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3637A - 카테고리 별 키워드의 입력 순위를 제공하기 위한 검색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카테고리 별 키워드의 입력 순위를 제공하기 위한 검색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3637A
KR20050063637A KR1020040013771A KR20040013771A KR20050063637A KR 20050063637 A KR20050063637 A KR 20050063637A KR 1020040013771 A KR1020040013771 A KR 1020040013771A KR 20040013771 A KR20040013771 A KR 20040013771A KR 20050063637 A KR20050063637 A KR 20050063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word
input
group
category
represent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3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회
이승현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주)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주)
Priority to KR1020040013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63637A/ko
Publication of KR20050063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363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1Design, administration or maintenance of databases
    • G06F16/219Managing data history or versio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5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Abstract

본 발명은 검색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검색 서비스 시스템으로 입력된 키워드의 입력 순위를 상기 키워드가 속하는 카테고리 별로 제공할 수 있는 검색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검색 서비스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분류 레코드를 포함하는 카테고리 분류 데이터베이스(상기 분류 레코드는 소정의 키워드 그룹과 연관된 대표 카테고리 및 상기 키워드 그룹과 연관된 일반 카테고리를 포함함), 소정의 키워드 그룹 및 상기 키워드 그룹에 대응하는 키워드 입력 회수 데이터를 유지하는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상기 키워드 그룹은 대표 키워드 또는 상기 대표 키워드와 그 의미가 동일 또는 유사한 키워드를 포함함),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키워드를 입력 받기 위한 입력부, 상기 카테고리 분류 데이터베이스 중에서 상기 입력된 키워드를 포함하는 제1 키워드 그룹과 연관된 대표 카테고리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대표 카테고리와 연관된 제2 키워드 그룹을 결정하기 위한 제1 검색부(상기 제2 키워드 그룹은 상기 제1 키워드 그룹을 포함함), 상기 키워드 데이터베이스 중에서 상기 제2 키워드 그룹 및 상기 제2 키워드 그룹에 대응하는 키워드 입력 회수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한 제2 검색부, 상기 제2 키워드 그룹 및 상기 제2 키워드 그룹에 대응하는 키워드 입력 회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키워드 그룹의 상기 검색된 대표 카테고리 내에서의 입력 순위를 산출하기 위한 입력 순위 산출부,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산출된 입력 순위를 상기 검색된 대표 카테고리 및 상기 제1 키워드 그룹의 대표 키워드와 연관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출력부, 및 상기 키워드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키워드 데이터베이스 중에서 상기 제1 키워드 그룹에 대응하는 키워드 입력 회수 데이터를 갱신시키기 위한 키워드 입력 회수 데이터 갱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테고리 별 키워드의 입력 순위를 제공하기 위한 검색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Search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Keyword Input Frequency By Category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검색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검색 서비스 시스템으로 입력된 키워드의 입력 순위를 상기 키워드가 속하는 카테고리 별로 제공할 수 있는 검색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검색 서비스 시스템이 제공하는 가장 일반적인 검색 서비스 방식은 키워드 검색 서비스이다. 키워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검색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키워드가 입력되면 상기 키워드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예를 들면, 상기 키워드를 포함하는 웹 사이트, 상기 키워드를 포함하는 기사, 상기 키워드를 포함하는 파일명을 갖는 이미지 등)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종래기술에 따른 검색 서비스 시스템은 '인기 검색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서비스를 더 제공하기도 한다. 도 1의 도면 부호(101)은 종래기술에 따른 검색 서비스 시스템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인기 검색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른 인기 검색어 제공 서비스는 일정 기간마다 사용자들이 입력한 키워드의 수를 이용하여 그 수가 상위에 속하는 몇 개의 인기 검색어를 웹 페이지 등에 디스플레이 하는 구성을 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실시간 인기 검색어를 제공할 수는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인기 검색어 제공 서비스는 키워드의 종류를 분야 별로 분류하지 않고 입력된 키워드의 수만을 이용하여 인기 검색어를 결정, 제공하는 구성을 하고 있기 때문에, 도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어떤 키워드를 입력하더라도 가수(조규찬), 드라마(한상궁), 영화(춤추는 대수사선2) 등과 같은 동일한 인기 검색어를 일률적으로 제공 받을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인기 검색어 제공 서비스는 인기 검색어 각각이 어느 정도의 인기를 얻고 있는가를 산출하여 제공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인기 검색어 중 어떤 인기 검색어가 더 인기가 있는지 여부까지는 알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인기 검색어 제공 서비스는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가 인기 검색어가 아닌 경우, 상기 사용자는 자신이 입력한 키워드와 관련된 화제가 다른 사용자들에게는 어느 정도의 관심사인지 파악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검색 서비스 시스템에 입력된 키워드의 카테고리 별 키워드 입력 순위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검색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검색 서비스 시스템에 입력된 키워드와 연관된 카테고리에 속하는 다른 키워드들과, 상기 각 키워드들의 입력 순위를 사용자에게 더 제공할 수 있는 검색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키워드와 연관된 카테고리를 대표 카테고리와 일반 카테고리로 구분하고 대표 카테고리와 일반 카테고리는 변경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키워드를 입력하는 사용자들의 최근 관심사에 따라 선택된 카테고리에서의 상기 키워드의 입력 순위를 산출, 제공할 수 있는 검색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그 의미가 동일 유사한 키워드들을 하나의 키워드 그룹(a group of keywords)으로 묶고 입력된 키워드가 상기 키워드 그룹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키워드 그룹과 연관된 키워드 입력 회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는 키워드 입력 순위를 산출, 제공할 수 있는 검색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검색 서비스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분류 레코드를 포함하는 카테고리 분류 데이터베이스(상기 분류 레코드는 소정의 키워드 그룹과 연관된 대표 카테고리 및 상기 키워드 그룹과 연관된 일반 카테고리를 포함함), 소정의 키워드 그룹 및 상기 키워드 그룹에 대응하는 키워드 입력 회수 데이터를 유지하는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상기 키워드 그룹은 대표 키워드 또는 상기 대표 키워드와 그 의미가 동일 또는 유사한 키워드를 포함함),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키워드를 입력 받기 위한 입력부, 상기 카테고리 분류 데이터베이스 중에서 상기 입력된 키워드를 포함하는 제1 키워드 그룹과 연관된 대표 카테고리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대표 카테고리와 연관된 제2 키워드 그룹을 결정하기 위한 제1 검색부(상기 제2 키워드 그룹은 상기 제1 키워드 그룹을 포함함), 상기 키워드 데이터베이스 중에서 상기 제2 키워드 그룹 및 상기 제2 키워드 그룹에 대응하는 키워드 입력 회수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한 제2 검색부, 상기 제2 키워드 그룹 및 상기 제2 키워드 그룹에 대응하는 키워드 입력 회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키워드 그룹의 상기 검색된 대표 카테고리 내에서의 입력 순위를 산출하기 위한 입력 순위 산출부,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산출된 입력 순위를 상기 검색된 대표 카테고리 및 상기 제1 키워드 그룹의 대표 키워드와 연관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출력부, 및 상기 키워드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키워드 데이터베이스 중에서 상기 제1 키워드 그룹에 대응하는 키워드 입력 회수 데이터를 갱신시키기 위한 키워드 입력 회수 데이터 갱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검색 서비스 시스템은 관리자로부터 소정의 키워드 그룹과 연관된 대표 카테고리의 선택 또는 상기 키워드 그룹과 연관된 일반 카테고리의 선택을 입력 받고, 상기 분류 레코드 중에서 상기 입력된 키워드 그룹과 연관된 대표 카테고리 또는 상기 입력된 키워드 그룹과 연관된 일반 카테고리를 변경하기 위한 관리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입력 순위 산출부는 상기 제2 키워드 그룹 및 상기 제2 키워드 그룹에 대응하는 키워드 입력 회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대표 카테고리 내에서 상기 제2 키워드 그룹의 제2 입력 순위를 각각 산출하고, 상기 출력부는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2 입력 순위를 상기 검색된 대표 카테고리 및 상기 제2 키워드 그룹의 대표 키워드와 연관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출력부는 상기 제2 입력 순위가 상위인 소정 개수의 제2 키워드 그룹을 선택하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선택된 제2 키워드 그룹에 대응하는 제2 입력 순위를 상기 검색된 대표 카테고리 및 상기 선택된 제2 키워드 그룹의 대표 키워드와 연관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비스 시스템의 네트워크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들은 사용자 단말기(210a 또는 210b)를 이용하여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검색 서비스 시스템(200)에 접속하여 키워드를 입력한다. 검색 서비스 시스템(200)은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키워드 검색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210a 또는 210b)로 전송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비스 시스템(200)은 상기 입력된 키워드의 카테고리 별 입력 순위 등을 사용자 단말기(210a 또는 210b)에 더 전송한다.
도 3은 검색 서비스 시스템(20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검색 서비스 시스템(300)은 카테고리 분류 데이터베이스(310), 키워드 데이터베이스(320), 입력부(330), 제1 검색부(340), 제2 검색부(350), 입력 순위 산출부(360), 키워드 입력 회수 데이터 갱신부(370), 출력부(380) 및 관리부(390)을 포함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키워드 그룹"이라는 용어는 하나의 대표 키워드 및 상기 대표 키워드와 동일/유사한 의미를 갖는 키워드를 포함하는 그룹을 나타내고, "대표 키워드"라는 용어는 상기 키워드 그룹에 포함되는 키워드 중에서 입력 순위와 함께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키워드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키워드 그룹"이라는 용어는 키워드 그룹 중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키워드를 포함하는 키워드 그룹을 의미하며, "제2 키워드 그룹"이라는 용어는 키워드 그룹 중에서 상기 제1 키워드 그룹과 (대표) 카테고리가 동일한 키워드 그룹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2 키워드 그룹은 제1 키워드 그룹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2 입력 순위"라는 용어는 상기 (대표) 카테고리 내에서의 상기 제2 키워드 그룹의 입력 순위를 의미한다.
카테고리 분류 데이터베이스(310)는 도 4a의 도면 부호(401)로 표시한 바와 같은 분류 레코드를 하나 이상 포함하여 구성된다. 분류 레코드(401)는 소정의 키워드 그룹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대표 카테고리 및 상기 키워드 그룹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일반 카테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키워드 그룹을 식별하기 위해 키워드 그룹 식별자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키워드 그룹에 포함된 대표 키워드를 상기 키워드 그룹의 식별자로 사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하나의 대표 카테고리와 연관된 키워드 그룹은 많은 수가 존재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도 4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대표 카테고리 '가수'와 연관된 키워드 그룹은 '세븐', '렉시' 및 '이수영'을 각각 대표 키워드로 하는 키워드 그룹만이 존재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검색 서비스 시스템(300)은 카테고리 분류 데이터베이스(310)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부(390)를 포함한다. 관리부(390)는 관리자로부터 소정의 키워드 그룹과 연관된 대표 카테고리의 선택 또는 상기 키워드 그룹과 연관된 일반 카테고리의 선택을 입력 받고, 상기 분류 레코드 중에서 상기 키워드 그룹과 연관된 대표 카테고리 또는 상기 키워드 그룹과 연관된 일반 카테고리를 변경한다. 예를 들면, 키워드 '세븐'과 관련하여 이전에는 대표 카테고리가 '영화'였으나, 사용자들이 점차 영화 '세븐'을 검색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가수 '세븐'을 검색하기 위해 키워드 '세븐'을 입력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관리자는 관리부(390)에 키워드 '세븐'을 포함하는 키워드 그룹과 연관하여 대표 카테고리는 '가수', 일반 카테고리는 '영화'의 선택을 입력한다. 관리부(390)는 키워드 '세븐'을 포함하는 키워드 그룹과 연관하여 입력된 대표 카테고리의 선택 및 일반 카테고리의 선택에 따라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은 분류 레코드(401)가 유지되도록 한다. 즉, 카테고리 분류 데이터베이스(310)에 유지되는 하나 이상의 분류 레코드에 포함된 대표 카테고리 또는 일반 카테고리는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대표 카테고리와 연관하여서만 입력 순위가 산출되기 때문에", 검색 서비스 시스템(300)은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여 키워드의 입력 순위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즉, 대표 카테고리와 일반 카테고리라는 개념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들은 가수 '세븐'을 의도하고 키워드를 입력했음에도 사용자들이 전혀 고려하지 않았던 영화 카테고리에서 영화 '세븐'이 키워드 입력 순위의 상위에 랭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는 가수 '세븐'을 의도하고 키워드 '세븐'을 입력하고 있으나, 사회적인 관심사가 변하여 예를 들면 드라마 '세븐'에 대한 사용자들의 관심사가 월등히 높아지고 사용자들이 드라마 '세븐'을 의도하고 키워드 '세븐'을 입력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관리부(390)는 관리자의 명령에 따라 키워드 '세븐'과 연관된 대표 카테고리를 '드라마'로 변경하고 '가수'는 일반 카테고리로 변경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되는 키워드 입력 순위가 산출될 수 있도록 한다.
키워드 데이터베이스(320)는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키워드 그룹 및 상기 키워드 그룹에 대응하는 키워드 입력 회수 데이터를 유지한다. 키워드 그룹은 대표 키워드 또는 상기 대표 키워드와 그 의미가 동일/유사한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도면 부호(402)로 표시한 바와 같이, 대표 키워드는 '세븐'이고 '세븐'과 동일/유사한 의미를 갖는 키워드는 'seven'이며, '세븐'과 'seven'은 하나의 키워드 그룹에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비스 시스템(300)은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키워드 그룹이라는 개념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는 키워드 입력 순위를 산출하고자 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들은 가수 '세븐'에 대해 검색하고자 하는 경우 '세븐' 또는 'seven'을 키워드로서 입력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때에 키워드 '세븐'과 키워드 'seven'은 동일 대상을 가리키기 위해 사용된 키워드이다. 따라서, '세븐'이라는 키워드와 'seven'이라는 키워드 각각에 대응하는 입력 회수에 따라 입력 순위를 산출하는 경우, 사용자들의 의도와 다르게 가수 '세븐'에 대한 사용자들의 관심 정도가 저평가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키워드 '이효리'의 입력 회수가 300번, 키워드 '세븐'의 입력 회수가 280번, 키워드 'seven'의 입력 회수가 50번인 경우, 실질적으로 가수 '세븐'에 대한 키워드 입력 회수가 "280번(세븐) + 50번(seven) = 330번"으로 더 많음에도 키워드 '이효리'에 대한 입력 순위가 더 높게 산출되므로, 사용자들은 가수 '세븐' 보다 가수 '이효리'에 대해 사람들이 더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고 생각하는 등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지 않는 입력 순위가 산출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키워드 '세븐'을 입력하는 경우에도, 키워드 'seven'을 입력하는 경우에도 모두 가수 '세븐'에 대한 키워드를 입력한 것으로 판단하고 입력 회수를 합산하여 산출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비스 시스템은 대표 키워드(세븐)와, 상기 대표 키워드와 동일/유사한 의미를 갖는 키워드(seven)를 하나의 키워드 그룹으로 묶어 취급하는 구성을 하고 있다.
입력부(330)는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210a 또는 210b)로부터 키워드를 입력 받는다. 예를 들면, 상기 입력된 키워드는 'seven'이다. 상기 입력된 키워드 'seven'을 포함하는 키워드 그룹을 제1 키워드 그룹이라 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키워드 그룹의 식별자로서 상기 제1 키워드 그룹의 대표 키워드인 '세븐'이 사용되었다.
제1 검색부(340)는 카테고리 분류 데이터베이스(310) 중에서 상기 제1 키워드 그룹과 연관된 대표 카테고리를 검색하며, 분류 레코드(401)로부터 제1 키워드 그룹의 식별자 '세븐'과 연관된 대표 카테고리로서 '가수'가 검색된다.
또한, 제1 검색부(340)는 카테고리 분류 데이터베이스(310)를 참조하여 상기 검색된 대표 카테고리 '가수'와 연관된 제2 키워드 그룹을 결정한다. 상기 검색된 대표 카테고리인 '가수'와 연관된 키워드 그룹(즉, 대표 키워드가 '세븐', '렉시' 및 '이수영'인 키워드 그룹들)을 제2 키워드 그룹이라 한다.
제2 검색부(350)는 키워드 데이터베이스(320) 중에서 상기 제2 키워드 그룹 및 상기 제2 키워드 그룹에 대응하는 키워드 입력 회수 데이터를 검색한다. 즉, 제2 키워드 그룹 '렉시'와 연관된 키워드 입력 회수 데이터 '123', 제2 키워드 그룹 '세븐'과 연관된 키워드 입력 회수 데이터 '234', 및 제2 키워드 그룹 '이수영'과 연관된 키워드 입력 회수 데이터 '98'을 각각 검색한다.
입력 순위 산출부(360)은 상기와 같이 검색된 상기 제2 키워드 그룹 및 상기 제2 키워드 그룹에 대응하는 키워드 입력 회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키워드 그룹의 입력 순위를 산출한다. 상기 검색된 키워드 입력 회수 데이터의 크기는 제2 키워드 그룹 '세븐', 제2 키워드 그룹 '렉시' 및 제2 키워드 그룹 '이수영' 순이며, 따라서 제1 키워드 그룹 '세븐'의 입력 순위는 1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대표 카테고리에 속하는 제2 키워드 그룹 중에서 제1 키워드 그룹의 입력 순위를 산출하기 때문에 상기 입력 순위는 카테고리 별로 산출된다.
출력부(370)는 상기 산출된 입력 순위를 상기 대표 카테고리 '가수' 및 상기 제1 키워드 그룹의 대표 키워드 '세븐'과 연관하여 사용자 단말기(210a 또는 210b)로 제공한다. 도 5a는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210a 또는 210b)로 제공되는 입력 순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검색 서비스 시스템(300)에 도 5a의 도면 부호(501)로 표시한 바와 같이 키워드 'seven'을 입력한 경우, 검색 서비스 시스템(300)은 키워드 검색 결과와 함께 도면 부호(502)로 표시한 바와 같이 키워드 'seven' 에 대해 대표 카테고리 '가수' 및 상기 제1 키워드 그룹의 대표 키워드 '세븐'과 연관하여 입력 순위를 더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순위 산출부(360)는 상기 제2 키워드 그룹 및 상기 제2 키워드 그룹에 대응하는 키워드 입력 회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키워드 그룹의 제2 입력 순위를 각각 산출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입력 순위로 제2 키워드 그룹 '렉시'는 2위, 제2 키워드 그룹 '세븐'은 1위, 제2 키워드 그룹 '이수영'은 3위가 각각 산출된다.
출력부(380)는 상기 제2 입력 순위를 상기 대표 카테고리 '가수' 및 상기 제2 키워드 그룹의 대표 키워드와 연관하여 사용자 단말기(210a 또는 210b)로 제공한다. 도 5b는 본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210a 또는 210b)로 제공되는 제2 입력 순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 'seven'이 속하는 카테고리가 '가수'인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면 부호(520)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수' 카테고리에 속하는 다른 키워드 그룹의 입력 순위가 함께 제공된다. 도면 부호(521)은 각 제2 입력 순위를, 도면 부호(522)는 각 제2 키워드 그룹의 대표 키워드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부(380)는 상기 제2 입력 순위가 상위인 소정 개수의 제2 키워드 그룹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제2 키워드 그룹과 연관된 제2 입력 순위만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2 키워드 그룹이 단 세 개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했으나, 통상 하나의 대표 카테고리와 연관된 제2 키워드 그룹은 다수 개 존재한다. 이때, 제2 키워드 그룹과 연관된 입력 순위를 전부 제공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불필요하게 많은 정보를 제공하게 되는 결과가 되어 사용자는 오히려 거부감을 느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비스 시스템(300)은 대표 카테고리와 연관된 제2 키워드 그룹 중에서 그 제2 입력 순위가 상위인 소정 개수, 예를 들면 상위 10위 내인 10개의 제2 키워드 그룹을 선택하여 그 제2 입력 순위를 제공하도록 한다.
도 5c는 대표 카테고리와 연관된 제2 키워드 그룹이 다수 개 존재하는 경우 제2 입력 순위가 상위 10위 내의 제2 키워드 그룹의 제2 입력 순위만을 제공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입력 순위는, 상기 대표 카테고리, 상기 제2 키워드 그룹의 대표 키워드 및 그 변동폭과 연관하여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키워드 그룹의 입력 순위가 상기 제2 입력 순위 중에서 상위 10위 내에 들지 않는 경우에는 검색 서비스 시스템(300)은 상기 제1 키워드 그룹의 입력 순위와 별도로 상위 10위까지 제2 키워드 그룹의 제2 입력 순위를 제공한다. 도 5d는 제1 키워드 그룹의 입력 순위가 상위 10위 내에 있지 않은 경우에 사용자 단말기(210a 또는 210b)로 제공되는 입력 순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즉,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 'seven'과 연관된 제1 키워드 그룹은 대표 카테고리 '가수'와 연관된 제2 키워드 그룹 중에서 그 입력 순위가 53위인 경우, 상기 제1 키워드 그룹과 연관된 입력 순위와 상기 제2 키워드 그룹들 중 상위 10위까지의 제2 키워드 그룹의 제2 입력 순위가 각각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키워드 입력 회수 데이터 갱신부(370)는 키워드 'seven'의 입력에 응답하여 키워드 데이터베이스(320)의 상기 제1 키워드 그룹과 연관된 키워드 입력 회수 데이터를 갱신한다. 즉, 키워드 'seven'을 포함하는 제1 키워드 그룹과 연관된 키워드 입력 회수 데이터 '234'를 '235'로 갱신한다. 키워드 입력 회수 데이터 갱신부(370)는 검색 서비스 시스템(300)의 설정에 따라 상기 입력 순위를 산출하기 전에 키워드 입력 회수 데이터를 갱신할 수도 있고, 상기 입력 순위를 산출한 후에 키워드 입력 회수 데이터를 갱신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검색 서비스 시스템(300)은 키워드에 대한 기간 별 입력 순위를 제공한다. 키워드 데이터베이스(320)는 소정의 키워드 그룹에 대응하는 기간 별 키워드 입력 회수 데이터를 유지한다. 키워드 입력 회수 데이터 갱신부(370)는 상기 기간 별 키워드 입력 회수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0으로 갱신한다. 상기 주기는 관리자가 설정한 기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키워드 입력 회수 데이터 갱신부(370)는 상기 주기마다 키워드 입력 회수 데이터를 0으로 갱신하기 때문에, 입력 순위 산출부(360)에서 산출되는 입력 순위는 기간 별 입력 순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간 별 입력 순위를 제공 받는 사용자는 상기 대표 카테고리와 연관된 분야에서 최근 사람들이 관심을 갖는 화제를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키워드 데이터베이스(320)는 전체 키워드 입력 회수 데이터 및 기간 별 키워드 입력 회수 데이터를 모두 유지할 수도 있다. 이때, 입력 순위 산출부(360)는 상기 전체 키워드 입력 회수 데이터 및 상기 기간 별 키워드 입력 회수 데이터를 각각 이용하여, 전체 입력 순위 및 기간 별 입력 순위를 산출하고, 출력부(380)는 상기 전체 입력 순위 및 상기 기간 별 입력 순위를 함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검색 서비스 시스템(300)은 입력 순위의 변동폭에 대한 정보를 더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비스 시스템(300)은 저장부, 제3 검색부, 입력 순위 변동폭 산출부 및 입력 순위 갱신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는 소정의 카테고리와 연관된 키워드 그룹의 입력 순위를 저장한다.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입력 순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키워드를 입력하기 직전의 키워드 입력에 따라 입력 순위 산출부(360)에서 산출된 입력 순위이다.
상기 제3 검색부는 상기 저장부에서 상기 제2 키워드 그룹에 대응하고 상기 대표 카테고리와 연관된 키워드 그룹의 입력 순위를 검색한다. 상기 입력 순위 변동폭 산출부는, 상기 대표 카테고리 내에서 상기 제2 키워드 그룹의 상기 제2 입력 순위와 상기 검색된 입력 순위를 비교하여 상기 제2 키워드 그룹의 입력 순위의 변동폭을 산출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저장부에 '가수' 카테고리와 연관하여 저장되어 있는 키워드 그룹 '장나라'의 입력 순위가 1위이고, 사용자가 '가수' 카테고리와 연관된 키워드를 입력하여 새로이 산출된 제2 입력 순위가 2위인 경우, 상기 입력 순위 변동폭 산출부는 그 변동폭 '-1'을 산출한다.
출력부(380)는 도 5c의 도면 부호(523)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산출된 변동폭을 상기 제2 입력 순서와 연관하여 사용자 단말기(210a 또는 210b)로 제공한다. 상기 입력 순위 갱신부는 상기 저장부에서 상기 제2 키워드 그룹에 대응하고 상기 대표 카테고리 '가수'와 연관된 키워드 그룹의 입력 순위를 상기 제2 입력 순위로 갱신하여, 새로운 키워드가 입력되어 새로 산출되는 제2 입력 순위의 변동폭을 산출하기 위한 자료로 사용되도록 한다. 도 5c의 도면 부호(523)로 표시한 변동폭 중 '+1'은 이전에 비해 입력 순위가 한 단계 상승하였음을, '-1'은 이전에 비해 입력 순위가 한 단계 하락하였음을, '0'은 이전과 입력 순위에 변화가 없음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이 입력한 키워드의 소정 (대표) 카테고리에서의 입력 순위, 상기 (대표) 카테고리에 속하는 다른 키워드들의 입력 순위는 물론 상기 입력 순위의 변동 여부/그 변동폭을 알 수 있게 되어 현재 사람들의 관심사와 함께 관심사의 변화도 알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3을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비스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카테고리 분류 데이터베이스(310)에 유지되는 분류 레코드는 소정의 키워드와 연관된 대표 카테고리 및 상기 키워드와 연관된 일반 카테고리를 포함한다. 또한, 키워드 데이터베이스(320)는 소정의 키워드 및 상기 키워드에 대응하는 키워드 입력 회수 데이터를 유지한다. 입력부(330)는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210a 또는 210b)로부터 제1 키워드를 입력 받고, 제1 검색부(340)는 카테고리 분류 데이터베이스(310) 중에서 상기 제1 키워드와 연관된 대표 카테고리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대표 카테고리와 연관된 제2 키워드를 결정한다.
제2 검색부(350)는 키워드 데이터베이스(320) 중에서 상기 제2 키워드 및 상기 제2 키워드에 대응하는 키워드 입력 회수 데이터를 검색한다.
입력 순위 산출부(360)는 상기 제2 키워드 및 상기 제2 키워드에 대응하는 키워드 입력 회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2 키워드의 입력 순위를 산출한다. 상기 제1 키워드는 상기 제2 키워드 중 하나이므로 상기 제1 키워드의 입력 순위 역시 함께 산출된다.
출력부(380)는 상기 제2 키워드의 입력 순위를 상기 대표 카테고리와 연관하여 사용자 단말기(210a 또는 210b)로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부(380)는 상기 제2 키워드 중 그 입력 순위가 상위인 소정 개수의 제2 키워드의 입력 순위만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1 키워드가 상기 소정 개수의 제2 키워드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는, 출력부(380)는 상기 소정 개수의 제2 키워드의 입력 순위와 별도로 상기 제1 키워드의 입력 순위를 더 제공한다.
키워드 입력 회수 데이터 갱신부(370)는 상기 제1 키워드의 입력에 응답하여 키워드 데이터베이스(310) 중에서 상기 제1 키워드에 대응하는 키워드 입력 회수 데이터를 증가시킨다.
관리부(390)는 관리자로부터 소정의 키워드와 연관된 대표 카테고리의 선택 또는 일반 카테고리의 선택을 입력 받고 상기 분류 레코드 중에서 상기 키워드와 연관된 대표 카테고리 또는 일반 카테고리를 변경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비스 시스템은 키워드 그룹이라는 개념을 채용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세븐'이라는 키워드와 'seven'이라는 키워드는 그 입력 회수 데이터가 각각 유지되고 그 입력 순위 역시 각각 산출된다. 또는, 키워드 데이터베이스(320)에 키워드 '세븐'에 대한 데이터만 유지하고 키워드 'seven'에 대한 데이터는 유지하지 않는 경우 키워드 'seven'에 대한 입력 순위는 산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라 입력 순위를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경우에는 동일한 대상을 가리키기 위해 사용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키워드(즉, 키워드 'seven' 보다는 키워드 '세븐')을 이용한다.
이하, 도 3을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비스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카테고리 분류 데이터베이스(310)에 유지되는 분류 레코드는 소정의 키워드 그룹과 연관된 카테고리를 포함한다. 또한, 키워드 데이터베이스(320)는 소정의 키워드 그룹 및 상기 키워드 그룹에 대응하는 키워드 입력 회수 데이터를 유지한다. 상기 키워드 그룹은 하나의 대표 키워드 및 상기 대표 키워드와 동일/유사한 의미를 갖는 키워드를 포함하는 그룹이다.
입력부(330)는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210a 또는 210b)로부터 키워드를 입력 받는다. 상기 입력된 키워드를 포함하는 키워드 그룹을 제1 키워드 그룹이라 한다.
제1 검색부(340)는 카테고리 분류 데이터베이스(310) 중에서 상기 제1 키워드 그룹과 연관된 카테고리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카테고리와 연관된 제2 키워드 그룹을 결정한다.
제2 검색부(350)는 키워드 데이터베이스(320) 중에서 상기 제2 키워드 그룹 및 상기 제2 키워드 그룹에 대응하는 키워드 입력 회수 데이터를 검색한다.
입력 순위 산출부(360)는 상기 제2 키워드 그룹 및 상기 재2 키워드 그룹에 대응하는 키워드 입력 회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2 키워드 그룹의 입력 순위를 산출한다. 상기 제1 키워드 그룹은 상기 제2 키워드 그룹 중 하나이므로 상기 제1 키워드 그룹의 입력 순위 역시 함께 산출된다.
출력부(380)는 상기 제2 키워드 그룹의 입력 순위를 상기 검색된 카테고리 및 상기 제2 키워드 그룹에 포함되는 대표 키워드와 연관하여 사용자 단말기(210a 또는 210b)로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부(380)는 상기 제2 키워드 그룹 중 그 입력 순위가 상위인 소정 개수의 제2 키워드 그룹의 입력 순위만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1 키워드 그룹이 상기 소정 개수의 제2 키워드 그룹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는, 출력부(380)는 상기 소정 개수의 제2 키워드 그룹의 입력 순위와 별도로 상기 제1 키워드 그룹의 입력 순위를 제공한다.
키워드 입력 회수 데이터 갱신부(370)는 상기 키워드의 입력에 응답하여 키워드 데이터베이스(310) 중에서 상기 키워드를 포함하는 상기 제1 키워드 그룹에 대응하는 키워드 입력 회수 데이터를 증가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대표 카테고리/일반 카테고리라는 개념을 채용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제1 키워드 그룹에 대응하는 입력 순위를 산출하는 경우 상기 제1 키워드 그룹과 연관된 모든 카테고리에서의 상기 제1 키워드 그룹의 입력 순위가 산출된다. 따라서, 상기 제1 키워드 그룹과 연관된 카테고리가 복수 개인 경우, 실시예에 따라 출력부(380)는 상기 복수 개의 카테고리 별로 제1 키워드 그룹 및 제2 키워드 그룹의 입력 순위를 각각 산출하여 각각 제공하거나, 소정의 기준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카테고리 중 소정 개수의 카테고리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카테고리 별로 제1 키워드 그룹 및 제2 키워드 그룹의 입력 순위를 산출하여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비스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비스 방법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검색 서비스 시스템(2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601)에서 검색 서비스 시스템(200)은 소정의 키워드 분류 데이터베이스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분류 레코드를 유지한다. 상기 분류 레코드는 소정의 키워드 그룹과 연관된 대표 카테고리 및 상기 키워드 그룹과 연관된 일반 카테고리를 포함한다. 상기 키워드 분류 데이터베이스에 유지되는 대표 카테고리 또는 일반 카테고리는 관리자의 명령에 따라 수정될 수 있다.
단계(602)에서 검색 서비스 시스템(200)은 소정의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소정의 키워드 그룹 및 상기 키워드 그룹에 대응하는 키워드 입력 회수 데이터를 유지한다. 상기 키워드 그룹은 대표 키워드 또는 상기 대표 키워드와 그 의미가 동일/유사한 키워드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검색 서비스 시스템(200)은 '엠씨더맥스' 및 'M.C The Max'를 동일한 키워드 그룹에 포함시키고 이 중 '엠씨더맥스'를 대표 키워드로 설정하여 하나의 키워드 그룹을 형성하도록 한다.
단계(603)에서 검색 서비스 시스템(200)은 사용자 단말기(210a 또는 210b)로부터 키워드를 입력 받는다. 이때, 키워드 '엠 씨 더 맥스'가 입력되는 경우 글자 사이의 띄어쓰기를 제거하여 '엠 씨 더 맥스'는 '엠씨더맥스'와 동일한 키워드로 간주하도록 하는 알고리즘 등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단계(604)에서 검색 서비스 시스템(200)은 상기 카테고리 분류 데이터베이스 중에서 상기 키워드를 포함하는 제1 키워드 그룹과 연관된 대표 카테고리를 검색한다.
검색 서비스 시스템(200)은 단계(604)에서 상기 카테고리 분류 데이터베이스 중에서 상기 검색된 대표 카테고리와 연관된 제2 키워드 그룹을 검색하고, 단계(605)에서 상기 키워드 데이터베이스 중에서 상기 검색된 대표 카테고리와 연관된 제2 키워드 그룹 및 상기 제2 키워드 그룹에 대응하는 키워드 입력 회수 데이터를 검색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와 연관된 대표 카테고리에 속하는 키워드 그룹 및 상기 키워드 그룹에 대응하는 키워드 입력 회수 데이터가 검색된다.
단계(606)에서 검색 서비스 시스템(200)은 상기 제2 키워드 그룹의 키워드 입력 회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2 키워드 그룹의 제2 입력 순위를 각각 산출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키워드 그룹들은 상기 제1 키워드 그룹을 포함하기 때문에, 단계(606)에서 상기 제1 키워드 그룹의 입력 순위도 자동적으로 산출된다.
단계(607)에서 검색 서비스 시스템(200)은 상기 입력 순위에 따라 소정 개수의 제2 키워드 그룹을 선택한다. 예를 들면, 검색 서비스 시스템(200)은 입력 순위가 상위 10위 내인 제2 키워드 그룹만을 선택한다.
상기 선택된 제2 키워드 그룹이 상기 제1 키워드 그룹을 포함하는 경우, 즉, 상기 제1 키워드 그룹의 입력 순위가 상위 10위 내인 경우에는, 단계(609)에서 상기 제2 입력 순위를 상기 대표 카테고리 및 상기 제2 키워드 그룹에 포함된 대표 키워드와 연관하여 사용자 단말기(210a 또는 210b)로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은 카테고리 별 입력 순위를 제공 받게 된다.
한편, 상기 선택된 제2 키워드 그룹이 상기 제1 키워드 그룹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즉 상기 제1 키워드 그룹의 입력 순위가 상위 10위 밖인 경우에는, 단계(610)에서 상기 제2 입력 순위 및 상기 제1 키워드 그룹의 입력 순위를 각각 사용자 단말기(210a 또는 210b)로 제공한다. 상기 제1 키워드 그룹의 입력 순위는 상기 대표 카테고리 및 상기 제1 키워드 그룹에 포함된 대표 키워드와 연관하여 제공되고, 상기 제2 입력 순위는 상기 대표 카테고리 및 상기 제2 키워드 그룹에 포함된 대표 키워드와 연관하여 제공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도 5d에 도시한 바와 같은 카테고리 별 입력 순위를 제공 받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검색 서비스 시스템(200)은 대표 카테고리와 연관하여 제1 키워드 그룹에 대응하는 입력 순위만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검색 서비스 시스템(200)은 그 입력 순위가 상기 소정 개수 내인 제2 키워드 그룹과 연관된 입력 순위만을 제공할 수도 있으며, 이때에는 제1 키워드 그룹이 제2 키워드 그룹에 포함되지 않으면 제1 키워드 그룹과 연관된 입력 순위는 제공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비스 방법은, 키워드 그룹이라는 개념을 채용함으로써 사용자가 동일한 대상을 의도하고 입력한 서로 다른 키워드의 각 입력 회수를 합산하여, 즉 키워드 그룹 별로 입력 순위를 산출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는 입력 순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비스 방법은 대표 카테고리/일반 카테고리라는 개념을 채용하고 사회적 관심사에 따라 대표 카테고리 또는 일반 카테고리를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함으로써 사용자가 의도한 분야의 카테고리(즉, 대표 카테고리)에서의 입력 순위가 산출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키워드 그룹이라는 개념을 채용하지 않고 키워드 별로 대표 카테고리/일반 카테고리를 유지하고 키워드 별로 키워드 입력 회수 데이터를 유지하여 키워드와 연관하여 대표 카테고리 별 입력 순위가 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카테고리를 대표 카테고리/일반 카테고리로 구분하지 않고, 키워드 그룹을 카테고리 별로 유지하여 카테고리 별 입력 순위가 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검색 서비스 방법을 수행하는 데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컴퓨터 장치(700)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720)과 롬(ROM: Read Only Memory)(730)을 포함하는 주기억장치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71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710)는 중앙처리장치(CPU)로 불리기도 한다. 본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롬(730)은 데이터(data)와 명령(instruction)을 단방향성으로 CPU에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램(720)은 통상적으로 데이터와 명령을 양방향성으로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램(720) 및 롬(730)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어떠한 적절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Mass Storage)(740)는 양방향성으로 프로세서(710)와 연결되어 추가적인 데이터 저장 능력을 제공하며, 상기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중 어떠한 것일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740)는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통상적으로 주기억장치보다 속도가 느린 하드 디스크와 같은 보조기억장치이다. CD 롬(760)과 같은 특정 대용량 기억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710)는 비디오 모니터, 트랙볼, 마우스, 키보드, 마이크로폰, 터치스크린 형 디스플레이, 카드 판독기, 자기 또는 종이 테이프 판독기, 음성 또는 필기 인식기, 조이스틱, 또는 기타 공지된 컴퓨터 입출력장치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750)와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프로세서(71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770)를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하여 상기된 방법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된 장치 및 도구는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검색 서비스 시스템에 입력된 키워드의 카테고리 별 키워드 입력 순위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검색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검색 서비스 시스템에 입력된 키워드와 연관된 카테고리에 속하는 다른 키워드들과, 상기 각 키워드들의 입력 순위를 사용자에게 더 제공할 수 있는 검색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키워드와 연관된 카테고리를 대표 카테고리와 일반 카테고리로 구분하고 대표 카테고리와 일반 카테고리는 변경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키워드를 입력하는 사용자들의 최근 관심사에 따라 선택된 카테고리에서의 상기 키워드의 입력 순위를 산출, 제공할 수 있는 검색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의미가 동일 유사한 키워드들을 하나의 키워드 그룹으로 묶고 입력된 키워드가 상기 키워드 그룹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키워드 그룹과 연관된 키워드 입력 회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하는 키워드 입력 순위를 산출, 제공할 수 있는 검색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검색 서비스 시스템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인기 검색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비스 시스템의 네트워크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비스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카테고리 분류 데이터베이스에 유지되는 분류 레코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유지되는 소정의 키워드 그룹 및 상기 키워드 그룹에 대응하는 키워드 입력 회수 데이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비스 시스템이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입력 순위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검색 서비스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검색 서비스 방법을 수행하는 데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 검색 서비스 시스템
310 : 카테고리 분류 데이터베이스 320 : 키워드 데이터베이스
330 : 입력부
340 : 제1 검색부 350 : 제2 검색부
360 : 입력 순위 산출부
370 : 키워드 입력 회수 데이터 갱신부
380 : 출력부 390 : 관리부

Claims (1)

  1. 검색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분류 레코드를 포함하는 카테고리 분류 데이터베이스; -상기 분류 레코드는 소정의 키워드 그룹과 연관된 대표 카테고리 및 상기 키워드 그룹과 연관된 일반 카테고리를 포함함-
    소정의 키워드 그룹 및 상기 키워드 그룹에 대응하는 키워드 입력 회수 데이터를 유지하는 키워드 데이터베이스; -상기 키워드 그룹은 대표 키워드 또는 상기 대표 키워드와 그 의미가 동일 또는 유사한 키워드를 포함함-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키워드를 입력 받기 위한 입력부;
    상기 카테고리 분류 데이터베이스 중에서 상기 입력된 키워드를 포함하는 제1 키워드 그룹과 연관된 대표 카테고리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대표 카테고리와 연관된 제2 키워드 그룹을 결정하기 위한 제1 검색부; -상기 제2 키워드 그룹은 상기 제1 키워드 그룹을 포함함-
    상기 키워드 데이터베이스 중에서 상기 제2 키워드 그룹 및 상기 제2 키워드 그룹에 대응하는 키워드 입력 회수 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한 제2 검색부;
    상기 제2 키워드 그룹 및 상기 제2 키워드 그룹에 대응하는 키워드 입력 회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대표 카테고리 내에서 상기 제2 키워드 그룹의 제2 입력 순위를 각각 산출하는 입력 순위 산출부;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2 입력 순위를 상기 검색된 대표 카테고리 및 상기 제2 키워드 그룹의 대표 키워드와 연관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출력부; 및
    상기 키워드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키워드 데이터베이스 중에서 상기 제1 키워드 그룹에 대응하는 키워드 입력 회수 데이터를 갱신시키기 위한 키워드 입력 회수 데이터 갱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서비스 시스템.
KR1020040013771A 2004-02-28 2004-02-28 카테고리 별 키워드의 입력 순위를 제공하기 위한 검색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0636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3771A KR20050063637A (ko) 2004-02-28 2004-02-28 카테고리 별 키워드의 입력 순위를 제공하기 위한 검색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3771A KR20050063637A (ko) 2004-02-28 2004-02-28 카테고리 별 키워드의 입력 순위를 제공하기 위한 검색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4816A Division KR100452086B1 (ko) 2003-12-22 2003-12-22 카테고리 별 키워드의 입력 순위를 제공하기 위한 검색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3637A true KR20050063637A (ko) 2005-06-28

Family

ID=37255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3771A KR20050063637A (ko) 2004-02-28 2004-02-28 카테고리 별 키워드의 입력 순위를 제공하기 위한 검색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6363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22792A1 (en) * 2007-08-14 2009-02-19 Nhn Corporation Method for proposing advertisement keyword and system thereof
KR100970335B1 (ko) * 2007-08-14 2010-07-15 엔에이치엔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사용자의 관심 키워드를 업데이트 하는 방법과 그 방법을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CN109088195A (zh) * 2018-08-03 2018-12-25 昆山杰顺通精密组件有限公司 二合一usb连接器
KR20210127035A (ko) * 2020-04-13 2021-10-21 네이버 주식회사 급상승 검색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WO2022208481A1 (en) * 2021-04-02 2022-10-06 Pikurate, Ltd. Personalized content curation system and content proposal method based on bookmark history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22792A1 (en) * 2007-08-14 2009-02-19 Nhn Corporation Method for proposing advertisement keyword and system thereof
KR100970335B1 (ko) * 2007-08-14 2010-07-15 엔에이치엔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사용자의 관심 키워드를 업데이트 하는 방법과 그 방법을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CN109088195A (zh) * 2018-08-03 2018-12-25 昆山杰顺通精密组件有限公司 二合一usb连接器
CN109088195B (zh) * 2018-08-03 2023-09-15 昆山杰顺通精密组件有限公司 二合一usb连接器
KR20210127035A (ko) * 2020-04-13 2021-10-21 네이버 주식회사 급상승 검색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WO2022208481A1 (en) * 2021-04-02 2022-10-06 Pikurate, Ltd. Personalized content curation system and content proposal method based on bookmark histor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45317B2 (en) Recommending topic clusters for unstructured text documents
US7698330B2 (en) Search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keyword input frequency by category and method thereof
US8442978B2 (en) Trust propagation through both explicit and implicit social networks
US7716207B2 (en) Search engine methods and systems for displaying relevant topics
US9495460B2 (en) Merging search results
US9479508B2 (en) Efficient indexing and searching of access control listed documents
US20170308792A1 (en) Knowledge To User Mapping in Knowledge Automation System
KR100452086B1 (ko) 카테고리 별 키워드의 입력 순위를 제공하기 위한 검색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664488B2 (en) Semantic searches in a business intelligence system
US20180285448A1 (en) Producing personalized selection of applications for presentation on web-based interface
Jin et al. Personal web revisitation by context and content keywords with relevance feedback
KR100991560B1 (ko) 카테고리 별 키워드의 입력 순위를 제공하기 위한 검색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H11282875A (ja) 情報フィルタリング装置
JP5367872B2 (ja) 選択されたコンテンツアイテムをユーザーに提供する方法
KR20190109628A (ko) 개인화된 기사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Aboulnaga et al. μbe: User guided source selection and schema mediation for internet scale data integration
KR20050063637A (ko) 카테고리 별 키워드의 입력 순위를 제공하기 위한 검색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109106A (ko) 통합 검색 결과를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US10394826B1 (en) System and methods for searching query data
Kulkarni et al. Information retrieval based improvising search using automatic query expansion
CA2715777C (en) Method and system to generate mapping among a question and content with relevant answer
KR101223792B1 (ko) 통합 검색 결과를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16186097A (zh) 数据资产的搜索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