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4743A - 광 홈네트워크용 수동 소켓 및 플러그 - Google Patents

광 홈네트워크용 수동 소켓 및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4743A
KR20050074743A KR1020040002624A KR20040002624A KR20050074743A KR 20050074743 A KR20050074743 A KR 20050074743A KR 1020040002624 A KR1020040002624 A KR 1020040002624A KR 20040002624 A KR20040002624 A KR 20040002624A KR 20050074743 A KR20050074743 A KR 20050074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input
socket
output optical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2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래경
최도인
오윤제
정희원
이종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2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74743A/ko
Priority to US10/861,068 priority patent/US7168860B2/en
Publication of KR20050074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474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35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switching means
    • G02B6/3502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switching means involving direct waveguide displacement, e.g. cantilever type waveguide displacement involving waveguide bending, or displacing an interposed waveguide between stationary waveguides
    • G02B6/3508Lateral or transverse displacement of the whole waveguides, e.g. by varying the distance between opposed waveguide ends, or by mutual lateral displacement of opposed waveguide e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9/00Honey collection
    • A01K59/04Honey strainers ; Strainers with centrifuges or pre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35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switching means
    • G02B6/3564Mechanical details of the actuation mechanism associated with the moving element or mounting mechanism details
    • G02B6/3568Mechanical details of the actuation mechanism associated with the moving element or mounting mechanism details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force
    • G02B6/3574Mechanical force, e.g. pressure vari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astening connecting plugs and sockets, e.g. screw- or nut-lock, snap-in, bayonet type
    • G02B6/3893Push-pull type, e.g. snap-in, push-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35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switching means
    • G02B6/354Switching arrangements, i.e. number of input/output ports and interconnection types
    • G02B6/35442D constellations, i.e. with switching elements and switched beams located in a plane
    • G02B6/35481xN switch, i.e. one input and a selectable single output of N possible outputs
    • G02B6/3551x2 switch, i.e. one input and a selectable single output of two possible outpu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35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switching means
    • G02B6/3564Mechanical details of the actuation mechanism associated with the moving element or mounting mechanism detai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35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switching means
    • G02B6/3564Mechanical details of the actuation mechanism associated with the moving element or mounting mechanism details
    • G02B6/3568Mechanical details of the actuation mechanism associated with the moving element or mounting mechanism details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forc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45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ferrules comprising functional elements, e.g. fil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광 홈네트워크용 수동 소켓 및 플러그에 있어서, 양단이 정렬된 상태에서 플러그가 삽입되는 접속 홀을 사이에 두고 대응된 위치에 설치되는 광신호 전송용 입력 및 출력 광섬유를 구비한 소켓과, 기기와 연결되며 소켓의 접속 홀에 삽입되어 소켓과 접속할 경우에 입력 및 출력 광섬유와 각각 연결되는 입력 및 출력 광전송라인을 구비한 플러그를 포함하며, 소켓에 플러그가 접속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입력 및 출력 광섬유로 전송되는 광신호가 소켓을 그대로 통과하고, 플러그가 접속된 상태에서는 광신호가 플러그를 통해 상기 기기로 전달된다.

Description

광 홈네트워크용 수동 소켓 및 플러그{PASSIVE SOCKET AND PLUG FOR OPTICAL HOMENETWORK}
본 발명은 광 케이블을 이용한 광통신 네트워크를 백본(backbone) 구조로 하는 광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 홈네트워크의 수동 소켓(passive socket) 및 플러그(plug)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가정에서는 PC(Personal Computer) 등의 정보 기기, 전화 등의 통신 기기, TV(Television) 등의 방송 기기, DVD(Digital Video Disc) 플레이어나 디지털 카메라 등을 포함한 AV(Audio and Video) 기기, 가전 기기 등과 같은 각종 기기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가정에서 사용되는 각종 기기들을 서로 연결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함과 아울러 외부의 각종 네트워크에 연동(interworking)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로서 홈 네트워크가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홈 네트워크는 다양한 형태로 제안되고 있으나, 최근 광 케이블을 이용한 광 홈네트워크가 각광 받고 있다.
광 케이블을 집안 혹은 건물 내에 매설하여 백본의 구조로 설계를 하여 운용하는 광 홈네트워크에서는 노드(node)간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광 파워를 보상하기 위하여 적절히 설정된 한계 거리마다 중계기(repeater)를 설치하거나 새로운 노드를 추가할 경우에, 광 트랜시버(transceiver)를 구비한 디바이스(노드)를 매설되어져 있는 광 케이블과 연동하기 위한 적절한 어댑터(adapter)(또는 소켓)가 요구된다.
그런데, 이러한 광 홈네트워크용 어댑터의 경우 빌트인 되어 있거나 단순하게 디바이스의 연결만을 위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다양한 전기, 전자 기기들에 대한 서비스 요구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빌트인 소켓에 플레인 앤 플러그(play and plug)시 모든 디바이스가 연결될 수 있는 광 홈네트워크용 소켓이 요구된다. 즉, 이러한 광 홈네트워크용 소켓은 플러그가 접속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광신호를 그대로 통과시키고, 플러그가 접속된 상태에서는 광신호가 플러그를 통해 디바이스로 전달되도록 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광 홈네트워크용 수동 소켓 및 플러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러그가 접속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광신호를 그대로 통과시키고, 플러그가 접속된 상태에서는 광신호가 플러그를 통해 디바이스로 전달되도록 하는 광 홈네트워크용 수동 소켓 및 플러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내구성이 우수하며, 제작이 용이한 광 홈네트워크용 수동 소켓 및 플러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광 홈네트워크용 수동 소켓 및 플러그에 있어서, 양단이 정렬된 상태에서 플러그가 삽입되는 접속 홀을 사이에 두고 대응된 위치에 설치되는 광신호 전송용 입력 및 출력 광섬유를 구비한 소켓과, 기기와 연결되며 상기 소켓의 접속 홀에 삽입되어 상기 소켓과 접속할 경우에 상기 입력 및 출력 광섬유와 각각 연결되는 입력 및 출력 광전송라인을 구비한 플러그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소켓에 상기 플러그가 접속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입력 및 출력 광섬유로 전송되는 광신호가 상기 소켓을 그대로 통과하고, 상기 플러그가 접속된 상태에서는 상기 광신호가 플러그를 통해 상기 기기로 전달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a, 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용 수동 소켓(110) 및 플러그(130)의 구조도로서, 도 1a는 소켓(110)에 플러그(130)가 접속되지 않은 상태를 보이며, 도 1b에는 소켓(110)에 플러그(130)가 접속된 상태가 도시된다. 도 1a, 1b를 참조하면, 홈 네트워크가 설치되는 건물내의 적절한 위치에서 벽 등에 빌트인(built-in)되는 소켓(110)에는 예를 들어 POF(Plastic Optical Fiber)와 같은 광신호 전송용 입력 및 출력 광섬유(112a, 112b)가 양단에 걸쳐 설치된다. 이러한 입력 및 출력 광섬유(112a, 112b)는 양단이 적절히 정렬된 상태에서 플러그(130)가 삽입되는 접속 홀(124)을 사이에 두고 대응된 위치에 설치되는데, 이때 이러한 소켓(110)의 접속 홀(124)에는 플러그(130)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입력 및 출력 광섬유(112a, 112b)를 통해 전송되는 광신호를 그대로 통과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입력 및 출력 광섬유(112a, 112b)의 양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입력 및 출력 광섬유(112a, 112b) 양단을 연결하는 연결 광전송라인(122)을 구비한 광섬유 연결 부재(120)가 구비된다. 상기 광섬유 연결 부재(120)는 플러그(130)가 접속 홀(124)에 삽입될 경우에 플러그(130)에 의해 접속 홀(124)의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며, 플러그(130)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스프링(126)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연결 광전송라인(122)이 상기 입력 및 출력 광섬유(112a, 112b)의 양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오도록 밀려나오는 구조를 가진다.
노드(또는 디바이스)(150)와 연결된 플러그(130)에는 광도파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 입력 및 출력 광전송라인(132a, 132b)이 구비되며, 플러그(130)가 소켓(110)의 접속 홀(124)에 삽입되어 소켓(110)과 접속될 경우에 상기 입력 광전송라인(132a)의 끝단은 상기 입력 광섬유(112a)와 정렬되며 출력 광전송라인(132b)의 끝단은 상기 출력 광섬유(112b)와 정렬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이러한 입력 및 출력 광전송라인(132a, 132b)은 각각 플러그(130)내부에서 점차 완만한 곡선을 이루어 전체적으로 광신호의 진행 방향을 90도 변경시켜서 노드(150)로 진행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플러그(130)가 소켓(110)에 접속된 경우에는 입력 광섬유(112a)를 통해 입력되는 광신호는 플러그(130)의 입력 광전송라인(132a)을 거쳐 노드(150)의 수광소자로 입력되어 노드(150)에서 처리되며, 노드(150)에서 출력되는 광신호는 플러그(130)의 출력 광전송라인(132b)을 거쳐 출력 광신호(112b)로 전송된다.
상기 도 1a,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소켓(110) 및 플러그(130)의 구조를 살펴보면, 소켓(110)에 플러그(130)가 접속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입력 및 출력 광섬유(112a, 112b)로 전송되는 광신호가 플러그(130)의 광섬유 연결부재(120)에 의해 소켓(110)을 그대로 통과하고, 플러그(130)가 접속된 상태에서는 광신호가 플러그(130)를 통해 노드(150)로 전달됨을 알 수 있다.
이하 도 2a 및 2b를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소켓(110) 및 플러그(130)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는 도 1a, 1b의 수동 소켓(110) 및 플러그(130)의 일 예시 일측 절단 사시도 및 측면 절단면도, 도 2b는 도 2a의 측면도이다. 먼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110)의 접속 홀(124)을 구성하는 상하부면(또는 측면)에는 다수의 판 스프링(114a ~ 114c)이 구비되어 서로 대응하여 동작함으로써, 삽입되는 플러그(130)에 압력을 가하여 플러그(130)가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소켓(110)의 접속 홀(124)에 구비되는 광신호 연결부재(120)의 일측에는 적절한 형태의 멈춤 돌기(123)가 형성되며, 이러한 멈춤 돌기(123)와 대응되는 면(상면)에는 가이드 홈(113)이 형성되어 멈춤 돌기(123)가 가이드 홈(113)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광신호 연결부재(120)가 스프링(126)에 의해 밀려나올 경우에 멈춤 돌기(123)가 가이드 홈(113)의 끝단에 걸리게 되어 광신호 연결부재(120)가 미리 설정된 정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연결 전송라인(122)이 입력 및 출력 광섬유(112a, 112b)와 정렬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소켓(130) 구조는 접속 홀(124)에 광섬유 연결부재(120) 및 스프링(126) 등과 같은 기구물이 비교적 많이 구비됨에 따라 사용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기계적 마모나 재로의 물성적인 피로(fatigue)로 인하여 소켓의 내구성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어 추가적인 유지 보수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보강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광섬유 연결부재(120) 및 스프링(126) 등에 구비하지 않고 소켓(130) 및 접속 홀(124)을 구성할 수도 있다.
도 3a, 3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용 수동 소켓(140) 및 플러그(130)의 구조도로서, 도 3a는 소켓(140)에 플러그(130)가 접속되지 않은 상태를 보이며, 도 3b에는 소켓(140)에 플러그(130)가 접속된 상태가 도시된다. 도 3a, 3b를 참조하면, 소켓(140)에는 POF로 구성되는 광신호 전송용 입력 및 출력 광섬유(142a, 142b)가 양단에 걸쳐 설치된다. 이러한 입력 및 출력 광섬유(142a, 142b)는 양단이 정렬된 상태에서 플러그(130)가 삽입되는 접속 홀(144)을 사이에 두고 대응된 위치에 설치되는데, 이때 이러한 소켓(140)의 접속 홀(144)에는 플러그(130)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입력 및 출력 광섬유(142a, 142b)를 통해 전송되는 광신호를 그대로 통과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입력 및 출력 광섬유(142a, 142b)의 양단에 적절히 초점이 설계된 렌즈(146a, 146b)가 구비된다. 이러한 렌즈(146a, 146b)는 볼 렌즈(ball lens) 등으로 구성되며, 입력 및 출력 광섬유(142a, 142b)의 양단에서 접속 홀(144)을 거쳐 서로간에 광신호가 집속되어 전달되도록 적절히 설계된다.
노드(또는 디바이스)(150)와 연결된 플러그(130)에는 도 1a, 1b 등에 도시된 바와 마찬가지로 입력 및 출력 광전송라인(132a, 132b)이 구비되며, 플러그(130)가 소켓(140)의 접속 홀(144)에 삽입되어 소켓(110)과 접속될 경우에 상기 입력 광전송라인(132a)은 상기 입력 광섬유(142a)와 정렬되며 출력 광전송라인(142b)은 상기 출력 광섬유(142b)와 정렬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도 3a,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소켓(140) 및 플러그(130)의 구조를 살펴보면, 소켓(140)에 플러그(130)가 접속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입력 및 출력 광섬유(142a, 142b)로 전송되는 광신호가 양단의 렌즈(146a, 146b)를 통과하여 서로 전달되어 소켓(140)을 그대로 통과하고, 플러그(130)가 접속된 상태에서는 광신호가 플러그(130)를 통해 노드(150)로 전달됨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동 소켓들은 종래와 비교하여 새로운 노드의 탈부착이 용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동 소켓들은 광의 집진성에 어느정도 한계가 적은 광원을 사용하여야 하는 POF를 사용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일반적인 광섬유를 사용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 4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용 수동 소켓(160) 및 플러그(170)의 구조도로서, 도 4a는 소켓(160)에 플러그(170)가 접속되지 않은 상태를 보이며, 도 4b에는 소켓(160)에 플러그(170)가 접속된 상태가 도시된다. 도 4a, 4b를 참조하면, 소켓(160)에는 일반적인 광섬유(OF: Optical Fiber)로 구성되는 광신호 전송용 입력 및 출력 광섬유(162a, 162b)가 양단에 걸쳐 설치된다. 이러한 입력 및 출력 광섬유(162a, 162b)는 양단이 정렬된 상태에서 플러그(170)가 삽입되는 접속 홀(164)을 사이에 두고 서로 떨어져서 대응된 위치에 설치되는데, 이때 이러한 소켓(160)의 접속 홀(164)에는 플러그(170)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입력 및 출력 광섬유(162a, 162b)를 통해 전송되는 광신호가 접속 홀(164)을 거쳐 입력 및 출력 광섬유(162a, 162b) 양단간에 전송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박막-필름(thin film)으로 증착된 GRIN(GRadient INdex) 렌즈(혹은 볼 렌즈 또는 인덱스 매칭 젤index matching jell 등) (166a, 166b)가 부착되어 광의 직진성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GRIN 렌즈(166a, 166b)를 통한 광신호는 직진성이 유지되며 접속 홀(164)의 공간을 별다른 광반사없이 진행되어 서로 반대편 렌즈가 증착된 광섬유로 전달된다.
노드(또는 디바이스)(150)와 연결된 플러그(170)에는 일반적인 광섬유로 구성되는 입력 및 출력 광전송라인(172a, 172b)이 구비되며, 이러한 입력 및 출력 광전송라인(172a, 172b)은 플러그(170)내에서 상기 입력 및 출력 광섬유(162a, 162b)와 수직인 상태로 설치된다. 또한 플러그(170)가 소켓(160)의 접속 홀(164)에 삽입되어 소켓(160)과 접속될 경우에, 상기 입력 광전송라인(172a)의 단부는 상기 입력 광섬유(162a)와 플러그(170)에 구비된 입력 홀(171a)을 통해 정렬되며 출력 광전송라인(172b)의 단부는 출력 홀(171b)을 통해 상기 출력 광섬유(162b)와 정렬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입력 및 출력 광전송라인(172a, 172b)의 상기 입력 및 출력 광섬유(162a, 162b)와 정렬되는 단부는 해당 광섬유와 대응되어 광신호가 입력 및 출력되는 면이 45도 각도로 절단되며, 이러한 절단 면에는 박막 필름으로 증착과정을 거쳐 GRIN 렌즈(미도시)를 형성한다.
상기 도 4a,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소켓(160) 및 플러그(170)의 구조를 살펴보면, 소켓(160)에 플러그(170)가 접속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입력 및 출력 광섬유(162a, 162b)로 전송되는 광신호가 양단의 GRIN 렌즈(166a, 166b)를 통과하여 서로 전달되어 소켓(160)을 그대로 통과하고, 플러그(170)가 접속된 상태에서는 입력 광섬유(162a)의 GRIN 렌즈(166a)를 지난 광신호가 플러그(170)의 입력 홀(171a)을 거쳐 입력 광전송라인(172a) GRIN 렌즈로 입력되어 90도 각도로 이동 경로가 바뀌어 노드(150)의 광 트랜시버로 전송되며, 노드(150)의 광 트랜시버에서 전송된 광신호는 출력 광전송라인(172b)의 GRIN 렌즈에서 출력되어 출력 홀(171b)을 거쳐 소켓(160)의 출력 광섬유(162b)로 진행된다.
도 5a, 5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용 수동 소켓(160) 및 플러그(180)의 구조도로서, 도 5a는 소켓(160)에 플러그(180)가 접속되지 않은 상태를 보이며, 도 5b에는 소켓(160)에 플러그(180)가 접속된 상태가 도시된다. 도 5a, 5b를 참조하면, 소켓(160)에는 상기 도 4a, 4b와 마찬가지로, 일반적인 광섬유(OF)로 구성되는 광신호 전송용 입력 및 출력 광섬유(162a, 162b)가 양단에 걸쳐 설치된다. 또한 이러한 입력 및 출력 광섬유(162a, 162b)는 양단에는 박막-필름으로 증착된 GRIN 렌즈(166a, 166b)가 부착되어, 이러한 GRIN 렌즈(166a, 166b)를 통한 광신호가 직진성이 유지되어 서로 반대편 렌즈가 전달되도록 한다.
노드(150)와 연결된 플러그(180)에는 일반적인 광섬유로 구성되는 입력 및 출력 광전송라인(182a, 182b)이 구비되며, 이러한 입력 및 출력 광전송라인(182a, 182b)은 플러그180)내에서 상기 입력 및 출력 광섬유(162a, 162b)와 수직인 상태로 설치된다. 또한 플러그(180)가 소켓(160)의 접속 홀(164)에 삽입되어 소켓(160)과 접속될 경우에, 상기 입력 광섬유(162a)에서 플러그(180)에 구비된 입력 홀(181a)을 통해 진행된 광을 45도 각도로 반사하여 상기 입력 광전송라인(182a)에 입사시키는 제1 미러(186a)와, 상기 출력 광전송라인(182b)에서 출력되는 광을 45도 각도로 반사하여 상기 출력 광섬유(162b)에 입사시키는 제2 미러(186b)를 구비한다.
상기 도 4a,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소켓(160) 및 플러그(180)의 구조를 살펴보면, 소켓(160)에 플러그(180)가 접속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입력 및 출력 광섬유(162a, 162b)로 전송되는 광신호가 양단의 GRIN 렌즈(166a, 166b)를 통과하여 서로 전달되어 소켓(160)을 그대로 통과하고, 플러그(180)가 접속된 상태에서는 입력 광섬유(162a)의 GRIN 렌즈(166a)를 지난 광신호가 플러그(180)의 입력 홀(181a)을 거쳐 제1 미러(186a)에서 반사되어 입력 광전송라인(182a)으로 입력되어 노드(150)로 전송되며, 노드(150)에서 전송된 광신호는 출력 광전송라인(182b)에서 출력되어 출력 홀(181b)을 거쳐 소켓(160)의 출력 광섬유(162b)로 진행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홈네트워크용 수동 소켓 및 플러그의 구성 및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가지 변형 및 변경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소켓 및 플러그는 상기 도 4a, 4b 및 도 5a,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플러그를 도 1a, 1b 및 도 2a,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소켓에 접속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도 1a, 1b에 도시된 플러그를 도 4a,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소켓에 접속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 홈네트워크용 수동 소켓 및 플러그는 플러그가 접속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광신호를 그대로 통과시키고, 플러그가 접속된 상태에서는 광신호가 플러그를 통해 디바이스로 전달되도록 하며,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내구성이 우수하며, 제작이 용이하다.
도 1a, 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용 수동 소켓 및 플러그의 개략적인 구조도
도 2a는 도 1a, 1b의 수동 소켓 및 플러그의 일 예시 일측 절단 사시도 및 측면 절단면도, 도 2b는 도 2a의 측면도
도 3a, 3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용 수동 소켓 및 플러그의 개략적인 구조도
도 4a, 4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용 수동 소켓 및 플러그의 개략적인 구조도
도 5a, 5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용 수동 소켓 및 플러그의 개략적인 구조도

Claims (6)

  1. 광 홈네트워크용 수동 소켓 및 플러그에 있어서,
    양단이 정렬된 상태에서 플러그가 삽입되는 접속 홀을 사이에 두고 대응된 위치에 설치되는 광신호 전송용 입력 및 출력 광섬유를 구비한 소켓과,
    기기와 연결되며 상기 소켓의 접속 홀에 삽입되어 상기 소켓과 접속할 경우에 상기 입력 및 출력 광섬유와 각각 연결되는 입력 및 출력 광전송라인을 구비한 플러그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소켓에 상기 플러그가 접속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입력 및 출력 광섬유로 전송되는 광신호가 상기 소켓을 그대로 통과하고, 상기 플러그가 접속된 상태에서는 상기 광신호가 플러그를 통해 상기 기기로 전달됨을 특징으로 소켓 및 플러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의 접속 홀에 구비되며, 플러그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입력 및 출력 광섬유의 양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오도록 설치되어 상기 입력 및 출력 광섬유의 양단을 연결하는 연결 광전송라인을 구비하며, 상기 플러그가 상기 접속 홀에 삽입될 경우에 상기 플러그에 의해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는 광섬유 연결 부재와,
    상기 플러그가 상기 접속 홀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광섬유 연결 부재를 밀어내는 스프링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및 플러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및 출력 광섬유는 POF(Plastic Optical Fiber)임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및 플러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및 출력 광섬유의 양단에 설치되며, 상기 입력 및 출력 광섬유를 통해 전송되는 광신호가 상기 접속 홀을 거쳐 입력 및 출력 광섬유 양단간에 직진성이 향상되어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박막-필름(thin film)으로 증착된 GRIN(GRadient INdex) 렌즈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및 플러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의 입력 및 출력 광전송라인은 상기 입력 및 출력 광섬유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플러그가 상기 소켓의 접속 홀에 삽입될 경우에, 상기 입력 광전송라인의 단부는 상기 입력 광섬유와 정렬되며 상기 출력 광전송라인의 단부는 상기 출력 광섬유 정렬되며, 상기 입력 및 출력 광전송라인의 상기 단부는 해당 광섬유와 대응되어 광신호가 입력 또는 출력되는 면이 45도 각도로 절단되며, 상기 절단 면에는 박막 필름으로 증착된 GRIN 렌즈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및 플러그.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의 입력 및 출력 광전송라인은 상기 입력 및 출력 광섬유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플러그가 상기 소켓의 접속 홀에 삽입될 경우에, 상기 입력 광섬유에서 진행된 광을 반사하여 상기 입력 광전송라인에 입사시키는 제1 미러와, 상기 출력 광전송라인에서 출력되는 광을 각도로 반사하여 상기 출력 광섬유에 입사시키는 제2 미러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및 플러그.
KR1020040002624A 2004-01-14 2004-01-14 광 홈네트워크용 수동 소켓 및 플러그 KR2005007474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2624A KR20050074743A (ko) 2004-01-14 2004-01-14 광 홈네트워크용 수동 소켓 및 플러그
US10/861,068 US7168860B2 (en) 2004-01-14 2004-06-04 Assembly of passive socket and plug for optical home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2624A KR20050074743A (ko) 2004-01-14 2004-01-14 광 홈네트워크용 수동 소켓 및 플러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4743A true KR20050074743A (ko) 2005-07-19

Family

ID=34738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2624A KR20050074743A (ko) 2004-01-14 2004-01-14 광 홈네트워크용 수동 소켓 및 플러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168860B2 (ko)
KR (1) KR2005007474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13013022A (es) 2011-05-17 2013-12-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 Aparato de enchufe remoto.
US10114174B2 (en) * 2012-05-31 2018-10-30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Optical connectors and optical coupling systems having a translating element
US9417406B2 (en) 2012-08-31 2016-08-16 Corning Cable Systems Llc Cable assemblies and optical connector assemblies employing a unitary alignment pin and translating element
US10139573B2 (en) 2012-08-31 2018-11-27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Cable assemblies, optical connector assemblies, and optical connector subassemblies employing a unitary alignment pin and cover
JP6278610B2 (ja) * 2012-09-28 2018-02-14 株式会社ヨコオ 光コネクタ用のプラグ、光コネクタ用のジャック、および光コネクタ
US9383517B2 (en) * 2014-09-15 2016-07-05 Intel Corporation Alternate coupling of devices via multiple branches of a waveguid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5780A (en) * 1988-12-29 1992-12-29 Fuji Electric Co., Ltd. Optical fiber switch
US5136681A (en) * 1991-07-09 1992-08-04 Seikoh Giken Co., Ltd. Optical powder attenuator of variable attenuation type
US5337388A (en) * 1993-08-03 1994-08-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trix of pluggable connectors for connecting large numbers of clustered electrical and/or opticcal cables to a module
US6375362B1 (en) * 1999-05-04 2002-04-23 Siemens Aktiengesellschaft Optical plug-type connection
US6695490B2 (en) * 2000-04-21 2004-02-24 Yazaki Corporation Optical ring network, optical connector, and hybrid connector
JP2002006168A (ja) * 2000-06-26 2002-01-09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光導波路モジュール
WO2003016969A1 (en) * 2001-08-16 2003-02-27 Pd-Ld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micro-positioning and alignment
US6899464B2 (en) * 2002-10-28 2005-05-31 Rick Stevens Optical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168860B2 (en) 2007-01-30
US20050152651A1 (en) 2005-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2761B1 (en) Angled optical connector
US10746938B2 (en) Fiber optic connectors
JP2020060796A (ja) 光コネクタ及び光コネクタシステム並びにこれらを備えたアクティブ光ケーブル
KR20160101037A (ko) 다중모드 광학 커넥터
JP2000047062A (ja) フェル―ル組立体を含む光学的アダプタ
KR20150064158A (ko) 광 커넥터
US9097859B2 (en) Optical coupler
US6104856A (en) Optical air-gap attenuator
KR20050074743A (ko) 광 홈네트워크용 수동 소켓 및 플러그
US7054537B2 (en) Variable optical attenuator for optical communications
Tottori et al. Integrated optical connection module for 7-core multi-core fiber and 7 single mode fibers
WO2020121770A1 (ja) 光コネクタ、光ケーブルおよび電子機器
WO2020153237A1 (ja) 光通信装置、光通信方法および光通信システム
JPH03144602A (ja) 双方向受発光モジュール
WO2020153238A1 (ja) 光コネクタ、光ケーブルおよび電子機器
CN113448021B (zh) 一种光纤连接器、单纤双向光组件及光纤传输系统
TW201219870A (en) Optical fiber connector
Hogari et al. Optical connector technologies for optical access networks
WO2020121769A1 (ja) 光コネクタ、光ケーブルおよび電子機器
Ninomiya et al. Advancement in optical interconnect technology for high speed data transmission
CN113260890B (zh) 光学连接器、光缆和电子设备
WO2020153239A1 (ja) 光コネクタ、光ケーブルおよび電子機器
JP2011197018A (ja) 光学素子モジュール
US20050129359A1 (en) Micro collimating lens system for optical communication
JP4054717B2 (ja) 光通信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光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