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8433A - 전화에 텍스트를 고속으로 입력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화에 텍스트를 고속으로 입력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8433A
KR20050058433A KR1020057002981A KR20057002981A KR20050058433A KR 20050058433 A KR20050058433 A KR 20050058433A KR 1020057002981 A KR1020057002981 A KR 1020057002981A KR 20057002981 A KR20057002981 A KR 20057002981A KR 20050058433 A KR20050058433 A KR 200500584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character
indicator
representing
ke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2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케레 제이. 맥카이
Original Assignee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50058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843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5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chord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methods for entering alphabetical characters, e.g. multi-tap or dictionary disambig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전화를 통한 고속 텍스트 입력은 두개의 키 결합, 즉 번호키 및 별모양 키(번호 키와 함께 눌러질때 번호 키상의 제 2 문자를 지시할 수 있음) 및 파운드 키(번호 키와 함께 눌러질때 키상의 제 3 문자를 지시할 수 있음)과 같은 지시자 키의 결합에 대하여 번호 키로 표현되는 문자들중 적어도 일부를 상관시킴으로서 달성된다. 따라서, 최대 두개의 키 스트로크들이 번호 전용 키패드상의 임의의 문자를 지시할 것이 요구된다.

Description

전화에 텍스트를 고속으로 입력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RAPID TEXT ENTRY IN TELEPHON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통신시스템, 특히 무선 통신장치로의 텍스트의 입력에 관한 것이다.
무선통신장치는 대중화되었다. 무선전화들과 같은 장치들은 모든 디지털 컴퓨터들과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무선 통신 컴퓨터들인 소위 이동국 모뎀들(MSM)을 포함한다.
무선전화들을 포함하는 전화들이 수행할 수 있는 기능들중에는 사용자가 텍스트를 용이하게 입력하도록 하는 기능이 있다. 특히, 사람이 회사에 전화를 걸어서 도달될 사람의 이름에 대한 문자들을 자동화 시스템으로 입력할때와 같이 다른 상대방과 통화하는 사용자가 단문 메시지들을 입력하려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는 문자들과 상관되는 번호 키들 2-9를 누름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각각의 번호 키가 3개의 문자, 임의의 경우에 4개의 문자에 대응하기 때문에, 번호 키에 의하여 표현되는 3개 또는 4개의 문자중 원하는 하나의 문자를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하는 규정이 만들어져야 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한 방법은 사용자가 키에 의하여 표현되는 제 1 문자에 대하여 관련 번호 키를 한번 누르고 제 2 문자에 대하여 관련 번호 키를 두번 누르는 멀티탭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하나의 문자에 대하여 최대 4개의 탭을 필요로하고 또한 동일한 키로부터 행에 있는 두개 이상의 문자들을 선택하기 위하여 타임아웃 기간이 경과될때까지 사용자가 대기할 것을 요구하는 단점을 가진다.
전화 번호 패드를 사용하여 텍스트 입력을 용이하게 하는 다른 방법은 키 스트로크들의 입력된 시퀀스에 대한 매칭을 찾기 위하여 발견적 알고리즘들을 사용하여 탐색될 수 있는 전자 디렉토리를 전화에 제공하는 것이다. 만일 하나 이상의 매칭이 가능하면, 사용자가 예정된 텍스트 스트링을 선택하도록 디스플레이를 통해 후보들이 제시된다. 이는 매우 불편할 수 있으며, 전자 디렉토리를 저장하는 것은 전화에서 상당한 데이터 저장 자원들을 소비할 수 있다. 더욱이, 예컨대 디렉토리에 나타나지 않는 이름들의 경우에, 원하는 스트링이 회복될 수 있다. 이들 중요한 관찰들을 고려하여 본 발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전화의 개략도.
도 2는 로직의 흐름도.
전화를 사용하여 텍스트를 입력하는 방법은 입력될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대하여, 하나의 다른 키를 조작하는 것과 관련하여 문자들을 나타내는 번호 키를 조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양상에서, 번호 키들을 가진 전화를 사용하여 텍스트를 입력하는 방법은 다수의 문자들을 나타내는 번호 키를 조작하는 단계, 및 전화상의 지시자 키를 조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만일 번호 키 및 지시자 키가 미리 결정된 기간내에서 조작되면, 번호 키에 의하여 표현되는 문자들중 하나는 리턴되며, 즉 텍스트로서 입력된다. 미리 결정된 기간은 0일 수 있으며, 즉 두개의 키가 서로 동시에 조작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번호 키에 의하여 표현되는 각각의 문자와 문자를 나타내는 번호키 및 지시자 키의 조합간에 대응관계가 형성된다. 지시자 키는 별모양 키, 파운드 부호 키, 문자를 나타내지 않는 "0" 또는 "1"과 같은 번호 키, 또는 임의의 다른 키일 수 있다. 종래의 번화 키패드 방식을 사용하면, 문자들을 나타내는 번호 키들은 번호들 20-9를 나타내는 키들이다. 따라서, 번호 키와 함께 별모양 키를 누르면 번호 키에 의하여 표현되는 제 2 문자가 지시될 수 있으며,번호 키와 함께 파운드 부호 키를 누르면 번호 키에 의하여 표현되는 제 3 문자가 지시될 수 있다.
다른 양상에서, 시스템은 각각이 다수의 문자들을 나타내는 다수의 번호 키(키 2-9), 및 별모양 키 및 파운드 부호 키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지시자 키를 가지는 것으로 기술된다. 키들이 단일 문자를 텍스트로서 입력하기 위하여 서로 조합되어 조작될 수 있도록, 단일 문자와 하나의 번호 키 및 하나의 지시자 키의 조합간에 대응관계가 형성된다.
또 다른 양상에서, 통신장치는 각각의 번호 및 각각의 다수의 문자들을 나타내는 번호 키들, 및 미리 결정된 문자에 미리 상관되는 단지 두개의 키들이 문자 입력 프로토콜에 따라 조작되는 경우에만 미리 결정된 문자를 리턴하는 로직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구성 및 작용과 관련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동일 도면부호가 동일한 부부분을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로할때 더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에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컴퓨터 데이터 및/또는 음성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통신장치(10)가 도시되어 있다. 장치(10)는 전화로서 구성되며, 바람직한 구현에서 여기에 기술된 원리들이 지상통신선 전화들을 사용하여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을지라도 무선 통신 장치이다.
바람직한 비제한 실시예에서, 장치(10)는 cdma2000, cdma2000 3x 또는 cdma2000 높은 데이터 레이트(HDR) 원리들 또는 다른 CDMA 원리들을 사용하는 코드분할 다중접속(CDMA) 이동국이다. 비제한 실시예에서, 무선통신장치(10)는 Kyocera, Samsung, 또는 코드분할 다중접속(CDMA) 원리들 및 CDMA 오버-더-에어(OTA: over-the-air) 통신 에어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다른 제조업자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랩탑 컴퓨터들, 무선핸드셋 또는 전화들, 데이터 트랜시버들, 또는 페이징 및 위치결정 수신기들과 같은 다른 이동국들에 적용한다. 무선통신장치(10)는 핸드핼드 또는 휴대용 또는 차량(예컨대, 자동차, 트럭, 보트, 비행기, 기차) 장착용일 수 있다. 그러나, 무선통신장치들이 일반적으로 이동장치로서 보여지는 반면에, 본 발명은 임의의 구현에서 "고정" 유닛들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화된 비디오 정보를 포함하는 음성 및/또는 데이터 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데이터 모듈들 및 모뎀들에 적용될 수 있으며 유선 또는 무선 링크들을 사용하여 다른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게다가, 명령들은 다중 통신채널들을 통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모뎀들 또는 모듈들이 미리 결정된 조정 또는 연관 방식으로 작동하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무선통신장치들은 사용자 단말, 이동국, 이동유닛, 가입자 유닛, 이동 무선 또는 무선전화, 무선유닛, 또는 무선전화, 무선유닛, 또는 임의의 통신환경에서 단순히 "사용자" 및 "이동국"로 서 언급된다. 본 발명이 GSM 장치들, 시분할 다중접속(TDMA) 시스템 등을 포함하는 다른 타입의 무선장치들에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이 이해된다.
도 1은 통신장치(10)가 평면 패널 디스플레이와 같은(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 디스플레이(12)를 포함한다. 또한, 통신장치(10)는 공지된 원리에 따라 번호 키들(16)이 장착된 키 영역(14)을 포함한다. 별모양 키 및 파운드 부호 키와 같은 비-번호 키(18)가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개별 문자 키들이 제공되지 않으며 키패드는 수치 키패드이다. 따라서, 번호 키들(16)은 번호들외에 다음과 같은 규정에 따른 문자들을 나타낸다. "2"는 a, b 및 c를 나타내며, "3"은 d, e 및 f를 나타내며, "4"는 g, h 및 i를 나타내며, "5"는 j,k 및 l을 나타내며, "6"은 m, n 및 o를 나타내며, "7"은 p, q , r 및 s를 나타내며, "8"은 t, u, 및 v를 나타내며, "9"는 w, x, y 및 z를 나타낸다. 다른 키 레이아웃들 및 다른 번호 대 문자 상관관계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임의의 경우에, 번호 키들중 적어도 일부는 하나의 수치 및 두개 이상의 문자를 나타낸다.
도 2는 고속 텍스트 입력이 본 발명에 의하여 용이하게 되는 로직을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로직은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통신장치(10)내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된다. 초기에, 블록(22)에 지시된 바와같이, 문자들에 대한 키 상 상관관계들이 설정되어 통신장치(10)에 저장된다. 예시적인 비제한 예에서, 원하는 모든 문자들이 두개의-키 결합에 의하여 표현될지라도 임의의 번호 키 2-9를 한번 누르는 것은 키의 제 1문자를 나타내며 번호 키 2-9와 별모양 키의 결합은 키의 제 2문자를 나타낸다. 게다가, 파운드 키는 번호 키 2-9와 함께 번호 키의 제 3 문자를 나타내며, 예컨대 "0" 또는 "1"(본 예에서 임의의 문자를 나타내지 않음)과 번호 키 9 또는 9의 결합은 키의 제 4 문자를 나타낸다. 임의의 경우에, 임의의 문자는 단지 두개의 키 스트로크, 바람직하게 임의의 문자를 나타내지 않는 키의 스트로크 번호와 관련하여 다수의 문자들을 나타내는 키의 스트로크에 의하여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이 지금 인식된다.
결정 다이아몬드(24)는 텍스트 입력을 원할때 일단 앞의 키-문자 상관관계들이 설정되는 프로세스를 나타낸다. 만일 임의의 두개의 키들이 동시에(또는 선택적으로 미리 결정된 매우 짧은 시간내에) 눌러지지 않거나 또는 조작되지 않으면, 로직은 키로 표현되는 제 1 문자와 조작되는 임의의 번호 키2-9의 조작을 상관시키기 위하여 블록(26)으로 이동한다. 모든 문자들이 두개의 키 결합으로 표현될때, 단지 단일 번호 키를 누르는 것은 임의의 문자가 아니라 키와 연관된 번호만을 지시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앞의 비제한 키 쌍 상관관계들을 사용할때, 만일 별모양 키가 번호 키 2-9와 동시에(또는 미리 결정된 짧은 기간내에) 눌러지면, 두개의 키 스트로크들은 번호 키에 의하여 표현되는 제 2 문자와 상관되며 그 결과 제 2 문자는 프로세서(20)에 의하여 리턴된다. 또 다른 한편으로, 앞의 비제한 키 쌍 상관관계들을 사용할때, 만일 파운드 키가 번호 키 2-9와 동시에(또는 미리 결정된 짧은 기간내에) 눌러지면, 두개의 키 스트로크는 번호 키에 의하여 표현되는 제 3 문자와 상관되며 그 결과 제 3 문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리턴된다. 임의의 경우에,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두개의 키 스트로크들, 즉 문자들을 나타내는 번호 키의 스트로크 및 지시자 키의 스트로크의 결합으로 적어도 몇몇의 문자들을 구상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문자들을 가진 번호 키 및 비-문자("지시자") 키로 이루어진 두개의-키 결합들을 사용하여 원하는 문자를 지시하는 반면에, 여기에 기술된 원리들은 다른 덜 바람직한 두개의-키 결합들에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만일 문자들을 나타내는 하나의 번호 키가 계속해서 눌러지는 동안 제 2 번호 키가 눌러지면, 눌러진 제 1 키는 눌러지는 제 2 키의 제 2(또는 다른) 문자의 원하는 입력을 지시하는 지시자 키인 것으로 프로세서(20)에 의하여 고려될 수있다.
여기에서 상세히 기술된 "전화에 텍스트를 고속으로 입력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반면에, 이러한 특정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며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여 넓게 고려되는 요지를 나타낸다는 것을 이해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당업자에게 명백하게 될 수 있는 다른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당업자에게 공지된 앞서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의 엘리먼트들에 대한 모든 구조적 및 기능적 등가물들은 여기에 참조적으로 통합되며 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될 것이다. 더욱이, 장치 또는 방법이 본 발명에 의하여 해결되는 각각의 그리고 모든 문제점을 반드시 해결하는 것이 아니다. 게다가, 본 명세서에 기술된 엘리먼트, 소자 또는 방법적 단계가 엘리먼트, 소자 또는 방법적 단계가 청구범위에서 명백하게 다시 인용되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공동으로 전용되지 않는다. 여기에 기술된 청구범위 엘리먼트는 엘리먼트가 구 "하기 위한 수단"를 사용하여 명백하게 재인용되지 않거나 또는 방법 청구항인 경우에 엘리먼트가 "동작" 대신에 "단계"로 재인되지 않는 경우에 35 U.S.C.'112 6번째 구의 규정에 의하여 구성되지 않는다.

Claims (33)

  1. 각각이 단일 번호를 나타내는 번호 키들을 가진 전화를 사용하여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다수의 문자들을 나타내는 번호 키를 조작하는 단계;
    전화상의 지시자 키를 조작하는 단계; 및
    만일 상기 번호 키 및 상기 지시자 키가 미리 결정된 기간내에 조작되면, 상기 번호 키에 의하여 표현되는 문자들중 하나를 리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시간은 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문자들을 가진 각각의 번호 키에 의하여 표현되는 각각의 문자와 상기 문자를 나타내는 번호 키 및 지시자 키의 조합간의 대응관계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자 키는 별모양 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자 키는 파운드 부호 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지 키는 숫자 "0"을 나타내는 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자 키는 숫자 "1"을 나타내는 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문자들을 나타내는 상기 번호 키들은 번호 2-9를 나타내는 키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는 무선전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리턴된 문자들중 하나는 번호 키에 의하여 표현되는 제 2 문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리턴된 문자들중 한 문자는 번호 키에 의하여 표현되는 제 3문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다수의 문자들을 각각 나타내는 다수의 번호 키들;
    적어도 하나의 지시자 키; 및
    키들이 단일 문자를 텍스트로서 입력하기 위하여 서로 관련하여 조작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단일 문자와 하나의 번호 키 및 하나의 지시자 키의 조합간의 대응관계를 포함하는 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키들은 전화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는 무선전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는 상기 키들이 미리 결정된 기간내에서 조작되는 경우에만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는 상기 키들이 서로 동시에 조작되는 경우에만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자 키는 별모양 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8.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자 키는 파운드 부호 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9.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자 키는 숫자를 나타내는 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0. 제 12항에 있어서, 문자를 나타내는 상기 번호 키들은 번호 2-9를 나타내는 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문자는 그것의 번호 키에 의하여 표현되는 제 2 문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문자는 그것의 번호 키에 의하여 표현되는 제 3 문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3. 적어도 일부가 각각의 번호 및 각각의 다수의 문자를 나타내는 번호 키들; 및
    미리 결정된 문자와 미리 상관되는 두개 및 단지 두개의 키들이 문자 입력 프로토콜에 따라 조작되는 경우에만 미리 결정된 문자를 리턴하는 로직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통신장치.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키들은 문자들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키 및 하나의 지시자 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무선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전화를 사용하여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입력될 적어도 하나의 문자에 대하여, 하나의 다른 키를 조작하는 것과 관련하여 문자들을 나타내는 번호 키를 조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는 무선전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다른 키는 지시자 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번호 키 및 하나의 다른 키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서로 동시에 조작되어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0.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번호 키 및 하나의 다른 키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미리 결정된 기간내에 조작되어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1. 전화를 사용하여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입력 데이터를 조작하기 위하여 단일 번호 및 다수의 문자를 각각 나타내는 전화상의 다수의 입력수단;
    입력 데이터를 조작하기 위하여 전화상에 배치된 지시자 수단; 및
    상기 입력수단 및 상기 지시자 수단이 미리 결정된 기간내에 조작되는 경우에 입력수단에 의하여 표현되는 문자들중 하나를 리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기간은 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3. 제 31항에 있어서, 각각의 입력 수단에 의하여 표현되는 각각의 문자와 상기 문자를 나타내는 입력수단 및 상기 지시자 수단의 조합간에 대응관계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57002981A 2002-08-27 2003-08-27 전화에 텍스트를 고속으로 입력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5843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229,611 US6782280B1 (en) 2002-08-27 2002-08-27 System and method for rapid text entry in telephone
US10/229,611 2002-08-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8433A true KR20050058433A (ko) 2005-06-16

Family

ID=31976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2981A KR20050058433A (ko) 2002-08-27 2003-08-27 전화에 텍스트를 고속으로 입력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6782280B1 (ko)
EP (1) EP1540838A4 (ko)
JP (1) JP2005537547A (ko)
KR (1) KR20050058433A (ko)
CN (1) CN1679248A (ko)
AU (1) AU2003265843A1 (ko)
WO (1) WO20040215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82280B1 (en) * 2002-08-27 2004-08-2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rapid text entry in telephone
KR100651384B1 (ko) * 2004-09-16 2006-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키 입력 방법 및 장치
DE102004046857B4 (de) * 2004-09-27 2006-09-21 Siemens Ag Verfahren zur Eingabe von Zeichen auf einer Tastatur
US20060114235A1 (en) * 2004-11-15 2006-06-01 Larom David L Mechanism and method for entering data
US7710292B2 (en) 2005-09-12 2010-05-04 Jeffrey John Davies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data entry
US7684821B2 (en) * 2005-09-27 2010-03-23 Research In Motion Limited Multi-tap keyboard user interface
US20070076862A1 (en) * 2005-09-30 2007-04-05 Chatterjee Manjirnath A System and method for abbreviated text messaging
KR20060101367A (ko) * 2006-08-31 2006-09-22 주식회사 엔터기술 숫자 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문자 입력방법
KR20090054831A (ko) * 2007-11-27 2009-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문자 입력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장치
US20100283638A1 (en) * 2009-05-05 2010-11-11 Burrell Iv James W World's fastest multi-tap phone and control means
WO2011022860A1 (en) * 2009-08-28 2011-03-03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text in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42047A (en) 1990-03-12 1991-09-18 Pitney Bowes Inc Alphanumeric data entry systems
CN1125865A (zh) 1994-12-27 1996-07-03 黄金富 电话键盘及其英文输入法
GB2322508A (en) * 1997-02-21 1998-08-26 Nokia Mobile Phones Ltd Display scrolling means for a radio telephone handset
US6198474B1 (en) * 1997-07-02 2001-03-06 William H. Roylance Computer keyboard having full-sized keys suitable for touch typing and thumb operable space key also acting as a shift key
US6184803B1 (en) 1997-07-22 2001-02-06 Burrell, Iv James W. Nine key alphanumeric binary keyboard combined with a three key binary control keyboard and combinational control means
US6232892B1 (en) 1997-07-22 2001-05-15 Burrell, Iv James W. Method of using a nine key alphanumeric binary keyboard combined with a three key binary control keyboard
US6043761A (en) * 1997-07-22 2000-03-28 Burrell, Iv; James W. Method of using a nine key alphanumeric binary keyboard combined with a three key binary control keyboard
US6271835B1 (en) 1998-09-03 2001-08-07 Nortel Networks Limited Touch-screen input device
US6556841B2 (en) * 1999-05-03 2003-04-29 Openwave Systems Inc. Spelling correction for two-way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EA004159B1 (ru) 1999-06-09 2004-02-26 Мин Кьюм Ким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ввода алфавитных символов с помощью малой клавиатуры
JP2001236169A (ja) 2000-02-24 2001-08-31 Sanyo Electric Co Ltd 電子機器のデータ入力装置
CN1270339A (zh) * 2000-04-24 2000-10-18 李晓波 用数字键输入数字、符号和英文字母的编码方法及键盘
KR100386944B1 (ko) * 2000-05-25 2003-06-11 김연 문자 입력장치, 그를 갖는 이동 전화 시스템 및 그 입력제어방법
US6580932B1 (en) * 2000-05-31 2003-06-17 Nokia Mobile Phones Limited Foldable keyboard for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7277732B2 (en) * 2000-10-13 2007-10-02 Microsoft Corporation Language input system for mobile devices
KR100498323B1 (ko) * 2001-01-16 2005-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수문자 선택방법
US20020163504A1 (en) * 2001-03-13 2002-11-07 Pallakoff Matthew G. Hand-held device that supports fast text typing
US6753794B1 (en) * 2001-05-16 2004-06-22 Scott Adams Character entry using numeric keypad
US6643371B2 (en) * 2001-08-31 2003-11-04 Wildseed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lphanumeric data entry
US20030073414A1 (en) * 2001-10-15 2003-04-17 Stephen P. Capps Textual and telephony dual input device
US7362243B2 (en) * 2001-11-16 2008-04-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color-coded or pattern-coded keys in two-key input per character text entry
US6765556B2 (en) * 2001-11-16 2004-07-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wo-key input per character text entry apparatus and method
US6742892B2 (en) 2002-04-16 2004-06-01 Exercise Your Eyes, Llc Device and method for exercising eyes
US7036089B2 (en) * 2002-04-23 2006-04-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stribution of application windows in a computing device display
US6782280B1 (en) * 2002-08-27 2004-08-2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rapid text entry in telephone
EP1678654A4 (en) * 2003-10-31 2008-07-02 Iota Wireless Llc SIMULTANEOUS DATA ENTRY FOR A PORTAB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003867A1 (en) 2005-01-06
US7574183B2 (en) 2009-08-11
WO2004021591A1 (en) 2004-03-11
EP1540838A4 (en) 2009-12-02
US6782280B1 (en) 2004-08-24
JP2005537547A (ja) 2005-12-08
AU2003265843A1 (en) 2004-03-19
CN1679248A (zh) 2005-10-05
EP1540838A1 (en) 2005-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661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program storage medium, and telephone set
EP1954015B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providing candidate phone number list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20050058433A (ko) 전화에 텍스트를 고속으로 입력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7725133B2 (en)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with quick-send features and methods therefor
US20070106498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for
CN100481744C (zh) 一种单工语音/数据无线通信系统及其实现方法
KR10067240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 번호 등록방법
JP3282667B2 (ja) 移動体通信端末およびこの自局番号検出方法
US2004001885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enu selection in telephone
KR20030079161A (ko) 단문 메세지 서비스를 이용한 전화번호부 전송 방법
KR100983727B1 (ko) 휴대폰의 영어 문자 입력방법
KR100480505B1 (ko) 유/무선정보단말기용원터치다이얼링방법과그에따른원터치다이얼링장치
KR20010053011A (ko) 이동 전화 장치에서 호출 발신
KR10099427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번호 입력방법
KR20040041862A (ko) 우선순위에 따른 휴대폰 전화번호부 검색 방법
KR10066157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 등록 및 호처리 방법
KR100863040B1 (ko) 재발신 전화번호 선택방법
FI105004B (fi) Menetelmä puhelinnumeron selvittämiseksi
JP2002271489A (ja) 電話システムおよび通信機器
KR20020068838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메시지 전송 장치 및 방법
KR10116964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마트 다이얼 방법 및 그 장치
KR10048652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
KR100628774B1 (ko) 무선 엑세스 포인트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20040010897A (ko) 문자 전화번호를 이용한 휴대폰의 통화 연결방법
KR20070034167A (ko)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