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8151A - Communication pad mounting structure for internet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Communication pad mounting structure for internet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8151A
KR20050058151A KR1020030090406A KR20030090406A KR20050058151A KR 20050058151 A KR20050058151 A KR 20050058151A KR 1020030090406 A KR1020030090406 A KR 1020030090406A KR 20030090406 A KR20030090406 A KR 20030090406A KR 20050058151 A KR20050058151 A KR 20050058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space
communication pad
communication
p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04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57926B1 (en
Inventor
오승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0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7926B1/en
Publication of KR20050058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81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7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7926B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 냉장고용 커뮤니케이션패드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냉장고의 홈바(52)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홈바도어(53)의 전면에는 안착공간(54)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공간(54)에는 패드포켓(55)이 그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패드포켓(55)에는 장착공간(56)이 구비된다. 상기 장착공간(56)에는 커뮤니케이션패드(57)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패드포켓(55)이 상기 안착공간(54)에 안착된 상태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잠금장치 및 스위치(63)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인터넷 냉장고에 홈바의 적용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의 착탈이 용이해지고,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가 임의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pad mounting structure for an internet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eating space 54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ome bar door 53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home bar 52 of the refrigerator. In addition, a pad pocket 55 is installed in the seating space 54 so as to be rotatable up and down about its lower end, and the pad pocket 55 is provided with a mounting space 56. The communication pad 57 is detachably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56, and a locking device and a switch 63 are provided to fix the pad pocket 55 in a seated state in the seating space 54.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apply a home bar to the Internet refrigerator, and at the same time, de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communication pad can be easily prevented.

Description

인터넷 냉장고용 커뮤니케이션패드 장착구조{Communication pad mounting structure for internet refrigerator}Communication pad mounting structure for internet refrigerator

본 발명은 인터넷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홈바의 적용이 가능하고, 커뮤니케이션패드의 착탈이 용이한 동시에 임의로 탈거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되는 인터넷 냉장고용 커뮤니케이션패드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net refriger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munication pad mounting structure for an internet refrigerator configured to be applicable to a home bar and to prevent detachment of a communication pad and prevent detachment.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인터넷 냉장고의 외관이 도시되어 있다.Figure 1 shows the appearance of the Internet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 냉장고(이하 냉장고라 칭함) 본체(10)에는 도어(11)(13)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11)(13)는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소정의 저장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힌지(h)(h')에 의하여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As shown therein, doors 11 and 13 are installed in the Internet refrigerat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refrigerator) main body 10. The doors 11 and 13 are used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a predetermined storage space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respectively, by hinges h and h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respectively. It is installed rotatably.

한편 상기 도어(11)(13)의 회동중심의 타측에 해당하는 전면 일측에는 도어핸들(11')(13')이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11)(13) 중 도면상 좌측의 도어(11)에는 외부로 물을 급수하기 위한 디스펜서(15)가 구비되고, 도면상 우측의 도어(13)에는 커뮤니케이션패드(17)가 구비된다. Meanwhile, door handles 11 'and 13' ar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ront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other side of the rotation center of the doors 11 and 13, respectively. The door 11 on the left side of the drawing 11 is provided with a dispenser 15 for supplying water to the outside, and the communication pad 17 is provided on the door 13 on the right side of the drawing. do.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Communication Pad)(17)는 인터넷 및 냉장고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역할을 하는 LCD스크린이 사용되거나, 인터넷 및 냉장고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동시에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역할을 하는 터치스크린과 제어부가 구비되는 테블릿컴퓨터(Tabulate computer)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17)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구비되는 컨트롤부(19)에 연결되고, 상기 도어(13)의 일측에 장착된다.The Communication Pad 17 is used with an LCD screen which displays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Internet and the refrigerator to the outside, or simultaneously displays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Internet and the refrigerator to the outside. A tablet computer having a touch screen and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a signal may be used. The communication pad 17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9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by wire or wirelessly, and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door 13.

한편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커뮤니케이션패드 장착구조가 도시되어 있다.2 illustrates a communication pad moun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 도어(13)의 전면에는 커뮤니케이션패드(17)의 안착을 위한 안착공간(14)이 구비된다. 상기 안착공간(14)은 그 전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안착공간(14)의 바닥면에는 한쌍의 관통공(14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공간(14)의 상하단에는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17)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20)와 홀더(30)가 각각 구비된다. As shown in the drawing, a front space of the refrigerator door 13 is provided with a seating space 14 for seating the communication pad 17. The seating space 14 is formed so that the front surface thereof is opened, and a pair of through holes 14a ar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space 14. In addition,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eating space 14 are provided with a clamp 20 and a holder 30 for fixing the communication pad 17, respectively.

상기 클램프(20)에는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17)의 상단부가 안착되는 안착홈(21)이 좌우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20)의 전단에는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17)의 전면 상단부가 지지되는 지지단(23)이 구비된다. 상기 클램프(20)는 상기 안착공간(14)의 상단에 구비되는 힌지(25)에 의하여 전후방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The clamp 20 is provided with a seating groove 21 in which the upper end of the communication pad 17 is seated,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long, and the front end of the front surface of the communication pad 17 is supported at the front end of the clamp 20. A stage 23 is provided. The clamp 20 is rotatably installed back and forth by a hinge 25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seating space 14.

상기 힌지(25)에는 적어도 하나의 토션스프링(29)이 구비된다. 상기 토션스프링(29)은 상기 클램프(20)가 임의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17)가 상기 안착공간(14)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클램프(20)에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의 탄성력을 부여한다. The hinge 25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torsion spring 29. The torsion spring 29 prevents the clamp 20 from being rotated arbitrarily, thereby maintaining the state in which the communication pad 17 is seated in the seating space 14. The clamp 20 is illustrated in the clamp 20. It gives an elastic force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한편 상기 홀더(30)에는,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17)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31)이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홀더(30)의 저면에는, 상기 관통공(14a)을 관통하여 상기 안착공간(14)의 하방에 위치되는 삽입레그(33)가 구비된다. On the other hand, the holder 30, the insertion groove 31 is inserted into the lower end of the communication pad 17 is formed long left and right. In addi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lder 30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leg 33 penetrating the through hole 14a and positioned below the seating space 14.

상기 삽입레그(33)의 전후폭은 상기 관통공(14a)의 그것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홀더(30)는 상기 관통공(14a)에 인접하는 그 상단을 중심으로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홀더(30)의 회동범위는, 상기 관통공(14a)과 상기 삽입레그(33)의 전후폭 차이 및 상기 삽입레그(33)의 길이에 따라서 결정된다. The front and rear widths of the insertion leg 33 are formed relatively smaller than that of the through hole 14a. Therefore, the holder 30 can be rotated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about the upper end adjacent to the through hole 14a. The rotation range of the holder 30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front and rear widths of the through hole 14a and the insertion leg 33 and the length of the insertion leg 33.

또한 상기 삽입레그(33)의 하부는 상기 관통공(14a)보다 상대적으로 큰 전후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홀더(30)가 상기 안착공간(14)의 외측으로 임의로 탈거되는 것이 방지된다.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insertion leg 33 is formed to have a relatively large front and rear width than the through hole (14a). Therefore, the holder 30 is prevented from being arbitrarily detached to the outside of the seating space 14.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의하여 커뮤니케이션패드를 장착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Referring to the process of mounting the communication pad according to the prior ar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먼저 상기 홀더(30)를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17)를 이에 대응하는 경사로 비스듬하게 이동시켜서,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17)의 하단부가 상기 홀더(30)의 삽입홈(31)에 삽입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클램프(20)를 상기 힌지(25)를 중심으로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때 상기 토션스프링(29)은 인장되어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의 탄성력을 상기 클램프(20)에 부여하게 된다. First, the holder 30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Then, the communication pad 17 is obliquely moved to the corresponding inclination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communication pad 17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31 of the holder 30. In addition, the clamp 20 is rotated in a clockwise direction about the hinge 25. At this time, the torsion spring 29 is tensioned to impart an elastic force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o the clamp 20 in the drawing.

한편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17) 및 홀더(30)를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서 그 상단부가 상기 클램프(20)의 안착홈(21)에 안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클램프(20)에 작용하는 외력을 제거하면, 상기 클램프(20)가 상기 토션스프링(29)으로부터의 탄성력에 의하여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따라서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17)의 전면 상단부가 상기 지지단(23)에 의하여 지지된다.Meanwhile, the communication pad 17 and the holder 30 are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so that the upper end thereof is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21 of the clamp 20. In this state, when the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clamp 20 is removed, the clamp 2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by the elastic force from the torsion spring 29. Therefore, the front upper end of the communication pad 17 is supported by the support end 23.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인터넷 냉장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Internet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has the following problems.

일반적으로 상기 도어(11)(13)중 어느 하나에는 디스펜서(15)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홈바 및 이를 개폐하기 위한 홈바가 구비된다. 그런데 종래의 인터넷 냉장고는 상기 도어(11)(13) 중 어느 하나에는 디스펜서(15)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커뮤니케이션패드(17)가 고정되므로, 이와 같은 홈바의 적용이 불가능하게 되는 단점이 발생한다.Generally, one of the doors 11 and 13 is provided with a dispenser 15, and the other is provided with a home bar and a home bar for opening and closing it. However, in the conventional Internet refrigerator, one of the doors 11 and 13 is provided with a dispenser 15, and the other one of the communication pads 17 is fixed, so that such a home bar cannot be applied. do.

그리고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17)를 상기 도어(13)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한 손으로 상기 클램프(20)를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17)를 회동시켜야 한다. 그러므로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17)의 장착이 용이하지 못하게 된다. In order to mount the communication pad 17 to the door 13, the communication pad 17 must be rotated with the other hand while the clamp 20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with one hand. do. Therefore, the mounting of the communication pad 17 is not easy.

또한 종래에는 상기 클램프(20)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17)의 탈거되는 것이 상기 탄성부재(29)의 탄성력에 의하여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29)의 탄성력 이상의 외력, 예를 들면 상기 도어(13)의 회동에 의한 외부충격이나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17)의 자중에 의하여 상기 클램프(20)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커뮤니케이션패드(17)가 상기 안착공간(14)으로부터 탈거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in the related art, the clamp 20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and the detachment of the communication pad 17 is preven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9. Therefore, the clamp 20 rotates clockwise due to an external force greater than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9, for example, an external shock caused by the rotation of the door 13 or the weight of the communication pad 17. The pad 17 can be removed from the seating space 14.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홈바가 적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인터넷 냉장고용 커뮤니케이션패드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munication pad mounting structure for an Internet refrigerator configured to be applied to the home ba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뮤니케이션패드가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인터넷 냉장고용 커뮤니케이션패드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munication pad mounting structure for an internet refrigerator configured to be easily detached from the communication pa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커뮤니케이션패드가 임의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인터넷 냉장고용 커뮤니케이션패드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munication pad mounting structure for an internet refrigerator configured to prevent the communication pad from being detached arbitrarily.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냉장고의 저장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에 구비되고, 전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안착공간과; 상기 안착공간에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면 및 상면이 개구되는 장착공간이 형성되는 패드포켓과; 상기 장착공간에 착탈가능하게 안착되어 조작신호를 입력받고, 각종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커뮤니케이션패드; 그리고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가 상기 장착공간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패드포켓이 임의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록킹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door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space of the refrigerator, the seating space is formed so that the front opening; A pad pocket having an upper end rotatable up and down about a lower end of the seating space, and having a mounting space having a front surface and an upper surface opened therein; A communication pad detachably seated in the mounting space to receive an operation signal and display various information to the outside; And locking means for preventing the pad pocket from rotating arbitrarily while the communication pad is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냉장고의 홈바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홈바도어에 구비되고, 전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안착공간과; 상기 안착공간에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면 및 상면이 개구되는 장착공간이 형성되는 패드포켓과; 상기 장착공간에 착탈가능하게 안착되어 조작신호를 입력받고, 각종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커뮤니케이션패드; 그리고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가 상기 장착공간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패드포켓이 임의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록킹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seating space is provided in the home bar door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home bar of the refrigerator, the front space is formed to be opened; A pad pocket having an upper end rotatable up and down about a lower end of the seating space, and having a mounting space having a front surface and an upper surface opened therein; A communication pad detachably seated in the mounting space to receive an operation signal and display various information to the outside; And locking means for preventing the pad pocket from rotating arbitrarily while the communication pad is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패드포켓의 배면이 상기 도어 또는 홈바도어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잠금장치와, 상기 잠금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locking means includes a locking device for keeping the rear surface of the pad pocket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or the home bar door, and a switch for operating the locking devic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 냉장고용 커뮤니케이션패드 장착구조에 의하면, 홈바의 적용이 가능해지고,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의 착탈이 용이해지며, 임의로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가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pad mounting structure for the Internet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me bar can be applied, the communication pad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and the communication pad can be arbitrarily prevented from being removed.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 냉장고용 커뮤니케이션패드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를 구성하는 패드포켓이 도시되어 있다. 3 illustrates a preferred embodiment of a communication pad mounting structure for an Internet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llustrates a pad pocket constituting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 냉장고(이하 냉장고라 칭함)의 도어(51)에는 홈바(52)가 구비되고, 상기 홈바(52)를 개폐하기 위한 홈바도어(53)가 힌지(H)를 중심으로 그 상단이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홈바도어(53)에는 소정의 안착공간(54)이 구비된다. As shown therein, the door 51 of the Internet refrigerat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refrigerator) is provided with a home bar 52, and a home bar door 53 for opening and closing the home bar 52 is centered on the hinge H. The upper end is rotatably installed up and down. In addition, the home bar door 53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seating space 54.

상기 안착공간(54)은 상기 홈바도어(53)의 전면이 내부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좌우길이 및 상하높이에 비하여 전후폭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대략 육면체형상이 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공간(54)에는 패드포켓(55)이 설치된다.The seating space 54 is formed by recessing the front surface of the groove bar door 53 to have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in which the front and rear widths are relatively smaller than the left and right lengths and the vertical heights. In addition, a pad pocket 55 is installed in the seating space 54.

상기 패드포켓(55)은 상기 안착공간(54)에 대응하는 대략 상하높이 및 좌우폭에 비하여 전후길이가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패드포켓(55)은 그 양측면 하단과 상기 안착공간(54)의 양측면 하단이 힌지(h1)에 의하여 연결됨으로써, 그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The pad pocket 55 is formed in a hexahedral shape in which the front and rear lengths are relatively shorter than the upper and lower heights and the left and right widths corresponding to the seating spaces 54. And the pad pocket 55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both sides and the lower end of both sides of the seating space 54 by the hinge h1, the upper end is rotatably installed up and down about the lower end.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드포켓(55)의 내부에는 커뮤니케이션패드(57)의 장착을 위한 장착공간(56)이 형성된다. 상기 패드포켓(55)의 상면이 개방되어 상기 장착공간(56)에 장착되는 커뮤니케이션패드(57)가 삽입되는 삽입구(56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패드포켓(55)의 전면에는 전면개구부(56b)가 구비되어 상기 장착공간(56)에 장착된 커뮤니케이션패드(57)에 표시되는 각종 정보가 외부로 보일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4, the inside of the pad pocket 55, the mounting space 56 for mounting the communication pad 57 is formed. An upper surface of the pad pocket 55 is opened to form an insertion hole 56a into which the communication pad 57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56 is inserted. In addition, the front surface of the pad pocket 55 is provided with a front opening 56b so that various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communication pad 57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56 can be seen from the outside.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57)로는 인터넷 및 냉장고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고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동시에 입력받은 조작신호에 따라서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터치스크린과 제어부가 구비되는 테블릿컴퓨터가 사용된다.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57)는 상기 삽입구(56a)를 통하여 슬라이딩방식으로 상기 장착공간(56)에 장착됨으로써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As the communication pad 57, a tablet computer having a touch screen and a controller which displays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Internet and the refrigerator to the outside and receives an operation signal and controls it according to the received operation signal is used. do. The communication pad 57 is detachably installed by being mounted to the mounting space 56 in a sliding manner through the insertion hole 56a.

상기 안착공간(54)의 상방에 해당하는 상기 홈바도어(53)의 내부에는 하우징(61)이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61)의 내부에는 소정의 설치공간(62)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61)에 대응하는 상기 홈바도어(53)를 관통하도록 스위치(63)가 구비된다. The housing 61 is installed inside the groove bar door 53 corresponding to the seating space 54. A predetermined installation space 62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61, and a switch 63 is provided to penetrate the home bar door 53 corresponding to the housing 61.

상기 스위치(63)의 일단부는 상기 홈바도어(53)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타단부는 상기 설치공간(62)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스위치(63)는 전후방으로 직선운동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설치공간(62)에 위치되는 상기 스위치(63)의 일단에는 후방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안내면(63a)이 구비된다.One end of the switch 63 protrudes forwar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groove bar door 53,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positioned inside the installation space 62. The switch 63 is installed to linearly move forward and backward, and one end of the switch 63 positioned in the installation space 62 is provided with a guide surface 63a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rear.

한편 상기 설치공간(62)의 내부에는 잠금레버(65)가 구비된다. 상기 잠금레버(65)는 상기 스위치(63)의 직선운동에 의하여 상하로 직선운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잠금레버(65)의 일측에는 상기 스위치(63)의 안내면(63a)에 대응하도록 전방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안내면(65a)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잠금레버(65)는 상기 스위치(63)의 안내면(63a)과 상기 잠금레버(65)의 안내면(65a)은 서로 밀착되도록 설치된다.Meanwhile, the lock lever 65 is provided inside the installation space 62. The locking lever 65 is installed to be able to linearly move up and down by the linear movement of the switch 63. One side of the locking lever 65 is provided with a guide surface (65a)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toward the front to correspond to the guide surface (63a) of the switch (63). The lock lever 65 is installed such that the guide surface 63a of the switch 63 and the guide surface 65a of the lock lever 65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잠금레버(65)의 하단에는 잠금바(66)가 구비된다. 상기 잠금바(66)는, 상기 잠금레버(65)의 상하운동에 따라서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안착공간(54)의 천장을 관통하여 안착공간(54)의 내부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거나 상기 설치공간(62)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잠금바(66)의 위치는, 상기 패드포켓(55)이 상기 안착공간(54)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공간(56)의 개방된 상면을 통하여 그 배면이 상기 패드포켓(55)의 후면 상단에 밀착되도록 결정된다. A lock bar 66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lock lever 65. The locking bar 66 is moved upward and downward in accordance with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locking lever 65, penetrates through the ceiling of the seating space 54 or protrudes into the seating space 54 by a predetermined length. It is located in the installation space 62. The position of the locking bar 66 is that the pad pocket 55 is seated in the seating space 54, the rear surface of the pad pocket 55 through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space 56. It is determin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top of the rear.

상기 잠금바(66)는 상기 안착공간(54)의 내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안착공간(54)에 안착되는 상기 패드포켓(55)에 의하여 밀리면서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패드포켓(55)에 의하여 용이하게 밀리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잠금바(66)에는 경사면(66a)이 구비된다. 상기 경사면(66a)은 상기 잠금바(66)의 전면 하단부가 곡선으로 처리됨으로써 형성된다.The lock bar 66 is moved upward while being pushed by the pad pocket 55 seated in the seating space 54 in a state protruding into the seating space 54. As such, the lock bar 66 is provided with an inclined surface 66a to be easily pushed by the pad pocket 55. The inclined surface 66a is formed by treating the lower end of the front surface of the lock bar 66 in a curved manner.

그리고 상기 잠금레버(65)의 상방에 해당하는 상기 설치공간(62)에는 코일스프링(67)이 구비된다. 상기 코일스프링(67)은 상기 잠금레버(65)에 하방으로의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그 상단부가 상기 하우징(61)의 천장에 밀착되고, 그 하단부가 상기 잠금레버(65)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상하로 길게 설치된다.In addition, a coil spring 67 is provided in the installation space 62 corresponding to the upper side of the lock lever 65. The coil spring 67 is for imparting an elastic force downward to the locking lever 65, the upper end of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eiling of the housing 61, and the lower end of the coil spring 67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lever 65. It is installed long up and down to be in close contact.

이와 같은 잠금장치는,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은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어떠한 관용적인 기술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상기 안착공간(54)의 후면 일측과 이에 대응하는 상기 패드포켓(55)의 배면 일측에 래치슬롯과 상기 래치슬롯에 삽입되는 래치후크가 각각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Such a locking device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but may be configured by any conventional technique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a latch slot and a latch hook inserted into the latch slot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rear surface of the seating space 54 and one side of the rear surface of the pad pocket 55 corresponding thereto.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 냉장고용 커뮤니케이션패드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장착과정을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mounting process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mmunication pad mounting structure for an Internet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3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A to 5C.

먼저 커뮤니케이션패드(57)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51)의 일측에 구비된 스위치(63)를 도면상 우측으로 누른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63)가 냉장고의 후방으로 이동하면, 잠금레버(65)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First, in order to mount the communication pad 57, as shown in FIG. 5A, the switch 63 provided at one side of the door 51 is pressed to the right in the drawing. When the switch 63 moves to the rear of the refrigerator, the lock lever 65 moves upward.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스위치(63)의 안내면(63a)과 상기 잠금레버(65)의 안내면(65a)이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63)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잠금레버(65)의 안내면(65a)은 상기 스위치(63)의 안내면(63a)을 따라서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잠금레버(65)의 이동에 의하여 장착공간(56)의 내부에 위치하는 잠금바(66)는 상방으로 이동하여 하우징(61)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잠금레버(65)는 코일스프링(67)에 의하여 하방으로의 탄성력을 부여받게 된다.In more detail, in the state where the guide surface 63a of the switch 63 and the guide surface 65a of the lock lever 65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lock lever 65 is moved by the movement of the switch 63. The guide surface 65a of) moves upward along the guide surface 63a of the switch 63. As the lock lever 65 moves, the lock bar 66 positioned inside the mounting space 56 moves upward to be positioned inside the housing 61, and the lock lever 65 is coiled. The elastic force downward is applied by the spring 67.

이와 같은 상태에서, 홈바도어(53)의 안착공간(54)에 안착된 상태인 패드포켓(55)을 힌지(h1)를 중심으로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그리고 커뮤니케이션패드(57)를 상기 패드포켓(55)의 장착공간(56)에 슬라이딩방식으로 장착시킨다. 한편 상기 잠금레버(65)가 상기 코일스프링(67)의 탄성력에 의하여 하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잠금바(66)는 상기 장착공간(56)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In this state, the pad pocket 55 seated in the seating space 54 of the home bar door 53 is rotated counterclockwise on the drawing about the hinge h1.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pad 57 is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56 of the pad pocket 55 in a sliding manner. On the other hand, the locking lever 65 is moved downwar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il spring 67, the locking bar 66 is located in the mounting space 56.

다음으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드포켓(55)을 힌지(h1)를 중심으로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서 상기 안착공간(54)에 안착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패드포켓(55)이 회동하면, 상기 잠금바(66)는 상기 패드포켓(55)의 배면 상단에 의하여 상방으로 밀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잠금레버(65)도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코일스프링(67)에 의하여 하방으로의 탄성력을 받게 된다. Next, as shown in FIG. 5B, the pad pocket 55 is rotated in a clockwise direction about the hinge h1 to be seated in the seating space 54.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ad pocket 55 rotates, the locking bar 66 is pushed upward by the upper end of the rear surface of the pad pocket 55. Therefore, the locking lever 65 is also moved upward to receive an elastic force downward by the coil spring (67).

그리고 상기 패드포켓(55)이 계속 회동하여 상기 안착공간(54)에 안착되면, 상기 잠금바(66)는 상기 패드포켓(55)의 장착공간(56)을 통하여 패드포켓(55)의 후면 상단에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패드포켓(55)이 상기 안착공간(54)에 안착된 상태로 고정됨으로써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임의로 회동하는 것이 방지된다.In addition, when the pad pocket 55 is continuously rotated and seated in the seating space 54, the lock bar 66 is rear upper end of the pad pocket 55 through the mounting space 56 of the pad pocket 55. Close to Therefore, the pad pocket 55 is fixed in a seated state in the seating space 54, thereby preventing rotation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홈바도어(53)를 힌지(H)를 중심으로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홈바(52)가 개방되어 상기 홈바(52) 내부에 저장된 음료병 등을 외부로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57)는 상기 패드포켓(55)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안착공간(54)에 고정되므로, 그 자중이나 상기 홈바도어(53) 회동시의 관성에 의하여 외부로 탈거되지 않게 된다. 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5C, when the home bar door 53 is rotated counterclockwise in the drawing about the hinge H, the home bar 52 is opened to store the inside of the home bar 52. Drink bottles and the like can be withdrawn to the outside. At this time, since the communication pad 57 is fixed to the seating space 54 in a state of being seated on the pad pocket 55, the communication pad 57 is not detached to the outside due to its own weight or inertia during the rotation of the home bar door 53. .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 냉장고용 커뮤니케이션패드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Meanwhile, FIG. 6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communication pad for an internet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는 홈바도어가 구비되지 않는 냉장고에 적용되는 것으로, 커뮤니케이션패드(77)가 안착되는 안착공간(74)이 냉장고 도어(71)의 전면 일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공간(7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패드포켓(75) 및 상기 패드포켓(75)을 상기 안착공간(72)에 고정하기 위한 록킹수단 등의 구성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6 is applied to a refrigerator without a home bar door, and a seating space 74 in which the communication pad 77 is mounted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refrigerator door 71.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pad pocket 75 and the locking means for fixing the pad pocket 75 to the seating space 72 rotatably installed in the seating space 72 and the embodiment shown in FIG. The same can be said.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의하면, 냉장고 도어 또는 홈바도어에 커뮤니케이션패드가 장착되는 패드포켓을 회동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seen that the basic technical idea is to install the pad pocket in which the communication pad is mounted on the refrigerator door or the home bar door.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Within the scope of the basic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many modifications ar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appended claims. will be.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 냉장고용 커뮤니케이션패드 장착구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pad mounting structure for the Internet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are expected.

먼저 커뮤니케이션패드가 홈바도어에 설치되므로, 인터넷 냉장고에 홈바를 적용할 수 있게 된다.First, the communication pad is installed in the home bar door, so that the home bar can be applied to the internet refrigerator.

그리고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가 패드포켓에 안착된 상태에서 소정의 각도로 회동하여 상기 홈바도어에 안착되므로,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의 착탈이 용이해진다.In addition, since the communication pad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a state where the communication pad is seated on the pad pocket, the communication pad is seated on the home bar door.

또한 상기 패드포켓이 잠금장치에 의하여 상기 홈바에 고정되므로, 상기 패드포켓이 임의로 회동하는 것이 방지되어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가 외부로 탈거되지 않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pad pocket is fixed to the home bar by a locking device, the pad pocket is prevented from rotating arbitrarily so that the communication pad is not detached to the outsid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인터넷 냉장고의 외관을 보인 정면도.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conventional Internet refrigerator.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커뮤니케이션패드 장착구조를 보인 측단면도.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mmunication pad moun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커뮤니케이션패드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측단면도.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mmunication pad moun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를 구성하는 패드포켓의 개략사시도.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pad pocket constituting the embodiment shown in FIG.

도 5a 내지 도 5c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를 구성하는 커뮤니케이션패드의 장착과정을 보인 작업상태도.Figures 5a to 5c is a working state showing the mounting process of the communication pad constituting the embodiment shown in FIG.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인터넷 냉장고용 커뮤니케이션패드 장착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단면도.Figure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communication pad mounting structure for an Internet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drawing

51: 도어 52: 홈바51: door 52: home bar

53: 홈바도어 54: 안착공간53: home bar door 54: seating space

55: 패드포켓 56: 장착공간55: pad pocket 56: mounting space

56a: 삽입구 56b: 전면개구부56a: insertion hole 56b: front opening

57: 커뮤니케이션패드 61: 하우징 57: communication pad 61: housing

62: 설치공간 63: 스위치62: installation space 63: switch

63a: 안내면 65: 잠금레버63a: guide surface 65: lock lever

65a: 안내면 66: 잠금바65a: guide surface 66: locking bar

66a: 경사면 67: 코일스프링66a: slope 67: coil spring

h1,H: 힌지h1, H: hinge

Claims (3)

냉장고의 저장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에 구비되고, 전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안착공간과; A seating space provided in a door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a storage space of the refrigerator, the seating space having a front surface opened; 상기 안착공간에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면 및 상면이 개구되는 장착공간이 형성되는 패드포켓과; A pad pocket having an upper end rotatable up and down about a lower end of the seating space, and having a mounting space having a front surface and an upper surface opened therein; 상기 장착공간에 착탈가능하게 안착되어 조작신호를 입력받고, 각종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커뮤니케이션패드; 그리고 A communication pad detachably seated in the mounting space to receive an operation signal and display various information to the outside; And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가 상기 장착공간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패드포켓이 임의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록킹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인터넷 냉장고용 커뮤니케이션패드 장착구조.And a locking means for preventing the pad pocket from rotating arbitrarily while the communication pad is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냉장고의 홈바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홈바도어에 구비되고, 전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안착공간과; A seating space provided in a home bar door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home bar of the refrigerator, the seating space having a front surface opened; 상기 안착공간에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면 및 상면이 개구되는 장착공간이 형성되는 패드포켓과; A pad pocket having an upper end rotatable up and down about a lower end of the seating space, and having a mounting space having a front surface and an upper surface opened therein; 상기 장착공간에 착탈가능하게 안착되어 조작신호를 입력받고, 각종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커뮤니케이션패드; 그리고 A communication pad detachably seated in the mounting space to receive an operation signal and display various information to the outside; And 상기 커뮤니케이션패드가 상기 장착공간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패드포켓이 임의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록킹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인터넷 냉장고용 커뮤니케이션패드 장착구조.And a locking means for preventing the pad pocket from rotating arbitrarily while the communication pad is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록킹수단은, The locking means, 상기 패드포켓의 배면이 상기 도어 또는 홈바도어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잠금장치와, A locking device for keeping the back of the pad pocket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of the door or the home bar door; 상기 잠금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냉장고용 커뮤니케이션패드 장착구조. Communication pad mounting structure for an Internet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witch for operating the locking device.
KR1020030090406A 2003-12-11 2003-12-11 Communication pad mounting structure for internet refrigerator KR1006579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0406A KR100657926B1 (en) 2003-12-11 2003-12-11 Communication pad mounting structure for internet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0406A KR100657926B1 (en) 2003-12-11 2003-12-11 Communication pad mounting structure for internet refrig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8151A true KR20050058151A (en) 2005-06-16
KR100657926B1 KR100657926B1 (en) 2006-12-15

Family

ID=37251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0406A KR100657926B1 (en) 2003-12-11 2003-12-11 Communication pad mounting structure for internet refrig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792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67404B2 (en) 2004-12-24 2011-06-28 Lg Electronics Inc. Display unit installing structure for refrigerator
KR101212098B1 (en) * 2005-08-29 2012-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14941A1 (en) 2017-08-25 2019-02-28 Dometic Sweden Ab Recreational vehicle, cooling device,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cooling device
WO2019082168A1 (en) 2017-10-27 2019-05-02 Dometic Sweden Ab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roviding communications between climate control devices in a recreational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0059A (en) * 2003-03-10 2004-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Locking structure for a display of a refrigera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67404B2 (en) 2004-12-24 2011-06-28 Lg Electronics Inc. Display unit installing structure for refrigerator
KR101212098B1 (en) * 2005-08-29 2012-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7926B1 (en) 2006-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790567B (en) Refrigerator with a door
KR100722838B1 (en) Communication pad mounting structure of refrigerator
JP2005521853A (en) Drawer-type refrigerator drawer door device
US6719383B2 (en) Retractable appliance control
KR100593364B1 (en) Communication Pad mounting structure for internet refrigerator
KR100657926B1 (en) Communication pad mounting structure for internet refrigerator
KR100745804B1 (en) Communication pad mounting structure for internet refrigerator
KR100656394B1 (en) Communication pad mounting structure for internet refrigerator
KR100593641B1 (en) Communication pad mounting structure for internet refrigerator
KR100657927B1 (en) Communication-pad mounting structure for internet refrigerator
KR100593365B1 (en) Communication pad mounting structure for internet refrigerator
KR100982260B1 (en) Internet refrigerator
KR100593639B1 (en) Communication pad mounting structure for internet refrigerator
KR100593642B1 (en) Communication pad mounting structure for refrigerator
KR20050054726A (en) Internet refrigerator
KR100593386B1 (en) Communication pad mounting structure for internet refrigerator
KR100593640B1 (en) Communication pad mounting structure for internet refrigerator
KR100593387B1 (en) Communication pad mounting structure for internet refrigerator
KR100593622B1 (en) Connector protection device of communication pad for internet refrigerator
KR100934001B1 (en) Connector protection device of communication pad for internet refrigerator
CN217925422U (en) Lower positioner and linkage door
KR100593363B1 (en) Communication pad mounting structure for internet refrigerator
KR0136408B1 (en) Door pocket of a refrigerator
KR100593385B1 (en) Communication pad mounting structure for internet refrigerator
KR100728384B1 (en) Tilting Structure For Refrigerator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