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6666A -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자홀 커버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자홀 커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6666A
KR20050056666A KR1020030089709A KR20030089709A KR20050056666A KR 20050056666 A KR20050056666 A KR 20050056666A KR 1020030089709 A KR1020030089709 A KR 1020030089709A KR 20030089709 A KR20030089709 A KR 20030089709A KR 20050056666 A KR20050056666 A KR 20050056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terminal hole
terminal
hole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9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한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30089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56666A/ko
Publication of KR20050056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666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bstract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자 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자홀의 내부로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커버가 케이스의 내측으로 수납되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자홀 커버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이동통신 단말기 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는 단자홀에 있어서, 상기 단자홀의 일측에 커버수납공을 형성하고, 일단에 상기 단자홀에 끼움되어 단자홀을 폐쇄하는 돌부를 형성하고 단자홀의 개방시에는 상기 커버수납공의 내측으로 수납되는 단자홀 커버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에 따라, 단자홀에 핸즈프리 장치 등의 플러그를 삽입할 때 단자홀 커버에 걸리는 불편함을 없애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자홀 커버 장치{an apparatus for earjack cover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자 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자홀의 내부로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커버가 케이스의 내측으로 수납되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자홀 커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무선통신을 할 수 있도록 개발된 첨단 이동통신수단의 일종으로 휴대폰, PDA등이 개발되어지고 있으며, 특히 휴대폰은 대중의 기호에 따라 초기의 무전기형으로부터 플립형, 폴더형 등 다양한 구조의 단말기가 출시되어 있으며, 근래에는 무선인터넷 접속이 가능함은 물론 디지털카메라등의 보조장치가 구비된 다양한 기능의 이동통신 단말기이 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휴대폰 중에서 근래에 들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폴더형 휴대폰의 구조를 첨부된 도 5를 통해 설명하면, 상면에 각종 정보 입력을 위한 키패드(110)와 음성을 송신하는 송화부(120)를 구비하고, 상단부 일측에는 전파를 수신하는 안테나(130)가 설치되어지며, 내부에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하는 메인회로기판(미도시됨)이 설치되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의 후면으로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충전형 배터리팩(200)과; 상기 본체부(100)와 마주 보는 면으로 각종 문자나 도형 등의 시각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LCD(310)창과 수신된 음성을 출력하는 수화부(320)가 설치된 폴더부(30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는 휴대폰을 손에 들지 않고도 통화를 할 수 있도록 고안된 별도의 핸즈프리 장치를 연결하거나, 음악의 재생이 가능한 휴대폰 및 PDA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에는 외부에 방해를 주지 않고 음악을 듣도록 이어폰을 연결하는 단자홀이 구비된다.
상기 단자홀은 일반적인 원형의 이어폰이 삽입되도록 형성되고, 외측으로는 핸즈프리를 사용하지 않을 때 단자홀을 통해 먼지나 기타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단자홀을 폐쇄하는 고무 재질의 단자홀 커버가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 단자홀 커버는 일측이 케이스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로 단자홀을 여닫도록 구성되어 핸즈프리의 플러그를 삽입할 때 단자홀 커버로 인해 한손으로 열고 플러그의 삽입하는 것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개방된 상태의 단자홀 커버는 고정이 되지 않아 이어폰의 플러그 삽입시에 플러그에 단자홀 커버가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단자홀 커버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어 케이스와 재질 및 색상을 동일하게 형성하기가 힘들어 케이스의 색상에 따라 동일한 디자인으로 형성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단자홀의 내부로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커버가 미사용시에 걸리적거리는 것을 방지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자홀 커버가 케이스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자홀 커버가 커버수납공에 원활히 삽입 및 인출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자홀 커버가 커버수납공에 완전히 삽입되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자홀 커버의 여닫는 동작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는 단자홀은, 상기 단자홀의 일측에 커버수납공을 형성하고, 일단에 상기 단자홀에 끼움되어 단자홀을 폐쇄하는 돌부를 형성하고 단자홀의 개방시에는 상기 커버수납공의 내측으로 수납되는 단자홀 커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수납공의 내측에 커버수납공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단자홀 커버의 끝단에 상기 가이드홈에 끼움되어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어 단자홀 커버가 커버수납공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자홀 커버는, 상기 커버수납공에서 인출되면서 단자홀 방향으로 접철되는 힌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수납공의 내측에 상기 돌부가 삽입되는 돌부삽입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자홀 커버의 외측 끝단에 상기 케이스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손잡이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수납공을 따라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슬릿공이 형성되고, 상기 단자홀 커버의 일측으로 상기 슬릿공에 돌출되는 슬라이드버튼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수납공의 내부 끝단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단자홀 커버의 끝단에 고정되는 탄력스프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와 그 작동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10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단자홀(10)의 일측으로 형성되는 커버수납공(20)과, 상기 커버수납공(20)에 삽입 및 인출되면서 단자홀(10)을 개폐하는 단자홀 커버(30)로 구성된다.
상기 커버수납공(20)은, 단자홀(10)의 일측면으로 케이스(100)에 후술되는 단자홀 커버(30)가 수납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케이스(100)의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하여 단자홀 커버(30)가 원활히 삽입 및 인출되도록 한다.
상기 단자홀 커버(30)는, 일단에 단자홀(10)에 끼움되어 단자홀(10)을 폐쇄하면서 고정되는 돌부(31)를 형성하고, 타단은 커버수납공(20)에 상시 삽입 구비되면서 단자홀 커버(30)가 케이스(10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이에 따라, 돌부(31)를 단자홀(10)에 삽입하여 단자홀(10)을 통해 먼지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돌부(31)를 단자홀(10)에서 빼낸 후에 단자홀 커버(30)를 커버수납공(20)으로 밀어넣으면 케이스(100) 내측으로 단자홀 커버(30)가 완전히 수납되면서 편리하게 핸즈프리 등의 플러그를 삽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단자홀 커버(30)의 유연한 작동을 위해 신축성을 갖는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케이스(100)와 색상 및 재질의 일치를 위해서 케이스(100)와 동일한 합성수지재로 단자홀 커버(30)를 형성하고, 단자홀 커버(30)가 닫힌 상태에서 케이스(100)와의 돌출면에 힌지부(33)를 형성하여, 단자홀 커버(30)를 커버수납공(20)으로 밀어넣을때 힌지부(33)를 기준으로 단자홀 커버(30)가 직선으로 펼쳐지면서 커버수납공(20)으로 삽입되도록 하여 유연하게 단자홀(10)을 폐쇄 및 개방하도록 하는 것도 무방하다.
더불어, 상기 단자홀(10)의 내측면에는 단자홀(10)을 따라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부 끝단이 단자홀 커버(30)가 단자홀(10)을 폐쇄할 때의 내측 끝단과 대응되는 가이드홈(21)을 형성하고, 커버수납공(20)의 내부에 구비되는 단자홀 커버(30)의 끝단에는 가이드홈(21)에 끼움되어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돌기(32)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단자홀 커버(30)는 가이드홈(21)을 따라 커버수납공(20)의 내측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수납 및 인출되고, 가이드돌기(32)가 가이드홈(21)의 상부 끝단에 맞닿으면, 단자홀 커버(30)는 정확히 단자홀(10)을 폐쇄하는 위치에 구비되면서 더 이상 인출되지 않게 되어 케이스(100)에서 이탈하지 않게되며, 이로써 단자홀 커버(30)의 분실 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커버수납공(20)의 입구측에 상기 돌부(31)가 삽입되는 돌부삽입턱(22)을 형성한다.
상기 돌부삽입턱(22)은, 커버수납공(20) 보다 넓은 직경으로 형성하여 단자홀 커버(30)에서 돌출 형성되는 돌부(31)로 인해 단자홀 커버(30) 전체가 커버수납공(20)으로 완전히 삽입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이로 인해, 단자홀 커버(30)의 끝단이 돌부(31)를 기준으로 케이스(10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시 걸리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상기 단자홀 커버(30)의 돌부(31)가 구비되는 반대측 끝단에는 케이스(10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손잡이턱(34)을 형성한다.
상기 손잡이턱(34)은 돌부삽입턱(22)에 돌부(31)가 걸림고정되면서 케이스(100)의 외측으로 소정 간격이 이격되도록 형성하거나, 손잡이턱(34)이 케이스(100)와 맞닿는 면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커버수납공(20)에서 단자홀 커버(30)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단자홀(10)을 막고 있는 단자홀 커버(30)를 열 때, 손틉 또는 손가락 끝으로 단자홀 커버(30)를 용이하게 열 수 있게 되고, 커버수납공(20)의 내측으로 단자홀 커버(30)가 삽입될 때는 손잡이턱(34)이 단자홀 커버(30)의 입구에 걸리면서 더 이상 들어가지 않게 되어 단자홀 커버(30)를 다시 인출하는 것이 용이해지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로서, 케이스(100)의 외측으로 커버수납공(20)과 대응되면서 연통되는 슬릿공(23)을 형성하고, 단자홀 커버(30)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슬릿공(23)에 끼움되고 케이스(10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슬라이드버튼(35)을 일체로 형성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케이스(100)의 외측에 노출된 슬라이드버튼(35)을 밀고 당김으로서, 단자홀 커버(30)가 커버수납공(20)의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 및 인출되어 단자홀 커버(30)의 사용이 더욱 편리해지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술한 제1 실시 예의 가이드홈(21)과 가이드돌기(32)를 형성하지 않더라도, 슬릿공(23)과 슬라이드버튼(35)이 동일한 역할을 하게 되어 단자홀 커버(30)는 케이스(100)의 외부로 이탈하지 않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로서, 본 실시 예는 상술한 제1 실시 예 및 제2 실시 예의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하고, 일단이 단자홀 커버(30)의 하부 끝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커버수납공(20)의 내부 끝단에 고정되는 탄력스프링(40)을 더 구비한다.
상기 탄력스프링(40)은, 단자홀 커버(30)를 상시 커버수납공(20)의 내측으로 당기는 방향으로 탄성이 작용하도록 설치하여 단자홀(10)에 삽입된 돌부(31)를 빼내어 단자홀(10)을 여는 작동만으로도 단자홀 커버(30)가 커버수납공(20)의 내부로 끌려들어가도록 한다.
이에 따라, 단자홀 커버(30)를 열고 커버수납공(20)의 내부로 밀어넣는 작동을 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단자홀 커버(30)가 커버수납공(20)으로 끌려들어가게 되고, 끌려들어간 단자홀 커버(30)는 돌부(31) 및 손잡이턱(34)에 의해 커버수납공(20)의 입구에서 멈추면서 고정되며, 다시 단자홀 커버(30)를 인출할 때는 상술한 손잡이턱(34)을 잡고 외부로 당기거나, 상술한 슬라이드버튼(35)을 밀면 반대로 단자홀 커버(30)가 인출되면서 단자홀(10)을 폐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자홀의 측면에 커버수납공을 형성하고 커버수납공에 삽입되는 단자홀 커버를 구비하여 단자홀의 내부로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커버가 케이스의 내측으로 수납되도록 함으로서, 단자홀에 핸즈프리 장치 등의 플러그를 삽입할 때 단자홀 커버에 걸리는 불편함을 없애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홈에 끼움되는 가이드돌기를 형성하여 단자홀 커버가 케이스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단자홀 커버의 분실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자홀 커버에 힌지부를 형성하여 단자홀 커버가 커버수납공에 원활히 삽입 및 인출되도록 함으로서, 단자홀을 개폐하는 작동이 더욱 원활해져 사용이 더욱 편리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돌부삽입턱을 형성하여 단자홀 커버가 커버수납공에 완전히 삽입되도록 함으로서, 단자홀 커버를 커버수납공에 삽입한 후에 단자홀 커버가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아 미관이 더욱 미려해지고, 사용중에 단자홀 커버로 인해 발생하는 불편함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손잡이턱을 형성하여 단자홀을 폐쇄한 단자홀 커버를 열고, 커버수납공에 삽입된 단자홀 커버를 빼내는 것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서, 단자홀에 삽입된 단자홀 커버를 빼내는 것이 더욱 용이해지고, 커버수납공에 삽입된 단자홀 커버가 커버수납공의 내부로 끌려들어가지 않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슬릿공과 슬라이드버튼을 형성하여 단자홀 커버를 케이스 내부로 용이하게 수납하고 인출하도록 함으로서, 커버수납공에 단자홀 커버를 삽입하고 인출하는 것이 더욱 편리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탄력스프링을 구비하여 단자 커버가 자동으로 커버수납공으로 끌려들어가도록 함으로서, 단자홀을 개폐하는 것이 더욱 편리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2는 도 2에 따른 작동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단자홀
20 : 커버수납공
21 : 가이드홈 22 : 돌부삽입턱
23 : 슬릿공
30 : 단자홀 커버
31 : 돌부 32 : 가이드돌기
33 : 힌지부 34 : 손잡이턱
35 : 슬라이드버튼
40 : 탄력스프링
100 : 케이스

Claims (7)

  1.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단자홀(10)에 있어서,
    상기 단자홀(10)의 일측에 커버수납공(20)을 형성하고, 일단에 상기 단자홀(10)에 끼움되어 단자홀(10)을 폐쇄하는 돌부(31)를 형성하고 단자홀(10)의 개방시에는 상기 커버수납공(20)의 내측으로 수납되는 단자홀 커버(3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자홀 커버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수납공(20)의 내측에 커버수납공(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21)이 형성되고, 상기 단자홀 커버(30)의 끝단에 상기 가이드홈(21)에 끼움되어 슬라이딩되는 가이드돌기(32)가 형성되어 단자홀 커버(30)가 커버수납공(2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자홀 커버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홀 커버(30)는, 상기 커버수납공(20)에서 인출되면서 단자홀(10) 방향으로 접철되는 힌지부(3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자홀 커버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수납공(20)의 내측에 상기 돌부(31)가 삽입되는 돌부삽입턱(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자홀 커버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홀 커버(30)의 외측 끝단에 상기 케이스(10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손잡이턱(3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자홀 커버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수납공(20)을 따라 상기 케이스(100)의 외측으로 슬릿공(23)이 형성되고, 상기 단자홀 커버(30)의 일측으로 상기 슬릿공(23)에 돌출되는 슬라이드버튼(3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자홀 커버 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수납공(20)의 내부 끝단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단자홀 커버(30)의 끝단에 고정되는 탄력스프링(4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자홀 커버 장치.
KR1020030089709A 2003-12-10 2003-12-10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자홀 커버 장치 KR200500566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9709A KR20050056666A (ko) 2003-12-10 2003-12-10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자홀 커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9709A KR20050056666A (ko) 2003-12-10 2003-12-10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자홀 커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6666A true KR20050056666A (ko) 2005-06-16

Family

ID=37251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9709A KR20050056666A (ko) 2003-12-10 2003-12-10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자홀 커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5666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486B1 (ko) * 2004-06-24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커넥터 커버 개폐장치
KR101305967B1 (ko) * 2006-09-18 2013-09-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개폐캡을 갖는 이동단말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486B1 (ko) * 2004-06-24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커넥터 커버 개폐장치
KR101305967B1 (ko) * 2006-09-18 2013-09-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개폐캡을 갖는 이동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10420A2 (en) Interface connector cove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KR100791760B1 (ko) 전자기기의 외부 접속단자 개폐장치
KR20050056666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자홀 커버 장치
KR10039780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 마이크폰 잭 개폐장치
KR200244605Y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200225113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소켓 보호 장치
KR100317627B1 (ko) 슬라이드식과 플립식으로 개폐되는 커버를 구비한 휴대용 전화기
KR200365110Y1 (ko) 핸드폰의 슬라이딩 키패드장치
KR20020065718A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컨넥터 커버
KR200336284Y1 (ko) 셀룰러폰용 이어폰잭의 슬라이드커버
KR20040043875A (ko) 휴대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컨넥터 커버
KR20020031572A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버튼 홀딩장치
KR10057577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
KR10097646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셉터클 접속구 개폐장치
KR200353366Y1 (ko) 자동 개폐식 더스트 커버 장치
KR100659051B1 (ko) 배터리플립 휴대폰
KR10054361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형 접속구 개폐장치
KR200214741Y1 (ko) 휴대폰 거치 기능을 구비한 이어폰라인 내장장치
KR20050078368A (ko) 수납식 이동통신단말기
KR20050103348A (ko)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의 팝업 장치
KR10043010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200228938Y1 (ko) 휴대폰의 안테나 및 덮개 개방장치
KR200202255Y1 (ko) 휴대폰의 힌지장치
KR100652749B1 (ko) 휴대 단말기의 소켓 개폐 장치
JP2007011688A (ja) メモリカード用アダプ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