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6623A - Chair - Google Patents

Ch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6623A
KR20050076623A KR1020050003712A KR20050003712A KR20050076623A KR 20050076623 A KR20050076623 A KR 20050076623A KR 1020050003712 A KR1020050003712 A KR 1020050003712A KR 20050003712 A KR20050003712 A KR 20050003712A KR 20050076623 A KR20050076623 A KR 200500766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support
actuator
backrest
sea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37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기타우라히토시
모리겐타로
미키아키토시
아사이리카
Original Assignee
오므론 헬스캐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헬스캐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헬스캐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76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6623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0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47C1/032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by means of screw-and-nut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0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47C1/0321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by electric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Abstract

본 발명은 리클라이닝할 때에, 등받이부가 후방으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면서 점유 면적을 가급적으로 작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어깨 등의 몸의 접촉 위치가 변화하지 않는 리클라이닝 기구를 구비한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ir having a reclining mechanism in which the occupied area can be made as small as possible while preventing the backrest from protruding rearward when reclining, and the contact position of the body such as the shoulder does not change. do.

본 발명은 시트면부와 등받이부를 구비한 의자 본체와, 이 의자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한 의자에 있어서, 지지부와 의자 본체와의 사이에, 시트면부와 등받이부의 각도가 일정하게 고정된 상태로 등받이부를 뒤로 눕히는 동시에 지지부와 시트면부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리클라이닝 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air body having a seat surface portion and a back portion, and a chair having a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chair body, wherein the angle between the seat surface portion and the back portion is fixed between the support portion and the chair body. It is characterized by providing a reclining mechanism for moving the support back and the seat surface portion forward while laying the back portion back.

Description

의자{CHAIR}Chair {CHAIR}

본 발명은 마사지 의자 등에 알맞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클라이닝 기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suitable for a massage chair or the lik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clining mechanism.

종래의 리클라이닝 기구를 구비한 의자는 등받이부를 눕혔을 때, 등받이부가 세워져 있는 경우에 비해서 후방으로 크게 튀어나간다. 그 때문에, 벽 근처에 두는 경우에는 등받이부를 눕힌 상태를 상정하여 벽과의 사이에 간극을 마련해야 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When a chair having a conventional reclining mechanism is laid down, the chair is more protruded rearward than when the backrest is standing up. For this reason, when placed near the wall, there is a problem that a gap must be provided between the wall assuming a state where the back portion is laid down.

이러한 등받이부가 후방으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특허문헌 1에는, 리클라이닝시킬 때 등받이부의 하부와 시트면부를 지지 프레임을 따라서 전방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In order to prevent such a backrest from protruding backward, Patent Document 1 proposes to slide the lower part of the backrest portion and the seat surface portion forward along the support frame when reclining.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한 리클라이닝 기구는 시트면부의 각도가 일정하고 등받이부만이 눕혀지는 구성으로, 시트면부가 전방으로 많이 밀려서 의자 전체의 점유 면적이 크고, 충분한 면적이 있는 공간이 아니면 사용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등받이부를 일으킨 상태와 눕힌 상태에서는 등받이부에 대응하는 어깨 위치가 변화되기 때문에, 마사지 의자의 경우 마사지하는 어깨 위치를 조정하더라도 리클라이닝 각도를 바꾸면 틀어져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the reclining mechanism described in Patent Literature 1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seat surface portion has a constant angle and only the back portion is laid down, so that the seat surface portion is pushed forward so that the entire occupied area of the chair is large and the space is not sufficient. There was a problem that I could not. In addition, since the shoulder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ack portion is changed in the state where the back portion is raised and in the lying stat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ssage chair is distorted when the reclining angle is changed even when the shoulder position for massage is adjusted.

(특허문헌 1) 특허 공개 2001-178575호 공보(Patent Document 1) Published Patent Publication No. 2001-178575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리클라이닝할 때에 등받이부가 후방으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면서 점유 면적을 가급적으로 작게 할 수 있고, 더구나 어깨 등의 몸의 접촉 위치가 변화하지 않는 리클라이닝 기구를 구비한 의자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such a conventional problem,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occupied area as much as possible while preventing the backrest from protruding rearward when reclining, and furthermore, a reclining mechanism in which the contact position of the body such as the shoulder does not change. It is to provide the equipped chai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시트면부와 등받이부를 갖는 의자 본체와, 이 의자 본체를 하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한 의자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의자 본체의 사이에, 시트면부와 등받이부와의 각도가 고정된 상태로 등받이부가 후방으로 눕혀지는 동작과 동시에 상기 시트면부와 등받이부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리클라이닝 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air having a seat body having a seat surface portion and a backrest portion, and a support portion supporting the chair body from below, wherein the seat surface portion and the back portion are disposed between the support portion and the chair body. And a reclining mechanism for moving the seat surface portion and the backrest portion forward while the backrest portion is laid on the rear side with the angle of the back fixed.

또한, 본 발명은 리클라이닝 기구를, 지지부와 등받이부를 연결하는 링크 부재와, 의자 본체의 시트면부와 등받이부의 굴곡부 근방에 설치한 이동부와, 이 이동부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가이드부와, 의자 본체의 자세를 변화시키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이 이동부는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서 회전 가능하게 회전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nk member for connecting the reclining mechanism to the support portion and the backrest portion, a moving portion provided near the bent portion of the seat surface portion and the backrest portion of the chair main body, and a guide portion for assembling the movable portion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It is good also as a structure provided with the actuator which changes the attitude | position of a chair main body. The moving part may be configured to rotate rotatably along the guide part.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는 신축되는 구성으로, 그 일단이 의자 본체의 이동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지지부에 연결된 구성으로 해도 좋다. The actuator may be configured to be stretched and contracted so that one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moving part of the chair main body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는 신축되는 구성으로, 지지부와 시트면부 사이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The actuator may be configured to expand and contract, and may be configured to connect the support portion and the seat surface portion.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는 신축되는 구성으로, 지지부와 등받이부 사이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The actuator may be configured to be stretched and connected between the support portion and the backrest portion.

또한, 상기 이동부에는 롤링 접촉하는 차륜이 설치되고, 액츄에이터는 고무 타이어 등의 차륜을 회전 구동하는 회전식 액츄에이터로 해도 좋다.Moreover, the said moving part may be provided with the wheel which makes rolling contact, and an actuator may be a rotary actuator which rotationally drives wheels, such as a rubber tire.

또한, 본 발명은 지지부에 전후로 이격되어 전방부 지지 다리 및 후방부 지지 다리를 마련하고, 리클라이닝 기구를, 상기 전방부 지지 다리에 마련된 전방부 이동부와, 상기 시트면부를 따라서 마련되고 상기 전방부 이동부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전방부 가이드부와, 상기 후방부 지지 다리에 마련된 후방부 이동부와, 등받이부를 따라 마련되고 상기 후방부 이동부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후방부 가이드부와, 의자 본체와 지지부 사이를 연결하는 신축 가능한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액츄에이터의 신축에 의해서 의자 본체의 자세를 변화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전방부 이동부 및 후방부 이동부는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서 회전 가능하게 회전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front support leg and a rear support leg spaced forward and backward on the support portion, and a reclining mechanism is provided along the front portion moving portion provided on the front support leg and the seat surface portion, and the front portion is provided. A front guide part in which a moving part is assembled to be mov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 rear part moving part provided in the rear support leg, and a rear part guide provided along the backrest part and the rear part moving part is assembled to be mov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It is good also as a structure provided with the flexible actuator which connects a part and a chair main body and a support part, and it is good also as a structure which changes the attitude | position of a chair main body by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an actuator. The front portion moving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moving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rotate rotatably along the guide portion.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는 지지부의 전방부 지지 다리와 의자 본체의 시트면부 사이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를 지지부의 후방부 지지 다리와 의자 본체의 등받이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The actuator may be configured to connect between the front support leg of the support portion and the seat surface portion of the chair body. The actuator may be configured to connect between the rear support leg of the support portion and the backrest portion of the chair body.

또한, 본 발명은 지지부에 의자 본체의 좌우에 위치하는 지지벽을 마련하고, 리클라이닝 기구를, 지지벽과 의자 본체의 한쪽에 설치되는 전방부 이동부 및 후방부 이동부와, 다른쪽에 설치되고 상기 전방부 이동부와 후방부 이동부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여 의자 본체가 전방을 향함에 따라서 후방부 이동부보다도 전방부 이동부를 상대적으로 상측으로 안내하여 등받이부의 자세를 후방으로 눕히는 가이드와, 의자 본체와 지지부 사이를 연결하여 의자 본체의 자세를 변화시키는 신축 가능한 액츄에이터를 설치하더라도 좋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pporting wall position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hair main body, and a reclining mechanism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front moving part and the rear moving par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upporting wall and the chair main body. A guide for supporting the front moving part and the rear moving part so as to be mov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guiding the front moving part relative to the upper side rather than the rear moving part as the chair main body faces the front to lower the posture of the back part; A flexible actuator may be provided which connects between the chair main body and the support to change the posture of the chair main body.

또한, 상기 가이드는 지지벽에 설치된 가이드 홈으로 하고, 전방부 이동부 및 후방부 이동부는 가이드 홈에 활주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가이드 볼록부로 해도 좋다. 또한, 이 전방부 이동부 및 후방부 이동부는 상기 가이드를 따라서 회전 가능하게 회전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The guide may be a guide groove provided in the support wall, and the front portion moving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moving portion may be guide convex portions that are slidably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The front portion moving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moving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rotate rotatably along the guide.

또한, 상기 후방부 이동부를 안내하는 가이드는 전방을 향하여 낮아지는 경사를 갖고, 전방부 이동부를 안내하는 가이드는 전방을 향하여 높아지는 경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guide for guiding the rear moving portion has a slope that is lowered toward the front, the guide for guiding the front portion moving portion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slope that increases toward the front.

또한, 상기 리클라이닝 기구는 의자 본체의 시트면부와 지지부를 연결하는 4절 링크 기구와, 해당 4절 링크 기구의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되는 신축 액츄에이터를 구비하더라도 좋다.Further, the reclining mechanism may include a four-section link mechanism that connects the seat surface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of the chair main body, and an elastic actuator provided in a diagonal direction of the four-section link mechanism.

또한, 상기 리클라이닝 기구에 있어서 시트면부와 등받이부의 경계 부근에 배치되는 피니언과, 지지부에 배치되어 상기 랙과 맞물리는 랙을 설치하더라도 좋다.In the reclining mechanism, a pinion disposed near the boundary between the seat surface portion and the backrest portion and a rack disposed on the support portion and engaged with the rack may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은 등받이부에 마사지 기구를 구비한 마사지 의자로서 이용되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발판부에 다리용 마사지 기구를 구비한 마사지 의자로서 이용되도록 하더라도 좋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as a massage chair provided with a massage mechanism in the back portion.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as a massage chair having a foot massage mechanism in the footrest.

이하에 본 발명을 도시의 실시예를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based on the illustrated embodiments.

실시예 1Example 1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의자의 골격 프레임을 나타내고 있다.1 and 2 show the frame of the chai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은 의자 전체를 나타내는 것으로, 개략적으로 시트면부(2)와 등받이부(3)를 구비한 의자 본체(4)와, 의자 본체(4)를 지지하는 받침형의 지지부(5)를 구비하고, 지지부(5)와 의자 본체(4)의 사이에 시트면부(2)와 등받이부(3)의 각도가 일정하게 고정된 상태로 등받이부(3)를 후방으로 눕히는 동작과 함께 시트면부(2)와 등받이부(3)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리클라이닝 기구(6)가 설치되어 있다. 1 shows the whole chair, and is provided with the chair main body 4 which has the seat surface part 2 and the backrest part 3 roughly, and the support-type support part 5 which supports the chair main body 4, The seat surface portion 2 together with the operation of laying the back portion 3 rearward in a state where the angle of the seat surface portion 2 and the backrest portion 3 is fixed between the support portion 5 and the chair body 4. The reclining mechanism 6 which moves the backrest part 3 forward is provided.

의자 본체(4)의 시트면부(2)의 전방에는 발판부(7)도 설치되고, 등받이부(3), 시트면부(2) 및 발판부(7)가 하나의 프레임 구조에 의해서 일체 성형되어 있다. 즉, 좌우 한 쌍의 세로 프레임(41, 41)과 전후 한 쌍의 가로 프레임(42, 42)을 갖고, 세로 프레임(41)을 등받이부(3)와 시트면부(2)의 경계선에서 소정 각도 계곡 형상으로 굴곡시키고, 시트면부(2)와 발판부(7)의 경계선에서 소정 각도 산 형상으로 굴곡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A footrest portion 7 is also provided in front of the seat surface portion 2 of the chair main body 4, and the backrest portion 3, the seat surface portion 2 and the footrest portion 7 are integrally molded by one frame structure. have. That is, it has a pair of left and right vertical frames 41 and 41 and a pair of front and rear horizontal frames 42 and 42, and the vertical frame 41 has a predetermined angle at the boundary between the backrest part 3 and the seat surface part 2. The structure is bent in a valley shape and bent in a predetermined angle mountain shape at the boundary between the seat surface portion 2 and the footrest portion 7.

지지부(5)도 직사각형의 프레임 구조로, 거의 등받이부(3)가 일어선 상태의 의자 본체(4)를 상측으로부터 수직으로 투영한 투영 영역의 범위로 설정되고 있다. 리클라이닝 기구(6)는 지지부(5)와 등받이부(3)를 연결하는 링크 부재(61, 61)와, 세로 프레임(41)이 구성하는 의자 본체(4)의 시트면부(2)와 등받이부(3)의 굴곡부의 측부 근방에 마련한 이동부로서의 한 쌍의 롤러(62)와, 롤러(62)가 회전 가능하고 또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가이드부로서의 한 쌍의 コ자형의 롤러 가이드(63)와, 의자 본체(4)의 자세를 변화시키는 액츄에이터(64)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The support part 5 also has a rectangular frame structure, and is set in the range of the projection area | region which projected the chair main body 4 of the state in which the backrest part 3 stood up from the upper side perpendicularly. The reclining mechanism 6 includes link members 61 and 61 which connect the support part 5 and the backrest part 3, and the seat surface part 2 and the backrest part of the chair body 4 constituted by the vertical frame 41. (3) A pair of rollers 62 as a moving part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side part of the curved part, and a pair of U-shaped roller guides as a guide part by which the roller 62 is rotatable and movable in the front-back direction. It is set as the structure provided with 63 and the actuator 64 which changes the attitude | position of the chair main body 4. As shown in FIG.

링크 부재(61, 61)는 좌우 한 쌍으로 설치되고, 각각의 일단이 등받이부(3)의 좌우의 프레임부(41a)의 중앙에, 타단이 지지부(5)의 후단 좌우 우각(隅角)부에 피봇 연결되어 있다. 이 예에서, 롤러(62)는 등받이부(3)의 좌우 프레임부(41a)의 하단부에 고정된 부착판(62a)의 외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좌우의 롤러(62, 62) 사이는 연결축(62b)에 연결되어 있다. 좌우의 롤러(62, 62)와 연결축(62b)이 이동부를 구성한다. The link members 61 and 61 are provided in a pair of right and left, and each end is in the center of the frame part 41a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backrest part 3, and the other end is the rear right and left right angles of the support part 5, respectively. It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wealth. In this example, the roller 62 is rotatably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attachment plate 62a fixed to the lower end portions of the left and right frame portions 41a of the backrest portion 3. The left and right rollers 62 and 62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shaft 62b. The left and right rollers 62 and 62 and the connecting shaft 62b constitute a moving part.

또한, 롤러 가이드(63)는 롤러(62)가 끼워 넣어지는 コ자형의 홈이 내측을 향해서 지지부(5)의 좌우 프레임(51, 51)상에 소정 길이만큼 서로 평행하게 고정되어 있다. 액츄에이터(64)는 전후 방향으로 직선으로 신축하는 구성으로, 후단이 롤러(62) 사이의 연결축(62b)에 피봇 연결되고, 전단이 지지부(5)의 전방 프레임(52)에 피봇 연결되어 있다.In addition, the roller guide 63 is fix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length on the left and right frames 51 and 51 of the support part 5 with a U-shaped groove into which the roller 62 is fitted. The actuator 64 is configured to expand and contract in a straight line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rear end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ng shaft 62b between the rollers 62, and the front end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front frame 52 of the support 5. .

액츄에이터(64)는 신축 구동하는 구조이면 좋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이 예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이송 나사축과 너트를 조합시킨 이송 나사 기구와 모터(64a)에 의해서 신축 구동하는 구성으로 하고, 통체(64b)와 이 통체(64b) 내에 삽입되는 로드(64c)의 사이에 도시되지 않은 이송 나사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The actuator 64 may be a structure that is stretched and driven,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actuator 64 is stretched and driven by a feed screw mechanism and a motor 64a in which a feed screw shaft and a nut are not shown in this example. ) And a conveying screw mechanism not shown between the rod 64c inserted into the cylinder 64b.

다음에, 본 실시예 1의 의자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등받이부(3)를 눕히는 경우에는 액츄에이터(64)를 수축시킨다. 그렇게 하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롤러(62)가 롤러 가이드(63)를 따라서 전방으로 회전 이행하여, 등받이부(3) 하단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링크 부재(61)에 의해서 등받이부(3)가 인장되어 소정 각도로 눕혀진다. 이와 같이 등받이부(3)가 눕혀지면서 하단이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등받이부(3)가 후방으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chair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hen the backrest part 3 is laid down, the actuator 64 is retracted. Then, as shown in FIG. 2, the roller 62 rotates forward along the roller guide 63, the lower part of the backrest part 3 moves forward, and the backrest part is carried out by the link member 61. FIG. (3) is tensioned and laid down at a predetermined angle. As the lower back portion 3 is laid down as described above, the lower end moves forward to prevent the back portion 3 from protruding backward.

한편, 의자 본체(4)의 시트면부(2)와 발판부(7) 및 시트면부(2)와 등받이부(3)의 각도는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등받이부(3)가 눕혀진 양만큼 발판부(7)와 시트면부(2)가 상측으로 일어나게 되어, 등받이부(3)만을 눕히는 경우보다도(도면 중 2점 쇄선 참조), b 치수만큼 전방으로의 돌출 치수가 줄어들어 점유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angles of the seat surface portion 2, the footrest portion 7 and the seat surface portion 2 and the backrest portion 3 of the chair main body 4 are fixed, the footrest portion is as much as the amount of the backrest portion 3 lying down. (7) and the seat surface portion 2 rise upwards, and the projected dimension forward can be reduced by the b dimension, so that the occupied area can be made smaller than the case where only the back portion 3 is laid down (see the dashed-dotted line in the figure). .

또한, 등받이부(3)를 눕히더라도 의자 본체(4)의 형상은 변하지 않기 때문에 등받이부(3)에 대한 몸의 접촉 위치는 변화되지 않고, 등받이부(3)에 마사지 기구를 설치하고 있는 마사지 의자의 경우, 마사지 기구의 조절 위치가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등받이부(3)의 각도를 바꾼 시점에서 마사지 위치를 재차 조정할 필요가 없다. 또한, 시트면부(2)와 발판부(7)의 각도도 변하지 않기 때문에 등받이부(3)가 눕는 동시에 발판부에 지지되고 있는 발의 높이가 올라가기 때문에 발의 붓기 해소에 도움이 된다.Moreover, since the shape of the chair main body 4 does not change even if the back part 3 is laid down, the contact position of the body with respect to the back part 3 does not change, and the massage which installs a massage mechanism in the back part 3 is provided. In the case of the chair, since the adjustment position of the massage mechanism does not change, it is not necessary to adjust the massage position again when the angle of the back part 3 is changed. In addition, since the angle of the seat surface part 2 and the footrest part 7 does not change, the back part 3 lie down and the height of the foot supported by the footrest part rises, and it helps to relieve swelling of a foot | foot.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주로 상기 실시예와 다른 점에 관해서 설명하는 것으로 하고, 동일한 구성 부분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Next, another Example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differences from the above embodiments will be mainly described, and the same components will b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실시예 2Example 2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의자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예 2에서는 지지부(205)에 전후로 이격되어 전방부 지지 다리(251) 및 후방부 지지 다리(252)가 마련되어 있다. 전방부 지지 다리(251) 및 후방부 지지 다리(252)는 U자형상의 부재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 프레임(253)에 의해서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전방부 지지 다리(251)의 상부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 프레임(254)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3 shows a chair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2, the front support leg 251 and the rear support leg 252 are provided spaced back and forth to the support part 205. FIG. The front support leg 251 and the rear support leg 252 are U-shaped members, and are integrally connected by a vertical frame 253 extending in the front-back direction. 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support leg 251 is connected by the front frame 254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리클라이닝 기구(206)는 전방부 지지 다리(251)에 마련된 전방부 이동부로서의 전방부 롤러(262)와, 시트면부(2)를 따라서 설치되고 전방부 롤러(262)가 회전 가능하고 또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가이드부로서의 전방부 롤러 가이드(263)와, 후방부 지지 다리(252)에 마련된 후방부 이동부로서의 후방부 롤러(265)와, 등받이부(3)를 따라서 설치되고 후방부 롤러(265)가 회전 가능하고 또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후방부 가이드부로서의 후방부 롤러 가이드(266)와, 의자 본체(4)의 등받이부(3) 및 시트면부(2)의 경계선에 위치하는 중앙 프레임(255)과 지지부(205)의 전방 프레임(254) 사이를 연결하는 신축 가능한 액츄에이터(64)를 구비한 구성으로, 액츄에이터(64)의 신축에 의해서 의자 본체(4)의 자세를 변화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The reclining mechanism 206 is provided along the front roller 262 as a front moving portion provided on the front support leg 251, along the seat surface portion 2, and the front roller 262 is rotatable and is also forward and backward in direction. A front roller guide 263 as a guide part assembled so as to be movable in a direction, a rear roller 265 as a rear part moving part provided on the rear support leg 252, and a backrest part 3, Of the rear roller guide 266 as the rear guide portion on which the secondary roller 265 is rotatably and mov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backrest portion 3 and the seat surface portion 2 of the chair main body 4; With the flexible actuator 64 connecting between the center frame 255 positioned at the boundary and the front frame 254 of the support portion 205, the expansion of the actuator body 64 of the chair body 4 It is a structure which changes a posture.

액츄에이터(64)는 시트면부(2)의 하면측에 배치되어 있지만, 등받이부(3)측에 배치하여, 지지부(205)의 후방부 지지 다리(252)와 의자 본체(4)의 등받이부(3)의 사이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액츄에이터(64)는 세로 프레임(253)과 의자 본체(4)의 등받이부(3)의 사이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Although the actuator 64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side of the seat surface portion 2, the actuator 64 is disposed on the back support portion 3 side, and the rear support leg 252 of the support portion 205 and the back support portion of the chair body 4 are provided. It is good also as a structure which connects 3). In addition, the actuator 64 may be configured to connect the vertical frame 253 and the back portion 3 of the chair main body 4.

본 실시예 2의 경우도 등받이부(3)를 눕히는 경우에는 도 3의 (B) 및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64)를 수축시킨다. 그렇게 하면, 전방부 롤러(262) 및 후방부 롤러(265)가 전방부 롤러 가이드(263) 및 후방부 롤러 가이드(266)를 따라서 후방으로 회전 이행하고, 상대적으로 등받이부(3) 하단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시트면부(2) 전단이 상측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등받이부(3)가 소정 각도 눕혀지게 된다. 이와 같이 등받이부(3)가 눕혀지면서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등받이부(3)가 후방으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as well, when the backrest part 3 is laid down, the actuator 64 is contracted as shown in Figs. 3B and 3C. Then, the front roller 262 and the rear roller 265 are rotated backward along the front roller guide 263 and the rear roller guide 266, and the lower end of the back 3 is relatively forward. At the same time, since the front end of the seat surface portion 2 rises upward, the backrest portion 3 is laid down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is way, the backrest 3 can be prevented from protruding backward by moving forward while lying down.

한편, 시트면부(2) 및 발판부(7)는 비스듬히 상측으로 각도를 바꾸면서 이동하기 때문에, 수평으로 이동하는 경우보다도 전방으로의 돌출 치수가 줄어들어, 점유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의자 본체(4)의 형상은 변하지 않기 때문에 등받이부(3)에 대한 몸의 접촉 위치는 변화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 2의 구성에 의하면, 실시예 1과 같이 등받이부(3)를 지지하는 링크 부재가 없기 때문에 가동부가 나타나지 않는 의자에 가까운 외형을 갖게 할 수 있다. 또, 이 실시예 2에서는 실시예 1과 달리, 의자 본체(4)를 구성하는 시트면부(2), 등받이부(3) 및 발판부(7)의 구성이 프레임의 일체 구성이 아니라, 시트면부(2) 및 발판부(7)를 구성하는 프레임과, 등받이부(3)를 구성하는 프레임을 일체로 결합한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각 부분의 각도는 고정되어 있는 점은 동일하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sheet surface portion 2 and the footrest portion 7 are shifted at an angle upwards at an angle, the protruding dimension in the forward direction is reduced, and the occupied area can be made smaller than when moving horizontally. In addition, since the shape of the chair main body 4 does not change, the contact position of the body with respect to the backrest part 3 does not chang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is Embodiment 2, since there is no link member which supports the backrest part 3 like Example 1, it can make it look like the chair which a movable part does not appear. In addition, in the second embodiment, unlike the first embodiment, the structure of the seat surface portion 2, the backrest portion 3, and the footrest portion 7 constituting the chair main body 4 is not an integral structure of the frame, but a seat surface portion. Although the frame which comprises (2) and the footrest part 7 and the frame which comprises the backrest part 3 are comprised integrally, the point of fixing each part is the same.

실시예 3Example 3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의자를 나타내고 있다. 4 shows a chair according to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실시예 3은 실시예 2와 달리, 받침형의 지지부(305)에 의자 본체(4)의 좌우에 위치하는 한 쌍의 지지벽(351)을 마련하고, 이 지지벽(351)에 대해서 의자 본체(3)를 전후 2개소에서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도시예에서는 시트면부(2)에 지지벽(351)과 대향하도록 한 쌍의 고정벽(21)이 돌출 설치되어 있고, 고정벽(21)을 지지벽(351)에 대해서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Unlike the second embodiment, the third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pair of support walls 351 position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hair main body 4 in the support-type support portion 305, and the chair is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wall 351. The main body 3 is supported at two places before and after. In the example of illustration, a pair of fixed wall 21 protrudes from the sheet surface part 2 so that the support wall 351 may be provided, and the fixed wall 21 is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wall 351. As shown in FIG.

리클라이닝 기구(306)는 의자 본체(4)의 시트면부(2)에 마련된 고정벽(21)에 설치되는 전방부 슬라이드 볼록부(362) 및 후방부 슬라이드 볼록부(365)와, 지지벽(351)에 설치되고 전방부 슬라이드 볼록부(362)와 후방부 슬라이드 볼록부(365)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의자 본체(4)가 전방을 향함에 따라서 후방부 슬라이드 볼록부(365)보다도 전방부 슬라이드 볼록부(362)를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하도록 안내하여 등받이부(3)의 자세를 후방으로 눕히는 가이드로서의 전방부 가이드 홈(363) 및 후방부 가이드 홈(366)과, 의자 본체(4)와 지지부(305) 사이를 연결하여 의자 본체(4)의 자세를 변화시키는 신축 가능한 액츄에이터(64)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clining mechanism 306 includes a front slide convex portion 362 and a rear slide convex portion 365 provided on the fixed wall 21 provided on the seat surface portion 2 of the chair main body 4, and a support wall 351. And the front slide convex portion 362 and the rear slide convex portion 365 to be mov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rear slide convex portion 365 as the chair body 4 faces the front. Furthermore, the front guide groove 363 and the rear guide groove 366 as guides for guiding the front slide convex portion 362 to be positioned relatively upward and lying down the posture of the back portion 3, and the chair body (4) and the support portion 305 is connected, characterized in that the flexible actuator 64 for changing the posture of the chair main body 4 is provided.

전방부 슬라이드 볼록부(362) 및 후방부 슬라이드 볼록부(365)는 전방부 가이드 홈(363)과 후방부 가이드 홈(366)에 활주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후방부 슬라이드 볼록부(365)를 안내하는 후방부 가이드 홈(366)은 전방을 향하여 낮아지는 경사를 갖고, 전방부 슬라이드 볼록부(362)를 안내하는 전방부 가이드 홈(363)은 전방을 향하여 높아지는 경사를 갖는다. The front slide convex portion 362 and the rear slide convex portion 365 are slidably fitted in the front guide groove 363 and the rear guide groove 366. The rear guide groove 366 for guiding the rear slide convex portion 365 has an inclination lowering toward the front, and the front guide groove 363 for guiding the front slide convex portion 362 is directed toward the front. Have a higher slope.

액츄에이터(64)는 일단이 지지부(305)의 지지벽(351)의 후방부 하단에 위치하는 지지부상의 브래킷(352)에 피봇 연결되고, 타단이 의자 본체(4)의 고정벽(21)의 전단 하부에 위치하는 전방부 슬라이드 볼록부(362) 사이에 걸쳐 있는 축(22)의 중앙에 피봇 연결되어 있다. 액츄에이터(64)는 전방부 가이드 홈(363)과 대강 동일 경사선상에 위치하고 있다. One end of the actuator 64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bracket 352 on the support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rear of the support wall 351 of the support 305, and the other end of the fixed wall 21 of the chair body 4 is fixed. It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shaft 22 spanning between the front slide convex portion 362 located below the front end. The actuator 64 is located approximately on the same inclined line as the front guide groove 363.

본 실시예 3의 경우도 도 4의 (B) 및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받이부(3)를 눕힐 때는 액츄에이터(64)를 신장시킨다. 그렇게 하면, 전방부 슬라이드 볼록부(362) 및 후방부 슬라이드 볼록부(365)가 전방부 가이드 홈(363) 및 후방부 가이드 홈(366)을 따라서 전방으로 활주 이동 이행하고, 등받이부(3) 하단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시트면부(2) 전단이 상측으로 일어나게 되어, 등받이부(3)가 소정 각도로 눕게 된다. 이와 같이 등받이부(3)가 눕혀지면서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등받이부(3)가 후방으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third embodiment, as shown in Figs. 4B and 4C, the actuator 64 is extended when the backrest part 3 is laid down. Then, the front slide convex 362 and the rear slide convex 365 slide forward along the front guide groove 363 and the rear guide groove 366, and the backrest 3 While the lower end moves forward, the front end of the seat surface portion 2 rises upward, and the backrest portion 3 lies down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is way, the backrest 3 can be prevented from protruding backward by moving forward while lying down.

한편, 시트면부(2) 및 발판부(7)는 비스듬히 상측으로 각도를 바꾸면서 이동하기 때문에 수평으로 이동하는 경우보다도 전방으로의 돌출 치수가 줄어들어, 점유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의자 본체(4)의 형상은 변하지 않기 때문에 등받이부(3)에 대한 몸의 접촉 위치는 변화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sheet surface portion 2 and the footrest portion 7 are shifted at an angle upwardly, the protruding dimension in the forward direction is reduced, and the occupied area can be made smaller than when moving horizontally. In addition, since the shape of the chair main body 4 does not change, the contact position of the body with respect to the backrest part 3 does not change.

본 실시예 3의 구성에 의하면 지지벽(351) 및 고정벽(21)에 의해서 액츄에이터(64) 등이 보이지 않게 되기 때문에, 가동부를 보호하기 쉽다. 다만, 고정벽(21) 대신에 의자 본체(4)를 하측으로부터 지지하고, 전방부 슬라이드 볼록부(362) 및 후방부 슬라이드 볼록부(365)를 측방으로 지지하는 프레임재를 이용하더라도 좋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is Embodiment 3, since the actuator 64 etc. are not seen by the support wall 351 and the fixed wall 21, it is easy to protect a movable part. However, instead of the fixed wall 21, the frame member which supports the chair main body 4 from the lower side and supports the front slide convex part 362 and the rear slide convex part 365 to a side may be used.

실시예 4Example 4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의자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예 4는 리클라이닝 기구(406)가 프레임형의 지지부(405)와 등받이부(3)를 연결하는 링크 부재(61)와, 의자 본체(4)의 시트면부(2)와 등받이부(3)의 경계 부근에 설치한 이동부로서의 차륜(462)과, 의자 본체(4)의 자세를 변화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로서의 모터(464)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이동부로서 롤링 접촉하는 차륜(462)이 이용되고, 액츄에이터로서 차륜(462)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464)를 이용한 것이다. 5 shows a chair according to Embodiment 4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urth embodiment, the reclining mechanism 406 connects the frame-shaped support portion 405 and the back portion 3, and the seat surface portion 2 and the back portion 3 of the chair body 4. The wheel 462 as a moving part provided in the vicinity of ()) and the motor 464 as an actuator for changing the posture of the chair main body 4 are comprised. In other words, the wheel 462 in rolling contact is used as the moving part, and the motor 464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wheel 462 is used as the actuator.

지지부(405)는 실시예 1과 같이 직사각형의 프레임이지만, 좌우의 프레임(451)의 폭이 넓어, 이 좌우의 프레임(451) 상면에 차륜(462)이 회전 가능하게 접촉하고 있다. 차륜(462)으로는 고무 타이어가 이용되어, 의자 본체(4)의 시트면부(2)와 등받이부(3)의 경계 부근의 프레임에 고정된 부착판(462a)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프레임(451)과의 마찰력에 의해서 프레임(451) 위를 이동한다. Although the support part 405 is a rectangular frame like Example 1, the width | variety of the left and right frame 451 is wide, and the wheel 462 is rotatably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of this left and right frame 451. A rubber tire is used as the wheel 462, and is rotatably attached to the attachment plate 462a fixed to the frame near the boundary between the seat surface portion 2 and the backrest portion 3 of the chair main body 4, and the frame It moves on the frame 451 by friction with 451.

모터(464)는 지지부(405)의 측방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모터축을 프레임(451)을 따라서 배치하고 있다. 모터(464)의 구동축이 차륜(462)의 차축에 대해서 직교하게 되기 때문에, 도시되지 않은 웜과 웜 호일로 구성되는 동력 전달 기구에 의해서 동력이 전달되는 방향을 바꾸고 있다. The motor 464 arranges the motor shaft along the frame 451 so as not to protrude to the side of the support part 405. Since the drive shaft of the motor 464 is orthogonal to the axle of the wheel 462, the direction in which power is transmitted is changed by a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composed of a worm and a worm foil (not shown).

또한, 등받이부(3)의 각도를 소정 범위로 제한하기 위해서 등받이부(3)가 눕는 각도의 최소 위치(일어선 위치)와 최대 위치(가장 많이 눕혀진 위치)를 검출하는 리미트 스위치(467, 468)가 설치되어 있다. 도시예에서, 리미트 스위치(467, 468)는 등받이부(3)의 프레임(41a) 상에 링크 부재(61)의 연결부를 끼워 배치되어, 링크 부재(61)의 기울기에 의해서 온/오프하도록 되어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limit the angle of the backrest part 3 to a predetermined range, the limit switch 467 which detects the minimum position (rise position) and the maximum position (the most laid position) of the angle which the backrest part 3 lays down. 468). In the example shown, the limit switches 467 and 468 are arranged to fit on the frame 41a of the backrest 3 so as to be turned on / off by the inclination of the link member 61. have.

본 실시예 4의 경우는 등받이부(3)를 눕힐 때는 도 5의 (B) 및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터(464)에 의해서 차륜(462)을 회전 구동하여, 차륜(462)을 지지부(405)의 좌우 프레임(451)을 따라서 전방으로 회전 이행시킨다. 이에 따라, 등받이부(3) 하단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시트면부(2) 전단이 상측으로 일어선다. 소정 각도 눕혀지면, 링크 부재(61)가 한쪽의 리미트 스위치(467)를 눌러 정지시킨다. 일어서는 경우에는 모터(464)를 역회전시켜 등받이부(3) 하단의 차륜(462)을 후퇴시킨다. 소정 각도 일어서면, 링크 부재(61)가 다른쪽의 리미트 스위치(468)를 눌러 정지시킨다. In the case of the fourth embodiment, when the backrest part 3 is laid down, as shown in FIGS. 5B and 5C, the wheel 462 is rotationally driven by the motor 464 to support the wheel 462. It rotates forward along the left and right frame 451 of 405. As a result, the lower end of the backrest portion 3 moves forward, and the front end of the seat surface portion 2 rises upward. When the predetermined angle is laid down, the link member 61 presses one limit switch 467 to stop. In the case of standing up, the motor 464 is rotated in reverse to retract the wheel 462 at the bottom of the backrest 3. When a predetermined angle rises, the link member 61 presses the other limit switch 468 to stop.

이와 같이 등받이부(3)가 눕혀지면서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등받이부(3)가 후방으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시트면부(2) 및 발판부(7)는 비스듬히 상측으로 각도를 바꾸면서 이동하기 때문에 수평으로 이동하는 경우보다도 전방으로의 돌출 치수가 줄어들어, 점유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의자 본체(4)의 형상은 변하지 않기 때문에 등받이부(3)에 대한 몸의 접촉 위치는 변화하지 않는다.In this way, the backrest 3 can be prevented from protruding backward by moving forward while lying down. On the other hand, since the sheet surface portion 2 and the footrest portion 7 are shifted at an angle upwardly, the protruding dimension in the forward direction is reduced, and the occupied area can be made smaller than when moving horizontally. In addition, since the shape of the chair main body 4 does not change, the contact position of the body with respect to the backrest part 3 does not change.

실시예 4의 변형예Modification of Example 4

도 6은 실시예 4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변형예는 실시예 4의 리클라이닝 기구(406)에 있어서 시트면부(2)와 등받이부(3)의 경계 부근에 배치되는 피니언(469a)과, 지지부(405)에 배치되어 상기 피니언(469a)과 맞물리는 랙(469b)을 추가로 설치한 것이다. 6 shows a modification of the fourth embodiment. This modification is based on the pinion 469a disposed near the boundary between the seat surface portion 2 and the backrest portion 3 in the reclining mechanism 406 of the fourth embodiment, and the pinion 469a disposed on the support portion 405. And an additional rack 469b is installed.

피니언(469a)은 차륜(462)과 동축으로 배치되어, 모터(464)에 의해서 차륜(462)과 일체로 회전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이 피니언(469a)과 차륜(462)은 차륜(462)만을 구동하더라도 좋고, 피니언(469a)만을 구동하더라도 좋다. 또한, 차륜(462)을 설치하지 않고, 피니언(469a)에 의해 의자 본체(4)를 지지하도록 하더라도 좋다.The pinion 469a is disposed coaxially with the wheel 462 and is driven to rotate integrally with the wheel 462 by the motor 464. The pinion 469a and the wheel 462 may drive only the wheel 462 or may drive only the pinion 469a. In addition, the chair main body 4 may be supported by the pinion 469a without providing the wheel 462.

실시예 5Example 5

도 7은 실시예 5에 따른 의자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예 5는 실시예 4의 지지부와 액츄에이터의 구성이 다르지만,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4와 마찬가지이다. 즉, 지지부(505)는 프레임 구성이 아니라, 좌우의 가이드벽(551)과, 좌우 가이드벽(551) 하단을 연결하는 저벽(552)을 구비한 블록체로, 가이드벽(551) 상면이 높게 되어 있다. 리클라이닝 기구(506)는 지지부(505)와 등받이부(3)를 연결하는 링크 부재(61)와, 의자 본체(4)의 시트면부(2)와 등받이부(3)의 경계 부근에 설치한 이동부로서의 차륜(462)을 구비하여, 등받이부(3) 하단의 차륜(462)이 좌우의 가이드벽(551) 상면을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7 shows a chair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In the fifth embodiment, the structure of the support portion and the actuator of the fourth embodiment is different, but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fourth embodiment. That is, the support part 505 is not a frame structure but a block body including the left and right guide walls 551 and the bottom wall 552 connecting the lower left and right guide walls 551 to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wall 551. have. The reclining mechanism 506 is a link member 61 connecting the support portion 505 and the backrest portion 3 and a movement provided near the boundary between the seat surface portion 2 and the backrest portion 3 of the chair main body 4. The wheel 462 as a part is provided, and the wheel 462 at the lower end of the backrest part 3 rotates the upper and left guide walls 551.

그리고, 액츄에이터(64)는 회전식이 아니라, 실시예 1과 같이 신축하는 구성으로서, 액츄에이터(64)가 지지부(505)와 등받이부(3)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도시예에서, 액츄에이터(64)의 상단은 등받이부(3)의 높이 방향 중간 위치에 설치된 중간 프레임(44)에 연결되어 있다. 중간 프레임(44)은 등받이부(3)의 좌우 프레임(41, 41) 사이에 걸쳐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64)의 하단은 지지부(505)의 저벽(55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The actuator 64 is not rotatable but expands and contracts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actuator 64 is interposed between the support part 505 and the backrest part 3. In the example of illustration, the upper end of the actuator 64 is connected to the intermediate frame 44 provided in the height direction intermediate position of the backrest part 3. The intermediate frame 44 spans between the left and right frames 41 and 41 of the backrest 3. The lower end of the actuator 64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bottom wall 552 of the support part 505.

본 실시예 5에 따른 의자에 의하면 등받이부를 눕히는 경우에는 도 7의 (B) 및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64)를 수축시킨다. 액츄에이터(64)가 수축하면 차륜(462)이 좌우의 가이드벽(551)을 따라서 전방으로 회전 이행하여, 등받이부(3) 하단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링크 부재(61)에 의해서 등받이부(3)가 인장되어 소정 각도로 눕혀진다. 이와 같이 등받이부(3)가 눕혀지면서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등받이부(3)가 후방으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의자 본체(4)의 시트면부(2)와 발판부(7) 및 시트면부(3)와 등받이부(3)의 각도는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등받이부(3)가 눕혀진 양만큼 시트면부(2)와 발판부(7)가 상측으로 일어선다. 또한, 등받이부(3)를 눕히더라도 의자 본체(4)의 형상은 변하지 않기 때문에 등받이부(3)에 대한 몸의 접촉 위치는 변화하지 않는다. According to the chair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when the backrest portion is laid down, the actuator 64 is contracted as shown in FIGS. 7B and 7C. When the actuator 64 contracts, the wheel 462 rotates forward along the left and right guide walls 551, and the lower end of the backrest portion 3 moves forward, and the backrest portion 61 is connected by the link member 61. 3) is tensioned and laid down at an angle. In this way, the backrest 3 can be prevented from protruding backward by moving forward while lying down. On the other hand, since the angle of the seat surface part 2, the footrest part 7, and the seat surface part 3, and the backrest part 3 of the chair main body 4 is fixed, the seat | seat part 3 backs up by the amount which the back part 3 lay down. The surface portion 2 and the footrest portion 7 rise upwards. In addition, since the shape of the chair main body 4 does not change even if the back part 3 is laid down, the contact position of the body with respect to the back part 3 does not change.

실시예 5의 변형예Modification of Example 5

도 8은 실시예 5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변형예는 액츄에이터(64)를 지지부(505)와 시트면부(2) 사이에 개재한 것이다. 도시예에서는, 액츄에이터(64)의 상단은 시트면부(2)의 전단부에 설치된 중간 프레임(45)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64)의 하단은 지지부(505)의 저벽(55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8 shows a modification of the fifth embodiment. In this modified example, the actuator 64 is interposed between the support portion 505 and the seat surface portion 2. In the example of illustration, the upper end of the actuator 64 is connected to the intermediate frame 45 provided in the front end of the seat surface part 2. As shown in FIG. The lower end of the actuator 64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bottom wall 552 of the support part 505.

등받이부(3)를 눕히는 경우에는 도 8의 (B) 및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64)를 신장시킨다. 액츄에이터(64)가 신장하면 시트면부(2) 전단이 일어나고, 등받이부(3) 하단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링크 부재(61)에 의해서 등받이부(3)가 인장되어 소정 각도로 눕혀지게 된다.When the backrest part 3 is laid down, the actuator 64 is extended as shown to FIG. 8 (B) and (C). When the actuator 64 extends, the front end of the seat surface portion 2 occurs, the lower end of the back portion 3 moves forward, and the back portion 3 is tensioned by the link member 61 and laid down at a predetermined angle. .

실시예 6Example 6

도 9는 실시예 6에 따른 의자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예 6은, 의자 본체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지만, 리클라이닝 기구의 구성이 기본적으로 다르다. 즉, 리클라이닝 기구(606)가 의자 본체(4)의 시트면부(2)와 지지부(605)를 연결하는 4절 링크 기구(661)와, 이 4절 링크 기구(661)의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되는 신축 구성의 액츄에이터(64)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9 shows a chair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Although this chair body is the same as that of Example 1 in this Example 6, the structure of a reclining mechanism is fundamentally different. That is, the reclining mechanism 606 is provided in a diagonal section of the four-section link mechanism 661 connecting the seat surface portion 2 and the support portion 605 of the chair main body 4 and the four-section link mechanism 661. It is set as the structure provided with the actuator 64 of a telescopic structure.

4절 링크 기구(661)는 좌우 한 쌍의 전방부 링크 부재(662)와, 좌우 한 쌍의 후방부 링크 부재(663)로 구성되고, 전방부 링크 부재(662)가 의자 본체(4)의 시트면부(2)의 중앙으로부터 약간 전방으로 치우친 위치와 지지부(605)의 전단 사이에 개재되고, 후방부 링크 부재(663)가 시트면부(2)와 등받이부(3)의 경계 부근과 지지부(605)의 중간 위치와의 사이에 개재된다.The four-section link mechanism 661 is composed of a pair of left and right front link members 662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rear link members 663, and the front link member 662 is formed of the chair body 4. It is interposed between the position slightly biased forward from the center of the seat surface portion 2 and the front end of the support portion 605, and the rear link member 663 is located near the boundary between the seat surface portion 2 and the backrest portion 3 and the support portion ( It is interposed between the intermediate positions of 605.

전방부 링크 부재(662)와 후방부 링크 부재(663)의 상단은 시트면부(3)의 좌우 프레임(41b, 41b)에 고정된 고정판(662a)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전방부 링크 부재(662)와 후방부 링크 부재(663)의 하단은 브래킷을 통하여 지지부(605)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Upper ends of the front link member 662 and the rear link member 663 are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xed plate 662a fixed to the left and right frames 41b and 41b of the seat surface portion 3, and the front link member ( 662 and the lower end of the rear link member 663 are rotatably connected to the support 605 via a bracket.

전방부 링크 부재(662)는 후방부 링크 부재(663)보다 길게, 등받이부(3)가 일어선 위치에서는,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부 링크 부재(662)와 후방부 링크 부재(663)가 함께 상단이 하단보다 후방으로 기운 자세로, 후방으로의 기울기 각도가 후방부 링크 부재(663)쪽이 작게 되어 있다. 전방부 링크 부재(662)와 후방부 링크 부재(663)를 하단을 지점으로 하여 도면 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후방부 링크 부재(663)의 회전 각도쪽이 크고, 등받이부(3)가 가장 눕혀진 위치에서는 전방부 링크 부재(662)의 상단은 아직 최고 위치에 도달하지 않고 후방으로 기울어져 있지만, 후방부 링크 부재(663)의 상단은 최고 위치를 지나 상단이 전방으로 기울어진 자세로 되어, 등받이부(3)를 후방으로 눕히는 동작과 함께 등받이부(3)의 하단을 전방으로 이동시키고, 또한 시트면부(2)의 전단을 상측으로 들어올리는 동작을 하게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The front link member 662 is longer than the rear link member 663, and in the position where the backrest 3 stands up, as shown in FIG. 9B, the front link member 662 and the rear part The link member 663 is in a posture in which the upper end is inclined backward from the lower end, and the inclination angle toward the rear is smaller at the rear link member 663. When the front link member 662 and the rear link member 663 are rotated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with the lower end as a point, the rotation angle side of the rear link member 663 is large, and the backrest portion 3 is In the most laid down position, the top of the front link member 662 is tilted backwards without yet reaching the top position, but the top of the rear link member 663 is in a posture with the top tilted forward beyond the top position. 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backrest part 3 is moved forward and the front end of the seat surface part 2 is lifted upward with the operation | movement which lays the backrest part 3 back.

액츄에이터(64)는 실시예 1과 같은 신축 액츄에이터이며, 도 9의 (B) 및(C)의 측면도 내에서 전방부 링크 부재(662)의 하단 위치와 후방부 링크 부재(663)의 상단 위치 사이에 비스듬히 배치되고, 액츄에이터(64)의 전단은 지지부(605)에 고정된 브래킷(65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액츄에이터(64)의 후단은 의자 본체(4)의 시트면부(2)와 등받이부(3)의 경계 부근에 설치된 중간 프레임(43)의 중앙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Actuator 64 is the same elastic actuator as Example 1, and is located between the lower position of front link member 662 and the upper position of rear link member 663 within the side views of FIGS. 9B and 9C. Disposed obliquely to the front end of the actuator 64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bracket 651 fixed to the support 605, and the rear end of the actuator 64 is supported by the seat surface portion 2 of the chair body 4 and the backrest. I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intermediate frame 43 provided near the boundary of the part 3.

다음에, 본 실시예 6의 작용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9의 (B)는 등받이부가 일어선 자세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의 액츄에이터(64)는 최신장 상태이며, 등받이부(3)를 눕히는 경우에는 액츄에이터(64)를 수축시킨다. 액츄에이터(64)가 수축하면, 후방부 링크 부재(663)와 전방부 링크 부재(662)가 함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후방부 링크 부재(663)의 상단보다도 전방부 링크 부재(662)의 상단의 상측으로의 변위가 크고, 전방부 링크 부재(662)의 전방으로의 변위보다도 후방부 링크 부재(663)의 전방으로의 변위가 크기 때문에 등받이부(3)가 후방으로 눕혀지면서 하단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시트면부(2)의 전단이 상측으로 일어나, 등받이부(3)가 후방으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점유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six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9B shows a posture in which the backrest portion stands up. The actuator 64 in this state is in the latest state, and when the backrest part 3 is laid down, the actuator 64 is contracted. When the actuator 64 contracts, the rear link member 663 and the front link member 662 rotate together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so that the front link member 662 of the front link member 662 is rotated from the upper end of the rear link member 663. Since the displacement of the upper end is larger and the displacement of the rear link member 663 is greater than the displacement of the front link member 662 in front of the front, the lower back portion 3 is lying down backwards. In this case, the front end of the seat surface portion 2 rises upward to prevent the backrest portion 3 from protruding backward, and the occupancy area can be reduced.

본 발명의 의자는 등받이부에 마사지 기구를 구비한 마사지 의자에 적합하지만, 마사지 의자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리클라이닝 동작을 하는 여러 가지의 의자에 이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발판부를 갖는 의자를 예로 하여 본 발명의 의자를 설명했지만, 이 리클라이닝 방식은 발판을 갖지 않는 의자에도 적용할 수 있다. The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itable for a massage chair having a massage mechanism in the back portion, but is not limited to a massage chair and can be used for various chairs for reclining operation. Further, in the above embodiment, the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taking a chair having a footrest as an example, but this reclining method can be applied to a chair having no footrest.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부와 의자 본체의 사이에 시트면부와 등받이부의 각도가 일정하게 고정된 상태로 등받이부를 후방으로 눕히는 동작과 함께 시트면부와 등받이부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리클라이닝 기구를 설치했기 때문에, 등받이부가 후방으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시트면부는 등받이부가 눕혀지는 양만큼 상측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등받이부만을 눕히는 경우보다도 시트면부의 전방으로의 돌출 치수가 줄어들어, 점유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등받이부를 눕히더라도 의자 본체의 형상은 변하지 않기 때문에 등받이부에 대한 몸의 접촉 위치가 틀어지지 않는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clining mechanism for moving the seat surface portion and the backrest portion forward is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portion and the chair main body, the seat back portion and the backrest portion are laid with the angle of the seat portion and the backrest portion fixedly fixed. The addition can be prevented from protruding backward. Further, since the seat surface portion rises upward by the amount by which the back portion is laid down, the projected dimension toward the front of the seat surface portion is reduced and the occupied area can be made smaller than when only the back portion is laid down. In addition, since the shape of the chair body does not change even when the back portion is laid down, the position of contact of the body with respect to the back portion does not change.

또한, 리클라이닝 기구를, 지지부와 등받이부를 연결하는 링크 부재와, 의자 본체의 시트면부와 등받이부의 굴곡부 근방에 설치한 이동부와, 이동부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가이드부와, 의자 본체의 자세를 변화시키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앉은 자세에서 허리의 위치는 일정한 상태로 리클라이닝 동작을 행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clining mechanism includes a link member connecting the support portion and the backrest portion, a moving portion provided near the bent portion of the seat surface portion and the backrest portion of the chair body, a guide portion to which the movable portion is mov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chair body. By having a structure provided with the actuator which changes a posture, a reclining operation | movement can be made to the position of a waist in a fixed position in a sitting position.

또한, 액츄에이터는 신축되는 구성으로, 그 일단이 의자 본체의 이동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지지부에 연결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부가 지지부에 집약되도록 가동부에 덮개를 부착한 상태라도 위압감이 없다. In addition, since the actuator is configured to expand and contract, its one end is connected to the moving part of the chair main body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so there is no sense of pressure even when the cover is attached to the movable part so that the movable part is concentrated on the support part.

또한, 액츄에이터는 신축되는 구성으로, 지지부와 시트면부 사이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부를 작게 집약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actuator is constructed to expand and contract, the actuator is configured to connect between the support portion and the seat surface portion, whereby the movable portion can be compactly concentrated.

또한, 액츄에이터는 신축되는 구성으로, 지지부와 등받이부 사이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리클라이닝시의 등받이부가 후방으로 튀어나가는 것을 완전히 없앨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actuator is constructed to be stretched and connected between the support portion and the backrest portion, the backrest portion during reclining can be completely eliminated.

또한, 이동부에는 롤링 접촉하는 차륜이 설치되고, 액츄에이터는 고무 타이어 등의 차륜을 회전 구동하는 회전식 액츄에이터로 되어 있기 때문에 특별한 가이드부가 불필요하여, 가이드부에 끼일 우려가 없다. In addition, since the wheel for rolling contact is provided in the moving part, and the actuator is a rotary actuator for rotationally driving wheels such as rubber tires, a special guide part is unnecessary and there is no fear of being caught in the guide part.

또한, 리클라이닝 기구가 지지부에 전후로 이격되게 배치된 전방부 지지 다리 및 후방부 지지 다리에 시트면부와 등받이부를 이동 가능하게 조립하여, 액츄에이터의 신축에 의해서 의자 본체의 자세를 변화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외관이 확실하게 되고, 경량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clining mechanism is assembled so as to move the seat surface and the backrest to the front support leg and the rear support leg, which are spaced apart from the front and rear of the support portion, so that the posture of the chair body can be changed b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actuator. The appearance is assured, and the weight can be reduced.

또한, 액츄에이터는 지지부의 전방부 지지 다리와 의자 본체의 시트면부 사이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부가 시트면부의 아래에 집약되어, 눈에 띄지 않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actuator is configured to connect between the front support leg of the support portion and the seat surface portion of the chair main body, the movable portion is concentrated under the seat surface portion and becomes inconspicuous.

또한, 지지부에 의자 본체의 좌우에 위치하는 지지벽을 마련하고, 리클라이닝 기구를 지지벽과 의자 본체의 사이에 설치했기 때문에 측면에 벽이 생겨, 가동부를 보호하기 쉽고, 안전성이 높다. Moreover, since the support wall which is located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chair main body was provided in the support part, and the reclining mechanism was provided between the support wall and the chair main body, a wall is formed in a side surface, it is easy to protect a movable part, and safety is high.

또한, 가이드 홈에 가이드 볼록부가 활주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안내를 확실하게 할 수 있다. Moreover, since the guide convex part is fitted in the guide groove so that the slide can slide, the guidance can be ensured.

또한, 가이드는 전방을 향하여 낮아지는 경사를 갖고, 전방부 이동부를 안내하는 가이드는 전방을 향하여 높아지는 경사를 갖는 구성으로 하면, 의자 본체를 크게 기울일 수 있다. Further, when the guide has a slope that is lowered toward the front, and the guide for guiding the front portion moving portion has a slope that is increased toward the front, the chair body can be tilted greatly.

또한, 리클라이닝 기구를 4절 링크 기구와 신축 액츄에이터에 의해서 구성했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리클라이닝 동작을 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eclining mechanism is constituted by the four-section link mechanism and the telescopic actuator, the reclin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with a simple configuration.

또한, 상기 리클라이닝 기구에 있어서 의자 본체와 지지부의 사이에 서로 맞물리는 랙과 피니언을 마련했기 때문에 미끄러지는 일없이 확실하게 동작시킬 수 있다.Moreover, in the said reclining mechanism, since the rack and pinion which mutually engaged between the chair main body and the support part were provided, it can operate reliably without slipping.

또한, 등받이부에 마사지 기구를 설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리클라이닝 동작을 행하더라도 마사지 기구의 조절 위치가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마사지 위치를 재차 조정할 필요가 없다. In addition, when the massage mechanism is provided in the backrest portion, the adjustment position of the massage mechanism does not change even when the reclining operation is performed, so that the massage position does not need to be adjusted agai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의자의 골격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keleton structure of a chai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의자의 등받이부가 일어선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상부)와, 등받이부가 누운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하부)이다. FIG. 2 is a side view (upper part) showing a state where the backrest part of the chair of FIG.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의자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골격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B)는 등받이부가 일어선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C)는 등받이부가 누운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Figure 3 shows a chai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keletal structure, (B)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backrest is raised, (C) is a state in which the backrest is laid It is a side view showing.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의자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골격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B)는 등받이부가 일어선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C)는 등받이부가 누운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Figure 4 shows a chai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keleton structure, (B)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backrest is raised, (C) is a state in which the backrest is laid It is a side view showing.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의자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골격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B)는 등받이부가 일어선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C)는 등받이부가 누운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Figure 5 shows a chai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keletal structure, (B)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backrest is raised, (C) is a state in which the backrest is laid It is a side view showing.

도 6은 실시예 4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골격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B)는 등받이부가 일어선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C)는 등받이부가 누운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FIG. 6: shows the modification of Example 4, (A)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skeletal structure, (B) is a side view which shows the state which the backrest part stood up, (C) is a side view which shows the state which the backrest part lay down. .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의자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골격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B)는 등받이부가 일어선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C)는 등받이부가 누운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7 shows a chai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keletal structure, (B)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ckrest is raised, and (C) is a state in which the backrest is laid It is a side view showing.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골격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B)는 등받이부가 일어선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C)는 등받이부가 누운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Fig. 8 shows a modification of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keletal structure, (B)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ckrest is raised, and (C) is a state in which the backrest is laid down. It is a side view showing.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의자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골격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B)는 등받이부가 일어선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C)는 등받이부가 누운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Figure 9 shows a chair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keletal structure, (B)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ackrest is raised, (C) is a state in which the backrest is laid It is a side view showin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의자1: chair

2: 시트면부2: seat surface part

3: 등받이부3: backrest

4: 의자 본체4: chair body

5: 지지부5: support

6: 리클라이닝 기구6: reclining mechanism

7: 발판부7: footrest

41: 세로 프레임41: vertical frame

41a: 등받이부의 프레임부41a: frame part of backrest part

42: 가로 프레임42: horizontal frame

44, 45: 중간 프레임44, 45: middle frame

61: 링크 부재61: link member

62: 롤러62: roller

63: 롤러 가이드63: roller guide

64: 액츄에이터64: actuator

62a: 부착판62a: mounting plate

62b: 연결축62b: connecting shaft

64a: 모터64a: motor

64b: 통체64b: traditional

64c: 로드64c: load

205: 지지부205: support

251: 전방부 지지 다리251: anterior support leg

152: 후방부 지지 다리152: rear support leg

206: 리클라이닝 기구206: reclining mechanism

262: 전방부 롤러262: front roller

163: 롤러 가이드163: roller guide

265: 후방부 롤러265: rear roller

166: 후방부 롤러 가이드166: rear roller guide

305: 지지부305: support

351: 지지벽351: support wall

306: 리클라이닝 기구306: reclining mechanism

362: 전방부 슬라이드 볼록부362: front slide convex

365: 후방부 슬라이드 볼록부365: rear slide convex

363: 전방부 가이드 구멍363: front guide hole

366: 후방부 가이드 구멍366: rear guide hole

406: 리클라이닝 기구406: reclining mechanism

405: 지지부405: support

462: 차륜462 wheel

464: 모터464: motor

451: 프레임451: frame

467, 468: 리미트 스위치467, 468: limit switch

469a: 피니언469a: pinion

469b: 랙469b: rack

505: 지지부505: support

551: 가이드벽551: guide wall

552: 저벽552: bottom wall

606: 리클라이닝 기구606: reclining mechanism

661: 4절 링크 기구661: Section 4 Link Mechanisms

662: 전방부 링크 부재662: front link member

663: 후방부 링크 부재663: rear link member

662a, 663a: 고정판662a, 663a: fixed plate

605: 지지부605: support

651: 브래킷651: bracket

Claims (16)

시트면부와 등받이부를 갖는 의자 본체와, 이 의자 본체를 하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고,A chair body having a seat surface portion and a backrest portion, and a support portion supporting the chair body from below; 상기 시트면부와 등받이부의 각도가 고정된 상태로 상기 등받이부를 후방으로 눕히는 동작과 함께 상기 시트면부와 등받이부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리클라이닝 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And a reclining mechanism for moving the seat surface portion and the backrest portion forward, with the operation of laying the backrest portion rearward while the angle of the seat surface portion and the backrest portion is fix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클라이닝 기구를, 상기 지지부와 등받이부를 연결하는 링크 부재와, 의자 본체의 시트면부와 등받이부의 굴곡부 근방에 마련한 이동부와, 이 이동부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가이드부와, 의자 본체의 자세를 변화시키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2. The link memb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clining mechanism is provided with a link member connecting the support portion and the backrest portion, a movable portion provided near the bent portion of the seat surface portion and the backrest portion of the chair body, and a guide in which the movable portion is mov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 chair provided with a part and an actuator which changes the posture of a chair main bod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신축되는 구성이며, 그 일단이 상기 의자 본체의 이동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지지부에 연결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인 의자.The chai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actuator is configured to expand and contract, and one end thereof is connected to a moving part of the chair body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a support par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신축되는 구성이며, 상기 지지부와 시트면부 사이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인 의자.The chai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actuator is configured to expand and contract, and is configured to connect between the support portion and the seat surface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신축되는 구성이며, 상기 지지부와 등받이부 사이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인 의자. The chai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actuator is configured to expand and contract, and is configured to connect between the support portion and the backrest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 전후로 이격되게 전방부 지지 다리 및 후방부 지지 다리를 마련하고, 상기 리클라이닝 기구를, 상기 전방부 지지 다리에 마련한 전방부 이동부와, 상기 시트면부를 따라 마련되고 상기 전방부 이동부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전방부 가이드부와, 상기 후방부 지지 다리에 마련된 후방부 이동부와, 상기 등받이부를 따라 마련되고 상기 후방부 이동부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후방부 가이드부와, 상기 의자 본체와 지지부 사이를 연결하는 신축 가능한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며, 상기 액츄에이터의 신축에 의해서 의자 본체의 자세를 변화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The said support part is provided with the front part support leg and the rear part support leg so that it may be spaced back and forth, The front part moving part which provided the said reclining mechanism in the said front part support leg, and the said seat surface part are provided, The front part guide part in which the front part moving part is assembled to be mov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rear part moving part provided in the rear part supporting leg, and the back part are provided along the backrest part, and the rear part moving part is assembled to be mov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 retractable actuator for connecting the chair main body and the supporting part, wherein the posture of the chair main body is changed b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actuato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지지부의 전방부 지지 다리와 의자 본체의 시트면부 사이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인 의자.The chair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actuator is configured to connect between the front support leg of the support portion and the seat surface portion of the chair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 의자 본체의 좌우에 위치하는 지지벽을 마련하고, 상기 리클라이닝 기구를, 지지벽과 의자 본체의 한쪽에 마련되는 전방부 이동부 및 후방부 이동부와, 다른쪽에 설치되고 상기 전방부 이동부와 후방부 이동부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여 의자 본체가 전방을 향함에 따라 후방부 이동부보다도 전방부 이동부를 상대적으로 상측으로 안내하여 등받이부의 자세를 후방으로 눕히는 가이드와, 상기 의자 본체와 지지부 사이를 연결하여 의자 본체의 자세를 변화시키는 신축 가능한 액츄에이터를 구비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The said support body is provided in the support part located on the left-right side of a chair main body, The said reclining mechanism is provided in the front part moving part and the rear part moving part provided in one of a support wall and a chair main body, and the other side, It is installed and supports the front moving part and the rear moving part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to guide the front moving part relative to the upper side rather than the rear moving part as the chair body moves forward to lower the posture of the back part. And a flexible actuator configured to connect a guide and the chair body and the support to change the posture of the chair body.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지지벽에 마련된 가이드 홈이며, 상기 전방부 이동부 및 후방부 이동부는 가이드 홈에 활주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가이드 볼록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The chair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guide is a guide groove provided in the support wall, and the front moving portion and the rear moving portion are guide convex portions that are slidably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부 이동부를 안내하는 가이드는 전방을 향하여 낮아지는 경사를 갖고, 전방부 이동부를 안내하는 가이드는 전방을 향하여 높아지는 경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The chair of claim 8, wherein the guide for guiding the rear moving part has an inclination lowering toward the front, and the guide for guiding the front moving part has an inclination increasing for the fron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부 이동부를 안내하는 가이드는 전방을 향하여 낮아지는 경사를 갖고, 전방부 이동부를 안내하는 가이드는 전방을 향하여 높아지는 경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10. The chair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guide for guiding the rear moving part has an inclination lowering toward the front, and the guide for guiding the front moving part has an inclination increasing for the fro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클라이닝 기구는 의자 본체의 시트면부와 지지부를 연결하는 4절 링크 기구와, 이 4절 링크 기구의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되는 신축 액츄에이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The chai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clining mechanism includes a four-section link mechanism that connects the seat surface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of the chair main body, and an elastic actuator provided in a diagonal direction of the four-section link mechanis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클라이닝 기구를, 상기 지지부와 등받이부를 연결하는 링크 부재와, 의자 본체의 시트면부와 등받이부의 굴곡부 근방에 마련한 이동부와, 의자 본체의 자세를 변화시키는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2. The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clining mechanism includes a link member connecting the support portion and the backrest portion, a moving portion provided near the bent portion of the seat surface portion and the backrest portion of the chair body, and an actuator for changing the posture of the chair body. The chair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에는 롤링 접촉하는 차륜이 설치되고,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차륜을 회전 구동하는 회전식 액츄에이터인 것인 의자.The chair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moving part is provided with a wheel for rolling contact, and the actuator is a rotary actuator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wheel.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리클라이닝 기구에 있어서 시트면부와 등받이부의 경계 부근에 배치되는 피니언과, 지지부에 배치되어 상기 피니언과 맞물리는 랙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The chair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reclining mechanism has a pinion disposed near a boundary between a seat surface portion and a backrest portion, and a rack disposed on a support portion and engaged with the pinion.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등받이부에 마사지 기구를 구비한 마사지 의자로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The chair as described in any one of Claims 1-15 used as a massage chair provided with a massage mechanism in a back part.
KR1020050003712A 2004-01-19 2005-01-14 Chair KR20050076623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10997A JP2005198979A (en) 2004-01-19 2004-01-19 Chair
JPJP-P-2004-00010997 2004-01-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6623A true KR20050076623A (en) 2005-07-26

Family

ID=34616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3712A KR20050076623A (en) 2004-01-19 2005-01-14 Chair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555005A3 (en)
JP (1) JP2005198979A (en)
KR (1) KR20050076623A (en)
CN (1) CN1647724A (en)
TW (1) TW200531656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161B1 (en) * 2007-06-29 2009-04-17 (주)대경산업 Massage chair
KR100904886B1 (en) * 2008-06-27 2009-06-29 (주)대경산업 Massage chair and method for driving massage chair
KR101333318B1 (en) * 2012-02-22 2013-11-27 주식회사 이디 Aid-chair having electric driving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22114B2 (en) 2008-04-11 2010-05-25 Jobri Llc Zero gravity wall hugger recliner
JP5396978B2 (en) 2009-04-10 2014-01-22 トヨタ紡織株式会社 Vehicle seat
CN101884470B (en) * 2009-05-11 2013-08-28 严能进 Seat system capable of sitting and lying
CN101889780B (en) * 2009-05-18 2013-08-28 严能进 Seating and lying two-purpose seat system
JP2012070785A (en) * 2010-09-27 2012-04-12 Panasonic Corp Reclining chair and chair type massage machine with same
US9962307B2 (en) 2010-12-20 2018-05-08 Restoration Robotics, Inc. Adjustable hair transplantation chair
WO2012100429A1 (en) * 2011-01-28 2012-08-02 上海信弘家具用品有限公司 Angle adjustment massaging device
SG183088A1 (en) * 2011-02-18 2012-09-27 Daito Electric Machine Ind Chair-type massage apparatus
TWM426338U (en) * 2011-10-03 2012-04-11 Johnson Health Tech Co Ltd Flat reclining chair
CN103054687A (en) * 2012-08-15 2013-04-24 山东康泰实业有限公司 Massage armchair backrest forward-slip device
CN103892987B (en) * 2012-12-25 2015-11-25 上海璟和技创机器人有限公司 A kind of lower limbs rehabilitation training robot
KR101332926B1 (en) * 2013-01-03 2013-11-26 매직라이프코리아(주) Massage chair for sliding type
CN103120613A (en) * 2013-01-31 2013-05-29 宁波康福特健身器械有限公司 Improved massage chair
JP6040817B2 (en) 2013-03-21 2016-12-07 トヨタ紡織株式会社 Vehicle seat
KR101496306B1 (en) * 2013-05-21 2015-03-02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back rest reclining apparatus for water pressure massage machine
CN104223832B (en) 2013-06-19 2017-05-31 礼恩派(嘉兴)有限公司 The adjustable sofa of position of back
JP6305153B2 (en) * 2014-03-27 2018-04-04 株式会社きさく工房 Reclining mechanism and chairs, chairs and wheelchairs
CN105078696A (en) * 2014-04-16 2015-11-25 宁波秉航电子科技有限公司 Massage chair with curved guide rail
JP6191877B2 (en) * 2014-07-01 2017-09-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Reclining chair and massage machine equipped with the same
US9277822B1 (en) * 2014-09-02 2016-03-08 La-Z-Boy Incorporated Furniture member with powered mechanism providing lift and zero gravity positions
TW201722318A (en) * 2015-12-30 2017-07-01 Hern Juei Co Ltd Quick combination chair comprising two stands, two connecting rods and two plate bodies
CN108937308A (en) * 2018-07-10 2018-12-07 深圳市晓控通信科技有限公司 A kind of intelligent sofa with cleaning function
CN113558923A (en) * 2021-06-04 2021-10-29 奥佳华智能健康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Massage chai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38667A (en) * 1922-08-26 1922-12-12 Schops Hermann Rocking chair
US2480552A (en) * 1945-04-02 1949-08-30 Vietor J Colvez Chair
US3175860A (en) * 1964-01-08 1965-03-30 Tcherniavsky Victor Convertible chair
US4214790A (en) * 1979-01-25 1980-07-29 Sieber Walter P Orthopedic reclining chair
US4615336A (en) * 1983-11-30 1986-10-07 Fuji Medical Instruments Mfg. Co., Ltd. Automatic massaging machine
NL8601457A (en) * 1986-06-05 1988-01-04 Huka Bv Developments WHEELCHAIR WITH TILT SEAT.
US5249838A (en) * 1990-09-21 1993-10-05 Kulpa Judith I Seating device having curved bottom tilting on roller and secured by reeved cable
AT402142B (en) * 1993-03-15 1997-02-25 Hoppe Kg Hodry Metallfab Lounger
US20020101102A1 (en) * 2001-01-30 2002-08-01 Chang Horng Jiun Chair having forward tilting device
DE10114403A1 (en) * 2001-03-23 2002-09-26 Peter Hirsch Sun bed has seat and back rest attached to curved, flat profile guide rails which slide over cross-bars on support frame, allowing bed to reclin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161B1 (en) * 2007-06-29 2009-04-17 (주)대경산업 Massage chair
KR100904886B1 (en) * 2008-06-27 2009-06-29 (주)대경산업 Massage chair and method for driving massage chair
KR101333318B1 (en) * 2012-02-22 2013-11-27 주식회사 이디 Aid-chair having electric driv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531656A (en) 2005-10-01
JP2005198979A (en) 2005-07-28
CN1647724A (en) 2005-08-03
EP1555005A3 (en) 2005-08-31
EP1555005A2 (en) 2005-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76623A (en) Chair
US9521907B2 (en) Chair with seat depth adjustment and back support
KR101738062B1 (en) Structure of leg-rest
RU2396891C1 (en) Folding armchair
EP3311700B1 (en) Mechanical extending mechanism and seating unit comprising the same
JP5199806B2 (en) Massage chair with foot massage device
TWI679951B (en) Furniture member with recline and tilt
KR101799971B1 (en) Electric bed frame for adjusting arrangement angle classified by body part
US20180000253A1 (en) Motorized mechanism and motorized furniture
TWI679954B (en) Furniture member with adjustable seat depth
TWI679953B (en) Furniture member with adjustable seat height
TWI677306B (en) Legrest mechanism for furniture member
CN113475885A (en) Mechanical stretching device and suspension mechanism thereof
KR100457396B1 (en) Seat height adjuster apparatus for vehicle
JPH08266370A (en) Interlocked footrest for swing seat
CN215533081U (en) Mechanical stretching device
CN113475898A (en) Mechanical stretching device
JP3072908B2 (en) Reclining chair
KR200315978Y1 (en) apparatus for adjusting a tilting intensity of a tilting chair
US20210369524A1 (en) Assistance apparatus
CN110897801A (en) Standing-assistant chair
KR102607198B1 (en) Extendable leg-rest
CN214760167U (en) Chair and footrest subassembly thereof
CN213405518U (en) Prevent extrudeing intelligent regulation bed
JP4536387B2 (en) 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