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6400A - 디지털/아날로그 멀티미디어 지원을 위한 룸 브리지 어뎁터 - Google Patents

디지털/아날로그 멀티미디어 지원을 위한 룸 브리지 어뎁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6400A
KR20050076400A KR1020040004364A KR20040004364A KR20050076400A KR 20050076400 A KR20050076400 A KR 20050076400A KR 1020040004364 A KR1020040004364 A KR 1020040004364A KR 20040004364 A KR20040004364 A KR 20040004364A KR 20050076400 A KR20050076400 A KR 20050076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face chip
port
video
data
analo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4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2407B1 (ko
Inventor
강순주
이명진
박준호
오주용
이동규
Original Assignee
강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순주 filed Critical 강순주
Priority to KR1020040004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2407B1/ko
Publication of KR20050076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6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2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24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2Interconnection of the control functionalities between home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52High-speed IEEE 1394 serial bus
    • H04L12/40091Bus brid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14User Network Interface
    • H04L2012/5618Bridges, gateways [GW] or interworking units [IWU]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 데이터 인터페이스 버스를 통해 CPU와 연결되는 저장부, 표시부 및 키패드부를 포함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멀티미디어 지원을 위한 룸 브리지 어뎁터에 있어서, 외부 데이터 인터페이스 버스를 통해 상기 CPU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 칩,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칩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통신포트, 상기 외부 데이터 인터페이스 버스를 통해 상기 CPU와 연결되고, IEEE1394 데이터 송수신 및 디지털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IEEE1394 포트에 적합한 포맷으로 변환을 수행하는 IEEE1394 지원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 칩, 일단이 상기 IEEE1394 인터페이스 칩과 연결되고, 비디오/오디오 데이터의 압축 및 신장 처리를 수행하는 멀티미디어 코덱 칩 및 상기 멀티미디어 코덱 칩에서 신장처리된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비디오/오디오 신호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는 비디오/오디오 A/D 변환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지털/아날로그 멀티미디어 지원을 위한 룸 브리지 어뎁터{Room Bridge Adapter For Supporting Digital/Analog Multimedia}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용 룸 브리지 어뎁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아날로그 멀티미디어를 지원하는 룸 브리지 어뎁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홈 네트워크을 위해서는 각 가전기기 간의 유기적인 통신을 위한 데이터 버스와 프로토콜이 필요하며, 멀티미디어 환경을 위한 특정 시스템 도입이 필요하다.
인터넷이 활성화되기 전에는 전화망 등을 이용하여 원격 검침 및 원격 감시 등의 시도가 부분적으로 이루어졌으나, 인터넷의 활성화와 함께 가정 내 모든 가전기기들의 통합 관리를 위한 홈 네트워크이 개발되고 있으며, 현재 IEEE1394, CEBus, X-10, LonWorks, CAN 등의 버스 구조를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이 중 빠른 속도 및 플러그 앤 플레이(Plug and Play) 기능 지원 등 여러 가지 장점을 지니고 있는 IEEE1394 버스가 홈 네트워크 용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으며, 여러 업체(예. TI, Fujitsu, IBM, Lucent Technologies, Philips 등)에서 IEEE1394 인터페이스 칩들을 개발하였다.
종래의 홈 네트워크 관련 시스템은 인터넷 연동을 위한 셋톱박스(Set Top Box)를 중심으로 모든 가전기기가 중앙 집중식으로 관리되었다. 즉, 인터넷의 웹 브라우져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가정의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중앙 집중식에 의할 경우 가정 내에 분산되어 있는 모든 가전기기를 중앙에서만 관리가 가능하므로 중앙의 셋톱박스가 있는 장소 외에서는 제어가 불가능한 공간적 제약이 여전히 존재하게 된다. 또한 다른 프로토콜을 지닌 시스템 간에는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제약이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가정 자동화를 위한 홈 네트워크 룸 브리지 시스템을 제안하여 특허 제 10-0369318호 등록을 받았으며, 이러한 룸 브리지 시스템의 구성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룸 브리지 시스템은 각 방마다 여러 홈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룸 브리지를 설치하여 하나의 홈과 각 방을 분리하여 계층적인 제어를 가능하게 하며, 방과 방간의 연동을 통해 사용자가 어디에서든지 근처의 룸 브리지를 통해 홈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모든 가전기기들을 접근, 제어할 수 있는 구조이다.
도 1에 도시된 구성 중 특히, 제어칩부(411)는 이종 네트워크 프로토콜 간의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룸 브리지 시스템은 홈 네트워크 커넥터(413)을 통해 가정 내의 가전 기기들을 제어하게 된다.
본 출원인은 이에 더 나아가, 상기 특허의 룸 브리지 구조에서 제공하지 않는 광케이블이나 CAT5(e) 등을 이용한 실제적인 IEEE1394 기반 광대역 홈 네트워크 백본(Broadband Home Network Backbone)의 구축 기술 및 디지털/아날로그 미디어를 통합 지원할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디지털 미디어 기기 뿐만 아니라 아날로그 미디어 기기와의 연동을 통해 가정 내 멀티미디어 시스템 구축이 가능하도록 하는 룸 브리지 어뎁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광 케이블 또는 CAT5(e) 케이블을 이용하여 각 방에 소재하는 룸 브리지 어뎁터를 연결하여 사용자가 어느 방에 있든 가정 내의 모든 기기들을 자유롭게 접근 및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홈 네트워크 백본망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내부 데이터 인터페이스 버스를 통해 CPU와 연결되는 저장부, 표시부 및 키패드부를 포함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멀티미디어 지원을 위한 룸 브리지 어뎁터에 있어서, 외부 데이터 인터페이스 버스를 통해 상기 CPU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 칩,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칩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통신포트, 상기 외부 데이터 인터페이스 버스를 통해 상기 CPU와 연결되고, IEEE1394 데이터 송수신 및 디지털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IEEE1394 포트에 적합한 포맷으로 변환을 수행하는 IEEE1394 지원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 칩, 일단이 상기 IEEE1394 인터페이스 칩과 연결되고, 비디오/오디오 데이터의 압축 및 신장 처리를 수행하는 멀티미디어 코덱 칩 및 상기 멀티미디어 코덱 칩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코덱칩과 외부 아날로그 비디오/오디오 포트 간 디지털/아날로그 데이터 전환을 위한 비디오/오디오 A/D 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멀티미디어 지원을 위한 룸 브리지 어뎁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르면, 복수개의 청구항 1의 룸 브리지 어뎁터, 상기 각 룸 브리지 어뎁터의 일단에 구리선을 통해 연결된 리피터 및 상기 리피터들을 연결하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를 위한 백본망이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아날로그 멀티미디어 지원을 위한 룸 브리지 어뎁터(10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브리지 어뎁터(100)는 CPU(1)를 중심으로 크게 내부 데이터 처리를 위한 내부 데이터 인터페이스 버스(22)와 내부 데이터 처리를 위한 내부 데이터 인터베이스 버스(23)를 갖고 있다.
내부 데이터 인터페이스 버스(22)는 메인 메모리(2), 플래쉬 메모리(3),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LCD(Liquid Display Crystal) 제어부(4), KEY/LED 제어부(5) 등과 연결되어 시스템 내부에서 발생하는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플래쉬 메모리(3)는 룸 브리지 어뎁터(100)의 소프트웨어를 저장하며, VFD/LCD 제어부(4)는 사용자에게 시스템의 상태 및 제어 정보를 VFD 혹은 LCD 화면에 보여주기 위한 기능을 담당한다. 내부 데이터 인터페이스 버스(22)를 통해 시스템 동작 초기에 시스템 구동 프로그램이 플래쉬 메모리(3)로부터 메인 메모리(2)로 전달되고, CPU(1)가 메인 메모리(2) 상에 존재하는 구동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시스템을 제어한다.
KEY/LED 제어부(5)는 사용자가 확인 및 조작이 가능하도록 KEY와 LED 데이터 통신 제어를 담당한다.
외부 데이터 인터페이스 버스(23)는 외부 기기(미도시)와의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며, 이 버스 상에 블루투스 인터페이스 칩(8), LAN(Local Area Network) 인터페이스 칩(9), WLAN(Wireless LAN) 인터페이스 칩(11), X-10 인터페이스 칩(12), LonWorks 인터페이스 칩(13), CAN(Controller Area Network) 인터페이스 칩(14), IrDA 인터페이스 칩(15), USB 인터페이스 칩(16), IEEE1394 지원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 칩(18) 등이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인터페이스 칩의 구성에서 블루투스 인터페이스 칩(8), LAN 인터페이스 칩(9), WLAN 인터페이스 칩(11), X-10 인터페이스 칩(12) 부분을 추가적으로 구성하였다.
블루투스 인터페이스 칩(8)은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는 무선 기기들과의 데이터 전달을 담당하고, LAN 인터페이스 칩(9)은 유선 인터넷 연결을 지원하며, 모뎀(10)과 같은 변환기를 통해 기존의 전화선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WLAN 인터페이스 칩(11)은 시스템에 장착되어 있거나 외부에 장착되어 무선 인터넷 통신을 가능하도록 한다. X-10 인터페이스 칩(12), LonWorks 인터페이스 칩(13), 그리고 CAN 인터페이스 칩(14)은 가정의 일반 가전기기들의 제어를 담당한다. IrDA 인터페이스 칩(15)은 리모콘이나 적외선 센서 등의 일반 적외선 통신 및 무선 키보드와 같은 근거리 적외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USB 인터페이스 칩(16)은 PC(Personal Computer)나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USB 지원 장비와의 통신 기능을 담당한다.
IEEE1394 지원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 칩(18)은 IEEE1394 데이터 송수신 기능 외에 디지털 비디오/오디오 통신 포트를 통해 기존의 디지털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IEEE1394 버스 상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 전환 기능을 지원한다. IEEE1394 지원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 칩(18)은 내부 다른 인터페이스 칩과의 연동과 동시에 외부의 IEEE1394 포트(21-10)와 직접 연결되어 최대 기가비트(Gb) 단위의 고속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며, IEEE1394 디지털 데이터 변환기(19)를 통해 CAT5(e) 포트 혹은 광 케이블 포트를 이용함으로써 수십 미터 이상의 거리에서도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가정에서 거리가 먼 방간의 IEEE1394 홈 네트웍 백본(Home Network Backbone)으로의 용도에 적합하다.
멀티미디어 코덱 칩(17)은 IEEE1394 지원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 칩(18)으로부터 수신된 압축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신장하여 디지털 비디오/오디어 입출력 포트(21-13) 또는 비디오/오디오 A/D 변환기(20)로 전송하거나, 역으로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압축하여 IEEE1394 지원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 칩(18)으로 전송한다.
비디오/오디오 A/D 변환기(20)는 디지털 미디어 데이터뿐만 아니라 아날로그 미디어 데이터도 룸 브리지 어뎁터(100)내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각 인터페이스 칩들은 외부 통신 포트(21)와 연결되어 외부 기기와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이 중 IEEE1394 통신과 관련된 IEEE1394 포트(21-10), CAT5(e) 포트(21-11), 광 케이블 포트(21-12) 등은 데이지 체인(Daisy Chain) 형태의 버스 구조를 지원하기 위해 최소 2개 이상의 외부 포트를 지녀야 한다.
외부 통신 포트(21)의 구성에서도 종래의 구성에서 블루투스 포트(21-1), LAN 포트(21-2), 무선랜 포트(21-4), CAT5(e) 포트(21-11), 광 케이블 포트(21-12), 디지털 비디오/오디오 입출력 포트(21-13) 및 아날로그 비디오/오디오 입출력 포트(21-14)의 구성을 추가하였다.
이 외에도 시스템 클럭과 전원 제어를 담당하는 클럭 제어부(6)와 전원 제어부(7)와 같은 시스템 내에 필수적인 제어부가 존재한다.
내부 구조에 있어 종래의의 룸 브리지 시스템과 가장 차이가 나는 부분은 홈 멀티미디어 기능 확장과 관련된 멀티미디어 코덱 칩(17), IEEE1394 지원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 칩(18), IEEE1394 디지털 데이터 변환기(19), 비디오/오디오 A/D 변환기(20) 및 이와 관련된 외부 통신 포트(21) 부분이다. 이와 관련하여 전체적인 데이터 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아날로그 미디어 기기(예. 아날로그 TV, VCR, 오디오, 스피커 등)의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는 외부 통신 포트(21)에 포함된 아날로그 비디오/오디오 입출력 포트(21-14)를 통해 비디오/오디오 A/D 변환기(20)로 전달된다. 비디오/오디오 A/D 변환기(20)는 수신된 아날로그 데이터를 룸 브리지 어뎁터(100) 내부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비디오/오디오 A/D 변환기(20)를 통해 전환되거나 외부 통신 포트(21)의 디지털 비디오/오디오 입출력 포트(21-13)를 통해서 입력된 디지털 데이터(예. ITU-R BT.601, ITU-R BT.656, SPDIF(Sony Philips Digital Interface) 포맷 등)는 멀티미디어 코덱 칩(17)을 통해 압축된 데이터 형태(예. DV(Digital Video), MPEG(Motion Picture Expert Group), JPEG(Joint Photographic Coding Expert Group), Wavelet 포맷 등)로 다시 변환된다. 압축을 통해 사이즈가 축소된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는 IEEE1394 지원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 칩(18)을 통해 외부 데이터 인터페이스 버스(23)에 존재하는 어떠한 인터페이스 칩과도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예로써 VCR의 아날로그 비디오/오디오 데이터 혹은 캠코더의 디지털 비디오/오디오 데이터가 IEEE1394 지원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 칩(18)과 WLAN 인터페이스(11) 칩 간의 상호 연동을 통해 노트북 상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IEEE1394 포트 혹은 다른 디지털 데이터 입력 포트를 통해 입력된 디지털 미디어 데이터 역시 각 상기 언급된 데이터 흐름과의 반대 과정을 통해 아날로그 미디어 데이터로의 출력이 가능하다.
위의 설명한 내용을 참고로 기존의 룸 브리지가 지니는 가정 내 존재하는 장비들의 계층적 제어 기능과 더불어 멀티미디어 관련 칩들과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지털 미디어 기기와 아날로그 미디어 기기간의 데이터 통신 기능을 통해 멀티미디어 환경 구축이 용이하게 된다.
도 3은 도 2의 룸 브리지 어뎁터(100)의 전원 공급 및 홈 네트워크 백본의 연결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방에는 하나의 룸 브리지 어뎁터(100)가 존재하여 방 안에 존재하는 여러 가전기기 및 미디어 기기들의 제어뿐만 아니라 방 내외부에 존재하는 다른 가전기기들 간의 상호 연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러나 하나의 방마다 반드시 하나의 룸 브리지 어뎁터(100)가 구비될 필요는 없으며, 편의에 따라 룸 브리지 어뎁터(100)의 배치 수의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홈 게이트웨이(200)는 룸 브리지 어뎁터(100)가 외부와 인터넷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인터넷 기능을 지원하는 것이다. 또한, 룸 브리지 어뎁터(100)간의 통신을 통해 각 방에서도 외부 인터넷과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룸 브리지 어뎁터(100)는 벽 내장형(Wall Plug Type)이나 셋톱박스형(Set Top Box Type)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형태에 따라 전원 연결 방법이 달라질 수 있다.
내장형 룸 브리지 어뎁터(100)는 벽 외부로 나와 있는 전원 콘센트(202)를 이용하지 않고 벽 내부로 통하는 전원 선을 직접 사용하여 전원 선이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게 할 수 있으며, 콘센트에 바로 전원 선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셋톱박스형 룸 브리지 어뎁터(100)는 콘센트에 전원선을 연결하거나 룸 브리지 어뎁터(100)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룸 브리지 어뎁터(100)간 연결을 위한 홈 네트워크 백본(Home Network Backbone)용으로 광 케이블(302)이나 CAT5(e) 케이블(303)을 이용하여 수십 미터 이상 거리간의 통신 선로를 구축함으로써 최대 기가비트(Gb) 단위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한다.
광케이블 이용과 관련하여 룸 브리지 어뎁터(100)에 광케이블 단자가 있는 경우에는 직접 연결이 가능하나 일반적으로 구리 케이블(Copper Cable)용 단자만이 존재하는 경우 광케이블용 리피터(201)를 이용하여 광케이블과 연결이 가능하다.
도 4는 룸 브리지 어뎁터 간의 제어 신호 및 데이터 신호의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ROOM 1에 있는 VCR 혹은 캠코더와 같은 장비에서 출력되는 디지털/아날로그 비디오/오디오 신호는 ROOM1에 있는 룸 브릿지 어뎁터(100)와 ROOM2에 있는 룸 브릿지 어뎁터(100)간의 상호 연동을 통해 ROOM2에 있는 TV나 PC를 통해 시청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더불어, 리모콘과 같은 기존의 디지털/아날로그 기기의 제어를 위해 사용하던 적외선 통신 기기 혹은 RF(Radio Frequency) 제어기기와 룸 브릿지 어뎁터(100) 간의 연동을 통해 무선을 이용한 원거리 제어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디지털/아날로그 미디어 기기를 포함한 일반 가전기기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즉, ROOM1에 존재하는 기존의 TV 리모콘을 이용하여 ROOM2에 있는 TV의 채널 변경이나 환경 설정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a는 벽 내장형(Wall Plug Type) 룸 브리지 어뎁터의 제 1 실시예의 외형도이다.
도 5a의 형태는 일반적인 벽 내장형이며 시스템 전면에 모든 입출력 단자 및 KEY/LED 및 VFD/LCD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분이 존재한다.
상술하면, 제 1 실시예에 따른 벽 내장형 룸 브리지 어뎁터는 좌측 상단에 VFD/LCD(104)가 있어 시스템의 상태 및 제어 정보를 표시하고, 그 하단에 제어 키 또는 상태 LED 등이 위치하는 KEY/LED 제어부(105)가 위치한다.
그리고, 우측 상단에는 LAN 포트, 전화선 포트, USB 포트, CAN/LonWorks 포트 등의 외부 포트부(101)가 위치하고, 그 하단에 구리선 포트, 광 케이블 포트, CAT5(e) 케이블 포트를 포함하는 IEEE1394 포트부(102)가 위치하며, 그 하단에 비디오 및 오디오 단자(103)가 위치한다.
도 5b는 벽 내장형(Wall Plug Type) 룸 브리지 어뎁터의 제 2 실시예의 외형도이다.
도 5b에 도시된 형태는 벽(Wall)의 상부와 하부에 내장되는 시스템을 분리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분 및 IR(InfraRed), WLAN과 같은 무선 입출력 단자는 벽의 상단(111)에, 일반적인 입출력 단자(예. LAN, 전화선, USB, CAN/LonWorks, IEEE1394, 비디오, 오디오 등)(112 ~ 114)는 벽의 하단에 이격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일반적인 입출력 포트를 신경 쓰지 않고, 벽의 상단에 존재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분 만을 조작하여 룸 브릿지 어뎁터(1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a는 셋톱 박스형 룸 브리지 어뎁터의 전면도이고, 도 6b는 셋톱 박스형 룸 브리지 어뎁터의 후면도이다.
셋톱 박스형 룸 브리지 어뎁터의 전면(121)에는 VFD/LCD부(121-1), KEY/LED부(121-3)를 포함하는 포함하는 사용자의 인터페이스 부분이 위치하고, 후면(131)에는 일반적인 입출력 단자(131-1 ~ 131-9)가 존재한다. 시스템의 전원 제어와 관련하여 외부 전원 스위치를 이용하여 직접 전원을 차단하는 경성 전원 차단(Hard Power Down) 모드와 소프트웨어적으로 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연성 전원 차단(Soft Power Down) 모드가 있으며 연성 전원 차단 모드에서는 일반적으로 외부에 전원 스위치가 없는 형태를 지닌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미디어 기기 뿐만 아니라 아날로그 미디어 기기와의 연동을 통해 가정 내 멀티미디어 시스템 구축이 가능하도록 하는 룸 브리지 어뎁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광 케이블 또는 CAT5(e) 케이블을 이용하여 각 방에 소재하는 룸 브리지 어뎁터를 연결하여 사용자가 어느 방에 있든 가정 내의 모든 기기들을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홈 네트워크 백본망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룸 브리지 어뎁터를 통해 각 방 간의 미디어 데이터 통신, IPover1394 소프트웨어 탑재를 통한 위부 인터넷 통신, 원격지에서의 가정 내 모든 사물의 감시 및 기기 제어가 가능한 환경이 제공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룸 브리지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아날로그 멀티미디어 지원을 위한 룸 브리지 어뎁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룸 브리지 어뎁터의 전원 공급 및 홈 네트워크 백본의 연결도이다.
도 4는 룸 브리지 어뎁터 간의 제어 신호 및 데이터 신호의 흐름도이다.
도 5a는 벽 내장형(Wall Plug Type) 룸 브리지 어뎁터의 제 1 실시예의 외형도이다.
도 5b는 벽 내장형(Wall Plug Type) 룸 브리지 어뎁터의 제 2 실시예의 외형도이다.
도 6a는 셋톱 박스형 룸 브리지 어뎁터의 전면도이다.
도 6b는 셋톱 박스형 룸 브리지 어뎁터의 후면도이다.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 CPU 2 : 메인 메모리
3 : 플래쉬 메모리 4 : VFD/LCD 제어부
5 : KEY/LED 제어부 6 : 클럭 제어부
7 : 전원 제어부 8 : 블루투스 인터페이스 칩
9 : LAN 인터페이스 칩 10 : MODEM
11 : WLAN(Wireless LAN) 인터페이스 칩 12 : X-10 인터페이스 칩
13 : LonWorks 인터페이스 칩 14 : CAN 인터페이스 칩
15 : IrDA 인터페이스 칩 16 : USB 인터페이스 칩
17 : 멀티미디어 코덱 칩
18 : IEEE1394 지원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 칩
19 : IEEE1394 디지털 데이터 변환기
20 : 비디오/오디오 아날로그/디지털 데이터 변환기
21 : 외부 통신 포트 22 : 내부 데이터 인터페이스 버스
23 : 외부 데이터 인터페이스 버스 100 : 룸 브리지 어뎁터
200 : 홈 게이트웨이 201 : 리피터
202 : 콘센트 203 : 어뎁터
300 : AC 전원선 (예. AC110V, AC220V)
301 : 통신선
302 : 광 케이블 (Fiber Optic Cable)
303 : CAT5(e) 케이블

Claims (8)

  1. 내부 데이터 인터페이스 버스를 통해 CPU와 연결되는 저장부, 표시부 및 키패드부를 포함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멀티미디어 지원을 위한 룸 브리지 어뎁터에 있어서,
    외부 데이터 인터페이스 버스를 통해 상기 CPU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 칩;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칩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부 통신포트;
    상기 외부 데이터 인터페이스 버스를 통해 상기 CPU와 연결되고, IEEE1394 데이터 송수신 및 디지털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IEEE1394 포트에 적합한 포맷으로 변환을 수행하는 IEEE1394 지원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 칩;
    일단이 상기 IEEE1394 인터페이스 칩과 연결되고, 비디오/오디오 데이터의 압축 및 신장 처리를 수행하는 멀티미디어 코덱 칩; 및
    상기 멀티미디어 코덱 칩에서 신장처리된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비디오/오디오 신호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비디오/오디오 신호를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는 비디오/오디오 A/D 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멀티미디어 지원을 위한 룸 브리지 어뎁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칩은
    블루투스 인터페이스 칩, LAN 인터페이스 칩, LAN 인터페이스 칩에 연결되는 MODEM 인터페이스 칩, WLAN 인터페이스 칩, X-10 인터페이스 칩, LonWorks 인터페이스 칩, CAN 인터페이스 칩, IrDA 인터페이스 칩 및 USB 인터페이스 칩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멀티미디어 지원을 위한 룸 브리지 어뎁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통신포트는
    블루투스 포트, LAN 포트, 무선랜 포트, CAT5(e) 포트, 광 케이블 포트, 디지털 비디오/오디오 입출력 포트 및 아날로그 비디오/오디오 입출력 포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멀티미디어 지원을 위한 룸 브리지 어뎁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IEEE1394 지원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 칩과 상기 CAT5(e) 포트 또는 광 케이블 포트 사이에 위치하여, IEEE1394 데이터를 상기 상기 CAT5(e) 포트 또는 광 케이블 포트에서 사용 가능한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 또는 그 역변환을 수행하는 IEEE1394 디지털 데이터 변환기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멀티미디어 지원을 위한 룸 브리지 어뎁터.
  5. 복수개의 청구항 1의 룸 브리지 어뎁터;
    상기 각 룸 브리지 어뎁터의 일단에 통신선을 통해 연결된 리피터; 및
    상기 리피터들을 연결하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를 위한 백본망.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광 케이블 또는 CAT5(e) 케이블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를 위한 백본망.
  7. 제 5 항에 있어서,
    전원을 상기 각 룸 브리지 어뎁터에 공급하기 위한 복수개의 콘센트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를 위한 백본망.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와 상기 룸 브리지 어뎁터의 사이에 어뎁터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를 위한 백본망.
KR1020040004364A 2004-01-20 2004-01-20 디지털/아날로그 멀티미디어 지원을 위한 룸 브리지 어뎁터 KR100592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4364A KR100592407B1 (ko) 2004-01-20 2004-01-20 디지털/아날로그 멀티미디어 지원을 위한 룸 브리지 어뎁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4364A KR100592407B1 (ko) 2004-01-20 2004-01-20 디지털/아날로그 멀티미디어 지원을 위한 룸 브리지 어뎁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6400A true KR20050076400A (ko) 2005-07-26
KR100592407B1 KR100592407B1 (ko) 2006-06-22

Family

ID=37264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4364A KR100592407B1 (ko) 2004-01-20 2004-01-20 디지털/아날로그 멀티미디어 지원을 위한 룸 브리지 어뎁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240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682B1 (ko) * 2005-12-07 2007-05-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멀티미디어 데이터 수신 기능을 구비한 룸 에이전트 장치및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100860347B1 (ko) * 2007-05-28 2008-09-25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브이씨엠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통합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951072B1 (ko) * 2007-11-29 2010-04-05 주식회사 필룩스 객실 통합 제어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682B1 (ko) * 2005-12-07 2007-05-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멀티미디어 데이터 수신 기능을 구비한 룸 에이전트 장치및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100860347B1 (ko) * 2007-05-28 2008-09-25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브이씨엠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통합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951072B1 (ko) * 2007-11-29 2010-04-05 주식회사 필룩스 객실 통합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2407B1 (ko) 2006-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771695B (zh) 家庭网络系统
KR101499923B1 (ko) 양방향 통신을 제공하는 미디어 인터페이스의 동작
US6644046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070223500A1 (en) Home Network System
US6661798B2 (en) Digital home information integrating system
US4763104A (en) Gateway for use in load control system
CN1905655B (zh) 通过标准视频电缆提供音频
KR20010005915A (ko)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구비하며 위치 의존 커서와 기능 제어를 하는 디스플레이
CN109819201A (zh) 一种会议用辅流数据传输方法、显示方法、会议系统及外围设备
JP2013537653A (ja) 冗長通信経路を有すドッキングステーション
JP2003005874A (ja) カードインターフェイス
US7380044B1 (en) IEEE 1394 to coaxial cable adapter
CN1248493C (zh) 用于处理一个波段的数字电视频道的电路
KR100592407B1 (ko) 디지털/아날로그 멀티미디어 지원을 위한 룸 브리지 어뎁터
US20150349974A1 (en) Smart home access device
WO2000028690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communications between ieee 1394 devices and devices operating under a different bus network protocol
KR100427697B1 (ko) 프로토콜 변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디바이스 제어방법
KR100819582B1 (ko) 네트워크 어댑터
US7299375B2 (e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remote operation system,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US20020129154A1 (en) Router and control method of audio/video apparatus using the router
US8239542B2 (en) Analog signal input/output system using network links
KR20080066384A (ko) Dtv링크 장치와 근거리통신단말기 간의 유저인터페이스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N215956540U (zh) 一种光纤、网络传输分布式坐席编解码装置
JP2001159944A (ja) リモートディスプレイコントローラ、遠隔操作端末及び遠隔操作システム
CN203057365U (zh) H.264高清数字视频实时编码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4

Year of fee payment: 10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