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2147A - 드럼 세탁기 - Google Patents

드럼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2147A
KR20050062147A KR1020030093828A KR20030093828A KR20050062147A KR 20050062147 A KR20050062147 A KR 20050062147A KR 1020030093828 A KR1020030093828 A KR 1020030093828A KR 20030093828 A KR20030093828 A KR 20030093828A KR 20050062147 A KR20050062147 A KR 20050062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tub
hot air
washing machine
shield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3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6613B1 (ko
Inventor
홍상욱
전시문
장재원
임희태
김영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3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6613B1/ko
Publication of KR20050062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2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6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66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08Humidity
    • F26B21/086Humidity by condensing the moisture in the drying medium, which may be recycled, e.g. using a heat pump cy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럼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드럼 내에 유입되는 열풍의 유량 손실 및 열 손실을 최소화시키고, 드럼의 용량을 상대적으로 증가시키고, 열기가 터브와 도어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키는 드럼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세탁수를 저장하도록 캐비닛 내에 설치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의 세탁수가 유/출입되도록 통공이 형성되는 드럼; 상기 터브의 내면과 드럼의 외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드럼과 터브 사이에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는 차폐부재; 상기 터브에 연결되어 상기 드럼 내에 열풍을 공급하고, 그 내부에 열풍을 발생시키도록 히터 및 송풍팬이 내장되는 건조덕트; 그리고, 상기 터브와 건조덕트에 연결되어, 상기 터브 내의 공기를 건조덕트에 재유입시키는 응축덕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드럼 세탁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드럼 세탁기{drum type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드럼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드럼 내부로 유입되는 열풍의 유량 손실 및 열 손실 최소화시키며, 내부 공간을 상대적으로 증가시키고, 열기가 터브와 도어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키는 드럼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럼세탁기는 세제, 세탁수 및 세탁물을 드럼 내에 투입한 상태에서,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드럼을 회전시켜 세탁물을 세탁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드럼세탁기는 세탁물의 손상이 적고 세탁물이 잘 엉키지 않으며, 두드리고 비벼빠는 세탁효과를 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종래의 드럼세탁기에 관하여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드럼 세탁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드럼 세탁기는 전면에 세탁물 투입구가 형성된 케비닛(1)과, 상기 케비닛의 세탁물 투입구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2)와, 상기 케비닛 내부에 세탁수를 저장하도록 설치되는 터브(3)와, 상기 터브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4)과, 상기 터브에 설치되어 상기 드럼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모터장치(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어(2)에는 터브(3)의 개구부측으로 돌출되도록 도어 글래스(2a)가 설치된다.
상기 모터장치로는 모터에서 발생되는 구동력을 벨트에 의해 세탁축에 전달하여 드럼을 회전시키는 간접구동방식을 적용하거나, 모터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바로 세탁축에 전달하여 드럼을 회전시키는 직접구동방식을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 터브(3)는 댐퍼(6)와 서스펜션 스프링(7)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댐퍼(6)와 서스펜션 스프링(7)은 케비닛의 보강 패널 및 베이스에 고정된다.
상기 터브(3)의 상부에는 건조덕트(1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건조덕트(10)에는 열풍을 토출할 수 있도록 송풍팬(11)과 히터(12)가 내장된다. 이러한 건조덕트(10)의 일단부는 터브의 도어측 개구부와 연통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건조덕트의 일단부와 터브의 개구부는 가스켓(13)에 의해 연결된다. 이러한 가스켓은 터브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며, 상기 터브의 진동을 수용하도록 주름진 형상을 갖는다. 이에 따라, 상기 건조덕트와 터브의 연결부를 통해 열풍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터브(3)에는 건조덕트(10)와 연통되도록 응축덕트(2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응축덕트(20)의 일단부는 터브(3)의 외면에 연결되고, 상기 응축덕트(20)의 타단부는 건조덕트(10)에 연결된다. 이러한 응축덕트(20)에는 공기 중의 습기를 응축수키도록 냉각수를 공급하는 급수기(21)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드럼 세탁기는 세탁행정, 헹굼행정, 탈수행정 및 건조행정을 수행한다. 이하, 드럼 세탁기의 건조행정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드럼 세탁기의 건조행정이 시작되면, 상기 건조덕트(10)의 히터(12)에 전원이 인가된다. 이때, 상기 송풍팬(11)과 히터(12)가 가동됨에 따라 상기 송풍팬(11)은 열풍을 송풍시킨다.
이러한 열풍은 건조덕트(10)의 안내에 의해 상기 도어 글래스(2a)의 경사진 부분에 부딪혀 상기 드럼(4)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드럼 내의 열풍은 세탁물을 가열하여 세탁물에 함유된 수분을 증발시킨다. 이때, 상기 드럼이 저속으로 회전되면서 세탁물을 교반시켜줌으로써, 상기 세탁물이 골고루 가열되도록 하여 수분의 증발을 돕는다.
이렇게 증발된 수분은 공기에 포함된 상태로 응축덕트(20)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상기 응축덕트(20)의 급수기(21)에서 물을 분사함으로써, 공기 중의 습기를 제거한다. 이렇게 건조된 공기는 다시 건조덕트(10)에 유입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세탁물을 건조시킨다.
그러나, 종래 드럼 세탁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상기 건조덕트의 열풍은 도어 글래스에 부딪치면서 드럼 내부에 유입되므로, 상기 드럼과 터브 사이의 공간으로 열풍의 일부분이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드럼 내로 유입되는 열풍의 유량 손실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상기 터브와 드럼 사이의 열풍은 세탁물을 가열하기 전에 상기 터브를 먼저 가열하므로, 상기 드럼 세탁기의 열 손실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상기 건조덕트의 토출부를 진동하는 터브에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가스켓을 설치하므로, 상기 열풍의 유로저항이 증대되어 건조성능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넷째, 상기 건조덕트의 열풍은 가스켓을 거쳐 상기 도어 글래스의 경사진 부분에서 절환되어 드럼에 유입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상기 도어와 터브가 불필요하게 가열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도어와 터브의 화학적 변형을 초래할 수 있다.
다섯째, 상기 건조덕트의 토출부와 가스켓의 설치 구조에 의해, 상기 드럼의 전단부가 후퇴된 형상을 갖는다. 이에 따라, 상기 드럼의 내부 용량이 상대적으로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여섯째, 상기 건조덕트의 토출부에는 변형이 자유로운 가스켓을 사용하므로, 상기 가스켓의 피로파괴로 인한 신뢰성을 저해할 수 있다.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드럼 내에 유입되는 열풍의 유량 손실 및 열 손실을 최소화시키고, 드럼의 용량을 상대적으로 증가시키고, 열기가 터브와 도어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키는 드럼 세탁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세탁수를 저장하도록 캐비닛 내에 설치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의 세탁수가 유/출입되도록 통공이 형성되는 드럼; 상기 터브의 내면과 드럼의 외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드럼과 터브 사이에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는 차폐부재; 상기 터브에 연결되어 상기 드럼 내에 열풍을 공급하고, 그 내부에 열풍을 발생시키도록 히터 및 송풍팬이 내장되는 건조덕트; 그리고, 상기 터브와 건조덕트에 연결되어, 상기 터브 내의 공기를 건조덕트에 재유입시키는 응축덕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드럼 세탁기를 제공한다.
상기 건조덕트는 상기 터브의 전방에 형성된 열풍 유입구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드럼의 전방 테두리에는 테두리를 따라 상기 열풍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열풍이 유입되도록 열풍 흡입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열풍 흡입홀의 반경방향 외측에 형성된다.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터브의 전방 내면 또는 상기 드럼의 전방 외면에 원형 고리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예컨대,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터브의 전방 내면으로부터 상기 드럼의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터브의 전방 내면 또는 상기 드럼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터브의 후방 내면으로부터 상기 드럼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터브의 전방 내면으로부터 상기 드럼의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된 제1차폐부재; 상기 터브의 전방 내면으로부터 상기 드럼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된 제2차폐부재; 그리고, 상기 터브의 후방 내면으로부터 상기 드럼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된 제3차폐부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드럼 세탁기의 일실시예에 관해 첨부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럼 세탁기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드럼 세탁기의 차폐부재의 설치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4는 도 2의 차폐부재의 변경된 설치예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드럼 내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6은 차폐부재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와 설치된 경우에 상기 드럼 내에서 공기 풍량 변화를 나타낸 표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드럼 세탁기는 크게 터브(53), 드럼(56), 건조덕트(60) 및 응축덕트(70) 및 차폐부재(W)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터브(53)는 세탁수를 저장하도록 캐비닛(51)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캐비닛의 세탁물 투입구에는 도어(52)가 설치되고, 상기 도어에는 도어 글래스(52a)가 설치된다.
상기 터브(53) 내부에는 회전 가능하도록 드럼(56)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터브의 전방 테두리에는 열풍 유입구(5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터브의 상측에는 열차단용 브라켓(55)이 설치된다.
상기 드럼(56)에는 세탁수를 드럼(56) 내외로 유/출입시키도록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드럼(56)의 전방 테두리에는 테두리를 따라 열풍 흡입홀(57)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열풍 흡입홀(57)은 열풍 유입구(54)와 연통된다.
상기 터브(53)의 외측에는 건조덕트(60)가 설치된다. 상기 건조덕트의 내부에는 열풍을 발생시키도록 송풍팬(61) 및 히터(62)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건조덕트의 일단부는 터브(53)의 전방에 형성된 열풍 유입구(54)에 연결되어 상기 열풍을 드럼(56) 내에 공급한다. 이러한 건조덕트(60)는 열차단용 브라켓(55)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터브(53)의 외측에는 응축덕트(70)가 설치된다. 상기 응축덕트는 그 일단부가 터브(53)에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건조덕트(60)에 그 타단부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터브(53)에서 습기가 함유된 열풍을 건조덕트(60)에 재유입시킨다. 이때, 상기 응축덕트(70)의 내부에는 급수기(71)가 설치되어, 상기 열풍에 함유된 습기를 제거한다.
상기 차폐부재는 터브(53)의 내면과 드럼(56)의 외면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차폐부재는 드럼(56)과 터브(53) 사이에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억제한다.
이러한 차폐부재는 상기 열풍 흡입홀(54)의 반경방향 외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차폐부재는 대략 원형링 형상을 갖는다.
이때, 상기 차폐부재는 드럼(56)의 회전축과 대략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열풍 유입구(54)의 열풍이 상기 터브와 드럼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차폐부재의 구체적인 설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차폐부재(W1)는 도 3과 같이 터브(53)의 전방 내면 또는 상기 드럼(56)의 전방 외면에 원형고리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차폐부재(W1)는 터브의 전방 내면 또는 드럼의 전방 외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차폐부재(W1)는 도 3과 같이 상기 터브의 전방 내면으로부터 상기 드럼의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된다.
예컨대, 상기 차폐부재(도 4의 W2)는 상기 터브의 전방 내면 또는 상기 드럼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부재(도 4의 W3)는 상기 터브의 후방 내면으로부터 상기 드럼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부재는 도 4와 같이 터브의 전방 내면으로부터 상기 드럼의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된 제1차폐부재(W1)와, 상기 터브의 전방 내면으로부터 상기 드럼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된 제2차폐부재(W2)와, 상기 터브의 후방 내면으로부터 상기 드럼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된 제3차폐부재(W3)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차폐부재는 터브 또는/및 드럼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플랙시블한 재질로 형성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차폐부재가 플랙시블한 재질로 형성되면, 상기 차폐부재가 드럼(56)의 과도진동시 드럼 또는/및 터브에 접촉되어 부러지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드럼 세탁기의 작용에 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드럼 세탁기의 건조행정이 시작되면, 상기 건조덕트의 히터(62)에 전원이 인가됨과 아울러 상기 송풍팬(61)이 가동됨에 따라 열풍을 발생시킨다.
이 열풍은 터브(53)의 열풍 유입구(54)를 통과하여 드럼(56)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터브의 내면과 드럼의 외면 사이에 차폐부재가 설치되므로, 상기 차폐부재는 터브와 드럼 사이의 공간으로 열풍이 누설되는 것을 최소화시킨다.
여기서, 상기 드럼(56)에 형성된 열풍 흡입홀(57)의 직경을 7mm로 형성한 경우에, 상기 드럼(56)에서의 열풍의 유동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열풍 유입구(54)의 열풍(S)은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드럼에 유입되는 S1, 드럼 내부에서 통공을 통해 터브로 유입되는 S2, 드럼에서 터브의 후방측으로 유입되는 S3, 드럼과 터브 사이에서 유동하는 S4,S5로 다양한 흐름을 갖는다.
이때, 상기 차폐부재를 설치하면 도 6의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드럼 내로 유입되는 S1, 다시 말해, 유효 풍량이 증대됨을 알 수 있다.
즉, 종래와 같이 차폐부재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 유효 풍량 S1은 35.7%에 불과하고, 상기 터브와 드럼 사이의 풍량은 64.3%, 75.8%이다.
이에 비해, 상기 차폐부재(W1)를 도 3과 같이 드럼 또는/및 터브에 설치할 경우, 상기 드럼(56)으로 유입되는 열풍의 유효 풍량은 51.5%로 증가되는 반면, 상기 터브와 드럼 사이의 풍량은 48.5%, 68.4%로 감소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4와 같이 제1,2,3차폐부재(W1,W2,W3)를 드럼 또는/및 터브에 설치할 경우, 상기 드럼으로 유입되는 열풍의 유효 풍량은 57.5%로 더욱 증가되는 반면, 상기 터브와 드럼 사이의 풍량은 42.5%, 64.2%로 감소함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차폐부재를 설치하는 경우, 상기 드럼 내의 유로 저항 압력은 증가됨을 알 수 있다.
즉, 종래와 같이 차폐부재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 상기 드럼 내의 유로 저항 압력은 76.3Pa로 형성된다.
이에 비해, 상기 차폐부재(W1)를 도 3과 같이 드럼 또는/및 터브에 설치할 경우, 상기 유로 저항 압력은 82.4Pa로 증가된다. 또, 도 4와 같이 제1,2,3차폐부재(W1,W2,W3)를 설치할 경우, 상기 유로 저항 압력은 84.2Pa로 더욱 증가됨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유로 저항 압력이 증가됨에도 불구하고 상기 터브와 드럼 사이로 누설되는 풍량이 감소되므로, 상대적으로 드럼에 유입되는 열풍의 유효 풍량이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열풍은 세탁물을 가열하여 세탁물에 함유된 수분을 증발시킨다. 이렇게 증발된 수분은 공기에 포함된 상태로 응축덕트를 통해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드럼 세탁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상기 드럼 세탁기는 차폐부재에 의해 열풍이 터브와 드럼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상기 열풍이 드럼 내로 유입되는 유효 풍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상기 유효 풍량을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드럼 내로 유입되는 열풍의 유량 손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풍량으로도 세탁물을 보다 빨리 건조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셋째, 상기 터브와 드럼 사이의 열풍의 유동성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터브를 가열함에 따라 발생되는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넷째, 상기 열풍은 대부분 드럼 내부로 유입되므로, 상기 도어 글래스가 불필요하게 가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상기 터브에 건조덕트가 직접적으로 연결되므로, 상기 드럼의 내부 용량을 상대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드럼 세탁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럼 세탁기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드럼 세탁기의 차폐부재의 설치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도 2의 차폐부재의 변경된 설치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드럼 내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차폐부재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와 설치된 경우, 상기 드럼 내에서 공기의 풍량 변화를 나타낸 표.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1 : 케비닛 52 : 도어
52a : 도어 글래스 53 : 터브
54 : 열풍 유입구 55 : 열차단용 브라켓
56 : 드럼 57 : 열풍 흡입홀
60 : 건조덕트 61 : 송풍기
62 : 히터 70 : 응축덕트
W1,W2,W3: 차폐부재

Claims (9)

  1. 세탁수를 저장하도록 캐비닛 내에 설치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의 세탁수가 유/출입되도록 통공이 형성되는 드럼;
    상기 터브의 내면과 드럼의 외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드럼과 터브 사이에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는 차폐부재;
    상기 터브에 연결되어 상기 드럼 내에 열풍을 공급하고, 그 내부에 열풍을 발생시키도록 히터 및 송풍팬이 내장되는 건조덕트; 그리고,
    상기 터브와 건조덕트에 연결되어, 상기 터브 내의 공기를 건조덕트에 재유입시키는 응축덕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드럼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덕트는 상기 터브의 전방에 형성된 열풍 유입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전방 테두리에는 테두리를 따라 상기 열풍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열풍이 유입되도록 열풍 흡입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열풍 흡입홀의 반경방향 외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터브의 전방 내면 또는 상기 드럼의 전방 외면에 원형 고리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터브의 전방 내면으로부터 상기 드럼의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터브의 전방 내면 또는 상기 드럼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터브의 후방 내면으로부터 상기 드럼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터브의 전방 내면으로부터 상기 드럼의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된 제1차폐부재;
    상기 터브의 전방 내면으로부터 상기 드럼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된 제2차폐부재; 그리고,
    상기 터브의 후방 내면으로부터 상기 드럼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된 제3차폐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세탁기.
KR1020030093828A 2003-12-19 2003-12-19 드럼 세탁기 KR100546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3828A KR100546613B1 (ko) 2003-12-19 2003-12-19 드럼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3828A KR100546613B1 (ko) 2003-12-19 2003-12-19 드럼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2147A true KR20050062147A (ko) 2005-06-23
KR100546613B1 KR100546613B1 (ko) 2006-01-26

Family

ID=37254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3828A KR100546613B1 (ko) 2003-12-19 2003-12-19 드럼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661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441B1 (ko) * 2006-01-18 2013-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KR101234069B1 (ko) * 2005-07-30 2013-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 겸용 드럼 세탁기
CN107558092A (zh) * 2016-07-01 2018-01-09 杭州三花家电热管理系统有限公司 洗干一体机
KR102145342B1 (ko) 2019-02-18 2020-08-18 에스비렘 주식회사 불순물 제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95601B2 (en) 2020-11-10 2023-10-24 Whirlpool Corporation Maximizing the dry rate of clothes tumbling combination washer/dryer with a seal
US11846059B2 (en) 2021-01-04 2023-12-19 Whirlpool Corporation Controlling process air bypass around the drum in combo wash-dry syste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069B1 (ko) * 2005-07-30 2013-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 겸용 드럼 세탁기
KR101223441B1 (ko) * 2006-01-18 2013-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CN107558092A (zh) * 2016-07-01 2018-01-09 杭州三花家电热管理系统有限公司 洗干一体机
KR102145342B1 (ko) 2019-02-18 2020-08-18 에스비렘 주식회사 불순물 제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6613B1 (ko) 2006-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90153B1 (en) Drum type washing and drying machine
JP4347892B2 (ja) 乾燥兼用洗濯機
US20050229650A1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with laundry drying function
JP4937407B2 (ja) ドラム洗濯機
KR101141641B1 (ko) 건조겸용 드럼세탁기의 응축덕트 구조
KR100546613B1 (ko) 드럼 세탁기
KR20050101661A (ko) 건조겸용 드럼세탁기의 방열판 체결구조
JP2012071069A (ja) 乾燥機及び洗濯乾燥機
KR100546612B1 (ko) 드럼 세탁기
KR101111511B1 (ko) 건조겸용 드럼세탁기의 역수압방지 구조
KR101033585B1 (ko) 드럼세탁기
KR101033586B1 (ko) 드럼세탁기
KR20060095808A (ko) 건조겸용 드럼세탁기의 터브와 응축덕트의 결합구조
CN100519912C (zh) 具备烘干功能的滚筒洗衣机的虹吸现象防止结构
US20050229648A1 (en) Drum type washer and dryer
KR101053584B1 (ko) 드럼세탁기
KR20050101788A (ko) 드럼세탁기
KR20050101738A (ko) 건조겸용 드럼세탁기
KR101297995B1 (ko) 드럼세탁기
KR20050101808A (ko) 드럼세탁기의 응축덕트와 터브의 체결구조
KR20050101807A (ko) 드럼세탁기의 건조덕트와 터브의 체결구조
KR20050101740A (ko) 건조겸용 드럼세탁기
KR20050101739A (ko) 건조겸용 드럼세탁기
KR101752414B1 (ko) 건조기능을 갖는 의류장치
KR20050105526A (ko) 건조겸용 드럼세탁기의 사이펀 작용 방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