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7773A - 인체 국부 세정용 위생 장치 - Google Patents

인체 국부 세정용 위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7773A
KR20050077773A KR1020050007807A KR20050007807A KR20050077773A KR 20050077773 A KR20050077773 A KR 20050077773A KR 1020050007807 A KR1020050007807 A KR 1020050007807A KR 20050007807 A KR20050007807 A KR 20050007807A KR 20050077773 A KR20050077773 A KR 20050077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toilet seat
box portion
seat unit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7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후루까와히데끼
Original Assignee
아이신세이끼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02193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213872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02193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21387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02193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213873A/ja
Application filed by 아이신세이끼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신세이끼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77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7773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6Suspension cables; Cable clamps for suspension cables ; Pre- or post-stressed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1/00Suspension or cable-stayed bri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2Connections or attachments, e.g. turnbuckles, adapted for straining of cables, ropes, or wire

Abstract

변좌 유닛이 개방 위치가 되도록 회전되는 동안, 변좌 유닛이 그 둘레에서 회전하는 회전축을 전향 및 상향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박스부의 후면과 변기 림면 사이에 사전결정된 공간이 형성되는 인체 국부 세정용 위생 장치.

Description

인체 국부 세정용 위생 장치{SANITARY DEVICE FOR WASHING PRIVATE PARTS OF PERSON}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인체 국부 세정용 위생 장치에 관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변기의 림면(rim surface)의 후방부에 부착된 위생 장치에 관련한다.
변기의 림면의 단부 부분에 배치 및 부착되어 있는, 인체의 국부를 세정하기 위한 공지된 위생 장치(이하, 위생 세정 장치라 지칭함)는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앉는 변좌와, 변좌의 후방부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국부를 세정하기 위한 세정 노즐 장치 및 따뜻한 공기로 사용자를 건조하는 건조 장치 같은 제어 장치를 수납하는 박스부를 포함한다. 또한, 변좌를 덮도록 변좌상에 변기 덮개가 제공된다. 변좌의 후단부 및 변기 덮개의 후단부 양자 모두는 박스부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박스부에 부착된다. 이 구성에서, 변좌와 박스부 사이 및 변기 덮개와 박스부 사이에 각각 비교적 큰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내에 먼지 및 오물이 쉽게 축적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위생 장치의 구조 때문에, 먼지제거기로 먼지 및 오물을 완전히 닦아낼 수 없다. 부가적으로, 이런 장치의 디자인에 따라서, 박스부는 변좌로부터 분리되며, 설계의 유연성이 제한되는 경향이 있다.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JP H05(1993)-4995U에 개시되어 있는 인체의 국부를 세정하기 위한 공지된 위생 장치는 변좌 및 변좌와 일체로 형성된 박스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박스부의 저부판이 장착 부재의 후단부에 지지되며, 장착 부재는 변기의 림면에 직접적으로 고정된다. 박스부의 저부판의 하면 및 변기 림면은 박스부, 박스부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변기 덮개 및 변좌를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들어올림으로써 박스부를 후방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노출된다. 따라서, 박스부의 저부판의 하면 및 변기 림면은 변좌로부터 전체 위생 장치를 제거하지 않고 쉽게 세정될 수 있다.
따라서, 박스부가 변좌와 일체로 형성되고, 박스부의 저부판이 변기의 림면에 직접적 고정된 장착 부재의 후단부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는 구조 때문에, 박스부의 저부판의 하면 및 변기 림면은 변기로부터 전체 위생 장치를 제거하지 않고 세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 종류의 위생 장치는 후술된 이유 때문에 사용이 불편하다.
구체적으로, 변좌가 박스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박스부의 저부판이 장착 부재의 후단부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며, 순차적으로, 장착 부재가 변기의 림면에 직접 고정되기 때문에, 변좌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박스부의 후면을 변기의 림면상에 배치하도록 박스부를 변기의 림면에 대해 거의 90°로 회전시킴으로써 변좌가 개방 위치로 유지될 수 있다. 이 구성에서, 로우 탱크가 그 사이에 사전결정된 거리로 공간을 제공하도록 박스부의 후방부에 제공되고, 변좌가 개방 위치에 있는 동안, 변기의 림면에 대해 90°로 박스부가 후향 회전하여 박스부의 후면을 변기의 림면상에 배치하기 때문에, 박스부의 후면과 로우 탱크 사이의 거리는 박스부의 높이와 같거나 그보다 크게 설정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박스부가 온수를 저수하기 위한 온수 탱크 같은 대용량의 구성요소를 수납하기 때문에, 박스부의 높이는 보다 커질 필요가 있다. 달리 말해서, 변좌가 폐쇄 위치에 있는 동안, 박스부의 후면과 로우 탱크 사이의 거리가 비교적 크다. 부가적으로, 화장실내의 공간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변좌가 폐쇄 위치에 있는 동안, 박스부의 후면과 로우 탱크 사이의 거리는 최소화될 필요가 있으며, 통상 이런 구조가 요구된다.
또한, 변기의 림면을 세정할 필요가 있을 때 이외에, 남성이 변기내로 소변을 보는 동안 변기 덮개는 개방 위치로 유지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박스부에 개구가 형성되고, 이 개구를 통해 세정 기구의 노즐이 돌출 및 복귀하기 때문에, 그리고, 이런 개구가 소변의 포물선 궤적을 따라 위치되기 때문에, 소변은 개구를 통해 박스부내로 스며들 수 있고, 따라서, 박스부내에 제공된 전자 장치 또는 전자 소자에 대한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변좌와 박스부의 후면상에, 항문을 세정하기 위한 노즐로부터 분사된, 그리고, 항문 근방에서 반사된 세정수가 수적형태로 부착되며, 림면상에 배치되도록 박스부가 90°회전된 이후, 수적이 변기의 림면상에 적하하고, 결과적으로, 림면이 오염된다.
따라서, 박스부와 로우 탱크 사이의 최소의 공간이내에 수납되며, 소변이 박스부내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고, 변기의 림면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인체 국부 세정용 위생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 상황을 고려하여 이루어졌으며, 이런 위생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은 종방향 전방부에 좌면부(22)를 가지고, 종방향 후방부에 박스부(24)를 가지며, 좌면부(22)와 박스부(24)가 함께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변좌 유닛(20)과, 박스부(24)내에 수납된 세정 기구(30)를 포함하는 인체 국부 세정용 위생 장치(10)에 있어서, 박스부(24)는 브래킷(70)에 사전결정된 높이로 회전가능하게 부착되고, 순차적으로, 브래킷(70)은 변기 림면(12a)의 후방부에 고정되며, 변좌 유닛(20)은 좌면부(22)가 변기 림면(12a)상에 위치되는 폐쇄 위치와, 박스부(24)의 후면과 변기 림면(12a) 사이에 공간(G)이 제공되고, 동시에 좌면부(22)가 변기 림면(12a)에 대하여 직각 또는 둔각이 되도록 배치되는 개방 위치 사이의 범위내에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국부 세정용 위생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변좌 유닛(20)이 개방 위치로 회전되는 동안, 박스부(24)의 후면과 변기 림면(12a) 사이에 공간(G)이 제공되고, 박스부의 회전축은 변기 림면으로부터 사전결정된 높이로 변좌의 폭방향으로 연장한다. 따라서, 변좌 유닛(20)이 폐쇄 위치에 있는 동안 박스부(24)의 최후방 위치는 변좌 유닛(20)이 개방 상태에 있는 동안 박스부(24)의 최후방 위치와 거의 동일하다. 결과적으로, 박스부(24)와 로우 탱크(50) 사이의 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변좌 유닛(20)이 개방 위치가 되도록 회전되는 동안, 박스부(24)의 후면과 변기 림면(12a)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따라서, 공간으로부터 변기 림면(12a)이 세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은 변좌 유닛이 그 개방 위치에 있는 동안, 박스부(24)의 후단면과 변기 림면(12a) 사이에 제공된 공간(G)이 수직 길이가 20mm 이상인 청구항 1에 따른 인체 국부 세정용 위생 장치(10)를 제공한다.
따라서, 사람의 손이 박스부(24)의 후면과 변기 림면(12a) 사이에 형성된, 그리고, 20mm과 같거나 그 보다 크게 설정된 공간내로 진입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변기 림면(12a)이 쉽게 세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은 세정 기구(30)가 변좌 유닛(20)이 폐쇄 위치에 있는 동안 인체의 국부를 세정하도록 변기(12) 내측을 향해 박스부(24)의 개구(24z)를 통해 연장하는 노즐(31)(32)을 포함하고, 개구(24z)는 변좌 유닛(20)이 그 개방 위치에 있는 동안 셔터(90)에 의해 폐쇄되는 청구항 1에 따른 인체 국부 세정용 위생 장치(10)를 제공한다.
따라서, 변좌 유닛(20)이 개방 위치가되도록 회전하는 동안, 셔터(90)가 박스부(24)의 개구부(24z)를 덮으며, 따라서, 소변이 박스부(24)의 개구부(24z) 부근에 도달할 때, 셔터(90)가 박스부(24) 내측이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태양은 박스부(24)의 하면(24r)이 평활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변좌 유닛(20)이 개방 위치가 되도록 회전될 때, 하면(24r)은 변기(12)의 개구(100) 위에 배치되는 청구항 1에 따른 인체 국부 세정용 위생 장치(10)를 제공한다.
따라서, 변좌 유닛(20)이 개방 위치로 회전되는 동안, 박스부(24)의 하면(24r)에 부착되어 수적이 된 세정수가 변기(12)내로 적하한다. 따라서, 세정수가 변기(12)의 변기 림면(12a)상에 적하할 수 없으며, 결과적으로, 변기 림면(12a)을 세정하는 빈도수가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는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상술한 바 및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 및 특성을 보다 명백히 알 수 있을 것이다.
첨부 도면 도1 내지 도20을 참조로 본 발명에 관련한 양호한 실시예를 후술한다. 인체 국부 세정용 위생 장치(10)는 변좌 유닛(2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변좌 유닛(20)은 그 전방부에 좌면부(22)를, 그리고, 그 후방부에 박스부(24)를 포함하며, 변좌(20)의 두 부분 양자는 함께 일체로 성형된다. 수지 또는 금속이 변좌 유닛(20)의 주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박스부(24)는 그 내측에 세정 기구(30)를 수납하고, 이 세정 기구는 남성 및 여성의 둔부 또는 항문, 여성의 경우에는 국부 같은, 좌면부(22)상에 앉은 사용자의 국부를 온수로 세정한다.
브래킷(70)은 변기(12)의 림면(12a)의 후방부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며, 변좌 유닛(20)이 브래킷(70)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다. 변좌 유닛(20)의 회전 범위는 좌면부(22)가 고무 다리부(22a)를 경유해 림면(12a)상에 배치되는 폐쇄 위치와, 좌면부(22)가 림면(12a)에 대해 직각 또는 둔각이 되도록 배치되며, 동시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부(24)와 림면(12a) 사이에 공간(G)이 제공되는 개방 위치 이내로 설정된다. 박스부(24)의 후면과 림면(12a) 사이에 형성되며, 개방 위치가 되도록 유닛(20)이 회전될 때 20mm와 같거나 보다 크게 설정되는 공간(G) 때문에, 변기(12)의 림면(12a)은 쉽게 세정될 수 있다.
변기(12)의 림면(12a)상에서, 로우 탱크(50)는 변좌 유닛(20)의 박스부(24) 바로 뒤에 배치된다. 또한, 변기 덮개(60)는 좌면부(22)를 덮도록 변좌 유닛(20)의 박스부(24)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다. 변기 덮개(60)의 회전의 중심점은 변좌 유닛(20)의 회전의 중심점과 동일하며, 따라서, 변좌 유닛(20)이 폐쇄 위치가 되도록 손으로 작동될 때, 변기 덮개(60)는 변좌 유닛(20)과 일체로 회전한다. 따라서, 단지 변좌 유닛(20)이 폐쇄 위치가 되도록 회전될 때에만, 변기 덮개(60)가 역시 폐쇄 위치가 되도록 변좌 유닛(20)의 회전을 따르고, 변좌 유닛(20)이 손으로 작동되어 변기 덮개(60)와 함께, 개방 위치가 되도록 회전될 때에만, 변기 덮개(60)가 변좌 유닛(20)과 일체로 회전되어 개방 위치가 된다.
브래킷(70)은 한 쌍의 구멍(14) 부근에 배치되고, 변기(12)의 림면(12a)의 후방부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된다. 구체적으로, 브래킷(70)은 기부판(72), 한 쌍의 지지 유닛(74) 및 한 쌍의 스토퍼 부재(76)를 포함한다. 두 개의 지지 유닛(74)이 상향으로 기부판(72)으로부터 돌출하도록 기부판(72)과 일체로 형성된다. 역시 변기(12)의 폭 방향으로 사전결정된 길이로 이격 배치된 두 개의 스토퍼 부재(76)가 상향 돌출하도록 그 후단부에서 기부판(72)과 일체로 형성된다. 지지 유닛(74) 중 하나는 변기(12)의 종방향으로 일 직선상에 존재하도록 스토퍼 부재(76) 중 하나에 대응한다. 지지 유닛(74)상에는 상향으로 개방하도록 슬롯(74a)이 형성되고, 두 개의 아암(78)(제1 및 제2 아암)이 슬롯(74a)내에 분리가능하게 끼워진다. 또한, 구멍(78a)이 변기(12)의 폭방향으로 서로 동축이 되도록 각 아암(78)상에 형성된다. 또한, 한 쌍의 스크류로드(79)가 기부판(72)의 하면상에 형성된다. 두 개가 스크류로드(79)는 변기(12)의 림면(12a)의 후방부상에 형성된, 구멍(14) 중 어느 하나에 끼워지고, 그에 지지된다. 따라서, 브래킷(70)은 구멍(14) 부근에 배치되고, 변기(12)의 림면(12a)의 후방부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된다.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부(24)의 하면상에, 한 쌍의 슬롯부(24a)(제1 슬롯부(24a) 및 제2 슬롯부(24a))가 내향 침입하도록, 두 개의 슬롯부(24a)는 각각 변기(12)의 폭방향으로 서로 사전결정된 거리로 이격 배치된다. 그러나, 좌면부(22) 및 좌면부(22)와 일체로 형성된 박스부(24)는 브래킷(70)상에 올려놓아지도록 변기(12)의 림면(12a)의 후방부에 장착되며, 브래킷(70)의 아암(78) 각각은 슬롯부(24a) 중 하나 또는 나머지내에 수납된다.
이런 상태하에서, 박스부(24)내에서, 힌지 핀(80)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슬롯부(24a)의 제1 외벽(24b)의 좌측면을 통해, 제1 아암(78)의 구멍(78a)을 통해, 그 후, 도12에서 볼 때, 제1 슬롯부(24a)의 제1 외벽(24b)의 우측면을 통과한다. 힌지 핀(80)은 제1 외벽(24b)의 좌측면과 결합하도록 도 12에서 볼 때, 그 좌단부에 헤드부를 포함하고, 힌지 핀(80)의 우단부는 막혀지도록 제1 외벽(24b)의 우측면과 결합한다. 따라서, 힌지 핀(80)은 제1 슬롯부(24a)의 제1 외벽(24b)으로부터 외측으로 당겨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박스부(24)에서, 제1 댐퍼(82)의 제1 샤프트부(82a)는 제2 슬롯부(24a)의 제2 외벽(24b)의 도 12에서 볼 때 좌측면의 구멍내로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며, 제2 아암(78)의 구멍(78a)내에 견고히 끼워진다. 따라서, 박스부(24)가 개방 위치가 되도록 회전되는 동안, 브래킷(70)이 두 개의 아암(78)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박스부(24)는 제1 댐퍼(82)의 작동 없이 급속히 회전할 수 있다. 한편, 박스부(24)가 폐쇄 위치가 되도록 회전되는 동안, 박스부(24)는 제1 댐퍼(82)의 작용으로 인해 느리게 회전한다. 결과적으로, 좌면부(22)가 변기(12)의 림면(12a)과 충돌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1 댐퍼(82)는 제2 슬롯부(24a)의 제2 외벽(24b)의 좌측에 형성된 플랫폼(24c)과 클램프로 고정된다. 또한, 힌지 핀(80)의 회전축은 제1 댐퍼(82)의 제2 샤프트부(82a)의 회전축과 동일하다.
변기 덮개(60)는 좌면부(22)를 덮도록 변좌 유닛(20)의 박스부(24)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다. 제1 돌기부(60a)가 그 일 측부(도12에서 볼 때 좌측)에서 변기 덮개(60)의 내면상에 형성된다. 제2 샤프트부(86a)가 형성되어 있는 제2 댐퍼(86)가 그 외향 방향으로 박스부(24)의 일 측부(도 12의 좌측)상의 제1 벽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박스부(24)의 일 측부(도12의 좌측)상에 제공된다. 제2 샤프트부(86a)는 제1 돌기부(60a)내로 견고히 끼워진다. 또한, 랜드부(60b)가 그 다른 측부(도12의 우측)에서 변기 덮개(60)의 내면상에 형성된다. 랜드부(60b)는 그 다른 측부(도12의 우측)에서 박스부(24)의 제2 벽상에 형성된 제2 돌기부(24p)내로 회전가능하게 삽입된다. 따라서, 변기 덮개(60)가 개방 위치가 되도록 회전되는 동안, 박스부(24)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변기 덮개(60)는 제2 댐퍼(86)의 작동 없이 급속히 회전될 수 있다. 한편, 변기 덮개(60)가 폐쇄 위치가 되도록 회전되는 동안, 변기 덮개(60)는 제2 댐퍼(86)의 작동으로 인해 느리게 회전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변기 덮개(60)는 변기(12)의 림면(12a)과 충돌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2 댐퍼(86)의 제2 샤프트부(86a)의 회전축은 랜드부(60b)의 회전축과 동일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힌지 핀(80)의 회전축이 제1 댐퍼(82)의 제1 샤프트부(82a)의 회전축과 동일하고, 제2 댐퍼(86)의 제2 샤프트부(86a)의 회전축이 랜드부(60b)의 회전축과 동일하기 때문에, 변기 덮개(60)의 회전 중심은 변좌 유닛(20)의 회전 중심과 동일하다. 이 구성에서, 변좌 유닛(20)이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회전되도록 손으로 작동될 때, 변기 덮개(60)는 변좌 유닛(20)과 일체로 회전한다. 따라서, 변좌 유닛(20)이 폐쇄 위치가 되도록 회전될 때에만, 변기 덮개(60)가 역시 폐쇄 위치가 되도록 변좌 유닛(20)의 회전을 따르며, 변좌 유닛(20)이 변기 덮개(60)와 함께 개방 위치가 되도록 손으로 작동 및 회전될 때에만, 변기 덮개(60)가 개방 위치가 되도록 변좌 유닛(20)과 일체로 회전된다.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스토퍼 부재(76)가 상향 돌출하도록 기부판(72)의 두 개의 후방 코너에 형성되고,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인, 로우 탱크(50)를 향해 개구된 홈(76a)이 스토퍼 부재(76) 각각상에 형성된다. 또한, 도15에 명백히 도시된 바와 같이, 변기 덮개(60)의 후단부의 내면상에, 서로 사전결정된 거리로 변기의 폭방향으로 이격된 두 개의 돌출부(60p)가 형성된다(편의상 도15에는 단 하나의 돌출부(60p)만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60q)가 돌출부(60p) 각각 다음에(도17의 돌출부(60p) 바로 위), 그 전방에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기 덮개(60)의 돌출부(60p) 쌍은 개방 위치에서 유지되도록 스토퍼 부재(76)의 홈(76a)내에 끼워진다.
변좌 유닛(20)이 폐쇄 위치에 있는 동안, 달리 말해서, 변좌 유닛(20)이 사용 중인 상태로 배치되는 동안, 특히 도7 및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 부재(76)는 박스부24)의 후면(로우 탱크(50) 측)상에 형성된 홈(24g)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다른 한편, 변좌 유닛(20)이 개방 위치에 있는 동안, 달리 말해서, 변좌 유닛(20)이 비사용 상태로 배치되는 동안,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 부재(76)가 변좌 유닛(20)으로부터 분리된다.
도6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이, 변좌 유닛(20)의 좌면부(22)의 후방부에 배치된 박스부(24)는 평활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하면(24r)을 포함한다. 이 구성에 따라, 변좌 유닛(20)이 개방 위치가 되도록 회전될 때, 박스부(24)의 하면(24r)은 변기(12)의 개구(100) 위에 배치되며, 따라서, 박스부(24)의 하면(24r) 또는 노즐(32)에 부착되어 수적이된 세정수가 변기(12)내로 떨어진다. 따라서, 세정수가 변기(12)의 림면(12a)과 박스부(24)의 하면(24r) 사이에 장시간 동안 부착되어 유지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도13, 도19 및 도 20에 따라서, 세정 기구(30)의 구성을 후술한다. 박스부(24)내에 수납된 세정 기구(30)는 좌면부(22)상에 앉은 사용자의 항문을 세정하기 위한 제1 노즐(1)과, 좌면부(22)상에 앉은 여성 사용자의 여성 국부를 세정하기 위한 제2 노즐(32)을 포함한다. 노즐(31)은 박스부(24)의 하면(24r)에 고착된 기체관부(311)와, 기체관부(311)의 종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기체관부(311)에 수납된 노즐 본체(312)를 포함한다. 이 구성에서, 물은 수원으로부터 온수 탱크(35)로 급수 포트(33)와 전자기 밸브(34)를 통해 압송되며, 이는 가열기(미도시)에 의해 사전결정된 온도로 가열되어 온수 탱크(35)내에 보존된 온수가 압출되어 제1 위치(미도시)의 제1 분배기를 통해 노즐부(31)로 이동되게 한다. 결과적으로, 노즐 본체(312)는 기체관부(311)로부터 압출된다. 기체관부(311)로부터 압출된 노즐 본체(312)는 사전결정된 위치에서 정지하도록 변기(12) 내측으로 개구(24z)를 통해 이동한다. 온수는 세정 대상 항문을 향해 노즐 본체(312)의 제트 오리피스(미도시)로부터 분출된다. 이 세정 프로세스 이후, 온수가 기체관부(311)로 압송되는 것이 중단될 때, 노즐 본체(312)가 그 개시 위치로 복귀된다. 한편, 노즐(32)은 박스부(24)의 하면(24r)에 고착된 기체관부(321)와, 기체관부(321)의 종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기체관부(321)에 수납된 노즐 본체(322)를 포함한다. 이 구성에서, 물은 수원으로부터 급수 포트(33)를 통해, 그리고, 전자기 밸브(34)를 통해 온수 탱크로 압송되며, 이는 가열기(미도시)에 의해 사전결정된 온도로 가열되어 온수 탱크(35)내에 보존된 온수가 압출되어 제2 위치(미도시)상의 제2 분배기를 통해 노즐 본체(32)로 이동되게 한다. 결과적으로, 노즐 본체(322)는 기체관부(321)로부터 압출된다. 기체관부(321)로부터 압출된 노즐 본체(322)는 사전결정된 위치에서 정지하도록 변기(12) 내측으로 개구(24z)를 통해 이동한다. 온수는 세정 대상인 여성의 국부를 향해 노즐 본체(322)의 제트 오리피스(미도시)로부터 분출된다. 이 세정 프로세스 이후, 온수가 기체관부(321)로 압송되는 것이 정지될 때, 노즐 본체(322)는 그 개시 위치로 복귀되고, 그 후, 온풍이 개구부(24y)를 통해 제3 노즐(37)로부터 송풍되며, 그 후, 이미 세정된 항문 또는 여성의 국부가 송풍 건조된다. 세정 기구(30)의 전자 부품은 주 부품으로서 CPU(미도시)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36)에 의해 제어된다.
그러나,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기(12)의 내측(변기(12)의 개구(100))에 노출되도록 박스부(24)의 저부 부분상에 형성된 개구(24z)를 덮도록 박스부(24)에 셔터(90)가 제공된다. 변좌 유닛(20)이 도19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 위치에 있는 동안, 셔터(90)는 개구부(24z)를 덮지 않도록 배치된다. 한편, 변좌 유닛(20)이 도19에 가상선으로, 그리고, 도20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위치에 있는 동안, 셔터(90)는 개구부(24z)를 덮도록 배치된다. 셔터(90)가 변좌 유닛(20)이 개방 위치에 있는 동안 개구부(24z)를 덮도록 배치되는 이유는 주로 셔터(90)가 박스부(24)의 내측이 젖어 세정 기구(30)의 구성요소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좌 유닛(20)이 개방 위치에 있는 동안, 박스부(24)의 개방 위치(24z)를 덮도록 배치된 셔터(90)는 변기(12) 전방에 서있는 남성 사용자에 대면한다. 남성 사용자가 변기(12)를 향해 강하게 소변을 보고, 소변이 박스부(24)의 개구부(24z) 부근에 도달할 때에도, 셔터(90)는 박스부(24) 내측이 젖어 세정 기구(30)의 구성요소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셔터(90)는 변기(12)를 세정하기 위해 사용된 물에 의해 박스부(24) 내측이 젖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도19에 기초하여, 셔터(90)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박스부(24) 내측, 그리고, 개구부(24z) 부근에, 변기(12)의 폭방향으로 사전결정된 거리로 이격 배치되도록 한 쌍의 지지체(24s)가 제공된다. 도19에서, 단 하나의 지지체(24s)만이 예시되어 있다. 셔터(90)는 한 쌍의 아암(92)을 포함하고, 각 아암(92)은 핀(91)에 의해 지지체(24s) 각각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다. 두 개의 아암(92)은 개구부(24z)를 통해 박스부(24) 외측을 향해 연장하며, 변기(12) 내측에 도달한다. 따라서, 셔터(90)는 핀(91)을 경유해 박스부(24)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다. 셔터(90)의 전단부상에, 변기(12)의 폭방향으로(도19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홈부(90a)가 형성된다. 셔터(90)의 홈부(90a)에서, 그 단위 체적당 중량이 큰, 고무 같은 재료를 포함하는 추(93)가 시계 방향으로 셔터(90)에 편의력을 일정하게 인가하도록 채워진다. 따라서, 변좌 유닛(20)이 도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되는 상태 또는 폐쇄된 상태가 되도록 회전되는 동안, 셔터(90)는 개구부(24z)를 덮지 않도록 배치되고, 노즐 본체(312) 및 노즐 본체(322)는 변기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박스부(24)가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립되도록 회전될 때, 변좌 유닛(20)은 개방 위치(비사용 상태)가 되도록 회전된다. 이 회전 프로세스 동안, 추(93)의 작용으로 인해, 셔터(90)는 박스부(24)에 접근하도록 핀(91)에 대해 회전하며, 셔터(90)의 단부 부분(90x)이 개구부(24z)의 내주 상부 부분(24q)과 결합하는 지점에서, 셔터(90)는 개구부(24z)를 완전히 덮도록 배치된다. 변좌 유닛(20)이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93)로 인해 완전히 개방된 이후, 개구부(24z)는 셔터(90)에 의해 덮혀진 상태로 남아 있는다. 셔터(90)는 변기(12)의 내측을 향해 하강하도록 단면이 굴곡된 형태이다. 따라서, 남성 사용자 소변이 셔터(90)를 향할 때에도, 소변은 변기(12)내로 하강된 셔터(90)를 따라 바로 적하한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라서, 변좌 유닛(20)이 개방 위치로 회전되는 동안, 박스부(24)의 후면과 변기 림면(12a) 사이에 공간(G)이 제공되고, 박스부의 회전축은 변기 림면으로부터 사전결정된 높이로 변좌의 폭방향으로 연장한다. 따라서, 변좌 유닛(20)이 폐쇄 위치에 있는 동안 박스부(24)의 최후방 위치는 변좌 유닛(20)이 개방 상태에 있는 동안 박스부(24)의 최후방 위치와 거의 동일하다. 결과적으로, 박스부(24)와 로우 탱크(50) 사이의 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변좌 유닛(20)이 개방 위치가 되도록 회전되는 동안, 박스부(24)의 후면과 변기 림면(12a)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따라서, 공간으로부터 변기 림면(12a)이 세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따라서, 사람의 손이 박스부(24)의 후면과 변기 림면(12a) 사이에 형성된, 그리고, 20mm과 같거나 그 보다 크게 설정된 공간내로 진입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변기 림면(12a)이 쉽게 세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태양에 따라서, 변좌 유닛(20)이 개방 위치가되도록 회전하는 동안, 셔터(90)가 박스부(24)의 개구부(24z)를 덮으며, 따라서, 소변이 박스부(24)의 개구부(24z) 부근에 도달할 때, 셔터(90)가 박스부(24) 내측이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태양에 따라서, 변좌 유닛(20)이 개방 위치로 회전되는 동안, 박스부(24)의 하면(24r)에 부착되어 수적이 된 세정수가 변기(12)내로 적하한다. 따라서, 세정수가 변기(12)의 변기 림면(12a)상에 적하할 수 없으며, 결과적으로, 변기 림면(12a)을 세정하는 빈도수가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체 국부 세정용 위생 장치를 예시하는 평면도.
도2는 도1의 인체 국부 세정용 위생 장치를 예시하는 측면도.
도3은 도1의 인체 국부 세정용 위생 장치의 주 구성요소인 변좌 유닛(toilet seat unit)을 예시하는 평면도.
도4는 도3의 변좌 유닛을 예시하는 측면도.
도5는 도3의 변좌유닛을 예시하는 저면도.
도6은 변기 림면(rim surface)의 후방부에 배치된 도3의 변좌 유닛을 예시하는 측면도.
도7은 개방 위치가 되도록 변기 덮개가 회전된, 도3의 변좌 유닛을 예시하는 측면도.
도8은 개방 위치가 되도록 변기 덮개 및 변좌 양자 모두가 회전된, 도3의 변좌 유닛을 예시하는 측면도.
도9는 도6의 변좌 유닛을 예시하는 사시도.
도10은 도7의 변좌 유닛을 예시하는 사시도.
도11은 도8의 변좌 유닛을 예시하는 사시도.
도12는 I-I 선을 따른 도6의 변좌 유닛의 단면도.
도13은 박스부내에 수납된 세정 기구를 예시하는 평면도.
도14는 II-II 선을 따른 도12의 변좌 유닛의 단면도.
도15는 도14의 화살표 D를 따라 본, 변좌 유닛을 예시하는 평면도.
도16은 도7에 예시된 바와 같은 상태인, 변좌 유닛의 후방부를 예시하는 사시도.
도17은 도16에 예시된 바와 같은 상태인, 변좌 유닛과 변기 덮개 사이의 결합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18은 변기 덮개가 제거된, 변좌 유닛의 후방부를 예시하는 사시도.
도19는 변좌 유닛이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로, 변좌 유닛, 특히, 노즐 근방을 예시하는 단면도.
도20은 변좌 유닛이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로, 변좌 유닛, 특히, 노즐 근방을 예시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위생 장치
12 : 변기
12a : 변기 림면
20 : 변좌 유닛
22 : 좌면부
24 : 박스부
24a : 슬롯부
30 : 세정 기구
50 : 로우 탱크
60 : 변기 덮개
70 : 브래킷
72 : 기부판
74 : 지지 유닛
74a : 슬롯
76 : 스토퍼 부재
78 : 아암
79 : 스크류로드
80 : 힌지 핀
82 : 제1 댐퍼
86 : 제2 댐퍼
90 : 셔터

Claims (4)

  1. 종방향 전방부에 좌면부(22)를 가지고, 종방향 후방부에 박스부(24)를 가지며, 좌면부(22)와 박스부(24)가 함께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변좌 유닛(20)과, 박스부(24)내에 수납된 세정 기구(30)를 포함하는 인체 국부 세정용 위생 장치(10)에 있어서,
    박스부(24)는 브래킷(70)에 사전결정된 높이로 회전가능하게 부착되고, 순차적으로, 브래킷(70)은 변기 림면(12a)의 후방부에 고정되며,
    변좌 유닛(20)은 좌면부(22)가 변기 림면(12a)상에 위치되는 폐쇄 위치와, 박스부(24)의 후면과 변기 림면(12a) 사이에 공간(G)이 제공되고, 동시에 좌면부(22)가 변기 림면(12a)에 대하여 직각 또는 둔각이 되도록 배치되는 개방 위치 사이의 범위내에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국부 세정용 위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변좌 유닛이 개방 위치에 있는 동안, 박스부(24)의 후단면과 변기 림면(12a) 사이에 제공된 공간(G)은 수직 길이가 20mm 이상인 인체 국부 세정용 위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세정 기구(30)는 변좌 유닛(20)이 폐쇄 위치에 있는 동안 인체의 국부를 세정하도록 변기(12) 내측을 향해 박스부(24)의 개구(24z)를 통해 연장하는 노즐(31)(32)을 포함하고, 개구(24z)는 변좌 유닛(20)이 개방 위치에 있는 동안 셔터(90)에 의해 폐쇄되는 인체 국부 세정용 위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박스부(24)의 하면(24r)은 평활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변좌 유닛(20)이 개방 위치가 되도록 회전될 때, 하면(24r)은 변기(12)의 개구(100) 위에 배치되는 인체 국부 세정용 위생 장치.
KR1020050007807A 2004-01-29 2005-01-28 인체 국부 세정용 위생 장치 KR200500777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21931A JP2005213872A (ja) 2004-01-29 2004-01-29 温水洗浄便座装置
JPJP-P-2004-00021931 2004-01-29
JP2004021936A JP2005213877A (ja) 2004-01-29 2004-01-29 温水洗浄便座装置
JP2004021932A JP2005213873A (ja) 2004-01-29 2004-01-29 温水洗浄便座装置
JPJP-P-2004-00021936 2004-01-29
JPJP-P-2004-00021932 2004-01-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7773A true KR20050077773A (ko) 2005-08-03

Family

ID=34890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7807A KR20050077773A (ko) 2004-01-29 2005-01-28 인체 국부 세정용 위생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50077773A (ko)
CN (1) CN164836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68881A1 (ko) * 2013-11-05 2015-05-14 ㈜하이레벤 태양광 모듈용 세정 장치 및 분배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39411B2 (ja) * 2015-12-01 2021-03-10 Toto株式会社 便座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68881A1 (ko) * 2013-11-05 2015-05-14 ㈜하이레벤 태양광 모듈용 세정 장치 및 분배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48365A (zh) 2005-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29030B2 (en) Toilet
TW201713829A (zh) 便器裝置
US4092744A (en) Automatic hygienic washing machine
KR100196391B1 (ko) 좌변기용 국부세척장치
BR112019011725B1 (pt) Cuba de vaso sanitário para um vaso sanitário de agachamento e vaso sanitário
KR20210020948A (ko) 비데 샤워기를 갖는 변기
KR20050077774A (ko) 인체 국부 세정용 위생 장치
WO2014132531A1 (ja) 局部洗浄装置付き便器
KR20050077773A (ko) 인체 국부 세정용 위생 장치
JP2005213877A (ja) 温水洗浄便座装置
KR100697254B1 (ko) 좌변기 뚜껑에 장착된 세정장치
JP2005213876A (ja) 温水洗浄便座装置
US6964068B2 (en) Sanitary washing toilet seat device
EP1292737A1 (en) Foldaway water-closet with cleaning, hygienizing and drying means
JP2005213873A (ja) 温水洗浄便座装置
JP2005213875A (ja) 温水洗浄便座装置
RU80863U1 (ru) Унитаз с поворотной чашей
JP2005213872A (ja) 温水洗浄便座装置
JPS6011988Y2 (ja) 洗浄装置を備えた便器
JP2005213874A (ja) 温水洗浄便座装置
JP7340437B2 (ja) 局部洗浄装置及び水洗便器
WO2023190427A1 (ja) 衛生洗浄装置及び便器装置
JPH0657808A (ja) 和洋兼用便器
KR100833321B1 (ko) 변기시트
JP2023145083A (ja) 衛生洗浄装置及び便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