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0917A - 통신망 트래픽 변동에 따른 트래픽 정보 전송방법 - Google Patents

통신망 트래픽 변동에 따른 트래픽 정보 전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0917A
KR20050070917A KR1020030101509A KR20030101509A KR20050070917A KR 20050070917 A KR20050070917 A KR 20050070917A KR 1020030101509 A KR1020030101509 A KR 1020030101509A KR 20030101509 A KR20030101509 A KR 20030101509A KR 20050070917 A KR20050070917 A KR 200500709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management system
ems
reporting
network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101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인
Original Assignee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101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70917A/ko
Publication of KR20050070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091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6Generation of reports
    • H04L43/062Generation of reports related to network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6Generation of reports
    • H04L43/067Generation of reports using time frame repor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통신망 운용 및 관리에서 운용자가 관리대상장비(NE:Network Element)의 트래픽 성능 정보를 통신망 관리시스템(EMS:Element Management System)을 통해 보고 받는 방법에 관한 것임.
2.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관리대상장비(NE)가 트래픽 정보를 가공하고, 가공된 트래픽 성능 정보를 통신망 관리시스템(EMS)에게 보고하는 주기를 트래픽의 변동량에 따라 동적으로 조절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본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관리대상장비(NE)가 트래픽 성능 정보를 통신망 관리시스템(EMS)에 보고하는 방법에 있어서, 관리대상장비(NE)가, 관리대상장비(NE)의 트래픽 변동량을 계산하여 이를 가공하여 관리 시스템으로 보고하는 제 1 단계와, 제 1 단계에서 계산된 트래픽 변동량을 이용하여, 계산된 트래픽 변동량에 따른 새로운 보고주기를 결정하는 제 2 단계와, 제 2 단계에서 결정된 새로운 보고주기에 의해 제 1 단계로 진행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함.

Description

통신망 트래픽 변동에 따른 트래픽 정보 전송방법{The Traffic Information Reporting Method Of Variable Telecommunication Traffic Load}
본 발명은 통신망 운용 및 관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망 운용 및 관리에서 통신망 관리시스템(EMS)이란, 전기 통신망의 요소장치(광단국장치, 광중계장치)들을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관리대상장비(NE)들의 기능과 성능을 관리하며 다른 통신망 요소간의 통합관리 관리를 위해서 상위 레벨의 망 관리 시스템(Network Management System)과 통합 운용되는 장비이다. 그리고, 관리대상장비(NE)란, 통신망을 구성하는 각종 설비 또는 설비의 집합. 지능화한 전송 장치와 교환 설비를 말하는 것이다.
통신망 관리시스템(EMS)은 다수의 관리대상장비(NE)를 관리하고, 각 관리대상장비(NE)들의 기능과 관리대상장비(NE)가 단위시간마다 수집하는 각 인터페이스의 트래픽 정보를 운용자가 운용할 수 있는 형태의 정보로 가공하여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그 업무의 부담이 관리대상장비(NE)에 비해 크다. 그러므로, 통신망 관리시스템(EMS)은 관리대상장비(NE) 보다 높은 성능을 필요로 하고, 더 많은 비용을 요구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과다한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통신망 관리시스템(EMS)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이 중요하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망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통신망 관리시스템(EMS:103)은 다수의 관리대상장비(NE:102)들과 연결되어 있고 통신망 관리시스템(EMS:103)은 망 관리 시스템(NMS:Network Management System:101)에 연결되어 또 다른 통신망 관리시스템(EMS:104)과 트래픽 성능 정보의 교환을 위해 통합 운용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서 관리대상장비(NE)가 트래픽 정보를 보고하고, 통신망 관리시스템(EMS)에서 이를 가공하는 방법에 대한 시간 흐름도 이다.
도 2에서는 통신망 관리시스템(EMS:201)이 관리대상장비(NE:202)에게 트래픽 정보를 요청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관리대상장비(NE:202)로부터 트래픽 정보를 받아서 운용자가 운용할 수 있는 형태로 운영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트래픽 정보를 트래픽 성능 정보로 가공하는 동작의 시간적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통신망 관리시스템(EMS:201)에서는 트래픽 정보를 요구하는 신호를 관리대상장비(NE:202)로 전송한다(204). 여기서 트래픽 정보는 각 인터페이스로 입력되는 패킷들의 흐름에 대한 것이다.
그리고, 이 신호를 받은 관리대상장비(NE:202)에서는 수집하고 있던 트래픽 정보 중에 해당 시점의 트래픽 정보를 보고한다(205). 그리고, 통신망 관리시스템(EMS)에서는 보고된 트래픽 정보를 운용자가 운용 가능한 형태로 가공하게 된다(206). 이와 같은 일련의 동작은 초기에 운용자가 통신망 관리시스템(EMS:201)에 입력한 트래픽 성능 정보 보고 주기(203)가 만기됨에 따라 반복적으로 이루어진다.
도 3은 종래 기술에서 관리대상장비(NE)가 통신망 관리시스템(EMS)에게 트래픽 정보를 보고하는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 관리대상장비(NE)의 동작은 각각의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패킷의 흐름을 옥텟(octet,8비트) 단위로 카운트하여 트래픽 정보를 수집하고(301), 트래픽 정보 보고 요청이 있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302), 트래픽 정보 보고 요청이 있는 경우, 통신망 관리시스템(EMS)으로 트래픽 정보를 보고한다(303). 그리고, 트래픽 정보 보고 요청이 없는 경우, 계속 트래픽 정보를 수집하게 된다(301).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서 운용자가 트래픽 성능 정보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운용자가 원하는 트래픽 성능 정보 보고 주기를 통신망 관리시스템(EMS:201)에 입력하고, 이에 따른 트래픽 정보 요청 신호를 관리대상장비(NE:202)에게 전송한다. 그리고, 요청된 트래픽 정보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관리대상장비(NE:202)는 트래픽 정보를 통신망 관리시스템(EMS:201)에게 보고한다. 그리고, 통신망 관리시스템(EMS:201)에서는 보고 받은 트래픽 정보를 운용자가 운용 할 수 있는 형태인 트래픽 성능 정보로 가공했다.
트래픽의 변동량이 크게 변화되면 운용자는 관리대상장비(NE)의 트래픽 성능 변화에 대해 좀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데, 종래 기술의 경우에는 일정한 보고주기로 트래픽 성능 정보를 보고 받을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운용자가 이와 같이 짧은 주기로 보고를 받고자 하는 경우에는 통신망 관리시스템(EMS)에 직접 원하는 보고주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그 트래픽 성능 정보를 보고하는 주기는 일정하게 설정되고 이후 짧은 보고주기가 필요치 않은 경우에는 다시 긴 보고주기로 변경하거나 불필요하게 자주 보고가 이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통신망 관리시스템(EMS)은 일반적으로 그 업무의 부담이 관리대상장비(NE)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더 뛰어난 성능이 요구되며, 그만큼 가격도 관리대상장비(NE)에 비해 비싸기 때문에, 통신망 구성 시에 통신망 관리시스템(EMS)의 수가 많아지면 구축비용도 더 증가된다. 따라서, 통신망 관리시스템(EMS) 자원이 효율적으로 사용되면 통신망 관리시스템(EMS) 양을 줄일 수 있게 되어, 그에 따라 구축비용도 감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관리대상장비(NE)가 트래픽 성능 정보를 가공하고, 그것을 이용하여 동적으로 보고주기를 결정하여 관리대상장비(NE)에서 통신망 관리시스템(EMS)으로 트래픽 성능 정보를 보고하는 통신망 트래픽 변동에 따른 트래픽 정보 전송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관리대상장비(NE)가 트래픽 성능 정보를 통신망 관리시스템(EMS)에 보고하는 방법에 있어서, 관리대상장비(NE)가, 관리대상장비(NE)의 트래픽 변동량을 계산하여 이를 가공하여 관리 시스템으로 보고하는 제 1 단계와, 제 1 단계에서 계산된 트래픽 변동량을 이용하여, 계산된 트래픽 변동량에 따른 새로운 보고주기를 결정하는 제 2 단계와, 제 2 단계에서 결정된 새로운 보고주기에 의해 제 1 단계로 진행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신망 관리시스템(EMS)과 관리대상장비(NE)의 동작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관리대상장비(NE)의 트래픽 성능 정보 보고 동작에 관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 관리대상장비(NE)의 트래픽 성능 정보 보고 동작은 트래픽 정보 수집 단계(400), 보고 주기 결정 단계(410) 및 변경된 보고 주기에 의해 트래픽 성능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420)를 포함한다.
각각의 단계를 살펴보면, 우선 트래픽 정보 수집 단계(400)는 인터페이스별 트래픽량을 카운트하는 과정(401)과, 트래픽량을 저장하는 과정(402)과, 측정 시점의 트래픽량을 추출하는 과정(403)을 포함한다. 상기의 과정들에 대하여 더 자세히 살펴보면, 트래픽 정보 수집 단계(400)에서는 관리대상장비(NE)의 각 인터페이스로 입력되는 패킷의 흐름을 옥텟(octet, 8비트) 단위로 카운트하고(401), 트래픽량을 저장하는 과정(402)에서 카운트된 패킷의 흐름을 측정시점 별로 분류하여 각 시점마다의 트래픽량으로 저장하며(402), 각 시점별로 저장된 트래픽량 중에서 보고주기가 만기(421) 되는 시점에 해당되는 트래픽량만을 추출한다(403).
그리고, 보고 주기 결정 단계(420)는 현재 시점 트래픽량으로 트래픽 정보 수집 단계에서 추출된 트래픽량을 저장하는 과정(411)과, 상기 추출된 트래픽량과 이전 주기에서 저장된 트래픽량을 비교하여 그 차이, 즉, 변동량을 계산하는 과정(412)과 상기 계산된 트래픽 변동량을 이용하여 보고 주기를 결정하는 과정(413), 그리고, 상기 보고 주기를 결정하는 데 사용하였던 상기 추출된 트래픽량을 이전 주기에서 저장된 트래픽량으로 저장하는 과정(414)을 포함한다. 그리고,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보고주기가 만기되는 시점의 트래픽량이 추출되면(403), 그 값을 현재시점 트래픽량을 의미하는 TQcur에 저장한다(411). 그리고, TQcur에 저장된 값을, 이전 보고시점의 트래픽량(이하 TQpre라고 칭한다.)과 비교하여 트래픽 변동량(이하 TQcmp라고 칭한다.)을 구하는데 사용하고(412), 상기 TQcmp를 이용하여 새로운 보고주기를 결정한다(413). 그리고, TQcur의 값을, TQpre의 값으로 변경하여 저장한다(414).
그리고, 변경된 보고 주기에 의해 트래픽 성능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420)는 보고 주기 결정 단계(410)에서 계산된 TQcmp를 통신망 관리시스템(EMS)에게 보고하는 과정(422)과 상기의 트래픽 성능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420)에서 결정된 보고 주기를 적용하여 보고 주기가 만기 될 때 트래픽 정보 수집 단계(400)에서 트래픽량을 추출하는 측정시점을 결정하는 보고 주기 만기 과정(421)을 포함한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현재의 관리대상장비(NE)에서 트래픽 변동량을 반영하는 보고주기가 결정되면(413), 변경된 보고 주기에 의해 트래픽 성능 정보를 보고하는 단계(420)에서, 상기 단계(410)에서 결정된 보고주기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만기되고(421), 만기된 보고주기는 저장된 각 시점별 트래픽량(402) 중에서 추출할 트래픽량의 시점을 결정한다(403). 그리고, 트래픽의 변동량이 계산되면, 이를 트래픽 성능 정보로써 보고주기에 따라 통신망 관리시스템(EMS)에게 보고한다(422).
도 5는 본 발명에서 관리대상장비(NE)의 트래픽 성능 정보 보고에 대한 상세한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관리대상장비(NE)가 처음 시작되었을 때 새로운 주기를 만들기 위하여 이전 보고시점의 트래픽량(이하 TQpre라고 칭한다.)에 초기값 0을 입력하고, 새롭게 결정되는 Ti를 보고주기로 저장하며(501), 상술한 트래픽 정보 수집 단계와 동일한 과정으로 트래픽 정보를 수집한다(502). 수집된 트래픽량은 각자 자신이 수집된 시점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보고주기가 만기 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503), 보고주기가 만기되지 않았다면 다시 트래픽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502)으로 되돌아가고, 보고주기가 만만기되었다면저장된 트래픽량 중에서 보고주기가 만기된 시점의 트래픽량을 TQcur로 저장하게 된다(504).
TQcur값이 결정되면 이전 보고시점과 현재시점 간의 트래픽 변동량을 계산하게 되고(505), TQcur과 TQpre의 값은 하기의 <수학식 1>에 의하여 TQcmp 의 값을 구하는데 사용하게 된다.
상기의 <수학식 1>에서 TQcmp의 값이 정해지면, TQcmp의 값은 트래픽 성능 정보로써 통신망 관리시스템(EMS)으로 보고되며(506), TQcmp는 다시 전체 대역폭과 트래픽 변동량을 이용하여 보고주기 결정에 이용된다(507).
상기의 <수학식 2>에서 Ulink 는 트래픽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관리대상장비(NE)의 링크에서 제공하는 전체 대역폭(BWlink:Band Width)에 대한 트래픽 변동량의 비율을 의미하는 것으로 최소 0.0에서 최대 1.0까지의 값을 가질 수 있다. 하기의 <표 1>은 상기 <수학식 2>를 적용하여 트래픽 변동량에 따른 Ulink 의 변화를 나타낸 예시이다.
상기 <표 1>에서 각각의 경우의 번호는 트래픽량이 측정된 시점에 따라 붙여진 것이다. 또한, <표 1>에서 나타나듯이 TQpre가 TQcur보다 클 경우 TQ cmp의 값이 (-)값이 나오게 되더라도, Ulink 값의 범위는 최소 0.0에서 최대 1.0까지 이기 때문에 Ulink 의 값은 0.0이 된다.
상기의 <수학식 1>을 통해 TQcmp값을 구하고, 또 이를 이용한 <수학식 2>에서 얻어진 Ulink 의 값은 하기의 <수학식 3>에서 Tinterval(이하 줄여서 Ti라고 칭한다.) 즉, 새로운 보고주기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수학식 3>의 a, b는 운용자가 입력하는 파라메터로써 Ulink 의 값이 1.0일 때 운용자가 가장 짧은 시간(예를 들어 5초)의 보고주기로 결정하고, Ulink 의 값이 0.3이하일 때 운용자가 가장 긴 시간(예를 들어 600초)의 보고주기로 결정하고 싶을 때, 각각의 경우 운용자가 원하는 시간 간격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가장 짧은 시간의 보고주기 간격을 5초로 설정하고, 가장 긴 시간의 보고주기 간격을 600초로 설정하고 싶은 경우 파라메터 a와 b는 <수학식 3>을 이용하여 도출한 하기의 <수학식 4>와 <수학식 5>의 연립방정식에 의해 구하여 질 수 있다.
상기 <수학식 4>와 <수학식 5>를 연립하여 계산하면, 파라메터 a와 b의 값은 각기 a = 6.839274, b = 8.4487119 라는 계산값이 나오게 된다. 하지만 계산상 편의를 위해 b를 8.45로 할 경우 a의 값은 6.841이상 6.846 사이의 값이 되어야 최대주기 600초, 최소주기 5초의 값을 도출해 낼 수 있다.
상기 <표 2>는 파라메터 a의 값을 6.845, b의 값을 8.45로 하고 입력하였을 경우에 각각의 측정시점 번호 1 ~ 10 까지 중에서 변동되는 보고주기의 간격(Ti)를 나타내고 있다. <표 1>과 < 표 2>를 같이 참조한다면, 번호 1의 경우에 600초로 시작한 보고주기가 번호 2에서 트래픽의 변동량이 증가함에 따라 153초로 줄어드는 것을 볼 수가 있다. 또한 번호 5,6,7의 경우 트래픽 변동량이 줄어듦으로써 600초로 보고주기가 늘어났다가, 트래픽의 변동량이 증가하자 보고주기가 20초로 줄어들고, 다시 트래픽의 변동량이 줄어들자 보고주기가 600초로 늘어나는, 트래픽 변동량에 따라 동적으로 변화하는 보고주기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의 <수학식 2>, <수학식 3>, <수학식 4>및 <수학식 5>를 통해 보고주기가 새롭게 결정되면, <수학식 2>에서 이용된 TQcur은 TQpre로 변경되어 저장되고(508), 새롭게 저장된 TQpre값은 507 과정에서 설정된 보고주기가 만기가 되어 505 과정을 재 수행하는 경우에 <수학식 2>에서 TQcmp를 구하기 위한 값으로 사용된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통신망 관리시스템(EMS)이 운용자에게 트래픽 성능 정보를 보고하는 동작의 흐름을 나타낸 것으로써, 관리대상장비(NE)에서 트래픽 성능 정보가 보고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601) 보고가 되었다면, 트래픽 정보를 수신하고(602), 이를 운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603).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 통신망 관리시스템(EMS)은, 종래의 통신망 관리시스템(EMS)에서 트래픽 정보 요청 신호를 보내고, 관리대상장비(NE)가 트래픽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전송하는 트래픽 정보를 받아서 운용자가 운용할 수 있는 형태의 트래픽 성능 정보로 가공하는 과정이 생략되었으므로, 그러한 업무에 수반되는 연산이나 자료의 저장 용량 등이 필요하지 않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에서 관리대상장비(NE)와 통신망 관리시스템(EMS)의 동작에 대한 시간 흐름도를 나타낸 것으로써 관리대상장비(702:NE)에서 가공된 트래픽 성능 정보를 통신망 관리시스템(EMS:701)에 보고한다(703). 그리고, 703 시점의 트래픽 정보를 추출하고, 결정되어 있었던 보고주기 Ti1(704)동안, 703 시점의 트래픽 변동량과 703 이전 시점의 트래픽 변동량을 계산하고(트래픽 변화 측정, 트래픽 성능 정보 가공 과정:705), 그 변동량이 급격하게 증가(예를 들어, 전체 대역폭에 대한 트래픽 변동량의 비율이 30% 초과)하였다는 것이라면, 도 7에서와 같이 이를 반영하는, 현재의 주기(Ti1:704)보다 짧아진 보고주기(Ti2:707)를 결정한다(705). 그리고 현재의 주기(Ti1:704)가 만기되면 트래픽 성능 정보로 가공된 트래픽 변동량을 통신망 관리시스템(EMS)(ENS:701)으로 보고한다(706).
그리고, Ti1(704)이 만기되는 시점인 706 시점의 트래픽량을 추출하고, 저장되어 있던 703 시점의 트래픽량과의 변동량을 계산한다(트래픽 성능 정보 가공, 트래픽 변화 측정:708). 그런데, 703 시점의 트래픽량보다 706 시점의 트래픽량이 더 적거나, 706 시점에서 추출된 트래픽량이 703 시점에서 추출된 트래픽량보다 증가하였더라도, 그 증가된 정도가 전체 대역폭의 30%이하일 경우, 이를 반영하는 보고주기는 Ti3(710)과 같이 길게 결정된다(708).
짧아진 보고주기(Ti2:707)가 만기되는 시점에서는, 708 에서 트래픽 변동량이 가공된 트래픽 성능정보를 보고한다(709). 그리고, 길어진 보고주기(Ti3:710) 동안, 보고주기 Ti2(707)가 만기되는 시점인 709 시점의 트래픽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되어 있는 706 시점의 트래픽 정보와 비교하여, 그 변동량을 측정하고, 이를 반영하는 보고주기를 다시 계산한다(711).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트래픽 변동량이 각각의 보고주기에 따라 변할 경우 이를 반영하는 Ti1, Ti2와 Ti3은 각기 다르다. 그리고, 보고주기가 달라짐에 따라 관리대상장비(NE)에서 통신망 관리시스템(EMS)으로 트래픽 성능 정보가 보고되는 시점은 각기 달라진다. 즉, 본 발명에서는 관리대상장비(NE)에서 통신망 관리시스템(EMS)으로 트래픽 성능 정보가 보고되는 시점이 트래픽 변동량에 따라 동적으로 변하게 된다. 따라서, 트래픽의 변동량이 증가하게 변할 때는 짧은 시간 간격으로 보고가 이루어지게 되고, 또한 반대로 트래픽의 변동량이 안정적일 경우에는 다시 긴 시간 간격으로 보고가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관리대상장비(NE)가 트래픽의 변동량에 따라 동적으로 보고주기를 조절함으로써 통신망 관리시스템(EMS)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리대상장비(NE)에서 트래픽 변동량을 트래픽 성능 정보로 가공하여 통신망 관리시스템(EMS)에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통신망 관리시스템(EMS)의 자원을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의 효과들이 시스템의 하드웨어 변경이나 추가가 발생하지 않고, 소프트웨어만으로 가능한 방법이므로, 종래의 관리대상장비(NE)나 통신망 관리시스템(EMS)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술한 효과에 의해 통신망 관리시스템(EMS)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망 구성 시에 요구하는 통신망 관리시스템(EMS)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망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종래 기술에서 관리대상장비(NE)가 트래픽 정보를 보고하고, 통신망 관리시스템(EMS)에서 이를 가공하는 방법에 대한 시간 흐름도,
도 3은 종래 기술에서 관리대상장비(NE)가 통신망 관리시스템(EMS)에게 트래픽 정보를 보고하는 동작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관리대상장비(NE)의 트래픽 성능 정보 보고 방법에 대한 각 과정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관리대상장비(NE)의 트래픽 성능 정보 보고 방법에서 트래픽 변동에 따른 보고 주기를 결정하고 트래픽 정보를 보고하는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통신망 관리시스템(EMS)이 운용자에게 트래픽 성능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관리대상장비(NE)로부터 트래픽 변동에 따른 보고 주기에 의해 통신망 관리시스템(EMS)이 트래픽 성능 정보를 보고 받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

Claims (3)

  1. 관리대상장비(NE)가 트래픽 성능 정보를 통신망 관리시스템(EMS)에 보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관리대상장비(NE)가, 상기 관리대상장비(NE)의 트래픽 변동량을 계산하여 이를 가공하여 상기 관리 시스템으로 보고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계산된 트래픽 변동량을 이용하여, 상기 계산된 트래픽 변동량에 따른 새로운 보고주기를 결정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에서 결정된 상기 새로운 보고주기에 의해 상기 제 1 단계로 진행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망 트래픽 변동에 따른 트래픽 정보 전송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제 1 단계에서 계산된 트래픽 변동량을 이용하여, 전체 대역폭에 대한 상기 계산된 트래픽 변동량의 비율을 구하는 단계와,
    상기 전체 대역폭에 대한 상기 계산된 트래픽 변동량의 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계산된 트래픽 변동량에 따른 새로운 보고주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트래픽 변동에 따른 트래픽 정보 전송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고 주기를 하기 <수학식 6>에 의해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 트래픽 변동에 따른 트래픽 정보 전송방법.
    여기서, Ti는 상기 보고 주기이며, <수학식 6>의 a 와 b 는 운용자에 의해 결정되는 파라메터 값이고, Ulink 는 제 4 단계에서 구한 전체 대역폭에 대한 트래픽 변동량의 비율을 의미함.
KR1020030101509A 2003-12-31 2003-12-31 통신망 트래픽 변동에 따른 트래픽 정보 전송방법 KR200500709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1509A KR20050070917A (ko) 2003-12-31 2003-12-31 통신망 트래픽 변동에 따른 트래픽 정보 전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1509A KR20050070917A (ko) 2003-12-31 2003-12-31 통신망 트래픽 변동에 따른 트래픽 정보 전송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0917A true KR20050070917A (ko) 2005-07-07

Family

ID=37260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101509A KR20050070917A (ko) 2003-12-31 2003-12-31 통신망 트래픽 변동에 따른 트래픽 정보 전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7091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03382A1 (fr) * 2007-06-29 2009-01-08 Huawei Technologies Co., Ltd. Procédé d'ajustement de configuration pour des cellules frontières et système de gestion d'élément
KR100965058B1 (ko) * 2008-06-30 2010-06-21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가용 대역폭 기반의 보고주기 결정방법
KR101481581B1 (ko) * 2007-10-29 201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갱신 대역 선택에 기반한 채널 품질 정보 전송 방법
CN104767626A (zh) * 2014-01-03 2015-07-0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性能文件管理、上报、交互上报的方法、装置及系统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03382A1 (fr) * 2007-06-29 2009-01-08 Huawei Technologies Co., Ltd. Procédé d'ajustement de configuration pour des cellules frontières et système de gestion d'élément
US8391171B2 (en) 2007-06-29 2013-03-05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adjusting configuration of border object
KR101481581B1 (ko) * 2007-10-29 201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갱신 대역 선택에 기반한 채널 품질 정보 전송 방법
KR100965058B1 (ko) * 2008-06-30 2010-06-21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가용 대역폭 기반의 보고주기 결정방법
CN104767626A (zh) * 2014-01-03 2015-07-0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性能文件管理、上报、交互上报的方法、装置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2466B1 (en) Connection admission control in high-speed packet switched networks
EP2306677B1 (en)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network communication in response to network conditions
US11277273B2 (en) Computer network service providing system including self adjusting volume enforcement functionality
US7406532B2 (en) Auto control of network monitoring and simulation
EP3873066A1 (en) Method for managing resource state information, and resource downloading system
US7944838B2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traffic control
EP1699180B1 (en) Dynamic band allocation circuit, dynamic band allocation method, dynamic band allocation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7117261B2 (en) Auto control of network monitoring and simulation
JPH09319672A (ja) データ伝送装置および方法
CN111970759B (zh) 端到端业务的时延调整方法及装置、存储介质和电子装置
US9350669B2 (en) Network apparatus, performance control method, and network system
US6687224B1 (en) Bandwidth sharing method
CN105791144A (zh) 链路流量分担的方法和装置
JP2003298640A (ja) トラフィック流量の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CN112491719A (zh) 网络节点的选择方法、设备及存储介质
CN100512162C (zh) 流量数据采集方法和系统以及设备
CN101917406A (zh) 数据传输方法及数据传输系统
KR10122328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KR20050070917A (ko) 통신망 트래픽 변동에 따른 트래픽 정보 전송방법
KR100553553B1 (ko) 순차적인 서비스 품질(QoS) 정보를 관리 및 제공하는시스템 및 방법
CN101129028B (zh) 在具有接入控制的通信网络中估计带宽需求的方法和设备
CN110290552B (zh) 缓存深度的测量方法和装置、存储介质、电子装置
CN106170767B (zh) 一种确定虚拟机数量调整操作的装置和方法
JP4062240B2 (ja) トラヒック変動における分散値推定方法並びに受信バッファ制御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CN109996292B (zh) 一种移动回传网络的路径优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