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4741Y1 - 휴대폰 거치 기능을 구비한 이어폰라인 내장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 거치 기능을 구비한 이어폰라인 내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4741Y1
KR200214741Y1 KR2020000025829U KR20000025829U KR200214741Y1 KR 200214741 Y1 KR200214741 Y1 KR 200214741Y1 KR 2020000025829 U KR2020000025829 U KR 2020000025829U KR 20000025829 U KR20000025829 U KR 20000025829U KR 200214741 Y1 KR200214741 Y1 KR 2002147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case
earphone line
earphone
bui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58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기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화성콜렉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화성콜렉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화성콜렉션
Priority to KR20200000258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47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47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4741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거치 기능을 구비한 이어폰 라인 내장장치는 휴대폰 고정수단을 구비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드럼과, 상기 회전드럼의 내부에 장착되어 회전드럼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에 설치되어 탄성부재의 탄성 변위를 제한하는 되감기 버튼과,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 연결된 연결잭 라인 및 그 단부에 설치된 연결잭과,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으로 출입되며, 상기 회전드럼의 둘레에 감져지는 이어폰 라인과, 상기 이어폰 라인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의 타측면에 걸려 고정되는 이어폰으로 구성되어, 휴대폰을 허리에 쉽게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고, 휴대폰의 이어폰 라인을 감을 수 있도록 하여, 깨끗하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휴대폰의 이어폰 라인을 활용해 목에 걸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폰 거치 기능을 구비한 이어폰 라인 내장장치{DEVICE FOR CONTAINING EARPHONE LINE WITH FUNCTION OF LOCKING PORTABLE PHONE}
본 고안은 휴대폰 거치 기능을 구비한 이어폰 라인 내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폰을 걸어 휴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이어폰 라인을 원형으로 감아 보관하므로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휴대폰 거치 기능을 구비한 이어폰 라인 내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은 손에 들고 다니거나 목에 걸고 다니며 사용한다. 이때 손을 이용하지 않고 전화를 사용하는 핸즈프리 기능을 위해서는 휴대폰의 연결잭에 이어셋의 단자를 꽂고 이어셋의 이어폰을 귀에 삽입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휴대폰에서 이어셋을 사용하는 경우는 이어셋의 이어폰 라인이 길어 사용이 불편하며 사용하지 않을 때는 휴대폰 둘레에 감는 등 부피를 줄이려고 하지만 외관상 깔끔하지 못하고 지저분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휴대폰을 허리에 쉽게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휴대폰 거치 기능을 구비한 이어폰 라인 내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휴대폰의 이어폰 라인을 감을 수 있도록 하므로 깨끗하게 이어폰 라인을 처리하여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휴대폰 거치 기능을 구비한 이어폰 라인 내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휴대폰의 이어폰 라인을 이용해 간편하게 목에 걸 수 있도록 한 휴대폰 거치 기능을 구비한 이어폰 라인 내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폰 고정수단을 구비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드럼과, 상기 회전드럼의 내부에 장착되어 회전드럼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로서 스파이럴 스프링(53)과,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에 설치되어 탄성부재의 탄성 변위를 제한하는 되감기 버튼과,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 연결된 연결잭 라인 및 그 단부에 설치된 연결잭과,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으로 출입되며, 상기 회전드럼의 둘레에 감져지는 이어폰 라인과, 상기 이어폰 라인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의 타측면에 걸려 고정되는 이어폰에 의해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이어폰 라인 내장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이어폰 라인 내장장치를 나타내는 좌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이어폰 라인 내장장치를 나타내는 우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이어폰 라인 내장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이어폰 라인 내장장치의 휴대폰 거치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이어폰 라인 내장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이어폰 라인 내장장치의 걸림고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이어폰 라인 내장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케이스 10a ; 제 1 돌출부
10b ; 제 2 돌출부 11 ; 연결잭 라인
13 ; 연결잭 15 ; 이어폰 라인
17 ; 이어폰 19 ; 클립
21 ; 되감기 버튼 23 ; 걸고리
31 ; 휴대폰 거치부 33 ; U 자 스프링
35 ; 지지돌기 37 ; 덮개
39 ; 결합공 41 ; 걸림 해제버튼
51 ; 회전드럼 53 ; 스파이럴 스프링
본 고안의 이들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서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위해 예시적으로 기재하는 것일 뿐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이어폰 라인 내장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이어폰 라인 내장장치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이어폰 라인 내장장치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이어폰 라인 내장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를 각각 보인 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제 1 돌출부(10a)와 제 2 돌출부(10b)가 형성된 대략 원형의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일측면에 연결된 연결잭 라인(11)과, 상기 연결잭 라인(11)의 단부에 형성된 연결잭(13)과, 상기 케이스(10)의 타측면 즉 도면상 제 1 돌출부(10a)에 형성된 이어폰 라인 출입구와, 상기 이어폰 라인 출입구를 통해 유출되는 이어폰 라인(15)과, 상기 이어폰 라인(15)의 단부에 형성된 이어폰(17)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잭 라인(11)은 나선형으로 감겨져 신축성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이어폰 라인(15)은 케이스(10) 내부로 감겨 들어가거나 외부로 나올 수 있도록 일반적인 선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잭(13)은 휴대폰의 연결잭 삽입구에 꽂아 사용하게 되는데, 휴대폰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는 상기 케이스(10)의 제 1 돌출부(10a) 밑에 형성된 연결잭 삽입구에 꽂아 두며, 상기 이어폰(17)은 귀에 꽂아 사용하게 되는데, 사용하지 않는 경우는 상기 케이스(10)의 제 2 돌출부(10b) 사이에 끼워 고정한다. 상기 제 2 돌출부(10b)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쪽으로 분리되어 중간에 이어폰(17)의 연결관(18)을 끼워 넣어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2 돌출부(10b)의 아래에는 걸고리(23)를 형성하여 이어폰 라인(15)을 빼서 상기 걸고리(23)에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케이스(10)의 뒷면에는 클립(19)을 설치하여, 벨트나 그와 다른 곳을 집어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계속해서, 상기 케이스(10)는 도 5 에 보인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일측 외면에 형성된 휴대폰 거치부(31)와, 상기 휴대폰 거치부(31)의 전면에 설치된 U자 스프링(33)과, 상기 스프링(33)을 지지하고 고정하는 지지돌기(35)와, 상기 U 자형 스프링(33)의 전면에 복개되는 덮개(37)와, 상기 덮개(37)의 중심부에 형성된 결합공(39)과, 상기 U 자 스프링(33)의 상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강시 상기 스프링(33)을 벌려줄 수 있도록 한 걸림 해제버튼(41)으로 구성되어, 휴대폰의 고정판(43)에 형성된 고정 돌기(45)가 상기 결합공(39)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돌기(45)의 함입부(47)가 상기 스프링(33)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며, 휴대폰을 분리할 때는 상기 걸리 해제버튼(41)을 눌러주어 스프링(33)을 벌려줌으로써 걸리돌기(45)가 빠져나와 분리되도록 한다.
상기 휴대폰의 고정판(43)은 양면 테입 등을 이용해 휴대폰의 뒷면에 접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고리를 달아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의 내부는 도 6에 보인 바와 같이 케이스(10) 내부에 이어폰 라인(15)을 감을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회전드럼(51)과, 상기 회전드럼(51)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드럼(51)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스파이럴 스프링(53)과, 상기 스프이럴 스프링(53)의 걸림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되감기 버튼(21)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거치 기능을 구비한 이어폰 라인 내장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핸즈프리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케이스(10)의 연결잭(13)은 연결잭 삽입구에 꽂아 고정시키고, 케이스의 이어폰(17)은 케이스(10)의 제 2 돌출부(10b) 사이에 끼워 넣어 고정시킨 상태에서 휴대폰의 뒷면에 부착된 고정판(43)의 고정돌기(45)를 케이스 덮개(37)의 중심부에 형성된 결합공(39)에 삽입하여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결합공(39)에 고정돌기(45)를 삽입하면 상기 결합공(39) 내부에 있는 U 자 스프링(33)에 의해 결합공(39)의 함입부(47)가 걸려 딸깍 소리를 내며 결합되고, 이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10)의 뒷면에 설치된 클립(19)을 이용해 바지의 벨트나 그 외 다른 부분에 고정하여 휴대하게 된다.
계속해서, 핸즈프리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케이스(10)의 연결잭(13)은 연결잭 삽입구에서 뽑아 휴대폰의 연결잭 삽입구에 꽂아 고정시키고, 케이스의 이어폰(17)은 케이스의 제 2 돌출부(10b) 사이에 끼워 넣어 고정시킨 상태에서, 휴대폰의 뒷면에 부착된 고정판(43)의 고정돌기(45)를 케이스 덮개(37)의 중심부에 형성된 결합공(39)에 삽입하여 휴대하게 된다.
이때, 휴대폰으로 전화가 걸려오면 케이스(10)의 제 2 돌출부(10b) 사이에 끼워져 있던 이어폰(17)을 제 2 돌출부(10b)로부터 뽑아 당긴다. 이와 같이 이어폰을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있는 회전드럼(51)이 회전하면서 회전드럼(51) 둘레에 감겨져 있던 이어폰 라인(15)을 풀게 되고, 상기 이어폰 라인이 풀리면 케이스의 제 1 돌출부(10a)에 형성된 이어폰 라인 출입구를 통해 케이스(10) 밖으로 유출된다. 상기 이어폰 라인(15)이 사용자의 귀에까지 이르는 적당한 길이가 되면, 상기 이어폰(17)을 당기던 힘을 해제한다. 그러면 상기 케이스(10) 내부의 회전드럼(51)은 걸림 후크에 의해 고정된 채 회전을 멈추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이어폰(17)을 귀에 꽂고 상기 이어폰의 라인(15) 일측에 제공되는 마이크를 통해 통화를 한다.
통화가 끝나고 나면 상기 이어폰(17)을 귀에서 빼내고 상기 케이스(10)의 되감기 버튼(21)을 눌러주어 스파이럴 스프링(53)을 잡아주던 걸림 후크를 해제한다. 이와 같이 걸림 후크가 해제되면 스파이럴 스프링(53)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드럼(51)은 역회전하게 되고, 상기 이어폰 라인(15)은 회전드럼(51)의 둘레에 감겨 다시 원위치로 된다.
한편, 상기 이어폰 라인(15)을 휴대폰 목걸이로 사용할 수 있는데, 이때는 상기 이어폰 라인(15)을 전화를 받을 때와 같이 길게 뽑은 다음, 상기 이어폰(17)을 케이스(10)의 제 2 돌출부(10b)에 걸어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이어폰 라인(15)을 길게 늘려 고정시키게 되면 상기 이어폰 라인(15)을 이용해 간편하게 휴대폰을 사용자의 목에 걸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이어폰 라인(15)을 휴대폰의 목걸이로 활용함과 동시에 전화가 걸려왔을 때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어폰 라인(15)을 케이스(10)로부터 길게 뽑은 다음, 상기 이어폰 라인(15)의 소정 위치를 케이스의 제 2 돌출부(10b)의 사이에 끼워 제 2 돌출부의 아래에 형성된 걸고리(23)에 걸어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이어폰 라인(15)의 일측을 걸어 고정한 경우에는 이어폰 라인(15)의 한쪽은 사용자의 목에 걸 수 있게 되며, 이어폰 라인(15)의 다른쪽 즉 이어폰(17)이 있는 쪽은 자유로운 상태로 되어, 전화가 걸려 왔을 때 상기 이어폰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본 고안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고안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거치 기능을 구비한 이어폰 라인 내장장치는 휴대폰을 허리에 쉽게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고, 휴대폰의 이어폰 라인을 감을 수 있도록 하여, 깨끗하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휴대폰의 이어폰 라인을 활용해 목에 걸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휴대폰 고정수단을 구비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드럼과,
    상기 회전드럼의 내부에 장착되어 회전드럼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에 설치되어 탄성부재의 탄성 변위를 제한하는 되감기 버튼과,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 연결된 연결잭 라인 및 그 단부에 설치된 연결잭과,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으로 출입되며, 상기 회전드럼의 둘레에 감져지는 이어폰 라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 기능을 구비한 이어폰 라인 내장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라인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의 타측면에 걸려 고정되는 이어폰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 기능을 구비한 이어폰 라인 내장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회전드럼이 내장되는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의 일측 상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잭이 삽입되는 연결잭 삽입구가 형성된 제 1 돌출부와,
    상기 중심부의 타측 상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이어폰이 고정될 수 있도록 양측으로 분리되어 형성된 제 2 돌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 기능을 구비한 이어폰 라인 내장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돌출부의 일측에 걸고리를 형성하여 이어폰 라인을 걸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 기능을 구비한 이어폰 라인 내장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배면에 탄성 압착력을 갖는 클립이 소정각도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 기능을 구비한 이어폰 라인 내장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 상기 탄성부재의 걸림후크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한 되감기 버튼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 기능을 구비한 이어폰 라인 내장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스파이럴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 기능을 구비한 이어폰 라인 내장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고정수단은
    케이스의 일측 외면에 형성된 휴대폰 거치부와,
    상기 휴대폰 거치부의 전면에 설치된 U 자 스프링과,
    상기 U 자 스프링의 둘레에 배치되어 스프링을 지지하고 고정하는 지지돌기와,
    상기 U 자형 스프링의 전면에 복개되는 덮개와,
    상기 덮개의 중심부에 형성된 결합공과,
    상기 U 자 스프링의 상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강시 상기 스프링을 벌려줄 수 있도록 한 걸림 해제버튼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 기능을 구비한 이어폰 라인 내장장치.
  9. 제 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고정수단은
    양면테이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 기능을 구비한 이어폰 라인 내장장치.
  10. 제 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 고정수단은
    상기 케이스에 고리를 달아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 기능을 구비한 이어폰 라인 내장장치.
KR2020000025829U 2000-09-09 2000-09-09 휴대폰 거치 기능을 구비한 이어폰라인 내장장치 KR2002147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829U KR200214741Y1 (ko) 2000-09-09 2000-09-09 휴대폰 거치 기능을 구비한 이어폰라인 내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829U KR200214741Y1 (ko) 2000-09-09 2000-09-09 휴대폰 거치 기능을 구비한 이어폰라인 내장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3844A Division KR20020020582A (ko) 2000-09-09 2000-09-09 휴대폰 거치 기능을 구비한 이어폰 라인 내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4741Y1 true KR200214741Y1 (ko) 2001-02-15

Family

ID=73088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5829U KR200214741Y1 (ko) 2000-09-09 2000-09-09 휴대폰 거치 기능을 구비한 이어폰라인 내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474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5547B2 (en) Attachable extendable and retractable earpiece and protective casing assembly for mobile communication and sound devices
US6731956B2 (en) Retractable cord for a mobile phone or other wireless device
US7648027B2 (en) Protective apparatus for a portable device
US20020043545A1 (en) Hold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01506827A (ja) 腕搭載型電話機
JP2001048428A (ja) コード収納器
KR200214741Y1 (ko) 휴대폰 거치 기능을 구비한 이어폰라인 내장장치
US7640042B2 (en) Buckle phone
KR20020020582A (ko) 휴대폰 거치 기능을 구비한 이어폰 라인 내장장치
JP3062727U (ja) 携帯電話機のベルト
JPH03263957A (ja) 携帯電話機
KR200200163Y1 (ko) 이어마이크 권취릴 잠금 해제 장치
JP3361304B2 (ja) 携帯電話機アタッチメント、及びアタッチメント付き携帯電話機
KR200204483Y1 (ko) 핸즈프리용 이어폰장치
KR200181930Y1 (ko) 휴대폰용 권취릴형 핸드프리 이어폰
US20040013265A1 (en) Cellular phone holding device
KR20020024908A (ko) 마이크/이어폰 겸용 안테나가 구비된 휴대전화기
KR200342935Y1 (ko) 핸즈프리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핸드폰케이스
KR200329476Y1 (ko) 초소형 핸즈프리 거치대
KR200191437Y1 (ko) 핸즈프리 전화기
KR200218558Y1 (ko) 휴대폰용 핸즈프리장치
JP3071119U (ja) ネックストラップ型マイク付きイヤフォン
KR200289446Y1 (ko) 인체 부착 양면 슬라이드 착탈식 집게가 구비된 목걸이형핸드프리 이어폰용 이어폰 홀더
KR200205541Y1 (ko) 목걸이형 휴대폰
AU2001100210A4 (en) Retractable earpiece/lapel micro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