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5571A - 광디스크 제어펄스발생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광디스크 제어펄스발생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5571A
KR20050075571A KR1020040003380A KR20040003380A KR20050075571A KR 20050075571 A KR20050075571 A KR 20050075571A KR 1020040003380 A KR1020040003380 A KR 1020040003380A KR 20040003380 A KR20040003380 A KR 20040003380A KR 20050075571 A KR20050075571 A KR 20050075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ulse
clock
delay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3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4661B1 (ko
Inventor
이의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3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4661B1/ko
Publication of KR20050075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5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4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46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4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means for preventing contamination, e.g. by using a sanitary shea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Epidemi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록할 디스크에 요구되는 소정 포맷의 신호를 입력받아 마크와 스페이스 길이를 카운트하고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메모리의 어드레스를 지정하며, 상기 기록할 신호를 일정시간 지연시켜 출력하는 신호패턴분석기; 마크와 스페이스 길이의 조합에 따라 정해지는 지연시간값을 가지며, 상기 신호패턴분석기로부터 지정된 어드레스의 지연시간값을 출력하는 메모리부; 상기 신호패턴분석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메모리로부터 출력되는 지연시간값을 입력받아 입력신호의 마크에서 복수의 펄스를 가지는 기록펄스열을 생성하기 위한 소정의 윈도우신호들을 생성하는 윈도우신호발생기; 상기 지연시간값을 입력받아 상기 각 윈도우신호를 래치하기 위한 지연클럭을 생성하는 지연클럭생성부; 및 상기 각 윈도우 신호를 입력된 지연클럭에 따라 래치시키고 상기 윈도우신호들을 조합하여 제어펄스를 출력하는 펄스발생기를 포함하는 광디스크 제어펄스발생장치 및 상기 제어펄스의 생성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광디스크 제어펄스발생장치 및 방법 {Device of Control Pulse Generation for Optical Disc and The Method}
본 발명은 광디스크 제어펄스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 변환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할 때 정확한 기록마크의 생성을 위하여 열 간섭에 의해 기록마크가 왜곡되어지는 것을 억제하도록 기록펄스의 시작과 끝의 시간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펄스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디스크의 기록재생장치는 광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기록되어진 디스크를 재생한다. 기록하는 포맷(format)은 현재는 CD(R or RW) 포맷 혹은 DVD(-R, +R, -RW, +RW등) 포맷으로 디스크에 기록하고 있다.
종래 광디스크 기록재생장치를 이용하여 소정의 데이터를 디스크에 기록할 경우에 레이저파워를 기록레벨과 소거레벨의 2가지 파워사이에서 변조함으로써, 기존 신호를 소거하면서 새로운 신호를 기록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록방법에 의해서는 기록마크형상이 기록전후에 대칭이 아니라 눈물방울 형상으로 변형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것을 신호 파형으로 기록할 경우, 기록막의 도달온도가 여열효과에 의해서 선단부에서 낮고 종단부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높아지는 형상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기록마크의 변형은 재생파형변형으로 연결되어 지터증대의 원인이 된다. 이것을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일본국 특개소 63-266632호 및 일본국 특개소 63-279431호가 제안되어 있다.
상기 일본국 특개소 63-266632호 및 일본국 특개소 63-279431호는 한 개의 기록마크를 형성하기 위한 기록파형을 동일형상의 짧은 펄스로 이루어진 펄스열로 구성함으로써 기록마크의 형상변형을 저감한다고 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의해서도 상 변환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할 때 정확한 기록마크의 생성을 위하여 열 간섭에 의해 기록마크가 왜곡되어지는 것을 억제하도록 기록펄스의 시작과 끝의 시간을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상 변환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할 때 정확한 기록마크의 생성을 위하여 열 간섭에 의해 기록마크가 왜곡되어지는 것을 억제하도록 기록펄스의 시작과 끝의 시간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기록펄스발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입력된 지연시간값에 따라 적어도 두개의 클럭신호에 따라 윈도우신호들을 지연시켜 셋업시간 또는/및 홀드시간 위반이 방지되도록 출력하는 윈도우신호지연부를 더 구비하는 윈도우 신호발생기를 포함하는 광디스크 기록펄스발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 변환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할 때 정확한 기록마크의 생성을 위하여 열 간섭에 의해 기록마크가 왜곡되어지는 것을 억제하도록 기록펄스의 시작과 끝의 시간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기록펄스생성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록할 디스크에 요구되는 소정 포맷의 신호를 입력받아 마크와 스페이스 길이를 카운트하고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메모리의 어드레스를 지정하며, 상기 기록할 신호를 일정시간 지연시켜 출력하는 신호패턴분석기; 마크와 스페이스 길이의 조합에 따라 정해지는 지연시간값을 가지며, 상기 신호패턴분석기로부터 지정된 어드레스의 지연시간값을 출력하는 메모리부; 상기 신호패턴분석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메모리로부터 출력되는 지연시간값을 입력받아 입력신호의 마크에서 복수의 펄스를 가지는 기록펄스열을 생성하기 위한 소정의 윈도우신호들을 생성하는 윈도우신호발생기; 상기 지연시간값을 입력받아 상기 각 윈도우신호를 래치하기 위한 지연클럭을 생성하는 지연클럭생성부; 및 상기 각 윈도우 신호를 입력된 지연클럭에 따라 래치시키고 상기 윈도우신호들을 조합하여 제어펄스를 출력하는 펄스발생기를 포함하는 광디스크 제어펄스발생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입력된 지연시간값에 따라 적어도 두개의 클럭신호에 따라 윈도우신호들을 지연시켜 출력하는 윈도우신호지연부를 더 구비하는 윈도우 신호발생기를 포함하는 광디스크 제어펄스발생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신호패턴분석기에 입력되는 신호가 NRZI 데이터포맷의 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제어펄스발생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록할 디스크에 요구되는 소정 포맷의 신호를 입력받아 마크와 스페이스 길이를 카운트하고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메모리의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단계; 마크와 스페이스 길이의 조합에 따라 정해지는 상기 지연시간값을 메모리로부터 독출하는 단계; 상기 지연시간값과 입력신호로부터 입력신호의 마크에서 목수의 펄스를 가지는 기록펄스열을 생성하기 위한 소정의 윈도우신호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지연시간값으로부터 상기 각 윈도우신호를 래치하기 위한 지연클럭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각 윈도우 신호를 지연클럭에 따라 래치시키고 상기 윈도우신호들을 조합하여 제어펄스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디스크 제어펄스의 생성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윈도우신호들이 지연시간값에 따라 적어도 두개의 클럭신호에 따라 지연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제어펄스의 생성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되는 신호는 NRZI 데이터포맷의 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제어펄스의 생성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기록펄스열의 선두펄스의 펄스폭은 후속펄스열의 각 펄스의 펄스폭보다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제어펄스의 생성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광디스크 기록재생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호스트(Host)로부터 기록할 데이터를 입력받아서 기록DSP(1)에서 기록할 디스크에 필요한 포맷으로 변환하여 제어펄스발생장치(2)에 출력한다. 제어펄스발생장치(2)에서 제어펄스를 생성한 후 상기 제어펄스는 LD드라이버(Laser Diode Driver)(3)에 입력된다. LD드라이버(3)의 출력은 픽업(Pick up)(4)에 입력되고, 픽업(4)에서는 레이저(Laser)광을 디스크에 조사(照射)시킨다. 기록할 데이터에 따른 레이저광의 켜짐과 꺼짐에 의해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게 된다. 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재생할 때는 디스크의 마크(Mark)와 스페이스(Space)의 길이에 따른 레이저 반사광을 RF 증폭기(5)에서 증폭하고 파형등화(Equalization)시킨 후 일정한 형태의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재생DSP(6)에 입력시킨다. 재생DSP(6)는 디스크의 포맷에 대응하여 디스크의 데이터를 디코드(Decode)하여 호스트로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펄스발생장치(2)는 기록DSP(1)로부터 디스크에 기록할 데이터를 소정 포맷으로 입력받아서 LD 드라이버(3)에 제어펄스를 출력한다. 제어펄스발생장치(2)의 역할은 픽업이 레이저광을 디스크에 출력할 때 디스크 기록 특성을 좋도록 하기 위해서 레이저광을 기준시점으로부터 조건에 따라서 일정시간 지연을 시켜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기록전략(Write strategy) (Pattern적응형 기록방식이라고도 한다)이라 부른다.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어펄스발생장치(2)는 입력신호를 기록펄스(WRPULSE로 표시)와 소거펄스(ERPULSE로 표시) 신호로 생성하여 LD 드라이버(3)를 제어한다. LD 드라이버(3)에서 픽업(4)으로 출력되어지는 파형은 도 2의 LD 파워신호인데 3 레벨로 구성되어 있다. 즉 디스크에 기록하는 기록파워(Po), 디스크를 지우게 하는 소거파워(Pe), 및 재생하는 재생파워(Pb)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모양의 LD 파워신호를 만들기 위하여 제어펄스발생장치(2)에서 기록펄스와 소거펄스의 2개의 제어신호를 LD 드라이버(3)에 출력하고, LD 드라이버(3)는 기록펄스가 1이고 소거펄스가 0일 때는 기록파워(Po)신호를 출력하고, 기록펄스가 0, 소거펄스가 0일 때는 재생파워(Pb), 그리고 기록펄스가 0, 소거펄스가 1일 때는 소거파워(Pe)를 픽업(4)에 출력한다. 그리고 기록전략은 기록펄스와 소거펄스의 각 라이징에지(rising edge)와 폴링에지(falling edge)의 위치를 마크와 스페이스의 길이에 대응하여 제어하는 것이다.
기록전략의 목적은 상변환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시 열 간섭에 의해 기록 마크가 왜곡되어지는 것을 억제하여 정확한 기록 마크를 생성하기 위한 것이다. 고밀도의 광디스크 기록에 있어서 기록하는 마크전후의 조건에 의하여 마크에지가 이동하는 기록간섭이 발생한다. 따라서 기록신호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패턴(또는 마크) 적응형 기록 보상방식이 제안되었다. 디스크에 기록되는 마크의 왜곡을 줄이기 위하여 기록 마크의 길이만큼의 멀티펄스(multi-pulse) 파형을 만들고, 기록마크의 앞과 뒤의 스페이스 길이에 대응하여 기록펄스의 에지위치를 변화시킨다. 이것의 원리는 기록하려는 마크의 앞의 스페이스가 짧은 경우에 앞의 마크를 기록할 때의 열의 영향에 의하여 기록하려는 마크에지가 늘어가게 되고, 이를 보정하기 위하여 미리 기록펄스의 시작 위치를 지연시켜 기록 마크에지의 위치를 정한다. 기록하려는 마크의 앞의 스페이스가 긴 경우에는 앞의 마크를 기록할 때의 열의 영향이 줄어들기 때문에 미리 기록하려는 펄스의 시작 위치를 앞으로 당겨 기록 마크에지의 위치를 정한다. 보정량은 기록하려는 마크의 앞 또는 뒤의 스페이스 길이와 기록하려는 마크의 길이에 따르게 된다.
본 발명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LD 파워신호를 지연시키기 위하여 기록펄스의 선두펄스(first pulse)의 라이징에지의 위치와 선두펄스의 폴링에지 위치를 현재 디스크에 기록하려고 하는 소정 신호의 마크길이와 이전의 스페이스 길이를 조합하여, 조합 조건에 따라서 지연되는 값을 결정한다. 그리고 기록펄스의 멀티펄스열은 기록하려고 하는 신호의 마크길이에 따라서 펄스의 폭이 결정되어진다. 또한, 소거펄스의 라이징에지의 위치는 기록펄스의 선두펄스의 라이징 에지의 위치와 같고 폴링에지의 위치는 디스크에 기록하려고 하는 신호의 마크길이와 뒤의 스페이스 길이의 조합에 의하여 정해진다. 기록펄스와 소거펄스의 라이징 및 폴링에지의 위치의 시간 지연값들은 실험적으로 구해질 수 있다. 즉 디스크에 기록실험을 여러번 수행하여 가장 좋은 지터(Jitter)특성을 갖는 (가장 작은 지터)실험치를 구하여 시간 지연값을 구할 수 잇다. 도 2에서 td1은 첫 번째 펄스의 라이징 에지의 위치값이고, td2는 첫 번째 펄스의 폴링에지의 위치값을 나타낸다. td3은 멀티펄스의 길이인데, 멀티펄스의 폴링에지의 위치는 기준클럭신호(ref_clk)의 라이징에지와 동위상이고, 라이징에지의 위치를 변화시켜 멀티펄스의 길이를 제어한다. td4는 멀티펄스의 폴링에지로부터 일정시간 후에 소거펄스를 1로 만드는 값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어펄스발생장치의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입력신호패턴분석기(10), 윈도우신호발생기(11), 펄스발생기(12), 라이트 스트레터지를 구현하기 위한 메모리부(13), 지연클럭생성부(14) 및 마이컴 인터페이스(15)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신호패턴분석기에 입력되는 신호는 NRZI 포맷을 예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기록 DSP(1)로부터 각 디스크의 포맷에 대응하는 신호를 NRZI 포맷으로 입력받아 LD 드라이버(3)에 기록파워(write power), 소거파워(erase power), 읽기파워(read power)를 제어하는 제어펄스를 출력한다. NRZI 패턴분석기(10)에서 NRZI의 마크와 스페이스의 길이를 분석하여 라이트스트레터지(Write strategy) 메모리부(램)(13)의 어드레스를 정하고, 상기 메모리부(13)는 시간지연값인 데이터 td1, td2, td3, td4 값을 지연클럭생성부(14)에 출력한다. 또한, 윈도우신호발생기(11)은 기록하려는 마크의 크기에 대응하는 윈도우신호를 펄스발생기(12)에 출력한다. 펄스발생기(12)는 윈도우신호발생기(11)로부터 출력되는 각각의 윈도우신호들을 지연클럭생성기(14)로부터 출력되는 래치클럭(latch clock)에 따라 래치시킨 후 게이트를 통과시켜 기록펄스열을 생성한다. 이하에서 상기 각 장치의 기능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NRZI 패턴분석기(10)는 입력되는 NRZI신호로부터 마크와 스페이스의 길이를 카운트한다. 기록하려는 마크의 길이를 카운트한 마크카운트(mark_count)와 그 전의 스페이스(Leading space)의 길이를 카운트한 스페이스 카운트(space_count)를 조합하여 메모리부(13)의 어드레스(address)를 결정하게 된다. 메모리부(13)의 데이터는 각각 5비트의 td1, td2, td3, td4로 구성되어 있다. td1은 제어펄스중 기록펄스의 선두펄스의 라이징에지를 결정하는 지연시간 데이터이고, td2는 선두펄스의 폴링에지를 결정하는 지연시간 데이터이다. 그리고 td3은 후속 펄스열의 폭을 결정하는 데이터이다. 마지막으로 td4는 제어펄스중 소거펄스의 지연시간을 결정하는 데이터이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선두펄스의 펄스폭은 후속펄스열의 각 펄스의 펄스폭보다 크게 하는 것이 기록마크의 변형을 저감하는 측면에서 효과적이다.
메모리부(13)에 저장되어 있는 지연시간 데이터인 td1, td2, td3, td4는 마이컴 인터페이스(15)를 이용하여 로딩된다. 상기 지연시간 데이터들은 실험적으로 정해질 수 있으며, 결정된 시간지연 데이터는 디스크에 기록하기 전에 미리 마이컴 인터페이스(15)가 메모리에 저장해 놓는다. 또한 NRZI 패턴분석기(10)는 입력신호인 NRZI를 바람직하게는 일정기간 지연시켜 출력한다. (지연신호는 nrzi_ref로 표시). NRZI를 일정기간 지연시키는 이유는 패턴분석기(10)에서 출력되는 어드레스와 NRZI 신호의 동기를 맞추기 위해서이다. 즉, 어드레스가 출력되는 시점에서의 NRZI신호를 일정시간 지연시켜 출력함으로써 윈도우신호발생기(11)에서 각 펄스에 대한 윈도우 신호를 만들어 낼 수 있게 한다.
도 4에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신호발생기(11)가 도시되어 있다. 윈도우신호발생기(11)는 지연신호(nzri_ref)와 지연시간 데이터(td1~td4)를 입력받아 지연신호가 1 인 상태(마크)에서 기록펄스열을 생성하기 위한 윈도우신호를 생성한다. 윈도우신호발생기(11)는 기능상 두개의 부분으로 나뉘어지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는 기록펄스열을 생성하기 위한 복수의 윈도우신호를 생성하는 조합논리회로부(21)와, 다른 하나는 상기 조합논리회로부(21)에서 나온 신호들을 지연시간값에 따라서 신호를 두개의 클럭(클럭1, 클럭2)을 이용하여 반클럭, 한클럭 또는 한클럭반을 지연시켜 출력하는 윈도우신호지연회로부(22)로서 구현될 수 있다. 윈도우신호지연회로부(22)의 출력신호들은 펄스발생기(12)에 입력되어 최종출력인 제어펄스로서 출력된다.
도 10에 기록펄스열 중 선두펄스를 생성하기 위한 2개의 윈도우신호(라이징에지 생성용 fp_win1, 폴링에지 생성용 fp_win2)에 대한 타이밍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1 및 도 12에는 각각 기록펄스열중 후속펄스인 멀티펄스의 생성을 위한 2개의 윈도우신호(mp_win1, mp_win2)및 제어펄스 중 소거펄스를 생성하기 위한 2개의 윈도우신호(ep_win1, ep_win2)에 대한 타이밍도가 도시되어 있다.
윈도우신호지연회로부(22)는 조합논리회로부(21)의 출력을 지연시간의 값에 따라서 지연시켜 출력하는 것이 좋다. 이는 펄스발생기(12)에서 윈도우신호발생기(11)의 출력신호를 지연시간값에 따른 래치클럭(td1_clk, td2_clk, td3_clk, td4_clk로서 표시한다)을 이용하여 래치를 수행할 때 만약 윈도우신호발생기(11)의 출력신호와 래치클럭 신호가 동위상이거나 셋업시간(setup time)이나 홀드시간(hold time)의 마진(margin)이하로 시간차가 벌어진 신호라면 셋업시간이나 홀드시간 위반이 생기는 것을 제거해 준다.
도 7에 클럭1, 클럭2, 및 기준클럭(ref_clk)이 도시되어 있다. 클럭1은 기준클럭을 반클럭 지연시킨 것이고, 클럭2는 기준클럭과 동위상의 클럭이다. 윈도우신호발생기(11)의 조합논리회로부(21)에서는 기준클럭을 이용하여 윈도우신호들을 출력하는데 만일 윈도우출력신호를 윈도우신호지연회로부(22)를 거치지 않고 그대로 펄스발생기(12)에 출력하게 된다면, 셋업시간과 홀드시간 위반이 일어나게 될 가능성이 있다.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선두펄스의 라이징에지 생성을 위한 윈도우신호(fp_win1_1)는 기준클럭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기준클럭과 동위상이 된다. 그런데 상기 신호를 펄스발생기(12)에서 지연시간 td1에 따른 래치클럭(td1_clk[0]로 표시)으로 선택하는 경우 상기 선두펄스 윈도우신호와 래치클럭이 동위상이 되어 셋업시간 위반이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이를 피하기 위해서는 상기 선두펄스 윈도우신호를 클럭1 신호를 이용하여 반클럭 지연시키면 셋업시간 위반은 해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에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신호지연회로부(22)의 구체적인 구현예가 도시되어 있다. 선두펄스 윈도우신호(fp_win1_1)를 D F/F(31)에서 클럭1을 이용하여 반 클럭지연시키고, 다시 D F/F(32)에서 클럭(2)을 이용하여 한클럭을 지연시킨다. 또한 D F/F(32)의 출력신호를 D F/F(33)를 이용하여 원래신호에서 한클럭반을 지연시킨다. 그리고 3×1 멀티플렉스(3-1Mux로 표시)(34)에서 td1의 값에 따라서 A, B, C 신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만약, td1이 0∼7이라면 td1에 따른 래치클럭(각각 td1_clk[0]∼td1_clk[7]로서 표시)중에서 선두펄스 윈도우신호를 래치하므로 선두펄스 윈도우신호를 반클럭지연시킨 A신호를 선택하게 된다. 이에 의하면, 펄스발생기(12)의 D F/F(60)(도 9)에서는 최소 1/2클럭 만큼의 셋업시간의 여유가 있게 된다. 만약 td1이 8∼23이라면 td1에 따른 래치클럭(td1_clk[8]∼td1_clk[23]로 표시) 중에서 선두펄스 윈도우신호를 래치하게 되므로 윈도우신호를 한클럭 지연시킨 B신호를 선택하게 된다. 이에 의하면, 펄스발생기(12)의 D F/F(60)에서는 최소 1/4클럭 만큼의 셋업시간의 여유가 있게 된다. 또한 만약 td1이 24∼31이라면 td1에 따른 래치클럭(td1_clk[24]∼td1_clk[31]로 표시)중에서 선두펄스 윈도우신호를 래치하게 되므로 윈도우신호를 한클럭반을 지연시킨 C신호를 선택하게 된다. 이에 의하면, 펄스발생기(12)의 D F/F(60)에서는 최소 1/4클럭 만큼의 셋업시간의 여유가 있게 된다. 나머지 윈도우신호들(fp_win2_1, mp_win1_1, mp_win3_1, ep_win1_1, ep_win2_1)도 상기 선두펄스 윈도우신호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지연시간값에 따라서 3×1 멀티플렉서에서 각각 A, B, C의 신호를 선택해 준다.
도 8에 상기에서 설명된 것에 대한 타이밍도가 도시되어 있다. Td가 0∼7이라면 3×1멀티플렉서에서 A신호를 선택하고, Td가 8∼23이라면 3×1멀티플렉서에서 B신호를 선택하고, Td가 24∼31이라면 3×1 멀티플렉서에서 C신호를 선택하게 된다.
제어펄스중 기록펄스열은 두개의 펄스로 나누어 생성할 수 있다. 선두펄스와 후속펄스인 멀티펄스로 구분하여 펄스를 각각 만들어 낸다. 우선 선두펄스(first_pulse로 표시)를 생성하기 위하여 NRZI패턴분석기에서의 출력신호(nrzi_ref)보다 1클럭 지연시키고 길이는 2T를 갖는 선두펄스의 라이징에지 생성용 윈도우신호(fp_win1_1)를 생성한다. 그리고 NRZI패턴분석기에서의 출력신호와 동기되고 길이는 2T를 갖는 선두펄스의 폴링에지 생성용 윈도우신호(fp_win2_1)를 생성한다.
도 9에 펄스발생기(12)의 블록이 도시되어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펄스 발생기(12)의 입력으로 fp_win1, fp_win2의 신호가 전달되고, 펄스발생기(12)에서는 fp_win1, fp_win2 신호를 각각 래치클럭인 td1_clk, td2_clk로 td1, td2만큼 각각 지연시킨 신호 fp_win1_lat, fp_win2_lat 신호를 만들어 낸다. 상기 fp_win1 신호를 D F/F(60)에서 td1만큼의 시간지연을 위하여 td1_clk으로 래치하여 fp_win1_lat을 만들어 낸다. 또한, fp_win2 신호는 D F/F(61)에서 td2만큼의 시간을 지연하기 위하여 td2_clk으로 래치하여 fp_win2_lat을 만들어 낸다. 이에 대한 타이밍도는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D F/F(60)에서 래치되어진 신호 fp_win1_lat은 2입력AND 게이트(70)의 입력으로 전달된다. 또한 D F/F(61)에서 래치되어진 신호 fp_win2_lat은 2입력AND 게이트(70)의 다른 한쪽 입력으로 전달된다. 그리고 2입력AND 게이트(70)의 출력은 도 9에 나타난 것처럼 선두펄스로 생성되어진다. 즉 fp_win1신호를 td1_clk으로 td1만큼 지연시킨 신호와 fp_win2 신호를 td2_clk으로 td2만큼 지연시킨 신호를 AND 게이트(70)를 통과시켜 선두펄스로서 생성하는 것이다.
후속펄스인 멀티펄스를 생성하기 위하여 윈도우신호발생기(11)에서 mp_win1, mp_win3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데 이에 대한 타이밍도는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mp_win1신호는 NRZI패턴분석기에서의 출력신호가 1일 때 2번째 클럭주기에서 1이고, 3번째 클럭주기에서는 0이 된다. 따라서 mp_win1신호는 NRZI패턴분석기에서의 출력신호가 1인 구간의 짝수번째 클럭주기에서만 1로 되고 나머지는 0으로 된다. mp_win2은 mp_win1신호를 한주기 지연시킨 신호로서 만들어 낸다. mp2_win신호도 NRZI패턴분석기에서의 출력신호가 1일 때만 펄스가 만들어 지도록 한다. 펄스발생기(12)에서 mp_win1, mp_win3 신호를 td3_clk, 기준클럭(ref_clk)으로 D F/F(62), D F/F(63), D F/F(64), D F/F(65)를 이용하여 각각 래치한다. mp_win1신호를 td3_clk으로 td3만큼 지연시켜서 D F/F(62)에 래치하여 지연신호인 mp_win1_lat을 생성하고, 이 신호를 3입력AND 게이트(71)의 입력에 전달한다. 그리고 mp_win1신호를 기준클럭으로 1클럭만큼 지연시켜 D F/F(63)에 래치하여 지연신호인 mp_win2_lat을 생성하여 3입력AND 게이트(71)의 다른 한쪽 입력에 전달한다. 그리고 3입력AND 게이트(71)의 나머지 입력에는 NRZI패턴분석기에서의 출력신호를 입력하여 멀티펄스가 상기 출력신호가 1인 경우에만 생성되도록 한다. mp_win3신호를 td3_clk으로 td3만큼 지연시켜서 D F/F(64)에 래치하여 지연신호인 mp_win3_lat을 생성하고, 이 신호를 3입력AND 게이트(72)의 입력에 전달한다. 그리고 mp_win3신호를 기준클럭으로 1클럭만큼 지연시켜 D F/F(65)에 래치하여 지연신호인 mp_win4_lat을 생성하여 3입력AND 게이트(72)의 다른 한쪽 입력에 전달한다. 그리고 3입력AND 게이트(72)의 나머지 입력에는 NRZI패턴분석기에서의 출력신호를 입력하여 멀티펄스가 상기 출력신호가 1인 경우에만 생성되도록 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연신호인 mp_win1_lat과 mp_win2_lat, 그리고 NRZI패턴분석기에서의 출력신호를 AND 게이트한 것과 지연신호인 mp_win3_lat과 mp_win4_lat신호, 및 NRZI패턴분석기에서의 출력신호를 AND게이트한 것을 오링(Oring)하면 후속펄스인 멀티펄스가 생성된다. 최종적으로 2입력AND 게이트(70) 출력, 3입력AND 게이트(71) 출력, 3입력AND 게이트(72) 출력을 3입력OR 게이트(74)의 입력에 각각 연결하여 기록펄스열을 생성한다. 이에 대한 설명이 도 15의 기록 펄스 타이밍도에 도시되어 있다.
소거펄스(ERPULSE)를 생성하기 위하여 윈도우신호인 ep_win1, ep_win2를 윈도우신호생성기(11)에서 만든다. 윈도우신호인 ep_win1은 NRZI패턴분석기에서의 출력신호를 1주기 지연시킨 신호가 사용된다. 그리고 윈도우신호 ep_win2는 NRZI패턴분석기에서의 출력신호와 같은 파형으로 생성한다. 도 9의 펄스발생기(1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윈도우신호 ep_win1을 D F/F(66)을 이용하여 td1만큼 td1_clk으로 지연하여 래치한 후 지연신호인 ep_win1_lat을 만든다. 그리고 윈도우신호 ep_win2를 D F/F(67)을 이용하여 td1만큼 td4_clk으로 지연하여 래치한 후 지연신호 ep_win2_lat을 생성한다. ep_win1_lat과 ep_win2_lat은 2입력NAND 게이트(73)의 각각의 입력에 전달하여 소거펄스를 생성한다. 이에 대한 타이밍도는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3은 상기에서 설명한 선두펄스와 멀티펄스를 오링하여 기록펄스를 생성하는 그림이다. 또한 기록펄스와 소거펄스의 관계가 상기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도 14는 지연클럭생성부(14)의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지연클럭생성부(14)는 DLL(Delay Locked Loop, 80)과 복수개의 32×1멀티플렉서로서 구현될 수 있다. DLL(80)의 기능은 기준클럭 신호로부터 상기 신호와 동기가 되어지고 일정한 지연을 갖는 여러 개의 클럭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여러 개의 클럭의 각각의 지연량은 n/N Tw (Tw : 클럭의 주기)가 된다. 즉 출력되는 클럭의 개수가 N이라면 n번째 클럭의 지연량은 n/N Tw 가 된다. 도 13에 이에 대한 그림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기준클럭에 대해서 클럭신호를 32개를 만들어내는 예가 도시되어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클럭에 대해서 1/32Tw만큼의 상지연(phase delay)을 갖는 dll_clk[0], 2/32Tw만큼의 상지연을 갖는 dll_clk[1], 3/32Tw만큼의 상지연을 갖는 dll_clk[2], 31/32Tw만큼의 상지연을 갖는 dll_clk[30], 기준클럭과 동위상의 클럭신호 dll_clk[31]을 만들어 낸다. 위에서 설명한 DLL의 출력은 32×1 Mux(81)에서는 32개의 dll_clk[31:0]중에서 td1[4:0]에 의하여 한 개를 선택하여 래치클럭 td1_clk로 출력한다. 기록펄스에서 선두펄스의 라이징에지를 td1만큼 지연시키기 위하여 메모리(13)로부터 td1을 읽어서 32×1 MUX(81)을 이용하여 td1만큼 지연된 클럭을 선택한다. 선택되어진 래치클럭인 td1_clk를 이용하여 D F/F(60)으로 래치하여 td1만큼 라이징에지가 지연되어진 선두펄스를 생성한다. 마찬가지로 기록펄스에서 선두펄스의 폴링에지를 td2만큼 지연시키기 위하여 메모리(13)로부터 td2을 읽어서 32×1 MUX(82)을 이용하여 td2만큼 지연된 클럭을 선택한다. 선택되어진 래치클럭인 td2_clk을 이용하여 D F/F(61)으로 래치하여 td2만큼 폴링에지가 지연되어진 선두펄스를 생성한다. 기록펄스열에서 멀티펄스의 폴링에지를 td3만큼 지연시키기 위하여 메모리(13)로부터 td3을 읽어서 32×1 MUX(83)을 이용하여 td3만큼 지연된 클럭을 선택한다. 선택되어진 래치클럭인 td3_clk을 이용하여 D F/F(62), D F/F(64)로 래치하여 td3만큼 폴링에지가 지연되어진 멀티펄스를 생성한다. 마지막으로 소거펄스의 라이징에지를 td4만큼 지연시키기 위하여 메모리(13)로부터 td4을 읽어서 32×1 MUX(84)을 이용하여 td4만큼 지연된 클럭을 선택한다. 선택되어진 래치클럭인 td4_clk을 이용하여 D F/F(67)로 래치하여 td4만큼 라이징에지가 지연되어진 소거펄스를 생성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 변환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할 때 정확한 기록마크의 생성을 위하여 열 간섭에 의해 기록마크가 왜곡되어지는 것을 억제하도록 기록펄스의 시작과 끝의 시간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변환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할 때 기록펄스의 위치를 입력신호의 패턴에 따라서 변동시키면 기록특성이 좋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CD기록기나 DVD기록기에 적용하여 기록특성을 개선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광디스크의 기록재생장치 블럭도이다.
도 2는 제어펄스발생기의 출력파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펄스발생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신호발생기의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신호발생기의 상세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신호발생기를 구성하는 윈도우신호지연부의 상세 블럭도이다.
도 7은 윈도우신호발생을 위한 클럭의 타이밍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신호지연부의 출력 타이밍과 지연시간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펄스발생기의 블럭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펄스열 중 선두펄스의 생성을 위한 윈도우 신호의 타이밍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펄스열 중 멀티펄스열의 생성을 위한 윈도우 신호의 타이밍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소거펄스열의 생성을 위한 윈도우 신호의 타이밍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펄스의 타이밍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연클럭생성부의 블럭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연클럭생성부의 타이밍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신호패턴분석기 11: 윈도우신호발생기
12: 펄스발생기 13: 메모리부
14: 지연클럭생성부 15: 마이컴 인터페이스

Claims (9)

  1. 기록할 디스크에 요구되는 소정 포맷의 신호를 입력받아 마크와 스페이스 길이를 카운트하고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메모리의 어드레스를 지정하며, 상기 기록할 신호를 일정시간 지연시켜 출력하는 신호패턴분석기; 마크와 스페이스 길이의 조합에 따라 정해지는 지연시간값을 가지며, 상기 신호패턴분석기로부터 지정된 어드레스의 지연시간값을 출력하는 메모리부; 상기 신호패턴분석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메모리로부터 출력되는 지연시간값을 입력받아 입력신호의 마크에서 복수의 펄스를 가지는 기록펄스열을 생성하기 위한 소정의 윈도우신호들을 생성하는 윈도우신호발생기; 상기 지연시간값을 입력받아 상기 각 윈도우신호를 래치하기 위한 지연클럭을 생성하는 지연클럭생성부; 및 상기 각 윈도우 신호를 입력된 지연클럭에 따라 래치시키고 상기 윈도우신호들을 조합하여 제어펄스를 출력하는 펄스발생기를 포함하는 광디스크 제어펄스발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신호발생기는 입력된 지연시간값에 따라 적어도 두개의 클럭신호에 따라 윈도우신호들을 지연시켜 출력하는 윈도우신호지연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제어펄스발생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신호는 기준클럭을 반클럭지연시킨 것과, 기준클럭과 동위상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제어펄스발생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신호패턴분석기에 입력되는 신호는 NRZI 데이터포맷의 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제어펄스발생장치
  5. 기록할 디스크에 요구되는 소정 포맷의 신호를 입력받아 마크와 스페이스 길이를 카운트하고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메모리의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단계; 마크와 스페이스 길이의 조합에 따라 정해지는 상기 지연시간값을 메모리로부터 독출하는 단계; 상기 지연시간값과 입력신호로부터 입력신호의 마크에서 목수의 펄스를 가지는 기록펄스열을 생성하기 위한 소정의 윈도우신호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지연시간값으로부터 상기 각 윈도우신호를 래치하기 위한 지연클럭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각 윈도우 신호를 지연클럭에 따라 래치시키고 상기 윈도우신호들을 조합하여 제어펄스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디스크 제어펄스의 생성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신호들은 지연시간값에 따라 적어도 두개의 클럭신호에 따라 지연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제어펄스의 생성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신호는 기준클럭을 반클럭지연시킨 것과, 기준클럭과 동위상의 클럭인 2개의 클럭이 사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제어펄스의 생성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입력되는 신호는 NRZI 데이터포맷의 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제어펄스의 생성방법
  9. 제 5항에 있어서, 기록펄스열의 선두펄스의 펄스폭은 후속펄스열의 각 펄스의 펄스폭보다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제어펄스의 생성방법
KR10-2004-0003380A 2004-01-16 2004-01-16 광디스크 제어펄스발생장치 및 방법 KR100534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3380A KR100534661B1 (ko) 2004-01-16 2004-01-16 광디스크 제어펄스발생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3380A KR100534661B1 (ko) 2004-01-16 2004-01-16 광디스크 제어펄스발생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5571A true KR20050075571A (ko) 2005-07-21
KR100534661B1 KR100534661B1 (ko) 2005-12-08

Family

ID=37263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3380A KR100534661B1 (ko) 2004-01-16 2004-01-16 광디스크 제어펄스발생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466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4661B1 (ko) 2005-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77184B1 (en) Adaptive writing method and circuit for a high-density optical recording apparatus
JP3138610B2 (ja) 相変化型光ディスク用記録方法
JP2000348349A (ja) 多様な形態の光記録媒体に適した記録パルス制御信号発生方法及びこれに適した記録装置
US7391697B2 (en) Adaptive writing method for high-density optical recording apparatus and circuit thereof
KR100403618B1 (ko) 자동 레이저 다이오드 출력 제어 장치
KR100534661B1 (ko) 광디스크 제어펄스발생장치 및 방법
JP4353023B2 (ja) 試し書き方法、情報記録方法
KR100354737B1 (ko) 고밀도 광기록기기를 위한 적응적인 기록방법 및 그 회로
KR100557052B1 (ko) 기록 펄스 발생 장치
JP2981645B2 (ja) 光磁気記録方法
JP2007335044A (ja) 情報記録装置
US8315145B2 (en) Adaptive writing method for high-density optical recording apparatus and circuit thereof
KR100322552B1 (ko) 고밀도광기록기기를위한기록제어방법
KR20040068667A (ko) 기록 펄스 발생 장치
JP2000099950A (ja) 情報記録方法および情報記録装置
JPH06150319A (ja) 情報の記録制御方式
JP4530090B2 (ja) 試し書き方法、情報記録方法及び情報記録装置
JP2546100B2 (ja) 光学的情報記録方法
KR19990069679A (ko) 고밀도 광기록기기를 위한 적응적인 기록방법 및 그 장치
JPH0573910A (ja) 光デイスク記録装置
JPH09167348A (ja) 光ディスクの記録方法、記録装置、再生方法および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