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1940A - 영상표시장치의 벽걸이 겸용 스탠드 - Google Patents

영상표시장치의 벽걸이 겸용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1940A
KR20050071940A KR1020040000342A KR20040000342A KR20050071940A KR 20050071940 A KR20050071940 A KR 20050071940A KR 1020040000342 A KR1020040000342 A KR 1020040000342A KR 20040000342 A KR20040000342 A KR 20040000342A KR 20050071940 A KR20050071940 A KR 20050071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
wall
sliding
image display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0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0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71940A/ko
Publication of KR20050071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194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니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탁상용 뿐만 아니라 벽걸이 겸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핸들의 기능도 가능하고, 포장상태에서 충격이 가해질 때 힌지부분이 파손되지 않으며, 포장부피가 작은 영상표시장치의 벽걸이 겸용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의 백커버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하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슬라이딩 레일과, 상기 슬라이딩 레일에 상기 슬라이딩 레일에 대하여 회동 및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슬라이딩 힌지와, 일단이 상기 슬라이딩 힌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탠드 부재와, 상기 스탠드 부재의 타단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를 포함하여 탁상용과 벽걸이 겸용으로 간편하게 전환할 수 있고, 손잡이의 기능도 하며 포장시 그 부피가 줄어들고 포장낙하시 힌지파손에 대한 고려를 할 필요가 없는 영상표시장치의 벽걸이 겸용 스탠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영상표시장치의 벽걸이 겸용 스탠드 {Stand for video display can be used as a desk and a wall mount}
본 발명은 모니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힌지구조와 슬라이딩 구조를 구비하여, 바닥에 지지할 수도 있고 동시에 벽걸이로도 이용이 가능한 영상표시장치의 벽걸이 겸용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상표시장치로는 PDP(Plasma Display Panel)와 LCD(Liquid Crystal Display)등이 있으며, 이러한 영상표시장치는 음극선관(Cathode-Ray Tube : CRT)을 이용한 영상표시장치에 비하여 그 체적과 무게를 혁신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어, 종래에 널리 쓰인 음극선관이 적용된 영상표시장치를 대체하여 컴퓨터 모니터나 TV등에 적용되어 널리 보급되는 추세에 있다.
상기와 같은 이점을 지니고 있는 영상표시장치(이하 LCD모니터라 칭함)는 벽걸이형의 마운트를 장착하여 벽면에 부착하여 설치할 수 있고, 또한, LCD모니터의 일측에 자세조정이 가능한 스탠드를 부착하여 탁상용으로 바닥면에 설치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영상표시장치의 탁상용 스탠드가 결합된 LCD모니터를 후면에 바라본 도면이다.
종래의 탁상용 스탠드는 바닥에 지지되는 베이스(20)와, 상기 베이스(20)에 대략 수직하게 결합되는 포스트(30)와, 상기 포스트(30)의 끝에 회전가능한 힌지(40)로 결합되며 LCD모니터(10)의 후면에 나사결합되는 브라켓(5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LCD모니터(10)의 후면 상단부에는 소정깊이의 홈이 파인 손잡이(60)이 형성되어 LCD모니터(10)를 이동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손잡이(60)에 손을 집어넣어 들어올린 후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스탠드의 힌지(40)를 회동시켜 자신에게 적합한 LCD모니터(10)의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구조는 탁상용의 목적으로만 제작되어 벽에 걸고자 할 경우에는 기존의 스탠드는 분리하고 별도의 벽걸이용 마운트를 구입해야되기 때문에 추가적인 부담이 생기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60)은 심미적인 이유로 그 강도가 충분하게 설계되지 못하여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LCD모니터(10)의 스탠드의 구조는 LCD모니터(10)의 무게가 힌지(40)부분에 집중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어, 제품이 포장상태에서 운반도중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힌지(40)부분에 크랙이 발생하게 되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품을 포장할 때 스탠드도 같이 포장되기 때문에 포장 부피가 커지게 되어 운반시 운송비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스탠드의 구조를 개선하여 탁상용 뿐만 아니라 벽걸이용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며, 핸들의 기능도 가능하고, 포장상태에서 충격이 가해질 때 힌지부분이 파손되지 않게하며, 포장부피가 작은 영상표시장치의 벽걸이 겸용 스탠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의 백커버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하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슬라이딩 레일과, 상기 슬라이딩 레일에 상기 슬라이딩 레일에 대하여 회동 및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슬라이딩 힌지와, 일단이 상기 슬라이딩 힌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탠드 부재와, 상기 스탠드 부재의 타단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벽걸이 겸용 스탠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장변부에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치상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치상돌기부에 결합하는 상기 슬라이딩 힌지는 상기 한 쌍의 치상돌기가 이루는 최소폭 보다 큰 장축과, 상기 치상돌기가 이루는 최소폭 보다 작은 단축을 가지는 타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의 벽걸이 겸용 스탠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벽걸이 겸용 스탠드의 주요한 구성요소중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도 1에 따라 전술한 종래의 기술을 참조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벽걸이 겸용 스탠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의 벽걸이 겸용 스탠드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같이, 영상표시장치(이하 LCD모니터(100)라 칭함)의 후면에 상하로 나란히 형성된 한 쌍의 레일(11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레일(110)의 사이에는 소정깊이로 홈(16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양 쪽 레일(110)에 상하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힌지(120)의 양 끝단이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딩 힌지(120)의 중앙부에는 스탠드의 높이를 이루는 스탠드 포스트(130)의 일단이 결합되며, 상기 스탠드 포스트(130)의 타단에는 바닥면에 지지되는 베이스(140)가 상기 스탠드 포스트(130)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힌지(150)에 의해 결합된다.
또한, 상기 스탠드 포스트(130)는 상기 홈(160)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홈(160)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레일(110)의 마주보는 장변부에는 치상돌기(112)가 형성되고, 상기 치상돌기(112)의 사이에 상기 슬라이딩 힌지(120)가 결합되는데, 상기 치상돌기(112)의 사이에 결합되는 슬라이딩 힌지(120)의 끝단 단면의 장축의 길이(LL)은 서로마주보는 상기 치상돌기(112)의 사이의 최소폭(WS)보다 크고 최대폭(WL)보다는 작으며, 상기 슬라이딩 힌지(120)의 단축의 길이(LS)은 상기 치상돌기(112)의 사이의 최소폭(WS)보다 작은 타원형의 단면을 갖는다.
또한, 상기 스탠드 포스트(130)는 슬라이딩 힌지(120)와 결합된 끝단이 대략 "ㄱ"자 형을 절곡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치상돌기(112)의 사이에 설치된 타원형의 슬라이딩 힌지(120)는 상기 스탠드 포스트(130)가 지면에 대해서 직립되어 있을 때 상기 슬라이딩 힌지(120)의 타원의 장축이 지면에 대해 수평되는 방향으로 상기 스탠드 포스트(130)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스탠드 포스트(130)가 지면에 대해서 직립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치상돌기(112) 사이에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딩 힌지(120)의 장축이 지면에 대하여 수평하게 되는데, 상기 슬라이딩 힌지(120)의 장축이 상기 치상돌기(112) 사이의 최소폭(WS)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슬라이딩 힌지(120)는 치상돌기(112)의 사이를 통과하지 못하게 되므로 상기 LCD모니터(100)의 무게를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포장등의 목적으로 상기 LCD모니터(100)의 부피를 최소화 시키고자 스탠드를 접을 필요가 있을 때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스탠드 포스트(130)를 LCD모니터(100)의 뒷면으로 회전 시킨 후,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LCD모니터(100)의 뒷면에 연접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스탠드 포스트(130)에 결합된 베이스(140)도 회전시켜 LCD모니터(100)의 뒷면에 연접하게 한다.
또한, 상기 LCD모니터(100)의 스탠드를 벽걸이로 이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스탠드 포스트(130)를 LCD모니터(100)에 대하여 90°의 각을 이루도록 회전시키면 상기 치상돌기(112) 사이에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딩 힌지(120) 또한 90°회전되어 슬라이딩 힌지(120)의 단축이 지면에 대해 수평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딩 힌지(120)의 단축은 상기 치상돌기(112)의 최소폭(WS)보다 작으므로 상기 치상돌기(112) 사이를 이동할 수 있게된다. 따라서, 도 5a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스탠드 포스트(130)를 상기 레일(110)의 상부끝단까지 밀어 올린후 상기 스탠드 포스트(130)를 상부를 향하도록 90°회전시키고 상기 스탠드 포스트(130)에 결합된 베이스(140)도 상기 스탠드 포스트(130)와 겹치도록 회전시킨다.
이 때, 상기 베이스(14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같이 아치형을 이루고 있어 벽에 박힌 못이나 돌기등에 상기 LCD모니터(100)를 걸 수 있게 되며, 또한, 상기 LCD모니터(100)를 이동하고자 할 때에도 상기 베이스(140)를 손잡이로 이용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베이스의 끝단(142)이 상기 슬라이딩 힌지(120)보다 다소 하방까지 연장되는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LCD모니터(100)의 무게중심과 상기 LCD모니터(100)를 지지하는 슬라이딩 힌지(120)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LCD모니터(100)에 모멘트가 작용하여 회전하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의 끝단(142)이 상기 LCD모니터(100)가 회전하려는 것을 지지하게 되어 상기 LCD모니터(100)를 벽에 걸거나 운반하는 경우에도 회전하려는것이 방지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의 벽걸이 겸용 스탠드에 따르면, 스탠드를 탁상용과 벽걸이 겸용으로 간편하게 전환할 수 있어 벽걸이 전용 스탠드를 별도로 구입하여야 하는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를 손잡이로도 이용할 수 있어, LCD모니터의 뒷면에 핸들을 따로 제작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설계자가 따로 핸들을 설계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품을 포장할 때 상기 스탠드를 LCD모니터의 뒷면에 접어 밀착시킬 수 있으므로 포장의 부피를 줄일수 있어 제품의 포장비와 운송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포장낙하에 따른 힌지파손에 대한 고려를 할 필요가 없어 개발비용 및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영상표시장치의 스탠드를 도시한 후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의 벽걸이 겸용 스탠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2a는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의 벽걸이 겸용 스탠드가 탁상용으로 쓰일 때의 형태를 도시한 후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의 벽걸이 겸용 스탠드가 탁상용으로 쓰일 때의 형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의 벽걸이 겸용 스탠드의 스탠드 포스트가 회전하는 것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의 벽걸이 겸용 스탠드의 부피가 최소화 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의 벽걸이 겸용 스탠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5a는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의 벽걸이 겸용 스탠드가 벽걸이용으로 쓰일 때의 형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의 벽걸이 겸용 스탠드가 벽걸이용으로 쓰일 때의 형태를 도시한 후면도.
*도면의 주요한 부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LCD모니터 110 : 레일
112 : 치상돌기 120 : 슬라이딩 힌지
130 : 스탠드 포스트 140 : 베이스
150 : 힌지 LL : 슬라이딩 힌지의 장축의 길이
LS : 슬라이딩 힌지의 단축의 길이 WL : 치상돌기 사이의 최대폭
WS : 치상돌기 사이의 최소폭

Claims (4)

  1. 영상표시장치의 백커버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하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슬라이딩 레일과;
    상기 슬라이딩 레일에 상기 슬라이딩 레일에 대하여 회동 및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슬라이딩 힌지와;
    일단이 상기 슬라이딩 힌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탠드 부재와;
    상기 스탠드 부재의 타단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벽걸이 겸용 스탠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장변부에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치상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벽걸이 겸용 스탠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힌지는 상기 한 쌍의 치상돌기가 이루는 최소폭 보다 큰 장축과;
    상기 치상돌기가 이루는 최소폭 보다 작은 단축을 가지는 타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벽걸이 겸용 스탠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대략 반원의 형상으로 호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벽걸이 겸용 스탠드.
KR1020040000342A 2004-01-05 2004-01-05 영상표시장치의 벽걸이 겸용 스탠드 KR200500719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0342A KR20050071940A (ko) 2004-01-05 2004-01-05 영상표시장치의 벽걸이 겸용 스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0342A KR20050071940A (ko) 2004-01-05 2004-01-05 영상표시장치의 벽걸이 겸용 스탠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1940A true KR20050071940A (ko) 2005-07-08

Family

ID=37261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0342A KR20050071940A (ko) 2004-01-05 2004-01-05 영상표시장치의 벽걸이 겸용 스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71940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074B1 (ko) * 2006-06-29 2007-11-1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디스플레이 장치의 벽걸이 겸용 스탠드
KR100873644B1 (ko) * 2007-04-06 2008-12-12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엘씨디 모니터장치
KR20170026042A (ko) * 2015-08-28 2017-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17879A (ko) * 2016-08-11 2018-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0778934B2 (en) 2017-03-20 2020-09-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vertible stand of display apparatus
CN114962885A (zh) * 2022-05-24 2022-08-30 东莞阿尔泰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便于安装的led显示屏及其安装座
CN114962885B (zh) * 2022-05-24 2024-06-04 东莞阿尔泰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便于安装的led显示屏及其安装座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074B1 (ko) * 2006-06-29 2007-11-1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디스플레이 장치의 벽걸이 겸용 스탠드
KR100873644B1 (ko) * 2007-04-06 2008-12-12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엘씨디 모니터장치
KR20170026042A (ko) * 2015-08-28 2017-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17879A (ko) * 2016-08-11 2018-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0778934B2 (en) 2017-03-20 2020-09-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vertible stand of display apparatus
CN114962885A (zh) * 2022-05-24 2022-08-30 东莞阿尔泰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便于安装的led显示屏及其安装座
CN114962885B (zh) * 2022-05-24 2024-06-04 东莞阿尔泰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便于安装的led显示屏及其安装座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3072B1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0807868B1 (ko) 진열장의 진열물품 회전장치
EP1772662A2 (en) Stand for image display device
US7804679B2 (en) Computer display accessory
US20070080271A1 (en) Stand for image display device
US9611979B2 (en) Electronic tablet mount
KR20050071940A (ko) 영상표시장치의 벽걸이 겸용 스탠드
TWM306457U (en) Hanging apparatus with gravity compensation
KR100643914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거치 구조
KR100587308B1 (ko) 평판 표시기를 위한 벽걸이 구조
KR20090006342A (ko) 진공흡착식 스탠드장치
CN104406014B (zh) 一种可翻转折叠底座及液晶电视
KR100778217B1 (ko) 영상표시장치의 월 마운트 겸용 스탠드.
JP3130870U (ja) 緩衝材を備えたスタンド付き表示装置
CN101165814A (zh) 平板显示器的支架组件
KR101008637B1 (ko) 영상표시기기의 벽걸이장치
KR20090099290A (ko) 영상표시장치의 벽걸이장치
JP3131671U (ja) 壁掛け機能を備えた薄型テレビのスタンド装置
JP2006301211A (ja) 薄型表示装置
TWI783801B (zh) 顯示器及固定結構
EP1760386A1 (en) A support device for regulating a position of a flat screen
KR200373149Y1 (ko)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걸이대
KR100686068B1 (ko) 영상 표시 장치의 스탠드
KR20100035544A (ko) 텔레비전의 높이 가변장치
JP2008182504A (ja) 薄型テレビジョンおよび薄型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