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9371A - 드럼 세탁기의 건조방법 - Google Patents

드럼 세탁기의 건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9371A
KR20050069371A KR1020030101400A KR20030101400A KR20050069371A KR 20050069371 A KR20050069371 A KR 20050069371A KR 1020030101400 A KR1020030101400 A KR 1020030101400A KR 20030101400 A KR20030101400 A KR 20030101400A KR 20050069371 A KR20050069371 A KR 20050069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hot air
heater
washing machine
laund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101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4495B1 (ko
Inventor
이태희
서현석
홍문희
최병걸
제병수
전시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101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4495B1/ko
Publication of KR20050069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9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4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44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38Time, e.g. dur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16Air properties
    • D06F2105/20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8Electric heating

Abstract

본 발명은 드럼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탁물의 건조도를 건조덕트에서 토출되는 열풍의 온도에 의해 판단하여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드럼 세탁기의 건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건조덕트에서 토출되는 열풍이 제어부에 기 설정된 상/하한치 온도 범위(T1-T2)를 유지하도록 히터가 온/오프(ON/OFF)되는 단계; 상기 히터가 온 또는 오프됨에 따라 상기 건조덕트에서 토출되는 열풍이 소정 온도까지 도달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소요 시간이 제어부에 기 설정된 설정 구간에 속한 것으로 판단되면, 세탁물의 건조행정을 종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드럼 세탁기의 건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드럼 세탁기의 건조방법{method drying laundry in the drum type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드럼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드럼 세탁기의 건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럼세탁기는 세제, 세탁수 및 세탁물을 드럼 내에 투입한 상태에서,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드럼을 회전시켜 세탁물을 세탁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드럼세탁기는 세탁물의 손상이 적고, 세탁물이 잘 엉키지 않으며, 두드리고 비벼빠는 세탁효과를 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드럼세탁기에 관하여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드럼 세탁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드럼 세탁기에 적용된 히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드럼 세탁기는 전면에 세탁물 투입구가 형성된 캐비닛(1)과, 상기 캐비닛(1)의 세탁물 투입구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2)와, 상기 캐비닛(1) 내부에 세탁수를 저장하도록 설치되는 터브(2)와,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4)과, 상기 터브에 설치되어 상기 드럼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모터장치(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캐비닛(1)의 세탁물 투입구에는 도어(2)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도어의 내측에는 도어 글래스(2a)가 설치된다.
상기 터브에는 건조덕트(10)가 연결된다. 즉, 건조덕트의 토출부는 드럼(4)의 개구부에 연결된다.
상기 건조덕트에는 열풍을 토출할 수 있도록 송풍팬(11)과 히터(12)가 내장된다. 또한, 상기 건조덕트에는 토출되는 열풍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온도센서(14)가 설치된다. 이때, 온도센서(14)는 건조덕트의 토출측에 설치된다.
상기 건조덕트(10)의 토출부와 터브(2)는 가스켓(13)에 의해 연결된다. 이러한 가스켓(13)은 터브 개구부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건조덕트와 터브의 연결부에서 열풍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터브에는 응축덕트(20)가 연결된다. 즉, 상기 응축덕트의 흡입부는 터브에 연결되고, 상기 응축덕트의 토출부는 건조덕트의 흡입부에 연결된다. 이러한 응축덕트에는 공기 중의 습기를 응축시키도록 냉각수를 공급하는 급수기(21)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드럼 세탁기는 세탁행정, 헹굼행정, 탈수행정 및 건조행정을 선택적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이하, 드럼 세탁기의 건조행정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드럼 세탁기의 건조행정이 시작되면, 상기 건조덕트(10)의 히터(12)에 전원이 인가된다. 이때, 상기 히터를 최대 출력으로 가동시킨다.
이어, 상기 송풍팬(11)을 회전시켜 열풍을 드럼 내로 송풍시킨다. 이렇게 송풍된 공기는 건조덕트(10)를 통해 상기 드럼(4)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드럼(4) 내의 열풍은 세탁물을 가열하여 예열시킨 후 본격적으로 세탁물을 건조시킨다. 이때, 상기 드럼이 저속으로 회전되면서 세탁물을 교반시킴으로써, 상기 세탁물이 골고루 가열되도록 하여 수분의 증발을 돕는다.
이렇게 증발된 수분은 열풍에 포함된 상태로 응축덕트(20)에 배출된다. 이때, 상기 응축덕트(20)의 급수기(21)에서 냉각수를 분사함으로써, 습기가 제거된 공기는 다시 건조덕트(10)에 유입된다.
한편, 상기 히터는 최대 출력으로 가동되므로, 상기 건조덕트의 열풍이 드럼에 계속적으로 유입됨에 따라 상기 드럼(4) 내의 세탁물이 열에 의해 손상된다. 따라서, 상기 온도센서(3)에서 측정된 열풍의 온도가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어부에 기 설정된 온도(P1,P2,P3)에 도달되면 소정 시간동안 히터(12)를 오프(OFF)시킨다(A구간).
여기서, 상기 설정 온도는 드럼에 담긴 세탁물의 포량에 따라 도 2와 같이 P1, P2 또는 P3로 설정된다. 따라서, 포량에 따라 히터의 최대 출력이 달라진다.
다음으로, 상기 건조덕트 내의 온도가 제어부에 기 설정된 소정 온도(P4) 이하가 되면 히터(12)를 온(ON)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건조덕트의 열풍 온도를 다시 상승시킨다(B구간).
이와 같이, 상기 히터(12)를 주기적으로 온/오프시킴에 의해 상기 드럼 내의 세탁물을 건조시킨다.
그러나, 상기 드럼 세탁기의 건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세탁물의 포량에 따라 히터의 온/오프 반복 회수를 획일적으로 설정하므로, 세탁물의 포질에 따라 수분 함량이 다르게 되어 상기 세탁물이 완전히 건조되지 않거나 혹은 불필요하게 가열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소비전력이 증가될 수 있으며 소비자의 신뢰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둘째, 상기 드럼 세탁기는 건조덕트에서 토출되는 열풍의 하한치 온도를 포량에 관계없이 동일하게 설정하므로, 상기 세탁물의 포량과 포질에 따라 탄력적으로 적용시키기 곤란하다. 따라서, 상기 열풍의 하한치 온도가 불필요하게 낮게 설정 되어 세탁물의 건조효율을 감소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세탁물의 건조도를 건조덕트에서 토출되는 열풍의 온도에 의해 판단하여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드럼 세탁기의 건조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건조덕트에서 토출되는 열풍이 제어부에 기 설정된 상/하한치 온도 범위를 유지하도록 히터가 온/오프(ON/OFF)되는 단계; 상기 히터가 온 또는 오프됨에 따라 상기 건조덕트에서 토출되는 열풍이 소정 온도까지 도달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소요 시간이 제어부에 기 설정된 설정 구간에 속한 것으로 판단되면, 세탁물의 건조행정을 종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드럼 세탁기의 건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설정 구간은 히터가 온(ON)될 때에 건조덕트의 토출 열풍이 하한치 온도에서 상한치 온도까지 도달되는 시간으로 설정된다.
또한, 상기 설정 구간은 히터가 오프(OFF)될 때에 건조덕트의 토출 열풍이 상한치 온도에서 하한치 온도까지 도달되는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 구간은 히터가 온(ON) 또는 오프(OFF)될 때에 건조덕트의 토출 열풍이 상한치와 하한치의 평균 온도까지 도달되는 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 구간은, 상기 히터가 온(ON)될 때에 건조덕트의 토출 열풍이 하한치 온도에서 상한치 온도까지 도달되는 시간과, 상기 히터가 오프(OFF)될 때에 건조덕트의 토출 열풍이 상한치 온도에서 하한치 온도까지 도달되는 시간과의 비율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드럼 세탁기의 구조는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종래와 동일한 구성에 있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드럼 세탁기의 건조방법에 관해 첨부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럼 세탁기의 건조방법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는 건조행정이 진행됨에 따라 세탁물의 누적 제습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드럼(4)세탁기의 건조행정이 시작되면, 상기 건조덕트(10)의 히터(12)에 전원이 인가된다. 그리고, 상기 건조덕트의 송풍팬(11)이 회전되어 상기 히터와 열교환된 열풍을 드럼(4)에 토출시킨다.
상기 드럼(4)의 열풍은 세탁물을 가열하여 예열시킨다. 이때, 상기 세탁물에 함유된 습기는 열풍의 열을 빼앗으면서 증발하고, 이렇게 증발된 습기는 열풍에 섞여 습한 열풍이 된다. 상기 습한 열풍은 응축덕트(20)에 토출되어 급수기(21)에서 분사된 냉각수에 의해 건조된다. 이렇게 건조된 열풍은 건조덕트(10)로 재유입된다.
이와 같은 열풍의 순환에 의해 세탁물이 예열된다. 이러한 예열 구간에서는 건조덕트(10)의 토출 열풍이 소정 온도 범위 내로 유지된다. 이는 건조덕트에서 토출되는 열풍은 수분의 증발 잠열만큼의 열을 방출하지만 상기 히터의 발열량에 의해 그 만큼의 열을 흡수하기 때문이다.
상기 건조행정이 더욱 진행되면, 상기 세탁물에 함유된 습기의 증발량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증발 잠열량이 감소됨에 따라 상기 건조덕트에서 토출되는 열풍은 점차적으로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에는 건조덕트(10)에서 토출되는 열풍이 소정의 온도 범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한치 온도(T1)와 하한치 온도(T2)가 기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건조덕트의 온도센서(14)에서 열풍의 온도를 측정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에 전달한다.
이어, 상기 제어부는 열풍이 하한치 및 상한치 온도(T1,T2)에 도달되면 히터(12)를 온/오프(ON/OFF)시킴으로써, 상기 드럼(4) 내의 세탁물이 가열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어부에서는 히터가 온 또는 오프됨에 따라 상기 건조덕트에서 토출되는 열풍이 소정 온도까지 도달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판단한다.
상기 소요 시간이 제어부에 기 설정된 설정 구간에 속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세탁물의 건조행정을 종료시킨다.
예컨대, 상기 설정 구간은 히터(12)가 온(ON)될 때에 건조덕트(10)의 토출 열풍이 하한치 온도(T1)에서 상한치 온도(T2)까지 도달되는 시간(Δt5)으로 설정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건조행정 후반부로 갈수록, 세탁물에 함유된 습기량이 감소되고, 도 4와 같이 제습량이 감소됨에 따라 증발잠열이 감소되므로, 상기 건조덕트의 토출 열풍이 상대적으로 고온 상태로 건조덕트에 재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건조덕트의 토출 열풍이 하한치 온도(T1)에서 상한치 온도(T2)까지 도달되는 시간이 점차적으로 감소(Δt1>Δt3>Δt5)되므로, 이러한 도달 시간(Δt5)이 기 설정된 구간에 속하게 되면 상기 건조행정을 종료시킨다.
또한, 상기 설정 구간은 히터(12)가 오프(OFF)될 때에 건조덕트(10)의 토출 열풍이 상한치 온도(T2)에서 하한치 온도(T1)까지 도달되는 시간(Δt8)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건조행정 후반부로 갈수록 상술한 바와 같이 건조덕트의 토출 열풍이 상대적으로 고온 상태로 건조덕트에 재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건조덕트의 토출 열풍이 상한치 온도(T2)에서 하한치 온도(T1)까지 도달되는 시간이 점차적으로 증가(Δt2<Δt4<Δt6<Δt8)되므로, 이러한 도달 시간(Δt8)이 기 설정된 구간에 속하게 되면 상기 건조행정을 종료시킨다.
또한, 상기 설정 구간은 히터(12)가 온(ON) 또는 오프(OFF)될 때에 건조덕트(10)의 토출 열풍이 상한치와 하한치 온도(Δt1,Δt2)의 평균 온도((T1+T2)/2)까지 도달되는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평균 온도까지 도달하는 시간 뿐만 아니라 상기 상/하한치 온도 범위에 속하는 소정의 온도까지 도달하는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음도 이해 가능하다.
이러한 설정 구간은 건조행정 종료 시점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하는데 유리하다.
또한, 상기 설정 구간은, 상기 히터(12)가 온(ON)될 때에 건조덕트(10)의 토출 열풍이 하한치 온도(T1)에서 상한치 온도(T1)까지 도달되는 시간(Δt5)과, 상기 히터(12)가 오프(OFF)될 때에 건조덕트의 토출 열풍이 상한치 온도(T2)에서 하한치 온도(T1)까지 도달되는 시간(Δt8)과의 비율(Δt5/Δt8)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건조방법을 적용하면, 상기 도달 시간(Δt5,Δt8)은 세탁물의 포량과 포질에 관계없이 건조후반부에서는 균일하게 나타나므로, 상기 건조행정 종료시에는 세탁물의 건조도가 거의 균일해진다.
상기 건조행정의 종료시점이 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히터에 전원 공급을 차단함과 아울러 송풍팬(11)을 소정 시간 동안 연장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조방법은 히터를 온/오프시킬 때에 세탁물의 건조도에 따라 상기 건조덕트의 토출 온도가 소정의 설정 구간에 속하게 되는 지를 판단하여 건조행정을 종료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드럼 세탁기의 건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상기 건조덕트의 토출 온도가 소정 온도에 도달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건조행정을 종료시키므로, 세탁물의 포량 또는 포질에 관계없이 건조행정의 종료시점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건조행정의 종료시점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으므로, 세탁물이 불필요하게 가열되거나 혹은 완전히 건조되지 않은 상태에서 건조행정을 종료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열에 민감한 세탁물이 변형 또는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소비자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드럼 세탁기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드럼 세탁기의 건조방법을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드럼 세탁기의 건조방법을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건조행정이 진행됨에 따라 세탁물의 누적 제습량을 나타낸 그래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건조덕트 11 : 송풍팬
12 : 히터 20 : 응축덕트

Claims (5)

  1. 건조덕트에서 토출되는 열풍이 제어부에 기 설정된 상/하한치 온도 범위를 유지하도록 히터가 온/오프(ON/OFF)되는 단계;
    상기 히터가 온 또는 오프됨에 따라 상기 건조덕트에서 토출되는 열풍이 소정 온도까지 도달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소요 시간이 제어부에 기 설정된 설정 구간에 속한 것으로 판단되면, 세탁물의 건조행정을 종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드럼 세탁기의 건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구간은 히터가 온(ON)될 때에 건조덕트의 토출 열풍이 하한치 온도에서 상한치 온도까지 도달되는 시간으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의 건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구간은 히터가 오프(OFF)될 때에 건조덕트의 토출 열풍이 상한치 온도에서 하한치 온도까지 도달되는 시간으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의 건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구간은 히터가 온(ON) 또는 오프(OFF)될 때에 건조덕트의 토출 열풍이 상한치와 하한치의 평균 온도까지 도달되는 시간으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의 건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구간은,
    상기 히터가 온(ON)될 때에 건조덕트의 토출 열풍이 하한치 온도에서 상한치 온도까지 도달되는 시간과, 상기 히터가 오프(OFF)될 때에 건조덕트의 토출 열풍이 상한치 온도에서 하한치 온도까지 도달되는 시간과의 비율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의 건조방법.
KR10-2003-0101400A 2003-12-31 2003-12-31 드럼 세탁기의 건조방법 KR100504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1400A KR100504495B1 (ko) 2003-12-31 2003-12-31 드럼 세탁기의 건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1400A KR100504495B1 (ko) 2003-12-31 2003-12-31 드럼 세탁기의 건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9371A true KR20050069371A (ko) 2005-07-05
KR100504495B1 KR100504495B1 (ko) 2005-08-03

Family

ID=37259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101400A KR100504495B1 (ko) 2003-12-31 2003-12-31 드럼 세탁기의 건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449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206B1 (ko) * 2007-02-15 2008-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 건조 제어 방법
US8136264B2 (en) 2004-08-18 2012-03-2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automatically dryness
KR101127988B1 (ko) * 2005-12-21 2012-03-2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세탁기 및 드럼세탁기의 건조 완료 검출 방법
KR20170135733A (ko) * 2016-05-30 2017-12-0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의류건조기
KR20180123351A (ko) * 2017-05-08 2018-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9210842A1 (zh) * 2018-05-04 2019-11-07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干衣衣物处理装置温度控制方法及干衣衣物处理装置
CN114108243A (zh) * 2020-08-28 2022-03-01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一种烘干控制方法、装置、衣物处理设备及存储介质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36264B2 (en) 2004-08-18 2012-03-2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automatically dryness
KR101127988B1 (ko) * 2005-12-21 2012-03-2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세탁기 및 드럼세탁기의 건조 완료 검출 방법
KR100808206B1 (ko) * 2007-02-15 2008-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 건조 제어 방법
KR20170135733A (ko) * 2016-05-30 2017-12-0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의류건조기
KR20180123351A (ko) * 2017-05-08 2018-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9210842A1 (zh) * 2018-05-04 2019-11-07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干衣衣物处理装置温度控制方法及干衣衣物处理装置
US11920289B2 (en) 2018-05-04 2024-03-05 Qingdao Haier Laundry Electric Appliances Co., Ltd. Temperature control method for clothes drying treatment device, and clothes drying treatment device
CN114108243A (zh) * 2020-08-28 2022-03-01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一种烘干控制方法、装置、衣物处理设备及存储介质
CN114108243B (zh) * 2020-08-28 2023-12-15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一种烘干控制方法、装置、衣物处理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4495B1 (ko) 2005-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5102B1 (ko) 세탁 건조기
KR101253641B1 (ko) 건조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7111396A (ja) 洗濯乾燥機
KR100504495B1 (ko) 드럼 세탁기의 건조방법
KR20070092893A (ko) 건조기의 건조방법
CN102094309A (zh) 带有烘干功能的衣物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
JPH0747195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KR20070040900A (ko) 건조기의 모터 회전속도 제어방법
KR100539555B1 (ko) 드럼 세탁기의 건조방법
KR100577236B1 (ko) 드럼 세탁기의 건조방법
KR100671933B1 (ko) 드럼 세탁기의 건조 제어 방법
KR100739614B1 (ko) 건조 겸용 세탁기의 세탁물 건조방법
KR100209686B1 (ko) 의류건조기
KR101108044B1 (ko) 건조 겸용 세탁기의 건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648175B1 (ko) 드럼세탁기 및 드럼세탁기의 건조시간 단축 방법
KR100209685B1 (ko) 의류건조기의 응축장치
KR101127988B1 (ko) 드럼세탁기 및 드럼세탁기의 건조 완료 검출 방법
KR20040055944A (ko) 세탁기용 건조장치의 제어 방법
KR101074701B1 (ko) 드럼 세탁기용 건조장치
KR100262640B1 (ko) 드럼세탁기의냉각수급수방법
KR20060115171A (ko) 의류건조기용 히터구조
KR20020062445A (ko) 제습식 건조기의 건조정도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0686144B1 (ko) 드럼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214619B1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건조 겸용 세탁기
KR100329267B1 (ko) 드럼식 건조겸용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