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3416A - 이동 단말기로의 다중 세션 지원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로의 다중 세션 지원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3416A
KR20050063416A KR1020030094820A KR20030094820A KR20050063416A KR 20050063416 A KR20050063416 A KR 20050063416A KR 1020030094820 A KR1020030094820 A KR 1020030094820A KR 20030094820 A KR20030094820 A KR 20030094820A KR 20050063416 A KR20050063416 A KR 20050063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ssion
mobile terminal
base station
packet data
delimi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4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6232B1 (ko
Inventor
이종찬
박순기
송평중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30094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6232B1/ko
Publication of KR20050063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3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6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62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04W80/10Upper layer protocols adapted for application session management, e.g.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세션 지원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다중 세션 지원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SDP(Session Data Protocol) 설정시, 각 프로토콜 계층들을 구분하기 위한 구분자를 세션(Session)에 따라 다르도록 설정하고, 계층별 구분자들을 연계하여 복수의 세션을 구분한다. 그리고, 다중 세션을 처리하기 위하여 주 처리 태스크(Main Handling Task)와 부 태스크(SubTask)를 둔다. 이 태스크들은 서비스 품질(QoS) 속성을 사용하여 세션 단위로 이루어지는 무선 인터페이스 상에서 트래픽 관리를 수행한다. 이를 기반으로 하여 큐잉(queuing)에서부터 수락 제어, 부하 제어, 자원 할당 그리고 스케쥴링이 세션의 우선 순위를 기반으로 처리된다. 이를 통하여, 하나의 이동 단말기에 여러 종류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음성, 영상, 데이터 서비스 등과 같이 서로 다른 자원 할당이 요구되는 서비스들을 공존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로의 다중 세션 지원 방법{METHOD FOR SUPPORTING MULTIPLE SESSIONS TO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로의 다중 세션(SESSION) 지원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자원 할당을 요구하는 응용 서비스를 이동 단말기에서 제공하도록 하는 다중 세션 지원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4G)은 3G와는 완전히 다른, 새로운 시스템으로 보다 고속의 전송률로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단일의 MT(Mobile Terminal : 이동 단말기, 이하 'MT' 라 함)에서 다중 멀티미디어 통신이 가능해야 함을 전제로 하고 있다.
현재, 인터넷 서비스를 기본으로 이루어지는 패킷 서비스는 유무선 망(network)을 막론하고 다양한 형태로 진화되고 있으며, 회선 망을 기본으로 하던 음성 및 영상 서비스들이 패킷 망으로 진화를 시도하고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는 각각 자원의 한계나 성능, 용량 및 효율 등이 서로 다르며, 이를 한 개의 MT에서 지원 가능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패킷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MT도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어야 하고, 동시에 수용되는 이들 서비스들은 서로 다른 무선 자원의 조건을 요구하므로 이들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한 세션(session) 설정이 독립적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MT가 다중 세션을 지원하여 다양한 응용 서비스들이 한 MT에서 동시에 수용될 수 있도록 다중 세션 지원 방법을 제공해야 한다.
이로 인해, 한 MT에서 다양한 응용 서비스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중 세션 지원 방안이 현실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동 단말기로 다중 세션을 지원하여 다양한 응용 서비스를 이동 단말기가 동시에 수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로의 다중 세션 지원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기지국에서의 다중 세션 지원 방법은, 이동 단말기로 패킷 데이터를 전달하거나 수신하는 기지국에서의 다중 세션(SESSION) 지원 방법에 있어서. a)상기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간에 설정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세션을 구분하는 구분자를 적어도 한 개 이상 생성하는 단계; b)상기 생성한 구분자를 상기 설정돤 세션과 상호 매핑시켜 다중 세션 참조 테이블을 통해 관리하는 단계; c)외부로부터 수신된 패킷 데이터와 대응하는 구분자를 검색한 후, 상기 검색한 구분자에 따른 세션을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로 패킷 데이터를 전달하는 단계; 및 d)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요청 받은 패킷 데이터와 대응하는 구분자를 검색한 후, 상기 검색한 구분자에 따른 세션을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다중 세션 참조 테이블은, 상기 설정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세션을 식별할 수 있는 CSID(Caller /Session ID)와 무선 자원 채널의 번호인 RB(Radio Bearer) 번호 및, 네트워크에서의 연결을 식별할 수 있는 NID(Network ID, 구체적으로는 상대측 아이피 주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의 다중 세션 지원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패킷 데이터를 전달받거나 송신하는 이동 단말기에서의 다중 세션(SESSION) 지원 방법에 있어서. a)상기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간에 설정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세션을 구분하는 구분자를 적어도 한 개 이상 생성하는 단계; b)상기 생성한 구분자를 상기 설정돤 세션과 상호 매핑시켜 다중 세션 참조 테이블을 통해 관리하는 단계; c)이동 단말기 사용자가 요청한 패킷 데이터를 상기 다중 세션 참조 테이블을 참조시켜 상기 기지국으로 요청하는 단계; 및 d)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패킷 데이터와 대응하는 구분자를 검색한 후, 상기 검색한 구분자에 따른 세션을 통해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가 동시에 제공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기지국에서의 다중 세션 지원 방법은, 핸드오버(HANDOVER)한 이동 단말기로 패킷 데이터를 전달하거나 수신하는 기지국에서의 다중 세션(SESSION) 지원 방법에 있어서. a)상기 기지국이 관할하는 셀로 핸드오버한 이동 단말기에 대해 상기 이동 단말기와 설정되는 세션 단위별로 서비스 요구를 수락하는 단계; b)상기 기지국이 관할하는 셀로 핸드오버한 이동 단말기에 대해 상기 이동 단말기와 설정되는 세션 단위별로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 c)상기 기지국이 관할하는 셀의 부하량을 세션 단위별로 조정하는 단계; 및 d)상기 설정되는 세션 단위별로 우선 순위를 순차적으로 결정한 후, 상기 결정한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a)단계 내지 상기 c)단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의 다중 세션 설정 방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시되어 있듯이 (a)제어 및 (b)데이터 측면에서의 다중 세션 설정 방법이다.
먼저, 사용자의 신규 서비스 요청에 따라, 이동 단말기(미도시)는 서비스 중인 세션(session)과 신규 서비스에 따른 세션을 구분하기 위해 구분자를 생성한다.
이를 위하여, 이동 단말기는 패킷 서비스가 시작되면 패킷 서비스와 태스크(task)가 활성화되면서 신규 서비스에 따른 관련 데이터가 수신되기를 기다린다.
먼저, 이동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에서 기지국(Access Point, 미도시)으로 신규 서비스를 호출할 때 마다, 세션을 식별할 수 있는 연결 구분자인 CSID(Call/Session ID, 이하 'CSID' 라 함)를 생성하여 관리한다(S110).
이후, 이동 단말기는 어플리케이션에 맞는 SDP(Session Data Protocol, 이하 'SDP' 라 함) 생성을 기지국으로 요구(S111)하며, RRC는 무선 자원(Radio Bearer, 이하 'RB' 라 함) 할당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기지국으로 전달한다(S112).
그리고, 이동 단말기는 네트워크에서의 연결들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인 NID(Network ID, 이하 'NID' 라 함) 할당을 기지국으로 요청(S113)하며, 할당 받은 NID를 해당 CSID와 연관지어 관리한다.
상기한 과정을 통해 여러 개의 세션을 설정하면, CSID와 NID가 여러 개 순차적으로 생성되며, 이동 단말기를 이를 관리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는 관리하는 식별자들을 실질적으로 전달한 무선 자원 채널의 번호인 RB 번호와 연관시켜 관리하며, 이동 단말기에서 서비스 중인 각각의 세션을 구분하여 효율적인 응용 서비스를 제공한다.
자세히 설명하면, 각각의 식별자들은 프로토콜의 각 계층별 구분자들로 사용되며, 이러한 구분자들을 연계하여 복수 개의 세션을 구분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SDP를 설정할 때, 이동 단말기는 CSI, NID 그리고 RB 번호를 사용하여 복수 개의 SDP를 구분할 수 있도록 설정하고, 이를 통하여 데이터 서비스 제공시 응용 계층과 IP(Internet Protocol) 계층 사이에서는 CSID가 사용되고, IP 계층과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이하 'PDCP' 라 함) 계층 사이에서는 NID가 사용된다.
그리고, PDCP 계층과 RLC 계층 사이에서는 RB 번호가 사용되어 복수 개의 서비스 데이터가 대응되는 세션을 통해 전달될 수 있도록 구분된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에서 내부적으로 복수 개의 세션이 설정되어 동시에 여러 가지의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실현될 수 있다. 즉, 한 개의 세션이 설정될 때 마다 SDP가 생성되면서 무선 자원(RB)이 잡히게 되고, 이들은 서로 다른 성능 파라미터를 갖게 되어 요구 사항이 서로 다른 응용 서비스들이 각각 할당되어진 무선 자원을 통하여 제공된다.
다음으로, 이동 단말기가 IM(IP-Multimedia, 이하 'IM' 이라 함) CN 서브 시스템으로 상향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사용자가 요구한 데이터를 인터넷 프로토콜 계층인 TCP/IP 또는 UDP(User Datagram Protocol, 이하 'UDP' 라 함)/IP를 거쳐 PDCP 처리 블록(미도시)으로 전송한다(S131~S133). 이때, 이동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MCS (Multiple Call/Session, 이하 'MSC' 라 함) 테이블을 참조하여 전송한다.
그러면, PDCP 처리 블록은 수신한 MCS 테이블을 참조하여 RB 번호 등을 지정(S134)하여 RLC 블록으로 전달하고, RLC 블록은 수신한 데이터를 다시 MAC/PHY을 통해 이미 할당한 RB를 사용하여 IM CN 서브 시스템으로 전달(S135)한 후, 다시 데이터 수신 모드로 돌아가 데이터 수신을 기다린다.
한편, 이동 단말기가 IM CN 서브시스템으로부터 하향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IM CN 서브시스템은 하향 데이터는 PHY/MAC/RLC을 거쳐 PDCP 블록으로 전달(S140, S141)하며, PDCP 블록은 수신한 하향 데이터에 대해 해당 기능을 처리(S142)한 후, 이를 이동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한다. 그러면, 어플리케이션은 수신한 하향 데이터에 대한 서비스 처리를 수행한다(S143).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S(Access Point)에서의 다중 세션 설정 방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시되어 있듯이 (a)제어 및 (b)데이터 측면에서의 다중 세션 설정 방법이다.
기지국(AP)은 이동 단말기로(MT)로부터 세션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SDP 생성 요구를 수신(S220)하면, SIP(Standard Installation Package, 이하 'SIP' 라 함)는 End-to-End 간의 베어러(bearer) 설정을 수행한다.
이후, SDP 생성 결과가 실패이면, 기지국은 패킷 서비스 시작 단계부터 다시 시작하며, SDP 생성 결과가 성공이면 기지국은 단말기로부터 SDP 생성 결과를 수신 한다(S221).
또한, 무선 단말기로부터 무선 자원 할당 요구(RB 생성 요구) 메시지를 수신(S222)하면, 기지국은 요청 받은 세션에 필요한 무선 자원을 할당하고 그 결과를 무선 단말기로 전송한다(S222, S223).
다음으로, 데이터 측면에서 볼 때, 이동 단말기가 핵심 망으로 하향 데이터를 송신하면, 핵심 망은 사용자가 요구한 데이터를 인터넷 프로토콜 계층인 TCP/IP 또는 UDP/IP를 거쳐 PDCP으로 전송한다(S240). 이때, 저장한 MCS 테이블을 참조한다.
그러면, PDCP 블록은 MCS 테이블을 참조하여 RB 번호 등을 지정하여 RLC 블록으로 전달(S241)하고, RLC 블록은 수신한 데이터를 다시 MAC/PHY을 통해 이미 할당한 RB를 사용하여 이동 단말기로 전달(S242, S243)한 후, 다시 데이터 수신 모드로 돌아가 데이터 수신을 기다린다.
한편, 이동 단말기가 상향 데이터(-서비스 데이터-)를 IM CN 서브 시스템으로 송신하면, IM CN 서브 시스템은 상향 데이터를 하위 프로토콜(PHY/MAC/RLC)을 통해 PDCP 블록으로 전달하며, PDCP 블록은 해당 기능을 처리한 후, TCP/IP 또는 UDP/IP를 통해 IM CN 서브 시스템으로 전달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동 단말기에서 서비스 중인 세션들을 구분하기 위해 구분자를 생성하고,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송수신 요구가 있으면, 그 패킷 서비스에 대응하는 구분자를 이용하여 세션을 구분함으로써 관련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첨부한 도 3과 같이 MCS 테이블을 이용하여 생성한 구분자를 MSC 테이블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도시되어 있듯이, MSC 테이블에는 제1 내지 제3 구분자가 저장 및 관리되는데, 제1 구분자는 각 세션 연결을 식별할 수 있는 CSID, 제2 구분자는 RAN(Radio Access Network)에서 할당하는 RB 번호, 제3 구분자는 네트워크에서 연결들을 식별할 수 있는 NID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동 단말기에서의 다중 세션을 처리하기 위해 주 처리 태스크(Main Handling Task)인 운용 태스크(mCS Manager Task)를 둔다.
첨부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태스크가 세션 요구를 수신하면 이 세션을 처리하기 위한 부 태스크(SubTask)를 생성한다. 생성한 부 태스크들은 서비스 품질(QoS) 속성을 사용하여 흐름(flow) 단위로 이루어지는 무선 인터페이스 상에서 트래픽 관리를 수행한다. 즉, 모든 큐잉(queuing)에서부터 수락 제어, 부하 제어, 자원 할당을 수행하며, 스케쥴링은 하위 태스크의 흐름 단위로 처리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서비스 요구가 운용 태스크에 수신되면 그 절차에 따라 부 태스크를 생성한다.
첨부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 태스크는 우선 사용자의 연결 요구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인증을 득하지 못하면 세션은 종료되고 부 태스크는 휴면(sleep) 상태로 전환한다.
반면, 인증을 득한 경우, 무선 자원의 할당을 요구하고 요구된 세션에 대한 무선 자원을 확보하지 못하면 세션은 종료되고 부 태스크는 휴면(sleep) 상태로 전환한다.
하지만, 무선 자원의 점유가 수락되면 네트워크 자원의 예약 및 설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네트워크 자원 설정이 수락되면, 전달되는 패킷을 처리하기 위한 트래픽 처리 모드로 전환한다.
이후, 서비스 수행 중에 핸드오버가 발생하면 상위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다시 수행하여 수락을 득함으로써, 무선 자원 및 유선 자원을 점유하고 이를 통하여 연속적인 서비스를 수행한다.
이처럼, 수락 제어, 자원 할당 및 핸드오버 등과 같은 각각의 알고리즘에 적합한 처리(각각의 독립된 제어 또는 연관된 제어)를 수행하기 위하여 서비스 요구에 의해 부 태스크를 생성하면, 부 태스크는 그 서비스에 알맞은 3 가지의 우선 순위(클래스내의 우선 순위, 이동 단말기 내의 우선 순위 및, 셀 내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이에 따라 첨부한 도 6과 같은 세션간 서비스 품질(QoS) 우선 순위 테이블을 갱신한다.
한편, 이동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4 세대 시스템(예를 들어, HMm 시스템 및 IMT-2000 등)은 다양한 트래픽 특성을 갖는 트래픽들을 동시에 전송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제4 세대 시스템은 트래픽들을 그 서비스 품질에 맞추어 이를 보장할 수 있는 전송 서비스를 망에서 제공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제4 세대 시스템은 대표적인 몇 개의 서비스 클래스를 정의하고 세션을 그 특성에 따라 맞는 QoS 클래스에 할당한다. 따라서, 각 서비스 요구시에 그 서비스 클래스를 결정하고, 이에 따라 그 서비스의 클래스 내의 우선 순위, 이동 단말기 내의 우선 순위, 셀 내 우선 순위를 순차적으로 결정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핸드오버에 따른 수락 제어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동 단말기의 위치 이동으로 발생하는 핸드오버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는 다양한 형태의 채널/부하 환경을 가진다. 즉, 낮은 부하를 가진 셀로부터 높은 부하를 가진 셀 영역으로 이동하면, 이동 단말기의 다중 세션이 요구하는 각각의 서비스 품질을 보장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핸드오버 상황에서의 이동 단말기는 핸드오버를 하지 않은 상황에서와 같은 일정한 수준의 서비스 품질을 보장해야 하기 때문에 각 세션 단위로 수락 제어를 수행한다. 이는, 도 6의 이동 단말기 내 세션간 우선 순위(session Priority within)에 근거하여 수락 제어를 수행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신규 세션 요구시 수락 제어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빈번한 핸드오버 상황에서 무선 인터페이스 로드가 지나치게 증가하도록 허용한다면, 셀의 영역이 계획된 값 이하로 줄어들게 되어 현재 연결되어 있는 서비스의 질을 보장할 수 없다.
따라서, 수락의 기본 방침은 모든 세션에 최소 전송률을 보장할 수 있을 정도의 서비스 요구를 수락하는 것이다. 즉, 최소 전송률 값은 핸드오프를 포함한 어떠한 경우에도 보장해 주어야 하는 값으로서, 신규 요구가 수락되었을 경우 기존의 클래스 트래픽의 지연에 영향을 주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며, 자신 또한 지연 한계가 보장될 경우에만 수락한다.
이와 같이, 각 세션의 서비스 품질을 지원해야 하므로 세션 단위로 수락 제어 및 자원 할당 수행하고 각 세션의 서비스 클래스 수락 조건에 근거하여 수락 제어 및 자원 할당을 수행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부하 제어-전송률 감소에 따른 동작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RT(총 자원 사용량)>R+0이면, 부하 제어 알고리즘이 동작한다. 즉, 부하 제어 알고리즘은 현재 사용 중인 자원량을 줄여 RT가 R0이하로 낮아지도록 조정한다.
자원을 재할당하는 방법은, 도 6의 셀 내 세션간 우선 순위가 낮은 순서(LL > LH > HL > HH의 우선 순위별)로 RT가 R0이하로 낮아질 때까지 전송률을 줄인다.
여기서, LL과 LH는 실시간 서비스 클래스를 의미하고, LH는 LL에 비하여 손실에 더 강한 클래스를 의미한다. 그리고, HL과 HH는 비실시간 서비스 클래스를 의미하고, HH는 HL에 비하여 손실에 더 강한 클래스를 의미한다.
또한, 전체 전송량을 재조정할 때 각 서비스에 허용된 최소 전송률을 보장해야 한다. 이에 따라, 전송률을 재할당하고자 하는 서비스 클래스의 세션을 전송률의 오름차순으로 정렬하고, RT가 R0이하가 될 때까지 최소 전송률을 계산하여 할당한다.
다음으로,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부하 제어-전송률 증가에 따른 동작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RT<R-0인 상태가 일정 시간 계속되면 부하 제어 알고리즘이 수행되어 할당량을 R0 한도 내에서 증가시킨다.
전송량의 증가는 도 6의 셀 내 세션간 우선 순위가 높은 순서(LL > LH > HL > HH의의 우선 순위별)로 수행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로의 다중 세션 지원 방법은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기로 다중 세션을 지원하여 다양한 응용 서비스를 이동 단말기가 동시에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이동 단말기로 하여금 음성에서부터 영상 및 데이터 서비스와 같은 서로 다른 자원 할당이 요구되는 서비스들을 공존시킬 수 있다.
도면과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로의 다중 세션 지원 방법은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기로 다중 세션을 지원하여 다양한 응용 서비스를 이동 단말기가 동시에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이동 단말기로 하여금 음성에서부터 영상 및 데이터 서비스와 같은 서로 다른 자원 할당이 요구되는 서비스들을 공존시킬 수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의 다중 세션 설정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AS(Access Point)에서의 다중 세션 설정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SC 테이블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 및 부 태스크의 동작 과정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션별 우선 순위 테이블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핸드오버에 따른 수락 제어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 수락 제어 및 자원 할당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Claims (10)

  1. 이동 단말기로 패킷 데이터를 전달하거나 수신하는 기지국에서의 다중 세션(SESSION) 지원 방법에 있어서.
    a)상기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간에 설정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세션을 구분하는 구분자를 적어도 한 개 이상 생성하는 단계;
    b)상기 생성한 구분자를 상기 설정돤 세션과 상호 매핑시켜 다중 세션 참조 테이블을 통해 관리하는 단계;
    c)외부로부터 수신된 패킷 데이터와 대응하는 구분자를 검색한 후, 상기 검색한 구분자에 따른 세션을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로 패킷 데이터를 전달하는 단계; 및
    d)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요청 받은 패킷 데이터와 대응하는 구분자를 검색한 후, 상기 검색한 구분자에 따른 세션을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기지국에서의 다중 세션 지원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세션 참조 테이블은,
    상기 설정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세션을 식별할 수 있는 CSID(Caller /Session ID)와 무선 자원 채널의 번호인 RB(Radio Bearer) 번호 및, 네트워크에서의 연결을 식별할 수 있는 NID(Network 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에서의 다중 세션 지원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설정된 세션별로 상기 CSID와 RB 번호 및 NID를 각각 매핑시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에서의 다중 세션 지원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i)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기지국간의 SDP(Session Data Protocol)를 설정하는 단계;
    ii)상기 이동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 및
    iii)상기 할당한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적어도 패킷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기지국에서의 다중 세션 지원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iii)단계는,
    인터넷 프로토콜 계층인 응용 계층에서부터 IP(Internet Protocol) 계층 사이의 패킷 데이터는 상기 CSID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IP 계층과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 사이의 패킷 데이터는 상기 NID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PDCP 계층과 RLC 계층 사이의 패킷 데이터는 상기 RB 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기지국에서의 다중 세션 지원 방법.
  6. 기지국으로부터 패킷 데이터를 전달받거나 송신하는 이동 단말기에서의 다중 세션(SESSION) 지원 방법에 있어서.
    a)상기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간에 설정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세션을 구분하는 구분자를 적어도 한 개 이상 생성하는 단계;
    b)상기 생성한 구분자를 상기 설정돤 세션과 상호 매핑시켜 다중 세션 참조 테이블을 통해 관리하는 단계;
    c)이동 단말기 사용자가 요청한 패킷 데이터를 상기 다중 세션 참조 테이블을 참조시켜 상기 기지국으로 요청하는 단계; 및
    d)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패킷 데이터와 대응하는 구분자를 검색한 후, 상기 검색한 구분자에 따른 세션을 통해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가 동시에 제공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서의 다중 세션 지원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세션 참조 테이블은,
    상기 설정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세션을 식별할 수 있는 CSID(Caller /Session ID)와 무선 자원 채널의 번호인 RB(Radio Bearer) 번호 및, 네트워크에서의 연결을 식별할 수 있는 NID(Network 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에서의 다중 세션 지원 방법.
  8. 핸드오버(HANDOVER)한 이동 단말기로 패킷 데이터를 전달하거나 수신하는 기지국에서의 다중 세션(SESSION) 지원 방법에 있어서.
    a)상기 기지국이 관할하는 셀로 핸드오버한 이동 단말기에 대해 상기 이동 단말기와 설정되는 세션 단위별로 서비스 요구를 수락하는 단계;
    b)상기 기지국이 관할하는 셀로 핸드오버한 이동 단말기에 대해 상기 이동 단말기와 설정되는 세션 단위별로 무선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
    c)상기 기지국이 관할하는 셀의 부하량을 세션 단위별로 조정하는 단계; 및
    d)상기 설정되는 세션 단위별로 우선 순위를 순차적으로 결정한 후, 상기 결정한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a)단계 내지 상기 c)단계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기지국에서의 다중 세션 지원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설정되는 세션 단위별로 서비스 클래스를 각각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한 서비스 클래스 내의 우선 순위를 각각 결정하는 단계;
    상기 핸드오버한 이동 단말기 내의 세션 단위별 우선 순위를 각각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이 관할하는 셀 내의 세션 단위별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기지국에서의 다중 세션 지원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실시간 클래스>상기 실시간 클래스보다 손실에 더 강한 클래스>비실시간 클래스>상기 비실시간 클래스보다 손실한 더 강한 클래스의 순서에 따라 상기 셀 내의 부하량을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기지국에서의 다중 세션 지원 방법.
KR1020030094820A 2003-12-22 2003-12-22 이동 단말기로의 다중 세션 지원 방법 KR100586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4820A KR100586232B1 (ko) 2003-12-22 2003-12-22 이동 단말기로의 다중 세션 지원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4820A KR100586232B1 (ko) 2003-12-22 2003-12-22 이동 단말기로의 다중 세션 지원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3416A true KR20050063416A (ko) 2005-06-28
KR100586232B1 KR100586232B1 (ko) 2006-06-07

Family

ID=37255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4820A KR100586232B1 (ko) 2003-12-22 2003-12-22 이동 단말기로의 다중 세션 지원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623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562B1 (ko) * 2007-04-11 2008-03-2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Sip 기반의 세션 처리를 수행하는 단말장치 및 이를이용한 세션 협상 요청 송/수신 방법
KR100820852B1 (ko) * 2006-11-27 2008-04-11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의 콜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894906B1 (ko) * 2007-04-18 2009-04-3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세션 설정 프로토콜 기반의 ip 멀티미디어 서비스를제공하는 단말장치, 호 세션 제어 기능 장치 및 이를이용한 서비스 요청 송/수신 방법
KR100985612B1 (ko) * 2005-11-08 2010-10-05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동적 다중 파티의 다중 매체 통신 세션의 자동 조정의 컴퓨터 구현 방법, 동적 다중 파티의 다중 매체 통신 세션을 자동 조정하는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CN101971673A (zh) * 2008-03-13 2011-02-09 京瓷株式会社 通信终端、通信系统、切换处理方法以及程序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612B1 (ko) * 2005-11-08 2010-10-05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동적 다중 파티의 다중 매체 통신 세션의 자동 조정의 컴퓨터 구현 방법, 동적 다중 파티의 다중 매체 통신 세션을 자동 조정하는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0820852B1 (ko) * 2006-11-27 2008-04-11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의 콜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815562B1 (ko) * 2007-04-11 2008-03-2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Sip 기반의 세션 처리를 수행하는 단말장치 및 이를이용한 세션 협상 요청 송/수신 방법
WO2008127018A1 (en) * 2007-04-11 2008-10-23 Kt Corporation Terminal unit for handling session on the basis of session initiation protocol,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reof
US8135845B2 (en) 2007-04-11 2012-03-13 Kt Corporation Terminal unit for handling session on the basis of session initiation protocol,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reof
KR100894906B1 (ko) * 2007-04-18 2009-04-3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세션 설정 프로토콜 기반의 ip 멀티미디어 서비스를제공하는 단말장치, 호 세션 제어 기능 장치 및 이를이용한 서비스 요청 송/수신 방법
CN101971673A (zh) * 2008-03-13 2011-02-09 京瓷株式会社 通信终端、通信系统、切换处理方法以及程序
US8594045B2 (en) 2008-03-13 2013-11-26 Kyocera Corpo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handover process method, and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6232B1 (ko) 2006-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36354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improved packet flow mobility
US8953596B2 (en) Conserving network capacity by releasing QoS resources
US9204333B2 (en) Partitioning entity and method for partitioning capacity
AU739717B2 (en) Dynamic quality of service reserv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EP1649643B1 (en) Distributed quality-of-service management system
JP5373027B2 (ja) 複数の要求に基づくQoS処理の提供
US8098622B2 (en) Method for requesting resource and scheduling for uplink traffic in mobile communication and apparatus thereof
JP2007520131A (ja) Utran無線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無線リソース管理方法、コアネットワークサービスノード、および無線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制御装置
US9319320B2 (en) Traffic flow establishment method and device and traffic flow modification method and device
JP2008533805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拡張リアルタイムポーリングサービスの上りリンク資源割り当て要請方法
KR102275579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차별화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80096875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자원 할당 제어방법
KR20110030506A (ko) 통신 시스템 내에서의 리소스들의 할당
KR100942799B1 (ko) 트래픽 처리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8515262A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リソースの割り当て
US20070086384A1 (en) Method of setting up quality of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JP2004535747A (ja) パケット伝送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umtsコールを処理する方法、およびumtsネットワークのための、前記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ノード
WO2003075523A1 (en) Quality of service management in packet data networks
KR100783045B1 (ko) 데이터 전송 방법, 시스템, 기지국, 가입자국, 데이터 처리장치, 컴퓨터 프로그램 배포 매체 및 기저대역 모듈
KR100586232B1 (ko) 이동 단말기로의 다중 세션 지원 방법
Radics et al. Insight based dynamic QoE management in LTE
JP5242792B2 (ja) ハンドオーバプロセスの期間中またはハンドオーバプロセスの準備中にサービス品質メカニズムをサポートする方法
US20100069078A1 (en) Method of controlling call setup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30160585A (ko) 제어평면(cp)의 리소스 운영 장치 및 사용자평면(up)의 장치, 리소스 운영 방법
Luton et al. Support of mobile TV over an HSPA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