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3245A - 영상 촬영시 배경 음악 삽입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영상 촬영시 배경 음악 삽입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3245A
KR20050063245A KR1020030094626A KR20030094626A KR20050063245A KR 20050063245 A KR20050063245 A KR 20050063245A KR 1020030094626 A KR1020030094626 A KR 1020030094626A KR 20030094626 A KR20030094626 A KR 20030094626A KR 20050063245 A KR20050063245 A KR 20050063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image
processing unit
signal
au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4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준영
신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30094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63245A/ko
Publication of KR20050063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324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부호화하는 영상처리부와, 입력되는 음원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아날로그 음원 신호로 변환하는 음원처리부와, 음원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음원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 후 부호화하는 오디오처리부와,
선택된 음원 데이터를 해당 데이터베이스에서 독출하여 상기 음원처리부로 출력 처리하는 음원제어부와,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 데이터와 상기 오디오처리부에서 입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매칭시켜 메모리에 저장하는 기록재생제어부를 포함하며 장치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영상 촬영시 배경 음악 삽입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ble to including background music when an image is shot}
본 발명은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 특히 휴대폰은 그 목적이 사람이 휴대하고 다니면서 간편하게 다른 사람들과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휴대폰에 부가적인 기능에 대한 기술이 발전하면서, 현재 휴대폰은 SMS 서비스를 이용한 문자메시지, 게임, 카메라를 이용한 사진 및 영상 촬영, 무선 인터넷 접속을 통한 다양한 컨텐츠를 다운로드 할 수 있다. 즉, 기본적으로 전화통화를 하기 위한 휴대폰이 멀티미디어화되가고 있는 것이다.
특히 디지털 카메라가 대중화되면서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폰(카메라폰)도 대중화되가고 있는 추세이다. 카메라폰이란 초소형 디지털 카메라가 장착되어 있어 사진을 찍을 수 있도록 만들어진 휴대폰이다. 카메라가 휴대폰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항상 가지고 다닐 수 있고, 별다른 기술 없이도 자유 자재로 사진을 찍을 수 있다. 이러한 성능으로 인해 카메라폰은 일반 휴대폰보다 상대적으로 고가임에도 갈수록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카메라폰은 단순히 사진만을 찍을 수 있는 제품부터 30분 길이의 동영상을 찍을 수 있는 제품, 26만 컬러 액정화면과 디지털 줌 기능을 갖춘 제품 등 종류와 성능도 다양하다.
도 1은 종래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100)와, 표시부(110)와, 메모리(120), 통신부(130), 오디오처리부(140), 영상처리부(150),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조작부(100)는 다이얼 및 번지 지정을 위한 다수의 숫자키와, 무선 인터넷 접속키와 같은 다수의 기능키를 포함하며 각 키 버튼 누름시마다 키데이터를 발생하여 제어부(170)로 전송한다. 표시부(110)는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로 제어부(170)에 의해 발생되는 문자, 영상 등을 표시한다.
메모리(120)는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데이터가 저장되는 롬 영역과, 단말기 제어동작시 발생하는 데이터들이 일시 저장되는 램 영역 그리고 외장형 저장장치 영역으로 구분되어 제어부(170)에 의해 액세스 제어된다. 통신부(130)는 기지국과 단말기간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무선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통신부(130)는 베이스밴드의 송신신호를 무선 출력용의 고주파 신호로 주파수 대역을 천이시키고 이를 증폭하여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으로 무선 출력하며, 또한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고주파 신호를 베이스밴드로 주파수 대역을 천이시킨다.
오디오처리부(140)는 동작모드에 따라 마이크(MIC)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음성 인코딩을 포함하는 처리를 수행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음성 메모리(도면에 도시하지 않음)로 전달할 수도 있다. 아울러 오디오처리부(140)는 제어부(170)를 통해 복조된 음성신호에 대해 음성 디코딩을 포함하는 처리를 수행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오디오처리부(140)는 증폭기, 필터 등의 아날로그 회로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회로,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회로 및 음성 압축/신장 모듈을 포함하는 펌웨어 모듈을 포함한다.
영상처리부(150)는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처리한다. 영상처리부(150)는 일반적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필터 등의 아날로그 회로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회로, 디지털 신호처리기(DSP : Digital Signal Process), 영상 압축 모듈을 포함한다. 제어부(170)는 일반적으로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현되며, 메모리(120)에 저장된 시스템 동작동작프그램 데이터에 따라 동작된다.
이러한 구성들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카메라를 사용하여 영상을 촬영하고자 조작부(100)의 버튼을 조작하면, 제어부(170)는 영상 촬영 모드를 설정한다. 사용자가 영상 촬영 모드에서 카메라를 통해 피사체(촬영 대상자)를 촬영하면 촬영 대상자의 영상은 영상처리부(150)에서 디지털 영상 신호로 변환되고, 부호화된다. 오디오처리부(140)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촬영 대상자의 음성을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에 의해 디지털 음성 데이터로 변환 및 부호화한다.
제어부(170)는 영상처리부(150)에서 부호화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와 오디오처리부(140)에서 부호화된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매칭시켜 메모리(120)에 저장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영상처리부(150)에서 부호화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표시부(110)에 표시되도록 처리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부(110)에 표시되는 영상을 보며 촬영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에는 촬영 대상자의 영상과 음성만을 처리하기 때문에 영상 촬영시 분위기가 단조롭고, 또한 촬영된 영상을 재생하는 경우에도 촬영 당시의 분위기가 느껴지지가 않는다. 따라서 본원 출원인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촬영시, 그리고 촬영된 영상 재생시에 단조로운 분위기를 해소하고자 하는 방안을 모색하던 중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에서 도출된 것으로, 영상 촬영시와 촬영된 영상 재생시 단조로운 분위기를 해소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영상 촬영시 배경 음악 삽입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는 키입력을 통해 영상 촬영 모드를 선택한 후, 단말기 내에 저장된 배경음악 중 촬영하고자 하는 영상과 어울릴 만한 배경음악을 선택한다. 사용자는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해 영상을 촬영하게 되고, 단말기 제어부는 선택된 배경음악을 촬영되는 영상과 매칭하여 저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촬영된 영상을 재생하는 경우에, 영상과 매칭되는 배경음악이 포함된 오디오가 스피커를 통해 재생됨으로써, 촬영된 영상의 단조로운 분위기를 바꿀 수 있고, 자신만의 셀프영상이나 뮤직비디오 등을 제작할 수 있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과 대응되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부호화하는 영상처리부(150)와,
입력되는 음원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아날로그 음원 신호로 변환하는 음원처리부(160)와,
음원처리부(160)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음원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 후 부호화하는 오디오처리부(140)와,
선택된 음원 데이터를 해당 데이터베이스에서 독출하여 음원처리부(160)로 출력 처리하는 음원제어부(175)와, 영상처리부(150)에서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 데이터와 오디오처리부(140)에서 입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매칭시켜 메모리(120)에 저장하는 기록재생제어부(172)를 포함하며 장치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데에 있어서, 도 1과 중복되는 부분, 즉 표시부(110), 조작부(100), 메모리(120), 영상처리부(15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필수 구성인 통신부(130)가 포함됨은 자명하며, 이에 대한 설명 또한 상술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음원처리부(160)는 mp3 등과 같은 음원 파일을 재생하는 데 이용되는 전용 디코더이다. 음원처리부(16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음원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아날로그 음원 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변환된 아날로그 음원 신호를 오디오처리부(140)로 출력한다. 오디오처리부(140)는 음원처리부(160)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 후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부호화한다.
제어부(170)는 기록재생제어부(172)와 음원제어부(175)를 포함한다. 우선 사용자가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조작부(100)의 키를 조작하면, 제어부(170)는 이동통신 단말기 상태를 영상 촬영 모드로 설정한다. 그러면 음원제어부(175)는 바람직한 일 예에 따라 메모리(120)내 해당 데이터베이스(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 리스트(배경음악 리스트)를 독출하여 표시부(110)에 표시되도록 처리한다. 음원 데이터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무선 인터넷 접속을 통해 음원 제공 사이트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사용자가 조작부(100) 조작을 통해 표시부(110)에 표시된 음원 데이터 리스트 중 특정 음원 데이터를 선택하면, 음원제어부(175)는 선택된 음원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아날로그 음원 신호로 변환한다. 음원제어부(175)는 변환된 아날로그 음원 신호를 상술한 오디오처리부(140)로 출력한다.
기록재생제어부(172)는 영상과 오디오의 기록 및 동기화 처리에 필요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 복원하여 영상처리부(150)와 오디오처리부(140)를 제어한다. 그리고 기록재생제어부(172)는 영상처리부(150)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 데이터와 오디오처리부(140)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매칭시켜 메모리(120)에 저장한다.
사용자가 조작부(100)를 조작하여 촬영되어 저장된 영상을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에, 제어부(170)는 촬영 영상 재생 모드를 설정한다. 제어부(170)는 바람직하게 저장된 촬영 영상 리스트가 표시부(110)에 표시되도록 처리한다. 사용자가 표시부(110)에 표시된 촬영 영상 리스트로부터 특정 영상을 선택하면, 기록재생제어부(172)는 메모리(120)에 매칭되어 저장된 영상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독출한다. 기록재생제어부(172)는 독출된 영상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표시부(110)에 표시되도록 출력하며, 독출된 음원 데이터를 오디오처리부(140)로 출력 처리한다.
이 때 기록재생제어부(172)는 영상과 오디오의 동기화에 필요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 및 복원하여 표시부(110)로의 영상 출력과 오디오처리부(140)를 제어한다. 오디오처리부(140)는 음원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촬영된 영상을 재생시에 LCD 창을 통해 영상을 보게 되고,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배경음악을 듣게 되므로 분위기 있는 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오디오처리부(140)는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함께 처리한다. 오디오처리부(140)는 마이크로부터 촬영 대상자의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입력받고, 음원처리부(160)로부터 아날로그 음원 신호를 입력받는다.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와 아날로그 음원 신호는 함께 믹싱 처리되고, 오디오처리부(140)는 믹싱 처리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 후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부호화한다.
이 경우에 촬영 대상자의 영상과 음성의 동기 처리가 중요하므로, 기록재생제어부(172)는 동기화에 필요한 제어 데이터를 생성, 복원해서 영상처리부(150)와 오디오처리부(140)를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촬영된 영상을 재생시에 LCD 창을 통해 영상을 보게 되고,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배경음악 및 자신의 영상과 동기화된 목소리를 들을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음원처리부(160)는 변환된 아날로그 음원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사용자가 상술한 바에 따라 영상 촬영시 배경음악을 선택하는 경우에, 바람직하게 선택된 배경음악을 스피커를 통해 재생할 것인지 또한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조작부(100)를 통해 배경음악을 재생할 것을 명령하면, 음원제어부(175)는 음원처리부(160)에서 처리된 아날로그 음원 신호를 오디오처리부(140)로 입력되도록 함과 동시에 해당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스피커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구비되는 통화시 스피커일 수 있고, 아니면 별도로 구비되는 스테레오용 스피커일 수 있다. 또한 이어잭 단자에 연결되는 이어-스피커일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영상 촬영시 촬영 분위기를 높일 수 있으며, 촬영된 영상 재생시 촬영 당시의 분위기를 느낄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촬영된 영상에 배경음악을 함께 매칭하여 저장함으로써, 촬영된 영상을 재생하는 경우에 영상의 분위기를 살릴 수 있다.
또한 영상 촬영시 단말기 내에 저장된 배경음악을 스피커를 통해 재생함으로써, 촬영당시의 분위기를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조작부 110 : 표시부
120 : 메모리 130 : 통신부
140 : 오디오처리부 150 : 영상처리부
160 : 음원처리부
170 : 제어부
172 : 기록재생제어부 175 : 음원제어부

Claims (3)

  1. 카메라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부호화하는 영상처리부와;
    입력되는 음원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아날로그 음원 신호로 변환하는 음원처리부와;
    상기 음원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음원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 후 부호화하는 오디오처리부와;
    선택된 음원 데이터를 해당 데이터베이스에서 독출하여 상기 음원처리부로 출력 처리하는 음원제어부와,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입력되는 디지털 영상 데이터와 상기 오디오처리부에서 입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매칭시켜 메모리에 저장하는 기록재생제어부를 포함하며 장치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시 배경음악 삽입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처리부가 :
    상기 음원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음원 신호를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와 함께 믹싱 처리하여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 후 부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시 배경음악 삽입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음원처리부가 :
    변환된 아날로그 음원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시 배경음악 삽입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30094626A 2003-12-22 2003-12-22 영상 촬영시 배경 음악 삽입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500632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4626A KR20050063245A (ko) 2003-12-22 2003-12-22 영상 촬영시 배경 음악 삽입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4626A KR20050063245A (ko) 2003-12-22 2003-12-22 영상 촬영시 배경 음악 삽입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3245A true KR20050063245A (ko) 2005-06-28

Family

ID=37255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4626A KR20050063245A (ko) 2003-12-22 2003-12-22 영상 촬영시 배경 음악 삽입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6324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6060B1 (ko) 휴대단말기의 데이터를 외부장치로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
US9237278B2 (en) Image/audio playback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WO2004084527A1 (ja) 放送受信機能及び電話通信機能を有する携帯機器
WO2005069618A1 (en) Portable audio/video system for mobile devices
KR20070012059A (ko) 휴대단말기의 화상통화모드에서 감정표시 방법
KR100684918B1 (ko) 음악 파일을 재생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100041108A (ko) Udta 정보를 이용한 MP4 동영상 연속 촬영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JP2005064592A (ja) 携帯通信端末
KR100640429B1 (ko) 다기능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232537B1 (ko) 화상통신 단말기 및 화상통신 단말기에서 화상통신 방법
JP2006211570A (ja) 撮影装置
KR20050063245A (ko) 영상 촬영시 배경 음악 삽입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365862B1 (ko) 휴대용 이동무선 단말기에서 뮤직기능 구현방법
KR10059398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동영상 표시방법
KR100630101B1 (ko) 휴대단말기에서 다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홈 씨어터 제어방법
KR20070046620A (ko) 카메라를 이용하여 뮤직 비디오를 제작하는 방법 및이동통신 단말기
KR101023301B1 (ko) 휴대단말기에서 mp3파일 편집 및 전송방법
KR10058010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촬영영상 녹화방법
KR100617825B1 (ko) 휴대 단말기에서 mp3파일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KR100762634B1 (ko) 휴대단말기에서 미디어데이터 생성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100605995B1 (ko) 휴대 단말기에서 음성메모수행 방법
KR10059414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영상 데이터 재생방법
KR100644434B1 (ko) 영상촬영 시 배경음악 삽입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그 제어방법
KR100735342B1 (ko)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단말기에서 영상 표시 방법 및 장치
JP2004328241A (ja) 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