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8964A - 줌카메라형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줌카메라형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8964A
KR20050068964A KR1020030100782A KR20030100782A KR20050068964A KR 20050068964 A KR20050068964 A KR 20050068964A KR 1020030100782 A KR1020030100782 A KR 1020030100782A KR 20030100782 A KR20030100782 A KR 20030100782A KR 20050068964 A KR20050068964 A KR 20050068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oom camera
main body
cover
portable terminal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100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5762B1 (ko
Inventor
양경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100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5762B1/ko
Publication of KR20050068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8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5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57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줌카메라형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의 일측면에 정보 입력이 가능한 버튼 패드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상측에 힌지결합되어 개폐되는 커버가 형성되어 타인과 통화 및 정보이용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본체를 개폐하도록 형성된 제1축힌지와, 상기 제1축힌지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커버를 회전시키는 제2축힌지로 구성된 복합형 힌지에 의해 본체의 상측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의 하측 방향으로 상기 커버와 겹치지 않도록 연장되어 줌카메라 모듈이 장착되는 줌카메라 장착공간이 형성된 줌카메라 장착부가 구비되어 구성됨으로써, 줌카메라 모듈이 장착되어 고화질을 영상 촬영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줌카메라형 휴대용 단말기{ZOOM CAMERA TYPE MOBILE PHONE}
본 발명은 줌카메라형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의 하측부에 커버와 겹치지 않도록 연장된 줌카메라 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는 본체의 상부에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복합형 힌지로 결합됨으로써, 줌카메라 장착공간을 확보함과 동시에 사용의 편의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단말기는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11) 및 커버(21)로 구성되는 단말기(10)와, 단말기(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카메라(30)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11)의 내부에는 여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회로를 구성하는 인쇄회로기판(미도시)가 구비되며, 배면에는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13)가 결합되어 있다. 본체(11)의 상부연부에는 커버(21)가 상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쌍의 고정힌지부(15a,15b)가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축선 방향을 따라 일측에는 카메라(3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회전가이드(19)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21)의 내면 및 외면에는 소정의 시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메인엘시디패널(미도시) 및 서브엘시디패널(22)이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일측 연부에는 고정힌지부(15a,15b) 사이에 결합될 수 있도록 가동힌지부(23)가 형성되어 있다. 가동힌지부(23)와 일측의 고정힌지부(15b)의 내부에는 서로 상대운동 가능하게 결합된 두 부분으로 된 힌지장치(25)의 각 일부분이 수용 결합되어 있으며, 타측의 고정힌지부의 내부에는 카메라(30)로부터 인출된 카메라플렉시블피씨비(26) 및 커버(21)로부터 인출되는 엘시디플렉시블피씨비(27)가 각각 인쇄회로기판 측으로 향하도록 수용 배치되어 있다.
한편, 카메라(30)는, 카메라모듈(31)과, 카메라모듈(31)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모듈하우징(33)과, 모듈하우징(33)의 일측에 결합되는 손잡이부재(37)를 구비하고 있다.
모듈하우징(33)은 원통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일측은 고정힌지부(15a)에 소정 깊이로 삽입되게 결합되어 있으며, 둘레면에는 내부로 광이 입사할 수 있도록 투시창(34)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가이드(19)와 모듈하우징(33) 사이에는 모듈하우징(33)의 회전 축선방향을 따른 유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피팅링(39)이 결합되어 있으며, 손잡이부재(37)는 회전축선방향을 따라 일측이 회전가이드(19) 및 피팅링(39)을 통과해 모듈하우징(33)의 일측에 접촉되어 스크류(38)에 의해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는 카메라모듈(31)이 피사체를 향하도록 단말기(10)에 대해 모듈하우징(33)이 회전되게 손잡이부재(37)를 적절히 돌리면서 사진 또는 동영상 등을 촬영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종래 구조의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31)은 보통 30만 화소 미만의 제품으로 이루어져 그 두께가 보통 10mm이하로 형성되므로 충분한 설치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구조의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여 줌 촬영이 가능하고 100만 에서 200만 화소 정도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그 두께가 보통 15mm이상으로 형성되는 줌카메라 모듈을 장착하여야 하므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는 줌카메라 모듈을 장착하기 위한 충분한 설치공간을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줌 촬영이 가능하고 100만 에서 200만 화소정도의 화질을 얻을 수 있는 줌카메라 모듈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공간이 확보되는 줌카메라형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줌카메라형 휴대용 단말기는 본체의 일측면에 정보 입력이 가능한 버튼 패드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상측에 힌지결합되어 개폐되는 커버가 형성되어 타인과 통화 및 정보이용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본체를 개폐하도록 형성된 제1축힌지와, 상기 제1축힌지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커버를 회전시키는 제2축힌지로 구성된 복합형 힌지에 의해 본체의 상측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의 하측 방향으로 상기 커버와 겹치지 않도록 연장되어 줌카메라 모듈이 장착되는 줌카메라 장착공간이 형성된 줌카메라 장착부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측면에는 상기 줌카메라 모듈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사이드키 버튼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줌카메라 장착부는 본체부의 후면방향으로 상기 줌카메라 모듈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관통된 카메라 홀이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줌카메라형 휴대용 단말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줌카메라형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커버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써, 도 4는 정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5는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줌카메라형 휴대용 단말기는 상부케이스(101) 및 하부케이스(102)가 조립되어 형성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배면인 하부케이스(102)에 착탈 되는 배터리(111)와, 상기 본체(110)의 상부에 장착된 힌지부(130)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개폐되는 커버(120)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120)를 들어올려 펼쳤을 때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본체(110)의 전면(110a)에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버튼패드(114)와, 음성을 송신하는 마이크(113)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120)의 전면(120a)에는 메시지 및 기호가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부(121)와, 음성의 수신 및 착신음이 발생되는 스피커(122)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힌지부(130)는 상기 커버(120)가 회동되어 상기 본체(110)를 개폐하도록 형성된 제1축힌지(130a)와, 상기 제1축힌지(130a)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된 축을 중심으로 상기 커버(120)가 회전되는 제2축힌지(130b)로 구비된 복합형힌지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체(110)의 하측부에는 상기 커버(120)와 겹치지 않도록 연장되고 커버(120) 형성 높이까지 폭을 갖는 줌카메라 장착부(115)가 형성되고, 줌카메라 장착부(115)의 내부에는 줌카메라 장착공간(116)이 형성되어 줌카메라 모듈(140)이 장착되며 줌카메라 장착부(115)의 후면방향으로 상기 줌카메라 모듈(140)이 촬영할 수 있도록 관통된 카메라 홀(115a)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110)의 측면에 형성되는 사이드 버튼(117)은 줌카메라 모듈(14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는 줌 촬영이 가능하고 100만에서 200만 화소 정도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줌카메라 모듈(140)이 커버(120)에 겹치지 않도록 형성되는 줌카메라 장착부(115)에 장착되므로 고 화질의 영상 촬영이 가능해지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합형 힌지(130)의 제2축힌지(132)를 회전시켜 디스플레이부(121)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커버(120)가 닫히고, 그 상태에서 카메라홀(115a)을 통해 줌카메라 모듈(140)에 촬영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21)를 통해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가 이를 확인하고 사진을 촬영할 수 있으므로 촬영이 쉽고 손으로 본체(110)를 쥔 상태에서 사이드키 버튼(117)을 눌러 용이하게 사진을 촬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줌카메라형 휴대용 단말기는 줌 촬영이 가능하고 100만 에서 200만 화소 정도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줌카메라 모듈(140)은 15mm 이상을 두께를 가지므로 줌카메라 모듈(140)을 장착하기 위해 상기 커버(120)와 겹치지 않도록 연장되고 커버(120) 형성 높이까지의 폭을 갖는 줌카메라 장착부(115)가 형성되고, 그 내부에 형성된 줌카메라 장착공간(116)에 줌카메라 모듈(140)을 장착하므로 휴대용 단말기의 전체 두께가 두꺼워지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또한, 복합형 힌지(130)의 제2축힌지(132)를 회전시켜 디스플레이부(121)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커버(120)가 닫히고, 그 상태에서 카메라홀(115a)을 통해 줌카메라 모듈(140)에 촬영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21)를 통해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가 이를 확인하고 사진을 촬영하므로 촬영이 쉽고 손으로 본체(110)를 쥔 상태에서 사이드키 버튼(117)을 눌러 용이하게 사진을 촬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줌카메라형 휴대용 단말기는 줌 촬영이 가능하고 100만 에서 200만 화소 정도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줌카메라 모듈을 장착하기 위해 상기 커버와 겹치지 않도록 연장되고 커버 형성 높이까지의 폭을 갖는 줌카메라 장착부가 형성되고, 그 내부에 형성된 줌카메라 장착공간에 줌카메라 모듈을 장착하므로 휴대용 단말기의 전체 두께가 두꺼워지지 않아도 되므로 컴팩트화된 전자기기를 선호하는 소비자의 욕구에 부응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합형 힌지의 제2축힌지를 회전시켜 디스플레이부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커버가 닫히고, 그 상태에서 카메라홀을 통해 줌카메라 모듈에 촬영되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가 이를 확인하고 사진을 촬영하므로 촬영이 쉽고 손으로 본체를 쥔 상태에서 사이드키 버튼을 눌러 용이하게 사진을 촬영할 수있게 되어 제품의 신뢰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단말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줌카메라형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커버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써,
도 4는 정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본체 114 : 버튼 패드
115 : 줌카메라 장착부 116 : 줌카메라 장착공간
120 : 커버 130 : 복합형 힌지
131 제1축 힌지 132 : 제2축 힌지
140 : 줌카메라 모듈

Claims (3)

  1. 본체의 일측면에 정보 입력이 가능한 버튼 패드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상측에 힌지결합되어 개폐되는 커버가 형성되어 타인과 통화 및 정보이용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본체를 개폐하도록 형성된 제1축힌지와, 상기 제1축힌지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커버를 회전시키는 제2축힌지로 구성된 복합형 힌지에 의해 본체의 상측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의 하측 방향으로 상기 커버와 겹치지 않도록 연장되어 줌카메라 모듈이 장착되는 줌카메라 장착공간이 형성된 줌카메라 장착부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카메라형 휴대용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측면에는 상기 줌카메라 모듈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사이드키 버튼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카메라형 휴대용 단말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줌카메라 장착부는 본체부의 후면방향으로 상기 줌카메라 모듈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관통된 카메라홀이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카메라형 휴대용 단말기.
KR1020030100782A 2003-12-30 2003-12-30 줌카메라형 휴대용 단말기 KR100575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0782A KR100575762B1 (ko) 2003-12-30 2003-12-30 줌카메라형 휴대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100782A KR100575762B1 (ko) 2003-12-30 2003-12-30 줌카메라형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8964A true KR20050068964A (ko) 2005-07-05
KR100575762B1 KR100575762B1 (ko) 2006-05-03

Family

ID=37259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100782A KR100575762B1 (ko) 2003-12-30 2003-12-30 줌카메라형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576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5762B1 (ko) 2006-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82687B2 (ja) 携帯型通信装置
KR100703402B1 (ko) 다방향으로 촬영되는 카메라 렌즈 모듈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US7632025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rotatable camera
JP4625323B2 (ja) デジタルカメラ機能付き携帯用端末機
US20070010289A1 (en) Detachable large display unit for cell phones
KR10055684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모듈 연결장치
KR100560885B1 (ko) 회전 카메라를 구비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JP3105939U (ja) ハンドヘルド電子機器
JP4571780B2 (ja) カメラが備えられた移動端末機
JP4199576B2 (ja) 折り畳み式携帯端末機
JP2003018261A (ja) 携帯型端末機
KR20050073163A (ko) 회전식 표시 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100575762B1 (ko) 줌카메라형 휴대용 단말기
KR100539807B1 (ko) 줌카메라형 휴대용 단말기
KR10094153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058573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 안정화 장치
KR100675173B1 (ko) 회전 가능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468955B1 (ko) 회전식 플래시를 내장한 휴대폰
KR20060073291A (ko) 회전식 마이크 세트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531877B1 (ko) 카메라 장치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
KR100672568B1 (ko) 뷰 파인더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64157B1 (ko) 회동가능한 카메라모듈을 구비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KR100690744B1 (ko) 접사촬영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094729A (ko) 회전 틸트식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KR20060065316A (ko) 호환 가능한 분리형 카메라 및 그에 따른 칩셋을 갖는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