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5052A -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최하위 메뉴 아이템 접근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최하위 메뉴 아이템 접근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5052A
KR20050075052A KR1020040002819A KR20040002819A KR20050075052A KR 20050075052 A KR20050075052 A KR 20050075052A KR 1020040002819 A KR1020040002819 A KR 1020040002819A KR 20040002819 A KR20040002819 A KR 20040002819A KR 20050075052 A KR20050075052 A KR 20050075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button
user specific
lowest
i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2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선영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2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75052A/ko
Publication of KR20050075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505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04M1/7247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wherein the items are sorted according to specific criteria, e.g. frequency of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최하위 메뉴 아이템에 접근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메뉴 버튼 입력시, 복수의 메뉴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메인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메인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최하위 메뉴 아이템들을 우선순위에 따라 정렬한 사용자 특정 메뉴를 상기 메인 메뉴 화면의 하단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특정 메뉴를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소정 버튼 입력시 상기 사용자 특정 메뉴의 선택표시를 이동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특정 메뉴를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선택 버튼 입력시 상기 사용자 특정 메뉴의 선택표시가 위치된 최하위 메뉴 아이템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메인 메뉴에서 바로 최종 메뉴(최하위 메뉴)로 접근할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최하위 메뉴 아이템 접근 방법{METHOD FOR ACCESSING THE LOWEST MENU ITEM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최하위 메뉴 아이템(menu item) 접근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다 빠르게 최하위 메뉴 아이템에 접근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휴대의 편리성 때문에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며,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단말기 제조자)들은 많은 사용자들을 확보하기 위해 보다 특별한 기능을 갖는 단말기를 경쟁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종래기술에 있어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사용하는 메뉴는 단말기 개발사에서 일방적으로 구성한 순서대로 아이템들을 나열하고 있다. 이러한 메뉴 구성 방식의 문제점은, 개발사에서는 사용빈도가 높을 것으로 예측한 메뉴 아이템이 사용자의 기호, 관심사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외면당할 수 있다는 것이다.
더욱이, 최근 단말기의 기능이 다양화되어 감에 따라 세부 기능으로 진입하기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일부 기능의 경우 버튼을 수십번 눌러야 원하는 화면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 두 가지 방법을 제안된바 있다. 첫째는, 버튼에 특정 기능을 할당해서 한번의 버튼 입력으로 해당 기능에 바로 접근하는 방법이다. 둘째는,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숏컷(short-cut) 메뉴로 등록하여 해당 기능에 빠르게 접근하는 방법이다.
그런데, 첫 번째 방법은 버튼의 개수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메뉴를 커버하는데 한계가 존재하고, 더욱이 사용자가 거의 사용하지 않는 기능이 버튼에 할당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두 번째 방법은 조작에 따른 어려움 때문에 사용자들이 잘 사용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최하위 메뉴 아이템에 손쉽고 보다 빠르게 접근하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사용빈도에 따라 메뉴를 자동으로 재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또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메인 메뉴 화면 디스플레이시 상기 화면의 하단에 최하위 메뉴 아이템들을 사용빈도에 따라 재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최하위 메뉴 아이템 실행시 마지막 작업 내용이 설정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최하위 메뉴 아이템에 접근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메뉴 버튼 입력시, 복수의 메뉴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메인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메인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최하위 메뉴 아이템들을 우선순위에 따라 정렬한 사용자 특정 메뉴를 상기 메인 메뉴 화면의 하단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특정 메뉴를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소정 버튼 입력시 상기 사용자 특정 메뉴의 선택표시를 이동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특정 메뉴를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선택 버튼 입력시 상기 사용자 특정 메뉴의 선택표시가 위치된 최하위 메뉴 아이템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최하위 메뉴 아이템 실행시, 상기 최하위 메뉴 아이템에 대한 최종 작업 내용을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작업 내용이 설정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우선순위는 상기 하위 메뉴 아이템들의 사용빈도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소정 버튼은, 상기 사용자 특정 메뉴의 선택표시를 이전 아이템으로 이동하기 위한 *버튼 또는 상기 사용자 특정 메뉴의 선택표시를 다음 아이템으로 이동하기 위한 #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은 메인 메뉴 화면 디스플레이시 상기 화면 하단에 최하위 메뉴 아이템들을 사용빈도에 따라 재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된 최하위 메뉴 아이템들중 하나를 실행시 마지막 작업 내용이 설정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최하위 메뉴 아이템에 빠르게 접근할수 있도록 해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셀룰라 전화기(cellular phone), 개인휴대통신 전화기(PCS :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복합무선단말기(PDA : Personal Data Assistant), IMT2000(international mobile communication-2000) 단말기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며, 이하 설명은 상기 예들의 일반적인 구성을 가지고 설명할 것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MPU : Micro-processor Unit)(100)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들어, 음성통화 및 데이터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메인 메뉴 화면 디스플레이시 상기 화면 하단에 최하위 메뉴 아이템들을 사용빈도에 따라 재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기능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최하위 메뉴 아이템들중 하나를 실행시 마지막 작업 내용이 설정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기능을 처리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통상적인 제어부(100)의 처리 및 제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프로그램 메모리(102)는 무선전화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102)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를 사용할 수 있다. 데이터 메모리(104)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동작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데이터 메모리(104)는 램(Random Access Memory)을 사용할 수 있다. 불휘발성 메모리(106)는 단축 다이얼링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등록되는 전화번호 및 시스템 파라미터(system parameter) 등을 저장한다.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106)는 EEPROM을 사용할 수 있다.
키패드(key pad)(108)는 0 ∼ 9의 숫자 버튼들과, 메뉴버튼(menu), 취소버튼(지움), 확인버튼, 통화버튼(TALK), 종료버튼(END), 인터넷접속 버튼, 네비게이션 버튼들(▲/▼/◀/▶) 등 다수의 기능 버튼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버튼에 대응하는 버튼 입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 제한된 숫자의 문자들, 다량의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에 연결된 코덱(CODEC : Coder-Decoder)(112)과, 상기 코덱(112)에 접속된 마이크(114) 및 스피커(116)는 전화 통화 및 음성 녹음에 사용되는 음성 입출력 블록이다. 상기 코덱(112)은 상기 제어부(100)에서 제공되는 PCM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피커(116)를 통해 송출하고, 상기 마이크(114)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PCM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또한, RF부(Radio Frequency unit)(120)는 안테나(118)를 통해 수신되는 래디오주파수 신호를 주파수 하강시켜 기저대역처리부(122)로 제공하고,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22)로부터의 기저대역신호를 주파수 상승시켜 상기 안테나(118)를 통해 송신한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22)는 상기 RF부(120)와 상기 제어부(100) 사이에 송수신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처리한다. 예를들어, 송신인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수신인 경우 수신신호를 역확산(despreading) 및 채널복호(channel decoding)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메뉴 아이템들을 사용빈도에 따라 재구성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100)는 201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을 주기로 하는 타이머를 구동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는 203단계에서 메뉴 아이템들의 각각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사용빈도 값을 '0'으로 초기화한다.
상기 사용빈도 값을 초기화한후, 상기 제어부(100)는 205단계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최종 메뉴 아이템(또는 최하위 메뉴 아이템) 접근이 있는지 검사한다. 만일, 상기 최종 메뉴 아이템 접근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타이머 소멸을 검사하기 위해 213단계로 진행한다. 만일, 상기 최종 메뉴 아이템 접근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2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접근된 메뉴 아이템에 대응하는 사용빈도 값을 소정 값(예 : '1')만큼 증가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는 209단계에서 상기 사용빈도 값의 크기 순서에 따라 상기 최종 메뉴 아이템들을 정렬(sort)한다. 예를들어, 버블정렬(Bubble Sort)방식을 이용해 사용빈도 값들을 정렬하며, 이때 비교하는 두 사용빈도 값의 차이가 소정값(A)보다 작은 경우, 두 메뉴 아이템이 거의 동일한 빈도수를 가진다고 보고 순서를 교환하지 않는다. 이유는, 한번 사용할 때마다 메뉴의 디스플레이 순서가 바뀔 경우 사용자의 혼동을 초래할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소정값(A)은 사용자가 조정할수 있도록 구현할수 있다.
상기 최종 메뉴 아이템들을 사용빈도 값에 따라 정렬한후, 상기 제어부(100)는 2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접근된 최종 메뉴 아이템의 작업내용을 메모리의 특정 영역에 저장한다. 예를들어, 접근된 메뉴 아이템이 "전화번호등록" 이라면, 사용자가 작업한 정보(이름, 집 번호, 휴대폰 번호....)가 저장되고, 접근된 메뉴 아이템이 "발신메시지"라면 사용자가 작업한 "메시지 내용", "상대방 번호", "연락받을 번호" 등이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213단계에서 상기 타이머가 소멸되는지 검사한다. 만일, 상기 타이머 소멸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00)는 다시 메뉴 아이템 접근을 검사하기 위해 상기 205단계로 되돌아간다. 만일 상기 타이머 소멸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201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한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 최종 메뉴 아이템들의 각각에 대한 사용빈도 값, 사용빈도 값에 따른 우선순위 및 최종 작업 내용 등은 불휘발성 메모리(106)에 저장된다. 한편, 사용자가 특정 메뉴 아이템을 미리 정해진 기간동안 접근하지 않으면 효율적인 메모리 사용을 위해 상기 특정 메뉴 아이템에 대응되어 저장되어 있는 최종 작업 내용은 자동으로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최하위 메뉴 아이템에 빠르게 접근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100)는 301단계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메뉴(menu) 버튼이 입력되는지 검사한다. 만일, 상기 메뉴 버튼 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00)는 325단계로 진행하여 해당모드(예 : 대기모드)를 수행한다. 만일 상기 메뉴 버튼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303단계로 진행하여 메인 메뉴 화면을 표시창에 디스플레이한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메뉴 화면은 사용자가 미리 등록해둔 복수의 메뉴 아이템들을 아이콘을 이용해 디스플레이하게 되는데, 선택표시는 첫 번째 아이콘(1.내휴대폰)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메인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3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메인 메뉴 화면 하단에 사용자 특정 메뉴(USM : User Specified Menu)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하위 메뉴 아이템들을 사용빈도에 따른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메인 메뉴 화면의 하단에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최하위 메뉴 아이템들은 상술한 도 3의 절차에 의해 정렬된다.
상기 사용자 특정 메뉴(USM)를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00)는 307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 조작에 의해 방향 버튼(네비게이션 버튼)이 입력되는지 검사한다. 만일, 상기 방향 버튼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32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선택표시를 다음 메뉴 아이템으로 이동하고, 상기 305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한다.
만일, 상기 방향 버튼 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00)는 309단계로 진행하여 *버튼 또는 #버튼이 입력되는지 검사한다. 여기서, *버튼은 사용자 특정 메뉴의 선택표시를 왼쪽으로 이동하기 위한 버튼이고, 상기 #버튼은 사용자 특정 메뉴의 선택표시를 오른쪽으로 이동하기 위한 버튼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 특정 메뉴의 선택표시 이동을 위해 *버튼과 #버튼을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여타 다른 버튼들을 이용해 구현할수도 있다.
상기 *버튼 또는 #버튼 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00)는 다시 방향 버튼 입력을 검사하기 위해 상기 307단계로 되돌아간다. 만일 상기 *버튼 또는 #버튼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3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입력된 버튼에 대응하여 사용자 특정메뉴의 선택표시를 이동한다. 이때 풍선도움말을 이용하여 선택 메뉴 아이템에 대한 간단한 설명(예: '전화번호 등록")을 정해진 시간동안 보여준다.
상기 선택표시를 이동한후, 상기 제어부(100)는 313단계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 버튼이 입력되는지 검사한다. 일 예로, 상기 선택 버튼은 기존 메인 메뉴 화면에서 사용되지 않는 통화버튼 등을 이용해 구현할수 있다. 만일 상기 선택 버튼 입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00)는 다시 방향 버튼 입력을 검사하기 위해 상기 307단계로 되돌아간다. 만일 상기 선택 버튼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00)는 31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선택표시에 의해 선택된 최종 메뉴 아이템(또는 최하위 메뉴 아이템)을 실행한다.
상기 선택된 최종 메뉴 실행시, 상기 제어부(100)는 317단계에서 상기 최종 메뉴 아이템에 대한 최종 작업내용이 저장되어 있는지 검사한다. 상기 최종 작업 내용이 메모리에 존재하면, 상기 제어부(100)는 31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작업내용이 설정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예를들어, 상기 선택된 최종 메뉴 아이템이 "전화번호등록" 이라면, 도 4의 (C)와 같이 마지막으로 등록된 전화번호 정보(김철수 정보)가 설정된 전화번호등록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한편, 상기 최종 작업 내용이 메모리에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00)는 321단계로 진행하여 일반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예를들어, 상기 선택된 최종 메뉴 아이템이 "전화번호등록" 이라면, 설정내용이 없는 전화번호등록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메인 메뉴 화면 디스플레이시 상기 화면 하단에 최하위 메뉴 아이템들을 사용빈도에 따라 정렬하여 디스플레이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보다 쉽게 자주 사용하는 메뉴에 접근할수 있다. 특히, 메인 메뉴에서 바로 최종 메뉴(최하위 메뉴)로 접근할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최종 메뉴 실행시 마지막 작업 내용을 동시에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반복작업에 따른 수고를 제거할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메뉴 아이템들을 사용빈도에 따라 재구성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최하위 메뉴 아이템에 빠르게 접근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메인 메뉴 화면에서 최하위 메뉴 아이템에 접근할 때 디스플레이되는 화면들을 보여주는 도면.

Claims (4)

  1.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최하위 메뉴 아이템에 접근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메뉴 버튼 입력시, 복수의 메뉴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메인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메인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최하위 메뉴 아이템들을 우선순위에 따라 정렬한 사용자 특정 메뉴를 상기 메인 메뉴 화면의 하단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특정 메뉴를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소정 버튼 입력시 상기 사용자 특정 메뉴의 선택표시를 이동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특정 메뉴를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선택 버튼 입력시 상기 사용자 특정 메뉴의 선택표시가 위치된 최하위 메뉴 아이템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하위 메뉴 아이템 실행시, 상기 최하위 메뉴 아이템에 대한 최종 작업 내용을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작업 내용이 설정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는 상기 최하위 메뉴 아이템들의 사용빈도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버튼은 상기 사용자 특정 메뉴의 선택표시를 이전 아이템으로 이동하기 위한 *버튼 또는 상기 사용자 특정 메뉴의 선택표시를 다음 아이템으로 이동하기 위한 #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40002819A 2004-01-15 2004-01-15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최하위 메뉴 아이템 접근 방법 KR200500750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2819A KR20050075052A (ko) 2004-01-15 2004-01-15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최하위 메뉴 아이템 접근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2819A KR20050075052A (ko) 2004-01-15 2004-01-15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최하위 메뉴 아이템 접근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5052A true KR20050075052A (ko) 2005-07-20

Family

ID=37263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2819A KR20050075052A (ko) 2004-01-15 2004-01-15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최하위 메뉴 아이템 접근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7505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914B1 (ko) * 2006-03-15 2007-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빠른 메뉴 실행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914B1 (ko) * 2006-03-15 2007-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빠른 메뉴 실행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6199B1 (ko) 무선 모바일 단말기에서 인디케이터 표시 제어 방법
KR10036964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방법
KR20030054620A (ko) 멀티윈도우화면을 제공하는 방법, 기록매체와 이를구현하는 휴대전화기
US2007009118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graphic object recogni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334796B1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
KR10073181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의 스피드다이얼 설정 방법 및 이동 통신 단말기
US20070113139A1 (en) Method for setting environ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multimedia message
KR20060003599A (ko) 단축키를 이용한 호 발신 장치 및 방법
KR20080037508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미등록 전화 번호를 등록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KR20050075052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최하위 메뉴 아이템 접근 방법
KR100606784B1 (ko) 초기화면 메뉴 등록방법
KR20070050732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 번호 저장 방법
KR10086831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표시방법
KR100648473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
US756446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ging colors of data and a background in a portable terminal
KR10067948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타이머를 이용한 자동 설정 변경 방법
KR20050027591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수신 메시지 관리 방법
KR100571320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 검색 방법
KR100442593B1 (ko) 무선단말기의 호 서비스 방법
KR100533036B1 (ko) 휴대단말기의 매크로 키버튼 운용방법
KR20050026729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 재구성 방법
KR20050050983A (ko) 휴대단말기의 통화목록 표시장치 및 방법
KR10070094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메뉴 표시 방법
KR100650679B1 (ko) 무선인터넷 자동스위칭연결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및 그 제어방법
KR101013819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수신 메시지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