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8331A -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잠금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잠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8331A
KR20050068331A KR1020030099596A KR20030099596A KR20050068331A KR 20050068331 A KR20050068331 A KR 20050068331A KR 1020030099596 A KR1020030099596 A KR 1020030099596A KR 20030099596 A KR20030099596 A KR 20030099596A KR 20050068331 A KR20050068331 A KR 20050068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button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9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창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9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68331A/ko
Publication of KR20050068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833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잠금 장치는, 본체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버튼의 눌림에 따른 면 접촉으로 미끄럼 이동되는 이탈방지부의 돌기부가 배터리에 형성되는 결합슬롯에 삽입 및 이탈되도록 하는 구성을 통해, 배터리 결합부의 외관을 단순하게 하여 외형이 개선되고, 버튼의 눌림에 의해 이동되는 이탈방지부가 이물질에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며, 한 손으로 버튼을 누르는 동작으로 쉽게 탈착 가능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이동통신단말기를 슬림화 시키는데도 유리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잠금 장치 {Battery locker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잠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버튼의 눌림을 통해 이동되는 이탈방지부가 배터리에 형성되는 결합슬롯에 착탈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배터리 결합부의 외관을 개선하고, 이물질에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며, 한 손으로 쉽게 탈착 가능하고, 이동통신단말기의 슬림화에도 유리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잠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는 휴대가 용이하도록 소형화하여 기지국의 전파발사거리 이내에서는 장소 및 거리에 제한을 받지 않고 상대방과 통화 또는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도록 한 무선통신기기의 하나로서, 최근 사업발달과 더불어 정보화 사회를 추구하고 있는 시점에서 중요한 통신수단으로 보급이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는 무선통신 기기이기 때문에, 휴대 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원으로 배터리가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를 이동통신단말기에 결합하여 전원을 공급하도록 결합 상태를 유지 또는 해지하기 위한 배터리 잠금 장치가 요구된다.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잠금 장치는, 도 1에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와, 그 후면에 장착되어 휴대용 단말기의 운용상 필요로 하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부(20)와, 상기 본체부(10)에 상기 배터리부(20)를 결합 후 결합 상태를 유지 또는 해지하기 위한 잠금버튼(31)이 구비된다.
상기 본체부(10)는 후면에 배터리부(20)를 안착하여 결합하기 위한 배터리 결합면(11)이 구비되며, 상기 배터리 결합면(11) 저부에 배터리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12)이 형성된다. 상기 배터리부(20)는 일면에 상기 배터리 결합면(11)에 안착 결합되도록 본체 결합면(21)이 구비되며 또한, 상기 배터리부(20) 저면에 상기 고정홈(12)에 삽입 결합되는 고정돌기(22)가 형성된다.
상기 잠금버튼(31)은 상기 배터리부(20)의 상측면에 결합슬롯(24)에 대응되도록 본체부(10)의 배터리 결합면(11) 상측에 내설됨과 아울러, 상기 결합슬롯(24)에 삽탈되는 잠금돌기(32)와, 상기 잠금돌기(32)를 탄성 가압하기 위한 스프링(34)과, 상기 잠금돌기(32)가 결합슬롯(24)에서 이탈되도록 밀어 올리기 위해 상기 잠금돌기(32)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잠금 해지 돌기(33)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잠금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의 본체부(10)에 배터리부(20)를 결합하기 위해서는, 한 손에 파지된 배터리부(20)의 하단에 형성된 고정돌기(22)를 다른 한손에 파지된 본체부(10)의 고정홈(12)에 삽입하고, 상기 본체부(10)의 배터리 결합면(11)에 배터리부(20)의 본체 결합면(21)에 접하도록 압착하면, 배터리부(20)의 결합슬롯(24)에 본체부(10)의 잠금돌기(32)가 삽결되어 본체부(10)와 배터리부(20)의 결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의 본체부(10)에서 배터리부(2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본체부(10)를 파지한 손으로 잠금 해지 돌기(33)를 밀어 올려 이에 연동 하는 잠금돌기(32)가 상기 배터리부(20)의 결합슬롯(24)에서 빠져 나오도록 하고, 상기 잠금돌기(32)가 결합슬롯(24)에서 빠져나온 상태를 유지한 채 배터리부(20)의 상단을 다른 한 손으로 파지하여 배터리부(20)의 고정돌기(22)를 기준으로 본체부(10)의 배터리 결합면(11)에서 배터리부(20)를 회전 이격 시킨 후, 배터리부(20)의 고정돌기(22)가 고정홈(12)에서 빼내어 본체부(10)에서 배터리부(20)를 분리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잠금 장치는, 한 손으로 이동통신단말기의 몸체를 파지한 상태에서 나머지 한 손으로 상기 잠금 버튼(31)을 밀어 올리는 동작에 의해 탈착이 이루어졌으므로 동작이 불편하였고, 상기 잠금 버튼(31)이 이동통신단말기 후면에서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상하 이동되므로 외관 상 좋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외부의 이물질에도 쉽게 접촉되어 작동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버 하우징 내부에서 버튼의 눌림을 통해 이동되는 이탈방지부에 돌기부를 형성하고, 상기 돌기부가 배터리에 형성되는 결합슬롯에 안착 및 탈착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배터리 결합부의 외관을 단순하게 하여 디자인을 개선하고, 버튼의 눌림에 의해 이동되는 이탈방지부에 이물질에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며, 한 손으로 버튼을 누르는 동작으로 쉽게 탈착 가능하고, 이동통신단말기의 슬림화에도 유리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잠금장치는 외피를 형성하는 본체 하우징과, 상기 본체 하우징의 후부에 안착 및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가 상기 본체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해지시키기 위한 잠금 장치가 구비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부로 일정부분 인입되며, 인입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제 1 접촉면이 포함되는 버튼과; 상기 배터리에 형성되는 결합슬롯에 인입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돌기부와, 상기 제 1 접촉면에 대면되어 상기 버튼의 운동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도록 미끄럼 접촉되는 제 2 접촉면을 포함하는 이탈방지부와; 상기 본체 하우징 내부에 연결되어 상기 이탈방지부 일단부에 결합되는 탄성가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가압부는, 이탈방지부의 가압에 따라 복원력이 발생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접촉면과 상기 제 2 접촉면 각각은 경사지거나 라운딩 되는 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잠금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 잠금 장치의 작동원리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 잠금 장치의 작동원리는 면 접촉에 의한 슬라이딩 방식으로, 버튼(100)에 구비되는 제 1 접촉면(110)과 이탈방지부(200)에 구비되는 제 2 접촉면(210)의 미끄럼 접촉에 의해 이탈방지부(200)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바, 상기 제 1 접촉면(110)은 일단부가 경사지거나 또는 라운딩된 면 등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접촉면(210)은 상기 버튼(100)의 하향 이동에 따라 전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측보다 하측의 폭이 더 넓게 경사져 있는 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버튼(100)에 구비되는 제 1 접촉면(110)은 상기 버튼(100)이 본체 하우징(300)에 삽입되는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부(200)는 배터리(400)에 구비되는 결합슬롯(410)에 인입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돌기부(220)가 구비되며, 상기 이탈방지부(200)의 일단부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홈의 내측면 일단부에 상기 제 2 접촉면(210)이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잠금 장치가 결합슬롯에 체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400)가 결합될 경우, 이탈방지부(200)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본체 하우징(300) 내부에 인입된 상태로 본체 하우징(300) 내부에 구비되는 탄성가압부(310)에 연결되며, 상기 이탈방지부(200)에 형성되는 돌기부(220)가 배터리(400)에 구비되는 결합슬롯(410)으로 인입된 상태가 되어 상기 배터리(400)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이탈방지부(200)에 형성되는 제 2 접촉면(210)과 버튼(100)에 구비되는 제 1 접촉면(110)은 서로 대면된 상태가 되며, 이때 버튼(100)이 눌려지면, 상기 이탈방지부(200)는 미끄럼 접촉에 의해 상향으로 이동되고, 반대로 눌려진 버튼(100)에서 외력을 제거하면, 상기 이탈방지부(200)는 스프링 등에 의해 구성되는 탄성가압부(310)의 복원력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잠금 장치가 결합슬롯에서 해체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동통신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400)가 해체될 경우, 버튼(100)은 외력에 의해 본체 하우징(300)의 내측으로 일정부분 인입되고, 이때 버튼(100)에 형성되는 제 1 접촉면(110)이 경사진 면 형상으로 이탈방지부(200)에 형성되는 제 2 접촉면(210)을 가압하여 미끄럼 접촉을 일으킴으로써 상기 고정자가 상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고정자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돌기부(220)가 배터리(400)에 형성되는 결합슬롯(410)에서 이탈되므로 배터리(400)의 탈착이 가능해진다.
만일, 사용자가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배터리(400)를 교체하려고 한다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를 한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으로 버튼(100)을 누르는 등의 단순한 방법으로 쉽게 상기 배터리(400)를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잠금 장치는, 본체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버튼의 눌림에 따른 면 접촉으로 미끄럼 이동되는 이탈방지부의 돌기부가 배터리에 형성되는 결합슬롯에 삽입 및 이탈되도록 하는 구성을 통해, 배터리 결합부의 외관을 단순하게 하여 외형이 개선되고, 버튼의 눌림에 의해 이동되는 이탈방지부가 이물질에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며, 한 손으로 버튼을 누르는 동작으로 쉽게 탈착 가능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이동통신단말기를 슬림화 시키는데도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터리 잠금 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배터리 잠금 장치가 결합슬롯에 체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배터리 잠금 장치가 결합슬롯에서 해체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 잠금 장치의 작동원리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잠금 장치가 결합슬롯에 체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잠금 장치가 결합슬롯에서 해체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버튼 110 : 제 1 접촉면
200 : 이탈방지부 210 : 제 2 접촉면
220 : 돌기부 300 : 본체 하우징
310 : 탄성가압부 400 : 배터리
410 : 결합슬롯

Claims (3)

  1. 외피를 형성하는 본체 하우징(300)과, 상기 본체 하우징(300)의 후부에 안착 및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400)와, 상기 배터리(400)가 상기 본체 하우징(30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해지시키기 위한 잠금 장치가 구비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본체 하우징(300)의 내부로 일정부분 인입되며, 인입되는 부분에 형성되는 제 1 접촉면(110)이 포함되는 버튼(100)과;
    상기 배터리(400)에 형성되는 결합슬롯(410)에 인입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돌기부(220)와, 상기 제 1 접촉면(110)에 대면되어 상기 버튼(100)의 운동방향에 직각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도록 미끄럼 접촉되는 제 2 접촉면(210)을 포함하는 이탈방지부(200)와;
    상기 본체 하우징(300) 내부에 연결되어 상기 이탈방지부(200) 일단부에 결합되는 탄성가압부(31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잠금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가압부는,
    이탈방지부의 가압에 따라 복원력이 발생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잠금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촉면(110)과 상기 제 2 접촉면(210) 각각은,
    경사지거나 라운딩 되는 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잠금 장치.
KR1020030099596A 2003-12-30 2003-12-30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잠금 장치 KR200500683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9596A KR20050068331A (ko) 2003-12-30 2003-12-30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잠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9596A KR20050068331A (ko) 2003-12-30 2003-12-30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잠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8331A true KR20050068331A (ko) 2005-07-05

Family

ID=37258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9596A KR20050068331A (ko) 2003-12-30 2003-12-30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잠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6833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0058020A (ja) 電池パック取り外し装置
JP4330496B2 (ja) 携帯端末機
EP1158752B1 (en) Radiotelephone
KR20050068331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잠금 장치
JP2990075B2 (ja) 電池パック押上げ機構およびその押上げ方法
KR200455693Y1 (ko) 휴대 단말기 보호커버
KR200343610Y1 (ko) 이동전화단말기의배터리록킹장치
JP3107899B2 (ja) 携帯無線機の電池パック取付け構造
KR100469429B1 (ko) 휴대단말기의 밧데리 잠금 장치
JP2954020B2 (ja) 携帯通信機のバッテリー保持構造
KR100535965B1 (ko) 토글스프링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
JP3241650B2 (ja) 携帯通信機のバッテリー保持構造
KR10065262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잠금장치
KR100207434B1 (ko)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배터리팩 착탈장치
JP2665189B2 (ja) 携帯電話機の電池パック保持着脱装置
KR200317091Y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잠금장치
KR10103786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잠금장치
KR10050480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고정장치
KR100629882B1 (ko) 배터리 고정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20060096677A (ko) 이동통신단말기용 배터리 잠금장치
JP2000011978A (ja) 電池パック取り外し装置
JPH09204909A (ja) バッテリケース脱着機構
KR200338281Y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팩 결합장치
KR0115434Y1 (ko) 휴대용 무선전화기용 마이크 장치
KR10045577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록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