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9871A - 다수 단말과 서버간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 - Google Patents

다수 단말과 서버간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9871A
KR20050059871A KR1020030091592A KR20030091592A KR20050059871A KR 20050059871 A KR20050059871 A KR 20050059871A KR 1020030091592 A KR1020030091592 A KR 1020030091592A KR 20030091592 A KR20030091592 A KR 20030091592A KR 20050059871 A KR20050059871 A KR 20050059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chronization
data
terminal device
serv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1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7927B1 (ko
Inventor
이병윤
이길행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30091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7927B1/ko
Publication of KR20050059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9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7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79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5Replication or mirroring of data, e.g. scheduling or transport for data synchronisation between network n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동기화가 필요한 동기화 서버와 다수의 단말 장치 또는 소정의 원격지에 위치한 다수의 데이터를 단순한 변경 정보의 전달로 동기화가 가능한 다수 단말과 서버간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동기화 방법은 동기화 서버와 다수 단말 장치 간의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다수 사용자 단말 장치를 등록 관리하는 장치 정보 테이블, 단말 장치들과 동기화서버 간에 동기화 처리될 실제 데이터 아이템간의 매핑 정보를 관리하는 매핑테이블, 동일한 사용자가 사용하는 다수의 단말 장치들로부터 요구되는 변경 이력을 관리하며, 최종 변경된 데이터만을 반영하기 위한 변경 이력 테이블, 상기 동기화서버와 장치정보 테이블에 등록된 단말 장치에 반영된 동기화 버전을 관리하는 앵커테이블,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를 동기화 대상으로 등록한 사용자에 대한 개인정보를 관리하는 개인정보테이블을 생성하여, 동기화될 각 데이터 아이템의 변경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다수 단말과 서버간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Data synchronization method between terminals with a server}
본 발명은 데이터 동기화가 필요한 동기화 서버와 다수의 단말 장치 또는 소정의 원격지간의 데이터를 단순한 변경 정보의 전달로 동기화시킬 수 있는 다수 단말과 서버간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무선 인터넷의 발전으로, 현대인들은 보다 빠르고 저렴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으며, PDA, 휴대폰 등의 다양한 개인 정보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및 개인 정보 단말기에 입력된 각종 데이터를 활용하고 있다. 그리고, 일반인들이 한 종류 이상의 개인 정보 단말기를 갖는 것이 보편화되면서, 다수의 개인 정보 단말기를 데이터 수정, 삭제, 첨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나타났다. 예를 들면, 일정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PDA, 휴대폰, 노트북 등의 일정관리에 각각 입력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서로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다수 개인 정보 단말기간의 데이터 호환 및 데이터를 일치시키는 데이터 동기화에 대한 요구가 나타났고, 이에 따라서, 소정의 데이터 동기화 서버를 두고, 유/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다수의 개인 정보 단말기간의 데이터를 일치시키기 위한 데이터 동기화 방법이 제안되었다.
기존에 제안된 데이터 동기화 방법은, 개인 정보 단말기와 동기화 서버간의 데이터 비교를 통한 감시 작업을 이용하여, 개인 정보 단말기와 서버간의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비교하거나, 서버에 위치한 데이터로 동기화 시키는 것으로서, 감시 주기를 너무 길게 하는 경우, 거의 실시간에 가까운 동기화가 이루어질 수 없는데 반하여, 감시 주기를 짧게 하면, 개인 정보 단말기와 동기화 서버의 부하가 가중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데이터 동기화가 필요한 동기화 서버와 다수의 단말 장치 또는 소정의 원격지간의 데이터들을 단순한 변경 정보의 전달로 동기화시킬 수 있는 다수 단말과 서버간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사용자 단말 장치와 데이터 동기화 서버간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서버에서 동기화할 다수 사용자 단말 장치를 등록 관리하는 장치 정보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장치 정보 테이블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 장치들과 동기화서버 간에 동기화 처리될 실제 데이터 아이템간의 매핑 정보를 관리하는 매핑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
동일한 사용자가 사용하는 다수의 단말 장치들로부터 요구되는 변경 이력을 관리하며, 최종 변경된 데이터만을 반영하기 위한 변경 이력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동기화서버와 장치정보 테이블에 등록된 단말 장치에 반영된 동기화 버전을 관리하는 앵커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를 동기화 대상으로 등록한 사용자에 대한 개인정보를 관리하는 개인정보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 및
단말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동기화 요구에 따라서, 상기 장치 정보 테이블을 검색하여 등록여부를 체크한 후, 등록된 단말 장치의 요구를 분석하여, 해당 데이터 아이템의 동기화를 수행하고, 상기 변경이력테이블 및 앵커테이블을 갱신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 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동기화 방법이 적용되는 네트워크 구성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은 유/무선 통신망(72)에 의한 다수의 사용자 단말 장치(71)와 데이터 동기화 서버(73)간의 데이터 동기화를 위하여 적용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동기화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 동기화 서버(73)에 접속하여 데이터 동기화 서비스를 원하는 사용자의 단말 장치, 즉, 동기화 대상이 되는 장치의 정보를 관리하는 장치 정보 테이블(100)의 구조도이다. 상기 장치 정보 테이블(100)은 사용자가 동기화 서비스를 신청하는 경우, 동기화 대상이 되는 장치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도록 생성되는 것으로서, 사용자별로 서버에 접속하는 장치의 번호를 나타내는 deviceID(1)와, 해당 사용자 장치의 고유 식별자에 대한 정보가 실린 URI(Uniform Resource Indicator)(2)와, 해당 사용자 이름을 나타내는 userName(3) 필드로 이루어진다. 상기 장치 정보 테이블(100)은 데이터 동기화 처리를 수행할 장치를 등록하여 관리하는 테이블로서, 이후 데이터 동기화 처리할 장치의 인증 처리시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동기화 방법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실제 동기화가 이루어지는 데이터 아이템에 대한 동기화 서버(73)와 단말 장치(71)의 매핑 정보를 관리하는 매핑 테이블(200)의 구조도로서, 상기 장치 정보 테이블(100)에 등록된 사용자의 단말 장치(71)와 동기화 서버(73)간의 데이터 아이템을 매핑시켜 관리한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매핑테이블(200)은, 동기화 서버(73)에서 사용되는 동기화될 데이터 아이템의 식별자인 guidNum(4)와, 사용자 단말 장치(71)에서 동기화될 데이터 아이템에 대한 식별자인 luidNum(7)와, 해당 사용자 단말 장치(71)의 식별정보인 deviceID(5)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71)가 동기화를 위한 데이터 변경 요구시, 해당하는 동기화 작업이 수행될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식별정보인 dbID(6)와, 해당 데이터 아이템에 대한 삭제 요구 시 해당 데이터를 완전히 지우기 전에 해당 데이터를 마킹하여, 추후 다른 단말장치로부터 변경 요구를 반영할 수 있도록 하는 deleteFlag(8)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동기화 방법에 있어서, 동기화 대상이 되는 데이터 아이템의 내용이 추가, 변경, 삭제되었을 경우, 이를 관리하는 변경 이력 테이블(300)의 구조도로서, 여기서 변경이란 동기화 서버(73)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소정 사용자와 관련된 모든 단말장치(71)에 대하여 변경을 수행하는 경우와, 복수 개의 단말 장치(71)를 갖는 사용자가 한 단말 장치에서 데이타를 변경한 경우 이를 다른 단말 장치(71)들에게도 반영시키는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더불어, 변경 이력 테이블(300)은 동기화 서버 측의 데이터 아이템에 대한 변경 이력 정보를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변경 이력 테이블(3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동기화 서버(73)측의 데이터 아이템에 대한 식별정보인 guidNum(9)과, 변경을 요구한 단말 장치(71)의 식별정보를 나타내는 deviceID(10)와, 변경될 데이터베이스의 식별 정보인 dbID(11)와, 사용자 단말 장치(71)로부터 요구된 동기화 명령 내용, 예를 들어, 추가, 삭제, 변경, 복사 등을 나타내는 ActionFlag(12)로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동기화 처리를 위하여, 각 사용자 단말 장치(73)에서 데이터베이스 별로 마지막으로 동기화를 수행한 시간 정보 값을 관리하는 앵커 테이블(400)의 구조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앵커 테이블(400)은 동기화 서버(73)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 장치(71)의 식별정보인 deviceID(13)와, 상기 단말 장치(71)가 원하는 동기화 작업이 수행될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내는 dbID(14)와, 상기 단말 장치(71)가 해당 데이터베이스에서 마지막으로 동기화를 완료한 시간 정보를 나타내는 lastSync(15)로 이루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동기화를 위하여, 동기화 서버(73)에서 동기화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개인정보 테이블(500)의 구조도로서, 상기 개인 정보 테이블(5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동기화 서버(73)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아이템에 대한 식별자인 guidNum(16)과, 관련된 사용자의 이름 및 성을 관리하는 lastName/ firstName(17)과, 관련된 사용자의 전자 우편 정보를 관리하는 e-mail(18)등으로 이루어지며, 여기에 더하여, 동기화를 처리하여야 하는 정보를 정의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동기화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플로우 챠트로서, 이를 참조하여 데이터 동기화 처리 순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소정의 인터넷 사용자가 자신이 소유한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71)로 상기 동기화 서버(73)에 접속하여, 동기화 서비스에 가입하면(s100), 상기 동기화 서버(73)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71)의 식별정보인 deviceID(1)와, URI(2), 및 관련 사용자이름(3)을 연결하여 동기화 대상 단말 장치를 관리하는 장치 정보 테이블(100)을 생성한다(s200).
이어서, 상기 장치 정보 테이블(100)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 장치(71)와 동기화서버(73)간에 동기화 처리될 실제 데이터 아이템을 매핑시켜 관리하는 매핑테이블(200)을 생성한다(s300).
또한, 동일한 사용자가 사용하는 다수의 단말 장치(71)들로부터 요구되는 변경 이력을 관리하며, 최종 변경된 데이터만을 반영하기 위한 변경 이력 테이블(300)을 생성한다(s400).
또한, 상기 장치정보 테이블(100)에 등록된 단말 장치(71)에 반영된 동기화 버전과 상기 동기화 서버(73)에서 관리하는 데이터를 나타내는 앵커테이블을 생성한다(s500).
더불어,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71)를 동기화 대상으로 등록한 사용자에 대한 개인정보를 관리하는 개인정보테이블(500)을 생성할 수 있다(s600).
이와 같이, 등록된 다수 단말 장치(71)와 동기화 서버(73)간의 동기화 수행을 위한 테이블(100~500)들이 생성되면, 이후 단말 장치(71)로부터 전달되는 동기화 요구에 따라서, 상기 장치 정보 테이블(71)을 검색하여 등록여부를 체크한 후, 등록된 단말 장치의 요구에 대하여 요구명령의 종류를 분석하여, 명령에 따라서 해당 데이터 아이템의 동기화를 수행하고, 상기 변경이력테이블(300) 및 앵커테이블(400)을 갱신한다(s700).
상기 단계(s700)는 실제 동기화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로서, 앞서 생성된 테이블들이 동기화 처리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해준다.
상기 단계(s700)의 처리 과정을 도 6b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말 장치(71)에서 새로운 내용에 대한 변경이나 추가를 입력하여 변경을 요청한다(s701). 상기 변경 요청은 단말 장치(71)가 연결된 통신망(72)을 통해 데이터 동기화 서버(73)로 전달된다.
데이터 동기화 서버(73)는 단말로부터 전달된 변경 요청 정보를 수신한 후, 먼저 개인 정보 테이블을 검색하여 해당 사용자가 등록되어 있는지를 체크하고, 또한 도 1에 보인 장치 정보 테이블을 검색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이 등록되어 있는 지를 판단한다(s702).
상기 판단 단계(s702)의 수행결과, 변경 요청한 사용자 단말이 검색되면, 변경 요구한 데이터 아이템(guidNum)이 도 2와 같은 매핑 테이블에 존재하는 지를 검색한다(s703).
상기 단계(s702,s703)의 수행 결과, 장치 정보 테이블에 해당 사용자 단말이 존재하지 않거나, 존재하더라도 매핑테이블 내에 해당 데이터 아이템의 ID가 존재하는 않는 경우, 데이터 동기화 수행이 불가능함을 알리는 오류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71)로 전달한다(s715,s716).
그리고 상기 단계(s703)의 수행결과, 매핑테이블에 해당 ID(guidNum)가 존재하는 경우, 수신된 요구 데이터를 동기화 서버(73)에서 사용되는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고(s704), 상기 변환된 데이터에 실린 사용자 요구 커맨드를 분석한다(s705).
상기 요구 커맨드를 분석한 경우, 추가(ADD) 요구인 경우(s706), 서버(73)에서 도 3과 같은 변경이력 테이블에 해당 guidNum의 ActionFlag(12)값으로 A를 마킹하고(s707), 변경(Replace) 요구인 경우(s708), 서버(73)에서 변경이력 테이블의 해당 guidNUm의 ActionFlag(12) 값으로 R을 마킹하고(s609), 삭제(Delete)요구인 경우(s710), 상기 변경이력 테이블의 ActionFlag(12) 값으로 D를 마킹하고(s711), 복사(Copy) 요구인 경우(s712), 상기 변경이력 테이블의 ActionFlag(12)에 C를 마킹한다(s713).
그리고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요구에 대응하여 변경이력 테이블의 actionFlag(12)에 마킹이 완료되면, 다음으로 도 4와 같은 앵커 테이블에 해당 변경 처리가 수행되는 장치 식별 정보(deviceID)(13)와 데이터베이스ID(dbID(14)와 동기화 완료 시점(lastSync(15))을 등록한다(s714).
이상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하여, 예를 들어,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라피디스트, 광데이터 저장장치등을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데이터의 동기화가 필요한 두 시스템 간에 변경된 이력 정보를 관리하여, 데이터의 동기화를 가능하게 하는 관리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장치와 동기화 서버 간에 장치 테이블, 매핑 테이블, 변경이력 테이블, 앵커 테이블을 이용하여, 변경된 최소한의 데이터 정보만을 관리하여 효율적으로 다수의 장치들과 동기화 서버간의 데이터 동기를 일치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동기화 처리를 위하여 장치정보 테이블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동기화 처리를 위하여 매핑 테이블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동기화 처리를 위하여 적용되는 변경이력 테이블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동기화 처리를 위하여 적용되는 앵커 테이블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동기화 처리를 위하여 적용되는 개인 정보 테이블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동기화 방법의 전체 흐름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동기화 방법에 있어서, 동기화 처리 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동기화 처리가 이용되는 네트워크의 일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Claims (9)

  1. 다수의 사용자 단말 장치와 데이터 동기화 서버간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서버에서 동기화할 다수 사용자 단말 장치를 등록 관리하는 장치 정보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장치 정보 테이블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 장치들과 동기화서버 간에 동기화 처리될 실제 데이터 아이템간의 매핑 정보를 관리하는 매핑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
    동일한 사용자가 사용하는 다수의 단말 장치들로부터 요구되는 변경 이력을 관리하며, 최종 변경된 데이터만을 반영하기 위한 변경 이력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동기화서버와 장치정보 테이블에 등록된 단말 장치에 반영된 동기화 버전을 관리하는 앵커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를 동기화 대상으로 등록한 사용자에 대한 개인정보를 관리하는 개인정보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 및
    단말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동기화 요구에 따라서, 상기 장치 정보 테이블을 검색하여 등록여부를 체크한 후, 등록된 단말 장치의 요구를 분석하여, 해당 데이터 아이템의 동기화를 수행하고, 상기 변경이력테이블 및 앵커테이블을 갱신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 단말과 서버간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방법은
    상기 장치 정보 테이블에 사용자 단말 장치의 장치 식별정보(deviceID), URI, 사용자 이름 등을 관리하고, 상기 장치 정보 테이블을 검색하여, 해당 사용자의 장치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 해당 장치의 접속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 단말과 서버간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 정보 테이블은
    단말 장치 측의 데이터 아이템 식별정보(Local Unique ID)와, 그에 대응하는 동기화 서버 측의 데이터 아이템 식별정보(Global Unique ID)와, 해당 단말 장치의 식별정보(deviceID)와, 원하는 동기화 작업이 수행될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식별정보(dbID)로 이루어져, 단말 장치로부터 요구된 데이터에 대해서 상기 매핑 정보 테이블을 통해 동기화 서버와 장치가 지정한 각각의 데이터 아이템간의 매핑을 처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 단말과 서버간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 정보 테이블은 해당 데이터 아이템에 대한 삭제 요구를 표시하는 플래그(deleteFlag)를 더 포함하고, 단말 장치로부터 해당 데이터 아이템에 대한 삭제가 요구되었을 때, 삭제되었음을 상기 플래그(deleteFlag)에 표시하여, 다른 장치로부터의 변경 명령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 단말과 서버간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이력 테이블은
    단말측의 데이터 아이템 식별정보(LUID)와, 대응하는 서버 측의 데이터 아이템 식별정보(GUID), 관련 단말 장치의 식별정보(deviceID), 상기 단말 장치가 원하는 동기화 작업이 수행될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식별정보(dbID)와, 상기 단말 장치가 요구한 추가, 삭제, 변경, 복사 중 하나에 해당하는 동기화 명령을 표시하는 플래그(ActionFlag)로 이루어져,
    동기화 서버측의 데이터의 내용이 추가, 변경, 삭제되었을 때, 이를 관련된 단말장치에게 반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 단말과 서버간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테이블은
    동기화 서버에 접속하는 단말 장치의 식별정보(deviceID)와, 상기 단말 장치가 원하는 동기화 작업이 수행될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식별정보(dbID)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의 동기화 완료 시점을 기록하는 필드(lastSync)로 이루어져, 각 단말 장치가 데이터베이스 별로 최근에 마지막으로 동기화를 완료한 시점 정보 값을 기록하고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 단말과 서버간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정보 테이블은
    동기화 서버에서의 데이터 아이템을 기준으로 동기화를 처리하여야 하는 개인 정보를 관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 단말과 서버간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요구를 수행하는 단계는
    소정의 단말 장치가 동기화 서버에 접속하여 데이터 변경을 요구하는 단계;
    동기화 서버에서 상기 변경 요구한 단말 장치가 장치 정보 테이블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체크 결과, 해당 사용자 단말 장치가 등록되어 있으면, 요구된 데이터 아이템이 매핑테이블에 존재하는지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 결과, 장치 정보 테이블에 해당 사용자 단말장치가 존재하지 않거나, 매핑테이블에 해당 데이터 아이템이 존재하는 않는 경우, 오류 메시지를 단말 장치로 전송하고 종료하는 단계;
    상기 검색결과, 매핑테이블에 해당 ID(guidNum)가 존재하는 경우, 수신된 단말 장치의 요구를 동기화 서버의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여, 사용자 요구 커맨드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요구 커맨드를 분석한 결과에 따라서, 상기 변경이력 테이블의 해당 데이터 아이템(guidNum) 플래그(ActionFlag)값에, 분석된 요구 커맨드에 따라서, 추가, 변경, 삭제, 복사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 이력 테이블의 갱신 후에, 앵커 테이블에서 해당 단말 장치의 동기화 완료 시점을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 단말과 서버간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각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한 기록매체.
KR1020030091592A 2003-12-15 2003-12-15 다수 단말과 서버간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 KR100637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1592A KR100637927B1 (ko) 2003-12-15 2003-12-15 다수 단말과 서버간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1592A KR100637927B1 (ko) 2003-12-15 2003-12-15 다수 단말과 서버간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9871A true KR20050059871A (ko) 2005-06-21
KR100637927B1 KR100637927B1 (ko) 2006-10-24

Family

ID=37252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1592A KR100637927B1 (ko) 2003-12-15 2003-12-15 다수 단말과 서버간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7927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54661A1 (en) * 2007-10-25 2009-04-30 Lg Electronics Inc. Procedure for managing data synchronization under multiple devices environment
KR100967929B1 (ko) * 2007-08-18 2010-07-06 주식회사 신한은행 통신매체별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동기화 처리 시스템
KR20120005325A (ko) * 2010-07-08 2012-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동기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KR101319466B1 (ko) * 2011-09-27 2013-10-17 주식회사 미니게이트 해쉬함수를 이용한 다수 단말 간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
KR101397175B1 (ko) * 2013-09-25 2014-05-19 주식회사 기가코리아 사용자 맞춤형 pos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397176B1 (ko) * 2013-09-25 2014-05-19 주식회사 기가코리아 사용자 맞춤형 pos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524668B1 (ko) * 2014-02-18 2015-06-0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데이터 동기화 방법 및 장치
KR20170126665A (ko) * 2016-05-10 2017-11-2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복수 단말의 상태 정보를 동기화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2121975B1 (ko) * 2018-12-26 2020-06-11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동기화 테이블을 통한 실제 데이터 제공 방법 및 데이터 관리 시스템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929B1 (ko) * 2007-08-18 2010-07-06 주식회사 신한은행 통신매체별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동기화 처리 시스템
WO2009054661A1 (en) * 2007-10-25 2009-04-30 Lg Electronics Inc. Procedure for managing data synchronization under multiple devices environment
KR20120005325A (ko) * 2010-07-08 2012-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동기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KR101319466B1 (ko) * 2011-09-27 2013-10-17 주식회사 미니게이트 해쉬함수를 이용한 다수 단말 간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
KR101397175B1 (ko) * 2013-09-25 2014-05-19 주식회사 기가코리아 사용자 맞춤형 pos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397176B1 (ko) * 2013-09-25 2014-05-19 주식회사 기가코리아 사용자 맞춤형 pos 서비스 제공 방법
WO2015046772A1 (ko) * 2013-09-25 2015-04-02 주식회사 기가코리아 사용자 맞춤형 pos 서비스 제공 방법
WO2015046770A1 (ko) * 2013-09-25 2015-04-02 주식회사 기가코리아 사용자 맞춤형 pos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524668B1 (ko) * 2014-02-18 2015-06-0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데이터 동기화 방법 및 장치
KR20170126665A (ko) * 2016-05-10 2017-11-2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복수 단말의 상태 정보를 동기화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2121975B1 (ko) * 2018-12-26 2020-06-11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동기화 테이블을 통한 실제 데이터 제공 방법 및 데이터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7927B1 (ko) 2006-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4139B1 (ko) 데이터가 여러 데이터 저장부들에 저장되는 방식을동기화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0437576C (zh) 用于发现并连接到数据源的方法、系统和装置
US6321236B1 (en) Distributing database differences corresponding to database change events made to a database table located on a server computer
US7650342B2 (en) User profile management system
US7469260B2 (en) File storage service system, file management device, file management method, ID denotative NAS server and file reading method
US7738503B2 (en) Multi-way, peer-to-peer synchronization
US8001077B2 (en) Distributed method for synchronizing and updating bookmarks on multiple computer devices
JP4671332B2 (ja) ユーザ識別情報を変換するファイルサーバ
US20030208559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online and offline interactive applications on mobile devices
CN100580675C (zh) 访问不同种类的配置管理数据库储存库的方法和系统
US7599959B2 (en) Centralized access and management for multiple, disparate data repositories
EA007778B1 (ru) Генератор прикладных программ
JP2002099454A (ja) ファイル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TW200849093A (en) System, method and program to provide data to another program
JP2000163303A (ja) ディレクトリデータ変換方法、ディレクトリデータ変換プログラムが記憶された記憶媒体、およびディレクトリ変換サーバ
KR100637927B1 (ko) 다수 단말과 서버간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
JPH1115716A (ja) 文書更新通知装置および文書更新通知方法
US20050108237A1 (en) File system
JP4965420B2 (ja) コンテンツサーバシステム
CN110543627B (zh) 一种报表配置信息的存储方法及系统
CN116739397B (zh) 一种新能源指标的动态管理方法
JP2000076263A (ja) コンテンツ連携システムおよびコンテンツ連携方法
KR100456775B1 (ko) 분산이기종간의 지리정보데이터 공유 장치 및 방법
JP2008015637A (ja) ファイルデータ管理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CN115544169A (zh) 一种数据同步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