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0924A -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부 스피커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부 스피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0924A
KR20050060924A KR1020030092659A KR20030092659A KR20050060924A KR 20050060924 A KR20050060924 A KR 20050060924A KR 1020030092659 A KR1020030092659 A KR 1020030092659A KR 20030092659 A KR20030092659 A KR 20030092659A KR 20050060924 A KR20050060924 A KR 20050060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terminal
external
output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2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5319B1 (ko
Inventor
조진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2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5319B1/ko
Publication of KR20050060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0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5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53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외부 스피커 시스템으로 활용하여, 휴대용 엠피-3 장치와 같이 이어잭을 통해서만 청취할 수 있는 사운드 장치에서 출력되는 사운드를, 미디형 이동 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앰프 기능과 미디 스피커를 이용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부 스피커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이어잭 단자를 통해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음성을 출력하거나 외부 사운드 장치의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입력 사운드 선택부와; 단말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사운드 신호 또는 상기 입력 사운드 선택부를 통해 입력받은 외부 사운드 신호를 앰프 및 미디 스피커를 통해 선택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 사운드 선택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부 스피커 장치{EXTRA SPEAKER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부 스피커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를 외부 스피커 시스템으로 활용하여, 휴대용 엠피-3 장치와 같이 이어잭을 통해서만 청취할 수 있는 사운드 장치에서 출력되는 사운드를, 미디형 이동 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앰프 기능과 미디 스피커를 이용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부 스피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이 진보함에 따라, 단순한 무선 통신 수단을 넘어 카메라 기능,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과 같이 무선 통신 외적인 기능들이 이동 통신 단말기에 부가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능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표시부 개선과 고속 통신의 실현에 의해 점차 활용 범위를 넓혀가고 있으며, 이미 상용화되어 있어 이동 통신 단말기를 궁극적인 휴대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으로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멀티미디어 기능 중 카메라 기능과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은 가장 많이 보급된 고급 기능으로서, 카메라를 통한 촬영이 가능하며, 주문형 비디오(VOD)를 시청할 수 있을 정도로 화면의 질이 높아졌고, 사운드 출력을 위한 미디 스피커를 별도로 구비하여, 벨소리 및 동영상 재생 시 그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서도 향상된 품질의 사운드를 즐길 수 있게 되었다.
한편, 최근에 많은 사용자에게 인기있는 멀티미디어 장치로 엠피-3 플레이어를 들 수 있는데, 시중에 출시되어 있는 대부분의 휴대용 엠피-3 장치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잭을 통해서만 사운드를 들을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이어잭을 장시간 사용할 경우 청력에 부작용을 일으킬 우려가 있으며, 사용자들의 대부분은 가끔씩이라도 이어잭이 아닌 스피커를 통해서 사운드를 듣고싶은 경우가 있지만, 스피커 시스템을 휴대할 수 없기 때문에 반드시 이어잭을 통해서만 사운드를 들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를 외부 스피커 시스템으로 활용하여, 휴대용 엠피-3 장치와 같이 이어잭을 통해서만 청취할 수 있는 사운드 장치에서 출력되는 사운드를, 미디형 이동 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앰프 기능과 미디 스피커를 이용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부 스피커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이어잭 단자를 통해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음성을 출력하거나 외부 사운드 장치의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입력 사운드 선택부와; 단말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사운드 신호 또는 상기 입력 사운드 선택부를 통해 입력받은 외부 사운드 신호를 앰프 및 미디 스피커를 통해 선택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 사운드 선택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스피커를 통해 다른 사운드 장치의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의 제공을 요지로 하는 것으로, 최근 대부분의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를 휴대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를 휴대용 스피커 시스템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추가 장치 없이도 간단하게 외부 사운드 장치의 사운드를 스피커로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와 함께 최근 그 사용자들이 증가하고 있는 엠피-3 플레이어(휴대용 사운드 장치)의 경우, 스피커 장치를 부가하게 되면 부피가 커지고 스피커를 통해서는 좋은 음질을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이어잭을 통해서만 사운드 청취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해 휴대용 사운드 장치의 사운드를 출력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보인 예시도로서, 본 발명이 적용된 이동 통신 단말기에는 다른 사운드 장치의 사운드를 입력받아 스피커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더 구비되어 있다. 이때, 다른 사운드 장치로부터 사운드를 입력받기 위한 단자는 별도로 구비할 수도 있고, 이어폰 단자를 사운드 입력 단자로 활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이어폰 단자를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사운드 입력 단자로도 사용 가능하고, 음성 출력 단자로도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별도의 사운드 입력 단자를 구비하는 것보다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도 이어폰 단자를 사운드 입력 단자와 음성 출력 단자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부 스피커 장치가 음성 출력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이어잭 단자를 통해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음성을 출력하거나 외부 사운드 장치의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입력 사운드 선택부(101)와; 단말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사운드 신호 또는 상기 입력 사운드 선택부를 통해 입력받은 외부 사운드 신호를 앰프(103) 및 미디 스피커(104)를 통해 선택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 사운드 선택부(102)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때, 상기 입력 사운드 선택부(101) 및 출력 사운드 선택부(102)는 동시에 연동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출력 사운드 선택부(102)를 단말기 내부 사운드 출력으로 선택하면, 입력 사운드 선택부(101)도 이어잭 단자로 음성을 출력하도록 선택되고, 출력 사운드 선택부(102)를 외부 사운드 출력으로 선택하면, 입력 사운드 선택부(101)도 이어잭 단자를 통해 외부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도록 선택된다.
상기 도3에서는 출력 사운드 선택부(102) 및 입력 사운드 선택부(101)를 단말기 내부 사운드(음성)를 출력할 수 있도록 선택된 상태로서, 미디 스피커(104)에서는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벨소리 및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사운드가 출력되고, 이어잭 단자(미도시)를 통해서는 음성을 출력한다. 따라서, 이어잭 단자에는 이어폰을 연결하여 사용한다.
다음,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부 스피커 장치가 외부 사운드 출력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출력 사운드 선택부(102) 및 입력 사운드 선택부(101)를 단말기 외부 사운드 장치에서 입력된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도록 선택된 상태로서, 미디 스피커(104)에서는 이어잭 단자를 통해 외부 사운드 장치에서 입력받은 사운드를 앰프(103)와 미디 스피커(104)를 통해 출력한다. 따라서, 이어잭 단자에는 전용 케이블(105)을 통해 휴대용 사운드 장치의 사운드 출력 단자(미도시)와 연결하여 사용한다.
이때, 상기 입력 사운드 선택부(101) 및 출력 사운드 선택부(102)는 일종의 멀티플렉서로서, 제어부(미도시)에서 출력하는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이 가능하므로, 소프트웨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사운드 선택 메뉴를 구비하는 것으로 간단히 인터페이스가 가능하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그래픽 요소를 포함하여 구성할 경우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부 스피커 장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외부 스피커 시스템으로 활용하여, 휴대용 엠피-3 장치와 같이 이어잭을 통해서만 청취할 수 있는 사운드 장치에서 출력되는 사운드를, 미디형 이동 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앰프 기능과 미디 스피커를 이용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어폰 사용에 의한 청력 저하를 방지하며 다른 사람과의 사운드 공유가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이어잭이 장착된 휴대용 사운드 장치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휴대용 사운드 장치의 사운드를 출력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를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부 스피커 장치가 음성 출력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부 스피커 장치가 외부 사운드 출력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입력 사운드 선택부 102 : 출력 사운드 선택부
103 : 앰프 104 : 미디 스피커
105 : 전용 케이블

Claims (5)

  1.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이어잭 단자를 통해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음성을 출력하거나 외부 사운드 장치의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하는 입력 사운드 선택부와;
    단말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사운드 신호 또는 상기 입력 사운드 선택부를 통해 입력받은 외부 사운드 신호를 앰프 및 미디 스피커를 통해 선택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 사운드 선택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부 스피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사운드 장치에서 사운드를 입력받기 위한 단자는 이어폰 단자를 겸용으로 구성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외부 사운드 입력 단자로 또는 내부 음성 출력 단자로도 사용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부 스피커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사운드 선택부 및 출력 사운드 선택부는, 스피커를 통한 내부 사운드 출력과 이어잭 단자를 통한 내부 음성 출력이 동시에 선택되거나, 스피커를 통한 외부 사운드 출력과 이어잭 단자를 통한 외부 사운드 입력이 동시에 선택되도록 연동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부 스피커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사운드 선택부 및 출력 사운드 선택부의 스위칭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그래픽 요소를 포함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부 스피커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사운드 장치로부터 사운드를 입력받기 위해 양쪽이 이어잭으로 된 전용 케이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부 스피커 장치.
KR1020030092659A 2003-12-17 2003-12-17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부 스피커 장치 KR100565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2659A KR100565319B1 (ko) 2003-12-17 2003-12-17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부 스피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2659A KR100565319B1 (ko) 2003-12-17 2003-12-17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부 스피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0924A true KR20050060924A (ko) 2005-06-22
KR100565319B1 KR100565319B1 (ko) 2006-03-30

Family

ID=37253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2659A KR100565319B1 (ko) 2003-12-17 2003-12-17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부 스피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531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177B1 (ko) * 2005-07-21 2007-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향 출력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방법
KR100751938B1 (ko) * 2005-07-23 2007-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교체 가능한 rf 카드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플렛폼과이를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36608B1 (ko) * 2007-01-17 2008-06-10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사용하여 스테레오 사운드를구현하는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177B1 (ko) * 2005-07-21 2007-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향 출력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방법
KR100751938B1 (ko) * 2005-07-23 2007-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교체 가능한 rf 카드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플렛폼과이를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36608B1 (ko) * 2007-01-17 2008-06-10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사용하여 스테레오 사운드를구현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5319B1 (ko) 2006-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19939B2 (en) Cellular phone with high-quality sound reproduction capability
US7903826B2 (en) Headset with ambient sound
JP3262727B2 (ja) イヤホン
US20080165988A1 (en) Audio blending
JP3542955B2 (ja) 携帯電話機
US20080144860A1 (en) Adjustable Resolution Volume Control
CN101547245A (zh) 利用手机播放多声道音频文件的方法
US753273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oIP telephony call announcement
JP4992591B2 (ja)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端末
JP2006352250A (ja) 音響出力装置、携帯電話端末装置、及び音響出力プログラム
KR10056531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부 스피커 장치
JP2003283599A (ja) 無線携帯電話端末及びそれに用いるスピーカ制御方法
KR20010059527A (ko) 휴대폰의 이어 마이크
JP2007049358A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4201195A (ja) ヘッドホン装置
JPH10190780A (ja) 呼出報知装置
JP2001268182A (ja) 携帯電話機、およびマイク付きヘッドホン
KR20030076041A (ko) 휴대용 오디오 기기를 위한 핸즈프리 겸용 리모콘
KR20050063814A (ko) 스테레오 스피커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
KR101061820B1 (ko) 휴대용 스피커 시스템으로 활용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09984B1 (ko) 이종(異種)음 분리 출력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09133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스테레오 재생 방법
KR200218614Y1 (ko) 오디오 입출력장치
KR200274628Y1 (ko) 휴대용 음향 기기 및 무선 전화기 공용 헤드폰
CN116887134A (zh) 音频处理方法、音频处理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