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8027A - 데이터 백업기능을 갖는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 백업기능을 갖는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8027A
KR20050078027A KR1020040006124A KR20040006124A KR20050078027A KR 20050078027 A KR20050078027 A KR 20050078027A KR 1020040006124 A KR1020040006124 A KR 1020040006124A KR 20040006124 A KR20040006124 A KR 20040006124A KR 20050078027 A KR20050078027 A KR 20050078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emory
storage device
host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6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우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인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인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인칩스
Priority to KR1020040006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78027A/ko
Publication of KR20050078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8027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6/00Lighting devices intended to be free-standing
    • F21S6/002Table lamps, e.g. for ambient lighting
    • F21S6/003Table lamps, e.g. for ambient lighting for task lighting, e.g. for reading or desk work, e.g. angle poise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26Pivoted 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48Office articles, e.g. bookmarks, desk lamps with drawers, stands for books or music sco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F21V33/0056Audio equipment, e.g. music instruments, radios or spea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echniques For Improving Reliability Of Storage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휴대용 저장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제1영역(또는 메모리)과 상기 제1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를 백업 데이터로서 저장하기 위한 제2영역(또는 메모리)을 구비하므로, 동일한 데이터를 상기 1영역(또는 메모리)과 상기 제2영역(또는 메모리)에 동시에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는 상기 제1영역에 저장된 데이터가 어떠한 원인에 이하여 손실 또는 손상이 되는 경우라도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제2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원할 수 있다.

Description

데이터 백업기능을 갖는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Portable data storage device for performing data backup function}
본 발명은 휴대용 저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데이터 백업(data backup)기능을 갖는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USB 메모리의 블락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USB 메모리(100)는 커넥터(110), USB 인터페이스(120), 컨트롤러(130) 및 메모리(140)를 구비한다.
USB 메모리(100)는 커넥터(110)와 접속되는 USB포트(미도시)를 통하여 호스트(예컨대, PC)와 접속되고, USB 인터페이스(120)는 컨트롤러(130)와 상기 호스트사이에 주고받는 신호를 인터페이싱한다.
따라서 커넥터(110)와 상기 호스트의 USB포트가 접속되는 경우, 상기 컨트롤러(130)는 상기 호스트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메모리(140)에 저장하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메모리(140)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를 상기 호스트로 전송하는 하는 동작을 제어한다.
따라서 메모리(140)에 저장된 데이터가 손상되는 경우, 또는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100)의 오동작으로 인하여 상기 메모리(140)에 저장된 데이터가 손상되는 경우, 또는 사용자가 실수로 상기 메모리(140)에 저장된 데이터가 삭제되는 경우, 상기 메모리(140)에 저장된 데이터는 손실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가 손상되는 경우라도 원래의 데이터를 용이하게 복구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데이터 독출명령에 응답하여 데이터 저장용 메모리로부터 독출된 제1데이터와 상기 데이터 독출명령에 응답하여 데이터 백업용 메모리로부터 독출된 제2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상기 제1데이터와 상기 제2데이터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데이터와 상기 제2데이터 중에서 어느 하나의 데이터를 호스트로 출력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상기 기록매체는 수신된 상기 제1데이터와 상기 제2데이터를 비트단위로 비교한 결과, 상기 제1데이터와 상기 제2데이터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치하지 않는다는 정보를 상기 기록매체의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상기 제2데이터를 상기 호스트로 전송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상기 기록매체는 USB(Universal Serial Bus)에 접속되는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는 제1메모리; 제2메모리; 및 데이터 기입명령신호에 응답하여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제1메모리와 상기 제2메모리에 각각 저장하기 위한 동작을 제어하고, 데이터 독출명령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와 상기 제2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각각 독출하고, 독출된 각 데이터를 비트단위로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메모리로부터 독출된 데이터와 상기 제2메모리로부터 독출된 데이터 중에서 어느 하나의 데이터를 호스트로 전송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와 상기 제2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USB 포트를 통하여 상기 호스트로 전송하는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는 상기 제1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와 상기 제2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치하지 않는다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를 더 구비한다. 상기 표시장치는 스피커 등을 포함하는 음향출력장치 또는 LED 등을 포함하는 상기 발광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의 블락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200)는 USB(Universal serial bus)메모리, USB 휴대용 메모리, USB 플래쉬 디스크, USB 플래쉬 드라이버 등으로 불리는 저장장치를 의미한다.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200)는 커넥터(210), USB인터페이스(220), 컨트롤러(230), 메모리(240) 및 백업용 메모리(250)를 구비한다.
상기 메모리(240)와 상기 백업용 메모리(250)는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메모리(240)와 상기 백업용 메모리(250)는 플래쉬 메모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커넥터(210)는 호스트의 USB포트(미도시)에 접속될 수 있고, USB인터페이스 (220)는 상기 커넥터(210)와 상기 USB포트가 접속되는 경우, 상기 호스트와 컨트롤러(230)간에 주고받는 신호들을 인터페이싱한다.
컨트롤러(230)는 호스트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메모리(240)와 백업용 메모리(250)에 동시에 저장(또는 기입(write))하는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메모리(240)로부터 독출(read)된 데이터와 상기 백업용 메모리(250)로부터 독출된 데이터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호스트로 전송하는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백업용 메모리(250)에 저장된 데이터는 말 그대로 메모리 (240)에 저장된 데이터의 백업 데이터를 의미한다.
컨트롤러(230)는 메모리 컨트롤러 코어(231)와 비교회로(233)를 구비한다. 메모리 컨트롤러 코어(231)는 호스트와 메모리(240)간에 소정의 데이터를 주고받는 동작과 상기 호스트와 백업용 메모리(250)간에 소정의 데이터를 주고받는 동작을 제어한다.
비교회로(233)는 메모리 컨트롤러 코어(231)의 제어하에 메모리(240)로부터 독출된 데이터와 백업용 메모리(250)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들을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COMP)를 메모리 컨트롤러 코어(231)로 출력한다.
데이터 독출 동작시, 컨트롤러(230)는 호스트로부터 발생된 데이터 독출명령신호에 응답하여 메모리(240)에 저장된 데이터만을 독출하고, 독출된 데이터를 상기 호스트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독출 동작시, 컨트롤러(230)는 상기 호스트로부터 발생된 데이터 독출명령신호에 응답하여 메모리(240)에 저장된 데이터와 백업용 메모리(250)에 저장된 데이터를 각각 독출하고, 독출된 각 데이터를 비교한 비교회로(233)의 비교결과(COMP)에 응답하여, 상기 비교결과와 상기 메모리(240)로부터 독출된 데이터와 상기 백업용 메모리(250)로부터 독출된 데이터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호스트로 출력한다.
상기 컨트롤러(231)는 다음에 기술되는 세 가지 동작 중에서 어느 하나의 동작을 수행한다.
첫째, 상기 비교회로(233)의 비교결과, 상기 메모리(240)로부터 독출된 데이터와 상기 백업용 메모리(250)로부터 독출된 데이터가 서로 일치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 코어(231)는 상기 메모리(240)로부터 독출된 데이터와 상기 백업용 메모리(250)로부터 독출된 데이터 중에서 어느 하나의 데이터를 USB포트를 통하여 호스트로 전송한다.
둘째, 상기 비교회로(233)의 비교결과, 상기 메모리(240)로부터 독출된 데이터와 상기 백업용 메모리(250)로부터 독출된 데이터가 서로 다른 경우, 즉, 상기 메모리(240)에 저장된 데이터가 손상된 경우,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 코어(231)는 상기 백업용 메모리(250)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를 USB포트를 통하여 상기 호스트로 전송한다.
셋째, 상기 비교회로(233)의 비교결과, 상기 메모리(240)로부터 독출된 데이터와 상기 백업용 메모리(250)로부터 독출된 데이터가 서로 다른 경우, 즉, 상기 메모리(240)에 저장된 데이터가 손상된 경우,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 코어(231)는 상기 메모리(240)에 저장된 데이터가 손상되었다는 사실을 상기 호스트로 전송하고, 사용자의 지시를 기다린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231)는 상기 호스트를 통하여 입력되는 상기 사용자의 데이터 독출명령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백업용 메모리(250)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를 USB포트를 통하여 상기 호스트로 전송한다.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200)는 상기 메모리(240)로부터 독출된 데이터와 상기 백업용 메모리(250)로부터 독출된 데이터가 서로 다른 경우를 통지하기 위한 별도의 표시장치(2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260)는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출력장치 또는 빛을 출력하기 위한 발광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음향출력장치는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발광장치는 LED로 구현될 수 있으나, 상기 음향출력장치 또는 상기 발광장치는 상기 스피커 또는 상기 LED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200)는 상기 메모리(240)로부터 독출된 데이터와 상기 백업용 메모리(250)로부터 독출된 데이터가 서로 다르다는 사실을 상기 호스트로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통지하고 이와 별도로 상기 음향출력장치 또는 상기 발광장치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200)는 메모리 (240)에 저장된 데이터가 어떠한 원인에 의하여 손상되더라도 상기 메모리(240)에 저장된 데이터의 백업 데이터를 백업용 메모리(250)로부터 독출하고, 독출된 데이터를 호스트로 전송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하는 데이터를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200)에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200)는 상기 메모리(240)로부터 독출된 데이터와 상기 백업용 메모리(250)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따른 데이터를 호스트로 출력하기 위한 소정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즉, 상기 소정의 프로그램은 상기 메모리(240)로부터 독출된 데이터와 상기 백업용 메모리(250)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메모리(240)로부터 독출된 데이터와 상기 백업용 메모리(250)로부터 독출된 데이터 중에서 어느 하나의 데이터를 USB포트를 통하여 호스트로 전송하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200)가 호스트의 USB 포트에 접속되는 경우, 상기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200)에 저장된 소정의 프로그램 중에서 비교 프로그램이 상기 호스트로 로딩된다.
따라서 상기 소정의 프로그램 또는 상기 비교회로(233)가 상기 메모리(240)로부터 독출된 데이터와 상기 백업용 메모리(250)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를 상기 호스트로 전송하면, 상기 호스트에 로딩된 상기 비교 프로그램이 상기 메모리(240)로부터 독출된 데이터와 상기 백업용 메모리(250)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를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200)로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휴대용 저장장치(200)는 상기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메모리(240) 또는 상기 백업용 메모리(250)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고, 독출된 데이터를 상기 호스트로 전송한다.
만일, 상기 메모리(240)로부터 독출된 데이터와 상기 백업용 메모리(250)로부터 독출된 데이터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호스트에 로딩된 프로그램은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백업용 메모리(25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200)는 상기 메모리(240)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를 호스트로 전송하고, 상기 호스트로 전송된 데이터가 손상되었다는 데이터 손상정보에 응답하여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명령에 응답하여 백업용 메모리(250)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를 상기 호스트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손상정보는 상기 호스트로 전송된 상기 메모리(240)에 저장된 데이터가 손상된 경우에 호스트에 로딩된 소정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발생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의 블락도를 나타낸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도 2에 도시된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200)는 메모리(240)와 백업용 메모리(250)를 동시에 구비하는 반면, 도 3에 도시된 데이터 저장장치(300)는 하나의 메모리(310)를 구비한다. 하나의 메모리(310)는 데이터 저장영역(311)과 백업 데이터 저장영역(313)으로 구분된다.
따라서 동일한 데이터는 메모리 어드레싱에 의하여 데이터 저장영역(311)과 백업 데이터 저장영역(313)에 각각 저장된다. 상기 백업 데이터 저장영역(313)에 저장된 데이터는 말 그대로 상기 데이터 저장영역(311)에 저장된 데이터의 백업 데이터 기능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300)는 데이터저장영역(311)에 저장된 데이터가 어떠한 원인에 의하여 손상되더라도 데이터 독출명령신호에 응답하여 백업 데이터 저장영역(313)에 저장된 백업 데이터를 호스트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제2데이터는 제1데이터의 백업 데이터라고 가정한다.
컨트롤러 코어(231)는 호스트로부터 발생된 데이터 독출명령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저장용 메모리(240)에 저장된 제1데이터와 데이터 백업용 메모리에 저장된 제2데이터를 각각 독출한다(410단계).
비교회로(233)는 독출된 제1데이터와 독출된 제2데이터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420단계).
420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제1데이터와 상기 제2데이터가 일치하는 경우 컨트롤러 코어(231)는 제1데이터와 제2데이터 중에서 어느 하나의 데이터를 호스트로 전송한다(430단계). 그러나, 상기 제1데이터와 상기 제2데이터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컨트롤러 코어(231)는 제2데이터를 호스트로 전송한다(450단계).
상기 제1데이터와 상기 제2데이터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선택적으로 컨트롤러 코어(231)는 상기 제1데이터와 상기 제2데이터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는 정보를 호스트로 전송하고(440단계), 제2데이터를 호스트로 전송한다(450단계). 도 4에 도시된 방법은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에 기록된 소정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제1영역(또는 메모리)과 상기 제1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를 백업 데이터로서 저장하기 위한 제2영역(또는 메모리)을 구비하므로, 동일한 데이터를 상기 1영역(또는 메모리)과 상기 제2영역(또는 메모리)에 동시에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영역에 저장된 데이터가 어떠한 원인에 이하여 손실 또는 손상이 되는 경우라도 상기 데이터를 상기 제2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복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의 신뢰성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상세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일반적인 USB 메모리의 블락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의 블락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의 블락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Claims (7)

  1. 데이터 독출명령에 응답하여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의 데이터 저장용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스트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호스트부터 입력되는 상기 데이터가 손상되었다는 데이터 손상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의 데이터 백업용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데이터의 백업 데이터를 상기 호스트로 전송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2. 데이터 독출명령에 응답하여 데이터 저장용 메모리로부터 독출된 제1데이터와 상기 데이터 독출명령에 응답하여 데이터 백업용 메모리로부터 독출된 제2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상기 제1데이터와 상기 제2데이터를 비교한 결과, 상기 제1데이터와 상기 제2데이터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치하지 않는다는 정보를 상기 기록매체의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상기 제2데이터를 상기 호스트로 전송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는 USB(Universal Serial Bus)에 접속되는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4.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에 있어서,
    제1메모리;
    제2메모리; 및
    데이터 기입명령신호에 응답하여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제1메모리와 상기 제2메모리에 각각 저장하기 위한 동작을 제어하고, 데이터 독출명령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와 상기 제2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각각 독출하고, 독출된 각 데이터를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메모리로부터 독출된 데이터와 상기 제2메모리로부터 독출된 데이터 중에서 어느 하나의 데이터를 호스트로 전송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는 상기 호스트의 USB포트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와 상기 제2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USB 포트를 통하여 상기 호스트로 전송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는 상기 제1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와 상기 제2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치하지 않는다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
KR1020040006124A 2004-01-30 2004-01-30 데이터 백업기능을 갖는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 KR200500780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6124A KR20050078027A (ko) 2004-01-30 2004-01-30 데이터 백업기능을 갖는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6124A KR20050078027A (ko) 2004-01-30 2004-01-30 데이터 백업기능을 갖는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8027A true KR20050078027A (ko) 2005-08-04

Family

ID=37265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6124A KR20050078027A (ko) 2004-01-30 2004-01-30 데이터 백업기능을 갖는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7802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35513A1 (en) * 2009-08-06 2011-02-10 David Jevans Peripheral Device Data Integrit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35513A1 (en) * 2009-08-06 2011-02-10 David Jevans Peripheral Device Data Integrity
US8683088B2 (en) * 2009-08-06 2014-03-25 Imation Corp. Peripheral device data integrity
US20140337592A1 (en) * 2009-08-06 2014-11-13 Imation Corp. Peripheral device data integrit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3845B2 (en) Data storage device using two types of storage medium
JP5149786B2 (ja) 不揮発性メモリ用のインタフェース
US7003623B2 (en) Solid state disk on module with high speed data transmission
US825024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with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capable of operating in multiple operation modes when connected to a host device
JP2008547068A (ja) 複数個のdmaチャンネルを有するusb−sd保存装置及びその保存方法と記録媒体
KR101350981B1 (ko) 복합 광 디스크 드라이브 및 그 구동 방법 및 이를 적용하는 전자 시스템
US6671751B1 (en) Raid device for establishing a direct passage between a host computer and a hard disk by a data hub selectively passing only data to be accessed
US20120210059A1 (en) Cascaded raid controller
KR20050078027A (ko) 데이터 백업기능을 갖는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
JP6693417B2 (ja) リーダライタ装置、情報処理装置、およびデータ転送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0445182B1 (ko) 데이터 복사장치
US8627157B2 (en) Storing apparatus
US20100332777A1 (en) Data backup apparatus and data backup method
JP3604984B2 (ja) 記録機器の記録制御方法
KR102423278B1 (ko) 메모리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KR20080076331A (ko) 데이터 저장장치 및 그의 작동 방법
KR100902703B1 (ko) 광 디스크 장치 및 그 자기 진단 제어 방법
JP2000173158A (ja) ハードディスク装置
JP2012068808A (ja) 可搬記憶装置
KR100464788B1 (ko) 초고속 저장장치 및 방법
JP3363097B2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4438692B2 (ja) メモリカード、制御装置及びデータ処理システム
JP5359309B2 (ja) 電子機器
JP2005258654A (ja) データ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1113232A (ja) ディスクエンクロージャ及びストレージシステム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