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6911A -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6911A
KR20050066911A KR1020030098399A KR20030098399A KR20050066911A KR 20050066911 A KR20050066911 A KR 20050066911A KR 1020030098399 A KR1020030098399 A KR 1020030098399A KR 20030098399 A KR20030098399 A KR 20030098399A KR 20050066911 A KR20050066911 A KR 20050066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port
head
auxiliary suction
handle
vacuum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8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하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8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66911A/ko
Publication of KR20050066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691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09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 A47L9/0018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integrated in or removably mounted upon the suction cleaner for storing parts of said suction cleaner
    • A47L9/0027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integrated in or removably mounted upon the suction cleaner for storing parts of said suction cleaner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the suction clea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에서 브러쉬흡입구, 크레비스툴 등과 같은 보조흡입구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보관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는, 바닥면에서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유입시키는 헤드(10)와; 상기 헤드의 상부에 설치되고, 흡입수단이 내장된 바디(20); 그리고 상기 바디의 상부에 설치되고, 이면에는 보조흡입구를 끼워서 보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흡입구 장착홈(34)이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Device for mounting and releasing dust casing for cacuum cleaner}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한 부분의 청소에 사용되는 브러쉬흡입구 또는 크레비스툴 등과 같은 보조흡입구를 편리하게 보관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먼저 도 1에 기초하면서 종래의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는, 바닥면에서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헤드(2)와, 상기 헤드(2)의 상측에 설치되고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수단을 내장하는 바디(4), 그리고 상기 바디(4)의 상부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핸들(6)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헤드(2)는 청소를 수행하고자 하는 바닥면에 근접한 상태로 이동하면서, 그 저면에 성형되어 있는 흡입구를 통하여, 진공청소기의 동작과 같이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바디(4)에는, 상기 헤드(2)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수단이 내장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바디(4)에 내장된 흡입수단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헤드(2)의 저면을 통한 공기의 흡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4)의 하부는 헤드(2)의 후방에 대하여 힌지연결되어 있어서, 실질적으로 상기 바디(4)가 헤드(2)에 대하여 후방으로 경사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바디(4)의 상부에는, 진공청소기의 사용시 사용자가 잡고 청소기 전체를 조작할 수 있는 핸들(6)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상기 핸들(6)을 잡은 상태에서, 상기 헤드(2)에 대한 바디(4)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면서 원하는 부분의 청소를 수행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바디(4)의 전면 중심부분에는 집진통(8)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집진통(8)은 헤드(2)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걸러서 그 내부에 포집할 수 있는 것이다. 도시한 종래의 구성예에 있어서는, 상기 집진통(8)은 싸이클론방식에 의하여 흡입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포집하는 예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도시한 바와 같은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일반적인 바닥면을 청소하는 경우에는 상기 헤드(2)를 사용하여 청소가 가능하지만, 소파 또는 가구 등의 표면과 좁은 틈새의 내부 등을 청소하는 경우에는 상기 헤드(2)를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와 같은 특정한 부분의 청소에는 예를 들면 브러쉬흡입구 또는 크레비스툴 등의 보조흡입구가 사용된다. 도시한 바와 같은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은 보조흡입구는, 상기 바디(4)와 헤드(2)를 연결하고 있는 호스(도시 생략)의 단부를 헤드(2)에서 분리한 후, 그 단부에 보조흡입구를 장착하여 특정 부분의 청소를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이러한 보조흡입구를 별도로 보관하는 경우에는, 사용할 때 보조흡입구를 찾아서 끼우는 불편함이 뒤따르기 때문에, 통상 진공청소기본체에 장착하여 두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보조흡입구 중에서 크레비스툴(Sa)과 브러쉬흡입구(Sb)이 상기 핸들의 상부에 장착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다른 방안으로는, 상기와 같은 보조흡입구는 바디(4)의 뒷면에 장착된 상태로 보관하면서 필요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단점이 지적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흡입구(Sa,Sb)를 핸들(6)의 상측에 세워서 장착하는 종래의 구조에 의하면, 상기 보조흡입구(Sa,Sb)에 의하여 사용자가 핸들(6)을 잡고 조작하기에 다소 불편함이 제기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보조흡입구의 보관은 청소기를 이송시키거나, 상기 바디가 후방으로 틸팅된 상태에서 사용될 경우 진동 또는 이동시 발생하는 반력 등에 의하여 장착상태에서 탈거될 우려도 지적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흡입구를 바디(4)의 뒷면에 장착하여 보관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보조흡입구가 하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을 위하여 사용자가 분리하기가 불편하다. 그리고 통상 바디(40)의 후면에는 전원과 연결을 위한 코드(9)가 도시한 바와 같이 감겨져 있기 때문에, 보조흡입구를 넣거나 꺼낼 때 많은 불편함이 제기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보조흡입구의 장착구조에 의하면 여러가지 불편함이 제기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조흡입구의 보관을 위한 장착 및 사용을 위한 분리가 용이한 보조흡입구의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는, 바닥면에서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유입시키는 헤드와; 상기 헤드의 상부에 설치되고, 흡입수단이 내장된 바디; 그리고 상기 바디의 상부에 설치되고, 이면에는 보조흡입구를 끼워서 보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흡입구 장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보조흡입구를 손잡이의 이면에 성형하는 것에 의하여, 보조흡입구의 장착 및 분리시 코드와의 간섭이 없고, 바디 보다 상부에 있는 보조흡입구의 사용이 더욱 편리하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는, 바닥면을 따라서 근접한 상태로 이동하면서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는 헤드(10)와, 상기 헤드를 통하여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하는 수단이 내장된 바디(20), 그리고 상기 바디(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잡기 위한 손잡이(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헤드(10)는 바닥면과 근접한 상태로 이동하면서, 그 저면에 형성된 흡입구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헤드(10)의 상부에는 바디(20)가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바디(20)의내부에는 흡입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이 내장되어 있어서, 그것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헤드(10)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헤드(10)의 후방측에는, 바닥면을 따라 움직일 때 구름접촉을 위한 바퀴(1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바디(20)는 헤드(10)에 대하여 후방으로 일정한 경사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즉, 도시한 바와 같은 거의 직립상태에서는 헤드(10)와 체결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사용시에는 릴리스페달(12)을 밟는 것에 의하여 체결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바디(20)가 후방으로 일정 각도 틸팅될 수 있고,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손잡이(30)를 잡고 상기 바디(20)를 원하는 각도로 조정하면서 바닥면을 청소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20)의 중심부분에는 집진통(50)이 장착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집진통(50)은, 싸이클론 방식에 의하여 이물질을 걸러내거나, 별도의 필터를 통하여 이물질을 걸러서 포집하거나, 또는 싸이클론방식 및 필터방식을 동시에 실시하여 이물질을 그 내부에 포집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바디(20)의 상부에는 손잡이(3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바디(20)와 손잡이(30)는, 각각 별도로 사출 성형으로 만들어진 후, 결합된다. 그리고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는 다른 청소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키가 크기 때문에, 운송과정에서는, 상기 손잡이(30)는 바디(2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포장박스에 포장되어 운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후면에서 본 사시도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30)의 뒷면(32)에는 보조흡입구를 삽입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다수개의 보조흡입구 장착홈(34a,34b:34)이 오목하게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보조흡입구는, 손잡이(30)의 이면에 성형되어 있는 상기 보조흡입구 장착홈(34)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태로 끼워진 상태로 보관됨을 알 수 있다.
상기 보조흡입구 장착홈(34)은, 크레비스툴, 브러쉬흡입구 등과 같은 보조흡입구를 각각 수납하여 내장할 수 있도록, 각 보조흡입구의 외관형상을 고려하여 그 크기 및 형상이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보조흡입구 장착홈(34)은, 각각의 보조흡입구 전체가 내부로 수납된 상태로 끼워질 수 있거나, 적어도 일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다른 보조적인 구조 또는 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상기 손잡이(30)의 뒷면에 보조흡입구를 장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조흡입구를 끼워서 보관하기 위한 장착홈(34)을 손잡이(30)의 이면에 성형하는 것에는 다음과 같은 사실에 기초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바디(20)의 이면에는, 전원과 연결되기 위한 긴 코드가 감겨지는 부분이기 때문에, 보조흡입구의 보관장소로써는 부적절함과 동시에 코드로 인하여 사용성이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바디(20)는 손잡이(30) 보다 하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보조흡입구의 장착 및 분리시 사용자가 더욱 허리를 많이 숙여야 되는 불편함도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바디(20)의 상부에 있는 손잡이(30)의 뒷면을 이용하여 장착홈(34)을 성형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사용상의 단점이 해소되고 보다 편리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실질적으로 상기 바디(20)의 내부 구조는 손잡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복잡하기 때문에, 바디(20)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 등의 구조도 더욱 복잡해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손잡이(30)의 이면을 이용하여 장착홈(34)을 형성함으로써, 금형구조의 단순화 및 제조공정상의 정밀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보조흡입구의 장착을 위한 장착홈(34)을 바디(30)가 아닌 손잡이(30)의 이면에 형성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은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임은 자명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에 의하면, 바디의 상부에 결합되는 손잡이(30)의 이면에, 보조흡입구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홈을 성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상부에 보도흡입구를 보관할 수 있어서 사용시 편리하게 되는 장점이 기대된다. 그리고 손잡이(30)는 실질적으로 코드를 감아두는 부분이 아니기 때문에, 종래의 것에 비하여 보조흡입구의 보관을 위한 장착 및 사용을 위한 분리가 아주 손쉬운 편의성을 기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예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의 정면에서 본 예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의 후면에서 본 예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헤드 20 ..... 바디
30 .... 손잡이 34 ..... 보조흡입구 장착홈

Claims (1)

  1. 바닥면에서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유입시키는 헤드와;
    상기 헤드의 상부에 설치되고, 흡입수단이 내장된 바디; 그리고
    상기 바디의 상부에 설치되고, 이면에는 보조흡입구를 끼워서 보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흡입구 장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KR1020030098399A 2003-12-27 2003-12-27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KR200500669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8399A KR20050066911A (ko) 2003-12-27 2003-12-27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8399A KR20050066911A (ko) 2003-12-27 2003-12-27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6911A true KR20050066911A (ko) 2005-06-30

Family

ID=37257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8399A KR20050066911A (ko) 2003-12-27 2003-12-27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6691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77008B2 (en) Multifunction vacuum cleaner
US20080105278A1 (en) Method for vacuum cleaning
USD447609S1 (en) Combined wet/dry vacuum cleaner dolly and accessory storage unit
JP2008534116A (ja) 多機能真空掃除機
KR102584214B1 (ko) 청소기
KR20010024746A (ko) 진공 청소기
JP2004209224A (ja) サイクロン真空掃除機のダストカップ着脱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サイクロン真空掃除機
JP2001212052A (ja) 電気掃除機
JP4091514B2 (ja) 電気掃除機
KR20050066911A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JPH0584161A (ja) 電気掃除機
EP1321085B1 (en) Accessory tool mounting device for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including such an accessory tool mounting device
KR100299426B1 (ko) 진공청소기용보조브러쉬홀더
JP2544277Y2 (ja) 電気掃除機
JP3297224B2 (ja) 電気掃除機
JPH02111Y2 (ko)
JP2977795B1 (ja) 真空掃除機用補助ブラシホルダ
JP4020627B2 (ja) 電気掃除機
KR100343097B1 (ko) 전기청소기의 수납구조
JPH0517008Y2 (ko)
JPS6340210Y2 (ko)
JPH05184502A (ja) 電気掃除機
KR101192869B1 (ko) 진공 청소기용 흡입구체
JP3036213B2 (ja) 電気掃除機
JPH11332799A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