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9705B1 - 배터리 셀 보호기능을 구비한 배터리 팩 - Google Patents

배터리 셀 보호기능을 구비한 배터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9705B1
KR100559705B1 KR1020040059256A KR20040059256A KR100559705B1 KR 100559705 B1 KR100559705 B1 KR 100559705B1 KR 1020040059256 A KR1020040059256 A KR 1020040059256A KR 20040059256 A KR20040059256 A KR 20040059256A KR 100559705 B1 KR100559705 B1 KR 100559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ack
terminal
protection circuit
circuit member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9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0526A (ko
Inventor
유중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40059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9705B1/ko
Publication of KR20060010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0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9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9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01R31/384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combining voltage and current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6Acquisition or processing of data for testing or for monitoring individual cells or groups of cells within a batt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7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s, computers, hand tools or pacemak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8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current, e.g. fu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4Overcurrent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셀 보호기능을 구비한 배터리 팩에 관한 것으로, 배터리 셀과 통전되도록 연결된 과전류보호회로부재와 플러스 및 마이너스 단자접촉부의 사이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구비되어져, 배터리 팩과 충전기의 결합 여부에 따라 통전연결 또는 단락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를 휴대하거나 또는 배터리 팩만을 휴대시에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금속체의 액세서리에 의하여 충전단자간에 서로 연결되더라도 방전과 충전기능의 저하를 막고, 특히 충전단자간에 통전으로 인한 폭발과 화재발생을 사전에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배터리 팩의 과전류보호회로부재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차단수단이 구비되고, 이 차단수단의 양측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탄지되는 절연체가 충전단자의 단자접촉부와 과전류보호회로부재 사이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어, 상기 배터리 팩이 충전기에 충전결합시에만 단자접촉부와 과전류보호회로부재가 통전하도록 이루어진 배터리 셀 보호기능을 구비한 배터리 팩이 제공된다.
단말기, 단자, 통전, 배터리, 충전기, 보호

Description

배터리 셀 보호기능을 구비한 배터리 팩{Battery Pack Protective Device with Battery Pack}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배면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배터리 팩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대한 배터리 팩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단면도
도 4는 도 3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배터리 팩이 충전기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이동통신단말기 12 : 백케이스
14 : 배터리 팩 16 : 배터리 셀
18 : 과전류보호회로부재 20 : 충전단자
22,44 : 단자 접촉부 30 : 차단수단
32 : 가이드부재 34 : 가이드홈
36 : 절연체 38 : 탄성수단
40 : 연결공 42 : 통공
46 : 충전기 48 : 충전공급단자
50 : 돌기부 52 : 탄성스프링
본 발명은 배터리 셀 보호기능을 구비한 배터리 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 셀과 통전되는 과전류보호회로부재와 플러스 및 마이너스단자 접촉부 사이로 충전 여부에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통전연결 또는 단락되도록 하기 위한 차단수단을 구비시켜,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를 휴대하거나 또는 배터리 팩만을 휴대시에 금속체와의 접촉에 의한 방전과 통전에 따른 화재발생 및 폭발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첨부된 예시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단말기(10)의 백 케이스(12)에는 전원을 공급하고자 배터리 팩(14)이 착탈 가능한 상태로 구비된다. 이러한 배터리 팩(14)은 첨부된 예시도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보다 구체적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배터리 팩(14)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충전시키고자 배터리 셀(16)이 내장되어 있고, 이 배터리 셀(16)과 이격된 일 옆에는 과전류보호회로부재(18)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 팩(14)의 소정위치에는 각각의 충전단자(+,-)(2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데, 이 충전단자(20)는 각각의 끝단에 구비되는 단자 접촉부(22)가 상기 과전류보호회로부재(18)의 상면에 접촉되어 최종 통전연결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배터리 팩(14)에 구비되는 충전단자(20)는 배터리 셀(16)과 항상 연결되는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서, 배터리 팩(14)이 결합된 이동통신단말기(10)를 휴대시, 사용자의 주머니 혹은 가방에 있는 소지품 중 금속체의 액세서리가 충전단자(20)에 접촉되어져, 충전된 배터리 셀(16)로부터 방전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10)의 사용시간이 줄어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금속체의 액세서리로 인하여 상기 충전단자(+,-)(20)간에 서로 연결이 되는 경우에는 서로 통전이 이루어지면서 고열이 발생하게 되고, 그에 따라 과전류보호회로부재(18)의 기능 손상과, 더 나아가 폭발사고 및 화재발생을 야기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어린이 및 유아가 상기 배터리 팩(14)을 입으로 접촉시에 자칫 충전단자(20)간에 서로 전기적 통전이 이루어지게 되면, 화상을 입게 되고, 아울러 순간적인 감전에 의해 놀라게 되어 쇼크가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배터리 팩의 충전 상태에서만 배터리 셀과 전기적으로 통전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를 휴대하거나 또는 배터리 팩만을 휴대시에 금속체와의 접촉에 의한 방전과 단자간의 통전에 따른 사고를 방지하는 점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배터리 팩의 과전류보호회로부재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차단수단이 구비되고, 이 차단수단의 양측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탄지되는 절연체가 충전단자의 단자접촉부와 과전류보호회로부재 사이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어, 상기 배터리 팩이 충전기에 충전결합시에만 단자접촉부와 과전류보호회로부재가 통전하도록 이루어진 배터리 셀 보호기능을 구비한 배터리 팩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대한 배터리 팩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배터리 팩이 충전기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첨부된 예시도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배터리 팩(14)의 배터리 셀(16)은 과전류보호회로부재(18)와 통전연결되고, 이 과전류보호회로부재(18)의 상면에는 차단수단(30)이 놓여져 고정된다.
상기 차단수단(30)은, 우선 과전류보호회로부재(18)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길이를 가지는 가이드부재(32)와, 이 가이드부재(32)의 양측에 소정깊이를 형성하는 각각의 가이드홈(34)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34)에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절연체(36)가 가이드홈(34)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일부 인출된 상태로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절연체(36)와 절연체(36)의 사이에는 서로 대향되는 면에 탄성수단(38)이 탄지고정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32)의 내부에는 탄성수단(38)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공(40)이 개별적으로 형성되어 양측 가이드홈(34)간에 연통하도록 뚫려 있다.여기서 상기 탄성수단(38)은 스프링이 사용되며, 상기 절연체(36)와 수평으로 대향되는 배터리 팩(14)의 양측면에는 통공(42)이 형성되는 구조로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재(32)로부터 인출되는 각 절연체(36)의 상면에는 배터리 팩(14)의 충전단자(20)와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플러스 및 마이너스 단자 접촉부(44)가 각 놓여져 있다. 이 단자 접촉부(44)는 그 하부방향으로 탄지될 수 있도록 유적선 그리며 형성되는 구조로 도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배터리 팩(14)과 결합되어지게 되는 충전기(46)는, 첨부된 예시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분에 배터리 팩(14)의 충전단자(20)가 접촉되어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충전공급단자(48)가 돌출되어 있는데, 이러한 충전기(46)의 구조는 통상 사용되는 충전기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충전기(46)의 양내측 하단부분에는 배터리 팩(14)의 충전단자(20)가 충전공급단자(48)에 접촉이 이루어지는 순간 절연체(36)를 가이드홈(34)방향으로 밀 수 있도록 하는 돌기부(50)가 내측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돌기부(50)는 충전기(46) 내부에 구비되는 탄성스프링(52)에 의해 항상 탄발되도록 탄지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의 배터리 팩(14))을 충전시키기 위해 충전기(46)에 결합시키게 되면, 첨부된 예시도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배터리 팩(14)의 양측 선단면에 의하여 충전기(46)의 돌기부(50)가 후진하면서 탄성스프링(52)을 압축시키게 된다.
그리고, 배터리 팩(14)의 충전단자(20)가 충전기(46)의 충전공급단자(48)에 접촉되는 순간, 배터리 팩(14)의 양측에 형성되는 통공(42)이 해당 돌기부(50)와 일치하게 되어 통공(42)으로 삽입된다.
상기 돌기부(50)가 삽입되면, 절연체(36)를 가이드홈(34)으로 더 밀어 넣게 되어, 최초 플러스 및 마이너스 단자 접촉부(44)와 과전류보호회로부재(18)사이를 가로 막고 있던 절연체(36)가 슬라이드 이동되어져 단자 접촉부(44)를 벗어나게 되고, 그에 따라 각 단자 접촉부(44)가 과전류보호회로부재(18)에 직접 접촉되어져 통전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절연체(36)가 더 삽입됨과 동시에 절연체(36)간에 연결된 탄성수단(38)은 압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충전단자(2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단자접촉부(44)와 과전류보호회로부재(18)를 통해 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동작으로 한정되거나 국한되지 아니하며, 상기 돌기부(50)가 최초 플러스 및 마이너스 단자접촉부(44)와 과전류보호회로부재(18) 사이를 가로 막고 있던 절연체(36)를 밀게되면서 단자 접촉부(44)와 과전류보호회로부재(18) 사이로 진입할 수 도 있다. 이때 돌기부(50)는 도전성 재질을 사용하여 통전연결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돌기부(50)가 절연체(36)를 밀면서 과전류보호회로부재(18)의 양측 상면에 각각 위치하게 되면, 상기 배터리 팩(14)의 충전 위치를 잡아주게 되는 기능도 발휘한다.
그리고,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기(46)로부터 배터리 팩(14)을 분리시키게 되는데, 이때 돌기부(50)는 약간의 유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배터리 팩(14)을 약간 좌우방향으로 움직여 분리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배터리 팩(14)이 분리되면, 상기 절연체(36)를 밀고 있던 돌기부(50)의 압지력이 해제되제 되고, 그와 동시에 각 절연체(36)가 가이드홈(34)으로부터 탄발 인출되어 단자접촉부(44)와 과전류보호회로부재(18)의 사이를 다시 가로막아 서로 통전이 단락된다.
즉, 배터리 팩(14)의 충전 상황이 아니 경우에는 단자 접촉부(44)와 과전류보호회로부재(18) 사이를 절연체(36)가 항상 가로막고 있어서, 소지품 중 금속체로 이루어진 액세서리가 충전단자(20)간에 연결이 이루어지더라도 통전이 이루어지지 않아 과전류보호회로부재(18)의 손상 및 충전기능의 저하를 방지하면서 폭발사고 및 화재의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배터리 셀과 통전되도록 연결된 과전류보호회로부재와 플러스 및 마이너스 단자접촉부의 사이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차단부재가 구비 되어 배터리 팩과 충전기의 결합 여부에 따라 충전연결 또는 단락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를 휴대하거나 또는 배터리 팩만을 휴대시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금속체의 액세서리에 의하여 충전단자간에 서로 통전되더라도 방전과 충전기능의 저하를 방지하고, 특히 충전단자간에 통전으로 인한 폭발사고와 화재발생을 사전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어린이 및 유아가 상기 배터리 팩을 입으로 접촉시에 자칫 단자 간에 전기적 통전으로 인한 화상을 방지하고, 나아가 순간적인 감전에 의해 쇼크의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3)

  1. 배터리 팩의 일면에는 충전기로부터 전원을 공급시키기 위한 충전단자가 노출되어 있고, 상기 충전단자로부터 일체로 연결된 각각의 단자접촉부는 과전류보호부재에 접촉되어 배터리 셀과 통전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팩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팩의 과전류보호회로부재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차단수단이 구비되고, 이 차단수단의 양측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탄지되는 절연체가 충전단자의 단자접촉부와 과전류보호회로부재 사이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어, 상기 배터리 팩이 충전기에 충전결합시에만 단자접촉부와 과전류보호회로부재가 통전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보호기능을 구비한 배터리 팩.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수단은, 양측에 절연체가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깊이를 가지는 가이드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홈에는 절연체간에 탄성스프링으로 대응 연결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보호기능을 구비한 배터리 팩.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의 내측에 배터리 팩의 외측면으로부터 내부로 삽입되어 절연체 를 각각 밀도록 하여 단자접촉부와 과전류보호회로부재간에 통전연결될 수 있도록 돌기부가 탄지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셀 보호기능을 구비한 배터리 팩.
KR1020040059256A 2004-07-28 2004-07-28 배터리 셀 보호기능을 구비한 배터리 팩 KR100559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9256A KR100559705B1 (ko) 2004-07-28 2004-07-28 배터리 셀 보호기능을 구비한 배터리 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9256A KR100559705B1 (ko) 2004-07-28 2004-07-28 배터리 셀 보호기능을 구비한 배터리 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0526A KR20060010526A (ko) 2006-02-02
KR100559705B1 true KR100559705B1 (ko) 2006-03-10

Family

ID=37120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9256A KR100559705B1 (ko) 2004-07-28 2004-07-28 배터리 셀 보호기능을 구비한 배터리 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970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5090A (ja) 1997-10-30 1999-05-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池パック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5090A (ja) 1997-10-30 1999-05-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池パ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0526A (ko) 2006-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032642Y (zh) 电动工具电池的适配器
KR101841801B1 (ko) 엔드 플레이트를 결합시키는 부싱을 포함한 배터리 팩
US5354215A (en) Circuit interconnect for a power tool
JP3080621U (ja) 切換可能型電池充電器
CN203871894U (zh) 充电器及充电系统
US11864720B2 (en) Rechargeable battery for powering a vacuum cleaner
US3013198A (en) Cell unit for insertion into a flashlight
US5834919A (en) Structure of cellular telephone battery charger
KR100601502B1 (ko) 팩 전지
CN212587561U (zh) 用于便携式换电电动车的换电柜控制系统
JPH07211301A (ja) バッテリアセンブリ
CA2565372A1 (en) A battery charger for charging different types of battery pack
KR100559705B1 (ko) 배터리 셀 보호기능을 구비한 배터리 팩
KR20070108800A (ko) 방수 및 내구성이 향상된 전지팩
JPH06111853A (ja) 電池パック
CN114655056A (zh) 一种便携式无人机充电器
CA1232942A (en) Charging set for the regenerative recharging of dry batteries
KR20050066130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팩 보호장치
US7394221B2 (en) Mechanically isolated battery charging apparatus
KR10100342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용 충전기
CN216000601U (zh) 一种多功能剃须刀
KR10058576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구조
JPH09320554A (ja) 二次電池パックの端子間短絡防止構造
CN108539827B (zh) 充电器及与其配合使用的电池包
JPH053742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