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2318A - 공개 플랫폼 기반의 게이트웨이 상에서의 멀티 서비스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개 플랫폼 기반의 게이트웨이 상에서의 멀티 서비스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2318A
KR20050062318A KR1020040011329A KR20040011329A KR20050062318A KR 20050062318 A KR20050062318 A KR 20050062318A KR 1020040011329 A KR1020040011329 A KR 1020040011329A KR 20040011329 A KR20040011329 A KR 20040011329A KR 20050062318 A KR20050062318 A KR 200500623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home gateway
user
management system
ho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1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6398B1 (ko
Inventor
강신육
박호진
이일우
김재명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050062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2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6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63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4Switching of informat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Abstract

공개 플랫폼 기반의 게이트웨이 상에서의 멀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이 개시된다. 홈 게이트웨이는 서비스 수행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을 수신 한 후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서비스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며 서비스 사용자 측에 구비된다. 서비스 관리부는 홈 게이트웨이를 등록받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서비스 정보를 등록받으며, 등록된 서비스 정보 중 상기 서비스 사용자로부터 신청받은 서비스의 수행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을 홈 게이트웨이로 전송한다. 이로써, 새롭고 다양한 서비스들을 홈 게이트웨이의 변경이나 재설치 없이 손쉽게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개 플랫폼 기반의 게이트웨이 상에서의 멀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for providing multi-service at open platform based gateway and system therefor}
본 발명은 멀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네트워크 상에서 운영되는 공개 플랫폼 기반의 홈 게이트웨이 상에서 원격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홈 네트워크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종래의 인터넷상에서 가능한 다양한 서비스들을 어떻게 통합하여 어떠한 기법 하에 전달하는 지가 중요한 논의점이 되고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홈 서비스들을 살펴보면, VoD 의 경우 서비스 제공자 별로 상이한 코덱과 플레이어를 사용하고 있기에 많은 불편함을 사용자에게 준다. 사용자는 각기 다른 서비스 제공자들에 가입을 해야하며, 그러한 제공자들에 따라 각기 다른 플레이어를 다운받아 설치하여야 하며, 그러한 설치 과정에서 충돌이 발생할 경우 이에 대한 해결책을 찾기가 쉽지 않다.
이에 대한 첫 번째 해결책으로 표준화를 들 수 있지만, 이는 서비스 제공자들의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에 걸림돌이 될 수 있으며, 많은 조사 기간과 다양한 이해 관계에 따른 합의점 도출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두 번째 해결책으로 대형 ISP(Internet Service Provider)를 활용하는 방법이다. 대형 ISP에서 각자 가입된 사용자들에 대해서는 모든 서비스를 자신들의 표준에 따라 제공하는 것이다. 이는 쉽게 서비스 통합을 이룰 수 있는 방법이지만 특정 사업자와 계약한 서비스의 경우 그러한 ISP 업체에 가입하지 않은 사용자는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가능한 방법은 개방형 구조를 이용하는 것이다. 현재 기간망을 포함한 많은 망이 개방형을 지향하고 있는 만큼 이를 활용하면 다양한 서비스 제공자들의 서비스를 개방형 플랫폼 상에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종래의 홈 게이트웨이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들의 경우 초기에 게이트웨이 상에서 제공하기로 정해졌던 서비스들만이 제공되고, 다른 서비스들을 새롭게 제공하고자 할 경우에는 게이트웨이 상에 새로운 프로그램을 올린다던가 새로운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의 홈 게이트웨이에서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이에 대한 지원을 위해 전문 A/S 기사의 출장이 이루어져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제거하기 위해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업체에서 서비스에 이용되는 장치를 개발하고 이를 원격에서 관리할 수 있는 방법들을 개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홈 게이트웨이를 통해 제어되는 장치들이 점점 많아지고 장치에 대한 원격 관리를 모두 각각의 서비스 제공자가 수행하는 경우 시스템 충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하나의 서비스 제공자가 홈 게이트웨이를 관리하면서 모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앞으로 계속 생겨날 다양한 서비스의 수용이 힘들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에 서비스 제공자마다 홈 게이트웨이의 설치 및 서비스 제공을 위한 각각의 응용 프로그램 설치에 따른 불편함을 제거하여 다수의 서비스 제공자가 손쉽게 서비스를 제공하며 서비스 제공자의 역할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하기 위한 멀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서비스 제공 방법의 일 실시예는, (a) 서비스 사용자 측에 구비된 공개형 플랫폼 기반의 홈 게이트웨이를 등록받는 단계; (b)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서비스 정보를 등록받는 단계; (c) 상기 등록된 서비스 정보 중 상기 서비스 사용자로부터 신청받은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을 상기 홈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홈 게이트웨이의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서비스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일 실시예는, 서비스 수행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을 수신 한 후 상기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서비스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서비스 사용자 측에 구비된 홈 게이트웨이; 및 상기 홈 게이트웨이를 등록받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서비스 정보를 등록받으며, 상기 등록된 서비스 정보 중 상기 서비스 사용자로부터 신청받은 서비스의 수행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을 상기 홈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서비스 관리부;를 포함한다.
이로써, 새롭고 다양한 서비스들을 홈 게이트웨이의 변경이나 재설치 없이 손쉽게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서비스 제공자(100), 서비스 관리 시스템(110), 홈 게이트웨이(120) 및 서비스 사용자(130)로 구성된다.
서비스 제공자(100)는 컨텐츠(비디오)를 댁내로 전달하는 서비스인 VoD(Video on Demnad) 서비스, 댁내 보안과 관련되는 서비스의 일종인 홈 뷰어 서비스, 댁 외부에서 각종 가정용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는 원격 제어 서비스 또는 원격 진료 서비스등을 제공한다. 이 외에 서비스 제공자는 홈 네트워크를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관리 시스템(110)은 홈 게이트웨이(120) 및 서비스 제공자(100)의 서비스를 등록받는다. 서비스 관리 시스템(11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비스 사용자(130) 및 서비스 제공자(100)와 연결되므로 웹 페이지를 통해 손쉽게 등록을 받을 수 있다.
먼저, 홈 게이트웨이(120)를 등록받는 경우를 살펴본다.
서비스 관리 시스템(110)은 공개 플랫폼 기반의 홈 게이트웨이를 가진 서비스 사용자(130)로부터 온 라인 또는 오프라인 등을 통하여 등록요청을 받는다. 서비스 관리 시스템(110)은 서비스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입력받으며, 서비스 사용자의 개인 신용 정보를 바탕으로 서비스 이용에 문제가 없는 사용자라고 판단되면 등록을 승인한다. 개인 정보에는 서비스 사용자(130) 측의 홈 게이트웨이(120) 정보가 포함된다.
그리고, 홈 게이트웨이(120)는 서비스 사용자(130)에 의해 작동이 개시되면 초기화를 수행한다. 그리고, 서비스 사용자(130)가 서비스 관리 시스템(110)으로 등록 승인을 받은 후, 홈 게이트웨이(120)는 자신의 위치 정보 및 네트워크 주소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서비스 관리 시스템(110)으로 전송하여 등록한다. 이 관리 정보에는 서비스 관리 시스템(110)이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으로 홈 게이트웨이(120)를 관리하는데 필요한 정보가 포함된다.
서비스 관리 시스템(110)은 홈 게이트웨이(120)로부터 관리 정보를 수신하면, 서비스 사용자(130)로부터 등록받은 정보 및 관리 정보를 기초로 서비스 사용자 측의 정당한 홈 게이트웨이인지 파악한다. 정당한 홈 게이트웨이면, 서비스 관리 시스템(110)은 홈 게이트웨이 관리를 위한 응용 프로그램(이하, '관리용 번들'이라고 한다)을 홈 게이트웨이(120)로 전송하고 설치한다.
이 때, 홈 게이트웨이(120)는 공개 플랫폼 기반이며 응용 프로그램(이하, '번들'이라고 한다)은 공개 플랫폼 상의 정해진 규약에 따라 설치된다. 홈 게이트웨이에 관리용 번들을 설치한 후 서비스 관리 시스템(110)은 설치된 관리용 번들을 통해 메시지를 주고 받으면서 홈 게이트웨이(120)를 원격에서 관리한다.
홈 게이트웨이(120)가 공개 플랫폼을 사용하는 것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게이트웨이 상에서 서비스를 제어할 수 있는 번들의 형태가 정해진 표준에 맞게 구성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번들은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장치들에 대한 드라이버와 서비스 구동에 필요한 프로그램의 집합체이므로 서비스 제공자들은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에 따라 공개 플랫폼에 맞는 응용 프로그램(번들)을 개발하기만 하면 된다. 개발된 번들은 공개 플랫폼 상에서 구동이 되므로 공개 플랫폼이 수행되는 어떠한 홈 게이트웨이 상에서도 개발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비스 제공자(100)의 서비스를 등록받는 경우를 살펴본다.
서비스 관리 시스템(1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 정보를 등록받는다. 또한, 서비스 관리 시스템(110)은 각각의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이하, '서비스용 번들'이라고 한다)을 등록받는다. 서비스 관리 시스템(110)은 등록된 서비스용 번들이 공개 플랫폼에서 정상 동작하는지 검증한다. 그리고, 서비스 관리 시스템(110)은 검증 완료 후 서비스 정보를 웹 페이지 등을 통해 서비스 사용자(130)에게 광고한다.
이상에서, 서비스 사용자(130) 및 서비스 제공자(100)의 서비스 등록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하에서, 서비스 사용자(130)의 서비스 신청에 따른 서비스 제공과정에 대해 살펴본다.
서비스 사용자(130)는 서비스 관리 시스템(110)이 제공하는 서비스 정보 중에서 서비스 받고자 하는 서비스를 선택하고 신청한다. 그러면, 서비스 관리 시스템(110)은 신청된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서비스용 번들을 서비스 사용자의 홈 게이트웨이(120)로 전송하고 설치한다.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서비스용 번들은 서비스 사용자의 시스템에 적합한 드라이버와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며, 홈 게이트웨이(120)의 공개 플랫폼에서 동작한다.
서비스 사용자(130)가 신청한 서비스는 홈 게이트웨이(120)의 서비스용 번들을 통해 서비스 사용자(130)에게 제공된다.
종래의 서비스 제공 방법의 경우 서비스별로 포털 사이트를 구축하고 정해진 게이트웨이 상의 프로그램에 의해서만 운용되므로 새로운 서비스에 대한 적용과 새로운 장치에 대한 지원이 어려웠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댁내의 다양한 장치들에 대한 드라이버를 원격에서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키고 인증 기능과 서비스 제공 및 운용, 게이트웨이 관리까지 서비스 관리 시스템에서 이루어지므로 효과적인 서비스 적용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관리 시스템에 홈 게이트웨이를 등록하는 과정의 일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비스 관리 시스템(110)은 서비스 사용자(130)가 서비스 관리 시스템(110)의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서비스 등록 신청을 하면(S200) 소정의 정보를 입력받고 서비스 사용자(130)의 개인 신용 정보를 바탕으로 서비스 이용에 문제가 없는 자라로 판단이 될 경우 서비스 사용 신청 등록을 승인한다(S210).
서비스 사용자(130)가 등록된 후 서비스 사용자(130) 측의 홈 게이트웨이(120)는 작동을 시작하여 초기화를 수행한다(S220). 서비스 관리 시스템(110)은 서비스 사용자(130) 측의 홈 게이트웨이(120)의 초기화를 감지한다. 그리고, 초기화가 완료된 홈 게이트웨이(120)는 서비스 관리 시스템(110)으로 자신의 위치 정보 및 네트워크 주소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전송한다(S230). 서비스 관리 시스템(110)은 홈 게이트웨이(120)로부터 전송받은 관리 정보와 서비스 사용자(130)로부터 등록시 입력받은 정보를 기초로 홈 게이트웨이(120)가 서비스 사용자(130) 측의 홈 게이트웨이인지 확인한 후 홈 게이트웨이(120)를 등록한다.
그러면, 서비스 관리 시스템(110)은 홈 게이트웨이(120)의 네트워크 주소를 이용하여 홈 게이트웨이 관리를 관리용 번들을 홈 게이트웨이(120)로 전송하여 설치한다. 관리용 번들은 홈 게이트웨이의 공개 플랫폼에서 구동되며, 서비스 관리 시스템(110)은 관리용 번들을 통해 홈 게이트웨이(120)를 관리한다(S250).
즉, 홈 게이트웨이(120)에 설치된 관리용 번들은 홈 게이트웨이(120)의 상태를 주기적 또는 연속적으로 체크하여 그 결과를 서비스 관리 시스템(110)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관리용 번들은 홈 게이트웨이(120)에 문제가 발생하면 관리용 번들의 재설치를 요구한다. 홈 게이트웨이(120)에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용 번들에 장애가 발생하면 관리용 번들은 이 사실을 서비스 관리 시스템(110)으로 전송하고,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용 번들의 재설치를 요구한다. 또한, 서비스 관리 시스템(110)은 새로운 기능의 제공을 위해 관리용 번들을 재설치하거나 서비스용 번들이 갱신되어야 할 경우에 홈 게이트웨이(120)에 미리 설치된 관리용 번들을 통해 이를 수행한다.
도 3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신청한 서비스가 제공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자(100)는 공개 플랫폼을 가진 홈 게이트웨이로 제공될 수 있도록 서비스를 번들형태로 개발한다. 홈 게이트웨이(120)에서의 서비스 제공을 위해 개발된 번들(300)은 서비스 관리 시스템(110)의 웹 페이지를 통해 등록된다(S320,S500).
서비스 관리 시스템(110)은 서비스 관리 시스템(110)에 등록된 서비스 정보와 서비스 번들이 홈 게이트웨이(120)의 공개 플랫폼에서 제대로 동작하는지 검증한다(S510). 검증이 완료되면, 서비스 관리 시스템(110)은 홈 페이지를 통해 서비스 사용자(130)에게 새로운 서비스에 대해 광고한다(S520). 서비스 관리 시스템(110)은 서비스 제공자(100)의 서비스 등록을 위한 웹 페이지 및 서비스 사용자에게 서비스 광고를 위한 웹 페이지를 별도로 구비하여 관리한다.
서비스 관리 시스템(110)은 서비스 사용자(130)가 서비스 관리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에 접속하면 등록된 새로운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시하여 서비스 사용자로 하여금 신청하게 한다.
서비스 사용자(130)는 광고를 통해 알게된 서비스를 서비스 관리 시스템(110)의 웹 페이지를 통해 신청한다(S530). 서비스 관리 시스템(110)은 홈 게이트웨이(120)상에 이미 설치된 관리용 번들(310)을 통해 홈 게이트웨이(120)에 신청한 서비스를 위한 번들(300)을 설치하고 이를 원격에서 관리한다(S330,S540).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홈 게이트웨이(120)에 설치된 서비스용 번들(300)은 서비스 사용자(130)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필요한 모든 드라이버와 기능들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서비스 사용자(130)는 홈 게이트웨이(120)에 설치된 서비스용 번들(300)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받는다(S550).
도 4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관리 시스템이 홈 게이트웨이를 원격에서 관리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비스 관리 시스템(110)은 서비스 사용자의 댁내에 설치된 홈 게이트웨이(120)의 상태를 항상 측정한다(S600). 서비스 관리 시스템(110)은 홈 게이트웨이(120)의 상태를 알고 있어야만 서비스가 가능할 경우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서비스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원격에서 홈 게이트웨이(120)의 적절한 제어를 통해 다시 서비스가 가능한 상태로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서비스 관리 시스템(110)은 홈 게이트웨이(120)의 등록시 홈 게이트웨이(120)로 관리용 번들(400)을 전송하여 설치한다. 관리용 번들(400)은 수시로 홈 게이트웨이(120)의 상태를 체크하여 그 상태를 서비스 관리 시스템(110)으로 전달하며, 홈 게이트웨이(120)에 문제가 발생하면(S610), 관리용 번들(410)의 재설치를 요구한다(S620).
홈 게이트웨이(120)의 문제가 관리용 번들(410)에 있지 않고 서비스를 수행하는 서비스용 번들(420)에서 발생하는 경우에(S630), 관리용 번들(410)은 서비스 관리 시스템(110)에 이러한 문제점을 메시지를 통해 전달하고 필요한 경우 서비스용 번들(420)의 재설치를 요구한다(S640).
또한, 새로운 기능의 제공을 위해 관리용 번들(410)이나 서비스용 번들(420)이 갱신되어야 할 경우에 서비스 관리 시스템(110)은 관리용 번들(410)을 통한 원격 제어 아래 이를 수행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필요성 및 기능에 대해 살펴본 후 다양한 디지털 홈 서비스에 대해 살펴본다.
도 7은 개방형 홈 네트워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디지털 홈 서비스 관리 시스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현재의 서비스들은 다양한 사업자들의 다양한 기반 하에 제공되고 있다. 이는 서비스는 제공자들의 입장에서는 차별화를 꾀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여지가 많아지지만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많은 불편함을 가져온다. 서비스 별로 상이한 서비스 제어, 관리 방식을 가지므로 멀티 서비스들의 수용이 어려워지고, 신규 서비스의 제공은 현재 운용중인 서비스 프레임워크의 관리 방식의 변경을 요구하게 되므로 서비스 개선 및 발전에 지장을 준다. 또한, 특정 장비 업체(예를 들어, 게이트웨이 개발 업체)의 장비에 의존적으로 모든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한다.
이러한 문제점은 개방형이라는 개념을 적용하게 되면 쉽게 해결이 가능한다. 단일 플랫폼 상에서 멀티 서비스들의 수용이 가능한다.
DSM(Digital-Home Service Management) 시스템, 즉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관리 시스템은 OSGi(www.osgi.org)라는 공개 플랫폼을 택해 다양한 서비스들의 수용 측면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이러한 서비스들을 통함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즉, 서비스 관리 시스템은 여러 서비스 제공자의 다양한 서비스가 가입자에게 원활하게 제공되도록 서비스 라이프 사이클 관리 및 QoS 제어 등의 서비스 관리를 담당하며, 서비스 제공자가 수행해왔던 서비스 가입자 및 게이트웨이에 대한 관리를 대행하는 시스템이다.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기능은 크게 서비스 사용자/제공자 관리 및 서비스 게이트웨이의 관리를 위한 서비스 관리 기능과, 서비스 품질 보장을 위한 서비스 분배 기능으로 나눌 수 있다. 본 기능들은 WAN 내에 위치한 별도의 서버에 구현되며, 서비스 분배 기능은 효율적인 QoS 및 트래픽 제어를 위하여 가입자 액세스 망상의 에리(Edge) 스위치 또는 라우터를 제어하는 형태로 동작한다.
개방형 구조에 대한 이해를 도기 위해 간략한 설명을 더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이용하는 게이트웨이에 공개 플랫폼인 OGSi가 적용된다. 적용된 OSGi는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장치들을 관리하게 되는데 이렇게 관리되는 장치들은 관리 및 동작을 위해 장치들마다 다른 드라이버를 요구하게 된다. 이러한 것들을 위해 OSGi가 스팩으로 정해놓은 드라이버 표준(OSGi에서는 번들 스펙이라 부른다)에 따라 장비를 사용하는 서비스 제공자들은 그에 대한 번들(응용 프로그램)만 같이 개발해 주면 이에 대한 관리 및 제어의 몫은 서비스 관리 시스템이 맡게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는 서비스에 대해 살펴본다.
1) VoD 서비스
VoD(Video on Demand) 서비스는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컨텐츠(비디오)를 댁내에 전달하는 서비스이다. 많은 홈 서비스들 중에 현실적으로 수익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된 서비스이다. 이에 대한 서비스 제공 방안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우선 서비스 제공자는 자신의 VoD 서버에 있는 영화 정보(컨텐츠 정보)와 이러한 서버상의 컨텐츠를 게이트웨이 상에서 플레이시키기 위한 번들을 서비시 관리 시스템에 등록한다. 서비스 사용자가 서비스 관리 시스템이 제공하는 사용자 포털을 통해 들어오게 되면 새로운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는 얻게 되고, 사용자는 새로운 컨텐츠에 대한 서비스들을 신청하게 된다.
그러면, 서비스 관리 시스템은 서비스를 제어, 관리하기 위한 번들을 게이트웨이 상으로 전달하여 설치 작업까지 진행하게 된다. 전달된 번들에는 신청한 VoD를 제공하는 서버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므로 게이트웨이는 직접 서비스 제공자의 컨텐츠 서버로 컨텐츠를 요구하게 되고, 컨텐츠는 TV나 모니터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다시 말해, 사용자는 단순히 TV 나 PC로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사용자 포털에 들어가서 서비스만 신청하면 되고, 그 외의 모든 작업은 서비스 관리 시스템과 번들 사이에서 처리된다. 과금 및 인등 등의 기탕 과정들은 서비스 관리 시스템 내에서 자동으로 처리된다.
이로써, 다양한 컨텐츠를 가진 서비스 제공자들은 자신의 컨텐츠 정보와 번들만 서비스 관리 시스템에 등록하면 되므로 쉽게 다양한 컨텐츠 제공이 이루어진다.
2) 홈 뷰어 시스템
홈 뷰어 서비스는 댁내 보안과 관련되는 서비스의 일종으로 집을 비운 사용자가 PDA, 노트북, 핸드폰 등을 통해 댁내의 설치된 카메라로 자신의 집 내부를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이에 대한 서비스 제공 방안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움직임 자동감지 기능과 보안 업체로의 자동연락 기능들을 이 서비스에 추가하게 되면 댁내에 불법으로 침입한 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방범 업체에 신고하는 기능까지 구현 가능하다.
서비스 제공자는 앞서 설명한 VoD 서비스와 마찬가지로 번들과 댁내 카메라를 납품하면 된다. 사용자는 외부에서 서비스 관리 시스템이 제공하는 홈뷰어 포털을 통해 접속하고 서비스를 신청한다. 서비스 요구가 있으며 서비스 관리 시스템은 댁내의 게이트웨이에 카메라 제어 및 관리에 필요한 번들을 내려 보내게 된다. 이 때, 홈 뷰어 서비스의 경우 바로 게이트웨이 상에 사용자 인터페이스(UI)까지 포함시켜 내려보낸다.
사용자의 서비스 사용 요청이 들어오면 서비스 관리 시스템은 게이트웨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사용자를 연결시켜 주고, 사용자는 직접 카메라가 보내주는 영상을 게이트웨이 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볼 수 있다. 인증 과정이 서비스 관리 시스템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외부 침입자가 이러한 서비스를 몰래 이용하는 경우를 막을 수 있다.
서비스 관리 시스템 상에 현재 설치된 카메라의 경우 네트워크 카메라로서 상하 조절 및 줌 기능까지 포함될 수 있다. 그러만 굳이 이런 고가의 카메라가 아니더라도 쉽게 구할 수 있는 웹 카메라와 같은 경우에도 그에 맞는 번들만 서비스 제공자가 개발하게 되면 이러한 서비스를 쉽게 제공할 수 있다.
3) 원격 제어 서비스
원격 제어 서비스는 댁내 혹은 외부에서 각종 가정용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예를 들어, 원격에서 전등을 켠다던가, 세탁기 및 에어콘과 같은 장비들을 컨트롤 한다던가 하는 것이다.) 홈네트워크 사업에서 가장 많은 시연을 보인 사업으로 이를 위해서는 가정용 기기들의 개발이 따라줘야 한다. 이에 대한 서비스 제공 방안은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서비스 제공자는 각종 댁내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번들과 댁내 장치들을 납품한다. 이러한 장치들은 장치에 따라 각종 규격에 따른다. 댁내 전원 공급선을 사용하는 PLC 부터 RF 무선통신, 최근에는 Blue Tooth를 이용할 수 있다.사용자는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사용자 포털을 통해 인증 과정을 거치고 원격 제어 서비스를 신청한다.
서비스가 신청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는 웹 서비스 번들과 제어 번들이 사용자의 게이트웨이로 전달되고 설치되어 댁내 장치 제어 및 관리에 이용된다. 사용자는 서비스 신청 후 외부에서도 게이트웨이 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댁내 장치를 직접 제어할 수 있다.
댁내 장치를 제어하는 경우 가스 밸브 및 문을 열고 닫는 등 중요한 오퍼레이션이 일어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일어나는 모든 오퍼레이션에 대해 로그 및 이벤트를 모두 저장하고 있으며, 인증시에 단순히 ID/Password 기반으로 하지 않고 인증서를 사용하는 등 신중을 기해 서비스를 제공한다.
4) 원격 진료 서비스
원격 진로 서비스는 댁내에서 의료 장비를 통해 자신의 건강 상태를 체크하고 이를 원격 서버에 저장한 다음 의료 면허자가 이러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댁내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체크해 주는 서비스이다. 이에 대한 서비스 제공 방안은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서비스 제공자는 원격 진료 서버와 원격 진료 장비(혈압계, 맥박계 등) 그리고 이러한 원격 진료 장비들로부터 데이터를 모을 수 있고, 사용자 인터페이스ㅡㄹ 가지고 있는 번들을 제공한다. 그 후 이러한 서비스를 서비스 관리 시스템에 등록하고 추후 발생한 과금 정보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돈을 받는다. 사용자의 앞의 모든 서비스와 마찬가지로 서비스를 신청하는 절차부터 시작한다.
서비스 신청 후 번들이 게이트웨이 상에 설치되게 되고 사용자는 서비스 관리 시스템 상의 서비스 포털로 들어가면, 원격 진료, 서비스 웹 화면을 볼 수 있다. (여기서 만일 지난 번에 이미 측정한 데이터가 있다면 그에 대한 의사의 지시사항을 볼 수 있다.) 이 화면에서 지시하는 바대로 원격진료 장비를 사용자가 움직이게 되고, 측정된 데이터는 자동으로 원격진단 서버에 저장된다. 원격 진단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는 의료행위 면허자의 인증 및 진단과정을 거치게 되고, 진단 결과는 서비스 관리 시스템에 사용자가 로그인하였을 경우 화면상으로 제공된다.
이로써, 서비스 관리 시스템 상에서 제공되는 네 가지 서비스에 대해 살펴보았다. 서비스 자체는 굳이 개방형 구조로 가지 않더라도 구현될 수 있으나, 다양한 서비스를 통합하여 관리하고, 사용자에게는 단순한 신청만을 위한 노력으로 모든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구조가 필수적이다.
인증은 모든 시스템의 기반이 되는 것으로 과금 등과 같은 크리티컬한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특히, 홈 네트워크처럼 댁 외부에서 댁내 장치들을 보고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는 더욱더 중요하다.
이러한 인증을 위해 서비스 관리 시스템은 TLS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및 보안, 인증서 기반의 사용자 인증, 게이트웨이 인증을 위한 RSH 프로토콜 및 내부 네트워크를 안전을 위한 VPN을 사용한다. 도 13은 RSH 프로토콜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TLS는 사용자가 웹을 통해 접근을 시도할 때 인증 및 보안 채널을 확보하기 위해 사용된다. 대부분의 웹 브라우져에서 지원하는 표준 스펙이다. 서비스 관리 시스템이 TLS를 적용할 때 웹 페이지 전체를 암호화하는 기법을 사용하지 않고 암호화할 중요한 데이터만을 암호화시켜서 전송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인증서 기반의 사용자 인증은 ID/Password 를 기반으로 TLS 만으로 인증이 가능하지만 원격제어와 같은 극도의 보안이 필요한 서비스들도 동시에 제공되고 있으므로 사용자 인증에 사용하도록 한다.
내부 네트워크의 경우 현재는 사설 네트워크 망으로 운영하고 있어 보안의 문제가 없는 trusted domain 이나 차후 시스템 적용에 있어 VPN 및 ISP 업체의 사설명을 이용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 단의 인증 및 보안은 OSGi R3에서 정하고 있는 RSH 프로토콜을 따른다. OSGi에서 권고하는 RSH 프로토콜은 홈 게이트웨이의 기기 특성을 고려하여 자체적으로 설계한 프로토콜로서, HMAC 및 3DES를 이용하여 메시지 인증과 메시지 근원지 인증을 동시에 제공하는 프로토콜이다.
RSH는 HTTP의 GET request/response 구조에 적용 가능하며, RSH를 이용한 모든 메시지는 근원지 인증을 위한 서명과 메시지 비밀성을 위한 암호화가 적용된다.
홈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고 관리하는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기본 구조에서부터 실제적으로 다양한 서비스들이 전달되고 처리되는 방법,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 필연적으로 필요하게되는 인증 기법에까지 살펴보았다.
정리하면, 서비스 관리 시스템은 개방형 홈 네트워크의 핵심 장비이고, 여러 서비스 제공자의 다양한 서비스가 가입자에게 원활하게 제공되도록 서비스 라이프 사이클 관리 및 QoS 제어 등의 서비스 관리를 담당하며, 종래의 서비스 제공자가 수행해왔던 서비스 가입자 및 게이트웨이에 대한 관리를 대행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방형 플랫폼을 가진 홈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 새로운 서비스를 홈 게이트웨이의 변경이나 재설치없이 쉽게 적용시킬 수 있다. 다양한 서비스들을 손쉽게 제공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자 또한 서비스의 관리 및 유지보수 보다는 개발에 집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개방형 플랫폼을 이용하므로 어떠한 서비스 제공자도 손쉽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절차에서 서비스 제공자의 역할을 최소화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극대화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관리 시스템에 홈 게이트웨이를 등록하는 과정의 일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
도 3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신청한 서비스가 제공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4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관리 시스템이 홈 게이트웨이를 원격에서 관리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개방형 홈 네트워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디지털 홈 서비스 관리 시스템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VoD 서비스 제공 방안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홈 뷰어 서비스가 제공되는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원격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원격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흐름을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13은 RSH 프로토콜을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8)

  1. (a) 서비스 사용자 측에 구비된 공개형 플랫폼 기반의 홈 게이트웨이를 등록받는 단계;
    (b)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서비스 정보를 등록받는 단계;
    (c) 상기 등록된 서비스 정보 중 상기 서비스 사용자로부터 신청받은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을 상기 홈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홈 게이트웨이의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서비스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 프로그램은 상기 서비스 사용자의 시스템에 적합한 드라이버 및 기능을 포함하며 상기 공개 플랫폼에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서비스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a2) 상기 등록 요청의 승인 후 상기 홈 게이트웨이의 네트워크 주소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등록 받는 단계; 및
    (a3) 상기 홈 게이트웨이 관리를 위한 응용 프로그램을 상기 홈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를 등록받는 단계;
    (b2) 상기 서비스가 공개 플랫폼에서 정상 동작하는지 검증하는 단계; 및
    (b3) 상기 서비스를 상기 서비스 사용자에게 광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서비스 제공 방법.
  5. 서비스 수행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을 수신 한 후 상기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서비스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기 서비스 사용자 측에 구비된 홈 게이트웨이; 및
    상기 홈 게이트웨이를 등록받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서비스 정보를 등록받으며, 상기 등록된 서비스 정보 중 상기 서비스 사용자로부터 신청받은 서비스의 수행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을 상기 홈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서비스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 프로그램은 상기 서비스 사용자의 시스템에 적합한 드라이버 및 기능을 포함하며 상기 홈 게이트웨이의 공개 플랫폼에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리부는 상기 서비스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서비스 등록 요청을 승인한 후 상기 홈 게이트웨이의 네트워크 주소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정보를 등록받고, 상기 홈 게이트웨이 관리를 위한 응용 프로그램을 상기 홈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리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를 등록받고 상기 서비스가 공개 플랫폼에서 정상 동작하는지 검증한 후, 상기 서비스를 상기 서비스 사용자에게 광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040011329A 2003-12-18 2004-02-20 공개 플랫폼 기반의 게이트웨이 상에서의 멀티 서비스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5963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3112 2003-12-18
KR20030093112 2003-1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2318A true KR20050062318A (ko) 2005-06-23
KR100596398B1 KR100596398B1 (ko) 2006-07-03

Family

ID=37254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1329A KR100596398B1 (ko) 2003-12-18 2004-02-20 공개 플랫폼 기반의 게이트웨이 상에서의 멀티 서비스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639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896B1 (ko) * 2006-05-24 2007-09-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원격 홈서비스설치 방법
KR100785789B1 (ko) * 2005-12-07 2007-12-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상 홈 게이트웨이를 포함한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시스템을 이용한 긴급상황 처리 방법
KR101042110B1 (ko) * 2007-12-26 2011-06-16 주식회사 케이티 이에스비를 이용하는 오픈 소스 중계 장치 및 이를구비하는 시스템과 방법, 상기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저장된 기록매체
WO2012055132A1 (zh) * 2010-10-25 2012-05-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进行业务平台部署的系统及方法
KR101304593B1 (ko) * 2008-12-22 2013-09-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액세스 노드와 가입자 게이트웨이, 그리고 이들을 포함하는 다수 사업자용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액세스 망에서의 다수 사업자 서비스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09350A2 (en) 2000-07-26 2002-01-3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erver-based multi-standard home network bridging
JP2002247668A (ja) 2001-02-16 2002-08-30 Tomoo Sumi 制御装置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受信方法
KR100445658B1 (ko) * 2002-03-20 2004-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개의 통신규격이 사용되는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및 그 동작방법
KR100493883B1 (ko) * 2003-01-02 2005-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애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485809B1 (ko) * 2003-03-07 2005-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비스 게이트웨이 시스템 및 그 사용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789B1 (ko) * 2005-12-07 2007-12-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상 홈 게이트웨이를 포함한 통합관리 시스템 및 그시스템을 이용한 긴급상황 처리 방법
KR100757896B1 (ko) * 2006-05-24 2007-09-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원격 홈서비스설치 방법
KR101042110B1 (ko) * 2007-12-26 2011-06-16 주식회사 케이티 이에스비를 이용하는 오픈 소스 중계 장치 및 이를구비하는 시스템과 방법, 상기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저장된 기록매체
KR101304593B1 (ko) * 2008-12-22 2013-09-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액세스 노드와 가입자 게이트웨이, 그리고 이들을 포함하는 다수 사업자용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 액세스 망에서의 다수 사업자 서비스 제공 방법
WO2012055132A1 (zh) * 2010-10-25 2012-05-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进行业务平台部署的系统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6398B1 (ko) 2006-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8418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network support services and premises gateway support infrastructure
JP4960500B2 (ja) ユニバーサル・プラグアンドプレイ拡張部
KR100596398B1 (ko) 공개 플랫폼 기반의 게이트웨이 상에서의 멀티 서비스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40033392A (ko)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