써 가능하다. 전화번호 리스트를 엑셀 포맷으로 변경할 경우 이메일로 전송받은 다음에 용도에 맞게 수정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팩스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팩스로 프린트되는 것을 감안하여 한줄씩 배열하거나, 두줄씩 배열하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형식으로 배열을 선택할 수 있다. 작업이 손쉽게 하기 위해서는 리스트 포맷 변경 모듈(5)에서 몇 개의 형식을 예시하고, 그 중에서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하게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전송처리모듈(6)은 키입력부(12)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메모리(14)에 저장된 전화번호 리스트를 사용자가 전송하기를 전송방식에 의해 유무선 인터페이스(5)를 제어하여 지정된 통신 단말 장치에 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 리스트 전송 서비스의 과정이다.
사용자가 키입력부(12)에서 전화번호 리스트 전송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해당 키를 조작하여 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11)는 메모리(14)에 저장된 전화번호 관리 기능 모듈을 로딩시킨다(S1). 전화번호 관리 기능 모듈이 로딩되면 우선 메뉴제공 모듈(1)은 전화번호 리스 전송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초기 화면을 표시부(13)에 표시한다(S2). 사용자는 초기화면을 보고 자신이 찾는 전화번호를 조회하기 위하여 해당 키를 키입력부(12)에서 입력한다. 이에 따라 메뉴 제공모듈(1)은 전화번호 조회를 위한 조회 화면을 표시부(13)에 표시한다(S3). 이때 조회화면에는 전화번호별 조회, 그룹별 조회, 이름별 조회 등 다양한 종류의 조회 조건에 맞는 조회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조회화면을 보고 자신이 조회하기를 원하는 조건을 입력한다. 이때 입력될 수 있는 조건에는 전화번호의 일부 또는 전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조회하고자 하는 이름의 일부 또는 전체가 입력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키입력부(12)를 통해 수동적으로 조건을 입력하지 않고 방향 선택키를 조작하여 조회화면에 표시된 항목중에서 커서를 이동한 후 커서가 해당 항목에 위치하면 선택 버튼(미도시됨)을 눌러 해당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전화번호 조회 모듈(2)은 조회 조건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4) 조회 조건이 입력된 경우에는 메모리(14)에 저장된 전체 전화번호 데이터 베이스에서 해당 조건에 부합하는 전화번호를 조회한다(S5). 메뉴제공모듈(1)은 전화번호 조회모듈(2)에 의해 조회된 조회 결과 화면을 표시부(13)에 표시한다(S6). 사용자는 표시부(13)에 표시된 조회 결과 화면을 보고 자신이 전송하기를 원하는 전화번호가 표시되어 있으면 키입력부(12)를 통해 해당 전화번호를 선택하기 위한 키입력을 입력한다.
전화번호 선택 모듈(3)은 키입력부(12)를 통해 표시부(12)에 표시된 임의의 전화번호을 선택하기 위한 키입력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S7) 그 키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명령에 의해서 표시부(13)에 표시된 전화번호중에서 선택된 전화번호를 선택한다(S8).
리스트 작성 모듈(4)은 전화번호 선택 모듈(3)에 의해 선택된 전화번호들을 리스트로 작성하여 메모리(14)에 저장한다(S9).
하나의 전화번호가 리스트로 메모리(14)에 저장이 되면 메뉴 제공 모듈(1)은 그 리스트에 다른 전화번호를 추가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표시부(13)에 표시한다. 사용자는 리스트에 다른 전화번호를 더 추가하길 원하는 경우에는 해당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메뉴 제공 모듈(1)은 새로운 전화번호를 추가하길 요청하는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하여(S10) 추가 입력을 요청하는 경우에는 조회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S3)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리스트 포맷 선택 화면을 표시부(13)에 제공한다. 사용자는 리스트 선택 화면에서 자신이 원하는 포맷을 선택한다. 이에 따라 리스트 포맷 변경모듈(5)은 키입력부(12)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메모리(14)에 저장된 전화번호 리스트를 사용자가 전송하기를 원하는 포맷으로 생성한다(S14).
이어, 메뉴 제공 모듈(1)은 전송 형태를 선택할 수 있는 전송방식 선택 화면을 표시부(13)에 제공한다. 사용자는 전송방식 선택 화면에서 자신이 원하는 전송 방식을 선택한다. 이에 따라 메뉴 제공모듈(1)은 키입력부(12)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전송방식에 상응하여 수신자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표시부(13)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해당 항목에 수신자의 정보를 입력한다. 전송처리모듈(6)은 키입력부(12)를 통해 수신자 정보의 입력이 완료되면 메모리(14)에 저장된 전화번호 리스트를 사용자가 선택한 전송방식에 의해 유무선 인터페이스부(15)를 제어하여 지정된 통신 단말 장치에 전송한다(S15).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 단말 장치에 저장된 전화번호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전화번호들을 사용자가 선택한 형태의 리스트로 작성하여 이메일 서비스 또는 팩스 서비스를 이용하여 다른 통신 단말 장치에 전송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자신의 통신 단말 장치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자신이 작성한 전화번호 리스트를 수정하기 쉬운 통신 단말장치로 전송한 후, 해당 통신 단말장치에서 수정함으로써 전화번호 리스트를 효과적으로 수정할 수 있다.
아울러, 자신이 가지고 있는 전화번호 정보를 상대방에게 손쉽게 전송할 수 있음에 따라 각 통신 단말 장치내에 저장된 전화번호 정보를 손쉽게 공유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화번호 관리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전체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메모리에 저장된 전화번호 관리 프로그램이 로딩되어 수행되는 기능모듈의 구성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 리스트 전송 서비스의 과정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메뉴 제공 모듈 2 : 전화번호 조회모듈
3 : 전화번호 선택 모듈 4 : 리스트 작성 모듈
5 : 리스트 포맷 변경모듈 6 : 전송처리모듈
10 : 통신 단말 장치 11 : 제어부
12 : 키입력부 13 : 표시부
14 : 메모리 15 : 유무선 인터페이스부
16 : 음성 처리부

Claims (17)

  1. 유무선 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유무선 인터페이스부와,
    전화번호를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에 의해 관리되는 전화번호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로딩하여 전화번호 관리 기능모듈을 구동하여 전송할 전화번호를 선택하고 그 선택된 전화번호를 리스트로 작성하여 기설정된 전송방식에 의해 상기 유무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지정된 통신 단말장치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 장치.
  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무선 통신망은 팩스망, IP망, 유선 랜, 무선 랜, 블루투스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방식은 이메일, 팩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전체 전화번호 정보, 상기 전체 전화번호 정보에서 전송되기 위하여 상기 리스트로 작성된 전화번호 정보를 저장하는 통신 단말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통신 단말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장치는,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한 메뉴 및 동작상황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통신 단말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 관리 기능모듈은,
    전화번호 관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메뉴를 표시하는 메뉴 제공 모듈과,
    조회하고자 하는 전화번호에 대한 조건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전체 전화번호 데이터 베이스에서 해당 전화번호를 조회하는 전화번호 조회 모듈과,
    상기 전화번호 조회 모듈에 의해 조회된 전화번호중에서 전송할 전화번호를 선택하는 전화번호 선택 모듈과,
    상기 전화번호 선택 모듈에 의해 선택된 전화번호들을 리스트로 작성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리스트 작성 모듈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전화번호 리스트를 사용자가 선택한 전송방식에 의해 상기 유무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여 지정된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전송처리모듈을 포함하는 통신 단말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전화번호 리스트를 사용자가 전송하기를 원하는 형태로 생성하는 리스트 포맷 변경모듈을 더 포함하는 통신 단말 장치.
  9.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전화번호중에 사용자가 선택한 전화번호를 사용자가 원하는 포맷으로 전화번호 리스트를 작성하여 설정된 전송방식에 의해 원격지로 전송하는 통신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통신 단말 장치로부터 전화번호 리스트를 전송받아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통신 단말장치에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 장치는,
    상기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유무선 인터페이스부와,
    전화번호를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에 의해 관리되는 전화번호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로딩하여 전화번호 관리 기능모듈을 구동하여 전송할 전화번호를 선택하고 그 선택된 전화번호를 리스트로 작성하여 기설정된 전송방식에 의해 상기 유무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11. 전화번호를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로딩하여 전화번호 관리 기능모듈을 구동하는 단계와,
    상기 구동된 전화번호 관리 기능모듈에 의하여 전송할 전화번호를 선택하고 그 선택된 전화번호를 리스트로 작성하여 기설정된 전송방식에 의해 상기 유무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지정된 통신 단말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통신 단말 장치의 전화번호 리스트 전송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유무선 통신망은 팩스망, IP망, 유선 랜, 무선 랜, 블루투스망인 통신 단말 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방식은 이메일, 팩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 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전화번호 관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와,
    조회하고자 하는 전화번호에 대한 조건이 입력되는 경우 전체 전화번호 데이터 베이스에서 해당 전화번호를 조회하는 전화번호 조회하는 단계와,
    그 조회된 전화번호중에서 전송할 전화번호를 선택하는 단계와,
    선택된 전화번호들을 리스트로 작성하여 리스트로 작성하는 단계와,
    그 작성된 전화번호 리스트를 사용자가 선택한 전송방식에 의해 유무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여 지정된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통신 단말 장치의 전화번호 리스트 전송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 리스트를 사용자가 전송하기를 원하는 형태로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단말 장치의 전화번호 리스트 전송 방법.
  16. 유무선 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유무선 인터페이스부와,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전화번호중 전송할 전화번호를 선택하고 그 선택된 전화번호를 리스트로 작성하여 기설정된 전송방식에 의해 상기 유무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지정된 통신 단말장치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방식은 이메일, 팩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통신 단말 장치.
KR1020040007063A 2004-02-03 2004-02-03 통신 단말장치의 전화번호 리스트 전송 방법 및 그 통신단말장치 KR100602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7063A KR100602645B1 (ko) 2004-02-03 2004-02-03 통신 단말장치의 전화번호 리스트 전송 방법 및 그 통신단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7063A KR100602645B1 (ko) 2004-02-03 2004-02-03 통신 단말장치의 전화번호 리스트 전송 방법 및 그 통신단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8963A true KR20050078963A (ko) 2005-08-08
KR100602645B1 KR100602645B1 (ko) 2006-07-19

Family

ID=37266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7063A KR100602645B1 (ko) 2004-02-03 2004-02-03 통신 단말장치의 전화번호 리스트 전송 방법 및 그 통신단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2645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6050A (ja) 1997-11-05 1999-05-28 Sony Corp 携帯無線機
KR100342487B1 (ko) 1999-12-07 2002-06-28 윤종용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폰북내용을 단문서비스로 송수신하기위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2645B1 (ko) 2006-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1650B2 (en) Menu displaying method in a mobile terminal
EP1860852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ing background screen and display method thereof
KR10089245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전화번호부 검색 방법 및 전화번호부 검색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US6816737B2 (en) Method for retrieving message in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KR100621194B1 (ko) 사용자 단말기내의 저장 정보 검색 방법 및 그 방법을이용하는 사용자 단말기
KR100735412B1 (ko) 동일 송수신 번호에 대해 빠른 단문 메시지 검색을 위한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
KR100308663B1 (ko)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KR100602645B1 (ko) 통신 단말장치의 전화번호 리스트 전송 방법 및 그 통신단말장치
KR19990068169A (ko) 등록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화 장치
US20090176535A1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Storage Medium
JP2001352412A (ja) 通信装置
KR101368405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4273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처리 방법 및 그 이동 통신단말기
KR100460490B1 (ko) 원격메시지전송기능이 구비된 에스엠에스 전화기시스템 및그 제어방법
KR100598046B1 (ko) 단말기에서의 부재중 착신정보 알림 방법
KR100900284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전화번호 검색방법
KR100640425B1 (ko) 단문메시지 송수신을 태스크 단위로 관리하는 방법
KR10106603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발신/수신 번호의 전화번호 등록방법
KR20020056987A (ko) 이동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발신번호 빈도순 전화번호검색방법
JP4268854B2 (ja) 携帯通信端末
JP2001197101A (ja) 携帯通信端末装置
KR100520665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전화번호 저장 방법
KR20040041862A (ko) 우선순위에 따른 휴대폰 전화번호부 검색 방법
KR100662102B1 (ko) 메시지 전송 방법 및 메시지 전송 기능을 구비한 휴대형 단말기
KR101006596B1 (ko) 휴대단말기의 주소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