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2051A - 진공 저장부와 진공 발생부를 일체로 구비하는 진공 저장장치 - Google Patents

진공 저장부와 진공 발생부를 일체로 구비하는 진공 저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2051A
KR20050072051A KR1020040107076A KR20040107076A KR20050072051A KR 20050072051 A KR20050072051 A KR 20050072051A KR 1020040107076 A KR1020040107076 A KR 1020040107076A KR 20040107076 A KR20040107076 A KR 20040107076A KR 20050072051 A KR20050072051 A KR 200500720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generating unit
vacuum storage
diaphragm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7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금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롤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롤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롤팩
Publication of KR20050072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205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1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in an at least partially rigid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진공상태에서 채소 등의 저장물을 장기간 보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진공 저장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진공 저장 장치는, 본체의 상부에 밀봉되는 커버의 내부에 저장용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진공 저장부와, 상기 진공 저장부의 커버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진공저장부의 내부공간에 진공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제공되는 구동모터의 회전 샤프트와 이에 연결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실린더를 구비하는 진공발생유닛을 포함하는 진공 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식품 등의 저장물을 진공상태로 저장하는 저장부와 이 진공 저장부에 진공을 발생시키는 진공 발생부를 일체로 구비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면서, 진공성능도 우수한 보다 개선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진공 저장부와 진공 발생부를 일체로 구비하는 진공 저장 장치{VACUUM STORAGE APPARATUS INTEGRALLY COMPRISING VACUUM VESSEL AND VACUUM-GENERATING UNIT}
본 발명은 진공상태에서 저장물을 보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진공 저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식품 등의 저장물을 진공상태로 저장하는 진공 저장부와 이 진공 저장부에 진공을 발생시키는 진공 발생부를 일체로 구비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면서 진공성능도 우수하게 한 전체적으로 매우 실용적인 진공 저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식품을 오랫동안 저장하는 방법으로는 저온에서 저장하는 방법 예를 들어, 냉장저장방법과, 공기를 뺀 진공상태에서 저장을 유지하는 방법 즉, 진공저장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이때, 후자의 방법인 진공저장방법은 신선한 상태로 식품의 선도를 유지하면서 그 저장기간도 연장시킬 수 있고, 또한 식품의 수분증발을 막아줌으로써 중량감소 등을 방지하고, 특히 공기와 접촉함에 따른 산화를 방지함으로써, 식품의 부패나 미생물증식을 억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진공저장방법은 식품 본래의 맛이나 향을 그대로 장시간 보존시켜 주는 다른 잇점도 제공하기 때문에, 식료품 가공업 이나 근래에는 가정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 진공저장방법의 일 예로는 포장지내에 식품을 넣고 이를 진공 상태로 봉합하여 저장하는 방법과, 고정된 형태의 진공 용기에 식품을 넣은 다음 이 용기에 진공 펌프를 연결하여 용기 내부의 공기를 빼 냄으로써, 진공상태의 용기로서 식품을 저장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때, 후자의 진공 용기를 이용한 진공저장방법은 진공 용기의 진공을 해제하고 저장 중인 식품의 일부를 꺼낸 다음에 다시 진공 용기에 진공을 발생시켜 나머지 식품을 진공 상태로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효과적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진공 용기를 이용하는 진공저장방법에 있어서는, 식품을 진공 저장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진공 용기와 이 진공 용기에 진공을 발생시키기 위한 진공 발생 기구(장치)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상기 진공 용기는 식품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공간을 형성하도록 일측이 개구된 중공형의 본체, 이 본체의 개구와 밀폐식으로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 및 이 커버의 일측에 설치된 밸브를 구비한다.
즉, 진공 용기 내부에 식품을 저장하거나 저장된 식품을 꺼내기 위해서는 먼저 커버를 열게 되고, 진공 용기 내부의 공기를 빼낼 때는 밸브를 통해 진공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진공 발생 기구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모터 및 이 구동 모터의 회전 샤프트에 연결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실린더를 구비하는데, 이와 같은 실린더는 그 흡입 포트측에 연결된 호스 등이 진공 용기의 밸브와 연결됨으로써, 구동 모터가 작동하면 진공 용기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진공 용기 내부에 진공을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지금까지 알려진 종래 진공 저장 방법 즉, 진공용기를 이용한 진공저장방법에 있어서는, 별개의 진공 저장 용기와 진공 발생 기구(장치)를 사용하여 진공 저장용 용기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구현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진공용기를 이용한 진공저장방법에 있어서, 진공 저장 용기는 진공 발생 장치가 있어야만 진공화가 가능하므로, 야외 등지에 진공 저장 용기를 가지고 갈 때에도 항상 진공 발생 장치를 소지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즉, 진공 용기 즉, 진공저장부와 진공 발생 기구인 진공발생부가 분리 운용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하고, 전체 진공 저장 장치의 크기도 크기 때문에, 이의 사용, 취급이 매우 불편한 것이었다.
이에 따라서, 진공 저장부와 진공 발생부를 일체로 하여 사용을 편리하게 하면서, 진공성능도 우수한 진공 저장부와 발생부 일체형의 진공 저장 장치가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식품을 진공상태에서 저장하는 진공 저장부와 상기 진공 저장부에 진공을 발생시키는 진공 발생부를 일체로 구비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특히 진공성능도 우수하게 개선시킨 진공 저장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동 버튼을 장치의 본체 외측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진공발생유닛을 편리하게 조작 제어하도록 하고, 특히 다양한 형태의 진공발생유닛을 제공하여 장치의 용량에 대응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진공 저장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장치본체의 상부에 밀봉되는 커버의 내부에 저장용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진공 저장부; 및,
상기 진공 저장부의 커버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진공저장부의 내부공간에 진공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제공되는 구동모터의 회전 샤프트와 이에 연결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실린더를 구비하는 진공발생유닛을 포함하는 진공 발생부;
를 포함하여 진공 저장부와 발생부를 일체로 구성한 진공 저장 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진공저장부는, 장치의 본체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커버와, 상기 커버의 하측에 배치되는 격판 및, 상기 격판상에 배치되어 진공 저장부내의 저장물을 지지하고 수분은 아래로 흐르도록 제공된 받침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격판의 밑면은 아래로 볼록하며 그 중앙에는 배수구가 설치되고, 상기 배수구에는 배수구의 개폐를 위한 배수구마개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격판의 하부에 제공되면서 상기 배수구와 연결되는 배수호스 및,상기 배수호스와 연결되면서 이를 통하여 흐르는 물을 임시 저장하도록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물받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공 발생부에 제어신호와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본체에 제공된 기판 및, 전원과 조절버튼을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진공발생부의 진공발생유닛의 실린더는 상기 회전샤프트와 연결된 컨넥팅로드가 연결되면서 공기 흡,배기를 위하여 상기 본체상에 제공된 실린더블록내에 배치되고, 상기 실린더블록에는 내장된 밸브로서 공기의 흡,배기가 조정되는 흡,배기관이 연결된다.
또는, 상기 진공발생부의 진공발생유닛의 실린더는 상기 회전샤프트와 연결된 컨넥팅로드가 연결되면서 공기 흡,배기를 위하여 상기 본체상에 제공된 실린더하우징내에 배치되고, 상기 실린더하우징에 결합된 커버에는 내장된 밸브체로서 공기의 흡,배기가 조정되는 흡,배기관이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진공발생유닛들의 흡기관과 상기 진공 저장부의 격판사이에는 진공 발생부의 공기 흡입을 위한 흡기라인이 연결되고, 상기 흡기라인은 그 단부가 상기 진공저장부의 격판에서 위로 후크형태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저장 장치(100)는 크게 저장물 예를 들어, 채소 등의 식품이 진공상태로 저장되는 저장공간(A)(도 1,2)을 형성하는 하우징형태의 커버(110) 및, 실질적인 장치의 진공발생을 가능하게 하는 2가지 형태의 진공발생유닛(150)(150')을 수용하는 하우징형태의 본체(170)로 구성되며, 이들 커버 및 본체(110)(170) 사이에는 진공발생공간과 그렇지 않은 공간으로 분리시키는 격판(130)이 설치되어 이들 사이의 공기유입을 방지하고 있다.
따라서,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100)에서 진공 저장부 (102)는 본체(170)상의 커버(110)와 격판(130)으로 구성되고, 진공발생부(104)는 본체(170)와, 그 내부에 수용되는 진공발생유닛(도 5의 150)(도 8의 150')으로 구성된다.
이때,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110)는 상기 격판(130)과 함께 저장공간(도 1,2의 A)을 형성하도록 하부가 개구된 4개의 측벽 (112)과 상면(114)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상면(114)에는 커버의 취급을 용이하게 하는 손잡이(116)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110)의 측벽(112)의 개구된 하단에는 플랜지(118)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하단 플랜지(118)는 공기의 밀봉을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고무 패킹으로 제공되며, 진공발생기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다음에 설명하는 본체(170)의 상단플랜지(176)와 긴밀하게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상기 커버(110)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투명한 소재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격판(130)과의 사이에 형성된 저장공간(A)에 저장되는 저장물 예를 들어, 채소 등의 식품 저장물을 커버의 외부에서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격판(130)의 상부에는 석쇠형태의 받침대(120)가 설치되며, 상기 받침대(120)는 장방형의 구멍(124)들이 형성된 받침대본체(122)와 이 본체(122)를 상기 격판(130)상에 놓일때 지지하는 복수의 다리(126)를 구비한다.
즉, 상기 받침대(120)는 저장공간(A) 내에 진공상태로 저장 보관되는 채소 등의 식품에 남아있는 수분이 상기 받침대 본체(122)상에 제공된 구멍(124)을 통해 아래의 격판(130) 쪽으로 흘러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대(120)의 하부에 위치하는 격판(130)은 그 외주(132)가 상기 본체(170)의 상단 플랜지(176)의 내주에 기밀되도록 고정 부착되어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커버(110)가 본체(170)와 조립될 때, 상기 커버(110)의 하단 플랜지(118)와 상기 본체(170)의 상단 플랜지(176)가 서로 긴밀하게 맞물리면서 밀봉되면, 상기 격판(130)은 커버(110)와 함께 밀봉된 진공상태 즉,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진공발생유닛(150)(150')에 의한 공기흡입을 통하여 발생되는 진공상태의 저장공간(도 1,2의 A)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격판(130)은 중심부가 아래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네 모퉁이에서 중심부 쪽으로 네 개의 안내홈(134)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격판(130)의 안내홈(134)은 받침대(120) 위에 저장된 저장물로부터 내려오는 물방울(수분)을 격판(130)의 중심부로 모이게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격판(130)의 중심부에는 이와 같이 모인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구(136)가 형성되어 있고 이 배수구(136)는 고무 등의 탄성소재로 구성된 패킹형태의 배수구마개(138)가 끼워져 밀폐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수구마개(138)는 상기 격판(130)과 커버(110) 사이의 저장공간 (A)에 진공이 형성될 때에는 상기 배수구(136)를 밀폐시키어 배수구(136)를 통하여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커버(110)가 본체(170)에서 분리된 상태 예를 들어, 처음 저장물이 저장공간에 놓일때에는 배수구(136)에서 분리되어 물기가 배수구(136)를 통하여 배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진공을 해제하고 상기 격판(130)의 중심부에 모인 물을 배출할 때에는 배수구마개(138)를 손으로 이탈시키면, 물은 배수구(136)를 통해 격판(130)의 외부로 배출되며, 이때 배출되는 물은 상기 배수구(136)에 연결된 배수라인 또는 배수 호스(140)(도 4)를 통해 본체(170)내에 배치된 물받이(190)로 유입 처리되게 된다.
한편, 상기 격판(130)의 네 모퉁이에는 통공(142)이 형성되어 있고 이 통공(142)을 통하여는 진공발생유닛(도 5의 150)(도 8의 150')과 연계되는 흡기라인(158)이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격판(130)의 우측에는 통기구(144)가 형성되어 있으며, 격판 (130)의 저면에는 상기 통기구(144)를 개폐하는 밸브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 밸브 (146)가 장착되어 있고, 이와 같은 솔레노이드 밸브(146)는 진공상태를 해제할때 외부로 부터의 공기유입을 조절하여 진공해제시 커버(110)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70)는 상부가 개구된 장방형 박스 형태로 형성되면서, 4개의 측벽(172), 밑판(174) 및 측벽 상단의 상단 플랜지(176)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상기 상단 플랜지(176)는 앞에서 설명한 도 2,3의 커버(110)의 하단 플랜지(118)와의 기밀결합을 위하여 고무패킹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측벽중 우측의 측벽(172) 일부는 개구(178)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178)를 통하여 앞에서 설명한 물받이(190)의 입출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격판(130) 아래의 본체(170)의 내부에는 실질적으로 본 발명의 진공 저장 장치(100)에서 진공발생을 가능하게 하는 도 5의 진공발생유닛(150)과 다른 형태인 도 8의 진공발생유닛(150') 및, 상기 물받이(190)가 배치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진공 저장 장치(100)에서는 도 5 (150) 및 도 8(150')의 2가지 진공발생유닛을 사용할 수 있는데, 도 5의 진공발생유닛(150)은 본체(170)내에 제공되는 실린더블록(156)을 포함하는 것이고, 도 8의 다른 형태의 진공발생유닛 (150')은 본체(170)내에 제공되는 베이스(151')상의 실린더하우징 (156')을 포함하는 면에서 차이가 있는데, 이들 진공발생유닛(150)(150')을 분리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첫번째 형태의 진공발생유닛 (150)은 커버와 격판사이의 저장공간(도 2,3의 A)에 진공을 형성하도록 동력을 생성하는 구동 모터(152)와, 상기 구동모터(152)의 구동력(힘)을 전달하는 회전샤프트(154) 및, 상기 회전샤프트(154)에 컨넥팅로드(153)로서 각각 연결되면서 본체 (170)내의 실린더블록(156)내에 배치되는 실린더(1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실린더 블록(156)에는 커버(110)와 격판(130) 사이의 저장공간에있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기라인(158)과 연결되는 흡기관(159)과, 진공발생을 위한 실린더블록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관(160)이 연결되어 있다.
한편,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블록(156)의 내부에는 공기의 흡,배기시 공기의 유통을 조정하는 밸브(V1)(V2)들이 내장되어 있고, 이들 밸브의 작동방향은 서로 반대이며, 이들 밸브는 얇은 고무판이 일부분 절개되어 공기의 흐름에 따라 휘어지는 부분이 공기의 흐름을 통기 또는 차단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도 5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첫번째 진공발생유닛(150)의 진공발생작동을 살펴보면, 먼저 구동모터(152)가 구동되어 회전샤프트 (154)와 일체로 커넥팅로드(153)가 작동하여 실린더(155)가 실린더블록(156)의 내부공간(B)에서 후진(도 6의 X방향)하면, 흡기라인(158)과 연결된 흡기관(159)을 통하여 밸브(V1)가 개방되어 공기가 흡입된다.
이때, 배기관측 밸브(V2)는 밀폐되면서 공기는 흡기관을 통하여만 흡입되고, 다시 실린더(155)가 전진(도 6의 Y방향)하면, 실린더블록 공간(B)내의 공기는 흡기관측 밸브(V1)가 밀폐되고, 배기관측 밸브(V2)만 개방되기 때문에 공기는 배기관(160)을 통하여만 배기된다.
결국, 이와 같은 실린더(155)의 왕복운동시 공기는 지속적으로 흡기관(159)을 통하여 흡입되고 배기관(160)을 통하여 배기되면서 상기 흡기관(159)과 연결된 흡기라인(158)이 연결되는 격판(130)과 본체(170)사이의 저장공간(도 2,3의 A)내에는 공기의 흡입으로 진공이 발생되는 것이다.
한편, 도 2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흡기라인(158)은 상기 격판(130)의 상부로 통공을 통하여 돌출되고, 특히 상기 흡기라인(158)의 상단은 후크형태로 구부러져 습기나 이물질 등이 흡기 라인(158)을 타고 진공 발생 유닛(150)의 실린더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발생유닛(150)에서 실린더(155)를 직렬로 더 증대된 숫자로 제공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 경우 실린더블록(156)의 크기는 같게 하되 내부공간(B)과 실린더(155)의 크기를 축소시켜도 전체적인 진공발생능력은 같을 것이지만, 내부공간(B)의 용적율이나 실린더의 크기가 축소되면 그만큼 구동모터(152)의 용량을 적게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경우 소음 발생을 줄일 수 있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물론, 도 7의 경우 진공발생유닛(150)의 전체 크기가 본체(170)의 내부공간과 기타 부품과의 간섭없이 조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다음, 도 8 내지 도 10에서는 본 발명의 진공 저장 장치(100)에서 사용되는 다른 형태의 진공발생유닛(150')을 도시하고 있다.
즉, 도 9 및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두번째 형태의 진공발생유닛(150')은 커버와 격판사이의 저장공간(도 2,3의 A)에 진공을 형성하도록 동력을 생성하는 구동 모터(152')와, 상기 구동모터(152')의 구동력(힘)을 전달하는 회전샤프트(154') 및, 상기 회전샤프트(154')에 컨넥팅로드(153')로서 각각 연결되고, 본체(170)내의 실린더하우징(156')내에 배치되는 실린더 (155')로 구성되고, 이들(152')(154')(155')(156')은 베이스(151')상에 배치되어 있고, 결국 하나의 세트부품으로 본체(170)내에 배치될 수 있어 첫번째 진공발생유닛(150)의 실린더블록 (156)이 본체상에 부착되는 것에 비하여는 부품의 교체와 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하는 잇점을 제공할 것이다.
이때, 상기 실린더하우징(156')에는 커버(157')가 결합되고, 상기 커버 (157')에는 장치커버(110)와 격판(130) 사이의 저장공간(A)에 있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기라인(158)과 연결되는 흡기관(159')과, 진공발생을 위한 실린더하우징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관(160')이 연결되어 있다.
한편,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두번째 진공발생유닛(150')에서 실린더하우징(156')의 커버(157') 내부에는 공기의 흡,배기시 공기의 유통을 조정하는 밸브(V1')(V2')들을 구비하는 밸브체(V')가 내장되어 있고, 이들 밸브의 작동방향은 서로 반대이며, 이 밸브체나 밸브도 얇은 고무판으로 형성되어 밸브들이 부분적으로 절개되면서 공기의 흐름에 따라 공기의 흡,배기를 조절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도 8 및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두번째 진공발생유닛(150')에서는, 구동모터(152')가 구동되어 회전샤프트(154')와 일체로 커넥팅로드(153')가 작동하여 실린더(155')가 실린더하우징(156')의 내부공간(B')에서 후진(도 10의 X방향)하면, 흡기라인(158)과 연결된 흡기관(159')을 통하여 밸브 (V1')가 개방되어 공기가 흡입된다.
이때, 배기관측 밸브(V2')는 밀폐되면서 공기는 흡기관을 통하여만 흡입되고, 다시 실린더(155')가 전진(도 10의 Y방향)하면, 실린더하우징 공간(B')내의 공기는 흡기관측 밸브(V1')가 밀폐되고, 배기관측 밸브(V2')가 개방되면서 배기관 (160)을 통하여 배기된다.
결국, 이와 같은 실린더(155')의 왕복운동시 공기는 지속적으로 흡기관 (159')을 통하여 흡입되고 배기관(160')을 통하여 배기되면서 상기 흡기관(159')과 연결된 흡기라인(158)이 연결되는 격판(130)과 본체(170)사이의 저장공간(A)내에는 공기의 흡입으로 진공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밸브체(V')의 밸브(V1')(V2')들은 얇은 고무판이 일부분 서로 반대방향으로 절개되어 공기의 흐름에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운동하는 형태로 그 운동방향의 지지방향에 따라 개방 및 밀폐되는 구조이다
한편, 도 11a에서는 실린더(155')의 수를 증대시킨 직렬형 배치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경우 실린더하우징(156')의 용적율을 낮추면서 전체 진공능력을 같게하기 때문에, 구동모터(152')의 용량을 낮추고, 이로 인하여 소음 발생을 줄일수 있게 하는 잇점을 제공할 것이다.
또는, 도 11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실린더하우징(156')을 병렬로 배치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즉, 도 11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병렬배치에 있어서는, 실린더(155')의 행정운동은 서로 다르게 하면서 공기흡입은 연속적으로 이루어 지도록 하고, 이경우 동일한 행정운동을 하는 실린더(155')가 2개씩 병렬로 배치되면, 구동모터(152')의 구동속도를 예를 들어, 구동모터의 구동속도를 3400 RPM 에서 1700 RPM으로 줄여도 전체 진공능력은 유지되기 때문에, 소음발생이 최소화되면서 실린더의 행정 스트로크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할 것이며, 만약 동일한 용량의 구동모터라면 에어흡입력은 최소한 2배이상 증대시키는 잇점을 제공할 것이다.
물론, 도 11의 다른 배열의 진공발생유닛(150')들도 진공저장장치(100)의 본체(170)내에 설치되도록 크기가 조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다음,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블록(156)의 우측에는 본체(170)상에는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예를 들어, 본체(170)내에는 기판(162)이 설치되어 있어 도시하지 않은 전원라인과 신호라인을 통하여 지금까지 설명한 진공발생유닛(150)(150') 구체적으로는 구동모터(152)(152')와 연결되어 있어, 상기 진공발생유닛(150)(150')의 동작을 제어하고 그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도 2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70)의 측벽(172)의 일측에는 전원버튼(180)이 설치되어 커버(110)와 격판(130) 사이의 저장공간 내에 진공의 발생과 해제를 제어할 수 있게 하며, 인접하여는 조절버튼(182)이 설치되어 있어 커버(110)와 격판(130) 사이의 저장공간 내에 형성되는 진공도(진공강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도 3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70)내의 상기 물받이(190)는 격판(130)으로부터 배수호스(140)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받기 위한 것으로,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의 본체(192)와 사용자가 상기 물받이(190)를 잡기 위한 물받이 손잡이(194)를 포함한다.
다음,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인 진공 저장 장치(100)의 전체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이하에서는 첫번째 진공발생유닛(150)(도 5 내지 도 8)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2, 3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배수구마개(138)를 격판(130)의 배수구(136)에 긴밀하게 끼우고 받침대(120)를 본체(170)내의 격판 (130)위에 적치한다.
다음, 상기 격판(130)상의 받침대(120) 위에 진공저장을 원하는 저장물 예를 들어, 채소 등의 저장물(미도시)을 올려놓은 다음, 커버(110)를 그 하단 플랜지 (118)가 하부 하우징(170)의 상단 플랜지(176)에 맞춰 배치한다.
그 다음, 전원버튼(180)을 누르면, 진공발생유닛(150)의 구동모터(152)가 회전하고 그에 따라 한 쌍의 회전 샤프트(154)가 회전하면서 실린더블록(156) 내의 한 쌍의 실린더(155)가 작동하여 공기의 흡입이 이루어 진다.
따라서, 실린더블록(156)의 흡기관(159)과 연결된 흡기라인(158)을 통해 상부 하우징(110)과 격판(130) 사이의 저장공간(A)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기관(160)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여 저장 공간에 진공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진공화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격판(130)의 통기구(144)는 솔레노이드 밸브(146)에 의해 폐쇄되며 이는 저장 공간에 진공이 유지되는 동안에도 계속 폐쇄된다.
또한, 저장공간(A)에 진공이 발생하면 상부 하우징(110)의 하단 플랜지(118)와 하부 하우징(170)의 상단 플랜지(176)는 서로 견고하게 부착되므로 별도의 결합 수단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한편, 저장물을 저장공간(A)으로 부터 전부 또는 일부 꺼내야 할 때에는, 전원 버튼(180) 또는 별도의 제어 버튼(도시 생략)을 눌러 솔레노이드 밸브(146)를 동작시켜 통기구(144)를 열어 저장 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게 하여 저장 공간 내의 진공을 해제시키고, 그 다음, 상부 하우징 손잡이(116)를 잡고 상부 하우징(110)을 옮겨 저장 공간을 개방하고 저장물을 전부 또는 일부 꺼낸다.
이때, 격판(130)에 물이 고인 경우 고무패킹의 배수구마개(138)를 빼내면 물은 배수구 (136)와 배수 호스(140)를 통해 물받이(190)로 흘러가므로, 추후 물받이(190)를 하부 하우징(170)에서 분리하고 물을 버리면 된다.
다음, 나머지 저장물 또는 새로운 저장물을 진공 저장할 때에는 전술한 단계를 다시 실시하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진공 저장 장치에 의하면, 식품을 진공 저장하는 저장부와 이 진공 저장부에 진공을 발생시키는 진공 발생부를 일체로 구비하므로 사용자는 별도의 진공 발생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편리하게 저장 용기에 진공을 발생하고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작동 버튼을 외측에 구비하므로, 사용자는 진공 발생 유닛을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커버인 상부 하우징을 투명한 플라스틱 또는 유리로 구성함으로써 저장물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형태의 진공발생유닛을 제공하여 장치의 용량에 대응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등의 여러 우수한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저장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저장공간을 나타낸 본 발명의 진공 저장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진공 저장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진공 저장 장치에서 격판의 저면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진공 저장 장치에서 본체와 그 내부의 진공발생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진공발생유닛에서 실린더블록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평면 구조도
도 7은 도 5의 진공발생유닛의 다른 설치예를 도시한 평면 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인 진공 저장 장치에서 본체부내에 제공된 진공발생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진공발생유닛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진공발생유닛의 실린더하우징을 도시한 평면 구조도
도 11은 도 8의 진공발생유닛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실린더하우징을 다수의 직렬형으로 배치한 것을 도시한 구조도
(b)는 실린더하우징을 병렬형으로 배치한 것을 도시한 구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진공 저장 장치 110.... 커버
120.... 받침대 130.... 격판
134.... 안내 홈 136.... 배수구
138.... 배수구마개 142.... 흡기라인용 통공
144.... 통기구 146.... 솔레노이드 밸브
150,150'.... 진공발생유닛 152,152'.... 구동 모터
154,154'.... 회전샤프트 155,155'.... 실린더
156.... 실린더 블록 156'.... 실린더하우징
158.... 흡기라인 159,159'.... 흡기관
160,160'.... 배기관 162.... 기판
170.... 본체 180.... 전원 버튼
190.... 물받이

Claims (8)

  1. 장치본체의 상부에 밀봉되는 커버의 내부에 저장용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진공 저장부; 및,
    상기 진공 저장부의 커버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진공저장부의 내부공간에 진공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제공되는 구동모터의 회전 샤프트와 이에 연결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실린더를 구비하는 진공발생유닛을 포함하는 진공 발생부;
    를 포함하여 진공 저장부와 발생부를 일체로 구성한 진공 저장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저장부는,
    장치의 본체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커버;
    상기 커버의 하측에 배치되는 격판; 및,
    상기 격판상에 배치되어 진공 저장부내의 저장물을 지지하고 수분은 아래로 흐르도록 제공된 받침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저장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격판의 밑면은 아래로 볼록하며 그 중앙에는 배수구가 설치되고, 상기 배수구에는 배수구의 개폐를 위한 배수구마개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저장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격판의 하부에 제공되면서 상기 배수구와 연결되는 배수호스; 및,
    상기 배수호스와 연결되면서 이를 통하여 흐르는 물을 임시 저장하도록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물받이;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저장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발생부에 제어신호와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본체에 제공된 기판 및, 전원과 조절버튼을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저장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발생부의 진공발생유닛의 실린더는 상기 회전샤프트와 연결된 컨넥팅로드가 연결되면서 공기 흡,배기를 위하여 상기 본체상에 제공된 실린더블록내에 배치되고, 상기 실린더블록에는 내장된 밸브로서 공기의 흡,배기가 조정되는 흡,배기관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저장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발생부의 진공발생유닛의 실린더는 상기 회전샤프트와 연결된 컨넥팅로드가 연결되면서 공기 흡,배기를 위하여 상기 본체상에 제공된 실린더하우징내에 배치되고, 상기 실린더하우징에 결합된 커버에는 내장된 밸브체로서 공기의 흡,배기가 조정되는 흡,배기관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저장 장치.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발생유닛의 흡기관과 상기 진공 저장부의 격판사이에는 진공 발생부의 공기 흡입을 위한 흡기라인이 연결되고, 상기 흡기라인은 그 단부가 상기 진공저장부의 격판에서 위로 후크형태로 돌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저장 장치.
KR1020040107076A 2004-01-05 2004-12-16 진공 저장부와 진공 발생부를 일체로 구비하는 진공 저장장치 KR200500720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0396 2004-01-05
KR20040000396 2004-01-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2051A true KR20050072051A (ko) 2005-07-08

Family

ID=37261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7076A KR20050072051A (ko) 2004-01-05 2004-12-16 진공 저장부와 진공 발생부를 일체로 구비하는 진공 저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7205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3405A1 (ko) * 2017-07-14 2019-01-17 손부경 진공 밀폐 케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3405A1 (ko) * 2017-07-14 2019-01-17 손부경 진공 밀폐 케이스
KR20190008043A (ko) * 2017-07-14 2019-01-23 손부경 진공 밀폐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2055B1 (ko) 공기 조화 장치
KR101943098B1 (ko) 진공 믹서기
US20050172834A1 (en) Vacuum packing machine
JP7459255B2 (ja) 引出しの蓋、ならびに引出し内室を監視する方法
CN111578590B (zh) 冰箱
US201400758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items
KR101362264B1 (ko) 진공펌프
KR101902335B1 (ko) 진공밀폐용기
KR20050072051A (ko) 진공 저장부와 진공 발생부를 일체로 구비하는 진공 저장장치
CN114981601A (zh) 真空抽屉装置的多层的盖子
KR101409575B1 (ko) 식품보관용기용 가압식 밀폐뚜껑
KR101057328B1 (ko) 진공포장기기
KR100455105B1 (ko) 진공화 장치 및 그를 위한 진공상태해제 겸용진공상태표시기구
CN214357857U (zh) 一种智能真空保鲜机
CN114945785B (zh) 抽屉装置
CN107499718A (zh) 可抽真空的随身杯
CN213757863U (zh) 真空阀、抽真空结构及真空料理机
CN108837199B (zh) 吸奶器主机方法、吸奶器主机系统、吸奶器主机及用途
CN212591814U (zh) 储米装置
CN213371626U (zh) 储米装置
KR200201019Y1 (ko) 공기흡입식 진공 밀폐형 식품용기
KR100464661B1 (ko) 직선형의 밀봉부재가 구비된 진공포장기
KR200200997Y1 (ko) 진공 음식물 보관 용기
CN113082233B (zh) 一种蒸汽消毒柜
CN208590945U (zh) 抽真空装置及料理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