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3139A - Method for measuring tunnel automatically and marking shot position based on a computer-aided design - Google Patents

Method for measuring tunnel automatically and marking shot position based on a computer-aided desig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3139A
KR20050073139A KR1020040001348A KR20040001348A KR20050073139A KR 20050073139 A KR20050073139 A KR 20050073139A KR 1020040001348 A KR1020040001348 A KR 1020040001348A KR 20040001348 A KR20040001348 A KR 20040001348A KR 20050073139 A KR20050073139 A KR 200500731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vey
instrument
tunnel
survey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13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563979B1 (en
Inventor
이승주
Original Assignee
(주)코세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세코 filed Critical (주)코세코
Priority to KR1020040001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3979B1/en
Publication of KR20050073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31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3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3979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6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distance between parent and child or surveyor and item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Econom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xcavating Of Shafts 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지원 설계 방식 기반의 터널 자동 측량 및 발파점 마킹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unnel automatic surveying and blasting point marking method based on computer-aided design.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a) 터널을 측량하기 위한 선형데이터, 종단데이터, 단면데이터 및 구간별 단면데이터를 포함하는 기초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프로젝트파일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으며, 측량기사의 요청에 따라 프로젝트파일 열기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를 통해 수신된 요청신호에 반응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프로젝트파일을 읽어들여 화면상에 표시한 채 터널을 측량하기 위한 측량기의 기종에 대한 장비설정정보와 측량기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값 설정정보를 입력받아 측량기와 개인 휴대 단말기간에 통신환경을 설정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를 통해 통신환경설정이 이루어진 후 터널을 측량할 위치에 설치된 측량기의 기계점좌표정보와 터널을 측량할 측량부위설정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d) 측량기사로부터 측량시작 지시신호를 입력받으면 입력받은 측량시작 지시신호와 함께 (c) 단계를 통해 입력받은 측량부위설정정보를 측량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e) 상기 (d) 단계를 통해 전송된 측량부위설정정보대로 자동 측량하여 측량된 측량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측량정보를 프로젝트파일을 읽어들여 화면상에 표시된 단면데이터와 중첩되게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a) the project file generated by using the basic data including the linear data, longitudinal data, cross-sectional data and section data for each section to survey the tunnel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the request of a survey engineer Receiving a project file open request signal according to; (b) In response to the request signal received through step (a), communication with the instrument and equipment setting information about the type of instrument for surveying the tunnel while reading the project file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displaying it on the screen. Setting a communication environment between the instrument and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by receiving communication value setting information for performing the operation; (c) receiving the machine point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instrument installed at the position where the tunnel is to be surveyed and the surveying part setting information to survey the tunnel after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is set through the step (b); (d) when the survey start instruc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survey engineer, transmitting the survey position setting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step (c) to the instrument together with the survey start instruction signal received; And (e) automatic surveying according to the surveying site setting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step (d) to receive surveyed survey information, and reading the survey information into a project file so that it is displayed to overlap with the section data displayed on the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Description

컴퓨터 지원 설계 방식 기반의 터널 자동 측량 및 발파점 마킹 방법{method for measuring tunnel automatically and marking shot position based on a computer-aided design} Method for measuring tunnel automatically and marking shot position based on a computer-aided design}

본 발명은 컴퓨터 지원 설계 방식 기반의 터널 자동 측량 및 발파점 마킹 방법에 관한 것으로, 터널을 측량할 현장에서 모터로 자동 움직이는 측량기에 전송된 측량부위설정정보대로 자동 측량이 이루어지도록 할 뿐만 아니라, 발파점 좌표정보를 입력받아 마킹할 발파점의 위치에 레이저빔이 조사될 수 있도록 한 컴퓨터 지원 설계 방식 기반의 터널 자동 측량 및 발파점 마킹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automatic tunneling and blasting point marking based on a computer-aided design method, and not only to perform automatic surveying according to surveying site setting information transmitted to a motor that is automatically moved to a motor at the site where the tunnel is to be survey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unnel automatic surveying and blasting point marking method based on a computer-aided design method in which a laser beam is irradiated to a position of a blasting point to be marked by receiving point coordinate information.

일반적으로 지하철이나 도로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터널 굴착이 필연적으로 수반되며, 이러한 터널굴착은 그 지역의 지형조건, 터널의 규모 및 시공방법 등에 따라 그 적합한 방법으로 설계 및 측량작업을 한 후 굴착하게 된다.In general, tunnel excavation is inevitably required to construct a subway or road, and such tunnel excavation is performed after designing and surveying in a suitable manner according to the terrain conditions, the size of the tunnel, and the construction method.

대개의 경우 터널의 굴착에 있어서 주로 이용되는 방법은 발파를 통한 굴착방법이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발파를 이용한 터널굴착은 먼저, 다수개의 구멍을 소정의 깊이로 뚫고서 폭약을 장착한 후 이 폭약을 발파시켜 일정한 깊이만큼 굴착하는 방식이다.In most cases, the most commonly used method of excavation of tunnels is the excavation method using blasting. In the tunnel excavation using such blasting, first, a plurality of holes are drilled to a predetermined depth and the explosives are installed. This is to blast a certain depth by blasting.

이러한 발파를 이용한 터널 굴착시 가장 문제가 되는 것 중의 하나는 굴착면 주변에 형성되는 과대여굴로서 굴착시 발생된 여굴을 메우기 위하여 부가적인 재료가 소요되어 터널 공사의 공사비용을 증가시키게 되며, 부분적인 낙반 등으로 인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One of the most problematic problems in tunnel excavation using such blasting is an over mine formed around the excavation surface, and additional materials are required to fill the excavation generated during excavation, which increases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tunnel construction.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a safety accident due to falling.

또한, 이와 같은 발파를 이용한 터널굴착방식은 터널공사시 각각의 발파지점을 개별적으로 측량하여 표시하였던 바, 별도의 기준점 및 이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기구가 필요하여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하며, 발파시점의 개별측량에 따른 시간낭비로 공사를 지연시키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tunnel excavation method using such blasting, each blasting point was measured and displayed individually during the tunnel construction, and a separate reference point and a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the same were cumbersome and inconvenient. There was a disadvantage in that construction was delayed due to waste of time due to surveying.

또한, 터널 굴착후 굴착된 지점을 측정하기 위해 소정의 높이에 있는 지점에 레벨과 표척을 세워서 측량을 해야 하는데, 이 경우 측량할 지점에 레벨과 표척이 위치되도록 연결다리로 연결시켜서 폴맨이 들고 있어야 하므로 측정지연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인건비의 낭비 등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order to measure the excavated point after the tunnel excavation, the survey should be conducted by setting the level and the mark at a point at a predetermined height. In this case, the poleman should be held by connecting the bridge to the level and the mark at the point to be surveye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not only causes a delay in measurement but also causes unnecessary labor cos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터널을 굴착할 현장에서 측량할 굴착면, 쇼크리트면, 라이닝면에 대한 측량부위설정정보를 입력받아 측량기로 전송하게 되면 측량기에서 측량부위설정정보대로 자동 측량하고 측량된 측량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한 컴퓨터 지원 설계 방식 기반의 터널 자동 측량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urpose of which is to receive the surveying site setting information for the excavation surface, shockcrete surface, lining surface to be surveyed at the site to excavate the tunnel and transmit to the instru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unnel automatic surveying method based on computer-aided design that automatically surveys surveying site configuration information and receives surveyed survey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측량기사로부터 발파점좌표정보를 입력받아 측량기로 전송하게 되면 측량기에서 발파점좌표정보에 해당되는 발파점 위치에 측정간격과 측정번호순으로 레이버빔이 조사될 수 있도록 한 컴퓨터 지원 설계 방식 기반의 발파점 마킹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ceive the blast point coordinate information from the survey engineer and transmit to the instrument so that the laser beam can be irradiated in the order of the measurement interval and the measurement number to the blast point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last point coordinate information from the instrument It is to provide a blast marking method based on computer-aided design metho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컴퓨터 지원 설계 방식 기반의 터널 자동 측량 방법은, (a) 터널을 측량하기 위한 선형데이터, 종단데이터, 단면데이터 및 구간별 단면데이터를 포함하는 기초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프로젝트 파일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으며, 측량기사의 요청에 따라 프로젝트 파일 열기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를 통해 수신된 요청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프로젝트 파일을 읽어들여 화면상에 표시한 채 터널을 측량하기 위한 측량기의 기종에 대한 장비설정정보와 상기 측량기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값 설정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측량기와 개인 휴대 단말기간에 측량을 위한 통신환경을 설정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를 통해 통신환경설정이 이루어진 후 터널을 측량할 위치에 설치된 측량기의 기계점좌표정보와 터널을 측량할 측량부위설정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d) 측량기사로부터 측량시작 지시신호를 입력받으면 입력받은 측량시작 지시신호와 함께 상기 (c) 단계를 통해 입력받은 측량부위설정정보를 측량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e) 상기 (d) 단계를 통해 전송된 측량부위설정정보대로 자동 측량하여 측량된 측량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측량정보를 상기 프로젝트 파일을 읽어들여 화면상에 표시된 단면데이터와 중첩되게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unnel automatic survey method based on a computer-aided design metho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a base comprising a linear data, longitudinal data, cross-sectional data and section-specific cross-sectional data for surveying the tunnel Receiving a project file open request signal according to a survey engineer's request, wherein the project file generated using the data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b) equipment setting information about the type of instrument for surveying a tunnel while the project file stored in the storage unit is rea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in response to the request signal received through step (a); Setting a communication environment for surveying between the instrument and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by receiving communication value setting information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of the mobile station; (c) receiving the machine point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instrument installed at the position where the tunnel is to be surveyed and the surveying part setting information to survey the tunnel after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is set through the step (b); (d) when the survey start instruc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survey engineer, transmitting the survey position setting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step (c) together with the survey start instruction signal to the instrument; And (e) receiving the surveyed survey information by automatically surveying the surveyed site setting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step (d), and reading the projected information so that the projected file is displayed to overlap the section data displayed on the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량부위설정정보는 터널 측량의 시작 스테이션, 끝 스테이션, 간격, 터널 중심을 원점으로 한 시작각도, 끝각도, 간격, 중심선 이격, 지반고 이격, 측정면, 스테이션 허용공차 및 최대 측정회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measurement site setting information is a start station, end station, interval, starting angle, end angle, spacing, center line separation, ground height separation, measurement surface, station tolerance and maximum measurement of the tunnel center origin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the recovery.

더욱 바람직하게는, (f) 상기 (d) 단계를 통해 측량된 측량정보와 상기 프로젝트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기초데이터를 비교하여 측점의 좌우거리, 지반고, 여굴량 및 스테이션차를 계산하여 계산된 정보를 측량기사의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preferably, (f) the calculated information by comparing the surveying information surveyed in the step (d) and the basic data stored in the project file to calculate the left and right distance, ground height, excavation amount and station difference of the sta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providing at the request of the survey engineer.

상기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컴퓨터 지원 설계 방식 기반의 발파점 마킹 방법은, (a) 터널을 측량하기 위한 선형데이터, 종단데이터, 단면데이터 및 구간별 단면데이터를 포함하는 기초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프로젝트 파일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으며, 측량기사의 요청에 따라 프로젝트 파일 열기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를 통해 수신된 요청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프로젝트 파일을 읽어들여 화면상에 표시한 채 발파점을 마킹하기 위한 현장에 설치된 측량기의 기종에 대한 장비설정정보와 상기 측량기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값설정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측량기와 개인 휴대 단말기간에 발파점 마킹을 위한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 (c) 상기 측량기가 설치된 기계점좌표정보와 발파점을 마킹하기 위한 발파점 좌표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d) 상기 (c) 단계를 통해 입력받은 발파점 좌표정보에 해당되는 발파점의 위치가 상기 프로젝트 파일을 읽어들여 화면상에 표시된 단면데이터와 중첩되게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 및 (e) 측량기사로부터 발파점마킹 시작 지시신호를 입력받으면, 입력받은 시작지시신호와 함께 상기 (c) 단계를 통해 입력받은 발파점 좌표정보를 측량기로 전송하여 측량기로부터 발파점 좌표정보에 해당되는 발파점 위치에 레이저빔이 조사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lasting point marking method based on a computer-aided desig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generated by using the basic data including linear data, longitudinal data, cross-sectional data and section-specific cross-sectional data for surveying the tunnel Receiving the project file open request signal according to a survey engineer's request; (b) Equipment setting information on the type of instrument installed in the field for marking the blasting point while reading the project file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displaying it on the screen in response to the request signal received through step (a). Setting an environment for blasting point marking between the instrument and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by receiving communication value setting information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instrument; (c) receiving machine point coordinate information on which the instrument is installed and blast point coordinate information for marking a blast point; (d) causing the position of the blasting point corresponding to the blasting point coordinat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step (c) to be displayed so as to overlap the cross-sectional data displayed on the screen by reading the project file; And (e) when the blasting point marking start indica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surveying engineer, the blasting point coordinat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step (c) together with the input start indica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instrument to correspond to the blasting point coordinate information from the instrument. And controlling the laser beam to be irradiated at the blasting point posi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파점 좌표정보는 발파할 발파점 좌표, 측정, 측정간격, 측정순서번호를 포함함으로써 발파점 마킹시 발파점 측정간격과 측정번호순서대로 레이저빔이 조사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blasting point coordinate information includes blasting point coordinates to be blasted, measurement, measuring interval, and measurement order number to control the laser beam to be irradiated in the order of blasting point measurement interval and measurement number when marking the blasting point. do.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에서의 본 발명은 컴퓨터 지원 설계 방식 기반의 터널 자동 측량 및 발파점 마킹 방법을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following, the present invention will describe a computer-aided design method based on automatic tunneling and blasting point marking method as a preferred embodiment, bu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thereto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urse it can.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지원 설계 방식 기반의 터널 자동 측량 및 발파점 마킹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전체적인 구성을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overall configuration for implementing a computer-assisted design method based on the automatic tunneling and blast point mark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터널 자동 측량 및 발파점 마킹 시스템의 실시예 구성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개인 휴대 단말기의 실시예 내부 구성도이다.1 is an embodiment configuration diagram of a tunnel automatic surveying and blasting point marking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2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먼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터널 자동 측량 및 발파점 마킹 시스템은, 지하철이나 도로를 건설하기 위한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측량을 수행하기 위한 측량기(20) 및 상기 측량기(20)와의 유무선 통신을 통해 전송받은 측량 정보를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지원 설계 방식 기반의 터널 자동 측량 및 발파점 마킹 방법을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표현해 주기 위한 개인 휴대 단말기(10)(예를 들면, PDA 또는 노트북 등과 같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First, as shown in FIG. 1, the automatic tunneling and blasting point marking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ncludes a surveyor 20 and a surveyor 20 for performing surveying on a site for constructing a subway or a road. Personal mobile terminal 10 (e.g., PDA or laptop) for visually expressing the survey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tunneling method based on a computer-aided desig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like).

이때, 상기 측량기(20) 및 개인 휴대 단말기(10)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선 통신을 통해 정보를 교환할 수 있으나, 무선 통신을 통해서도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strument 20 and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10 may exchange information through wired communication as shown in FIG. 1, but may also exchange information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본 실시예에서는 개인 휴대 단말기(10)를 PDA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10 will be limited to a PDA.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10)는 정보 수집, 저장, 작성, 검색 및 통신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형 기기를 지칭하는 것으로써, 작고 가벼운 장치를 이용하여 개인 및 기업 정보를 액세스하기에 가장 적합한 도구이며, 다양한 Application들을 입력수단(예를 들면, 펜 등과 같은)을 통하여 간편하게 인터페이스 할 수 있도록 고안된 장치이다.The personal mobile terminal 10 refers to a portable device capable of collecting, storing, creating, retrieving, and communicating information, and is the most suitable tool for accessing personal and corporate information using a small and light device. It is a device designed to easily interface various applications through input means (for example, pen).

본 발명에 적용되는 터널 측량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는 개인 휴대 단말기는, Compaq 의 iPaq 계열의 모든 기종, Microsoft 의 Windows CE 3.0 이상 및 Windows CE 3.0 이상의 OS를 탑재한 타사의 PDA 제품들이 사용 가능하다.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that can use the tunnel survey program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y PDA products of other companies equipped with all models of Compaq's iPaq series, Microsoft's Windows CE 3.0 or higher and Windows CE 3.0 or higher.

한편, 상기 터널 측량 프로그램을 사용하기 위한 개인 휴대 단말기용 프로그램으로는, 기본적인 한글 구현을 위해 Diotek의 Diopen version 3.1이상이 필요하다.On the other hand, as a program for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for using the tunnel survey program, Diotek's Diopen version 3.1 or higher is required for basic Hangul implementation.

또한, 상기 터널 측량 프로그램을 사용하기 위한 Desktop용 프로그램으로는 개인 휴대 단말기(예를 들면, PDA)와 Desktop을 연결하기 위해 Microsoft의 ActiveSync 3.1이상이 필요하다.In addition, as a desktop program for using the tunnel surveying program, Microsoft's ActiveSync 3.1 or higher is required to connect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eg, PDA) and a desktop.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10)에 상기 터널 측량 프로그램을 설치한 후에는 상기 터널 측량 프로그램을 실행시킨 후 설정 메뉴를 통해 측량기(20)와 프로그램간에 통신설정 혹은 기계점 좌표, 기계고, 프리즘고, 수평각 설정, 측량부위설정, 발파점 좌표정보 등을 터널 측량 프로그램에서 제어를 하게 된다.After the tunnel survey program is installed in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10, the tunnel survey program is executed and then communication setting or instrument coordinates, machine height, prism height, and horizontal angle between the instrument 20 and the program through a setting menu are executed. Settings, survey site settings, and blast point coordinate information are controlled in the tunnel survey program.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개인 휴대 단말기의 일실시예 내부 구성도이다.2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10)는 일반적인 개인 휴대 단말기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으로써,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13), 선형데이터, 종단데이터, 단면데이터, 구간별 단면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프로젝트 파일 및 각종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15), 상기 측량기(또는 측량기 내부의 구성 요소)(10)와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유무선 인터페이스(11), 상기 유무선 인터페이스(11), 입력부(13), 저장부(15)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지원 설계 방식 기반의 터널 자동 측량 및 발파점 마킹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제어부(12) 및 상기 제어부(12)를 통해 실행된 각종 결과물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10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a general personal portable terminal, and as shown in the drawing, an input unit 13 for receiving information, linear data, end data, section data, section data for each section, and the like. Storage unit 15 for storing the project file and various information generated by using, Wired and wireless interface 11 for exchanging information with the instrument (or components inside the instrument) 10 via wired or wireless, The control unit 12 for executing the automatic tunneling and blast point marking method based on the computer-aided desig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wired / wireless interface 11, the input unit 13, the storage unit 15 ) And an output unit 14 for outputting various results executed through the control unit 12.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지원 설계 방식 기반의 터널 자동 측량 방법은 기 설치된 터널 프로그램을 실행시킨 후 터널 측량을 위한 프로젝트 파일을 열고 측량기(20)의 장비설정정보, 통신값 설정정보 및 측량부위설정정보를 입력받은 다음, 측량기(20)와 개인 휴대 단말기(10)를 연결시켜 측량기(20)에 측량시작 지시신호를 전송하게 되면, 상기 측량기(20)에서 측량부위설정정보대로 자동 측량하고 측량된 측량정보를 전송받아 시각적으로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한다. 이때, 측량된 측점의 좌우거리, 지반고, 여굴량 및 스테이션차를 계산하여 계산된 정보를 측량기사의 요청에 따라 제공한다.Tunnel automatic survey method based on the computer-aided desig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executing the pre-installed tunnel program, open the project file for the tunnel surveying equipment configuration information, communication value setting information and measurement site setting information of the instrument 20 After receiving the input, when the instrument 20 and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10 are connected to transmit the measurement start instruction signal to the instrument 20, the instrument 20 automatically surveys and surveys the surve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urvey site setting information. Receives the message and visually displays it on the screen. At this time, the calculated left and right distance, ground height, excavation amount and the station difference of the surveyed station provides information calculated at the request of the survey engineer.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지원 설계 방식 기반의 발파점 마킹 방법은 기 설치된 터널 프로그램을 실행시킨 후 발파점을 마킹하기 위한 프로젝트 파일을 열고 측량기(20)의 장비설정정보, 통신값 설정정보 및 발파점 좌표정보를 입력받은 다음, 측량기(20)와 개인 휴대 단말기(10)를 연결시켜 측량기(20)에 발파점 마킹 시작 지시신호를 전송하게 되면, 상기 측량기(20)에서 발파점 좌표정보대로 레이저빔이 조사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레이저빔이 조사된 발파점에 폭약을 장착하여 실제로 발파를 하게 된다.Blasting point marking method based on the computer-aided desig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executing the pre-installed tunnel program, open the project file for marking the blasting point equipment setting information, communication value setting information and blasting point coordinates of the instrument 20 After receiving the information, when the instrument 20 and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10 are connected to transmit the blasting point marking start indication signal to the instrument 20, the instrument 20 in accordance with the blast point coordinate information laser beam Control to be investigated. At this time, the explosives are attached to the blasting point irradiated with the laser beam to actually blast.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지원 설계 방식 기반의 터널 자동 측량 및 발파점 마킹 방법은 상기 저장부(15)에 저장되어 있는 터널 측량 프로그램(이하, 간단히 "터널 프로그램"이라 함)에 의해 구현되는 것으로써, 상기 터널 프로그램은 상기 제어부(12)의 제어에 따라 실행된다.On the other hand, the automatic computer-assisted design and tunneling marking method based on the computer-aided desig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by a tunnel survey program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a "tunnel program")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 In addition, the tunnel program is execu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2.

이때, 상기 터널 프로그램은 컴퓨터 지원 설계 방식(CAD) 프로그램과 일체형으로 구현되어 있어, 측량기(2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들을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들을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In this case, the tunnel program is integrated with a computer-aided design program (CAD) program to collect data transmitted from the instrument 20 and transform the collected data into various forms.

이하에서는, 상기 터널 프로그램을 통해 구현되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지원 설계 방식 기반의 터널 자동 측량 방법을 도 3a 내지 도 3m 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Hereinafter, a method for automatically measuring a tunnel based on a computer-aided desig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ed through the tunnel program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A to 3M.

도 3a 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지원 설계 방식 기반의 터널 자동 측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고, 도 3b 는 도 3a 의 터널 측량 수행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고, 도 3c 내지 도 3f 는 터널 자동 측량을 위한 기초데이터의 입력상태를 도시한 화면 예시도이고, 도 3g 는 터널을 측량할 프로젝트 파일을 읽어들여 화면상에 표시한 예시도이고, 도 3h 내지 도 3k 는 터널 측량을 위한 환경설정정보, 기계점좌표정보 및 측량부위설정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창을 도시한 화면 예시도이고, 도 3l 은 측량기가 측량부위설정정보대로 레이저빔을 조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m 은 측량된 측점의 스테이션차, 좌우거리, 높이 및 여굴량을 도시한 화면 예시도,FIG. 3A is an operation flowchart for explaining a tunnel automatic surveying method based on a computer-aided design sche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B is an operation flowchart for describing the tunnel surveying process of FIG. 3A in detail. FIGS. 3C to 3F.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input state of basic data for automatic tunnel surveying, and FIG. 3G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project file for loading a tunnel and displaying it on the screen, and FIGS. 3H to 3K are diagrams for tunnel surveying. FIG.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input window for inputting environment setting information, machine point coordinate information, and surveying site setting information, and FIG. 3L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instrument is irradiated with a laser beam according to the surveying site setting information. 3m is a screen example showing the station difference, left and right distance, height and the amount of excavation of the surveyed station,

먼저, 도 3a 및 도 3 b 를 참조하여 컴퓨터 지원 설계 방식 기반의 터널 자동 측량 방법을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12)는 측량기사로부터 입력된 터널 프로그램 실행 요청에 따라 기 설치되어 있는 터널 프로그램을 실행시킨 후, 터널을 측량하기 위한 선형데이터, 종단데이터, 단면데이터 및 구간별 단면데이터를 포함하는 기초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프로젝트 파일을 수신한다(S100). 이때, 상기 수신된 프로젝트 파일은 저장부(15)에 저장된다.First, referring to FIG. 3A and FIG. 3B, a tunnel automatic survey method based on a computer-aided design method will be described. The controller 12 executes a tunnel program that is already installed in response to a tunnel program execution request input from a survey engineer. After doing so, a project file generated using basic data including linear data, longitudinal data, section data, and section data for each section for surveying the tunnel is received (S100). At this time, the received project file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

여기서, 상기 프로젝트 파일은 선형데이터, 종단데이터, 단면데이터, 구간별 단면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것으로, 상기 선형데이터는 선형이 시작되는 직선구간의 스테이션 좌표 및 종점 구간의 스테이션 좌표의 제원을 도 3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받아 얻어지게 되고, 상기 종단데이터는 터널 작업을 위해 입력한 선형데이터에 대한 종단계획, 종단이 직선구간인지 곡선구간인지의 구분, 시점스테이션과 높이 및 구배의 변화가 있는 노선의 경우 변곡점에서 종점 스테이션과 그 점의 높이를 도 3d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받아 얻어지게 된다.Here, the project file is generated by using the linear data, the longitudinal data, the cross-sectional data, the cross-sectional data for each section, the linear data is a specification of the station coordinates of the straight section where the linear starts and the station coordinates of the end point section 3c The terminal data is obtained by input as shown in the figure, and the terminal data is a termination plan for the linear data input for tunnel work, a distinction between whether the terminal is a straight section or a curved section, and a route with a change in the starting station and height and gradient. In the case of the inflection point is obtained by receiving the end station and the height of the point as shown in Figure 3d.

또한, 상기 단면데이터는 설계단면을 입력받는 것으로 시공예정인 설계도면을 보면서 반경, 시작각, 끝각, 좌표 등의 제원을 도 3e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받아 얻어지게 되고, 상기 구간별 단면데이터는 선형, 종단, 단면데이터의 입력이 끝난 상태에서 각 구간의 단면 유형을 지정하는 것으로 유형별로 각 단면의 시점 스테이션, 종점 스테이션, 단면번호를 도 3f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받아 얻어지게 된다.In addition, the cross-sectional data is obtained by receiving the specifications of the radius, start angle, end angle, coordinates, etc. as shown in FIG. By specifying the section type of each section in the state of inputting the terminal, section, and section data, the start station, end point station, and section number of each section are obtained by inputting the section number as shown in FIG. 3F.

이 후, 상기 제어부(12)는 터널을 굴착할 현장에서 측량기사로부터 입력된 프로젝트 파일 열기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저장부(15)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프로젝트 파일을 읽어들여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한다(S102)(도 3g 참조).Then, the control unit 12 reads the project fil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when a project file open request signal received from the surveying engineer at the site to excavate the tunnel ( S102) (see FIG. 3G).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2)는 상기 프로젝트 파일을 읽어들여 화면에 표시된 채 터널 측량을 수행하기 위한 측량기(20)와 측량된 측량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해 주기 위한 개인 휴대 단말기(10)간의 환경설정정보를 입력받아 측량기(20)와 개인 휴대 단말기(10)간의 원활한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102).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측량기(20)와 개인 휴대 단말기(10)를 연결케이블(15)로 연결시켜서 설명하고 있으나, 무선으로도 구현 가능하다.Next, the control unit 12 reads the project file and displays configuration information between the instrument 20 for performing a tunnel survey and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10 for visually expressing the surveyed survey information while being displayed on the screen. Receiving the input to enable a smooth communication between the instrument 20 and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10 (S102). At this time, in the present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by connecting the instrument 20 and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10 with a connection cable 15, it can be implemented by wireless.

상기 환경설정정보는 도 3h 및 도 3i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입력창을 통해 입력받는 측량기의 기종설정정보, 통신설정정보{예를 들면, 포트, 측정시간(측량 후 측량된 측량정보가 들오는데 걸리는 시간)} 등이다.The environment setting information may include model setting information, communication setting information {for example, a port, measurement time (eg, surveying information measured after surveying) of an instrument input through an input window as shown in FIGS. 3H and 3I. Time)}.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2)는 실질적으로 측량할 측량기(20)의 기계점좌표정보 및 측량부위설정정보를 입력받아 측량기(20)로 전송한 후 측량기(20)에서 측량부위설정정보대로 자동 측량된 측량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터널 측량 수행 과정을 수행한다(S200). 이때, 측량기(20)는 모터로 자동 움직이는 장비로서 자동형 무타켓 장비를 사용한다.Next, the control unit 12 receives the machine point coordinate information and the measurement site setting information of the instrument 20 to be surveyed and transmits it to the instrument 20, and then automatically surveys the survey site set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urvey site setting information. In step S200, a tunnel surveying process is performed to receive the surveying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instrument 20 is an automatic moving equipment by the motor using an automatic non-target equipment.

상기 터널 측량 수행 과정을 도 3b 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12)는 측량기사로부터 입력부(13)를 통해 터널을 굴착할 현장에 설치된 측량기(20)의 기계점좌표정보 및 실질적으로 터널을 측량할 측량부위설정정보를 입력받는다(S201).The tunnel surveying process i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B, and the control unit 12 is the machine point coordinate information and substantially the machine point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surveyor 20 installed at the site to excavate the tunnel through the input unit 13 from the survey engineer. The survey part setting information to survey the tunnel is received (S201).

상기 측량기가 설치되어 있는 기계점좌표정보 및 측량할 측량부위설정정보는 도 3j 및 도 3k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입력창을 통해 입력받는다.The machine point coordinate information and the surveying part setting information to be surveyed, which the instrument is installed, are input through an input window as shown in FIGS. 3J and 3K.

상기 측량기의 기계점좌표정보는 기계점 좌표 N(예를 들면, 345123.931), E(예를 들면, 195421.547), Z(예를 들면, 365.175), 기계고(예를 들면, 1.5), 프리즘 반경(예를 들면, 3) 등이고, 상기 측량부위설정정보는 시작 스테이션(예를 들면, 30937), 끝 스테이션(예를 들면, 30947), 간격(예를 들면, 3), 터널 중심을 원점으로 한 시작각도(예를 들면, 0도), 끝각도(예를 들면, 180도), 간격(예를 들면, 1), 중심선 이격(예를 들면, 0), 지반고 이격(예를 들면, 0), 측정면(예를 들면, 쇼크리트), 스테이션 허용공차(예를 들면, 3), 최대 측정회수(예를 들면, 3) 등이다.Machine point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instrument may include machine point coordinates N (e.g. 345123.931), E (e.g. 195421.547), Z (e.g. 365.175), instrument height (e.g. 1.5), prism radius (E.g., 3) and the like, and the survey part setting information includes a start station (e.g., 30937), an end station (e.g., 30947), an interval (e.g., 3), and a tunnel center as the origin. Start angle (eg 0 degrees), end angle (eg 180 degrees), spacing (eg 1), centerline spacing (eg 0), ground clearance (eg 0) , Measurement surface (e.g., shockcrete), station tolerance (e.g., 3), maximum measurement frequency (e.g., 3), and the like.

이 후, 상기 제어부(12)는 측량시작 지시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03). 상기 S203 단계의 판단결과, 측량시작 지시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소정시간 대기상태를 유지한다.Thereafter, the controller 12 determines whether a survey start instruction signal has been received (S203).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203, when the survey start instruction signal is not received, the standby state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상기 S203 단계의 판단결과, 측량시작 지시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제어부(12)는 수신된 측량시작 지시신호와 함께 측량부위설정정보를 모터로 자동 움직이는 측량기(20)로 전송한 후, 상기 측량기(20)로부터 측량부위설정정보대로 자동 측량된 측량정보를 연결케이블(15)을 통해 전송받는다(S205).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203, when the survey start instruction signal is received, the controller 12 transmits the survey position setting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received survey start instruction signal to the instrument 20 which is automatically moved by a motor, and then the instrument ( 20) receives the surveying information automatically measured as the surveying site setting information through the connection cable 15 (S205).

즉, 상기 전송받은 측량부위설정정보대로 도 3l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빔이 조사되어 조사된 측점의 좌표정보를 포함하는 측량정보를 전송받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3L, the laser beam is irradiated to receive the survey information including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irradiated point as the received survey part setting information.

상기 측량기(20)에 의해 측량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12)는 시작 스테이션, 종료스테이션 및 스테이션 간격을 입력받으면 측정할 단면에서 측정간격으로 측정할 위치를 N, E, Z로 계산하고, 계산된 N, E, Z를 기준으로 현재 위치한 측량기(20)의 위치로부터 수평각(Hz), 수직각(V)을 계산하여 측량기(20)에 보낼 정보(수평각, 수직각)를 해당 측량기의 기종에 맞는 데이터 형태로 가공한 후 측량기(20)에 전송하게 된다.Referring to the process of surveying by the instrument 20, the control unit 12 calculates the position to be measured as the measurement interval in the cross section to be measured in the measurement interval N, E, Z when receiving the start station, end station and station interval Based on the calculated N, E, and Z, the horizontal angle (Hz) and the vertical angle (V) are calculated from the location of the currently positioned instrument 20, and the information (horizontal angle, vertical angle) to be sent to the instrument 20 is calculated. After processing to the data type suitable for the model is transmitted to the instrument 20.

그러면, 상기 측량기(20)는 전송된 정보(수평각, 수직각)대로 측량기를 이동한 후 이동완료 확인신호를 연결케이블(15)을 통해 개인 휴대 단말기(10)로 보낸 다음,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10)로부터 측량시작 지시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측량기의 기종에 맞는 데이터 형태로 변환되어 측량기에 측량시작 지시신호를 전송한 후 측량기에 의해 측량이 이루어지면 측량된 측량정보(N, E, Z, Hz, V, SD, HD)를 연결케이블(15)을 통해 개인 휴대 단말기(10)로 전송하게 된다.Then, the instrument 20 moves the instrument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information (horizontal angle, vertical angle) and sends a movement completion confirmation signal to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10 through the connection cable 15, and then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 10) When the survey start signal is input, the survey data is converted into a data format suitable for the type of the instrument, and after the survey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instrument, the survey is performed by the instrument and then the surveyed survey information (N, E, Z, Hz). , V, SD, and HD) are transmitted to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10 through the connection cable 15.

상기 제어부(12)는 상기 전송받은 측량정보를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한다(S207). 이때, 상기 저장부(15)에 저장된 프로젝트 파일을 읽어들여 화면상에 표시된 단면데이터와 중첩되게 측량정보가 표시되어 여굴량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2 causes the received survey information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S207). At this time, by reading the project fil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 the survey information is displayed so as to overlap with the cross-sectional data displayed on the screen can easily check the amount of excavation.

또한, 상기 제어부(12)는 측량기사의 측점보기 요청에 따라 측량된 측점의 좌우거리, 지반고, 여굴량 및 스테이션차를 계산하여 계산된 정보와 스테이션, 측정단면, 좌표 등을 시각적으로 표시한다(S209)(도 3m 참조). 이때, 상기 측점의 좌우거리, 지반고, 여굴량 및 스테이션차는 프로젝트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기초데이터와 측량된 측점의 측량정보를 비교하여 계산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2 visually displays the calculated information, stations, measurement cross-sections, coordinates, etc. by calculating left and right distances, ground elevations, excavation rates, and station differences of the surveyed stations according to the surveyor's request for viewing a station ( S209) (see FIG. 3M). At this time, the left and right distance, the ground height, the excavation amount and the station difference of the station is calculated by comparing the survey data of the surveyed station with the basic data stored in the project file.

이렇게 함으로써, 측량기사로부터 입력받은 측량부위설정정보를 모터로 자동 움직이는 측량기에 전송하여 터널의 굴착면, 쇼크리트면, 라이닝면에 대한 측량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By doing so, the surveying site setting information input from the surveying engineer is transmitted to the automatic moving instrument by a motor, so that surveying of the excavated surface, the shock surface, and the lining surface of the tunnel can be performed automatically.

이하에서는, 상기 터널 프로그램을 통해 구현되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지원 설계 방식 기반의 발파점 마킹 방법을 도 4a 내지 도 4c 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Hereinafter, a method for marking blast points based on a computer-aided design method implemented by the tunnel program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A to 4C.

도 4a 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지원 설계 방식 기반의 발파점 마킹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고, 도 4b 는 측량부위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창을 도시한 화면 예시도이며, 도 4c 는 터널에 발파점을 마킹할 발파점 좌표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창을 도시한 화면 예시도이다.4A is an operation flowchart illustrating a blast marking method based on a computer-aided desig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B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input window for inputting survey location information. An example of a screen showing an input window for inputting blast point coordinate information for marking a blast point.

먼저, 도 4a 를 참조하여 컴퓨터 지원 설계 방식 기반의 발파점 마킹 방법을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12)는 측량기사로부터 입력된 터널 프로그램 실행 요청에 따라 기 설치되어 있는 터널 프로그램을 실행시킨 후, 터널을 측량하기 위한 선형데이터, 종단데이터, 단면데이터 및 구간별 단면데이터를 포함하는 기초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프로젝트 파일을 수신한다(S300). 이때, 상기 수신된 프로젝트 파일은 저장부(15)에 저장된다.First, referring to FIG. 4A, a method for marking blast points based on a computer-aided design method is described. The controller 12 executes a tunnel program that is already installed in response to a tunnel program execution request input from a survey engineer, and then tunnels. Receives a project file generated using the basic data including linear data, longitudinal data, section data and section data for each section for surveying (S300). At this time, the received project file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

이 후, 상기 제어부(12)는 발파점을 마킹할 현장에서 측량기사로부터 입력된 프로젝트 파일 열기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저장부(15)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프로젝트 파일을 읽어들여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한다(S302).Subsequently, the control unit 12 reads the project fil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when a project file opening request signal received from a surveying engineer is received at the site to mark the blasting point. (S302).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2)는 상기 프로젝트 파일을 읽어들여 화면에 표시된 채 발파점의 위치에 레이저빔을 조사하기 위한 측량기(20)와 발파점의 좌표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해 주기 위한 개인 휴대 단말기(10)간의 환경설정정보를 입력받아 측량기(20)와 개인 휴대 단말기(10)간의 원활한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304).Next, the controller 12 reads the project file and displays the instrument 20 for irradiating a laser beam to the position of the blasting point while being displayed on the screen, and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for visually expressing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blasting point ( By receiving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between the 10) to facilitate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instrument 20 and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10 (S304).

이때, 상기 환경설정정보는 측량기의 기종설정정보, 통신설정정보{예를 들면, 포트, 측정시간(측량 후 측량된 측량정보가 들오는데 걸리는 시간)} 등이며, 그 상세한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생략한다.In this case, the environment setting information may be model setting information of the instrument, communication setting information (for example, a port, a measurement time (time taken for the surveying information to be input after surveying), etc.), and the detailed information thereof is as described above. Are omitted.

상기 제어부(12)는 발파점의 위치에 광선을 조사할 측량기(20)의 기계점좌표정보와, 측량부위정보 및 발파점 좌표정보를 입력받는다(S306).The control unit 12 receives the machine point coordinate information, the surveying site information and the blasting point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instrument 20 to irradiate a ray to the position of the blasting point (S306).

이때, 측량기의 기계점좌표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고, 측량부위정보는 도 4b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입력창을 통해 입력받은 스테이션, 중심선이격, 지반고이격, 굴착면의 선택(예를 들면, 굴착, 쇼크리트, 라이닝) 등이며, 발파점 좌표정보는 도 4c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입력창을 통해 입력받는 발파할 발파점의 좌표, 측정, 측정간격, 측정번호 등이다.In this case, the machine point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instrument is as described above, the measurement site information is selected through the input window as shown in Figure 4b station, centerline separation, ground height separation, excavation surface selection (for example, excavation, Shockcrete, lining) and the like, and the blasting point coordinate information is the coordinates of the blasting point to be received through the input window as shown in FIG. 4C, the measurement, the measurement interval, the measurement number, and the like.

그러면, 상기 제어부(12)는 상기 입력받은 발파점 좌표정보를 토대로 발파점의 위치가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한다(S308). 이때, 상기 저장부(15)에 저장된 프로젝트 파일을 읽어들여 화면상에 표시된 단면데이터와 중첩되게 발파점 위치정보가 표시되어 발파점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Then, the controller 12 causes the location of the blasting point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based on the received blasting point coordinate information (S308). At this time, by reading the project fil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 the blasting point posi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to overlap with the cross-sectional data displayed on the screen, it is possible to easily confirm the blasting point position.

이 후, 상기 제어부(12)는 측량기사로부터 발파점 마킹 시작 지시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10). 상기 S310 단계의 판단결과, 발파점 마킹 시작 지시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소정시간 대기상태를 유지한다.Thereafter, the controller 12 determines whether a blasting point marking start instruction signal has been received from the surveying engineer (S310).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310, when the blasting point marking start indication signal is not received, the standby state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상기 S310 단계의 판단결과, 발파점 마킹 시작 지시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제어부(12)는 수신된 발파점 마킹 시작 지시신호와 함께 발파점 좌표정보를 측량기(20)로 전송하여 측량기가 발파점 좌표정보를 토대로 측정간격과 측정번호순으로 레이저빔이 조사되도록 제어한다(S312).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310, when the blasting point marking start indication signal is received, the controller 12 transmits the blasting point coordinate information to the instrument 20 together with the received blasting point marking start indication signal so that the instrument coordinates the blasting point. The laser beam is controlled to be irradiated in the order of the measurement interval and the measurement number based on the information (S312).

즉, 찾고자 하는 발파점의 단면상 상대좌표를 평면선형/종단선형을 통해 실좌표(E, N)로 구하고 기계점과 실좌표상의 각도차를 구해 측량기를 이동시킨 후 측정 또는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그 점의 위치를 표시하게 된다. 이렇게 표시된 발파점의 위치에 수동작업으로 폭약을 장착하여 발파를 하게 된다.In other words, the relative coordinates on the cross-section of the blasting point to be found are obtained by the actual coordinates (E, N) through the planar and vertical lines, the angle difference between the mechanical point and the actual coordinates is obtained, and the instrument is moved. This will indicate the location of the point. The explosives can be blasted by manually installing explosives at the marked blasting points.

상기 측량기(20)에 의해 발파점에 레이저빔이 조사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12)는 시작 스테이션, 종료스테이션 및 스테이션 간격을 입력받으면 측정할 단면에서 발파점 자료에 대한 측정위치를 N, E, Z로 계산하고, 계산된 N, E, Z를 기준으로 현재 위치한 측량기(20)의 위치로부터 수평각(Hz), 수직각(V)을 계산하여 측량기(20)에 보낼 정보(수평각, 수직각)를 해당 측량기의 기종에 맞는 데이터 형태로 가공한 후 측량기(20)에 전송하게 된다.When the laser beam is irradiated to the blasting point by the instrument 20, the control unit 12 receives the start station, the end station, and the station interval, and inputs a measurement position for the blasting point data in the section to be measured. , E, Z, and calculates the horizontal angle (Hz) and the vertical angle (V) from the position of the currently located instrument 20 based on the calculated N, E, Z, and sends the information to the instrument 20 (horizontal angle, Vertical angle) is processed into a data form suitable for the model of the instrument and then transmitted to the instrument 20.

그러면, 상기 측량기(20)는 전송된 정보(수평각, 수직각)대로 측량기를 이동한 후 이동완료 확인신호를 연결케이블(15)을 통해 개인 휴대 단말기(10)로 보낸 다음, 상기 개인 휴대 단말기(10)로부터 발파점 마킹 지시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측량기의 기종에 맞는 데이터 형태로 변환되어 연결케이블(15)을 통해 측량기(20)로 전송하게 되면 측량기(20)에 의해 발파점 위치에 레이저빔이 조사되도록 한다.Then, the instrument 20 moves the instrument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information (horizontal angle, vertical angle) and sends a movement completion confirmation signal to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10 through the connection cable 15, and then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 10) When the blasting marking signal is input from the blasting point marking signal is converted into a data type suitable for the model of the instrument and transmitted to the instrument 20 through the connecting cable 15, the laser beam is positioned at the blasting point position by the instrument 20 To be investigated.

이와 같은 방법으로 터널을 굴착할 굴착면, 쇼크리트면, 라이닝면을 형성하기 위한 발파점을 마킹하게 된다.In this way, the blasting point for forming the excavation surface, the shock concrete surface, and the lining surface to excavate the tunnel is marked.

이렇게 함으로써, 측량기사로부터 입력받은 발파할 발파점좌표정보 및 기계점좌표정보를 토대로 발파할 위치에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쉽게 발파점을 마킹할 수 있다.By doing so, the blasting point can be easily marked by irradiating a laser beam to the blasting position based on the blasting point coordinate information and the machine point coordinate information to be received from the surveying engineer.

본 발명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라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과 같이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s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and the like, and also include those implemented in the form of carrier waves such as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hich are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측량기사로부터 입력받은 측량부위설정정보를 모터로 자동 움직이는 측량기로 전송하여 터널의 굴착면, 쇼크리트면, 라이닝면에 대한 측량을 자동으로 수행함으로써 편리하게 터널을 측량할 수 있고, 측량에 필요한 시간 및 인건비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the surveying site setting information input from the surveying engineer to an automatic moving instrument by a motor to automatically perform the survey on the excavation surface, the shock surface, and the lining surface of the tunnel.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surveyed, significantly reducing the time and labor costs required for the survey.

또한,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측량기에 의해 자동 측량된 측량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함으로써 즉시 여굴량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immediately check the amount of excavation by displaying the survey information automatically measured by the instrument on the screen.

또한, 본발명은 선형데이터, 종단데이터, 단면데이터, 구간별 단면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프로젝트 파일의 기초데이터와 실제로 측량된 측량정보를 비교하여 여굴량을 계산함으로써 터널의 굴착면, 쇼크리트면, 라이닝면의 형성을 위해 어느 정도 더 굴착을 해야하는지 또는 메워야 하는지에 대한 데이터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s the basic data of the project file generated by using the linear data, longitudinal data, section data, section data by section and actually measured survey information to calculate the amount of excavation, shock surface of the tunnel In addition, it is effective to accurately grasp the data on how much excavation or filling to form the lining surface.

또한, 측량기사로부터 입력받은 발파할 발파점좌표정보 및 기계점좌표정보를 토대로 발파할 위치에 측정간격 및 측정번호순으로 레이저빔을 조사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발파점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파점의 위치를 찾는데 소비되는 시간을 줄여 신속하게 공사를 진행할 수 있게 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easy to find the location of the blasting point by controlling the laser beam to be irradiated in the order of the measurement interval and the measurement number based on the blasting point coordinate information and the machine point coordin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urveying engineer. It has the effect of speeding up the construction process by reducing the time spent on locating points.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컴퓨터 지원 설계 방식 기반의 터널 자동 측량 및 발파점 마킹 시스템을 전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ystem for tunnel automatic surveying and blasting point marking based on a computer-aided design schem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 는 도 1 의 개인 휴대 단말기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FIG.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of FIG. 1 in detail;

도 3a 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지원 설계 방식 기반의 터널 자동 측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3A is an operation flowchart for explaining a tunnel automatic surveying method based on a computer-aided design sche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b 는 도 3a 의 터널 측량 수행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FIG. 3B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performing a tunnel survey of FIG. 3A in detail;

도 3c 는 선형데이터의 입력상태를 도시한 화면 예시도,3C is an exemplary screen illustrating an input state of linear data;

도 3d 는 종단데이터의 입력상태를 도시한 화면 예시도,3D is an exemplary screen illustrating an input state of end data;

도 3e 는 단면데이터의 입력상태를 도시한 화면 예시도,3E is an exemplary screen illustrating an input state of cross-sectional data;

도 3f 는 구간별 단면데이터의 입력상태를 도시한 화면 예시도,3F is a screen example showing an input state of section data for each section;

도 3g 는 터널을 측량할 프로젝트 파일을 읽어들여 화면상에 표시한 예시도,3G is an exemplary diagram of reading a project file to survey a tunnel and displaying it on a screen;

도 3h 는 터널을 측량할 측량기의 장비설정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창을 도시한 화면 예시도,3H is an exemplary screen showing an input window for inputting equipment setting information of an instrument for surveying a tunnel;

도 3i 는 측량기와 개인 휴대 단말기간의 통신값설정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창을 도시한 화면 예시도,3I is a screen example showing an input window for inputting communication value setting information between the instrument and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도 3j 는 측량기가 위치한 기계점좌표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창을 도시한 화면 예시도,3J is an example of a screen showing an input window for inputting machine point coordinate information where an instrument is located;

도 3k 는 측량할 측량부위설정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창을 도시한 화면 예시도,3K is an example of a screen showing an input window for inputting survey part setting information to be surveyed;

도 3l 은 측량기가 측량부위설정정보대로 레이저빔을 조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3L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strument is irradiated with a laser beam according to the survey site setting information;

도 3m 은 측량된 측점의 스테이션차, 좌우거리, 높이 및 여굴량을 도시한 화면 예시도,3m is a screen example showing a station difference, left and right distance, height and amount of overtake of the surveyed station;

도 4a 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지원 설계 방식 기반의 발파점 마킹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4A is an operation flowchart illustrating a blast marking method based on a computer-aided design sche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b 는 측량부이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창을 도시한 화면 예시도,4B is a screen example showing an input window for inputting survey buoy information;

도 4c 는 터널에 발파점을 마킹할 발파점 좌표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창을 도시한 화면 예시도.4C is an exemplary screen illustrating an input window for inputting blast point coordinate information for marking a blast point in a tunnel.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개인 휴대 단말기 15 : 연결케이블10: personal mobile terminal 15: connection cable

20 : 측량기20 instrument

Claims (5)

(a) 터널을 측량하기 위한 선형데이터, 종단데이터, 단면데이터 및 구간별 단면데이터를 포함하는 기초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프로젝트 파일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으며, 측량기사의 요청에 따라 프로젝트 파일 열기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102);(a) A project file created using basic data including linear data, profile data, section data, and section data for each section for surveying a tunnel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the project file is opened at the request of a survey engineer. Receiving a request signal (S102); (b) 상기 (a) 단계를 통해 수신된 요청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프로젝트 파일을 읽어들여 화면상에 표시한 채 터널을 측량하기 위한 측량기(20)의 기종에 대한 장비설정정보와 상기 측량기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값 설정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측량기와 개인 휴대 단말기(10)간에 측량을 위한 통신환경을 설정하는 단계(S104);(b) equipment setting information on a model of the instrument 20 for surveying a tunnel while reading a project file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displaying the project file stored in the storage unit in response to the request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tep (a); Receiving communication value setting information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instrument and setting a communication environment for surveying between the instrument and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S104); (c) 상기 (b) 단계를 통해 통신환경설정이 이루어진 후 터널을 측량할 위치에 설치된 측량기의 기계점좌표정보와 터널을 측량할 측량부위설정정보를 입력받는 단계(S201);(c) receiving input of the machine point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instrument installed at the position to survey the tunnel and the measurement site setting information to survey the tunnel after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is set through the step (b); (d) 측량기사로부터 측량시작 지시신호를 입력받으면 입력받은 측량시작 지시신호와 함께 상기 (c) 단계를 통해 입력받은 측량부위설정정보를 측량기로 전송하는 단계(S205); 및(d) when the survey start instruc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survey engineer, transmitting the survey position setting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step (c) together with the survey start instruction signal to the instrument (S205); And (e) 상기 (d) 단계를 통해 전송된 측량부위설정정보대로 자동 측량하여 측량된 측량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측량정보를 상기 프로젝트 파일을 읽어들여 화면상에 표시된 단면데이터와 중첩되게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S20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지원 설계 방식 기반의 터널 자동 측량 방법.(e) automatic surveying according to the surveying site setting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step (d) to receive the surveying survey information, and read the survey information to display the project file so as to overlap with the cross-sectional data displayed on the screen; Tunnel automatic survey method based on a computer-aided design method comprising the step (S207).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측량부위설정정보는 터널 측량의 시작 스테이션, 끝 스테이션, 간격, 터널 중심을 원점으로 한 시작각도, 끝각도, 간격, 중심선 이격, 지반고 이격, 측정면, 스테이션 허용공차 및 최대 측정회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지원 설계 방식 기반의 터널 자동 측량 방법.The measurement site setting information includes a start station, an end station, an interval, a start angle, an end angle, an interval, a centerline spacing, a ground clearance, a measurement plane, a station tolerance and a maximum number of times of measurement of a tunnel survey. Tunnel automatic survey method based on computer-aided design,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f) 상기 (d) 단계를 통해 측량된 측량정보와 상기 프로젝트 파일에 저장되어 있는 기초데이터를 비교하여 측점의 좌우거리, 지반고, 여굴량 및 스테이션차를 계산하여 계산된 정보를 측량기사의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 단계(S20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지원 설계 방식 기반의 터널 자동 측량 방법.(f) comparing the survey information surveyed in step (d) with the basic data stored in the project file, and calculating the left and right distances, ground elevations, overloads, and station differences of the survey points. And a step S209 according to the computer-assisted design method. (a) 터널을 측량하기 위한 선형데이터, 종단데이터, 단면데이터 및 구간별 단면데이터를 포함하는 기초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프로젝트 파일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으며, 측량기사의 요청에 따라 프로젝트 파일 열기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302);(a) A project file created using basic data including linear data, profile data, section data, and section data for each section for surveying a tunnel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the project file is opened at the request of a survey engineer. Receiving a request signal (S302); (b) 상기 (a) 단계를 통해 수신된 요청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프로젝트 파일을 읽어들여 화면상에 표시한 채 발파점을 마킹하기 위한 현장에 설치된 측량기(20)의 기종에 대한 장비설정정보와 상기 측량기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값설정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측량기와 개인 휴대 단말기(10)간에 발파점 마킹을 위한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S304);(b) In response to the request signal received through step (a), the project file stored in the storage unit is rea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while marking the blasting point for the type of instrument 20 installed in the field Setting an environment for blasting point marking between the instrument and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10 by receiving equipment sett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value setting information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instrument (S304); (c) 상기 측량기가 설치된 기계점좌표정보와 발파점을 마킹하기 위한 발파점 좌표정보를 입력받는 단계(S306);(c) receiving the machine point coordinate information and the blast point coordinate information for marking the blasting point where the instrument is installed (S306); (d) 상기 (c) 단계를 통해 입력받은 발파점 좌표정보에 해당되는 발파점의 위치가 상기 프로젝트 파일을 읽어들여 화면상에 표시된 단면데이터와 중첩되게 표시되도록 하는 단계(S308); 및(d) reading the project file so that the position of the blasting point corresponding to the blasting point coordinat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step (c) is displayed so as to overlap with the cross-sectional data displayed on the screen (S308); And (e) 측량기사로부터 발파점마킹 시작 지시신호를 입력받으면, 입력받은 시작지시신호와 함께 상기 (c) 단계를 통해 입력받은 발파점 좌표정보를 측량기로 전송하여 측량기로부터 발파점 좌표정보에 해당되는 발파점 위치에 레이저빔이 조사되도록 제어하는 단계(S3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지원 설계 방식 기반의 발파점 마킹 방법.(e) When the blasting point marking start indication signal is input from the surveying engineer, the blasting point coordinat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step (c) together with the input start indica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instrument to correspond to the blasting point coordinate information from the instrument. Blasting point marking method based on a computer-aided design method comprising the step (S312) of controlling to irradiate the laser beam to the blasting point position.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발파점 좌표정보는 발파할 발파점 좌표, 측정, 측정간격, 측정순서번호를 포함함으로써 발파점 마킹시 발파점 측정간격과 측정번호순서대로 레이저빔이 조사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지원 설계 방식 기반의 발파점 마킹 방법.The blast point coordinate information includes a blast point coordinate to be blasted, a measurement, a measurement interval, and a measurement sequence number to control the laser beam to be irradiated in the blast point measurement interval and the measurement number sequence when marking the blast point. Method based blasting point marking method.
KR1020040001348A 2004-01-09 2004-01-09 method for measuring tunnel automatically and marking shot position based on a computer-aided design KR1005639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1348A KR100563979B1 (en) 2004-01-09 2004-01-09 method for measuring tunnel automatically and marking shot position based on a computer-aided desig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1348A KR100563979B1 (en) 2004-01-09 2004-01-09 method for measuring tunnel automatically and marking shot position based on a computer-aided desig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3139A true KR20050073139A (en) 2005-07-13
KR100563979B1 KR100563979B1 (en) 2006-03-29

Family

ID=37262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1348A KR100563979B1 (en) 2004-01-09 2004-01-09 method for measuring tunnel automatically and marking shot position based on a computer-aided desig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3979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21442A (en) * 2006-06-22 2007-12-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Wireless blasting vibration measurement system
KR101236185B1 (en) * 2010-12-17 2013-02-28 (주)코세코 Tunnel inner wall measurement system and the method thereof
KR101284851B1 (en) * 2011-03-16 2013-07-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Object measuremen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therefor
KR101380172B1 (en) * 2013-05-08 2014-04-0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blasthole positioning
KR101467898B1 (en) * 2013-07-26 2014-12-03 삼성중공업(주) Apparatus and method for marking using laser point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1451B1 (en) * 2019-08-01 2020-03-20 주식회사 엔잔코리아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installed locaiton correction of tunnel support material
KR102389045B1 (en) 2021-09-14 2022-04-22 공간정보기술 주식회사 A smart vertical underground space survey device and a 3D precise survey method using the same
KR102609923B1 (en) 2022-10-14 2023-12-07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Automatic design system of tunnel blast patterns for selecting dominated safety facility using critical object index based on geometric and geographic information, and method for the sam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21442A (en) * 2006-06-22 2007-12-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Wireless blasting vibration measurement system
KR101236185B1 (en) * 2010-12-17 2013-02-28 (주)코세코 Tunnel inner wall measurement system and the method thereof
KR101284851B1 (en) * 2011-03-16 2013-07-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Object measuremen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therefor
KR101380172B1 (en) * 2013-05-08 2014-04-0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blasthole positioning
KR101467898B1 (en) * 2013-07-26 2014-12-03 삼성중공업(주) Apparatus and method for marking using laser poin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3979B1 (en) 2006-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324923B (en) Real-time monitoring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bridge pushing structure
US9510150B2 (en) Integrating position information into a handheld tool
US9817839B2 (en) Managing information at a construction site
US9898705B2 (en) Automated handtool task verification
US9666090B2 (en) Reference based positioning of handheld tools
CN105387274A (en) Underground pipeline repairing assisting method, device and system
KR100563979B1 (en) method for measuring tunnel automatically and marking shot position based on a computer-aided design
CN104141483A (en) Digital drilling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open-pit deep hole blasting
CN110992197B (en) Early warning method and system for irregular convergence deformation of coal mine tunnel
CN114341857A (en) Simulation device
Jarosz et al. Open stope cavity monitoring for the control of dilution and ore loss
CN115600368A (en) Deep hole blasting optimization method, device and equipment and readable storage medium
EP2786338A2 (en) Managing information at a construction site
CN107461204A (en) Development machine tunnels automatic orientation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JP2019158637A (en) Tunnel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and determination method
CN111506943B (en) Method for guiding reinforcing construction of fractured rock mass by three-dimensional geological model
CN109405686B (en) Drilling and blasting method adopting intelligent drilling and blasting system of hydro-electric engineering
KR101037723B1 (en) Construction and completion inspection method using dgps in engineering works and construction
KR101591285B1 (en) Geological survey system using personal portable device and geological survey method using thereof
KR100581380B1 (en) Method For Drawing A Figure Using A Surveying Value Transferred From A Great Many Surveying Instrument
JP5615587B2 (en) Mobile terminal for maintenance of marking information, maintenance program, and maintenance method
KR100868230B1 (en) A method of marking process on the surface of a wall using IGPS
JP2007040773A (en) Measurement control system and measurement control program
JP2002049656A (en) Site measurement support system for wall material
Akbulut et al. Innovative Approach for Monitoring Underground Excavations at San Xavier Underground Mine Laborato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