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3910A -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50073910A KR20050073910A KR1020040002029A KR20040002029A KR20050073910A KR 20050073910 A KR20050073910 A KR 20050073910A KR 1020040002029 A KR1020040002029 A KR 1020040002029A KR 20040002029 A KR20040002029 A KR 20040002029A KR 20050073910 A KR20050073910 A KR 2005007391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put
- hangul
- area
- key
- consonants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문자 입력 장치는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다수의 키영역을 가지며, 한글 자음과 한글 모음의 쌍으로 구분되어 상기 키영역들에 할당되고, 상기 키영역들은 한글 자음과 그 한글 자음의 쌍자음 및 한글 모음을 입력할 수 있는 제 1문자 입력 영역과 한글 자음과 한글 모음만을 구분하여 입력할 수 있는 제 2문자 입력 영역으로 구분되어 할당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상기 키영역들을 통한 터치 펜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터치 펜 입력된 상기 키영역에 할당되어 있는 문자들 중 하나를 상기 터치 펜 입력 형태에 대응되게 선택하여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기에서 터치 스크린을 통해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식은 소프트 키보드 입력 방식과 수기 입력(Handwriting Recognition)방식 등이 있다. 이 중 소프트 키보드 입력 방식이란 단말기에서 일반 키보드와 마우스의 휴대성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터치 스크린에 키보드 형태의 입력창을 띄워서 펜 클릭으로 입력을 받는 방식을 말한다. 또한, 수기 입력 방식은 사람의 수기(즉, 필기체)를 인식하여 데이터 코드로 변환시켜 주는 방식이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기의 예로는 전자수첩, 휴대폰, PDA 등을 들 수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단말기들이 점점 소형화되고 경량화 되고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터치 스크린의 크기 또한 그만큼 소형화되고 경량화 될 수밖에 없었다. 이와 같이 소형화된 터치 스크린에서 소프트 키보드 입력 방식 중 한글을 입력하기 위해서 화면에 소프트 키보드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도 1a은 종래의 소프트 키보드 입력 방식에 따른 화면예시도이다. 이러한 소프트 키보드 입력 방식의 경우 키보드 상의 모든 키를 단말기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각 키버튼에 할당되는 영역 크기는 예를 들어 기존 3.5 인치(Inch) 화면을 가진 PDA의 경우 4 4 mm 정도로 작다. 그리고 현재의 단말기는 소형화된 터치 스크린에 한글 입력을 위한 모든 키를 소프트 키보드로 디스플레이하고 있다.
이로 인해 문자 입력을 위한 키보드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이 커질 수밖에 없었고, 상대적으로 출력되는 문자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영역이 줄어들게 되었다. 또한, 단말기 상에서 한글 입력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의 경우에는 일일이 키를 찾아가면서 입력해야 하기 때문에 불편하였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와 같이 작아진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되는 키보드의 작은 버튼을 눌러야 하기 때문에 간혹 옆의 버튼을 잘못 누르는 경우가 발생하여 다시 입력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필기체로서 문자를 입력하는 수기 입력 방식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입력받을 수 있는 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종이에 펜으로 글씨를 쓰듯이 터치 스크린 입력 수단인 펜으로 터치 스크린상에 대고 쓰면 단말기가 그대로 입력된 글자를 문자로 인식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이러한 수기 입력 방식은 사용자가 일일이 문자를 직접 써야하기 때문에 입력 속도가 느릴 뿐 아니라, 사용자의 많은 움직임이 요구되었다. 또한, 종래의 수기 입력 방식에 따른 화면예시도인 도 1b에 도시된 화면을 통해 입력하기를 원하는 문자를 정확하게 기재하지 않으면 유사한 문자가 입력되는 오류도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에서 소프트 키보드 입력 방식으로 한글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한글의 모든 자모들에 따른 26개의 키를 구비하는 소프트 키보드를 화면에 보여주기 때문에 입력되는 문자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공간이 좁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단말기 상의 한글 입력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가 알파벳 입력 시 26개의 키에 각각 할당된 한글 자음, 쌍자음, 모음 등을 일일이 찾아가면서 입력해야 함에 따른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기 입력 방식으로 한글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일일이 문자를 직접 써야하기 때문에 입력 속도가 느릴 뿐 아니라, 정확하게 쓰지 않는 경우에는 오타가 입력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에서 소프트 키 문자 입력 방식을 사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가 보다 쉽게 키보드의 키를 기억하여 빠르고 편리하게 문자 입력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프트 키 문자 입력 방식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소프트 키보드의 크기를 줄여 키버튼의 크기를 크게 만듦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키버튼 입력오류를 최소화하여 터치 스크린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 보다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다수의 키영역을 가지며, 한글 자음과 한글 모음의 쌍으로 상기 키영역들에 할당되고, 상기 키영역들은 한글 자음과 그 한글 자음의 쌍자음 및 한글 모음을 입력할 수 있는 제 1문자 입력 영역과 한글 자음과 한글 모음만을 구분하여 입력할 수 있는 제 2문자 입력 영역으로 구분되어 할당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상기 키영역들을 통한 터치 펜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터치 펜 입력된 상기 키영역에 할당되어 있는 문자들 중 하나를 상기 터치 펜 입력 형태에 대응되게 선택하여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다수의 키영역을 가지며, 한글 자음과 한글 모음의 쌍으로 구분되어 상기 키영역들에 할당되고, 상기 키영역들은 한글 자음과 그 한글 자음의 쌍자음 및 한글 모음을 입력할 수 있는 제 1문자 입력 영역과 한글 자음과 한글 모음만을 구분하여 입력할 수 있는 제 2문자 입력 영역으로 구분되게 하는 과정과, 상기 키영역들을 통한 터치 펜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터치 펜 입력된 상기 키영역에 할당되어 있는 문자들 중 하나를 상기 터치 펜 입력 형태에 대응되게 선택하여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라 소프트 키 문자 입력 시 편리하고 빠르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라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한글 자음과 한글 모음은 하나의 키에 매핑되어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한글 쌍자음은 펜 드래그 방향에 따라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되는 키보드 크기를 줄인다. 또한,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키보드상에서 매핑되는 한글 자음과 한글 모음끼리 그룹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쉽게 키를 기억할 수 있도록 하고, 수기 입력 방식과 같이 문자의 형태를 모두 입력하지 않고, 한번의 드래그(drag)만으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문자 입력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기의 내부 블록구성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기는 제어부(200), 정보 표시부(210), 사용자 인터페이스(220), 메모리(230)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사용자 인터페이스(220)는 사용자에 의해 펜 스트로크(stroke) 입력이 있으면 입력 신호를 제어부(200)로 출력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220)는 터치 스크린이다. 제어부(2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20)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통해 입력 형태를 확인하게 되는데, 펜 클릭(click)인지, 펜 드래그(drag) 인지를 확인한다.
본 발명에서는 펜 클릭에 의해 한글 자음 및 스페이스를 입력할 수 있고, 펜 드래그에 의해 한글 쌍자음, 한글 모음 및 엔터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소프트 키보드를 도시하고 있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한글 쌍자음, 한글 자음, 한글 모음, 스페이스, 엔터 등을 입력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되는 소프트 키보드를 설명한다. 먼저, 소프트 키보드의 하나의 키에 한글 자음과 한글 모음이 매핑되어 디스플레이 된다.
본 발명에서 한글 자음에는 'ㅂ,ㅈ,ㄷ,ㄱ,ㅅ,ㅁ,ㄴ,ㅇ,ㄹ,ㅎ,ㅋ,ㅌ,ㅊ,ㅍ' 를 포함하며, 한글 쌍자음은 'ㅂ,ㅈ,ㄷ,ㄱ,ㅅ'과 같은 한글 자음에 하나의 한글 자음이 결합된 형태인 'ㅃ,ㅉ,ㄸ,ㄲ,ㅆ'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한글 자음 'ㅂ'의 한글 쌍자음은 'ㅃ'이 되고, 한글 자음 'ㅈ'의 한글 쌍자음은 'ㅉ'이 된다. 이와 같이 한글 자음에 각각 한글 쌍자음을 맵핑하여 메모리(230)에 저장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소프트 키보드의 수는 15 개가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소프트 키보드가 디스플레이되는 터치 스크린에서의 각 키버튼의 영역 크기가 확대된다. 이러한 소프트 키보드상에 한글 자음과 한글 모음은 각 하나씩 맵핑되어 하나의 키에 할당된다. 즉, 정보 표시부(210)에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소프트 키보드가 15개의 각 키버튼으로 구분되어 디스플레이 된다.
그리고, 소프트 키보드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한글 자음과 그 한글 자음의 쌍자음 및 한글 모음을 입력할 수 있는 제 1문자 입력 영역(500)과 한글 자음과 한글 모음만을 구분하여 입력할 수 있는 제 2문자 입력 영역(510), 글자 사이를 한칸 띄우는 기능의 스페이스와 문단을 한줄 띄우는 기능의 엔터를 입력할 수 있는 제 3문자 입력 영역(520)으로 구분되어 디스플레이 된다. 이와 같이 소프트 키보드는 한글을 입력할 수 있도록 키들을 디스플레이한다.
그러면, 이제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1문자 입력 영역(500)과, 제 2문자 입력 영역(510), 제 3문자 입력 영역(520)을 각각 구분하여 해당 영역에 특징에 맞는 한글 입력 방식에 따른 문자 인식 방법을 설명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다. 먼저, 제 1문자 입력 영역(500)은 한글 자음과 그 한글 자음의 쌍자음 및 그 한글 자음에 매핑되는 한글 모음을 입력할 수 있는 영역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가 위쪽으로 펜 드래그 하여 제1문자입역영역(500)에 디스플레이되는 키영역에 할당된 한글 자음의 쌍자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오른쪽으로 펜 드래그 하여 제1문자입역영역(500)에 디스플레이되는 키영역에 할당된 그 한글 자음에 매핑되는 한글 모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제1문자입역영역(500)에 디스플레이되는 키영역내에서 펜 클릭하면 펜 클릭된 키영역에 할당된 한글 자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 2문자 입력 영역(510)은 한글 자음과 한글 모음을 입력할 수 있는 영역이다. 여기서 한글 모음은 하나의 키에 한글 자음과 매핑되어 키영역에 디스플레이된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글 자음 'ㅁ'은 한글 모음'ㅗ'와 매핑되어 하나의 키영역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되는 제 2문자 입력 영역(510)에 할당된 키영역내에서 사용자로부터 펜 클릭 또는 펜 드래그 방향에 따라 그 키영역에 따른 한글 자음 또는 한글 모음이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펜 다운 후 바로 펜 업하는 즉, 펜 클릭하여 제 2문자 입력 영역(510)에서 펜 다운된 키영역에 따른 한글 자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 2문자 입력 영역(510)에서 사용자가 펜 다운 후 오른쪽 방향으로 펜 드래그하여 펜 다운된 키영역에 따른 한글 모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 3문자 입력 영역(520)은 특수키인 스페이스(Space)와 엔터(Enter)를 입력할 수 있는 영역이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스 'Sp'는 사용자에 의해 펜클릭이 입력되는 경우 정보표시부(21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며, 엔터 'enter'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펜 드래그 방향이 오른쪽인 경우 정보표시부(210)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
그러면 이제 도 4와 같이 디스플레이 되는 소프트 키보드를 통해 한글 자음, 한글 쌍자음, 한글 모음 입력을 위한 과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한글 쌍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쌍자음 입력 방향과 한글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모음 입력 방향의 펜 드래그 방향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200)는 600의 방항으로 펜 드레그 입력이 있으면 제 1문자 입력 영역(500)에서 한글 쌍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쌍자음입력 방향임을 인지하고 해당되는 한글 쌍자음을 정보표시부(210)상에 디스플레이 한다. 그리고 제어부(200)는 610방향으로 펜 드래그 입력이 있으면 한글 모음을 출력하기 위한 입력임을 인지하고 정보 표시부(210)에 각 문자 입력 영역에 따라 해당되는 한글 모음을 디스플레이한다.
이어, 이제 도 4와 같이 디스플레이 되는 소프트 키보드를 통해 한글 입력이 있는 경우 이를 인식하는 과정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펜 클릭 및 펜 드래그 방향에 따라 입력되는 한글 문자를 구분하여 인식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먼저, 제어부(200)는 대기상태를 유지하다가 (300)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문자 입력 모드가 선택되는지를 검사한다. 검사결과 사용자 인터페이스(220)를 통해 한글 입력 모드가 선택 입력되는 경우에는 제어부(200)가 (305)단계로 진행하여 펜 다운이 되는지를 검사한다. 펜 다운됨이 감지되면 (310)단계로 진행하여 제어부(200)는 펜 다운된 문자 입력 영역이 제 1문자 입력 영역(500) 내지 제 3문자 입력 영역중 어느 문자 입력 영역인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제어부(200)는 펜 다운된 문자 입력 영역이 제 1문자 입력 영역(500)인 경우 (315)단계로 진행하고, 펜 다운된 문자 입력 영역이 제 2문자 입력 영역(510)인 경우 (340)단계로 진행하고, 펜 다운된 문자 입력 영역이 제 3문자 입력 영역인 경우 (360)단계로 진행한다.
먼저, 펜 다운된 문자 입력 영역이 제 1문자 입력 영역(500)인 경우 제어부(200)는 (315)단계에서 펜 업 되었는지 펜 다운한 상태에서 드래그 된 후에 펜 업 되었는지를 검사한다. 펜 다운 상태에서 바로 펜 업된 경우 즉, 한번 펜 클릭이 있는 경우에는 (320)단계로 진행하여 펜 다운과 펜 업이 동일한 키내에서 발생하였는지를 검사하여 해당 키영역에 할당되어 있는 한글 자음을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한글 자음과 한글 모음을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ㅂ/ㅛ"의 키영역에서 펜 클릭이 있으면 한글 자음 'ㅂ'을 정보 표시부(210)에 디스플레이 하는 것이다.
만약 (315)단계에서 제어부(200)가 펜 다운 상태에서 드래그 한 후 펜 업하였음이 인지되면 (325)단계로 진행하여 드래그 방향을 검사한다. 이 때 드래그 방향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들과 같이 한글 쌍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600방향의 쌍자음 입력 방향과 한글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610방향의 모음 입력 방향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어부(200)는 제 1문자 입력 영역(500)에 할당된 각 키영역에서 쌍자음입력방향과 모음입력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드래그하면 그 방향에 따라 한글 쌍자음 또는 한글 모음의 입력임을 인지한다.
만약 (325)단계에서 모음입력방향인 610방향으로 펜 드래그 되었으면 (330)단계로 진행하여 제 1문자 입력 영역(500)에 할당된 키영역에 따른 한글 모음을 디스플레이한다. 이와 달리 (325)단계에서 쌍자음입력방향인 600방향으로 펜 드래그 되었으면 (335)단계로 진행하여 제 1문자 입력 영역(500)에 할당된 키영역에 따른 한글 쌍자음을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325)단계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용되는 쌍자음입력 방향의 소정 각도를 벗어나거나 또는 모음입력방향의 소정 각도를 벗어난 경우 제어부(200)는 (320)단계로 진행하여 펜클릭 동작시와 동일하게 제 1문자 입력 영역(500)에 할당된 키영역에 따른 한글 자음을 정보표시부(210)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면, (315)단계에서 한글 자음 'ㅂ'에 해당되는 키영역에 펜 다운을 한 후 위쪽으로 드래그를 한 후 펜 업을 하게 되면 그 한글 자음의 쌍자음인 'ㅃ'이 입력됨을 감지하고, 'ㅃ'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315)단계에서 'ㅂ/ㅛ'에 해당되는 키영역에 펜 다운을 한 후 오른쪽으로 드래그를 한 후 펜 업을 하게 되면 그 키영역에 할당된 한글 모음인 'ㅛ'가 입력됨을 감지하고, 'ㅛ'를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펜 다운된 문자 입력 영역이 제 2문자 입력 영역(510)인 경우 제어부(200)는 (340)단계에서 펜 업 되었는지 펜 다운한 상태에서 드래그 된 후에 펜 업 되었는지를 검사한다. 그리고나서 제어부(200)는 펜 다운 상태에서 바로 펜 업된 경우 즉, 한번 펜 클릭이 있는 경우에는 (345)단계로 진행하여 펜 다운과 펜 업이 동일한 키내에서 발생하였는지를 검사하여 제 2문자 입력 영역(510)에서 해당 키영역에 할당되어 있는 한글 자음을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면, 제 2문자 입력 영역(510)의 'ㅁ/ㅗ'의 키영역에서 사용자에 의해 한번 펜 클릭되면 정보표시부(210)에는 'ㅁ'이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340)단계에서 펜 다운한 상태에서 드래그 된 후에 펜 업 된 경우 제어부(200)는 (350)단계로 진행하여 펜 드래그 방향이 한글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모음입력방향인 610방향인지를 검사한다. 즉, 펜 드래그 방향이 오른쪽인지를 검사하여 검사결과 모음입력방향의 소정 각도이내에 포함되는 드래그 방향이면 제어부(200)는 (355)단계로 진행하여 제 2문자 입력 영역(510)에 할당된 키영역에 따른 한글 모음을 정보표시부(210)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350)단계에서 펜 드래그 방향이 모음입력방향의 소정 각도를 벗어난 방향이면 제어부(200)는 (345)단계로 진행하여 펜 클릭과 동일하게 제 2문자 입력 영역(510)에 할당된 키영역에 따른 한글 자음을 정보표시부(210)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또한편, 펜 다운된 문자 입력 영역이 제 3문자 입력 영역(520)인 경우 제어부(200)는 (360)단계에서 펜 업 되었는지 펜 다운한 상태에서 드래그 된 후에 펜 업 되었는지를 검사한다. 검사결과 펜 다운 후 바로 펜 업된 경우 즉, 펜 클릭된 경우 제어부(200)는 (365)단계로 진행하여 제 3문자 입력 영역에 할당된 키영역에 따른 스페이스를 입력하여 정보표시부(210)를 통해 한칸 띄우는 공백으로 디스플레이한다. 반면, 검사결과 펜 다운 후 펜 드래그 된 후에 펜 업된 경우 제어부(200)는 (370)단계로 진행하여 펜 드래그 방향이 엔터를 입력하기 위한 방향인 610방향과 같은 오른쪽 방향인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펜 드래그방향이 오른쪽이면 제어부(200)는 (375)단계로 진행하여 제3문자 입력 영역(520)에 할당된 키영역에 따른 엔터를 입력하여 정보표시부(210)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200)는 각 문자 입력 영역별로 할당된 하나의 키영역 내에서 한번의 펜 클릭으로 한글 자음이 입력됨을 인지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한글 쌍자음은 제 1문자 입력 영역에 할당된 하나의 키영역 내에서 쌍자음입력방향(600)으로 한번의 펜 드래그를 통해 입력되어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각 문자 입력 영역별로 할당된 하나의 키영역 내에서 모음입력방향(610)으로 한번 드래그 되면 해당 키영역에 따른 한글 모음이 입력됨을 인지한다.
이와 같이 한글 쌍자음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한글 자음과 같이 각각의 키영역에 디스플레이 하지 않고 펜 다운되는 문자 입력 영역이 제 1문자 입력 영역인지를 판단하여 펜 다운된 제 1문자 입력 영역에서 쌍자음입력방향으로 드래그되면 펜 다운 후 펜 드래그되는 키영역에 따른 해당 한글 쌍자음을 입력하도록 하여 소프트 키보드의 디스플레이되는 키를 줄이도록 하였다. 또한, 한글 모음을 입력할 때는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각 문자 입력 영역이 별도로 구분되지 않고 전체 소프트 키보드에서 모음입력방향으로 드래그하면 어디서든 제어부(200)는 이를 인식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한글 쌍자음 및 특수키는 각 문자 입력 영역에 따라 구분되어 입력되며, 각 문자 입력 영역에서는 펜 클릭 또는 펜 드래그 방향에 따라 한글 쌍자음, 한글 자음, 한글 모음이 구분되어 입력된다. 이와 같이 각 문자 입력 영역에 대한 펜 클릭 및 펜 드래그 방향에 따라 입력되는 한글 문자의 예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터치 스크린에 소프트 키보드를 통해 펜클릭 및 펜 드래그 방향에 따라 입력되는 한글 문자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ㅃ'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소프트 키보드의 제 1문자 입력 영역의 'ㅂ/ㅛ'의 키영역에서 쌍자음입력방향(600) 즉, 위쪽 방향으로 펜 드래그하면 된다. 또 다른 예를 들면, 'ㅒ'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제 2문자 입력 영역의 'ㅍ/ㅒ'의 키영역에서 모음입력방향(610) 즉, 오른쪽 방향으로 펜 드래그 한 후 펜 업하면 'ㅒ'가 입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되는 소프트 키보드의 키 수를 줄이고 한글 쌍자음을 포함하는 한글 자음을 하나의 한글 자음과 한글 모음으로 매핑시켜 펜 클릭을 통해 해당 문자 입력 영역에서의 한글 자음을 입력할 수 있고 쌍자음입력방향(600)으로 펜 드래그를 통해 해당 문자 입력 영역인 경우 즉, 제 1문자 입력 영역의 키영역에 따라 한글 쌍자음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문자 입력 영역에 관계없이 즉, 제 1 및 제 2문자 입력 영역에서 모음입력방향(610)으로 펜 드래그하여 한글 모음을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키에 한글 자음과 한글 모음이 쌍으로 구분되어 소프트 키보드의 각 키영역들에 할당되고, 각 문자 입력 영역에 할당되어 있는 각각의 키영역들을 통하여 펜 입력 형태에 따라 각 키영역에 할당되어 있는 문자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 1및 제2문자 입력 영역의 하나의 키영역 내에서 한번의 펜 클릭으로 한글 자음이 입력됨을 인지하고, 그 하나의 키영역 내에서 모음입력방향(610)으로 드래그하여 한글 모음이 입력됨을 인지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제 1문자 입력 영역의 하나의 키영역 내에서 쌍자음입력방향으로 드래그되면 한글 쌍자음이 입력됨을 인지한다. 또한, 스페이스와 엔터와 같은 특수키를 입력할 때는 별도로 구비된 제 3문자 입력 영역에서 펜 클릭 또는 펜 드래그 방향에 따라 미리 할당되어 있는 스페이스 또는 엔터임을 인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한글 자음과 한글 모음을 매핑시켜 하나의 키영역에 디스플레이하여 소프트 키보드의 키버튼의 수를 15개로 줄임과 동시에 각 키버튼의 크기가 확대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 보다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입력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전체 디스플레이되는 소프트 키보드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빠른 한글 입력을 위해 소프트 키보드를 문자 입력 영역을 구분하여 한글 쌍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문자 입력 영역을 구비하여 해당 문자 입력 영역에서 쌍자음입력방향의 펜 드래그를 통해 해당 키영역에서의 한글 쌍자음을 입력함으로써 사용자의 문자 입력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펜 클릭을 통해 해당 문자 입력 영역에서의 한글 자음을 입력할 수 있고 펜 드래그를 통해 해당 문자 입력 영역에서의 한글 모음을 입력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보다 쉽게 키보드의 키를 기억하여 빠르고 편리하게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a는 종래의 소프트 키보드 입력 방식에 따른 화면예시도,
도 1b는 종래의 수기 입력 방식에 따른 화면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기의 내부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한글을 입력하기 위해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 되는 소프트 키보드 화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입력되는 한글 문자를 각 문자 입력 영역별로 구분하여 인식하기 위한 문자 입력 영역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한글 쌍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쌍자음 입력 방향과 한글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모음 입력 방향의 펜 드래그 방향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펜 클릭 및 펜 드래그 방향에 따라 입력되는 한글 문자를 구분하여 인식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터치 스크린에 소프트 키보드를 통해 펜클릭 및 펜 드래그 방향에 따라 입력되는 한글 문자를 도시하는 도면.
Claims (9)
-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 있어서,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다수의 키영역을 가지며, 한글 자음과 한글 모음의 쌍으로 상기 키영역들에 할당되고, 상기 키영역들은 한글 자음과 그 한글 자음의 쌍자음 및 한글 모음을 입력할 수 있는 제 1문자 입력 영역과 한글 자음과 한글 모음만을 구분하여 입력할 수 있는 제 2문자 입력 영역으로 구분되어 할당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상기 키영역들을 통한 터치 펜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터치 펜 입력된 상기 키영역에 할당되어 있는 문자들 중 하나를 상기 터치 펜 입력 형태에 대응되게 선택하여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펜 입력 형태가 펜 클릭이면 해당 키영역의 한글 자음을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영역들을 통한 상기 터치 펜 입력이 모음입력방향 드래그이면 해당 키영역에 할당된 한글 모음을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펜 입력이 쌍자음입력방향 드래그이면 상기 터치 펜 입력된 키영역이 제 1문자 입력 영역에 속하면 상기 제 1문자 입력 영역의 해당 키영역에 할당된 한글 자음의 쌍자음을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스페이스 기능 및 엔터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키영역을 갖는 제 3문자 입력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다수의 키영역을 가지며, 한글 자음과 한글 모음의 쌍으로 구분되어 상기 키영역들에 할당되고, 상기 키영역들은 한글 자음과 그 한글 자음의 쌍자음 및 한글 모음을 입력할 수 있는 제 1문자 입력 영역과 한글 자음과 한글 모음만을 구분하여 입력할 수 있는 제 2문자 입력 영역으로 구분되게 하는 과정과,상기 키영역들을 통한 터치 펜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터치 펜 입력된 상기 키영역에 할당되어 있는 문자들 중 하나를 상기 터치 펜 입력 형태에 대응되게 선택하여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은,상기 터치 펜 입력 형태가 펜 클릭이면 해당 키영역의 한글 자음을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은,상기 키영역들을 통한 상기 터치 펜 입력이 모음입력방향 드래그이면 해당 키영역에 할당된 한글 모음을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은,상기 터치 펜 입력이 쌍자음입력방향 드래그이면 상기 터치 펜 입력된 키영역이 제 1문자 입력 영역에 속하면 상기 제 1문자 입력 영역의 해당 키영역에 할당된 한글 자음의 쌍자음을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02029A KR100506231B1 (ko) | 2004-01-12 | 2004-01-12 |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02029A KR100506231B1 (ko) | 2004-01-12 | 2004-01-12 |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73910A true KR20050073910A (ko) | 2005-07-18 |
KR100506231B1 KR100506231B1 (ko) | 2005-08-05 |
Family
ID=37262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02029A KR100506231B1 (ko) | 2004-01-12 | 2004-01-12 |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06231B1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9028889A2 (en) * | 2007-08-28 | 2009-03-05 | Mobience, Inc. | Key input interface method |
KR100918624B1 (ko) * | 2008-03-07 | 2009-09-25 | 김정중 | 문자 입력장치 |
KR100939924B1 (ko) * | 2007-12-27 | 2010-02-04 | 팅크웨어(주) | 터치 스크린 방식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시스템 |
KR101449781B1 (ko) * | 2007-01-30 | 2014-10-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
KR101478550B1 (ko) * | 2008-01-09 | 2015-01-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한글 입력을 위한 휴대 단말기 |
US9141283B2 (en) | 2007-01-30 | 2015-09-2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on touch screen of a terminal |
USRE45694E1 (en) | 2007-06-11 | 2015-09-2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input mode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
-
2004
- 2004-01-12 KR KR10-2004-0002029A patent/KR10050623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49781B1 (ko) * | 2007-01-30 | 2014-10-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
US9141283B2 (en) | 2007-01-30 | 2015-09-2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on touch screen of a terminal |
US9389700B2 (en) | 2007-01-30 | 2016-07-1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on touch screen of a terminal |
USRE45694E1 (en) | 2007-06-11 | 2015-09-2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input mode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
WO2009028889A2 (en) * | 2007-08-28 | 2009-03-05 | Mobience, Inc. | Key input interface method |
WO2009028889A3 (en) * | 2007-08-28 | 2009-05-22 | Mobience Inc | Key input interface method |
GB2465729A (en) * | 2007-08-28 | 2010-06-02 | Mobience Inc | Key input interface method |
KR100939924B1 (ko) * | 2007-12-27 | 2010-02-04 | 팅크웨어(주) | 터치 스크린 방식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시스템 |
KR101478550B1 (ko) * | 2008-01-09 | 2015-01-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한글 입력을 위한 휴대 단말기 |
KR100918624B1 (ko) * | 2008-03-07 | 2009-09-25 | 김정중 | 문자 입력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506231B1 (ko) | 2005-08-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93993B1 (ko) | 문자인식장치 및 방법 | |
US20210406578A1 (en) | Handwriting-based predictive population of partial virtual keyboards | |
JP4749468B2 (ja) | 電子デバイスにおける手書き文字認識 | |
US10275152B2 (en) | Advanced methods and systems for text input error correction | |
KR100478020B1 (ko) | 화면표시식키이입력장치 | |
US8583440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sual indication of character ambiguity during text entry | |
US20100225592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numerals for communication terminal | |
KR20120006503A (ko) | 개선된 텍스트 입력 | |
JPH10510639A (ja) | マルチペンストローク文字セット及び手書文書認識システム | |
WO2007121673A1 (fr) | Procédé et dispositif d'amélioration de la vitesse de saisie de caractères chinois | |
EP1513053A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acter recognition | |
US11112965B2 (en) | Advanced methods and systems for text input error correction | |
KR100651396B1 (ko) | 문자 인식 장치 및 방법 | |
KR100506231B1 (ko) |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 |
KR100380600B1 (ko) | 터치스크린을 갖는 단말기에서의 문자입력방법 | |
KR20100024471A (ko) | 터치스크린을 사용해 초성, 중성 또는 종성을 한 번에 입력하는 한글입력방법 및 장치 | |
JP4030575B2 (ja) | タッチ式キー入力装置、タッチ式キー入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KR20050043541A (ko) | 다섯개의 영역으로 구분된 손가락용 터치스크린 및문자입력방법 | |
KR100356037B1 (ko) | 수기 입력 방식에서 다문자를 인식할 수 있는 장치 및 그방법 | |
CN108733227B (zh) | 输入装置及其输入方法 | |
Bhatti et al. | Mistype resistant keyboard (NexKey) | |
KR20120001946A (ko) |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 단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
KR20040099937A (ko) |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 | |
KR20050096598A (ko) | 숫자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인식 제어방법 | |
KR20050097111A (ko) | 터치스크린 방식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글 인식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