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3149Y1 -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걸이대 - Google Patents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걸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3149Y1
KR200373149Y1 KR20-2004-0029615U KR20040029615U KR200373149Y1 KR 200373149 Y1 KR200373149 Y1 KR 200373149Y1 KR 20040029615 U KR20040029615 U KR 20040029615U KR 200373149 Y1 KR200373149 Y1 KR 2003731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mber
wall
rotating
fixing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96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수만
Original Assignee
곽수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수만 filed Critical 곽수만
Priority to KR20-2004-00296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31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31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31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벽걸이형 디스플레이를 좋은 시야각에서 편리하게 감상하기 위하여, 벽에 고정되는 제 1 고정부재와; 상기 제 1 고정부재에 대하여 수직적으로 회동가능한 회동부재와; 상기 제 1 고정부재와 상기 회동부재를 회동하게 하는 회동기구와; 상기 제 1 고정부재와 상기 회동부재 사이에 장착되고, 회동부재의 회동에 의해 신장되고, 탄성력으로 복귀 가능한 태엽스프링을 포함하는 벽걸이용 디스플레이의 걸이대를 제공한다.
상기 제 1 고정부재와 결합되고 별도로 벽에 장착되는 제 2 고정부재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고정부재와 상기 회동부재는 각각 한 쌍으로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걸이대{Holder for A Display device mounted on wall}
본 고안은 표시장치 즉, 디스플레이(Display device)의 홀더(걸이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벽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용 걸이대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는 전자산업의 발전으로 탄생되고, 반도체공정의 진보에 힘입어, 브라운관(CRT)에서 지금은 급속하게 평판디스플레이로 무게중심이 옮겨지고 있다. 평판디스플레이는 대표적으로는 액정표시장치(LCD)와,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PDP)이 있으며, 최근 유기ELD(Organic Electro Luminecence Display)가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최신의 디스플레이는 기술진보에 따라 박형화되고, 사이즈가 점점 커지고 있으며, 따라서 벽걸이용 TV와 같이 벽에 밀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종래에 벽걸이용으로 사용되는 디스플레이용 걸이대의 경우에 벽에만 고정되게 되어 있어, 사용자의 눈높이에만 설치하여야 하므로 설치공간에 제약이 있고, 이를 무시하고 사용자의 눈높이와 다른 높이에 설치할 경우에는 시야각이 좋지 않아 디스플레이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높이에 관계없이 벽걸이용 디스플레이를 장착하고, 필요에 따라 벽에 밀착시키거나 또는 사용의 편의를 위해 일정각도로 조절하여 일시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벽걸이용 디스플레이의 걸이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벽걸이형 디스플레이용 걸이대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탄성스프링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통상의 개폐기용 케이스 10: 별도 부재
11: 별도부재에 형성된 엠보싱 20: 페인트
100: 본 고안에 따른 변압기용 케이스 110: 엠보싱
120: 환풍구조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벽에 고정되는 제 1 고정부재와; 상기 제 1 고정부재에 대하여 수직적으로 회동가능한 회동부재와; 상기 제 1 고정부재와 상기 회동부재를 회동하게 하는 회동기구와; 상기 제 1 고정부재와 상기 회동부재 사이에 장착되고, 회동부재의 회동에 의해 신장되고, 탄성력으로 복귀 가능한 태엽스프링을 포함하는 벽걸이용 디스플레이의 걸이대를 제공한다.
상기 제 1 고정부재와 결합되고 별도로 벽에 장착되는 제 2 고정부재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고정부재와 상기 회동부재는 각각 한 쌍으로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동기구는 상기 제 1 고정부재에 대하여 상기 회동부재가 회동하는 회동조인트(revolute joint, center of rotation)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 1 고정부재 또는 상기 회동부재에 일단이 고정된 링크와, 상대 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링크의 타단이 삽입된 장홈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태엽스프링은 상기 제 1 고정부재의 장착되고, 연장끝단은 상기 회동부재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 제시된 벽걸이용 디스플레이의 걸이대의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 걸이대는 벽에 고정되는 제 1 고정부재와; 상기 제 1 고정부재에 대하여 수직적으로 회동가능한 회동부재와; 상기 제 1 고정부재와 상기 회동부재를 회동하게 하는 회동기구와; 상기 제 1 고정부재와 상기 제 2 고정부재사이에 장착되고, 외부힘에 의해 신장 또는 수축변형되고, 변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태엽스프링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제 1 고정부재와 회동부재는 각각 한 쌍이 있는 바, 한 쌍이 아니고 보다 넓은 사이즈로 설계하여 하나의 부재로 할 수는 있으나, 재료적인 측면, 제품 제공시 보관상의 공간문제 등을 고려하여 한 쌍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아울러 한 쌍으로 하는 것이 강도상 더 유리할 수도 있다. 한편, 여기서 각 부재의 재료는 중요한 것이 아니고, 가능하면 견고하고 수명이 긴 것이 좋음은 당연하다.
이렇게 좌,우 한 쌍으로 배치할 경우, 상기 제 1 고정부재와 결합되고 별도로 벽에 장착되는 제 2 고정부재를 더욱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물론, 제 1 고정부재를 크게 할 수도 있으나, 2개의 부재가 별도로 벽에 지지되는 것이 안전상 유리하고, 이 부재들이 결합하면 결합력을 더욱 높일 수 있고 견고해진다는 것은 상식에 속하는 지식이다.
제 1 고정부재와 제 2 고정부재의 결합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며, 공통 스크루홀을 통해 벽에 고정할 수도 있고, 제 1, 2 고정부재만 스크루 또는 기구적인 체결로 결합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서는 개별적 결합방법이나 재질 등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각 구성요소의 배치 및 역할관계가 더 중요하고, 이는 추후에서 설명하는 다른 요소에 대하여도 마찬가지다.
회동부재의 하부에 회동기구 즉, 회동중심(center of rotation)이 있어 제 1 고정부재에 대하여 회동한다. 여기서는 회동중심을 힌지축이라고 하고, 회동방향은 벽정면쪽으로 회동한다.
한편, 힌지축의 상부의 제 1 고정부재에는 경사진 장홈이 있고, 그 장홈에는 회동부재에 회동중심이 있는 링크가 삽입되어 있다. 장홈의 경사도는 회동각도를 고려하여 설계 또는 반복실험으로 결정될 수 있고, 장홈과 링크가 서로 대응하는 부재 즉, 제 1 고정부재와 회동부재에 바뀌어서 위치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제 1 고정부재의 내부 상측에는 태엽스프링이 장착되어 있는 바, 태엽스프링에 대하여는 이 출원의 출원인에 의한 등록실용신안 20-310875호와 20-290293호에 잘 개시되어 있다.
태엽스프링(50)은 도 2와 같이, 감김부(52)와 신장부(58), 감김부(52)의 중앙의 스프링고정홀(56)과, 타부재 고정홀(54)을 가지고 있다. 고정홀(54)은 여기서 스크루또는 핀을 통해 회동부재와 연결된다. 고정홀(54)을 대신하여, 후크같은 형태를 지닐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신장부(58)를 고정하기만 하면 된다.
스프링고정홀(56)에 미도시된 핀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도1과 같이, 신장부(58)만 제 1 고정부의 홈을 통해 빠져나올 경우, 스프링이 탄성력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므로 불필요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 탄성스프링(50)의 감김부(도 2의 52)가 제 1 고정부재에 위치하고 있으나, 회동부재에 위치하여도 무방하지만, 회동부재에 위치시키기 위해서는 회동부재에 탄성스프링(50) 고정부를 두어야 하므로 불편할 수 있다.
여기서 탄성스프링(50)의 최대 신장길이는 하부의 장홈에 의해 결정될 것이고, 표시장치의 무게에 대하여 태엽스프링(50)의 탄성계수를 조절하여 중간에 어떠한 각도라도 고정할 수 있다. 이는 위 설명한 등록실용신안이 적용되는 표시장치에서 이미 적용되고 있고, 김치냉장고 등에도 적용되고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이며, 변압기 또는 개폐기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화와 변형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게 됨은 청구범위를 통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걸이대로 인하여 원하는 시야각도에서 벽걸이형 디스플레이를 감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각도를 사용하지 않거나 그냥 벽과 밀착시킨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을 수도 있어 종래의 벽걸이형 디스플레이의 장점을 살리면서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벽에 고정되는 제 1 고정부재와;
    상기 제 1 고정부재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회동가능한 회동부재와;
    상기 제 1 고정부재와 상기 회동부재를 회동하게 하는 회동기구와;
    상기 제 1 고정부재와 상기 회동부재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에 의해 신장되고, 자체 탄성력으로 복귀될 수 있는 태엽스프링
    을 포함하는 벽걸이용 디스플레이의 걸이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부재와 결합되고 별도로 벽에 장착되는 제 2 고정부재를 더욱 포함하고, 상기 제 1 고정부재와 상기 회동부재는 각각 한 쌍인, 디스플레이의 걸이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동기구는 상기 제 1 고정부재에 대하여 상기 회동부재가 회동하는 회동조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고정부재 또는 상기 회동부재에 일단이 고정된 링크와, 상대 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링크의 타단이 삽입된 장홈을 더욱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걸이대.
KR20-2004-0029615U 2004-10-20 2004-10-20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걸이대 KR2003731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9615U KR200373149Y1 (ko) 2004-10-20 2004-10-20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걸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9615U KR200373149Y1 (ko) 2004-10-20 2004-10-20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걸이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3149Y1 true KR200373149Y1 (ko) 2005-01-15

Family

ID=49353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9615U KR200373149Y1 (ko) 2004-10-20 2004-10-20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걸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314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7356B1 (ko) 2011-06-27 2011-12-23 고영종 산업용 모니터 설치 장치
KR20170020386A (ko) * 2017-01-02 2017-02-22 주식회사 상아엠에스디 평면 디스플레이장치의 월 지지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7356B1 (ko) 2011-06-27 2011-12-23 고영종 산업용 모니터 설치 장치
KR20170020386A (ko) * 2017-01-02 2017-02-22 주식회사 상아엠에스디 평면 디스플레이장치의 월 지지방법
KR101714746B1 (ko) 2017-01-02 2017-03-09 주식회사 상아엠에스디 평면 디스플레이장치의 월 지지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1943B2 (en) LCD monitor stand
JP4547425B2 (ja) 壁掛式表示装置の角度調節装置
KR10020898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페널의 스탠드형 설치 장치
US20090101777A1 (en) Wall mount supporting apparatus of flat panel display device
US8348206B2 (en) Electronic device
KR20050058738A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벽걸이 거치 장치
KR100643914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거치 구조
KR200373149Y1 (ko) 벽걸이형 디스플레이 걸이대
KR20050083030A (ko) 평판 디스플레이용 벽면 거치대
KR20040037618A (ko) 영상표시기기의 천정/벽걸이 장치
CN2733785Y (zh) 一种平板电视壁挂架
KR20050065965A (ko) 영상표시기기의 회전받침 구조
KR200209456Y1 (ko) Pdp 텔레비젼의 벽걸이장치
KR200248227Y1 (ko) 표시장치의 벽면 고정유니트
KR100852663B1 (ko) 박형 영상표시기기
KR100396595B1 (ko) 평판표시패널용 천장형 고정장치
KR100672329B1 (ko) 영상 표시 장치의 벽걸이 어셈블리
KR101682723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장치
KR200295979Y1 (ko) Lcd 모니터 스탠드의 힌지구조
KR200392505Y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스탠드 구조
CN110566781B (zh) 一种显示器底座和显示器
CN208709419U (zh) 烹饪器具
CN216715787U (zh) 一种可调节支架
KR100271451B1 (ko) 피디피의 시청방향 조절장치
KR100595286B1 (ko) 영상 표시 장치의 벽걸이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