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9184A - 맥관 스텐트용 실 및 이 실을 사용한 맥관용 스텐트 - Google Patents

맥관 스텐트용 실 및 이 실을 사용한 맥관용 스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9184A
KR20050059184A KR1020057005009A KR20057005009A KR20050059184A KR 20050059184 A KR20050059184 A KR 20050059184A KR 1020057005009 A KR1020057005009 A KR 1020057005009A KR 20057005009 A KR20057005009 A KR 20057005009A KR 20050059184 A KR20050059184 A KR 200500591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degradable polymer
yarn
stent
dru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5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9871B1 (ko
Inventor
게이지 이가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이가키 이료 세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이가키 이료 세케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이가키 이료 세케이
Publication of KR20050059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9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9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98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3/00Antithrombogenic treatment of surgical articles, e.g. sutures, catheters, prostheses, or of articles for the manipulation or conditioning of blood; Materials for such treatment
    • A61L33/06Use of 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31/148Materials 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by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61F2/07Stent-graf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8Materials for coatings
    • A61L31/10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31/16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e.g. therapeut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16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the macromolecular compounds being biodegrad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16Anti-neoplastic or anti-proliferative or anti-restenosis or anti-angiogenic agents, e.g. paclitaxel, sirolim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2Anti-thrombotic agents, anticoagulants, anti-platelet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26Immunomodulating agents, i.e. cytokines, interleukins, interfer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맥관 내에 도입 유치되는 맥관 스텐트를 구성하기 위한 실(1)로서, 상기 실은 생분해성 폴리머를 용융 방사하여 형성되고, 상기 실의 표면에는 약제를 함유하는 상기 실을 구성하는 생분해성 폴리머와 동종의 생분해성 폴리머 층(2)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맥관 스텐트용 실 및 이 실을 사용한 맥관용 스텐트 {THREAD FOR VASCULAR STENT AND VASCULAR STENT USING THE THREAD}
본 발명은, 생체의 혈관, 림프관, 담관이나 배뇨관 등의 맥관(脈管) 내에 장착되고, 맥관의 내강(內腔)을 일정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맥관용 스텐트를 형성하기 위한 실(thread) 및 이 실을 사용한 맥관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일본국에서 2002년 9월 25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번호 2002-279404를 기초로 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상기 출원은 참조하는 것에 의해, 본 출원에 원용된다.
혈관 형성방법에 있어서, 풍선 확장술이나 스텐트 이식술과 같은 기계적인 방법은, 혈관에 대하여 손상을 줄 가능성이 크다. 혈관의 손상 부위에서는, 혈전(血栓) 형성에 의한 급성관폐색이나, 혈관벽의 치유 반응인 혈관내막의 증식에 의해 일어나는 재협착 등이 종종 발생된다.
급성관폐색은, 혈전 형성이 관여하고 있고, 그 예방에 대하여는, 통상, 정맥 등을 통하여, 전신 약물 투여로써 항혈전 요법이 행해지고 있다.
한편, 재협착은, 세포의 과대 증식에 의해 발생된다. 현재, 이와 같은 세포 증식을 억제시키는 약제의 연구가 활발히 행해지고 있고, 여러 종류의 약제가 양호한 결과를 얻고 있다.
이들 약제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고농도 또는 다량의 약제를 전신에 걸쳐서 투여해야만 되고, 이에 따라 부작용이 생기는 위험성이 지적되고 있다.
그러므로, 최근, 급성관폐색이나 재협착의 예방에, 국소적 약제 전달 시스템(LDDS; Local drug delivery system)이 안전하면서 유효한 방법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국소적 약제 전달 시스템(LDDS)에 있어서, 약제를 목적으로 하는 혈관의 부위에 운반하는 부재로서, 스텐트가 주목되고 있다. 스텐트를 사용한 국소적 약제 전달 시스템(LDDS)을 이용하면, 약제를 담지(擔持)시킨 스텐트를 혈관 내의 목적 부위에 유치함으로써, 국소적으로 약제를 투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스텐트는, 혈류를 저해하지 않고, 장기에 걸쳐 혈관의 목적 부위에 유치되므로, 장시간에 걸쳐 충분한 약제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국소적 약제 전달 시스템(LDDS)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현재, 임상으로 사용되고 있는 혈관용 스텐트는, 모두 금속제이다. 금속은, 재료 그 자체의 내부에 약제를 혼입시키지 못하고, 약제의 부착은 재료 표면밖에 행할 수 없다. 금속 스텐트에 약제를 부착시키는 방법으로서, 일본국 특개평 8-33718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코팅, 접착하는 등의 방법이 있다. 코팅법 또는 접착법에 의해 금속제 스텐트의 표면에 약제를 부착시켰을 경우, 약제 그 자체가 스텐트 표면으로부터 벗겨지고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 충분한 약효를 얻기 위한 양의 약제를 부착시키는 것도 곤란하다. 또한, 금속제의 스텐트는, 혈관 내에 장착되었을 때, 스텐트 그 자체가 이물질로서 반영구적으로 잔류되므로, 스텐트를 장착한 부위에서 혈관에 재협착을 발생시킬 염려도 있다.
국소적 약제 전달 시스템(LDDS)에 있어서는, 약제의 함유량이나 단위시간당의 방출량, 및 방출 기간의 제어가 필요하다. 국소적 약제 전달 시스템(LDDS)에 의해 급성관폐색이나 재협착의 예방을 보다 효과적으로 행하기 위해서는, 목적으로 하는 혈관 부위에서의 약제의 유효 농도가 유지되고, 또한 약제가 소정 기간에 걸쳐 혈관벽 및 혈액중에 방출되도록 하는 제어가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맥관 스텐트용 실을 구성하는 실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맥관 스텐트용 실을 구성하는 실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맥관 스텐트용 실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맥관 스텐트용 실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맥관 스텐트용 실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맥관 스텐트용 실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맥관용 스텐트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스텐트 본체를 구성하는 맥관 스텐트용 실의 절곡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스텐트 본체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맥관용 스텐트에 형상 기억을 주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맥관용 스텐트나 직경 축소되었을 때의 맥관 스텐트용 실의 절곡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2는 직경 축소된 상태를 나타낸 맥관 스텐트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혈관 등의 맥관에 장착되는 스텐트에 확실하게 약제를 유지할 수 있는 맥관 스텐트용 실 및 맥관 스텐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약제를 장기간에 걸쳐 체내에 방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맥관 스텐트용 실 및 맥관 스텐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약제의 함유량이나 단위시간당의 방출량, 및 방출 기간을 제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맥관 스텐트용 실 및 맥관 스텐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약제의 방출 후 또는 약제의 방출과 동시에 생체 내에서 분해되고, 생체 내에 이물질으로서 잔류하지 않는 맥관 스텐트용 실 및 맥관 스텐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되는 본 발명은, 생체의 혈관 등의 맥관 내에 도입 유치되는 맥관 스텐트를 형성하기 위한 맥관 스텐트용 실이며, 생분해성 폴리머(biodegradable polymer)를 용융 방사(紡絲)하여 형성된 실의 표면에, 약제를 함유하는, 상기 실을 구성하는 생분해성 폴리머와 동종의 생분해성 폴리머 층이 형성되어 있다. 약제를 함유한 생체 분해성 폴리머는, 용매가 혼합됨으로써 용해되고 용액으로 된다. 이 용액으로 된 생체 분해성 폴리머 중에 약제가 혼합 또는 용해된다. 약제가 혼합 또는 용해된 생체 분해성 폴리머 용액은, 실의 표면에 도포되어 약제함유층을 구성한다.
약제 함유층을 구성하는 생분해성 폴리머는, 실을 구성하는 생분해성 폴리머와 동종의 것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실의 표면에 양호한 밀착성을 유지하여 피착(被着)된다. 또한, 약제 함유층을 구성하는 생분해성 폴리머와 실을 구성하는 생분해성 폴리머는 동종의 것이므로, 생체 내에서 대략 동일한 속도로 분해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여기서, 실을 형성하는 생분해성 폴리머에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polyester)가 이용된다.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로서는, 구체적으로, 폴리글리콜산, 폴리 젖산 등의 폴리(α-히드록시산); 폴리-ε-카프로락톤 등의 폴리[ω-히드록시 알카노에이트(hydroxyalkanoat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약제 함유층을 구성하는 생분해성 폴리머도, 이 종류의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가 이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맥관 스텐트용 실은, 생분해성 폴리머를 스크류 압출기를 사용하여 용융 방사하여 연신시킨 모노 필라멘트가 이용된다. 또한, 멀티 필라멘트를 사용한 것이라도 된다.
실의 표면에 피착되는 생분해성 폴리머에 함유되는 약제로는, 혈전 형성 억제 효과 및/또는 내막증식 억제 효과를 가진 것이 사용된다. 내막증식 억제 효과를 가지는 약제로서는, 면역 억제제 또는 항종양제가 사용된다. 내막증식 억제 효과를 가지는 약제의 일례로서는, 트라닐라스트[N-(3, 4-디메톡시신나모일)안트라닐산]이 사용된다. 면역 억제제로서는, 라파마이신(Sirolimus)이 사용되고, 항종양제로서는, 타키솔(Paclitaxel)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맥관 스텐트용 실에 있어서는, 약제를 함유한 생분해성 폴리머의 제1 층 위에, 또한 실을 구성하는 생분해성 폴리머와 동종의 생분해성 폴리머 만으로 이루어지는 제2 층이 적층된다. 약제를 함유하는, 제1 층 위에 또한 생분해성 폴리머만으로 이루어지는 제2 층이 형성됨으로써, 제1 층에 함유시킨 약제의 방출 기간을 억제하고, 약제의 방출 기간을 연장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맥관 스텐트용 실은, 생분해성 폴리머에 약제를 함유 시켜 용융 방사되어 그 표면에, 약제를 함유하는, 상기 실을 구성하는 생분해성 폴리머와 동종의 생분해성 폴리머 층이 형성되어 있다.
약제 함유층이 형성되는 실에 함유되는 약제도, 약제 함유층에 함유되는 약제와 마찬가지의 혈전 형성 억제 효과 및/또는 내막증식 억제 효과를 가지는 것이 사용된다.
실의 표면에 형성되는 약제 함유층은, 전술한 바와 같이, 약제가 혼합 또는 용해된 생체 분해성 폴리머 용액이 실의 표면에 도포됨으로써 형성된다.
실에 약제를 함유시킨 맥관 스텐트용 실에 있어서도, 약제를 함유하는, 생분해성 폴리머의 제1 층 위에, 또한 상기 실을 구성하는 생분해성 폴리머와 동종의 생분해성 폴리머의 제2 층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층은 제1 층 위에 생분해성 폴리머 용액을 도포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맥관 스텐트용 실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맥관 스텐트이다. 이 맥관 스텐트는, 전술한 어느 하나의 맥관 스텐트용 실을 지그재그형으로 절곡하면서 통형으로 감아, 실의 절곡부를 변위부으로 하여 직경 확대 또는 직경 축소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스텐트 본체를 형성하는 실은, 생분해성 폴리머를 스크류 압출기를 사용하여 용융 방사하여 연신시킨 모노 필라멘트가 사용된다. 또한, 멀티 필라멘트를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맥관 스텐트는, 실의 표면에 양호한 밀착성을 유지하여 약제 함유층을 형성한 맥관 스텐트용 실을 사용하여 형성되므로, 혈관 등의 맥관에의 삽입 도중에 약제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맥관 내의 목적으로 하는 부위에 확실하게 약제를 운반하여 유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맥관 스텐트는, 생분해성 폴리머제의 실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생체 내에 이물질로서 잔류되지 않고, 일정기간 경과한 후에 소실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맥관 스텐트에 있어서는, 맥관 스텐트용 실을 사용하여 형성된 스텐트 본체의 표면에, 실을 구성하는 재료와 동종의 생분해성 폴리머의 용액을 도포하여 생분해성 폴리머층을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스텐트 본체의 표면에 생분해성 폴리머층이 형성됨으로써, 약제 함유층에 함유된 약제의 방출이 억제되고, 약제의 방출 기간을 연장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구체적인 이점은,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맥관 스텐트용 실 및 이 실을 사용한 맥관 스텐트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은, 예를 들면 생체의 관동맥과 같은 혈관 내에 삽입되어 이용되는 맥관 스텐트, 특히 혈관용 스텐트를 형성하기 위해 이용된다.
혈관용 스텐트를 형성하기 위해 이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실은, 인체 등의 생체에 장착했을 때, 생체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생분해성 폴리머에 의해 형성된다. 이 생분해성 폴리머로서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가 이용된다.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폴리글리콜산, 폴리 젖산 등의 폴리(α-히드록시산); 폴리-ε-카프로락톤 등의 폴리(ω―히드록시 알카노에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 종류의 생분해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실은, 스크류 압출기를 사용하여 방사할 수 있다. 스크류 압출기를 사용하여 실을 방사하는데는, 먼저 생분해성 폴리머의 펠릿을 스크류 압출기의 호퍼에 투입하고, 외주면에 나선홈을 형성한 스크류가 회전하는 실린더 내에서 융점(Tm) 근방 또는 융점 이상 열분해점 이하까지 가열하면서 압축하여 용융한다. 실린더 내에서 용융된 생분해성 폴리머는, 유리 전이점(Tg) 이상의 온도로 설정된 노즐로부터 압출된다. 노즐로부터 압출된 선형의 생분해성 폴리머는, 권취 장치에 감긴다. 이 선형의 생분해성 폴리머는, 권취 장치에 감길 때, 또는 그 후 또한 연신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맥관 스텐트용 실의 기재(基材)로 되는 실로 된다.
여기서 형성되는 맥관 스텐트용 실의 기재로 되는 실(1)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생분해성 폴리머가 일련으로 연속한 모노 필라멘트에 의해 형성된다.
맥관 스텐트용 실의 기재로 되는 실(1)은, 모노 필라멘트뿐만 아니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개의 모노 필라멘트(1a)가 일체화된 멀티 필라멘트에 의해 형성된 것이라도 된다.
그리고, 실(1)은 단면 형상이 원형뿐만 아니라, 편평한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 등이 이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맥관 스텐트용 실(10)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술한 바와 같은 생분해성 폴리머를 방사한 실(1)을 기재로 하여 형성된다.
기재로 되는 실(1)의 표면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제를 함유한 생분해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제1 층인 약제 함유층(2)이 형성되어 있다. 약제 함유층(2)은 용매를 사용하여 용해한 생분해성 폴리머 중에 약제를 혼합한 용액을 실(1)의 표면에 도포함으로써 형성된다.
여기서, 약제 함유층(2)을 구성하는 생분해성 폴리머는, 실(1)을 구성하는 생분해성 폴리머와 동종의 것이 이용된다. 실(1)이 폴리 젖산(PLLA; Poly-L-Lactic-Acid)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약제 함유층(2)을 구성하는 생분해성 폴리머도 동종의 폴리 젖산(PLLA)이 이용된다. 여기서, 동종의 생분해성 폴리머란, 동일한 및 분자가지를 가지는 것이며 되고, 분자량을 달리하는 것이라도 된다. 예를 들면, 실(1)을 고분자량의 폴리 젖산(PLLA)으로 형성하고, 약제 함유층(2)을 저분자량의 폴리 젖산(PLLA)으로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약제 함유층(2)에 함유되는 약제로서는, 혈전 형성 억제 효과 및/또는 내막증식 억제 효과를 가진 것이 사용된다. 내막증식 억제 효과를 가지는 약제로서는, 면역 억제제 또는 항종양제가 사용된다. 내막증식 억제 효과를 가지는 약제의 일례로서는, 트라닐라스트[N-(3, 4)디메톡시신나모일)안트라닐산]가 사용된다. 면역 억제제로서는, 라파마이신이 사용되고, 항종양제로서는, 타키솔이 사용된다.
약제 함유층(2)을 형성하는 용액은, 생분해성 폴리머의 펠릿에 용매를 부가하면서 가열하여 용해하고, 용해한 생분해성 폴리머에 약제를 투입 혼합하여 제작된다.
생분해성 폴리머로서 폴리 젖산(PLLA)을 사용한 경우에는, 폴리 젖산(PLLA)의 펠릿에 용매로 되는 1·4-디옥산을 부가하여, 90℃ 정도로 가열하면서 교반하여 용해한다. 용해된 생분해성 폴리머 중에 약제, 예를 들면 트라닐라스트(tranilast) 분말을 부가하여 교반하여 약제 함유의 용액을 얻는다.
그리고, 생분해성 폴리머로서 폴리 젖산(PLLA)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폴리 젖산(PLLA)을 보다 용해하기 쉬운 디크로로메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약제 함유의 용액은, 코팅 수단을 사용하여 실(1)의 표면에 도포됨으로써, 약제 함유층(2)을 형성한다.
약제 함유의 용액이 도포되는 실(1)은, 미리 표면에 부착된 먼지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도록 세정된다.
실(1)의 세정은, 에탄올과 증류수를 사용하여 행해진다. 먼저, 실(1)은, 에탄올이 충전된 세정 용기에 투입되어 세정된다. 에탄올을 사용한 세정이 행해진 실(1)은, 증류수가 충전된 세정 용기에 투입되어 세정된다. 세정된 실(1)은 그 후 건조되고, 약제 함유의 용액의 도포가 행해진다.
약제 함유층(2)을 형성하는 약제 함유의 용액은, 이 용액이 도포되는 실(1)을 구성하는 생분해성 폴리머와 동종의 재료를 용해한 것을 사용하므로, 실(1)에 대하여 양호한 밀착성을 가지고 피착된다. 이와 같은 용액을 사용하여 형성된 약제 함유층(2)은, 용이한 박리나 탈락이 방지되어 실(1)의 표면에 일체로 피착된다. 따라서, 약제 함유층(2) 중에 함유되는 약제도, 용이한 박리나 탈락이 방지되어 실(1)의 표면에 담지된다.
실(1)의 표면에 용이한 박리나 탈락이 방지되어 약제 함유층(2)을 형성한 맥관 스텐트용 실(10)을 사용하여 맥관 스텐트를 형성함으로써, 생체 내의 원하는 부위에 확실하게 약제를 투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맥관 스텐트용 실(10)에 있어서는, 약제 함유층(2)에 함유되는 약제의 양을 변경함으로써, 약제의 단위시간당의 방출량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맥관 스텐트용 실(20)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층으로 되는 약제 함유층(2)의 위에, 또 실(1)을 구성하는 생분해성 폴리머와 동종의 생분해성 폴리머만으로 이루어지는 제2 층(3)을 적층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제2 층(3)은, 실(1)과 동종의 생분해성 폴리머에 의해 형성되므로, 실(1)이 폴리 젖산(PLLA)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동종의 폴리 젖산(PLLA)에 의해 형성된다. 즉, 제2 층(3)은, 실(1)과 동일한 폴리 젖산(PLLA) 또는 실(1)을 구성하는 폴리 젖산(PLLA)보다 저분자량의 폴리 젖산(PLLA)에 의해 형성된다.
제2 층(3)은, 생분해성 폴리머의 펠릿에 용매를 부가하면서 가열하여 용해한 용액을 약제 함유층(2) 위에 도포함으로써 형성된다.
제2 층(3)을 형성하는 생분해성 폴리머로서 폴리 젖산을 사용한 경우에는, 폴리 젖산의 펠릿에 용매로 되는 1·4-디옥산을 부가하고, 90℃ 정도로 가열하면서 교반하여 용해한 용액을 사용한다. 이 경우에도, 폴리 젖산을 사용한 생분해성 폴리머 용액을 얻기 위하여, 용매로서 디크로로메탄을 사용해도 된다.
제2 층(3)을 구성하는 생분해성 폴리머 용액은, 약제 함유층(2)이 건조된 후, 이 약제 함유층(2) 위에 도포된다.
약제 함유층(2) 위에 생분해성 폴리머 용액이 피착된 실(1)은, 완전하게 건조됨으로써,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약제 함유층(2) 및 생분해성 폴리머만의 제2 층(3)을 순차적으로 적층한 맥관 스텐트용 실(20)로 된다.
약제 함유층(2) 위에 또 실(1)과 동종의 생분해성 폴리머만으로 이루어지는 제2 층(3)을 형성한 맥관 스텐트용 실은, 약제 함유층(2)에 함유된 약제의 방출량, 방출 기간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약제 함유층(2) 위에 생분해성 폴리머만으로 이루어지는 제2 층(3)이 형성됨으로써, 약제 함유층(2)에 함유된 약제의 방출이 억제되고, 약제의 방출 기간을 연장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약제 함유층(2)에 함유된 약제의 방출 기간은, 제2 층(3)의 두께, 즉 제2 층(3)을 구성하는 생분해성 폴리머 용액의 도포 두께를 변경함으로써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맥관 스텐트용 실을 구성하는 실은, 생분해성 폴리머만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 실에 또 약제를 함유시키도록 해도 된다.
약제를 함유한 실(11)을 사용한 맥관 스텐트용 실(30)의 예를 도 5에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낸 맥관 스텐트용 실(30)을 구성하는 약제를 함유한 실(11)은, 스크류 압출기를 사용하여 방사할 때, 실(1)의 재료로 되는 생분해성 폴리머로 형성된 펠릿과 함께 약제를 호퍼에 투입함으로써 형성된다. 약제와 함께 호퍼에 투입된 생분해성 폴리머의 펠릿은, 외주면에 나선홈을 형성한 스크류가 회전하는 실린더 내에서 융점(Tm) 근방 또는 융점 이상 열분해점 이하까지 가열하면서 압축하여 용융된다. 이 때, 용융된 생분해성 폴리머 중에 약제가 용융 혼합된다. 약제가 용융 혼합된 용융된 생분해성 폴리머는, 유리 전이점(Tg) 이상의 온도로 설정된 노즐로부터 압출되고, 권취 장치에 감김으로써, 약제가 혼합된 실(11)로서 방사된다.
여기서, 실(11)을 형성하는 생분해성 폴리머로서, 융점이나 약제에 손상을 주지 않는 정도의 온도의 재료가 이용된다. 약제로서 트라닐라스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융점이 220℃ 이하의 생분해성 폴리머, 구체적으로는, 융점을 220℃ 이하인 폴리 젖산(PLLA)을 사용한다.
약제를 함유시킨 실(11)의 표면에도, 전술한 생분해성 폴리머만으로 이루어지는 실(1)과 마찬가지로, 그 표면에 약제를 함유시킨 약제 함유층(2)이 형성되어 본 발명에 따른 맥관 스텐트용 실(30)로 된다.
이 맥관 스텐트용 실(30)에 있어서도, 실(11) 및 약제 함유층(2)에 함유되는 약제로서는, 혈전 형성 억제 효과 및/또는 내막증식 억제 효과를 가진 것이 이용된다. 내막증식 억제 효과를 가지는 약제로서는, 면역 억제제 또는 항종양제가 이용된다. 이 때, 실(11) 및 약제 함유층(2)에 함유되는 약제는, 각각 약효를 달리하는 종류를 달리하는 약제로 해도 된다. 예를 들면, 한쪽에, 혈전 형성 억제 효과를 가지는 약제를 함유시키고, 다른 쪽에 내막증식 억제 효과를 가지는 약제를 함유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약제 함유층(2)에 혈전 형성 억제 효과를 가지는 약제를 함유시키고, 실(1)에 내막증식 억제 효과를 가지는 약제를 함유시킨다.
약제를 함유시킨 실(11)을 사용함으로써, 장기에 걸쳐 약제를 방출시키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약제를 함유시킨 실(11)을 사용한 맥관 스텐트용 실에 있어서도,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11)의 표면에 제1 층으로 되는 약제 함유층(2) 위에 또 실(11)을 구성하는 생분해성 폴리머와 동종의 생분해성 폴리머만으로 이루어지는 제2 층(3)을 적층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도 6에 나타낸 맥관 스텐트용 실(40)도, 제2 층(3)은, 실(11)과 동종의 생분해성 폴리머에 의해 형성되므로, 실(1)이 폴리 젖산(PLLA)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동종의 폴리 젖산(PLLA)에 의해 형성된다. 즉, 제2 층(3)은, 실(1)과 동일한 폴리 젖산(PLLA) 또는 실(1)을 구성하는 폴리 젖산(PLLA)보다 저분자량의 폴리 젖산(PLLA)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층(3)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생분해성 폴리머의 펠릿에 용매를 부가하면서 가열하여 용해한 용액을 약제 함유층(2) 상에 도포함으로써 형성된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각 맥관 스텐트용 실은, 생체의 관동맥과 혈관 내에 삽입되어 이용되는 맥관 스텐트, 특히 혈관용 스텐트를 형성하기 위해 이용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맥관 스텐트용 실을 사용하여 형성한 혈관용 스텐트의 예를 설명한다.
혈관용 스텐트는, 생분해성 폴리머만으로 이루어지는 실을 사용한 맥관 스텐트용 실, 약제를 함유시킨 실을 사용한 맥관 스텐트용 실의 어느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이하의 설명에서는, 생분해성 폴리머만으로 이루어지는 실(1)을 사용한 맥관 스텐트용 실(10)을 사용하는 예를 들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혈관용 스텐트(21)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술한 맥관 스텐트용 실(10)을 통형으로 형성하여 구성된다.
즉, 맥관 스텐트용 실(10)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속하는 V자 모양을 이루도록 지그재그형으로 절곡하면서 나선형으로 감겨짐으로써 통형의 스텐트 본체(13)를 형성한다. 이 때, 맥관 스텐트용 실(10)은, V자 모양을 이루는 1개의 절곡부(14)의 한 변을 단선부(短線部)(14a)로 하고, 다른 변을 장선부(長線部)(14b)로 함으로써 나선형으로 감긴 형상이 얻어진다. 맥관 스텐트용 실(10)의 중도부에 형성되는 절곡부(14)의 벌림각(θ1)이 대략 동일하고, 절곡부(14)간의 단선부(14a) 및 장선부(14b)의 길이를 각각 대략 동일하게 함으로써,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는 절곡부(14)의 정점이 서로 접촉하도록 된다. 서로 접촉한 절곡부(14)의 정점의 몇개인가 또는 전부는 서로 접합된다. 스텐트 본체(13)를 형성하는 맥관 스텐트용 실(10)은, 절곡부(14)의 서로 정점을 접촉시킨 부분이 접합됨으로써, 확실하게 통형의 형상을 유지한 상태로 유지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통형으로 형성된 스텐트 본체(13)를 사용하여 구성되는 스텐트(21)는, 혈관 내에 유치되는 상태의 크기로 형상 기억된다. 이 형상 기억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텐트(21)를 생체의 맥관 내에 장착시켰을 때의 크기로 유지하는데 충분한 크기로 형성한 축형의 형틀(101)에 장착하고, 맥관 스텐트용 실(10)을 구성하는 생분해성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Tg) 이상의 온도로 융점(Tm) 이하의 온도로 가열하고, 형틀(101)의 크기로 모방한 크기로 변형시킨다. 그 후, 형틀(101)에 장착된 스텐트(21)를 형틀(101)과 함께 유리 전이 온도(Tg) 이하로 냉각하면, 스텐트(21)에는, 변형이 주어진 상태로 고정화되는 형상 기억이 주어진다.
여기서 얻어지는 스텐트(21)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경(Rl)이 약 3~ 5mm이며, 그 길이(L1)가 10~ 15mm의 크기로 형상 기억된다. 이 크기는, 생체의 혈관 내에 유치되는 상태의 직경 또는 그 이상의 직경을 가지는 크기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형상 기억된 스텐트(21)는, 형틀(101)로부터 분리된 후 직경 축소된다. 이 직경 축소는, 스텐트(21)가 유리 전이 온도(Tg) 이하로 냉각된 상태로 스텐트 본체(13)의 외주 주위로부터 역학적인 압력을 부가하면서 변형됨으로써 행해진다.
스텐트(21)의 직경 축소는, 절곡부(14)의 벌림각(θ1)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은 각(θ2)으로 되도록 절곡부(14)를 변위시킴으로써 직경 축소된다. 이 절곡부(14)를 변위시킴으로써 행해지는 직경 축소는, 유리 전이 온도(Tg) 이하로 냉각된 실(10)의 절곡부(14)가 변형됨으로써 행해진다. 이 때, 스텐트(21)는 생체의 맥관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직경을 가지도록 직경 축소된다. 예를 들면, 직경(R1)이 약 3~5mm의 크기로 형상 기억된 스텐트(21)에 있어서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경(R2)이 약 1mm~2mm의 크기를 가지도록 직경 축소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외압이 가해져 직경 축소된 스텐트(21)는, 맥관 스텐트용 실(10)을 구성하는 생분해성 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Tg) 이상으로 가열되면, 절곡부(14)에게 주어져 있던 변형이 개방되고, 작은 벌림각(θ2)까지 절곡된 절곡부(14)가 벌림각(θ1)까지 벌어지고, 초기의 형상 기억된 형상으로 회복된다. 즉, 스텐트(21)는 유리 전이 온도(Tg) 이상으로 재차 가열됨으로써,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기의 형상 기억된 크기로 직경 확대된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른 혈관용 스텐트(21)는, 생체의 관동맥과 같은 혈관 내에 삽입되어 사용되고, 혈관에 삽입되었을 때 형상 기억된 상태로 직경 확대되어 혈관의 내벽을 지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혈관용 스텐트(21)를 구성하는 맥관 스텐트용 실(10)은, 생체의 체온 또는 체온에 가까운 온도에 의해 형상 회복될 수 있도록, 유리 전이 온도(Tg)가 70℃ 이하인 생분해성 폴리머가 이용된다.
유리 전이 온도(Tg)가 70℃ 이하에서, 생체의 체온에 의해 형상 회복되도록 한 맥관 스텐트용 실(10)에 의해 형성된 스텐트(21)는, 형상 기억된 상태로 직경 확대되기 때문에, 가열하는 경우라도, 생체의 혈관에 열상(熱傷)을 발생시키지 않는 온도로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맥관 스텐트용 실(10)을 사용하여 형성한 혈관용 스텐트(21)는, 약제 함유층(2)에 약제를 담지시켜 확실하게 혈관 내의 원하는 위치에 투여할 수 있다. 또, 약제의 방출 기간을 제어할 수 있는 맥관 스텐트용 실(10)을 사용함으로써, 혈관 내에 장착 후 원하는 기간에 걸쳐 약제의 방출을 행하게 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여기서, 혈관용 스텐트(21)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기재로 되는 실(1)의 표면에 약제 함유층(2)만을 형성한 맥관 스텐트용 실(10)을 사용하여 형성한 경우에는, 이 맥관 스텐트용 실(10)을 통형으로 형성한 스텐트 본체(13)의 표면에, 기재로 되는 실(1)을 구성하는 재료와 동종의 생분해성 폴리머를 용해한 용액을 도포하여 폴리머층을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즉, 이 생분해성 폴리머층은, 실(1)이 폴리 젖산(PLLA)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동종의 폴리 젖산(PLLA)에 의해 형성된다.
스텐트 본체(13)의 표면에 형성되는 생분해성 폴리머층은, 생분해성 폴리머 용액을 도포 기구를 사용하여 도포하고, 또는 스텐트 본체(13)를 생분해성 폴리머 용액중에 침적(浸積)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텐트 본체(13)의 표면에 생분해성 폴리머층이 형성되는 것에 의하여, 약제 함유층(2)으로부터 방출되는 약제의 방출량을 억제하고, 약제의 방출 기간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전술한 혈관용 스텐트는, 실(1)의 표면에 약제 함유층(2)만을 형성한 맥관 스텐트용 실(10)에 의해 형성하고 있지만, 마찬가지로 전술한 다른 맥관 스텐트용 실(20, 30, 40)에 의해 형성할 수도 있다. 이들 실(20, 30, 40)을 사용한 경우에는, 각 실(20, 30, 40)이 가지는 특성을 발휘하는 혈관용 스텐트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실(20, 30, 40)을 사용한 스텐트에 있어서도, 스텐트 본체의 표면에, 기재로 되는 실(1, 11)을 구성하는 재료와 동종의 생분해성 폴리머를 용해한 용액을 도포하여 폴리머층을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맥관 스텐트용 실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그 제조 방법과 함께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맥관 스텐트용 실을 형성하는데는, 기재로 되는 생분해성 폴리머제의 실(1)을 준비한다.
여기서 사용하는 실(1)은, 폴리 젖산(PLLA)의 펠릿을 스크류 압출기를 사용하여 용융 방사하여 형성된다. 이 실(1)은, 생체, 특히 사람의 관동맥에 장착되는 혈관용 스텐트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직경이 약 150μm인 일련으로 연속된 모노 필라멘트가 이용된다. 물론, 복수개의 모노 필라멘트(1a)를 일체화 한 멀티 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실(1)을 사용해도 된다.
준비한 실(1)은, 표면에 부착된 먼지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도록 세정된다.
실(1)의 세정은, 에탄올과 증류수를 사용하여 행해진다. 먼저, 실(1)은, 에탄올이 충전된 세정 용기에 투입되고, 상온에서 20분 정도 교반된다. 이 에탄올 중의 교반 세정은, 2회 행해진다. 에탄올을 이용한 세정이 행해진 실(1)은, 증류수가 충전된 세정 용기에 투입되어 세정된다. 증류수를 사용하여 세정된 실(1)은, 진공 인디케이터 내에서 1일 보존 건조된다.
실(1)의 세정과 동시에, 실(1)의 표면에 도포되는 약제를 함유시킨 생분해성 폴리머 용액을 준비한다. 여기서는, 약제로서 트라닐라스트를 사용하고, 생분해성 폴리머로서 폴리 젖산을 사용한다.
생분해성 폴리머 용액을 형성하는데는, 트라닐라스트 분말과, 이 트라닐라스트 분말과 동일한 중량의 폴리 젖산의 펠릿을 준비한다.
다음에, 폴리 젖산의 펠릿이 투입된 용기중에 용매로 되는 1·4-디옥산을 적당량 가한다. 그 후, 90℃로 가열하고, 교반함으로써, 폴리 젖산의 펠릿을 용해한다. 이 때, 용매가 증발하면, 폴리 젖산의 펠릿이 완전하게 용해할 때까지 용매를 소량씩 부가한다.
폴리 젖산의 펠릿이 완전하게 용해되었을 때, 칭량된 트라닐라스트 분말을 부가하여 교반한다. 이 때, 용매가 증발하면, 트라닐라스트 분말이 폴리 젖산 용액중에 균등하게 분산될 때까지 용매를 소량씩 부가한다. 그리고, 칭량된 트라닐라스트 분말이 균등하게 분산됨으로써, 원하는 생분해성 폴리머 용액을 얻을 수 있다.
트라닐라스트가 함유된 생분해성 폴리머 용액인 폴리 젖산 용액은, 세정된 실(1)의 표면에 도포된다.
실(1)의 표면에 도포되는 트라닐라스트 함유의 폴리 젖산 용액은, 용매로서의 1·4-디옥산에 3:1의 비율로 혼합되고 교반되어 희석화된다.
희석화된 트라닐라스트 함유의 폴리 젖산 용액은, 도포용의 솔 등을 사용하여 실(1)의 표면에 도포된다. 이 때, 트라닐라스트 함유의 폴리 젖산 용액은, 굵기가 약 150μm 정도되는 실(1)이, 약 165μm로 되도록 도포된다. 즉, 폴리 젖산 용액은, 7~8μm의 두께로 도포된다. 트라닐라스트 함유의 폴리 젖산 용액이 도포된 실(1)은, 진공 인디케이터 내에서 1일 보존 건조됨으로써, 용매인 1·4-디옥산은 완전하게 증발하여 폴리 젖산만으로 약제가 함유된 약제 함유층(2)이 표면에 형성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맥관 스텐트용 실(10)이 얻어진다.
(실시예 2)
제1 층으로 되는 약제 함유층(2) 위에, 또 실(1)을 구성하는 생분해성 폴리머와 동종의 생분해성 폴리머만으로 이루어지는 제2 층(3)을 적층 형성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맥관 스텐트용 실(10)은, 약제 함유층(2)만이 표면에 형성된 실(1)의 표면에 추가로 생분해성 폴리머 용액을 도포함으로써 형성된다.
여기서, 실(1)은, 폴리 젖산(PLLA)의 펠릿을 스크류 압출기를 사용하여 용융 방사한 것이 이용되므로, 제2 층(3)을 형성하기 위해 도포되는 생분해성 폴리머 용액으로는, 폴리 젖산 용액이 이용된다.
폴리 젖산 용액은, 폴리 젖산의 펠릿이 투입된 용기중에 용매로 되는 1·4-디옥산을 적당량 가하고, 90℃로 가열하고, 교반하여 폴리 젖산의 펠릿을 용해함으로써 얻어진다.
용해된 폴리 젖산 용액은, 도포용의 솔 등을 사용하여 실(1)의 표면에 형성된 약제 함유층(2) 상에 도포된다. 이 때, 폴리 젖산 용액은, 굵기가 약 150μm 정도되는 실(1)이, 상기 약제 함유층(2)을 포함하여 약 165μm로 되도록 도포된다. 즉, 제2 층을 형성하는 폴리 젖산 용액은, 약제 함유층(2)을 형성하는 약제 함유의 폴리 젖산 용액을 함유하고, 7~8μm의 두께로 도포된다. 약제 함유층(2) 및 생분해성 폴리머만의 제2 층(3)이 형성된 실(1)은, 진공 인디케이터 내에서 1일 보존 건조됨으로써, 용매인 1·4―디옥산이 완전하게 증발하여 약제 함유층(2) 및 생분해성 폴리머만의 제2 층(3)으로 이루어지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맥관 스텐트용 실(10)을 얻을 수 있다.
전술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을 혈관용 스텐트에 적용한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그 외의 생체 내의 맥관에 장착되는 스텐트에 널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의 청구의 범위 및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 치환 또는 그 동 등한 것을 행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맥관 스텐트용 실 및 이 실을 사용하여 형성된 맥관 스텐트는, 실을 구성하는 재료와 동종의 생분해성 폴리머 용액중에 약제를 함유시켜 피착함으로써 약제 함유층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약제가 실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여 확실하게 그 표면에 담지시킬 수가 있다.
또한, 약제 함유층을 형성하는 동시에, 용융 방사되는 실 자체에 약제를 함유시킴으로써, 더 장기간에 걸쳐 약제의 방출을 가능하게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약제를 적어도 실의 표면에 확실하게 담지할 수 있으므로, 이 실을 사용하여 맥관 스텐트를 형성함으로써, 생체 내의 원하는 위치에 확실하게 약제를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의 표면에 형성된 약제 함유층에 함유하는 약제의 방출 기간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맥관 스텐트를 생체 내에 장착한 후 바람직한 조건에서 약제의 방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Claims (34)

  1. 맥관(脈管) 내에 도입 유치되는 맥관 스텐트(vascular stent)용 실(thread)에 있어서,
    상기 실은 생분해성 폴리머를 용융 방사(紡絲)하여 형성되고, 상기 실의 표면에는 약제를 함유하는, 상기 실을 구성하는 생분해성 폴리머(biodegradable polymer)와 동종의 생분해성 폴리머 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관 스텐트용 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를 함유하는 생분해성 폴리머 층은, 약제를 함유하는, 상기 실을 구성하는 생분해성 폴리머와 동종의 생분해성 폴리머 용액을 상기 실의 표면에 도포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관 스텐트용 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을 형성하는 생분해성 폴리머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관 스텐트용 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은 생분해성 폴리머를 스크류 압출기를 사용하여 용융 방사하여 연신시킨 모노 필라멘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관 스텐트용 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은 생분해성 폴리머를 스크류 압출기를 사용하여 용융 방사하여 연신시킨 멀티 필라멘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관 스텐트용 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는 혈전 형성 억제 효과 및/또는 내막증식 억제 효과를 가지는 약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관 스텐트용 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막증식 억제 효과를 가지는 약제는 면역 억제제 또는 항종양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관 스텐트용 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의 표면에는, 약제를 함유하는, 상기 실을 구성하는 생분해성 폴리머와 동종의 생분해성 폴리머의 제1 층과, 상기 실을 구성하는 생분해성 폴리머와 동종의 생분해성 폴리머만으로 이루어지는 제2 층이 순차적으로 적층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관 스텐트용 실.
  9. 맥관 내에 도입 유치되는 맥관 스텐트용 실에 있어서,
    상기 실은 생분해성 폴리머에 약제를 함유시켜 용융 방사시킨 것이고, 상기 실의 표면에는, 약제를 함유하는, 상기 실을 구성하는 생분해성 폴리머와 동종의 생분해성 폴리머 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관 스텐트용 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를 함유하는 생분해성 폴리머 층은, 약제를 함유하는, 상기 실을 구성하는 생분해성 폴리머와 동종의 생분해성 폴리머 용액을 상기 실의 표면에 도포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관 스텐트용 실.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실을 형성하는 생분해성 폴리머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관 스텐트용 실.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실은 약제를 혼합한 생분해성 폴리머 재료를 스크류 압출기를 사용하여 용융 방사하여 연신시킨 모노 필라멘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관 스텐트용 실.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실은 약제를 혼합한 생분해성 폴리머 재료를 스크류 압출기를 사용하여 용융 방사하여 연신시킨 멀티 필라멘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관 스텐트용 실.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는 혈전 형성 억제 효과 및/또는 내막증식 억제 효과를 가지는 약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관 스텐트용 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내막증식 억제 효과를 가지는 약제는, 면역 억제제 또는 항종양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관 스텐트용 실.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실의 표면에는, 약제를 함유하는, 상기 실을 구성하는 생분해성 폴리머와 동종의 생분해성 폴리머의 제1 층과, 상기 실을 구성하는 생분해성 폴리머와 동종의 생분해성 폴리머만으로 이루어지는 제2 층이 순차적으로 적층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관 스텐트용 실.
  17. 생체의 맥관에 삽입되어 이용되는 맥관 스텐트에 있어서,
    생분해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실이 지그재그형으로 절곡하면서 통형으로 감겨 있으며, 상기 실의 절곡부를 변위부로 하여 직경 확대 또는 직경 축소된 스텐트 본체를 가지고,
    상기 스텐트 본체를 구성하는 실은 생분해성 폴리머를 용융 방사하여 형성되고, 상기 실의 표면에는, 약제를 함유하는, 상기 실을 구성하는 생분해성 폴리머와 동종의 생분해성 폴리머 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관 스텐트.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실을 형성하는 생분해성 폴리머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관 스텐트.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실은 생분해성 폴리머를 스크류 압출기를 사용하여 용융 방사하여 연신시킨 모노 필라멘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관 스텐트.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실은 생분해성 폴리머를 스크류 압출기를 사용하여 용융 방사하여 연신시킨 멀티 필라멘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관 스텐트.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는 혈전 형성 억제 효과 및/또는 내막증식 억제 효과를 가지는 약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관 스텐트.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내막증식 억제 효과를 가지는 약제는, 면역 억제제 또는 항종양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관 스텐트.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실의 표면에는, 약제를 함유하는, 상기 실을 구성하는 생분해성 폴리머와 동종의 생분해성 폴리머의 제1 층과, 상기 실을 구성하는 생분해성 폴리머와 동종의 생분해성 폴리머만으로 이루어지는 제2 층이 순차적으로 적층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관 스텐트.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 본체의 표면에는, 상기 실을 구성하는 생분해성 폴리머와 동종의 생분해성 폴리머 용액이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관 스텐트.
  25.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 본체의 표면에, 상기 실을 구성하는 재료와 동종의 생분해성 폴리머의 용액이 피착(被着)되어 생분해성 폴리머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관 스텐트.
  26. 생체의 맥관에 삽입되어 이용되는 맥관 스텐트에 있어서,
    생분해성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실이 지그재그형으로 절곡하면서 통형으로 감겨 있으며, 상기 실의 절곡부를 변위부로 하여 직경 확대 또는 직경 축소된 스텐트 본체를 가지고,
    상기 스텐트 본체를 구성하는 실은 생분해성 폴리머에 약제를 함유시켜 용융 방사된 것이고, 상기 실의 표면에는, 약제를 함유하는, 상기 실을 구성하는 생분해성 폴리머와 동종의 생분해성 폴리머 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관 스텐트.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실을 형성하는 생분해성 폴리머는,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관 스텐트.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실은 약제를 혼합한 생분해성 폴리머 재료를 스크류 압출기를 사용하여 용융 방사하여 연신시킨 모노 필라멘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관 스텐트.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실은 생분해성 폴리머를 스크류 압출기를 사용하여 용융 방사하여 연신시킨 멀티 필라멘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관 스텐트.
  3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는 혈전 형성 억제 효과 및/또는 내막증식 억제 효과를 가지는 약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관 스텐트.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내막증식 억제 효과를 가지는 약제는, 면역 억제제 또는 항종양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관 스텐트.
  32.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실의 표면에는, 약제를 함유하는, 상기 실을 구성하는 생분해성 폴리머와 동종의 생분해성 폴리머의 제1 층과, 상기 실을 구성하는 생분해성 폴리머와 동종의 생분해성 폴리머만으로 이루어지는 제2 층이 순차적으로 적층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관 스텐트.
  33.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 본체의 표면에는, 상기 실을 구성하는 생분해성 폴리머와 동종의 생분해성 폴리머 용액이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관 스텐트.
  34.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 본체의 표면에, 상기 실을 구성하는 재료와 동종의 생분해성 폴리머의 용액이 피착되어 생분해성 폴리머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맥관 스텐트.
KR1020057005009A 2002-09-25 2003-09-25 맥관 스텐트용 실 및 이 실을 사용한 맥관용 스텐트 KR1010498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79404 2002-09-25
JPJP-P-2002-00279404 2002-09-25
PCT/JP2003/012277 WO2004028615A1 (ja) 2002-09-25 2003-09-25 脈管ステント用糸及びこの糸を用いた脈管用ステン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9184A true KR20050059184A (ko) 2005-06-17
KR101049871B1 KR101049871B1 (ko) 2011-07-15

Family

ID=32040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5009A KR101049871B1 (ko) 2002-09-25 2003-09-25 맥관 스텐트용 실 및 이 실을 사용한 맥관용 스텐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7367990B2 (ko)
EP (1) EP1543860B1 (ko)
JP (1) JP4440104B2 (ko)
KR (1) KR101049871B1 (ko)
AU (1) AU2003266630B2 (ko)
CA (1) CA2500089C (ko)
ES (1) ES2531370T3 (ko)
WO (1) WO20040286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76936B2 (en) * 2002-10-11 2011-07-12 University Of Connecticut Endoprostheses
US7794494B2 (en) * 2002-10-11 2010-09-14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Implantable medical devices
JP2006527628A (ja) * 2003-06-16 2006-12-07 ナンヤン・テクノロジカル・ユニバーシティー ポリマー材のステントおよび製造方法
DE602004014380D1 (de) * 2003-07-18 2008-07-24 Boston Scient Ltd Medizinische vorrichtungen
US20060025852A1 (en) * 2004-08-02 2006-02-02 Armstrong Joseph R Bioabsorbable self-expanding endolumenal devices
US20060089672A1 (en) * 2004-10-25 2006-04-27 Jonathan Martinek Yarns containing filaments made from shape memory alloys
JPWO2006051912A1 (ja) * 2004-11-12 2008-05-29 株式会社 京都医療設計 脈管用ステント
EP2020956A2 (en) 2006-05-26 2009-02-11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Implantable article, method of forming same and method for reducing thrombogenicity
US20090043276A1 (en) * 2007-08-09 2009-02-12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Drug delivery device, compositions and methods relating thereto
US8317857B2 (en) * 2008-01-10 2012-11-27 Telesis Research, Llc Biodegradable self-expanding prosthesis
US8303650B2 (en) 2008-01-10 2012-11-06 Telesis Research, Llc Biodegradable self-expanding drug-eluting prosthesis
US8206635B2 (en) 2008-06-20 2012-06-26 Amaranth Medical Pte. Stent fabrication via tubular casting processes
US8206636B2 (en) 2008-06-20 2012-06-26 Amaranth Medical Pte. Stent fabrication via tubular casting processes
US10898620B2 (en) 2008-06-20 2021-01-26 Razmodics Llc Composite stent having multi-axial flexibility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US8298466B1 (en) 2008-06-27 2012-10-30 Abbott Cardiovascular Systems Inc. Method for fabricating medical devices with porous polymeric structures
KR101547200B1 (ko) * 2008-06-27 2015-09-04 가부시키가이샤 교토 이료 세케이 맥관용 스텐트
US20130095078A1 (en) * 2010-03-11 2013-04-18 Christopher Malcuit Methods for regenerating skeletal muscle
US9681966B2 (en) * 2013-03-15 2017-06-20 Smed-Ta/Td, Llc Method of manufacturing a tubular medical implant
KR102195910B1 (ko) 2016-09-07 2020-12-28 부산대학교병원 종양 특이적 효소 응답형 나노섬유가 코팅된 보리노스탯 방출형 소화관 스텐트 및 그 제조방법
CN107497034A (zh) * 2017-09-26 2017-12-22 上海市第人民医院 一种带涂层的螺纹导尿管
CN107648724B (zh) * 2017-11-04 2023-11-03 上海市第一人民医院 一种促进创面愈合且方便引流的导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70246B1 (en) * 1990-02-28 1995-06-28 Medtronic, Inc. Intralumenal drug eluting prosthesis
BE1006440A3 (fr) * 1992-12-21 1994-08-30 Dereume Jean Pierre Georges Em Endoprothese luminale et son procede de preparation.
US5464650A (en) 1993-04-26 1995-11-07 Medtronic, Inc. Intravascular stent and method
AU699821B2 (en) 1994-10-17 1998-12-17 Kabushikikaisha Igaki Iryo Sekkei Stent for liberating drug
DK0981381T3 (da) * 1997-05-12 2007-06-04 Metabolix Inc Polyhydroxyalkanoater ti anvendelser in vivo
PT1042388E (pt) 1997-12-22 2007-01-31 Metabolix Inc Composições de poli-hidroxialcanoato com velocidades de degradação controladas
JP4583597B2 (ja) * 1998-05-05 2010-11-17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リミテッド 末端が滑らかなステント
EP2138135B1 (en) 1998-09-08 2016-12-21 Kabushikikaisha Igaki Iryo Sekkei Stent for vessel
US7018401B1 (en) * 1999-02-01 2006-03-28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Woven intravascular device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and apparatus for delivery of the same
IT1307263B1 (it) * 1999-08-05 2001-10-30 Sorin Biomedica Cardio Spa Stent per angioplastica con azione antagonista della restenosi,relativo corredo e componenti.
WO2001010421A1 (en) 1999-08-06 2001-02-15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Drug releasing biodegradable fiber implant
US20020161168A1 (en) * 2000-10-27 2002-10-31 Shalaby Shalaby W. Amorphous polymeric polyaxial initiators and compliant crystalline copolymers therefrom
KR20020076265A (ko) * 2000-11-30 2002-10-09 가부시키가이샤 이가키 이료 세케이 혈관용 스텐트 및 혈관용 스텐트용 소재
US7144422B1 (en) * 2002-11-13 2006-12-05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Drug-eluting stent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20050149173A1 (en) * 2003-11-10 2005-07-07 Angiotech International Ag Intravascular devices and fibrosis-inducing ag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367990B2 (en) 2008-05-06
WO2004028615A1 (ja) 2004-04-08
EP1543860A4 (en) 2010-11-03
CA2500089A1 (en) 2004-04-08
US20080306585A1 (en) 2008-12-11
KR101049871B1 (ko) 2011-07-15
ES2531370T3 (es) 2015-03-13
JP4440104B2 (ja) 2010-03-24
JPWO2004028615A1 (ja) 2006-01-19
AU2003266630A1 (en) 2004-04-19
US20060052859A1 (en) 2006-03-09
CA2500089C (en) 2013-03-05
AU2003266630B2 (en) 2008-08-07
US7799071B2 (en) 2010-09-21
EP1543860A1 (en) 2005-06-22
EP1543860B1 (en) 2015-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9871B1 (ko) 맥관 스텐트용 실 및 이 실을 사용한 맥관용 스텐트
US10881498B2 (en) Device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aneurism, perforation and other vascular abnormalities
US9333279B2 (en) Coated stent comprising an HMG-CoA reductase inhibitor
JP5508720B2 (ja) 重合体分解性薬物溶出ステントおよび被膜
MX2008008847A (es) Dispositivos bioabsorbibles de suministro de farmaco.
WO2010017014A2 (en) Polymeric, degradable drug-eluting stents and coatings
MX2008008846A (es) Metodos de preparacion de dispositivos bioabsorbibles de suministro de farmaco comprendidos en tubos vaciados con disolvente.
US20140296968A1 (en) Implantable vascular stent
JPWO2007116646A1 (ja) 生体内留置物
JP2006262960A (ja) ステ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