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8213A - 콘텐츠정보 관리장치 및 콘텐츠정보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콘텐츠정보 관리장치 및 콘텐츠정보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8213A
KR20050078213A KR1020050007609A KR20050007609A KR20050078213A KR 20050078213 A KR20050078213 A KR 20050078213A KR 1020050007609 A KR1020050007609 A KR 1020050007609A KR 20050007609 A KR20050007609 A KR 20050007609A KR 20050078213 A KR20050078213 A KR 20050078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mespace
content information
prefix
inquiry
respo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7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9108B1 (ko
Inventor
모리오카야수히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50078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8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9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91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1Design, administration or maintenance of databases
    • G06F16/215Improving data quality; Data cleansing, e.g. de-duplication, removing invalid entries or correcting typographical err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5Query processing
    • G06F16/2455Query execution
    • G06F16/24553Query execution of query operations
    • G06F16/24554Unary operations; Data partitioning operations
    • G06F16/24556Aggregation; Duplicate eli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40Data acquisition and log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XML의 이름공간을 이용해서 기술(記述)된 콘텐츠정보를 기초로 콘텐츠 디렉토리 서비스를 적절히 수행할 수 있는 콘텐츠정보 관리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XML로 기술된 콘텐츠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장치로부터 콘텐츠를 수신하고, 각각의 콘텐츠정보로부터 이름공간을 선언하는 기술을 추출한다. 추출한 이름공간의 기술의 접두사가 중복되는 것을 검출했을 때는, 이들 접두사가 중복되지 않는 값으로 치환해서 콘텐츠정보에 포함되는 이름공간을 재구축 하는 것에 의해, 이들 콘텐츠를 결합한 XML형식으로 관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콘텐츠정보 관리장치 및 콘텐츠정보 관리방법{CONTENTS MANAGEMENT APPARATUS AND CONTENTS MANAGEMENT METHOD}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경유해서 제공되는 콘텐츠의 콘텐츠정보(메타데이터)를 관리하는 콘텐츠 관리장치 및 콘텐츠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년, 음악이나 영상(Audio/Video) 등의 콘텐츠(이하, 「AV콘텐츠」라 함)를 비디오 테이프나 콤팩트 디스크와 같은 물리적 매체에 기억시켜 관리하여 재생하는 이용방법 대신, AV 콘텐츠의 기록 또는 재생을 수행하는 기기(이하, 「AV기기」라고 함) 그 자체가 하드디스크를 갖고, AV콘텐츠를 내장 하드디스크에 기록해서 보유하는 것이 나타나고 있다. 더욱이, AV기기를 서로 네트워크로 연결하고, 다른 기기로부터의 콘텐츠의 검색이나 조작, 기기를 통한 콘텐츠의 이동, 복제, 재생 등을 가능하게 한 것이 나타나고 있다. 예컨대, IEEE(Th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1394 방식 시리얼버스를 이용한 AV기기간 전송이나, IEEE802 방식 네트워크와 TCP/IP 프로토콜을 이용한 것이 개발되고 있다.
최근에는, 범용적인 AV기기 제휴의 틀로서 UPnP(Universal Plug and Play) A V규격이 제안되어 있다(하기 비특허문헌 1 참조). 이는 UPnP 사양에서 정의되고 있는 기본서비스에 더하여, AV콘텐츠의 조회 및 재생/녹화 등에 관한 수속과 콘텐츠정보의 기술에 관한 표준을 정한 것이다. UPnPAV의 콘텐츠 디렉토리 서비스(CDS: Content Directory Service)에 의하면, AV기기가 보유하고 있는 콘텐츠정보를 조회하거나, 그와 같은 AV기기에 있어서 콘텐츠정보의 생성, 삭제, 갱신을 요구하기 위한 방법이 통일화된다.
UPnPAV를 기초로 네트워크상에서의 AV 콘텐츠 이용시, 다른 기기가 개재하는 것으로 부가가치를 부여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예컨대, 어느 AV기기가 제공하는 콘텐츠 데이터형식을 바람직한 다른 데이터형식으로 변환해서 제공하거나, 복수의 AV기기가 관리하는 콘텐츠정보를 일원화하여 관리해서 공개한다고 하는 것이다.
이를 근거로 하여 각 제조업자 또는 서비스 사업자는 UPnPAV로 정해져 있는 표준적인 콘텐츠정보에 있어서 독자적인 정보를 부가하게 된다. UPnPAV에서는 콘텐츠정보의 기술에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이 채용되고, 이름공간의 기술도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XML의 이름공간에는 일의(一意)의 URI에 의해 이름공간이 선언되고, 다른 이름공간과 식별된다. 일의의 URI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이름공간 자체의 등록 관리가 불필요해지는 메리트가 있다. UPnPAV에 있어서 표준으로서 정의된 이름공간과 더불어 기술된 요소(또는 속성)와, 부가 정보를 위해 독자적으로 정의된(비표준의) 이름공간과 더불어 기술된 요소(또는 속성)는 이름공간이 서로 식별 가능한 것으로부터 그 충돌이 회피된다.
예컨대, 복수의 AV기기가 관리하는 콘텐츠정보를 일원화하여 관리해서 제공하는 경우, 복수의 기기에 분산해서 존재하는 콘텐츠정보를 집약하고, 가공하기 위해, DOM(Document Object Model)으로 불리우는 기술이 이용된다(하기 비특허문헌 2 참조). DOM프로세서는 XML기술을 나무구조로 간주한 조작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각 기기로부터 수집된 콘텐츠정보는 DOM의 importNode방법을 이용해서 결합되어, 콘텐츠정보 트리가 형성된다. UPnPAV의 CDS에서 이용되는 콘텐츠정보도 XML로 기술되고, 해당 XML기술에 있어서 이용되는 이름공간선언은 DOM 표현된 콘텐츠정보 트리의 최상위 노드에 부속시킨다.
[비특허문헌 1] 인터넷<URL: "MediaServer:1 Device Template Version 1.01 For Universal Plug and Play Version 1.0, Status: Standardized DCP, Date: June 25, 2002", http:// www.upnp.org/standardizeddcps/mediaserver.asp>
[비특허문헌 2] 인터넷<URL: "HDocument Object Model(DOM) Level 2 Core Specification Version 1.0 W3C Recommendation 13 November, 2000", http://www.w3.org/TR/DOM-Level-2-Core/core.html>
각 기기로부터 수집된 콘텐츠정보를 DOM에 의해 결합함에 있어, 각 콘텐츠정보의 이름공간선언기술을 추출해서 콘텐츠정보 트리의 최상위 노드에 그대로 부속시키면 문제가 발생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XML의 이름공간을 이용해서 콘텐츠정보의 XML기술에 있어서의 요소나 속성의 충돌은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이름공간 자체는 URI에 의해 구별된다. 그러나, URI는 다른 것의 이름공간지정에 이용되는 접두사는 중복해 버리는 사태가 일어날 수 있다. 이는 제공원이 다른 콘텐츠정보의 XML기술을 결합하는 경우에 일어나기 쉽다. 접두사는 기술을 간소화하기 위한 이름공간지정에 이용되고, URI와 함께 이름공간선언의 일부를 구성한다. 즉, 하나의 이름공간선언은 URI와, 해당 URI에 관련지워진 접두사로 이루어진다. 접두사에 중복이 발생한 경우, 동일 접두사에 있어서 복수의 이름공간선언이 존재하는 것으로 되어 문제가 된다. 종래, 이 문제는 설계상 또는 운용상의 문제로서 취급하고 있고, 중복이 생기지 않도록 사전에 고려해서 이름공간선언의 접두사를 설정할 필요가 있어, 이에는 다대한 작업 비용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상기 문제를 해결함과 더불어 XML의 이름공간을 이용해서 기술된 콘텐츠정보를 기초로 콘텐츠 디렉토리 서비스를 적절히 수행할 수 있는 콘텐츠정보 관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1관점에 따른 콘텐츠정보 관리장치는, 이름공간을 지정해서 XML로 기술된 콘텐츠정보를 제공하는 제1,제2콘텐츠 제공장치에 대해 조회를 하고, 해당 조회에 응답한 제1콘텐츠 제공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제1콘텐츠정보와 해당 조회에 응답한 제2콘텐츠 제공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제2콘텐츠정보를 결합해서 나무구조를 갖는 응답을 생성하며, 해당 응답을 다른 장치로부터의 조회에 따라 송신하는 콘텐츠정보 관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콘텐츠정보로부터 제1이름공간선언기술을 추출하고, 상기 제2콘텐츠정보로부터 제2이름공간선언기술을 추출하는 추출수단과, 상기 나무구조의 최상위 노드에 상기 제 1 및 제2이름공간선언기술을 배치한 경우, 해당 제1이름공간선언기술에 포함되는 제1접두사와, 해당 제2이름공간선언기술에 포함되는 제2접두사와의 중복을 검지하는 검지수단, 상기 중복을 회피하기 위해 상기 제1,제2콘텐츠정보를 처리하는 처리수단 및, 상기 처리수단에 의해 처리된 제1,제2콘텐츠정보를 결합해서 상기 응답을 생성하는 응답생성수단을 구비한다.
(실시예)
이하, 예시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시스템에서는 콘텐츠 및 콘텐츠정보를 갖는 AV기기(1), AV기기(2)와, 본 발명이 적용된 콘텐츠정보 관리장치(3) 및, 콘텐츠정보 관리장치(3)에 대해 요구를 수행하는 컨트롤기기(4)가 통신로(5)를 매개로 접속되어 있다. 컨트롤기기(4)는 콘텐츠정보 관리장치(3)에 대해 콘텐츠정보의 검색요구(콘텐츠정보의 열람이나 검색)나 조작요구(콘텐츠정보의 생성, 삭제, 변경 등)를 수행한다. 이들 요구에 따라, 콘텐츠정보 관리장치(3)는 XML의 이름공간을 이용해서 기술된 콘텐츠정보를 기초로 콘텐츠 디렉토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콘텐츠정보 관리장치(3)는 자장치(自裝置) 및 검색 대상인 AV기기(1), AV기기(2)가 관리하는 콘텐츠정보의 검색 등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기초로 컨트롤기기(4)에 대한 응답을 생성한다. 또한, 자기기(自機器) 또는 AV기기(1), AV기기(2)로부터 얻은 콘텐츠정보를 집약해서 콘텐츠정보 트리를 구축함에 있어, 콘텐츠정보 관리장치(3)는 이름공간선언에 있어서의 접두사의 충돌을 회피한다.
컨트롤기기(4)와 콘텐츠정보 관리장치(3) 사이의 통신은 UPnPAV에 따르는 것을 전제로 한다. 상기 콘텐츠 디렉토리 서비스는 UPnPAV에서 규정한 것이 이용된다. 콘텐츠정보 관리장치(3)와 AV기기(1), AV기기(2)와의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서도 실시형태의 설명에서는 UPnPAV로 한다. 이 경우, 컨트롤기기(4)는 콘텐츠정보 관리장치(3)를 매개하지 않고서, AV기기(1) 및 AV기기(2)에 직접, 콘텐츠정보를 UPnPAV로 조회할 수 있는 것으로 되지만, 이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에는 관계하지 않는다.
도 2는 컨트롤기기(4)가 콘텐츠 검색요구를 수행한 때에 콘텐츠정보 관리장치(3)로부터 되돌려지는 콘텐츠정보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콘텐츠정보는 XML로 기술되고 있고, 최상위의 <DIDL-Lite> 태그 20으로 에워싸인 2개의 아이템(21)과, 1개의 컨테이너(22)가 기술되어 있다. 예컨대, 1번째의 <item> 태그 23으로 에워싸인 내용을 보면, 이 아이템의 id는 "00000010"이고, 그 친(親)id는 "00000002" 이다. 타이틀은 「산의 풍경」이고, 일자는 2003/09/02이다. 오브젝트 클래스는 "object.item.imageItem.photo"이고, 실제의 미디어 리소스는 「http://192.168.0.2/query_content.cgi-id=00000010」으로 HITP로 억세스할 수 있다. 데이터 형식은 JPEG 화상 형식이고, 그 사이즈는 140000 이다. 도 3에 이 콘텐츠정보의 DOM 표현(일부 생략)을 나타낸다.
도 4는 이름공간선언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이름공간선언(40)은 이름공간인 것을 나타내는 "xmlns"와, 그에 계속되는 이름공간접두사(41)(본 예에서는 "dc") 및, 등호의 우변에 이름공간 URI(42)(본 예에서는 "http://purI.org/dc/elements/1.1/")가 배치된다. 접두사(41)는 기술을 간소화하기 위해 이름공간지정에 이용된다. URI와 접두사는 등호에 의해 관련지워진다.
DOM 표현의 트리에 있어서, 이름공간접두사가 부여된 요소보다 하위에 속하는 각 요소명으로 접두사가 부여되고 있는 것은, 그 접두사에 대응하는 URI로 식별되는 이름공간에 있어서 그 요소명이 정의되어 있다. 즉, 어느 이름공간지정이 유효한 범위(스코프)는, DOM 표현에 있어서 그 하위에 위치하는 요소 모두에 이른다. 이름공간선언은 XML태그의 속성과 같이 기술된다. 이름공간선언을 태그마다 수행할 수도 있지만, UPnPAV의 경우 최상위의 태그로 통합해서 수행되는 것이 많다. 여기에서는, 최상위의 태그는 <DIDL-Lite> 태그에 상당한다.
도 5는 콘텐츠정보 관리장치로 관리되는 콘텐츠정보군의 나무구조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나타낸 콘텐츠정보는 윤곽선(50)으로 둘러싸진 부분에 대응한다.
도 6은 콘텐츠정보 관리장치의 상세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동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텐츠정보 관리장치(3)는 통신처리부(60)와, 조회접수부(61), 조회분배ㆍ집적부(62), 콘텐츠정보 트리(63), 조회개서부(64), 디바이스별 이름공간 리스트(65) 및, 디바이스별 조회처리부(66)를 갖는다. 통신로(5)를 거쳐 통신처리부(60)가 수신한 컨트롤기기(4)로부터의 조회는 조회접수부(61)에 의해 접수된다. 조회접수부(61)는 접수된 조회를 조회분배ㆍ집적부(62)로 보낸다. 조회분배ㆍ집적부(62)는 해당 조회를 콘텐츠정보 트리(63)에게 부여함과 더불어 조회개서부(64)에도 보낸다. 조회개서부(64)는 보내져 온 조회를 디바이스별 이름공간 리스트(65)를 참조해서 개서함과 더불어 이 개서 완료의 조회를 디바이스별 조회처리부(66)로 보낸다. 디바이스별 조회처리부(66)는 이 개서 완료의 조회를 해당하는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통신처리부(60)에 지시한다. 이에 따라 통신처리부(60)는 해당 조회를 통신로(5)를 매개로 해당하는 디바이스(여기에서는, AV기기(1,2)의 어느 하나)로 송신한다. 디바이스는 이에 따라 응답한다. 이 응답은 디바이스별 조회처리부(66)에 보내져 처리된다. 디바이스별 조회처리부(66)는 해당 디바이스별 응답을 조회응답개서부(67)로 보낸다. 조회응답개서부(67)는 해당 디바이스별 응답을 디바이스별 이름공간 리스트(65)를 참조해서 개서함과 더불어, 이 개서 완료의 응답을 조회분배ㆍ집적부(62)로 보낸다. 조회분배ㆍ집적부(62)는 이 개서 완료의 응답을 콘텐츠정보 트리(63)에 결합해서 집약하고, 조회접수부(61)로 보낸다. 조회접수부(61)는 이 집약 완료의 응답을 컨트롤기기(4)에 송신하도록 통신처리부(60)에 지시한다. 통신처리부(60)는 해당 집약 완료 응답을 통신로(5)를 매개로 해당하는 컨트롤기기(4)로 송신한다.
도 7은 콘텐츠정보 관리장치가 주위의 디바이스를 발견했을 때의 디바이스 별 이름공간 리스트의 갱신처리 수순을 나타낸 도면이다. 통신로(5)에 접속된 디바이스(AV기기(1,2) 등)가 발견되면, 통신처리부(60)는 그 발견 통지를 디바이스 관리부(68)로 보낸다. 디바이스 관리부(68)는 해당 발견된 디바이스로부터 이름공간선언의 기술을 취득하도록 통신처리부(60)에 지시한다. 또한, 디바이스 관리부(68)는 발견된 디바이스별 조회처리부(66)를 추가함과 더불어 해당 디바이스로부터 보내져 오는 이름공간선언의 기술을 기초로 디바이스별 이름공간 리스트(65)를 갱신한다.
한편, 도 8은 통신로상으로부터 디바이스가 소실된 때의 디바이스별 이름공간 리스트의 갱신처리 수순을 나타내고 있다. 통신로(5)상으로부터 디바이스가 소실되면, 통신처리부(60)는 이것을 검지해서, 소실통지를 디바이스 관리부(68)에 보낸다. 디바이스 관리부(68)는 소실 통지에 따라 해당하는 디바이스별 조회처리부(66)를 삭제(무효화)하고, 디바이스별 이름공간 리스트(65)의 항목을 삭제하는 것에 의해 갱신을 수행한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의 컨트롤기기와, 콘텐츠정보 관리장치 및, AV기기 사이의 액티비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 액티비티는 다음의 단계을 포함한다.
단계 1: 컨트롤기기(4)가 콘텐츠정보 관리장치(3)에 조회를 보낸다.
단계 2: 콘텐츠정보 관리장치(3)는 해당 조회에 대해 전처리(前處理)를 수행한다.
단계 3: 단계 2의 처리 결과를 기초로, 콘텐츠정보 관리장치(3)는 해당 조회에 대응할 기기(자기기 또는 AV기기(1,2))를 선택하고, 해당 기기에 대한 전처리를 수행한다.
단계 4: 단계 3의 처리 결과를 기초로, 콘텐츠정보 관리장치(3)는 해당 조회에 대응하는 기기(자기기 또는 AV기기(1,2))에 있어서 해당 조회를 전송한다.
단계 5: AV기기(1,2)는 콘텐츠정보 관리장치(3)로부터의 조회에 대한 응답을 되돌린다.
단계 6: 콘텐츠정보 관리장치(3)는 각 기기로부터 되돌려진 응답에 대해 후처리(後處理)를 수행한다.
단계 7: 콘텐츠정보 관리장치(3)는 단계 6에서의 각 응답을 결합하고, 후처리를 수행한다.
단계 8: 콘텐츠정보 관리장치(3)는 단계 7에서의 처리 결과를 기초로 컨트롤기기(4)로 응답을 되돌린다.
단계 4에 있어서 AV기기(1)가 콘텐츠정보 관리장치(3)로 되돌리는 콘텐츠정보의 일례를 도 10에 나타내고, 그 DOM 표현을 도 11에 나타낸다. 도 10의 콘텐츠정보에 있어서, 이름공간선언(100)은 UPnPAV에 있어서 비표준의 독자적인 것으로, 접두사로서 "av"가 정의되어 있다. 이 이름공간선언은 나무구조를 갖는 도 11의 DOM 표현에 있어서 최상위의 노드에 부속되어 있다(110). 또한, 도 10의 콘텐츠정보에 있어서, 요소(101,102)는 이름공간선언(100)에 있어서 정의된 접두사 "av"에 의해 이름공간이 지정되어 있고, UPnPAV에 있어서 비표준의 독자적인 것이다. 이들 요소는 도 11에 있어서 요소 노드(111,112)에 대응한다. 도 11에 있어서, 최상위의 노드로부터 하위의 노드 모두에 대해 이름공간선언(110)은 미친다. 마찬가지로, 다른 AV기기(2)가 콘텐츠정보 관리장치(3)에 되돌려지는 콘텐츠정보의 일례를 도 12에 나타내고, 그 DOM 표현을 도 13에 나타낸다. 도 12의 콘텐츠정보에 있어서, 이름공간선언(120)은 UPnPAV에 있어서 비표준의 독자적인 것이고, 접두사로서 도 10의 콘텐츠정보와 동일한 "av"가 정의되어 있다. 이 이름공간선언은 도 13의 DOM 표현에 있어서, 최상위의 노드에 부속되어 있다(130). 또한, 도 12의 콘텐츠정보에 있어서, 요소(121,122)는 이름공간선언(120)에 있어서 정의된 접두사 "av"에 의해 이름공간이 지정되어 있고, UPnPAV에 있어서 비표준의 독자적인 것이다. 이들 요소는 도 13에 있어서 요소 노드(131,132,133)에 대응한다. 도 13에 있어서, 최상위의 노드로부터 하위의 노드의 모두에 대해 이름공간선언(130)은 미친다.
이상 2개의 콘텐츠정보를 집약하면, 이름공간의 접두사 "av"가 중복된다. 콘텐츠정보 관리장치(3)는 이하에 설명하는 제1∼제3실시형태에 따라, 이러한 중복을 회피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제1∼제3실시형태는 모두 상기한 단계 5∼8에 적용된다.
(제1실시형태)
도 14는 제1실시형태에 따른 콘텐츠정보 관리장치의 액티비티 도면이다. 이 액티비티는 응답생성방법 1에 관한 것이다. 응답생성방법 1은 독자이름공간의 스코프를 축소하는 것이다. 액티비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단계 A0: 각 AV기기(1 및 2)로부터의 응답을 수신한다.
단계 A1: 각 AV기기(1 및 2)로부터 수신한 응답으로부터 <DIDL-Lite> 태그에 부수하는 이름공간선언을 각각 추출한다.
단계 A2: 추출된 이름공간선언 중, 독자적인 이름공간선언을 <DIDL-Lite> 태그 보다 하나 하위의 태그의 각각으로 옮긴다.
단계 A3: 각 응답을 결합한다.
단계 A4: 결합된 응답을 컨트롤기기(4)에 되돌린다.
단계 A2에 의한 AV기기(1 및 2)로부터의 응답에 대한 처리결과를 도 15, 도 16에 나타낸다. 도 15의 DOM 표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상위의 <DIDL-Lite> 노드에 있어서의 이름공간선언군(150)에 있어서, 독자적인 이름공간선언은 눈에 띄지 않는다. 그리고, <DIDL-Lite> 노드 보다 하나 하위의 요소 노드군(여기에서는 3개)에 독자적인 이름공간선언(151,152,153(모두 동일))이 이동하고 있다. 이에 의해, 독자적인 이름공간선언이 미치는 범위는 최상위의 <DIDL-Lite> 노드를 포함하지 않고, 이 최상위 노드 보다 하나 하위의 요소 노드 이하의 범위로 된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콘텐츠정보에 대해서도 최상위의 <DIDL-Lite> 노드에 있어서의 이름공간선언군(160)에 있어서 독자적인 이름공간선언은 눈에 띄지 않는다. 그리고, <DIDL-Lite> 노드 보다도 하나 하위의 요소 노드(여기에서는 3개)에 독자적인 이름공간선언(161,162,163)이 이동하고 있다. 이에 의해, 독자적인 이름공간선언이 미치는 범위는, 최상위의 <DIDL-Lite> 노드를 포함하지 않고, 이 최상위 노드보다 하나 하위의 요소 노드 이하의 범위로 된다.
단계 A3에 의한 이들 콘텐츠정보의 결합결과를 도 17에 나타내고, 도 18에 그 XML기술을 나타낸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 후에 있어서도 최상위의 노드에는 역시 독자 정의의 이름공간선언은 부속하고 있지 않다. 이 최상위의 노드 보다도 하나 하위의 요소 노드로서 콘텐츠정보는 결합되어 있다(여기에서는 6개의 요소). 독자적인 이름공간선언(171∼173)은 결합원(結合元)의 이름공간선언(151∼153)(도 15)에 대응한다. 이름공간선언(174∼176)은 이들과는 다른 결합 원의 이름공간선언(161∼163)(도 16)에 대응한다. 이름공간선언이 미치는 범위는 해당 이름공간선언이 속하는 노드 보다도 하위의 노드인 것으로부터, 접두사의 중복에 의한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id="---.", parentID="---.."와 같이 표시되는 콘텐츠정보의 식별자는 컨트롤기기(4)에 건네지는 시점에서 일의(一意)일 필요가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들 콘텐츠정보 식별자는 이미 일의인 것이 보증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현실에서는 다른 기기 사이에서 동일 식별자가 할당되어 버리는 일이 있지만(각 기기의 콘텐츠 트리의 뿌리인 "0" 을 제외한다 ), 이를 방지하기 위해, 콘텐츠정보 관리장치(3)에 있어서 콘텐츠정보 식별자의 바꿔 붙임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기기마다 일의성이 보증되고 있는 UDN(Unique Device Name)을 각 콘텐츠정보 식별자에 전치(前置)하면 좋다. 또는, 콘텐츠정보 관리장치(3)로부터 응답에 따른 콘텐츠정보의 나무구조를 개별적으로 제공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상 설명한 제1실시형태에 의하면, 독자이름공간의 스코프를 축소하는 응답생성방법 1에 의해 접두사가 중복되는 문제를 회피해서 응답을 생성할 수 있다. 응답생성방법 1은, 이름공간선언이 용장적(冗長的)인 기술이 되지만, 처리수순이 단순한 점에서 유리하다.
(제2실시형태 )
도 19는 제2실시형태에 따른 콘텐츠정보 관리장치의 액티비티도이다. 이 액티비티는 응답생성방법 2에 관한 것이다. 응답생성방법 2에서는 독자이름공간선언에 따른 정보를 모두 삭제한다. 액티비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단계 BO: 각 AV기기(1 및 2)로부터의 응답을 수신한다.
단계 Bl: 각 AV기기(1 및 2)로부터 수신한 응답으로부터, 최상위의 <DIDL-Lite> 태그에 부수하는 이름공간선언을 각각 추출한다.
단계 B2: 추출된 이름공간선언 중, 독자이름공간선언에 따라 정의 그 자체를 삭제함과 더불어 해당 독자이름공간의 지정과 더불어 기술된 요소 및 속성도 모두 삭제하고, 이를 응답으로 한다.
단계 B3: 단계 B2에 있어서 얻어진 각 응답을 결합한다.
단계 B4: 결합된 응답을 컨트롤기기(4)로 되돌린다.
단계 B2에 의한 AV기기(1 및 2)로부터의 응답에 대한 처리 결과를 각각 도 20, 도 21에 나타낸다. 또한, 단계 B3에 의한 결합결과를 도 22에 나타내고, 단계 B4에 의해 최종적으로 컨트롤기기(4)에 대한 응답을 도 23에 나타낸다. 이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독자이름공간에 관한 기술은 콘텐츠정보에 일절 포함되지 않았다. 필연적으로, 이름공간의 접두사(여기에서는 "av")가 중복 되는 것도 없다.
이상 설명한 제2실시형태에 의하면, 독자이름공간선언에 따른 정보를 모두 삭제하는 응답생성방법 2에 의해 접두사가 중복되는 문제를 회피해서 응답을 생성할 수 있다. 응답생성방법 2는 독자 정의에 기초한 콘텐츠정보를 제공할 수 없게 되지만, 표준적인 이름공간 이외를 서포트하지 않는 것과 같은, 한정된 능력 밖에 갖지 않는 컨트롤기기(4)에도 대응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제3실시형태 )
도 24는 제3실시형태에 따른 콘텐츠정보 관리장치의 액티비티도이다. 이 액티비티는 응답생성방법 3에 관한 것이다. 응답생성방법 3에서는 독자이름공간의 접두사를 관리한다. 구체적으로는, 중복되는 복수의 접두사를 각각이 서로 다른 것으로 되도록 다른 접두사로 치환한다.
콘텐츠정보 관리장치(3)는 디바이스별 이름공간리스트(도 6의 65 참조)와, 치환이름공간리스트를 갖는다. 디바이스별 이름공간리스트는 기기식별자(UDN)와, URI 및, 해당 이름공간의 접두사 및 URI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UPnPAV 표준인지, 그렇지 않으면 비표준의 독자적인 것인지를 구별하는 정보를 갖는다. 치환이름공간리스트는 URI와, 치환 후의 새로운 이름공간접두사 및, 해당 URI가 UPnPAV 표준인지, 그렇지 않으면 비표준의 독자적인 것인지를 구별하는 정보를 갖는다. 디바이스별 이름공간리스트의 일례를 도 25에 나타내고, 치환이름공간리스트의 일례를 도 26에 나타낸다.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바이스별 이름공간리스트는 그 위로부터 3행이 AV기기(1)로부터의 응답예에 포함되는 이름공간선언으로부터 추출된 이름공간 정보에 상당하고, 아래의 3행이 AV기기(2)로부터의 응답예에 포함되는 이름공간선언으로부터 추출된 이름공간 정보에 상당한다(하기 단계 C2를 참조).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치환이름공간리스트에서는 디바이스별 이름공간리스트에서 중복하는, AV기기(1) 및 AV기기(2)에서 각각 독자적으로 정의되고 있는 URI에 대해, 이름공간접두사 "av"가 별도의 새로운 접두사 "av1", "av2"로 치환되어 있다.
디바이스별 이름공간리스트에서는 동명의 이름공간접두사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지만, 치환이름공간리스트에서는 이름공간접두사는 유일하도록 정해진다. 중복되지 않도록 접두사의 문자열을 별도의 문자열로 치환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1) 디바이스별 이름공간리스트로부터 이름공간접두사의 문자열을 복사하고, 이 이름공간접두사가 치환이름공간리스트의 다른 어떠한 요소와도 동일하게는 되지 않도록 규칙적으로 문자열을 추가(예컨대, "1"을 말미에 추가)하며, 이를 치환 후의 새로운 접두사로 한다. (2) 치환 후의 새로운 공간접두사를 생성할 때의 시각 등, 일의의 파라미터를 바탕으로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액티비티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단계 C0: 각 AV기기(1 및 2)로부터의 응답을 수신한다.
단계 C1: 각 AV기기(1 및 2)가 되돌린 응답에 있어서, 최상위의 <DIDL-Lite > 태그로 선언되고 있는 이름공간을 추출한다.
단계 C2: 추출한 이름공간의 URI와 접두사 및 기기식별자(여기서는 UPnP로 기기의 식별에 이용되는 UDN(Unique Device Name)을 이용한다 )를 대상으로 해서 디바이스별 이름공간리스트에 추가한다.
단계 C3: 디바이스별 이름공간리스트의 각각의 URI에 대해, 새로운 접두사를 생성하고, 치환이름공간리스트에 추가한다.
단계 C4: 각 응답에 나타나는 이름공간접두사를 치환이름공간리스트에 대응하는 새로운 접두사로 치환한다.
단계 C5: 각 응답을 결합한다.
단계 C6: 결합된 응답을 컨트롤기기(4)로 되돌린다.
단계 C4에 의한 AV기기(1 및 2)로부터의 응답에 대한 처리 결과를 각각 도 27, 도 28에 나타낸다.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AV기기(1)로부터의 응답의 처리 결과의 콘텐츠정보에 있어서, 최상위 노드에 있어서 이름공간선언(270)에 있어서의 접두사는, 당초, "av"이었지만, 도 26의 치환이름공간리스트로부터 알수 있는 바와 같이"av1"으로 치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이 이름공간선언(270)을 기초로 이름공간지정을 수반하는 요소 노드(271,272)에 대해서도 접두사가 "av1"로 치환되어 있다.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AV기기(2)로부터의 응답의 처리결과의 콘텐츠정보에 있어서, 최상위 노드에 있어서 이름공간선언(280)에 있어서의 접두사는 당초 "av"이었지만, 도 26의 치환이름공간리스트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av2"로 치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이 이름공간선언(280)을 기초로 이름공간지정을 수반하는 요소 노드(281∼283)에 대해서도, 접두사가 "av2"로 치환되어 있다.
단계 C5에 의한 결합결과를 도 29에 나타내고, 단계 C6에 의해 최종적으로 컨트롤기기(4)로의 응답을 도 30에 나타낸다.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텐츠정보의 결합결과에 있어서, 최상위 노드의 이름공간선언 부분에 있어서의 2개의 독자이름공간선언(290)은 서로 접두사가 중복되고 있지 않다. 또한, 요소 노드(291∼292)에서는 다른 요소 노드(293∼295)의 접두사 "av2"와는 다른 "av1"이 이름공간의 지정에 이용되고 있다.
이상 설명한 제3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2개의 이름공간 리스트를 관리하기 위한 코스트 및 상기 단계 C4에 있어서의 치환처리 코스트를 필요로 하지만, 컨트롤기기(4)로의 응답의 최상위의 노드인 <DIDL-Lite>에 모든 이름공간선언을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컨트롤기기(4)에 있어서 수신한 응답의 이름공간에 관한 처리를 간단화할 수 있다.
또한, 도 24의 액티비티는 각 AV기기를 발견한 직후에, 1회만 디바이스별 이름공간리스트를 작성한다고 하는 것으로 변형할 수가 있다. 이에 의해, 디바이스별 이름공간리스트 및 치환이름공간리스트의 관리에 따른 처리 코스트를 저감시킬 수 있다. 단, 각 AV기기(콘텐츠 관리장치)에서의 이름공간선언은 불변인 것을 전제로 한다. 도 31은 이 변형예에 따른 액티비티를 나타낸 도면이다.
단계 DO: 콘텐츠정보 관리장치(3)는 주위 기기의 발견을 시도한다. 여기에서는, UPnP의 SSDP(Simple Service Device Protocol)의 discover(발견) 메시지를 통신로(5) 상으로 송출한다.
단계 D1: AV기기(1 또는 2)는 콘텐츠정보 관리장치(3)에 SSDP 리스폰스를 보내고, 자기기의 존재를 나타낸다. 또는, AV기기(1 또는 2)는 SSDP의 alive(도달) 메시지를 보내는 것에 의해, 단계 O의 discover 메시지의 유무에 의하지 않고서, 주위 기기에 자기기의 존재를 아나운스 한다. 이들은 UPnP 기기의 통상의 동작 수순에 포함된다.
단계 D2: 콘텐츠정보 관리장치(3)는 신규로 발견한 AV기기(1 또는 2)에 대해 브라우즈액션(Browse("0", BrowseMetadata))을 보낸다. 이 브라우즈액션은 AV기기(1 또는 2)가 보유하는 콘텐츠 트리 중, 반드시 존재하는 루트 요소 "0"의 콘텐츠정보를 취득하는 조회에 상당한다.
단계 D3: 각 AV기기(1 또는 2)는, 브라우즈액션에 대한 응답을 되돌린다. 이 응답에는 <DIDL-Lite> 태그에 부수하는 이름공간선언이 포함된다.
단계 D4: 상기 응답으로부터 이름공간선언을 추출하고, AV기기(1 또는 2)의 디바이스식별자, URI, 이름공간접두사 및 표준적 이름공간인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디바이스별 이름공간리스트에 추가하는 것에 의해 갱신을 수행한다.
단계 D5: 디바이스별 이름공간리스트의 갱신 부분에 대응하는 치환이름공간리스트의 일부를 갱신한다.
(제4실시형태)
제4실시형태에서는, 콘텐츠정보 관리장치(3)가 컨트롤기기(4)로부터의 조회를 접수하는 처리와, 그 후의 처리의 수순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처리수순은 제1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단계 1∼4에 대응하고 있고,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단계 EO: 컨트롤기기(4)가 콘텐츠정보 관리장치(3)에 조회를 보낸다.
단계 E1: 콘텐츠정보 관리장치(3)는 접수한 조회에 대해, 이것이 검색요구에 상당하는지, 그렇지 않으면 조작요구에 상당하는가를 판단한다.
단계 E2: 콘텐츠정보 관리장치(3)는 접수한 조회에 대해, 검색의 기점 또는 조작의 대상으로 되는 콘텐츠정보 식별자로부터 대응하는 자기기 또는 AV기기(1,2)를 선택한다.
단계 E3: 콘텐츠정보 관리장치(3)는 접수한 조회에 대해, 대응하는 자기기 또는 AV기기(1,2)의 이름공간선언를 기초로 후술하는 어느 하나의 변환을 실시한다.
단계 E4: 변환이 실시된 조회를 대응하는 자기기 또는 AV기기(1 또는 2)에 보낸다.
단계 EO에 있어서의 컨트롤기기(4)로부터 콘텐츠 관리장치(3)에 대해 이루어지는 조회에 대해, 콘텐츠 관리장치(3)는 상기한 제1∼제3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응답생성방법마다, 이하에 설명하는 어느 하나의 접수방법에 따라 접수처리를 수행한다.
(응답생성방법 1의 경우)
접수방법 1: 독자이름공간의 지정을 수반하는 요소 및 속성을 포함하는 조회는 접수하지 않는다(거절한다).
접수방법 2: 독자이름공간의 지정을 수반하는 요소 및 속성에 대해서는 관련되는 지정에 접두사를 이용하지 않고서 완전한 URI를 전치(前置)하도록 조회처리를 실시한다. 예컨대, "av1:originalFileFomat"을 "urn:schemas-hogehoge-org:av:1-0:originalFileFormat"로 한다.
접수방법 3: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의 인수(引數)태그에 이름공간선언을 부여한다. UPnP에서의 조회 등의 수속호출은 SOAP에 의해 수행된다. SOAP에서는, 수속명과 그 인수는 역시 XML로 기술된다. 인수 태그 또는 그 1개 상위에 위치하는 수속명 태그에 적당한 이름공간선언을 부가하고, 그 접두사가 전치된 요소명 또는 속성명을 이용한다. SOAP의 수속호출의 일례를 도 32에 나타낸다. 본 예에서는, 수속명 태그인 <Search> 태그에 접두사 "av1", "av2"의 이름공간선언이 추가되어 있다.
(응답생성방법 2의 경우)
접수방법 4: 독자이름공간의 지정을 수반하는 요소 및 속성을 포함하는 조회는 접수하지 않는다(거절한다).
(응답생성방법 3의 경우)
응답생성방법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접수방법 1∼3의 어느쪽으로 한다. 또는, 접수방법 5로서 치환이름공간리스트로 정의되는 이름공간접두사를 전치하도록 조회에 처리를 실시하여도 된다.
여기서, 상기 단계 E3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조회는 크게 검색요구와 조작요구의 2개로 대별된다. 이들 조회의 종류에 따라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처리방법이 다르다.
(1: 조회가 검색요구인 경우)
검색요구에 대해, UPnPAV에서는 Browse와 Search의 2개의 조작이 정의되어 있다. 예컨대, Search 조작에서는 검색의 기점으로 되는 콘텐츠정보 식별자, 검색조건 및 필터조건, 소트조건, 건수 지정이 인수로서 주어진다. 여기서, 검색조건 및, 필터조건, 소트조건의 기술에 이름공간접두사를 수반하는 요소가 이용될 수 있다.
(처리방법 1: 실패응답을 되돌린다)
단계 E3-1: 검색조건, 필터조건 및 소트조건에, 해당 AV기기가 대응하지 않는 이름공간지정 및 그 요소 또는 속성이 해당 요구에 포함되는지 아닌지를 검사한다.
단계 E3-2: AV기기가 대응하지 않는 이름공간지정 및 그 요소 또는 속성이 포함되는 경우, 해당 요구에 대한 실패응답을 되돌린다.
(처리방법 2: 빈응답을 되돌린다)
단계 E3-1: 검색조건, 필터조건 및 소트조건에, 해당 AV기기가 대응하지 않는 이름공간지정 및 그 요소 또는 속성이 해당 요구에 포함되는지를 검사한다.
단계 E3-2: 상기에서 해당 AV기기가 대응하지 않는 이름공간지정 및 그 요소 또는 속성이 포함되는 경우, 해당 요구에 대응하는 콘텐츠정보가 없는 취지를 나타내는 빈응답을 되돌린다.
(처리방법 3: 비대응 이름공간 요소 및 속성을 제거한다)
단계 E3-1: 검색조건, 필터조건 및 소트조건에, 해당 AV기기가 대응하지 않는 이름공간지정 및 그 요소 또는 속성이 해당 요구에 포함되는지 아닌지를 검사한다.
단계 E3-2: 상기에서, 해당 AV기기가 대응하지 않는 이름공간지정 및 그 요소 또는 속성이 해당 요구에 포함되는 경우, 이하의 처리를 실시한다.
단계 E3-2a: 소트조건 중, 해당 AV기기에서 대응하지 않는 이름공간의 요소에 관한 지정을 삭제한다.
단계 E3-2b: 필터조건 중, 해당 AV기기에 대응하지 않는 이름공간의 요소에 관한 지정을 삭제한다.
단계 E3-2c: 검색조건 중, 해당 AV기기에 대응하지 않는 이름공간의 요소에 관한 항을 FALSE(거짓)값으로 치환한다.
단계 E3-3: 해당 AV기기가 대응하는 이름공간의 접두사를 디바이스별 이름공간리스트로부터 취득해서 치환한다.
단계 E3-4: 이상의 처리 결과를 해당 AV기기에 조회로서 보낸다.
예컨대, 도 33에 나타내는 Search조작에 대한 3개의 처리예를 든다. 여기서, 컨트롤기기(4)로부터의 조회는 접수방법 5에 따라 처리되고, 응답생성방법 3이 이용되는 것으로 한다.
(처리방법 1: 실패응답을 되돌린다)
AV기기(1)에서 비대응의 이름공간요소("av2:originalFormat")가 이용되고 있는 것을 이유로 실패응답을 되돌린다.
(처리방법 2: 빈응답을 되돌린다)
AV기기(1)에서 비대응의 이름공간요소("av2:originaIFormat")가 이용되고 있는 것을 이유로 빈응답을 되돌린다.
(처리방법 3: Search조작을 편집 처리해서 보낸다)
도 34에 나타낸 비와 같은 편집처리 후의 Search조작을 AV기기(1)에 보낸다. 이 편집처리에서는 "av2"를 수반하는 요소를 삭제함과 더불어 접두사 "av1"이 "av"로 치환된다.
이상의 처리방법 1 및 2에 의하면, 단순한 응답처리로 되어 처리부담이 가지 않는다. 이에 대해 처리방법 3의 경우, 인수에 부여되는 콘텐츠정보의 내용에 의해 요구가 실패할 가능성이 작게 억제된다. 또한, 이름공간지정을 조회처의 AV기기가 대응하는 접두사로 치환하는 것으로, 이름공간에 대한 처리능력이 충분하지 않은 AV기기에 대응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콘텐츠정보의 일부(요소)가 누락되는 것에 의한 영향을 억제하도록, 비대응 이름공간요소가 인수에 포함되는 경우에 실패응답을 되돌려도 된다.
(2: 조회가 조작요구인 경우)
조작요구에 대해, UPnPAV에서는 CretateObject, DestroyObject, UpdateObject, CreateReference의 4 개의 종류의 조작이 정의되어 있다. 예컨대, CreateObject에서는 작성의 기점으로 되는 콘텐츠정보 식별자와, 그 바로 아래에 작성하는 콘텐츠정보의 <DIDL-Lite>로 개시되는 기술이 인수로서 부여된다. 여기서 작성하는 콘텐츠정보 기술에 이름공간접두사를 수반하는 요소가 이용된다.
(처리방법 1: 실패응답을 되돌린다)
단계 E3-1: 콘텐츠정보 기술 인수에, 해당 AV기기가 대응하지 않는 이름공간지정 및 그 요소 또는 속성이 포함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검사한다.
단계 E3-2: 해당 AV기기가 대응하지 않는 이름공간지정 및 그 요소 또는 속성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 요구에 대한 실패응답을 되돌린다.
(처리방법 2: 비대응 이름공간 요소 및 속성을 제외하고 나서 실제의 처리를 수행한다)
단계 E3-1: 콘텐츠정보 기술 인수에, 해당 AV기기가 대응하지 않는 이름공간지정 및 그 요소 또는 속성이 포함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검사한다.
단계 E3-2: 상기에서, 해당 AV기기가 대응하지 않는 이름공간지정 및 그 요소 또는 속성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 요소 또는 속성을 삭제한다.
단계 E3-3: 해당 AV기기가 대응하는 이름공간의 접두사를 디바이스별 이름공간리스트로부터 취득하고, 치환한다.
단계 E3-4: 이상의 처리결과를 해당 AV기기에 조회로서 보낸다.
예컨대, 도 35에 나타내는 CreateObject조작에 대한 2개의 처리예를 든다.
여기서, 컨트롤기기(4)로부터의 조회은 접수방법 5에 따라 처리되고, 응답생성방법 3이 이용되는 것으로 한다.
(처리방법 1: 실패 응답을 되돌린다)
AV기기(1)에서 비대응의 이름공간 요소("avl:originaIForrnat")가 이용되고 있는 것을 이유로 실패응답을 되돌린다.
(처리방법 2: 빈응답을 되돌린다)
AV기기(1)에서 비대응의 이름공간 요소("avl:originalForrnat")가 이용되고 있는 것을 이유로 빈응답을 되돌린다.
(처리방법 3: Search조작을 편집 처리해서 보낸다)
도 36에 나타낸 바와 같은 편집처리 후의 CreateObjec조작을 AV기기(1)에 보낸다. 이 편집처리에서는 접두사 "av1이 "av"로 치환된다.
이상의 처리방법 1 및 2에 의하면, 단순한 응답처리로 되어 처리부담이 가지 않는다. 이에 대해 처리방법 3의 경우, 인수에 부여되는 콘텐츠정보의 내용에 의해 요구가 실패할 가능성이 작게 억제된다. 또한, 이름공간지정을 조회처의 AV기기가 대응하는 접두사로 치환하는 것으로, 이름공간에 대한 처리능력이 충분하지 않은 AV기기에 대응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 그 자체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수행 단계에서는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요소를 변형해서 구체화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개시되어 있는 복수의 구성요소의 적절한 조합에 의해 여러 가지의 발명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실시형태에 나타나는 모든 구성요소로부터 몇개의 구성요소를 삭제해도 된다. 더욱이,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구성요소를 적절히 조합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XML의 이름공간을 이용해서 기술된 콘텐츠정보를 기초로 콘텐츠 디렉토리 서비스를 적절히 수행할 수 있는 콘텐츠정보 관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컨트롤기기가 콘텐츠 검색요구를 수행한 경우에 콘텐츠정보 관리장치로부터 되돌려지는 콘텐츠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콘텐츠정보의 DOM 표현(일부 생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이름공간선언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콘텐츠정보의 나무(tree)구조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콘텐츠정보 관리장치의 상세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7은 콘텐츠정보 관리장치가 주위의 디바이스를 발견했을 때의 디바이스별 이름공간리스트의 갱신처리수순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통신로 상으로부터 디바이스가 소실된 경우의 디바이스별 이름공간리스트의 갱신처리수순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의 컨트롤기기와 콘텐츠정보 관리장치 및 AV기기 사이의 액티비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0은 AV기기가 콘텐츠정보 관리장치에 되돌리는 콘텐츠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10의 콘텐츠정보의 DOM 표현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별도의 AV기기가 콘텐츠정보 관리장치에 되돌리는 콘텐츠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도 12의 콘텐츠정보의 DOM 표현을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콘텐츠정보 관리장치의 액티비티도,
도 15는 AV기기로부터의 응답에 대한 처리결과의 DOM 표현을 나타낸 도면,
도 16은 별도의 AV기기로부터의 응답에 대한 처리결과의 DOM 표현을 나타낸 도면,
도 17은 컨트롤기기에 대한 응답으로서의 콘텐츠정보의 결합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18은 도 17의 결합결과의 XML 기술(記述)을 나타낸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콘텐츠정보 관리장치의 액티비티도,
도 20은 AV기기로부터의 응답에 대한 처리결과의 DOM 표현을 나타낸 도면,
도 21은 별도의 AV기기로부터의 응답에 대한 처리결과의 DOM 표현을 나타낸 도면,
도 22는 컨트롤기기에 대한 응답으로서의 콘텐츠정보의 결합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23은 도 22의 결합결과의 XML기술을 나타낸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따른 콘텐츠정보 관리장치의 액티비티도,
도 25는 디바이스별 이름공간리스트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26은 치환이름공간리스트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27은 AV기기로부터의 응답에 대한 처리결과의 DOM 표현을 나타낸 도면,
도 28은 별도의 AV기기로부터의 응답에 대한 처리결과의 DOM 표현을 나타낸 도면,
도 29는 컨트롤기기에 대한 응답으로서의 콘텐츠정보의 결합결과의 DOM 표현을 나타낸 도면,
도 30은 컨트롤기기에 대한 응답으로서의 콘텐츠정보의 결합결과의 XML기술을 나타낸 도면,
도 31은 제3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이름공간선언의 취득수순의 액티비티를 나타낸 도면,
도 32는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따른 SOAP의 수속호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33은 Search 조작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34는 편집처리 후의 Search 조작을 나타낸 도면,
도 35는 CreateObject 조작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36은 편집처리 후의 CreateObject 조작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면부호의 설명]
1 … AV기기,
2 … AV기기,
3 … 콘텐츠정보 관리장치,
4 … 컨트롤기기,
5 … 통신로.

Claims (15)

  1. 이름공간을 지정해서 XML로 기술된 콘텐츠정보를 제공하는 제1,제2콘텐츠 제공장치에 대해 조회를 하고, 해당 조회에 응답한 제1콘텐츠 제공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제1콘텐츠정보와 해당 조회에 응답한 제2콘텐츠 제공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제2콘텐츠정보를 결합해서 나무구조를 갖는 응답을 생성하며, 해당 응답을 다른 장치로부터의 조회에 따라 송신하는 콘텐츠정보 관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콘텐츠정보로부터 제1이름공간선언기술을 추출하고, 상기 제2콘텐츠정보로부터 제2이름공간선언기술을 추출하는 추출수단과,
    상기 나무구조의 최상위 노드에 상기 제 1 및 제2이름공간선언기술을 배치한 경우, 해당 제1이름공간선언기술에 포함되는 제1접두사와, 해당 제2이름공간선언기술에 포함되는 제2접두사와의 중복을 검지하는 검지수단,
    상기 중복을 회피하기 위해 상기 제1,제2콘텐츠정보를 처리하는 처리수단 및,
    상기 처리수단에 의해 처리된 제1,제2콘텐츠정보를 결합해서 상기 응답을 생성하는 응답생성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정보 관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수단이, 상기 나무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콘텐츠정보에 상당하는 제1부분 나무 내의 어느 하나의 노드에 상기 제1이름공간선언기술을 이동시키고, 해당 나무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2콘텐츠정보에 상당하는 제2부분 나무 내의 어느 하나의 노드에 상기 제2이름공간선언기술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정보 관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이, 상기 제1접두사에 관계하는 기술을 상기 제1콘텐츠정보로부터 삭제하고, 상기 제2접두사에 관계하는 기술을 상기 제2콘텐츠정보로부터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정보 관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이, 상기 제1접두사를 제3접두사로 치환함과 더불어 상기 제2접두사를 해당 제3접두사와는 다른 제4접두사로 치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정보 관리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콘텐츠 제공장치의 각각에 대해, 이름공간의 접두사와 해당 접두사가 표준인지 아닌지의 별로 상당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이름공간 리스트를 기억하는 이름공간 리스트 기억수단과,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의 조회에 포함되는 이름공간의 접두사를 상기 이름공간 리스트에 조합하는 것에 의해, 해당 다른 장치로부터의 조회의 수신처에 상당하는 콘텐츠 제공장치가 해당 조회를 접수할 수 있는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 및,
    상기 판정수단에 의한 판정결과에 따라, 상기 조회를 접수하든가 거절하는 접수수단을 더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정보 관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처에 상당하는 콘텐츠 제공장치가 상기 조회를 접수 할 수 없는 것으로 판정하였다면, 상기 접수수단이 상기 다른 장치에 대해 실패 응답을 회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정보 관리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처에 상당하는 콘텐츠 제공장치가 상기 조회를 접수 할 수 없는 것으로 판정하였다면, 상기 접수수단이 상기 다른 장치에 대해 빈응답을 회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정보 관리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의 조회에 포함되는 이름공간의 접두사가 표준이 아닌 것으로부터 상기 수신처에 상당하는 콘텐츠 제공장치가 상기 조회를 접수 할 수 없는 것으로 판정하였다면, 해당 조회에 포함되는 이름공간의 접두사에 있어서 표준이 아닌 것을 제거하고, 해당 조회를 접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정보 관리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표준이 아닌 접두사를 새롭게 별도의 접두사로 치환하기 위한 접두사 치환 리스트를 기억하는 접두사 치환 리스트 기억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접수수단이,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의 조회에 포함되는 이름공간의 접두사 중 표준이 아닌 접두사를 상기 접두사 치환 리스트를 기초로 치환함과 더불어 해당 조회를 접수하는 콘텐츠정보 관리장치.
  10. 이름공간을 지정해서 XML로 기술된 콘텐츠정보를 제공하는 제1,제2콘텐츠 제공장치에 대해 조회를 하고, 해당 조회에 응답한 제1콘텐츠 제공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제1콘텐츠정보와 해당 조회에 응답한 제2콘텐츠 제공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제2콘텐츠정보를 결합해서 나무구조를 갖는 응답을 생성하며, 해당 응답을 다른 장치로부터의 조회에 따라 송신하는 콘텐츠정보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콘텐츠정보로부터 제1이름공간선언기술을 추출하고, 상기 제2콘텐츠정보로부터 제2이름공간선언기술을 추출하는 추출단계와,
    상기 나무구조의 최상위 노드에 상기 제 1 및 제2이름공간선언기술을 배치한 경우, 해당 제1이름공간선언기술에 포함되는 제1접두사와, 해당 제2이름공간선언기술에 포함되는 제2접두사와의 중복을 검지하는 검지단계,
    상기 중복을 회피하기 위해 상기 제1,제2콘텐츠정보를 처리하는 처리단계 및,
    상기 처리단계에 의해 처리된 제1,제2콘텐츠정보를 결합해서 상기 응답을 생성하는 응답생성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정보 관리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단계가, 상기 나무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콘텐츠정보에 상당하는 제1부분 나무 내의 어느 하나의 노드에 상기 제1이름공간선언기술을 이동시키고, 해당 나무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2콘텐츠정보에 상당하는 제2부분 나무 내의 어느 하나의 노드에 상기 제2이름공간선언기술을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정보 관리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단계가, 상기 제1접두사에 관계하는 기술을 상기 제1콘텐츠정보로부터 삭제하고, 상기 제2접두사에 관계하는 기술을 상기 제2콘텐츠정보로부터 삭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정보 관리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단계가, 상기 제1접두사를 제3접두사로 치환함과 더불어 상기 제2접두사를 해당 제3접두사와는 다른 제4접두사로 치환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정보 관리방법.
  14. 제10항 내지 제1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콘텐츠 제공장치의 각각에 대해, 이름공간의 접두사와 해당 접두사가 표준인지 아닌지의 별로 상당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이름공간 리스트를 기억하는 이름공간 리스트 기억단계와,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의 조회에 포함되는 이름공간의 접두사를 상기 이름공간 리스트에 조합하는 것에 의해, 해당 다른 장치로부터의 조회의 수신처에 상당하는 콘텐츠 제공장치가 해당 조회를 접수 가능한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단계 및,
    상기 판정단계에 의한 판정결과에 따라 상기 조회를 접수하든가 거절하는 접수단계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정보 관리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표준이 아닌 접두사를 새롭게 다른 접두사로 치환하기 위한 접두사 치환 리스트를 기억하는 접두사 치환 리스트 기억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접수단계가,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의 조회에 포함되는 이름공간의 접두사 중 표준이 아닌 접두사를 상기 접두사 치환 리스트를 기초로 치환함과 더불어 해당 조회를 접수하는 단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정보 관리방법.
KR1020050007609A 2004-01-30 2005-01-27 콘텐츠정보 관리장치 및 콘텐츠정보 관리방법 KR1006491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24472 2004-01-30
JP2004024472A JP4181061B2 (ja) 2004-01-30 2004-01-30 コンテンツ管理装置、コンテンツ管理方法及びコンテンツ管理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8213A true KR20050078213A (ko) 2005-08-04
KR100649108B1 KR100649108B1 (ko) 2006-11-27

Family

ID=34823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7609A KR100649108B1 (ko) 2004-01-30 2005-01-27 콘텐츠정보 관리장치 및 콘텐츠정보 관리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50177560A1 (ko)
JP (1) JP4181061B2 (ko)
KR (1) KR100649108B1 (ko)
CN (1) CN10038544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35459B2 (ja) * 2003-08-28 2007-06-20 株式会社東芝 コンテンツ管理装置、コンテンツ管理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管理プログラム
KR100772865B1 (ko) * 2006-01-31 2007-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Av 세션 복원 방법 및 이를 위한 컨트롤 포인트
KR101321667B1 (ko) * 2006-08-16 2013-10-22 삼성전자주식회사 다큐먼트 포워딩을 위한 xdm 장치 및 방법
US7979388B2 (en) * 2006-11-17 2011-07-12 Microsoft Corporation Deriving hierarchical organization from a set of tagged digital objects
WO2008062962A1 (en) * 2006-11-24 2008-05-29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Group Of Kyunghee University Space context copy/paste method and system, and space copier
US7552127B2 (en) * 2006-12-19 2009-06-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latform-independent content services for users for content from content applications leveraging Atom, XLink, XML Query content management systems
US7974981B2 (en) * 2007-07-19 2011-07-05 Microsoft Corporation Multi-value property storage and query support
CA2750960A1 (en) * 2009-02-05 2010-08-12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aggregating multiple contact information sources in a network-based address book system
KR20110021376A (ko) * 2009-08-26 2011-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트롤 디바이스, 콘트롤 포인트, 및 프랜들리 네임 우선순위 제어방법
WO2011123981A1 (en) * 2010-04-07 2011-10-13 Google Inc. Detection of boilerplate content
US10812570B1 (en) * 2017-08-02 2020-10-20 Intuit Inc. System for data consolidation across disparate namespaces
CN112738148B (zh) * 2019-10-28 2024-05-1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缓存内容的批量删除方法、装置、设备和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78724B2 (en) * 1997-03-12 2004-01-13 Microsoft Corporation Common namespace for internet and local filesystem objects
US6892230B1 (en) * 1999-06-11 2005-05-10 Microsoft Corporation Dynamic self-configuration for ad hoc peer networking using mark-up language formated description messages
US6675353B1 (en) * 1999-07-26 2004-01-06 Microsoft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XML documents
US6763499B1 (en) * 1999-07-26 2004-07-13 Microsoft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parsing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data streams
US6856993B1 (en) * 2000-03-30 2005-02-15 Microsoft Corporation Transactional file system
JP2002024211A (ja) * 2000-06-30 2002-01-25 Hitachi Ltd 文書管理方法およびシステム並びにその処理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US20040019658A1 (en) * 2001-03-26 2004-01-29 Microsoft Corporation Metadata retrieval protocols and namespace identifiers
US6925457B2 (en) * 2001-07-27 2005-08-02 Metatomix,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querying a relational data store using schema-less queries
JP2002351717A (ja) * 2001-05-29 2002-12-06 Toshiba Corp データアクセスシステム、データ連携システム及びデータ連携プログラム並びにデータ連携方法
CN1647070A (zh) * 2001-06-22 2005-07-27 诺萨·欧莫贵 用于知识检索、管理、交付和表示的系统和方法
US6985936B2 (en) * 2001-09-27 2006-01-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ddressing the name space mismatch between content servers and content caching systems
US20030225753A1 (en) * 2001-12-18 2003-12-04 Becom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ttribute management in a namespace
DE60232637D1 (de) * 2002-01-02 2009-07-30 Sap Ag System und Verfahren zum Editieren von Textelementen mit hierarchichen Bezügen
US7328353B2 (en) * 2002-02-14 2008-02-0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ntent distribution system
US7392479B2 (en) * 2002-06-27 2008-06-24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namespace related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85441C (zh) 2008-04-30
JP4181061B2 (ja) 2008-11-12
CN1648900A (zh) 2005-08-03
JP2005216171A (ja) 2005-08-11
KR100649108B1 (ko) 2006-11-27
US20050177560A1 (en) 2005-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9108B1 (ko) 콘텐츠정보 관리장치 및 콘텐츠정보 관리방법
KR101209014B1 (ko) 전기제품의 종별을 결정하는 정보처리장치, 방법, 서버
JP4132441B2 (ja) 管理対象オブジェクトのデータ管理装置
US6122639A (en) Network device information collection and change detection
US7640334B2 (en) Network resource location detection probe apparatus and method
US20050027740A1 (en) Content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content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JP6062863B2 (ja) 効率的な検索を可能にするためのサーバに基づくメディアコンテンツ及びlanに基づくメディアコンテンツを集約する方法及び装置
JP3792419B2 (ja) ディレクトリデータ変換方法、ディレクトリデータ変換プログラムが記憶された記憶媒体、およびディレクトリ変換サーバ
US20070198918A1 (en) Techniques for binding scalable vector graphics to associated information
KR101357704B1 (ko) 구조화된 메타 데이터 기반 탐색을 게시하기 위한 플러그인 모델용에 대한 방법 및 장치
CN1692354B (zh) 信息管理系统、信息处理设备以及信息处理方法
CN102523111B (zh) 支持可定制组的网络管理系统
US795374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EP0996071A2 (en) Classification tree based information retrieval scheme
CN113658591B (zh) 一种面向智能家居的语音交互适配系统
WO2001004796A1 (en) External system interface method and system
CN101127630A (zh) 对对象实例进行管理的方法、装置和系统
CN1716960B (zh) 产生包括xpath表达式的xml表示的管理事务的方法和设备
US20030120758A1 (en) XML conditioning for new devices attached to the network
CN101582929A (zh) 信息处理设备
US7765188B2 (en) Taxonomy editor
CN100370457C (zh) 服务检索装置、服务检索方法及文件处理系统
CN101883082A (zh) 获取网络配置协议服务端建模文件信息的方法、设备和系统
US2005011448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questing service provided by network equipment
Eales et al. Service discovery using open sound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