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5243A - 한번 기록 디스크에 데이터 기록 장치, 그 방법, 데이터재생 장치, 그 방법 및 그 한번 기록 디스크 - Google Patents

한번 기록 디스크에 데이터 기록 장치, 그 방법, 데이터재생 장치, 그 방법 및 그 한번 기록 디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5243A
KR20050065243A KR1020040006471A KR20040006471A KR20050065243A KR 20050065243 A KR20050065243 A KR 20050065243A KR 1020040006471 A KR1020040006471 A KR 1020040006471A KR 20040006471 A KR20040006471 A KR 20040006471A KR 20050065243 A KR20050065243 A KR 200500652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information
update
disc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6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4046B1 (ko
Inventor
황성희
고정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04808509.6A priority Critical patent/EP1697941B1/en
Priority to JP2006546818A priority patent/JP4842837B2/ja
Priority to RU2006122537/28A priority patent/RU2337416C2/ru
Priority to CA2767483A priority patent/CA2767483C/en
Priority to PCT/KR2004/003378 priority patent/WO2005062306A1/en
Priority to CA2551548A priority patent/CA2551548C/en
Priority to SG200809524-2A priority patent/SG149060A1/en
Priority to BRPI0418139-5A priority patent/BRPI0418139B1/pt
Priority to CN2007101046110A priority patent/CN101071608B/zh
Priority to CN2004800386783A priority patent/CN1898739B/zh
Priority to MYPI2012001439A priority patent/MY156152A/en
Priority to US11/018,225 priority patent/US7551532B2/en
Priority to MYPI20045312A priority patent/MY147127A/en
Priority to TW093139969A priority patent/TWI307497B/zh
Publication of KR20050065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5243A/ko
Publication of KR100694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40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riority to US11/773,137 priority patent/US7539102B2/en
Priority to HK07107466.3A priority patent/HK1103155A1/xx
Priority to HK08102858.9A priority patent/HK1116581A1/xx
Priority to HK08103435.9A priority patent/HK1113435A1/xx
Priority to RU2008106216/28A priority patent/RU2390057C2/ru
Priority to RU2008119130/28A priority patent/RU2467408C2/ru
Priority to US12/362,835 priority patent/US7916587B2/en
Priority to US13/039,008 priority patent/US8144554B2/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7Arrangement of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 carrier, e.g. form of tracks, actual track shape, e.g. wobbled, or cross-section, e.g. v-shaped; Sequential information structures, e.g. sectoring or header formats within a track
    • G11B7/00736Auxiliary data, e.g. lead-in, lead-out, Power Calibration Area [PCA], Burst Cutting Area [BCA], control inform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1/00Housing birds
    • A01K31/22Poultry runs ; Poultry houses, including auxiliary features, e.g. feeding, watering, demanur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1/00Housing birds
    • A01K31/002Poultry cages, e.g. transport boxes
    • A01K31/007Flo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1/00Housing birds
    • A01K31/10Doors; Trap-doo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20/10898Overwriting or replacing recorded data
    • G11B2020/10907Overwriting or replacing recorded data using pseudo-overwriting, i.e. virtually or logically overwriting data on WORM media by remapping recorded blocks to alternate area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20/1291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wherein the formatting serves a specific purpose
    • G11B2020/1294Increase of the access speed
    • G11B2020/1295Increase of the access speed wherein the focus is on the read access spe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20/1873Temporary defect structures for write-once discs, e.g. TDDS, TDMA or TDF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8Write-onc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3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has a specific layer structure
    • G11B2220/235Multilayer discs, i.e. multiple recording layers accessed from the same sid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1Blu-ray discs; Blue laser DVR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03Layers;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thereof
    • G11B7/24035Recording layers
    • G11B7/24038Multiple laminated recording lay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한번 기록 디스크에 데이터 기록 장치, 그 방법, 데이터 재생 장치, 그 방법 및 그 한번 기록 디스크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한번 기록(write once) 디스크는, 적어도 하나의 기록층을 구비한 한번 기록 디스크에 있어서, 업데이트되는 소정 정보가 기록되는 복수 개의 업데이트 영역들; 및 상기 복수 개의 업데이트 영역들 중에서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업데이트 영역을 알려주는 접근 정보가 기록되는 접근 정보 영역을 적어도 하나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 정보가 업데이트되어 새로운 위치에 기록되는 한번 기록 디스크의 경우 업데이트된 정보를 읽어들이기 위한 접근 시간을 보다 단축할 수 있다. 특히, 한번 기록 디스크의 사용을 위해 필요한 업데이트된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업데이트 영역이 복수 개 존재하는 경우, 기록 장치 또는 재생 장치는 복수의 업데이트 영역들 중에서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업데이트 영역을 신속하게 그리고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한번 기록 디스크에 데이터 기록 장치, 그 방법, 데이터 재생 장치, 그 방법 및 그 한번 기록 디스크{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recording in write- once disc,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reproducing in write- once disc, and writ-once disc therefor}
본 발명은 한번 기록 디스크(write once disc)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번 기록 디스크의 사용을 위해 필요한 정보에 보다 빨리 접근(access)하기 위한 접근 정보를 한번 기록 디스크에 기록하는 장치, 그 방법 및 그 한번 기록 디스크에 관한 것이다.
재기록 가능 디스크(rewritable disc)의 경우, 이미 정보가 기록된 부분에 새로운 정보를 덮어서 기록할 수 있다. 그러나, 한번 기록 디스크의 경우에는 정보를 한번 기록하면 다시 지우고 쓸 수 없기 때문에 이미 기록된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위치를 할당하여 기록해야 한다.
실제로, 업데이트되는 정보는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정보만이 유의미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업데이트 영역이 데이터 영역에 할당되고, 디스크 드라이브는 마지막으로 업데이트된 정보를 읽어들이기 위해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영역을 탐색하여 마지막으로 업데이트된 정보를 찾아낸다. 더욱이 탐색해야 할 영역에 많은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면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한편, 드라이브에 의한 결함 관리를 구현한 한번 기록 디스크의 경우, 한번 기록 디스크의 사용 중 발생한 결함에 대한 결함 관리를 위한 정보와 한번 기록 디스크의 기록 상태 등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영역들이 마련된다. 한번 기록 매체의 특성상 결함 관리에 관한 정보 등의 업데이트가 요구되면, 재기록 가능 디스크에서와 같이 업데이트된 정보를 기존 정보가 기록된 위치에 덮어 기록할 수 없기 때문에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빈 위치에 업데이트된 정보를 기록해야 하므로 비교적 넓은 업데이트 영역을 필요로 한다. 일반적으로 업데이트 영역은 리드인 영역이나 리드 아웃 영역에 할당되나, 때로는 그 업데이트 회수를 늘이기 위해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데이터 영역에도 할당될 수 있다.
한번 기록 디스크의 사용을 위해 필요한 최종적인 업데이트 정보가 데이터 영역에 할당된 업데이트 영역에 기록되어 있고, 그 최종적인 업데이트 정보에 데이터 영역에 업데이트 영역이 할당되었다는 정보와 그 업데이트 영역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경우, 드라이브는 리드 인 영역 또는 리드 아웃 영역에 마련된 업데이트 영역을 모두 탐색하더라도 마지막으로 업데이트된 정보를 얻을 수 없으며, 마지막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어디에 기록되어 있는지를 알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한번 기록 디스크의 사용을 위해 필요한 업데이트된 정보를 읽어들이기 위한 접근 시간을 보다 단축할 수 있는 데이터 구조로 정보가 기록된 한번 기록 디스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한번 기록 디스크의 사용을 위해 필요한 업데이트된 정보를 읽어들이기 위한 접근 시간을 보다 단축할 수 있는 데이터 기록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한번 기록 디스크의 사용을 위해 필요한 업데이트된 정보를 읽어들이기 위한 접근 시간을 보다 단축할 수 있는 데이터 재생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록층을 구비한 한번 기록 디스크에 있어서, 업데이트되는 소정 정보가 기록되는 복수 개의 업데이트 영역들; 및 상기 복수 개의 업데이트 영역들 중에서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업데이트 영역을 알려주는 접근 정보가 기록되는 접근 정보 영역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한번 기록 디스크에 데이터 기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에 마련된 복수의 업데이트 영역 중 하나에 업데이트되는 소정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 개의 업데이트 영역들 중에서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업데이트 영역을 알려주는 접근 정보를 상기 디스크에 적어도 하나 마련된 접근 정보 영역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에 의해서 달성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한번 기록(write once) 디스크에 데이터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독출하는 기록/독출부; 및 상기 디스크에 마련된 복수의 업데이트 영역 중 하나에 업데이트되는 소정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복수 개의 업데이트 영역들 중에서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업데이트 영역을 알려주는 접근 정보를 상기 디스크에 적어도 하나 마련된 접근 정보 영역에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독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한번 기록 디스크의 재생 방법에 있어서, 한번 기록 디스크에 적어도 하나 마련된 접근 정보 영역에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접근 정보를 얻는 단계; 및 상기 접근 정보로부터 상기 디스크에 마련된 복수 개의 업데이트 영역들 중에서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업데이트 영역에 관한 정보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에 의해서 달성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한번 기록(write once) 디스크의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번 기록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출하는 독출부; 및 상기 한번 기록 디스크에 적어도 하나 마련된 접근 정보 영역에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접근 정보를 얻도록 상기 독출부를 제어하고, 상기 접근 정보로부터 상기 디스크에 마련된 복수 개의 업데이트 영역들 중에서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업데이트 영역에 관한 정보를 얻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번 기록 디스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의 (a)는 단일기록층 한번 기록 디스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의 (b)는 이중기록층 한번 기록 디스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의 (a)에 도시된 단일기록층 한번 기록 디스크는 내주부터 외주 방향으로 리드-인 영역, 데이터 영역 및 리드-아웃 영역이 순차적으로 마련된다.
도 1의 (b)에 도시된 이중기록층 한번 기록 디스크의 첫 번째 기록층 L0 및 두 번째 기록층 L1에는 내주부터 외주 방향으로 안쪽 영역(Inner area), 데이터 영역 및 바깥 쪽 영역(Outer area)가 순차적으로 마련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기록층 한번 기록 디스크의 보다 상세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리드-인 영역에는 제1 디스크 관리 영역(DMA1: Disc Management Area 1), 제2 디스크 관리 영역(DMA2: Disc Management Area 2), 제1 임시 디스크 관리 영역(TDMA1: Temporary Disc Management Area 1), 접근 정보 영역(AIA: Access Information Area) 및 기록조건 테스트 영역(Recording Condition Test Area) 등이 마련된다. 리드-아웃 영역에는 제3 디스크 관리 영역(DMA3) 및 제4 디스크 관리 영역(DMA4) 등이 마련된다. 나아가, 리드-아웃 영역에는 임시 결함 관리 영역, 기록조건 테스트 영역 또는 접근 정보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더 마련할 수 있다. 정리하면, 접근 정보 영역, 디스크 관리 영역, 임시 디스크 관리 영역 및 기록조건 테스트 영역은 각각 리드-인 영역 또는 리드-아웃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적어도 하나 존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기록층 한번 기록 디스크의 보다 상세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3의 (a)는 기록층 L0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의 (b)는 기록층 L1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의 (a)에 도시된 기록층 L0의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단일기록층 한번 기록 디스크의 구조와 동일하다. 도 3의 (b)에 도시된 기록층 L1의 구조는 기록층 L0의 구조와 유사하지만, 제2 안쪽 영역에는 접근 정보 영역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제2 데이터 영역에는 임시 디스크 관리 영역이 두 개 마련되어 있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한번 기록 디스크는 TDMA 1 내지 TDMA 5의 모두 5개의 TDMA가 마련되어 있다. TDMA 1과 TDMA2의 위치 및 크기는 기록 장치 및/또는 재생 장치가 이미 알고 있는 영역이다. 그러나, TDMA 3, TDMA 4 및 TDMA 5는 한번 기록 디스크의 사용을 위한 디스크 초기화 시점에 사용자 또는 기록 장치 및/또는 재생 장치에 의해 데이터 영역에 할당된다. 그리고, TDMA 1부터 TDMS를 기록하는 경우, 데이터 영역에 할당된 TDMA의 크기와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TDDS가 TDMA 1에 기록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기록층 한번 기록 디스크의 보다 상세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4의 (a)는 기록층 L0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의 (b)는 기록층 L1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이중 기록층 한번 기록 디스크에는 TDMA 1, TDMA 2 및 TDMA 4가 할당되어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이중 기록층 한번 기록 디스크는 디스크의 사용을 위한 디스크 초기화 시점에 사용자 또는 기록 장치 및/또는 재생 장치에 의해 데이터 영역 2에 TDMA 4만이 할당된 한번 기록 디스크를 나타낸다.
이하, 한번 기록 디스크에 마련된 임시 디스크 관리 영역 등의 각 영역 및 각 영역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임시 디스크 관리 영역(TDMA)은 한번 기록 디스크의 최종화(finalization) 이전에 한번 기록 디스크의 관리를 위한 임시 관리 정보(TDMS: temporary Disc Management Structure)를 기록하기 위한 영역이다. 한번 기록 디스크의 최종화라 함은 한번 기록 디스크에 더 이상 데이터를 기록할 수 없도록 하는 동작을 말한다.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한번 기록 디스크에 더 이상 데이터를 기록하지 않거나 추가적으로 데이터를 기록할 수 없는 경우, 한번 기록 디스크는 최종화된다.
임시 관리 정보는 임시 결함 정보(TDFL: Temporary DeFect List), 임시 결함 관리 정보(TDDS: Temporary Disc Defect Structure) 및 스페이스 비트 맵(SBM: Space Bit Map)을 포함한다. 임시 결함 정보(TDFL)는 결함이 발생된 영역이 어디인지 알려주는 정보와 새로이 대체된 영역이 어디인지 알려주는 정보로 구성된다. 임시 결함 관리 정보(TDDS)는 임시 결함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로서, 대응하는 임시 결함 정보가 기록된 위치를 알려주는 위치 포인터, 대응하는 스페이스 비트 맵이 기록된 위치를 알려주는 위치 포인터, 데이터 영역 내에 할당된 스패어 영역들의 위치 및 크기 정보, 데이터 영역 내에 할당된 임시 디스크 관리 영역들의 위치 및 크기 정보를 포함한다. 스페이스 비트 맵(SBM)은 데이터 기록 단위인 클러스터 단위로 데이터가 기록된 클러스터와 기록되지 않은 클러스터에 각각 다른 비트 값을 할당함으로써 한번 기록 디스크의 데이터 기록 상태를 비트 맵으로 나타낸 정보이다.
한번 기록 디스크가 기록 장치 및/또는 재생 장치에 로딩되면, 그 장치는 디스크의 사용을 위해서는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임시 관리 정보, 특히 임시 결함 관리 정보(TDDS)를 빨리 얻을 것이 요구된다.
통상,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는 디스크가 장치에 로딩되면, 리드-인 영역 및/또는 리드-아웃 영역에 있는 정보들을 읽어들여 디스크를 어떻게 관리하고 어떻게 기록하거나 재생해야 하는지 파악한다. 리드-인 영역 및/또는 리드-아웃 영역에 기록된 정보의 양이 많으면 많아질수록 디스크를 로딩하고 난 다음, 기록 또는 재생을 준비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전술한 임시 관리 정보의 개념을 도입하고 디스크에 데이터 기록 또는 재생 중에 발생한 임시 관리 정보를 결함 관리 영역과 별개로 리드-인 영역 및/또는 리드-아웃 영역에 마련된 임시 디스크 관리 영역에 기록해둔다.
한번 기록 디스크를 파이널라이징할 경우, 지금까지 임시 디스크 관리 영역에 기록된 임시 관리 정보, 즉 임시 결함 정보 및 임시 결함 관리 정보를 최종적으로 디스크 관리 영역(DMA)에 기록한다. 이는, 디스크를 파이널라이징할 경우, 여러 번 갱신되어 기록된 임시 결함 정보 및 임시 결함 관리 정보 중 최종적으로 유의미한 정보만을 디스크 관리 영역에 옮겨둠으로써 기록 또는 재생 장치가 향후 결함 관리 영역으로부터 최종적으로 유의미한 정보만을 읽어들이도록 하여 보다 빠르게 한번 기록 디스크의 사용을 위한 정보 접근이 가능한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데이터 영역과 스패어 영역에 데이터가 기록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A는 사용자 데이터 영역을 의미하고, B는 스패어 영역을 의미한다. 사용자 데이터 영역에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식은 연속 기록 모드(continuous recording mode) 또는 랜덤 기록 모드(random recording mode)에 의한다. 연속 기록 모드는 사용자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연속하여 기록하는 것이고, 랜덤 기록 모드는 반드시 연속적으로 기록하지 않고 랜덤하게 기록하는 것을 말한다. ① 내지 ⑦은 각각 기록 후 검증 작업이 수행되는 단위를 가리킨다.
기록 장치는 사용자 데이터를 구간 ① 만큼 기록한 다음 구간 ①의 첫 부분으로 되돌아와서 데이터가 제대로 기록되었는지, 아니면 결함이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결함이 발생된 부분이 발견되면 그 부분을 결함 영역으로 지정한다. 이에, 결함 영역인 결함 #1이 지정된다. 또한, 기록 장치는 결함 #1에 기록되었던 데이터를 스패어 영역에 다시 기록한다. 결함 #1에 기록된 데이터가 재기록된 부분은 대체 #1이라고 부른다. 다음으로, 기록 장치는 구간 ② 만큼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한 다음 다시 구간 ②의 첫 부분으로 되돌아와서 데이터가 제대로 기록되었는지, 아니면 결함이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결함이 발생된 부분이 발견되면 그 부분은 결함 #2로 지정된다. 마찬가지 방식으로, 결함 #2에 대응하는 대체 #2가 생성된다. 또한, 구간 ③에서 결함 영역인 결함 #3과 대체 #3이 생성된다. 구간 ④에서는 결함이 발생된 부분이 발견되지 않아 결함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다.
구간 ④까지 기록하고 검증한 다음 레코딩 오퍼레이션 #1의 종료가 예측되면(사용자가 이젝트 버튼을 누르거나 레코딩 오퍼레이션에 할당된 사용자 데이터 기록이 완료되면) 기록 장치는 임시 결함 정보 #1로서 구간 ① 내지 ④까지에서 발생된 결함 영역인 결함 #1, #2, #3에 관한 정보를 임시 디스크 관리 영역에 기록한다. 또한, 임시 결함 정보 #1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 정보를 임시 결함 관리 정보 #1로 임시 디스크 관리 영역에 기록한다. 본 실시예에서 레코딩 오퍼레이션이란 사용자의 의사, 수행하고자 하는 기록 작업 등에 의해 결정되는 작업 단위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한번 기록 디스크가 기록 장치에 로딩되어 소정 정보의 기록 작업이 수행된 다음 한번 기록 디스크가 기록장치로부터 언로딩(unloading)될 때까지를 가리킨다.
다시 한번 기록 디스크가 로딩되면 레코딩 오퍼레이션 #2가 시작되고, 기록조건 테스트 영역에 기록 조건을 테스트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데이터가 기록된다. 즉, 레코딩 오퍼레이션 #2에서는 구간 ⑤ 내지 ⑦까지 전술한 레코딩 오퍼레이션 #1의 경우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데이터가 기록되고 결함 #4, #5 및 대체 #4, #5가 생성된다. 레코딩 오퍼레이션 #2이 종료되면 기록 장치는 임시 결함 정보 #2로서, 결함 #4 및 #5에 관한 정보를 기록한다. 또한, 임시 결함 정보 #2를 관리하기 위한 결함 관리 정보 #2로 임시 디스크 관리 영역에 기록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번 기록 디스크에 임시 디스크 관리 영역 및 스패어 영역이 다수 개 마련된 경우, 소정 순서에 따라 임시 디스크 관리 영역 또는 스패어 영역이 사용된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이중기록층 디스크에 적용되는 데이터 기록 경로가 기록층 L0의 제1 안쪽 영역에서부터 제1 바깥 영역으로, 이어서 기록층 L1의 제2 바깥 영역에서 기록층 L1의 제2 안쪽 영역으로 데이터를 기록하는 OTP(Opposite Track Path)인 경우, 스패어 영역은 기록층 L0의 스패어 영역 1부터 데이터가 기록된다. 스패어 영역 1이 모두 사용되면 다음으로 스패어 영역 2, 3 및 4의 순서로 사용된다.
마찬가지로, 임시 관리 정보는 기록층 L0의 TDMA1부터 기록된다. TDMA1이 모두 사용되면 기록층 L1의 제2 안쪽 영역에 마련된 TDMA2에 업데이트해야 할 임시 관리 정보를 기록한다. TDMA2도 모두 사용되면 기록층 L0의 제1 데이터 영역에 마련된 TDMA3에 업데이트해야 할 임시 관리 정보를 기록한다. 본 실시예에서 각 기록층의 안쪽 영역에 마련된 TDMA1 및 TDMA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한번 기록 디스크에 필수적으로 마련된다. 그러나 데이터 영역에 마련된 TDMA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할당될 수도 있고 할당되지 않을 수도 있는 영역이다. 따라서, 임시 관리 정보는 각 기록층의 안쪽 영역에 마련된 TDMA부터 기록된다. 각 기록층의 안쪽 영역에 마련된 TDMA가 모두 데이터가 기록되면 데이터 영역에 할당된 TDMA 들이 사용된다.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임시관리정보가 데이터 영역에 할당된 TDMA에 기록되고 한번 기록 디스크가 기록 장치로부터 언로딩(unloading)된 후 다시 그 디스크가 기록 장치에 로딩되는 경우, 기록 장치는 디스크의 사용을 위해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임시관리정보를 얻어야한다. 그러나, 임시관리정보는 데이터 영역에 할당된 TDMA에 기록되어 있고, 드라이브는 임시관리정보 중의 임시 결함 관리 정보(TDDS)에 억세스하기 전까지는 데이터 영역에 TDMA가 할당되었음을 알 수가 없는 문제가 생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접근 정보 영역(AIA)을 별도로 한번 기록 디스크의 소정 위치에 마련한다. 접근 정보 영역에는 접근 정보가 기록된다. 접근 정보는 임시관리정보와 같은 업데이트 정보가 기록된 위치를 알려주는 정보이다.
또한, 업데이트 정보라 함은 디스크가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로딩된 초기에 한번 기록 디스크의 사용을 위해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가 인식해야 하는 정보를 말한다. 그리고, 업데이트 정보가 기록되는 영역을 업데이트 영역이라 한다. 본 실시예에서 대표적인 업데이트 정보로는 임시관리정보가 있고, 대표적인 업데이트 영역으로는 TDMA가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근 정보 영역은 리드-인 영역 또는 안쪽 영역의 소정 위치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근 정보 영역에 기록되는 접근 정보의 양 및 업데이트 횟수는 최소화하여 접근 정보 영역의 크기를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근 정보 영역의 크기가 커지거나 다수의 접근 정보 영역을 할당한다면 접근 정보를 얻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근 정보(AI: Access Information)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접근 정보는 업데이트 정보로서 임시관리정보(TDMS), 업데이트 영역으로서 TDMA 및 도 3에 도시된 이중기록층 한번 기록 디스크의 경우에 있어서의 접근 정보를 나타낸다.
다시 도 6를 참조하면, 접근 정보의 헤더에는 접근 정보임을 나타내는 AI identifier와 몇 번째 업데이트된 접근 정보인지를 나타내는 AI Update count를 포함한다.
접근 정보는 디스크에 마련된 TDMA의 전체 개수, 최종적인 TDDS가 기록되어 있는 TDMA를 알려주는 정보 및 각각의 TDMA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각 TDMA의 위치 정보는 각 TDMA의 시작 위치와 끝 위치 정보, 시작 또는 끝 위치와 크기 정보로 나타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임시 결함 관리 정보(TDDS)는 대응하는 임시 결함 정보의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터 등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접근 정보에는 최종적인 TDDS가 기록되어 있는 TDMA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한번 기록 디스크가 드라이브에 로딩되면, 드라이브는 이미 위치를 알고 있는 접근 정보 영역에 접근하여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접근 정보를 얻음으로써 최종적인 TDDS가 기록되어 있는 TDMA를 알 수 있고 최종적인 TDDS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접근 정보 영역에 기록된 최종적인 접근 정보를 얻기 위한 억세스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접근 정보 영역에는 연속기록모드에 따라 접근 정보들을 연속적으로 기록하고 접근 정보의 업데이트 회수는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접근 정보의 업데이트 회수를 최소화하기 위해 최종적인 TDDS가 기록되어 있는 TDMA가 바뀔 때 접근 정보를 업데이트 한다. 또한, 접근 정보에 디스크에 할당된 TDMA의 개수 정보 및 각 TDMA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새로운 TDMA가 할당되거나 TDMA의 위치 정보가 바뀔 때에도 접근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또한, 기록된 접근 정보에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에 대비하기 위해 동일한 접근 정보를 반복하여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종적인 TDDS가 기록된 구체적인 주소 정보가 접근 정보에 포함되지 않더라도, 업데이트 해야 할 접근 정보는 이전 접근 정보의 다음부터 연속해서 기록되므로 기록 장치 및/또는 재생 장치는 트랙 점프와 같은 방법을 동원하여 기록된 영역과 기록되지 않은 영역의 경계를 인식함으로써 최종적인 TDDS가 기록된 위치를 빠르게 찾을 수 있다. 데이터가 기록된 영역으로부터 얻어진 RF 신호와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영역으로부터 얻어진 RF 신호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접근 정보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접근 정보는 모든 TDMA의 위치 정보를 기록하고 최종적인 TDDS가 기록된 TDMA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접근 정보는 최종적인 TDDS가 기록된 TDMA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최종적인 TDDS가 기록된 TDMA의 위치 정보는 TDMA의 첫 번째 클러스터의 첫 번째 물리 섹터의 주소 및 마지막 클러스터의 첫 번째 물리 섹터의 주소로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최종적인 TDDS가 기록된 TDMA의 위치 정보를 나타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접근 정보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접근 정보는 TDDS의 데이터 구조와 동일하다. 즉, 별도의 접근 정보의 데이터 구조를 정의하지 않고 TDDS를 접근 정보로서 이용한다. TDDS를 접근 정보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종적인 TDDS가 기록된 TDMA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 필드를 TDDS에 추가해야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접근 정보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접근 정보는 전술한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TDDS의 데이터 구조를 그대로 이용한다. 그러나, 제3 실시예와 달리, TDDS에는 최종적인 TDDS가 기록된 TDMA를 나타내는 플래그(flag)가 더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플래그는 최종적인 TDDS가 기록된 TDMA를 나타내는 b0 내지 b4의 5개 비트와 보류된 b5 내지 b7의 3개 비트의 총 8개 비트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b0 내지 b4가 "00001b"이면 TDMA 1에, "00010b"이면 TDMA 2에,"00100b"이면 TDMA 3에,"01000b"이면 TDMA 4에 그리고 "10000b"이면 TDMA 5에 최종적인 TDDS가 기록되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한번 기록 디스크에 마련된 복수개의 TDMA는 데이터 기록 방향을 기준으로 연속적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물리적으로 복수개인 TDMA를 하나의 연속적인 TDMA로 보고 복수개의 가상적인 TDMA로 분할할 수 있다.
도 10은 전체 TDMA가 다수의 가상적인 TDMA로 분할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컨대, 도 3에 도시한 이중기록층 한번 기록 디스크의 경우, TDMA 1, TDMA 2, TDMA 3, TDMA 4 및 TDMA 5의 순서대로 사용되고, TDMA 1과 TDMA 2는 2048개의 클러스터, TDMA 3과 TDMA 4는 4096개의 클러스터 그리고 TDMA 5는 8192개의 클러스터로 구성된다면 전체 TDMA는 20480개의 클러스터로 이루어진다. 만약, 512개의 클러스터 단위, 1024 클러스터 단위 및 2048 클러스터 단위로 전체 TDMA를 각각 분할하면 40개, 20개 및 10개의 가상적인 TDMA로 각각 나눌 수 있다.
이중기록층 한번 기록 디스크에 할당된 TDMA 1 내지 TDMA 5 중 TDMA 3의 크기가 매우 크고, TDMA 3에 최종적인 TDDS가 기록되었다면,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는 접근 정보로부터 TDMA 3에 최종적인 TDDS가 기록되었음을 알게되고, TDMA 3를 탐색하여 최종적인 TDDS를 얻는다. 그러나, TDMA 3의 영역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최종적인 TDDS를 얻기 위해 TDMA 3를 탐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은 가상적인 TDMA 개념을 이용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가상적 TDMA의 크기는 동일하게 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는 전체 TDMA를 가상적인 복수의 TDMA로 분할한 후 최종적인 TDDS가 기록되는 가상적인 TDMA가 바뀔 때만 접근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접근 정보의 데이터 구조는 전술한 제1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접근 정보에는 최종적인 TDDS가 기록된 가상적인 TDMA를 나타내는 정보 또는 가상적인 TDMA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록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기록 장치는 기록/독출부(1), 제어부(2) 및 메모리부(3)를 포함한다. 기록/독출부(1)는 한번 기록 디스크(10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기록된 데이터에 결함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증하기 위해 기록된 데이터를 다시 독출한다. 한번 기록 디스크(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근 정보 영역이 마련된 한번 기록 디스크이다.
결함 관리를 위해 제어부(2)는 소정 단위로 데이터를 기록한 다음 기록된 데이터를 검증함으로써 결함이 발생된 부분을 찾아내는 「기록 후 검증 (verify after write) 방식」에 따른다. 제어부(2)는 일 레코딩 오퍼레이션 단위로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한 다음 검증하여 결함 영역이 어디에 발생하였는지 검사하고, 검사 결과 밝혀진 결함 영역이 어디인지 알려주는 결함 정보를 생성한 다음, 생성된 결함 정보를 메모리부(3)에 저장해두었다가 소정 분량 모아서 임시 결함 정보로서 디스크(100)에 마련된 업데이트 영역, 즉 임시 디스크 관리 영역에 기록하고 기록된 임시 결함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임시 결함 관리 정보를 임시 디스크 관리 영역에 더 기록한다. 일 레코딩 오퍼레이션 동안 기록 후 검증 작업은 적어도 1 회, 통상 복수 회 수행된다. 기록 후 검증 작업의 수행 결과 얻어진 결함 정보는 메모리부(3)에 임시 결함 정보로서 일시 저장된다. 레코딩 오퍼레이션이 종료되면 제어부(2)는 메모리부(3)에 저장된 임시 결함 정보를 읽어들여 기록/독출부(1)로 제공하고 이들 정보를 디스크(100)에 마련된 임시 디스크 관리 영역에 기록할 것을 명령한다.
디스크(100)에 더 이상 데이터를 기록할 수 없거나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 데이터 영역에 더 이상 데이터를 기록하고자 하지 않을 경우(파이널라이징할 경우) 제어부(2)는 임시 디스크 관리 영역에 기록해둔 임시 결함 정보와 임시 결함 관리 정보를 디스크(100)에 마련된 디스크 관리 영역에 기록한다.
제어부(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구조로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기록/독출부(1)를 제어한다. 즉, 디스크(100)에 마련된 복수의 업데이트 영역들 중 하나에 업데이트되는 소정 정보, 즉 임시 결함 정보 또는 임시 결함 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임시 관리 정보를 기록하고, 접근 정보의 업데이트의 필요성이 발생하면 디스크(100)에 마련된 접근 정보 영역에 업데이트된 접근 정보를 기록하도록 기록/독출부(1)를 제어한다.
이상, 설명한 기록 장치의 구조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근 정보 기록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록 방법의 흐름도이다.
한번 기록 디스크(100)가 기록 장치에 로딩되면, 제어부(2)는 기록/독출부(1)를 제어하여 소정 사용자 데이터를 한번 기록 디스크(100)에 기록한다(제71 단계).
일 레코딩 오퍼레이션 동안 적어도 1회 수행되는 "기록 후 검증" 작업의 수행 결과 업데이트해야 할 정보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제73 단계). 본 실시예에서 업데이트해야 할 정보는 임시 관리 정보를 의미한다. 임시 관리 정보가 발생하면 메모리부(3)에 일시 저장되었다가 레코딩 오퍼레이션이 종료되면 제어부(2)는 메모리부(3)에 저장된 임시 결함 정보를 읽어들여 기록/독출부(1)로 제공하고, 기록/독출부(1)는 이들 정보를 디스크(100)에 마련된 복수의 업데이트 영역들 중 하나에 기록한다(제75 단계). 본 실시예에 따른 업데이트 영역은 TDMA를 의미한다.
제어부(2)는 다른 레코딩 오퍼레이션 명령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제77 단계), 다른 레코딩 오퍼레이션 명령이 있으면 상기 제71 단계 내지 제75 단계를 반복한다.
그러나, 제어부(2)는 다른 레코딩 오퍼레이션 명령이 없으면 본 발명에 따른 접근 정보의 업데이트 필요성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제79 단계). 본 실시예에서는 최종적인 TDMS, 특히 최종적인 TDDS가 기록되는 TDMA가 바뀔 때, 새로운 TDMA가 할당될 때 또는 기존 TDMA의 위치 정보가 바뀔 때에 접근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제어부(2)는 기록/독출부(1)를 제어하여 복수 개의 업데이트 영역들 중에서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업데이트 영역을 알려주는 접근 정보를 한번 기록 디스크(100)에 적어도 하나 마련된 접근 정보 영역에 기록한다(제81 단계). 기록된 접근 정보에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에 대비하기 위해 동일한 접근 정보를 반복하여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최종적인 TDMS 정보가 기록된 위치를 나타내는 접근 정보가 한번 기록 디스크의 접근 정보 영역에 기록되면, 그 한번 기록 디스크가 다시 기록 장치 또는 재생 장치에 로딩될 때, 최종적인 TDDS 정보에 보다 신속하게 그리고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
한편,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접근 정보가 기록된 접근 정보 영역을 포함하는 한번 기록 디스크(100)의 재생 장치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은 기록 장치와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다만, 재생 장치이므로 기록/독출부(1) 대신 독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재생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접근 정보가 기록된 접근 정보 영역을 포함하는 한번 기록 디스크(100)가 로딩되면, 재생 장치는 DMA를 억세스하여 DMA에 데이터가 기록되었는지 여부로 한번 기록 디스크(100)가 최종화되었는가를 판단한다. 만약, 한번 기록 디스크(100)가 최종화 되지 않았다면 본 발명에 따른 접근 정보 영역에 접근하여 최종적인 접근 정보를 얻는다. 최종적인 접근 정보로부터 기록 장치 또는 재생 장치는 최종적인 TDDS 정보가 기록된 TDMA 영역을 인식한다.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접근 정보 영역을 포함하는 한번 기록 디스크(100) 및 그 기록 장치에 관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재생 장치의 동작을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한번 기록 디스크(100)가 초기화되지 않은 공 디스크이라면 접근 정보 영역에는 데이터가 전혀 기록되어 있지 않는다. 기록 장치는 한번 기록 디스크(100)의 사용을 위한 초기화를 수행한다. 한번 기록 디스크(100)의 초기화시, 접근 정보 영역의 첫 번째 기록 클러스터에 전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구조로 최초 접근 정보가 기록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 정보가 업데이트되어 새로운 위치에 기록되는 한번 기록 디스크의 경우 업데이트된 정보를 읽어들이기 위한 접근 시간을 보다 단축할 수 있다. 또한, 한번 기록 디스크의 사용을 위해 필요한 업데이트된 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업데이트 영역이 복수 개 존재하는 경우, 기록 장치 또는 재생 장치는 복수의 업데이트 영역들 중에서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업데이트 영역을 신속하게 그리고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번 기록 디스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기록층 한번 기록 디스크의 보다 상세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기록층 한번 기록 디스크의 보다 상세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 기록층 한번 기록 디스크의 보다 상세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데이터 영역과 스패어 영역에 데이터가 기록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접근 정보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접근 정보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접근 정보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접근 정보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전체 TDMA가 다수의 가상적인 TDMA로 분할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록 장치의 블록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록 방법의 흐름도이다.

Claims (58)

  1. 적어도 하나의 기록층을 구비한 한번 기록 디스크에 있어서,
    업데이트되는 소정 정보가 기록되는 복수 개의 업데이트 영역들; 및
    상기 복수 개의 업데이트 영역들 중에서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업데이트 영역을 알려주는 접근 정보가 기록되는 접근 정보 영역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정보는 상기 복수의 업데이트 영역들의 개수 또는 상기 각 업데이트 영역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업데이트 영역의 위치 정보는 상기 각 업데이트 영역의 시작 위치와 끝 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업데이트 영역의 위치 정보는 상기 각 업데이트 영역의 시작 위치와 영역의 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업데이트 영역의 위치 정보는 상기 각 업데이트 영역의 끝 위치와 영역의 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정보는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업데이트 영역이 변경되는 경우에만 업데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정보는 새로운 업데이트 영역이 추가되면 업데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정보는 각 업데이트 영역의 위치 정보가 변경되면 업데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정보는 상기 접근 정보 영역에 복수 회 반복하여 기록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정보는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업데이트 영역을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업데이트 영역들은 물리적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업데이트 영역들은 복수의 물리적 업데이트 영역들을 논리적으로 분할한 영역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되는 소정 정보는 임시 결함 관리 정보(Temporary Disc Defect Structure)이고, 상기 업데이트 영역은 임시 디스크 관리 영역(Temporary Disc Management Are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는 리드 인 영역, 데이터 영역 및 리드 아웃 영역을 포함하는 단일 기록층 디스크이고, 상기 접근 정보 영역은 상기 리드 인 영역 또는 리드 아웃 영역에 적어도 하나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는 이중 기록층 디스크이고, 상기 각 기록층은 안쪽 영역, 데이터 영역 및 바깥 쪽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접근 정보 영역은 상기 안쪽 영역들 또는 바깥 쪽 영역들에 적어도 하나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16. 한번 기록 디스크에 데이터 기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에 마련된 복수의 업데이트 영역 중 하나에 업데이트되는 소정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 개의 업데이트 영역들 중에서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업데이트 영역을 알려주는 접근 정보를 상기 디스크에 적어도 하나 마련된 접근 정보 영역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정보는 상기 복수의 업데이트 영역들의 개수 또는 상기 각 업데이트 영역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각 업데이트 영역의 위치 정보는 상기 각 업데이트 영역의 시작 위치와 끝 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각 업데이트 영역의 위치 정보는 상기 각 업데이트 영역의 시작 위치와 영역의 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각 업데이트 영역의 위치 정보는 상기 각 업데이트 영역의 끝 위치와 영역의 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정보 기록 단계는,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업데이트 영역이 변경되는 경우에만 변경된 업데이트 영역을 알려주는 업데이트된 접근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정보 기록 단계는,
    상기 디스크에 새로운 업데이트 영역이 추가되면 변경된 업데이트 영역의 개수 또는 추가된 업데이트 영역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접근 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정보 기록 단계는,
    상기 복수의 업데이트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 정보가 변경되면 변경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접근 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정보 기록 단계는, 상기 접근 정보를 상기 접근 정보 영역에 복수 회 반복하여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정보는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업데이트 영역을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업데이트 영역들은 물리적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업데이트 영역들은 복수의 물리적 업데이트 영역들을 논리적으로 분할한 영역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되는 소정 정보는 임시 결함 관리 정보(Temporary Disc Defect Structure)이고, 상기 업데이트 영역은 임시 디스크 관리 영역(Temporary Disc Management Are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는 리드 인 영역, 데이터 영역 및 리드 아웃 영역을 포함하는 단일 기록층 디스크이고, 상기 접근 정보 영역은 상기 리드 인 영역 또는 리드 아웃 영역에 적어도 하나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는 이중 기록층 디스크이고, 상기 각 기록층은 안쪽 영역, 데이터 영역 및 바깥 쪽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접근 정보 영역은 상기 안쪽 영역들 또는 바깥 쪽 영역들에 적어도 하나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1. 한번 기록(write once) 디스크에 데이터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독출하는 기록/독출부; 및
    상기 디스크에 마련된 복수의 업데이트 영역 중 하나에 업데이트되는 소정 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복수 개의 업데이트 영역들 중에서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업데이트 영역을 알려주는 접근 정보를 상기 디스크에 적어도 하나 마련된 접근 정보 영역에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독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정보는 상기 복수의 업데이트 영역들의 개수 또는 상기 각 업데이트 영역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업데이트 영역의 위치 정보는 상기 각 업데이트 영역의 시작 위치와 끝 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업데이트 영역의 위치 정보는 상기 각 업데이트 영역의 시작 위치와 영역의 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5.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업데이트 영역의 위치 정보는 상기 각 업데이트 영역의 끝 위치와 영역의 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6.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업데이트 영역이 변경되는 경우에만 변경된 업데이트 영역을 알려주는 업데이트된 접근 정보를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독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7.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크에 새로운 업데이트 영역이 추가되면 변경된 업데이트 영역의 개수 또는 추가된 업데이트 영역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접근 정보를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독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8.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업데이트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 정보가 변경되면 변경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접근 정보를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독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9.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근 정보를 상기 접근 정보 영역에 복수 회 반복하여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독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0.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정보는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업데이트 영역을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1.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업데이트 영역들은 물리적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업데이트 영역들은 복수의 물리적 업데이트 영역들을 논리적으로 분할한 영역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되는 소정 정보는 임시 결함 관리 정보(Temporary Disc Defect Structure)이고, 상기 업데이트 영역은 임시 디스크 관리 영역(Temporary Disc Management Are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는 리드 인 영역, 데이터 영역 및 리드 아웃 영역을 포함하는 단일 기록층 디스크이고, 상기 접근 정보 영역은 상기 리드 인 영역 또는 리드 아웃 영역에 적어도 하나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5.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는 이중 기록층 디스크이고, 상기 각 기록층은 안쪽 영역, 데이터 영역 및 바깥 쪽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접근 정보 영역은 상기 안쪽 영역들 또는 바깥 쪽 영역들에 적어도 하나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6. 한번 기록 디스크의 재생 방법에 있어서,
    한번 기록 디스크에 적어도 하나 마련된 접근 정보 영역에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접근 정보를 얻는 단계; 및
    상기 접근 정보로부터 상기 디스크에 마련된 복수 개의 업데이트 영역들 중에서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업데이트 영역에 관한 정보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정보는 상기 복수의 업데이트 영역의 위치 정보 및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업데이트 영역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8.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정보는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업데이트 영역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업데이트 영역의 위치 정보는 상기 업데이트 영역의 시작 위치와 끝 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0.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업데이트 영역들은 물리적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1.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업데이트 영역들은 복수의 물리적 업데이트 영역들을 논리적으로 분할한 영역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2.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되는 소정 정보는 임시 결함 관리 정보(Temporary Disc Defect Structure)이고, 상기 업데이트 영역은 임시 디스크 관리 영역(Temporary Disc Management Are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3. 한번 기록(write once) 디스크의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번 기록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출하는 독출부; 및
    상기 한번 기록 디스크에 적어도 하나 마련된 접근 정보 영역에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접근 정보를 얻도록 상기 독출부를 제어하고, 상기 접근 정보로부터 상기 디스크에 마련된 복수 개의 업데이트 영역들 중에서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업데이트 영역에 관한 정보를 얻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정보는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업데이트 영역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적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기록된 업데이트 영역의 위치 정보는 상기 업데이트 영역의 시작 위치와 끝 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6.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업데이트 영역들은 물리적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7.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업데이트 영역들은 복수의 물리적 업데이트 영역들을 논리적으로 분할한 영역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8.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되는 소정 정보는 임시 결함 관리 정보(Temporary Disc Defect Structure)이고, 상기 업데이트 영역은 임시 디스크 관리 영역(Temporary Disc Management Are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40006471A 2003-12-24 2004-01-31 한번 기록 디스크에 데이터 기록 장치, 그 방법, 데이터재생 장치, 그 방법 및 그 한번 기록 디스크 KR100694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546818A JP4842837B2 (ja) 2003-12-24 2004-12-21 追記型ディスクへのデータ記録装置及びその方法、データ再生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その追記型ディスク
RU2006122537/28A RU2337416C2 (ru) 2003-12-24 2004-12-21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писи и/или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данных на/с диска для однократной записи и диск для однократной записи для этого устройства
CA2767483A CA2767483C (en) 2003-12-24 2004-12-21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ata on/from write-once disc, and write-once disc therefor
PCT/KR2004/003378 WO2005062306A1 (en) 2003-12-24 2004-12-21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ata on/from write-once disc, and write-once disc therefor
CA2551548A CA2551548C (en) 2003-12-24 2004-12-21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ata on/from write-once disc, and write-once disc therefor
SG200809524-2A SG149060A1 (en) 2003-12-24 2004-12-21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ata on/from write-once disc, and write-once disc therefor
BRPI0418139-5A BRPI0418139B1 (pt) 2003-12-24 2004-12-21 Disco que permite gravação apenas uma vez, e equipamento de gravação de dados e de reprodução de um disco que permite gravação apenas uma vez
CN2007101046110A CN101071608B (zh) 2003-12-24 2004-12-21 在一次写入盘上记录数据的方法
CN2004800386783A CN1898739B (zh) 2003-12-24 2004-12-21 在一次写入盘上记录数据的方法和设备
EP04808509.6A EP1697941B1 (en) 2003-12-24 2004-12-21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ata on/from a write-once disc, and write-once disc therefor
MYPI2012001439A MY156152A (en) 2003-12-24 2004-12-22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ecording data on write-once disc,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from write-once disc, and write-once disc therefor
US11/018,225 US7551532B2 (en) 2003-12-24 2004-12-22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ecording data on write-once disc,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from write-once disc, and write-once disc therefor
MYPI20045312A MY147127A (en) 2003-12-24 2004-12-22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ecording data on write-once disc,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from write-once disc, and write-once disc therefor
TW093139969A TWI307497B (en) 2003-12-24 2004-12-22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ecording data on write-once disc,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from write-once disc, and write-once disc therefor
US11/773,137 US7539102B2 (en) 2003-12-24 2007-07-03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ecording data on write-once disc,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from write-once disc, and write-once disc therefor
HK08103435.9A HK1113435A1 (en) 2003-12-24 2007-07-12 Method for recording data on write-once disc
HK07107466.3A HK1103155A1 (en) 2003-12-24 2007-07-12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data on write-once disc
HK08102858.9A HK1116581A1 (en) 2003-12-24 2007-07-12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from write-once disc
RU2008106216/28A RU2390057C2 (ru) 2003-12-24 2008-02-18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писи и/или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данных на/с диска для однократной записи и диск для однократной записи для этого
RU2008119130/28A RU2467408C2 (ru) 2003-12-24 2008-05-14 Устройство записи данных на диск для однократной записи и диск для однократной записи
US12/362,835 US7916587B2 (en) 2003-12-24 2009-01-30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ecording data on write-once disc,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from write-once disc, and write-once disc therefor
US13/039,008 US8144554B2 (en) 2003-12-24 2011-03-02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ecording data on write-once disc,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from write-once disc, and write-once disc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96223 2003-12-24
KR1020030096223 2003-1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5243A true KR20050065243A (ko) 2005-06-29
KR100694046B1 KR100694046B1 (ko) 2007-03-12

Family

ID=37256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6471A KR100694046B1 (ko) 2003-12-24 2004-01-31 한번 기록 디스크에 데이터 기록 장치, 그 방법, 데이터재생 장치, 그 방법 및 그 한번 기록 디스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JP (1) JP4842837B2 (ko)
KR (1) KR100694046B1 (ko)
CN (3) CN100587830C (ko)
CA (1) CA2767483C (ko)
HK (2) HK1113435A1 (ko)
MY (2) MY156152A (ko)
RU (2) RU2390057C2 (ko)
SG (1) SG149060A1 (ko)
TW (1) TWI30749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82861B2 (ja) * 2007-05-11 2012-02-22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管理情報取得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46280A (en) * 1987-08-12 1989-02-20 Dainippon Printing Co Ltd Methods for data recording and reproducing for optical card
JPS6473559A (en) * 1987-09-14 1989-03-17 Pioneer Electronic Corp Controller for automatic changer for writable disk
JPH0620442A (ja) * 1992-07-02 1994-01-28 Toshiba Corp 光磁気ディスクの障害復旧方法
JP2597451B2 (ja) * 1993-02-19 1997-04-09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記録再生方法
SG144685A1 (en) * 1993-06-08 2008-08-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Optical disk, and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KR100451718B1 (ko) * 1999-01-13 200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 기록매체 및 광기록 매체의 결함영역 관리 방법과 기록/재생 제어 방법
US6581167B1 (en) * 1999-02-01 2003-06-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and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tion system
RU2208844C2 (ru) * 1999-02-10 2003-07-20 Самсунг Электроникс Ко., Лтд. Носитель записи, имеющий резервную область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дефектами и информацию по управлению дефектами, и способ выделения резервной области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дефектами
JP2002008320A (ja) * 2000-06-22 2002-01-11 Kenwood Corp 記録再生装置、光磁気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記録再生方法及び光磁気ディスク記録再生方法
JP2003317387A (ja) * 2002-04-16 2003-11-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記録装置および記録媒体への情報記録方法
JP2003333522A (ja) * 2002-05-17 2003-11-21 Victor Co Of Japan Ltd データ再生装置及びデータ再生方法
TWI314315B (en) * 2003-01-27 2009-09-01 Lg Electronics Inc Optical disc of write once type,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efect information on the optical disc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522017A (en) 2005-07-01
RU2008106216A (ru) 2009-08-27
JP4842837B2 (ja) 2011-12-21
SG149060A1 (en) 2009-01-29
JP2007517352A (ja) 2007-06-28
MY156152A (en) 2016-01-15
KR100694046B1 (ko) 2007-03-12
RU2008119130A (ru) 2009-11-20
CA2767483C (en) 2015-06-23
CN101059985A (zh) 2007-10-24
MY147127A (en) 2012-10-31
RU2467408C2 (ru) 2012-11-20
CN1898739A (zh) 2007-01-17
HK1103155A1 (en) 2007-12-14
RU2390057C2 (ru) 2010-05-20
CN1898739B (zh) 2010-05-12
TWI307497B (en) 2009-03-11
HK1113435A1 (en) 2008-10-03
CA2767483A1 (en) 2005-07-07
CN101071608A (zh) 2007-11-14
CN101071608B (zh) 2011-04-13
CN100587830C (zh) 2010-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70554B2 (ja) データ領域管理の可能な追記型ディスク、追記型ディスクのデータ領域の管理方法、データ記録装置、データの再生方法及びその装置
JP4986614B2 (ja) ディスク欠陥を管理する方法、装置及びそのディスク
JP4870654B2 (ja) データ領域管理の可能な追記型ディスク、追記型ディスクのデータ領域の管理方法、データ記録装置、データの再生方法及びその装置
US7916587B2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ecording data on write-once disc,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from write-once disc, and write-once disc therefor
JP5047631B2 (ja) 追記型ディスクへのデータ記録装置、その方法、及びその追記型ディスク
JP4643662B2 (ja) 追記型ディスクへのデータ記録装置、その方法、データ再生装置、その方法、及びその追記型ディスク
KR100694046B1 (ko) 한번 기록 디스크에 데이터 기록 장치, 그 방법, 데이터재생 장치, 그 방법 및 그 한번 기록 디스크
JP5047823B2 (ja) 追記型ディスクへのデータ記録装置、その方法、及びその追記型ディスク
KR100677641B1 (ko) 데이터 기록 장치 및 데이터 재생 장치
KR100936026B1 (ko) 결함 관리를 위한 스페어 영역 관리가 가능한 디스크, 그 스페어 영역 관리 방법 및 재생 방법
EP1814114A1 (en) Write once disc, method of managing a data area of a write once disc,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data therefro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