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6421A - A control part mounting structure for media dispenser - Google Patents

A control part mounting structure for media dispens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6421A
KR20050066421A KR1020030097708A KR20030097708A KR20050066421A KR 20050066421 A KR20050066421 A KR 20050066421A KR 1020030097708 A KR1020030097708 A KR 1020030097708A KR 20030097708 A KR20030097708 A KR 20030097708A KR 20050066421 A KR20050066421 A KR 20050066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unit
support
door
guide slot
media dispen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77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세훈
Original Assignee
엘지엔시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엔시스(주) filed Critical 엘지엔시스(주)
Priority to KR1020030097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66421A/en
Publication of KR20050066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6421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체자동지급기의 콘트롤부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관을 구성하는 캐비넷(20)의 내부를 개폐하는 도어(25)의 내면에 설치되고 전면에 조작화면(27)을 구비하며 일단이 도어(25)의 내면에 연결되어 타단이 소정 각도 회전되는 콘트롤부(26)와, 상기 콘트롤부(26)를 상기 도어(25)의 내면에 밀착되는 상태와 경사진 상태로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지지기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기구(30)는 상기 도어(25)의 내면에 고정되는 제1고정편(32)과, 상기 콘트롤부(26)의 적어도 일측면과 상기 제1고정편(32)에 양단부가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슬롯(36)을 구비하며 적어도 일단부 폭방향 양측에 지지리브(39)를 구비하는 연결링크(35)와, 상기 콘트롤부(26)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슬롯(36)을 따라 안내되는 힌지핀(41)에 상기 가이드슬롯(36)과의 연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전되게 설치되고 양단에 회전에 의해 상기 지지리브(39)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지지돌기(47)를 구비하는 지지걸이편(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unit mounting structure of a media dispenser.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25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side of the cabinet 20 constituting the appearance and has an operation screen 27 on the front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25, the other end is a predetermined angle And a support mechanism 30 for selectively supporting the controller 26 to be rotated and the controller 26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25 and to be inclined. The support mechanism 30 is rotated at both ends of the first fixing piece 32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25, at least one side of the control unit 26 and the first fixing piece 32, respectively. It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control unit 26 and a link link 35 and a guide slot 36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upport ribs 39 on at least one end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at both ends. The hinge pin 41 guided along the guide slot 36 is installed to be selectively rotated by interlocking with the guide slot 36 and is selectively supported on the support rib 39 by rotation at both ends. It is comprised including the support hanger piece 43 provided with the protrusion 47.

Description

매체자동지급기의 콘트롤부 장착구조{A control part mounting structure for media dispenser}Control part mounting structure for media dispenser

본 발명은 매체자동지급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매체자동지급기의 콘트롤부의 각도를 사용에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는 매체자동지급기의 콘트롤부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a dispens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rol unit mounting structure of a media dispenser capable of conveniently operating the angle of the control unit of the media dispenser.

매체자동지급기는 매체를 고객이 원하는 매수만큼 자동으로 지급하는 기기이다. 상기 매체자동지급기에서 사용될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지폐, 수표, 티켓, 증명서, 용지 등이 있다.A media dispenser is a device that automatically pays the media as many times as you want. Examples of media that can be used in the media dispenser include bills, checks, tickets, certificates, paper, and the like.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외관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매체자동지급기의 외관을 캐비넷(1)이 형성한다. 상기 캐비넷(1)의 전면에는 고객이 매체자동지급기를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2)가 구비된다.1 shows an appearance of a media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ccording to this, the cabinet 1 forms the appearance of the media dispenser. The front side of the cabinet 1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unit 2 that allows the customer to operate the media dispenser.

상기 캐비넷(1)의 내부에는 매체자동지급기를 구성하는 모듈(도시되지 않음)이 안착되는 내부공간(3)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3)은 다수개의 구획판(5)으로 구획되어 각각의 모듈이 안착되도록 한다. Inside the cabinet 1 is formed an inner space 3 in which a module (not shown) constituting a media dispenser is seated. The inner space 3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ition plates 5 so that each module is seated.

상기 내부공간(3)은 캐비넷(1)의 배면에 구비된 도어(7)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도어(7)는 상기 캐비넷(1)의 배면에 일측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내부공간(3)을 개폐한다.The inner space 3 is opened and closed by a door 7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abinet 1. One side end of the door 7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cabinet 1 to open and close the inner space 3.

상기 도어(7)의 내면에는 매체자동지급기의 제어를 위한 콘트롤부(9)가 구비된다. 상기 콘트롤부(9)의 전면에는 조작화면(10)이 구비된다. 상기 조작화면(10)은 일반적으로 터치입력기능이 있는 액정패널이 사용되어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도 하고 정보를 입력받기도 한다.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7 is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9 for controlling the media dispenser. The operation screen 10 is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control unit 9. The operation screen 10 generally uses a liquid crystal panel having a touch input function to display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or receive information.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상기 매체자동지급기의 캐비넷(1)의 전체 높이는 대략 사람의 키와 같거나 낮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매체자동지급기의 배면, 즉 도어(7)가 개폐되는 부분은 고객이 접근할 수 없는 상대적으로 좁은 공간에 위치된다.The overall height of the cabinet 1 of the media dispenser is formed approximately equal to or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person. And the back of the media dispenser, i.e., the part where the door 7 is opened and closed, is located in a relatively narrow space that is inaccessible to the customer.

따라서, 상기 도어(7)를 개방한 상태로 상기 콘트롤부(9)를 조작할 때, 작업자의 체격조건이나 상기 매체자동지급기의 배면이 위치되는 공간의 조명 등에 따라 상기 조작화면(10)을 제대로 볼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콘트롤부(9)를 조작하는 것이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when operating the control unit 9 while the door 7 is opened, the operation screen 10 may be properly adjusted according to the physique conditions of the operator or the illumination of the space where the rear surface of the media dispenser is located. You may not see it.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inconvenient to operate the control unit 9.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매체자동지급기의 콘트롤부를 작업자가 편리한 각도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o enable the operator to adjust the control unit of the media dispenser at a convenient angl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외관을 구성하는 캐비넷의 내부를 개폐하는 도어의 내면에 설치되고 전면에 조작화면을 구비하며 일단이 도어의 내면에 연결되어 타단이 소정 각도 회전되는 콘트롤부와, 상기 콘트롤부를 상기 도어의 내면에 밀착되는 상태와 경사진 상태로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지지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side of the cabinet constituting the appearance and has an operation screen on the front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And a control mechanism for rotating the other end by a predetermined angle and a support mechanism for selectively supporting the control unit in a state in which the control un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and in an inclined state.

상기 콘트롤부는 그 상단부가 경첩에 의해 상기 도어의 내면에 연결된다.The control part is connect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door by a hinge at an upper end thereof.

상기 지지기구는 상기 도어의 내면에 고정되는 제1고정편과, 상기 콘트롤부의 적어도 일측면과 상기 제1고정편에 양단부가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슬롯을 구비하며 적어도 일단부 폭방향 양측에 지지리브를 구비하는 연결링크와, 상기 콘트롤부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슬롯을 따라 안내되는 힌지핀에 상기 가이드슬롯과의 연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전되게 설치되고 양단에 회전에 의해 상기 지지리브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지지돌기를 구비하는 지지걸이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upport mechanism includes a first fixing piece fix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door, at least one side of the control unit and both ends of the control unit are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includes a guide slo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least once. Connection links having support ribs on both sides of the sub-width direction, and hinge pin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control unit and guided along the guide slots, are selectively rotated by interlocking with the guide slots, and rotated at both ends. It comprises a support hanger piece having a support projection to be selectively hooked on the support rib.

상기 지지걸이편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핀은 상기 콘트롤부의 측면에 장착되는 제2고정편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2고정편은 그 장착 위치가 조정가능하다.The hinge pin rotatably installed on the support hanger piece is installed on a second fixing piece mounted on the side of the control unit, and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second fixing piece is adjustable.

상기 가이드슬롯의 일단부에는 상기 지지걸이편의 회전을 위한 회전구동턱과 회전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걸이편에는 상기 회전구동턱과 연동되는 구동돌기가 구비된다.One end of the guide slot is provided with a rotation driving jaw and a rotation guide for rotating the support hanger piece, the support hanger piece is provided with a driving projection interlocked with the rotation driving jaw.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콘트롤부 장착구조에 의하면 콘트롤부의 설치각도를 주변환경이나 작업자의 체격조건에 맞게 조작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control unit mounting structure of the media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used by operating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r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operator.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콘트롤부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a control unit mounting structure of a media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콘트롤부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비한 매체자동지급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지지기구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지지기구의 구성이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edia dispenser hav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ntrol unit moun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The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mechanism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perspective view, and in Fig. 5 the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mechanism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plan view.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캐비넷(20)은 매체자동지급기의 외관을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캐비넷(20)의 전면에는 고객이 매체자동지급기를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21)가 구비된다. 상기 캐비넷(20)의 내부에는 매체자동지급기를 구성하는 모듈(도시되지 않음)이 안착되는 내부공간(22)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22)은 다수개의 구획판(23)으로 구획되어 각각의 모듈이 안착되도록 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cabinet 20 constitutes the appearance of the media dispenser. The front side of the cabinet 20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unit 21 for the customer to operate the media dispenser. Inside the cabinet 20, an inner space 22 in which a module (not shown) constituting a media dispenser is seated is formed. The inner space 22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ition plates 23 so that each module is seated.

상기 내부공간(22)은 캐비넷(20)의 배면에 구비된 도어(25)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도어(25)는 상기 캐비넷(20)의 배면에 일측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내부공간(22)을 개폐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도어(25)는 상기 조작부(21)의 반대쪽에 구비되고, 고객이 접근할 수 없는 공간으로 노출되게 위치되어 개폐되도록 된다. The inner space 22 is opened and closed by a door 25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abinet 20. One side end of the door 25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cabinet 20 to open and close the inner space 22. In general, the door 25 is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operation unit 21, and is positioned to open and close to be exposed to a space inaccessible to the customer.

상기 도어(25)의 내면에는 매체자동지급기의 제어를 위한 콘트롤부(26)가 구비된다. 상기 콘트롤부(26)의 전면에는 조작화면(27)이 구비된다. 상기 조작화면(27)은 일반적으로 터치입력기능이 있는 액정패널이 사용되어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도 하고 정보를 입력받기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콘트롤부(26)가 매체자동지급기의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단지 조작화면(27)만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25 is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26 for controlling the automatic media dispenser. The operation screen 27 is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control unit 26. The operation screen 27 generally uses a liquid crystal panel having a touch input function to display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or receive information. 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 unit 26 has been described as performing the control of the media dispenser, but it is also possible to comprise only the operation screen (27).

상기 콘트롤부(26)의 상단에는 경첩(28)이 구비되어 상기 도어(25)의 내면에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콘트롤부(26)는 상기 경첩(28)이 구비된 상단을 중심으로 하단이 회전가능하다.A hinge 28 i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control unit 26 and mount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door 25.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26 is rotatable at the lower end with respect to the upper end provided with the hinge 28.

한편, 상기 콘트롤부(26)가 일정 각도 회전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기구(30)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지지기구(30)는 도 4 및 도 5에 잘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상기 지지기구(30)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콘트롤부(26)의 일측면에만 구비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즉, 양측면에 각각 지지기구(30)가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mechanism 30 to be maintained in a state where the control unit 26 is rotated by an angle will be described. The support mechanism 30 is shown well in FIGS. 4 and 5. For reference, the support mechanism 30 is provided only on one side of the control unit 26 in this embodiment, but it is not necessary to do so. That is, the support mechanism 30 may be provided on both side surfaces, respectively.

먼저, 상기 도어(25)에 제1고정편(32)이 고정되어 설치된다. 상기 제1고정편(32)의 일측에는 연결핀(33)을 통해 연결링크(35)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링크(35)는 상기 연결핀(33)을 중심으로 상기 제1고정편(32)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다.First, the first fixing piece 32 is fixed to the door 25 and installed. One side of the first fixing piece 32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link 35 through the connecting pin 33. Accordingly, the connection link 35 is freely rotatable about the first fixing piece 32 about the connection pin 33.

상기 연결링크(35)의 내측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가이드슬롯(36)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슬롯(36)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2고정편(40)의 힌지핀(41)이 위치되어 이동이 안내된다. 상기 가이드슬롯(36)의 일단부, 즉 상기 제1고정편(32)과 반대쪽 단부에는 회전구동턱(37)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구동턱(37)은 상기 가이드슬롯(36)의 길이방향 중심선 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구동턱(37)과 폭방향으로 마주보는 부분에는 회전가이드부(38)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가이드부(38)는 직선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기 가이드슬롯(36)의 다른 부분과는 달리 일측으로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요입되게 형성된다.A guide slot 36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link 35. The guide slot 36 is a hinge pin 41 of the second fixing piece 40 to be described below is located to guide the movement. One end of the guide slot 36, that is, the end opposite to the first fixing piece 32, is provided with a rotation driving jaw 37. The rotary driving jaw 37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longitudinal center line of the guide slot 36. In addition, a rotation guide part 38 is formed at a portion facing the rotation driving jaw 37 in the width direction. The rotation guide portion 38 is formed to be recessed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to one side, unlike other portions of the guide slot 36 formed in a straight line.

한편, 상기 연결링크(35)의 양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지지리브(39)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리브(39)는 대략 상기 가이드슬롯(36)의 일직선으로 형성된 부분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support ribs 39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nnection link 35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upport ribs 39 are formed along a portion formed in a straight line of the guide slot 36.

상기 콘트롤부(26)의 측면에는 제2고정편(40)이 구비된다. 상기 제2고정편(40)에는 힌지핀(41)이 구비된다. 상기 힌지핀(41)은 상기 연결링크(35)의 가이드슬롯(36)내에 위치되어 연결링크(35)와 상대적인 이동이 이루어진다.The second fixing piece 40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control unit 26. The second fixing piece 40 is provided with a hinge pin 41. The hinge pin 41 is positioned in the guide slot 36 of the connection link 35 to be moved relative to the connection link 35.

상기 힌지핀(41)에는 지지걸이편(43)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지지걸이편(43)은 상기 힌지핀(41)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링크(35)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고정편(40)의 반대쪽에 위치된다. 상기 지지걸이편(43)에는 구동돌기(45)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돌기(45)는 상기 회전구동턱(37)과 접촉되면서 상기 지지걸이편(43)의 회전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상기 회전구동턱(37)은 상기 지지걸이편(43)에 상기 제2고정편(40)의 방향에 구비되는 것으로, 4개가 상기 지지걸이편(43)의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 간격으로 형성된다.The support pin piece 43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hinge pin 41. The support hook piece 43 is rotated about the hinge pin 41 and is positioned opposite the second fixing piece 40 with the connection link 35 therebetween. The support hook piece 43 is provided with a driving protrusion 45. The driving protrusion 45 is in contact with the rotation driving jaw 37 to produce a rotation of the support hanger piece 43. The rotation driving jaw 37 is provided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fixing piece 40 in the support hanger piece 43, four at a constant angle interval around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support hanger piece 43 Is formed.

상기 지지걸이편(43)의 외주 가장자리에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지지돌기(47)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돌기(47)는 상기 지지리브(39)의 일단부에 걸어져 상기 연결링크(35)가 상기 제2고정편(40)에 대해 이동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At the outer circumferential edge of the support hanger piece 43, support protrusions 47 are formed in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The support protrusion 47 is engaged with one end of the support rib 39 to support the connection link 35 so as not to move relative to the second fixing piece 40.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콘트롤부 장착구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mounting structure of the media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지지기구(30)에 의해 상기 콘트롤부(26)를 도어(25)의 배면에 대해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설치할 수 있다. 물론 평상시에는 상기 콘트롤부(26)를 도어(25)의 배면에 밀착되게 설치하여 두고 사용할 때만 기울어지게 설치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26 may be install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25 by the support mechanism 30. Of course, the control unit 26 is usually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25 and is inclined only when used.

도 6a에는 상기 콘트롤부(26)가 도어(25)의 배면에 밀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에는 상기 제2고정편(40)의 힌지핀(41)이 상기 가이드슬롯(36)의 중간쯤의 위치에 구비된다. 물론 상기 지지걸이편(43)도 상기 연결링크(35)의 상에서 상기 힌지핀(41)과 대응되는 위치에 있게 된다. 상기 지지걸이편(43)의 지지돌기(47)는 상기 가이드슬롯(36)의 연장방향을 향하도록 위치되어 있다.6A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ntrol unit 26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25. At this time, the hinge pin 41 of the second fixing piece 40 is provided at a position about the middle of the guide slot 36. Of course, the support hanger piece 43 is also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inge pin 41 on the connection link (35). The support protrusion 47 of the support hanger piece 43 is positioned to face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guide slot 36.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콘트롤부(26)의 하단을 상기 경첩(28)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들어올리면, 상기 힌지핀(41)은 상기 연결링크(35)의 가이드슬롯(36)을 따라 이동된다. 이때, 상기 힌지핀(41)은 상기 회전구동턱(37)이 구비된 가이드슬롯(36)의 일단부를 향해 이동된다.In the above state, when the lower end of the control unit 26 is rotated about the hinge 28 and lifted up, the hinge pin 41 is moved along the guide slot 36 of the connection link 35. . At this time, the hinge pin 41 is moved toward one end of the guide slot 36 provided with the rotary driving jaw (37).

상기 힌지핀(41)과 함께 상기 지지걸이편(43)도 따라 이동된다. 상기 지지걸이편(43)이 상기 가이드슬롯(36)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구동돌기(45)가 상기 회전구동턱(37)을 만나게 되면, 상기 지지걸이편(43)이 회전된다. 상기 힌지핀(41)이 상기 가이드슬롯(36)의 제일 끝부분까지 이동되면 상기 회전구동턱(37)과 상기 구동돌기(45)의 연동과 상기 회전가이드부(38)의 안내에 의해 상기 지지걸이편(43)은 90°회전된다.The support hanger 43 is also moved along with the hinge pin 41. When the support hanger piece 43 moves along the guide slot 36 and the driving protrusion 45 meets the rotation driving jaw 37, the support hanger piece 43 is rotated. When the hinge pin 41 is moved to the end of the guide slot 36, the support is guided by the rotation driving jaw 37 and the driving protrusion 45 and guided by the rotation guide 38. The hook piece 43 is rotated 90 degrees.

이와 같은 지지걸이편(43)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이드슬롯(36)의 연장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던 지지돌기(47)가 상기 가이드슬롯(36)의 연장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콘트롤부(26)를 회전시키던 힘이 제거되면, 상기 콘트롤부(26)는 그 자중에 의해 도어(25)의 배면에 밀착되려는 방향으로 이동된다.By the rotation of the support hanger piece 43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protrusion 47 that protrudes in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guide slot 36 protrud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guide slot 36. Then, when the force for rotating the control unit 26 is removed, the control unit 26 is moved in the direction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25 by its own weight.

따라서, 상기 제2고정편(40)의 상기 힌지핀(41)은 가이드슬롯(36)의 반대쪽 단부를 향해 이동된다. 하지만, 상기 지지걸이편(43)의 지지돌기(47)가 상기 가이드슬롯(36)의 연장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상기 지지리브(39)의 일단부에 걸어져 더 이상의 이동이 불가능하게 된다.Thus, the hinge pin 41 of the second fixing piece 40 is moved toward the opposite end of the guide slot 36. However, since the support protrusion 47 of the support hanger piece 43 extends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guide slot 36, no further movement is possible due to being hooked to one end of the support rib 39. Done.

이와 같은 상태가 도 6b에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콘트롤부(26)는 그 하단부가 상기 도어(25)의 배면으로부터 분리된 상태가 되어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된다.This state is shown in FIG. 6B.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26 is installed in an inclined state with its lower end being separate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25.

한편, 상기 콘트롤부(26)를 다시 상기 도어(25)의 배면에 밀착되게 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이때는 일단 콘트롤부(26)의 하단을 당겨 상기 도어(25)의 배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게 한다. 이와 같은 이동에 의해 상기 힌지핀(41)은 상기 가이드슬롯(36)의 일단부중 상기 회전구동턱(37)이 구비된 부분으로 이동한다. Meanwhile, a process of bringing the control unit 26 back into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25 will be described. At this time, the lower end of the control unit 26 is pulled so as to move away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25. By this movement, the hinge pin 41 moves to a portion of the one end of the guide slot 36 provided with the rotation driving jaw 37.

따라서, 상기 회전구동턱(37)과 상기 지지걸이편(43)의 구동돌기(45)가 서로 접촉되면서 도 5를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지지걸이편(43)의 지지돌기(47)가 상기 가이드슬롯(36)의 길이방향을 향하도록 된다.Therefore, the rotary driving jaw 37 and the driving protrusion 45 of the support hanger piece 43 are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with reference to FIG. 5. In this case, the support protrusion 47 of the support hanger piece 43 face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slot 36.

그리고, 상기 콘트롤부(26)의 하단을 당겨주던 힘을 제거하거나 콘트롤부(26)의 자중보다 작은 힘을 콘트롤부(26)를 지지하면, 상기 콘트롤부(26)가 상기 도어(25)의 배면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힌지핀(41)이 상기 가이드슬롯(36)을 따라 이동된다.When the force that pulls the lower end of the control unit 26 or removes the force that is less than the weight of the control unit 26 supports the control unit 26, the control unit 26 of the door 25 The hinge pin 41 is moved along the guide slot 36 while being rotated in the direction of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이때, 상기 지지걸이편(43)도 함께 이동되는데, 상기 지지걸이편(43)의 지지돌기(47)가 상기 가이드슬롯(36)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상기 지지돌기(47)가 상기 지지리브(39)에 걸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핀(41)이 상기 가이드슬롯(36)을 따라 계속 이동할 수 있어 상기 힌지핀(41)과 일체로 움직이는 상기 콘트롤부(26)가 상기 도어(25)의 배면에 밀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upport hanger piece 43 is also moved together. Since the support protrusion 47 of the support hanger piece 43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slot 36, the support protrusion 47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rotrusion 47. It does not hang on the rib 39. Accordingly, the hinge pin 41 may continue to move along the guide slot 36 such that the control unit 26 moving integrally with the hinge pin 41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25. .

한편, 상기 콘트롤부(26)가 경사지게 되는 각도는 상기 제2고정편(40)의 고정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상기 제2고정편(40)을 작업자의 체격이나 매체자동지급기가 설치된 환경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 고정하면 최적의 상태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angle at which the control unit 26 is inclined depends on the fixing position of the second fixing piece (40). Therefore, when the second fixing piece 40 is fix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according to the physique of the worker or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media dispenser is installed, the second fixing piece 40 can be used in an optimal state.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re defined by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adapt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콘트롤부 장착구조에 의하면 작업자의 체격이나 설치된 환경에 따라 콘트롤부의 경사각도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control unit mounting structure of the media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adjus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hysique of the operator or the installed environment.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콘트롤부의 조작화면에 대한 가시성이 향상되어, 콘트롤부의 조작이 보다 용이하면서도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this case, the visibility of the operation screen of the control unit is improved,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can be achieved more easily and accurately.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콘트롤부 장착구조를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trol unit mounting structure of a media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콘트롤부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비한 매체자동지급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edia dispenser hav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ntrol unit moun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지지기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mechanism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지지기구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5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mechanism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의 동작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6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 캐비넷 21: 조작부20: cabinet 21: control panel

22: 내부공간 23: 구획판22: interior space 23: partition plate

25: 도어 26: 콘트롤부25: door 26: control unit

27: 조작화면 28: 경첩27: Operation screen 28: Hinge

30: 지지기구 32: 제1고정편30: support mechanism 32: first fixing piece

33: 연결핀 35: 연결링크 33: connecting pin 35: connecting link

36: 가이드슬롯 37: 회전구동턱36: guide slot 37: rotation driving jaw

38: 회전가이드부 40: 제2고정편38: rotation guide part 40: second fixing piece

41: 힌지핀 43: 지지걸이편41: hinge pin 43: support hook

45: 구동돌기 47: 지지돌기45: driving protrusion 47: support protrusion

Claims (5)

외관을 구성하는 캐비넷의 내부를 개폐하는 도어의 내면에 설치되고 전면에 조작화면을 구비하며 일단이 도어의 내면에 연결되어 타단이 소정 각도 회전되는 콘트롤부와,A control unit installed on an inner surface of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an inside of a cabinet constituting an exterior and has an operation screen on a front surface thereof,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door,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상기 콘트롤부를 상기 도어의 내면에 밀착되는 상태와 경사진 상태로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지지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콘트롤부 장착구조.And a support mechanism for selectively supporting the control unit in a state in which the control un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and in an inclined st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부는 그 상단부가 경첩에 의해 상기 도어의 내면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콘트롤부 장착구조.The control unit mounting structure of claim 1, wherein the upper end of th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door by a hing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구는,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support mechanism, 상기 도어의 내면에 고정되는 제1고정편과,A first fixing piece fix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door, 상기 콘트롤부의 적어도 일측면과 상기 제1고정편에 양단부가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슬롯을 구비하며 적어도 일단부 폭방향 양측에 지지리브를 구비하는 연결링크와,A connecting link having both ends rotatably connected to at least one side of the control unit and the first fixing piece, each having a guide slo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upporting ribs at both ends in at least one width direction thereof; 상기 콘트롤부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슬롯을 따라 안내되는 힌지핀에 상기 가이드슬롯과의 연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전되게 설치되고 양단에 회전에 의해 상기 지지리브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지지돌기를 구비하는 지지걸이편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콘트롤부 장착구조.A support provided at a side of the control unit and selectively installed on a hinge pin guided along the guide slot to be rotated by interlocking with the guide slot, and having support protrusions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support ribs by rotation at both ends thereof. Control unit mounting structure of the automatic media dispenser, characterized in that including a hook pie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걸이편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핀은 상기 콘트롤부의 측면에 장착되는 제2고정편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2고정편은 그 장착 위치가 조정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콘트롤부 장착구조.The hinge pin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support hanger piece is installed on a second fixing piece mounted on the side of the control unit, the second fixing pie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nting position is adjustable. Control unit mounting structure of media dispens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슬롯의 일단부에는 상기 지지걸이편의 회전을 위한 회전구동턱과 회전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걸이편에는 상기 회전구동턱과 연동되는 구동돌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콘트롤부 장착구조.According to claim 3, One end of the guide slot is formed with a rotating driving jaw and a rotation guide for the rotation of the support hanger pie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hanger is provided with a driving projection interlocked with the rotating driving jaw Control unit mounting structure of media dispenser.
KR1020030097708A 2003-12-26 2003-12-26 A control part mounting structure for media dispenser KR2005006642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7708A KR20050066421A (en) 2003-12-26 2003-12-26 A control part mounting structure for media dispens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7708A KR20050066421A (en) 2003-12-26 2003-12-26 A control part mounting structure for media dispens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6421A true KR20050066421A (en) 2005-06-30

Family

ID=37257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7708A KR20050066421A (en) 2003-12-26 2003-12-26 A control part mounting structure for media dispens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6642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25123A1 (en) * 2009-08-24 2011-03-0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Embedded main board of automated teller mach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25123A1 (en) * 2009-08-24 2011-03-0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Embedded main board of automated teller mach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81742A (en) Hinge device having mechanism for stopping movable member at open position
EP0404165B1 (en) A portable apparatus having a divided portion for suitably guiding a cable electrically connecting a base unit and a display unit pivotably coupled to the base unit
US7017803B2 (en) Point-of-sale terminal
KR100593364B1 (en) Communication Pad mounting structure for internet refrigerator
KR20050066421A (en) A control part mounting structure for media dispenser
US6141208A (en) Hinge device for a portable computer
JP2589862Y2 (en) Hinge device
JP3416108B2 (en) Hinge
KR20020081646A (en) Door stopper mechanism of vending machine
JP5130505B2 (en) Housing structure
JP2512631Y2 (en) Display mounting structure
JP2980117B1 (en) Air conditioner
KR100214968B1 (en)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air vent damper in an automobile
JP7412217B2 (en) Hinge structure of door in electrical equipment storage box
KR20020081645A (en) Door stopper mechanism of vending machine
KR200334494Y1 (en) Structure for establishing cover of office automated machine
KR20020038338A (en) JIG restricting HINGE_MTG of car door
JPH1124353A (en) Front door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KR20050058151A (en) Communication pad mounting structure for internet refrigerator
JP3001199B1 (en) Supporting point sliding hinge mechanism
JP2000297961A (en) Wind direction regulating device
JP2006118181A (en) Door mounting structure
KR0130952Y1 (en) A cover of a washing machine
KR100479800B1 (en) Coin box and installing device thereof in vending machine
KR0118601Y1 (en) Back door checker for a c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