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6130A -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팩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팩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6130A
KR20050066130A KR1020030097364A KR20030097364A KR20050066130A KR 20050066130 A KR20050066130 A KR 20050066130A KR 1020030097364 A KR1020030097364 A KR 1020030097364A KR 20030097364 A KR20030097364 A KR 20030097364A KR 20050066130 A KR20050066130 A KR 20050066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ack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7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남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30097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66130A/ko
Publication of KR20050066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613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팩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배터리 팩의 배터리 셀과 각각 연결되는 충전단자 및 전원공급단자의 사이에 스위치를 각각 설치하여,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를 휴대하거나 또는 배터리 팩만을 휴대시에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금속체의 액세서리와 단자간에 접촉되거나 또는 단자간에 연결되더라도 방전과 충전기능의 저하를 방지하고, 아울러 단자간에 통전으로 인한 화재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충전단자와 과전류보호부재 사이에는 충전기의 결합에 따라 연결 또는 단락되도록 제 1누름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전원공급단자와 배터리 셀 사이에는 백 케이스와의 결합에 따라 연결 또는 단락되도록 제 2누름스위치가 구비되어져서, 상기 제 1,2누름스위치에 의하여 방전과 통전이 방지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팩 보호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팩 보호장치{Battery Pack Protective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팩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 셀과 각각 연결되는 충전단자와 전원공급단자 사이에 스위치를 각각 설치하고, 충전기 또는 이동통신단말기와 결합시에만 전기적인 통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를 휴대하거나 또는 배터리 팩만을 휴대시에 금속체와의 접촉에 의한 방전과 통전으로 인한 화재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첨부된 예시도면 도 1 및 도 2(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10)의 백 케이스(11)에는 전원을 공급하고자 충전 배터리 팩(12)이 착탈 가능한 상태로 구비되는 바, 이러한 배터리 팩(12)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충전시키기 위한 배터리 셀(14)이 구비되어 있고, 이 배터리 셀(14)의 일 옆에는 과전류보호회로부재(16)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 팩(12)의 소정위치에는 충전단자(+,-)(18)가 각각 노출되는 상태로 설치되는데, 이 충전단자(18)는 상기 과전류보호회로부재(16)와 각각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충전단자(18)와 대응하는 배터리 팩(12)의 배면에는 백 케이스(11)에 구비된 연결단자(20)와 접촉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공급단자(22)가 노출되는 상태로 구비되어 있고, 이 전원공급단자(22)는 배터리 셀(14)과 직접 연결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배터리 팩(12)의 충전단자(18)와 전원공급단자(22)는 배터리 셀(14)과 항상 연결되는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서, 배터리 팩(12)이 결합된 이동통신단말기(10)를 휴대시, 사용자의 주머니 혹은 가방에 있는 소지품 중 금속체의 액세서리가 충전단자(18)에 접촉되어져, 충전된 배터리 셀(14)로부터 방전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10)의 사용시간이 줄어들게 되는 문젬이 있었다.
또한, 상기 금속체의 액세서리로 인하여 상기 충전단자(+,-)(18)간에 연결이 되는 경우에는 서로 통전이 발생하게 되면서 고열이 발생하게 되고, 그에 따라 과전류보호회로부재(16)의 기능 손상과, 더 나아가 화재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배터리 팩(12)만을 휴대하게 되는 경우, 앞서기술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면서, 전원공급단자(22)에 금속체의 액세서리가 접촉되거나 전원공급단자(22)간에 연결되는 경우, 배터리 셀(14)의 충전기능에 대한 성능 저하는 물론, 통전으로 인하여 화재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어린이 및 유아가 상기 배터리 팩(12)을 입으로 접촉시에는 자칫 단자 간에 전기적 통전이 이루어져 화상을 입게 되고, 아울러 순간적인 감전에 의해 놀라게 되어 쇼크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배터리팩의 충전이나 또는 백 케이스에 결합된 상태에서만 전원의 충전과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를 휴대하거나 또는 배터리 팩만을 휴대시에 금속체와의 접촉에 의한 방전과 단자간의 연결에 따른 통전을 방지하는 점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충전단자와 과전류보호부재 사이에는 충전기의 결합에 따라 연결 또는 단락되도록 제 1누름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전원공급단자와 배터리 셀 사이에는 백 케이스와의 결합에 따라 연결 또는 단락되도록 제 2누름스위치가 구비되어져서, 상기 제 1,2누름스위치에 의하여 방전과 통전이 방지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팩 보호장치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예시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배터리 팩의 충전단자가 배터리 셀과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배치도이며, (b)는 전원공급단자가 배터리 셀과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배치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와 충전기의 결합 상태를 분리한 사시도이다.
첨부된 예시도면 도 3 및 도 4(a,b)를 참조하면, 이동통신단말기(10)의 배터리 팩(12)의 내부에는 배터리 셀(14)이 과전류보호회로부재(16)와 연결되고, 이 과전류보호회로부재(16)는 상기 배터리 팩(12)에 노출된 충전단자(+,-)(18)와 각각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셀(14)과 직접 연결되는 전원공급단자(22)는 노출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과전류보호회로(16)와 충전단자(18)의 사이에 제 1누름스위치(30)가 연결되어 있는데, 이 제 1누름스위치(30)는 배터리 팩(12)의 소정위치에 형성된 제 1통공(32)에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공급단자(22)와 배터리 셀(14) 사이에는 제 2누름스위치(34)가 연결되어 있는데, 이 제 2누름스위치(34)는 배터리 팩(12)의 소정위치에 형성된 제 2통공(36)에 수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 팩(12)을 백 케이스(11)에 밀착하여 결합시키게 되면, 배터리 팩(12)의 전원공급단자(22)가 연결단자(20)에 접촉되고, 그 순간 백 케이스(11)에 돌출된 고정돌기(44)는 배터리 팩(12)의 제 2통공(36)을 통하여 삽입되어져 제 2누름스위치(34)를 눌러 작동시킨다.
상기 제 2누름스위치(34)가 작동되면, 배터리 셀(14)과 전원공급단자(22)간에 연결되어 배터리 셀(14)에 충전된 전원이 제 2누름스위치(34)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10)에 공급된다.
한편, 상기 배터리 팩(12)을 충전시키고자 할 경우, 첨부된 예시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전원이 공급된 충전기(38)의 단자(40)에 배터리 팩(12)의 충전단자(18)가 접촉되도록 결합시킨다.
그 순간 상기 충전기(38)에 구비된 고정돌기(42)가 배터리 팩(12)의 제 1통공(32)으로 삽입되면서, 제 1누름스위치(30)를 누르게 되고, 상기 제 1누름스위치(30)의 연결에 의하여 충전단자(18)와 과전류보호회로(16)가 연결되면서 충전기(38)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배터리 셀(14)에 인가된다.
그리고 상기 충전기(38)로부터 배터리 팩(12)을 분리시키게 되면, 배터리 팩(12)의 제 1통공(32)으로부터 고정돌기(42)가 빠져나오면서 충전단자(18)와 과전류보호회로부재(16)간에 단락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소지품 중 금속체로 이루어진 액세서리가 충전단자(18)에 접촉되더라도 배터리 셀(14)로부터 방전이 이루어지지 않고, 아울러 상기 충전단자(18)간에 연결되더라도 통전이 이루어지지 않아 과전류회로부재(16)의 손상 및 충전기능의 저하를 방지하면서 화재의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배터리 팩(12)은 충전기(38) 또는 백 케이스(11)와 정확히 결합되어야만 충전단자(18) 및 전원공급단자(22)가 배터리 셀(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배터리 팩(12)만을 휴대시에는 제 1,2누름스위치(30,34)가 모두 단락 상태를 이루어 있어 금속체로 이루어진 사용자의 소지품이 접촉 또는 연결되더라도 방전과 통전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배터리 팩의 배터리 셀과 각각 연결되는 충전단자 및 전원공급단자의 사이에 스위치를 각각 설치하여,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를 휴대하거나 또는 배터리 팩만을 휴대시에 금속체의 액세서리와 단자간에 접촉되거나 또는 단자간에 통전으로 인하여 방전과 충전기능의 저하를 방지하고, 아울러 단자간의 통전에 따른 화재의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어린이 및 유아가 상기 배터리 팩을 입으로 접촉시에 자칫 단자 간에 전기적 통전으로 인한 화상을 방지하고, 나아가 순간적인 감전에 의해 쇼크의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2(a)는 일반적인 배터리 팩의 충전단자가 배터리 배터리 셀과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배치도, (b)는 전원공급단자가 배터리 셀과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배치도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에 대한 배터리 팩의 충전단자가 배터리 셀과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배치도, (b)는 전원공급단자가 배터리 셀과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배치도
도 5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와 충전기의 결합 상태를 분리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이동통신단말기 12 : 배터리 팩
14 : 배터리 셀 16 : 과전류보호회로
18 : 충전단자 20 : 연결단자
22 : 전원공급단자 30 : 제 1누름스위치
32 : 통공 34 : 제 2누름스위치
36 : 통공 38 : 충전기
40 : 단자 42,44 : 고정돌기

Claims (4)

  1. 배터리 팩의 일면에는 충전기로부터 전원을 공급시키기 위한 충전단자가 노출되어 있고, 상기 충전단자와 대응하는 면에는 백 케이스에 충전된 전원을 공급시키기 위한 전원공급단자가 노출되는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충전단자는 과전류보호부재를 통하여 배터리 셀과 연결되고, 상기 전원공급단자는 배터리 셀과 직접 연결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팩 보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전단자와 과전류보호부재 사이에는 충전기의 결합에 따라 연결 또는 단락되도록 제 1누름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전원공급단자와 배터리 셀 사이에는 백 케이스와의 결합에 따라 연결 또는 단락되도록 제 2누름스위치가 구비되어져서, 상기 제 1,2누름스위치에 의하여 방전과 통전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팩 보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팩의 양면에는 제 1,2 누름스위치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제 1,2통공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팩 보호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의 소정위치에는 배터리 팩의 결합시에 제 1통공을 통하여 제 1누름스위치를 누르도록 고정돌기가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팩 보호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백 케이스에는 배터리 팩의 결합시에 제 2통공을 통하여 제 2누름스위치를 누르도록 고정돌기가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팩 보호장치.
KR1020030097364A 2003-12-26 2003-12-26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팩 보호장치 KR200500661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7364A KR20050066130A (ko) 2003-12-26 2003-12-26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팩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7364A KR20050066130A (ko) 2003-12-26 2003-12-26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팩 보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6130A true KR20050066130A (ko) 2005-06-30

Family

ID=37257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7364A KR20050066130A (ko) 2003-12-26 2003-12-26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팩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6613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6680A1 (ko) * 2020-06-18 2021-12-23 굿바이카 주식회사 원터치 결합이 가능한 인버터-파워뱅크 세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6680A1 (ko) * 2020-06-18 2021-12-23 굿바이카 주식회사 원터치 결합이 가능한 인버터-파워뱅크 세트
KR20210156577A (ko) * 2020-06-18 2021-12-27 굿바이카 주식회사 원터치 결합이 가능한 인버터-파워뱅크 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53826B1 (en) Battery pack having a disconnect switch circuit
JPH0636757A (ja) バッテリパック装置
US5834919A (en) Structure of cellular telephone battery charger
KR100334055B1 (ko) 셀룰러 전화기용 모듈러 스택커블 배터리
EP1949487A2 (en) A battery charger for charging different types of battery pack
KR20050066130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팩 보호장치
KR100559705B1 (ko) 배터리 셀 보호기능을 구비한 배터리 팩
KR10100342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용 충전기
CS262656B2 (en) Battery charger for regenerative battery charging,particularly of dry batteries
JP3790987B2 (ja) 無線電話機用充電装置
KR20040052845A (ko) 배터리 충전형 단말기의 외부 충전단자 단락시 보호장치
KR100646755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팩 보호장치
KR0134502Y1 (ko) 핸드폰용 충전밧데리 구조
JPH0696758A (ja) スイッチ付バッテリパック
US20050156561A1 (en) Mechanically isolated battery charging apparatus
KR200446164Y1 (ko) 휴대용 보조배터리
KR10058576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구조
JPH09199183A (ja) 二次電池パックの安全回路
KR200165537Y1 (ko) 일반전지와 충전용 밧데리 겸용 전원회로
JP3829307B2 (ja) 制御端子付き電池パック
KR200271158Y1 (ko) 랜턴용 전원장치
KR200217333Y1 (ko) 이중탑재 방식의 슬롯을 이용한 충전기
KR20060071002A (ko) 복수개의 배터리를 포함하는 개인휴대단말기 및개인휴대단말기의 배터리 관리방법
KR910006687Y1 (ko) 건전지 보호회로
KR100664126B1 (ko) 루프제거기능을 가지는 배터리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