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3366Y1 - 자동 개폐식 더스트 커버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개폐식 더스트 커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3366Y1
KR200353366Y1 KR20-2004-0008694U KR20040008694U KR200353366Y1 KR 200353366 Y1 KR200353366 Y1 KR 200353366Y1 KR 20040008694 U KR20040008694 U KR 20040008694U KR 200353366 Y1 KR200353366 Y1 KR 2003533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pening
lower door
case
dus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86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학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20-2004-00086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33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33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33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단말기 등의 휴대용 전자 기기의 입출력 컨넥터(Input/Output Connector) 부분을 막음하는 더스트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기에 접속단자를 삽입.이탈하는 동작에 의해 더스트 커버가 자동적으로 개폐되도록 한 자동 개폐식 더스트 커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케이스(10) 일측에 형성되는 개구(11)를 통해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된 접속용 컨넥터에 외부 접속단자를 연결하는 경우, 상기 개구(11)를 개폐하기 위한 더스트 커버 장치로서, 상부 도어(51a)와 하부 도어(51b)가 상기 개구(11)의 중간 상,하부에 서로 맞대어지는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개구(11)의 상하 방향으로 미끄럼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상부 도어(51a)와 하부 도어(51b)의 접촉면에 상기 케이스(10)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확개되는 경사면(52a)(52b)이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드 도어(50); 및 상기 상부 도어(51a)와 하부 도어(51b)를 서로 당기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탄성 연결 부재(60)를 포함하여, 상기 외부 접속단자를 상기 케이스(10)의 외측에서 상기 상부 도어(15a)와 하부 도어(51b)의 경사면(52a)(52b)에 대항하여 밀어넣는 경우, 상기 상부 도어(51a)와 하부 도어(51b)가 상하로 열리면서 진입이 이루어지고, 반대로 상기 외부 접속단자를 인출시키는 경우 상기 탄성 연결 부재(6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상부 도어(51a)와 하부 도어(51b)가 닫혀 상기 개구(11)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개폐식 더스트 커버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자동 개폐식 더스트 커버 장치{Dust cover apparatus capable of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본 고안은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단말기 등의 휴대용 전자 기기의 입출력 컨넥터(Input/Output Connector) 부분을 막음하는 더스트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전자 기기에 접속단자를 삽입.이탈하는 동작에 의해 더스트 커버가 자동적으로 개폐되도록 한 자동 개폐식 더스트 커버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PDA 단말기 등의 휴대용 전자 기기에 있어서의 입출력 컨넥터(I/OConnector)는, 휴대용 전자 기기를 외부 기기와 연결하여 데이터 전송을 하거나, 또는 차량 배터리 등의 외부 전원과 연결하여 충전을 하고자 할 때, 데이터 송수신 케이블용 접속단자나 카-키트(Car-kit)용 접속단자 등을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첨부도면 도 1 및 도 2는 휴대용 전자 기기 중 '휴대폰'을 일례로 들어, 이 휴대폰에 설치된 입출력 컨넥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전자 기기(2)의 입출력 컨넥터(4)는, 전자 기기(2)의 케이스(2a) 내부에 설치되는 메인보드(6)에 장착되고, 케이스(2a)의 측면에는 상기 입출력 컨넥터(4)와 통하는 개구(2b)가 형성된다.
더스트 커버(8)는, 상기와 같이 입출력 컨넥터(4)와 통하는 개구(2b)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 상기 개구(2b)를 통해 전자 기기 내부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더스트 커버(8)는, 통상적으로 러버(Rubber)재나 플라스틱 재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종래의 더스트 커버(8)는 케이스(2a)의 개구(2b)에 탈.부착하는 방식으로 설치되므로, 데이터 전송이나 충전을 위해 입출력 컨넥터(4)에 외부 접속단자를 연결하고자 할 때마다 분리와 조립을 반복해야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준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더스트 커버(8)는 휴대용 전자 기기에 영구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개구(2b)로부터 쉽게 이탈되어 분실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특히, 데이터 전송이나 충전을 위해 케이스(2a)로부터 분리한 다음 분실되는 일이 빈번하였다.
만일, 상기 더스트 커버(8)가 분실되기라도 하면, 상기 개구(2b)를 통하여 먼지와 같은 외부의 이물질이 침입함으로써, 입출력 컨넥터(4)에 접촉불량이나 고장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히 요구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더스트 커버를 휴대용 전자 기기로부터 분리할 수 없도록 영구적으로 설치함으로써 그의 분실을 방지하고, 외부 접속단자를 삽입.이탈하는 동작에 의해 더스트 커버가 자동적으로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외부 접속단자의 연결이 편리한 자동 개폐식 더스트 커버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입출력 컨넥터 및 더스트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입출력 컨넥터 및 더스트 커버를 나타내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조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더스트 거버 구조를 단말기의 케이스 내측에서 바라본 상태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라 상,하부 케이스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더스트 커버가 단말기 케이스에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A"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B"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8은 더스트 커버가 닫혀 있을 때의 단면도 및 그의 우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외부 접속단자를 삽입하는 경우 더스트 커버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단면도 및 그의 우측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케이스 11 : 개구
12 : 수납홈 13 : 세로방향 안내홈
14 : 가로방향 안내홈 50 : 슬라이드 도어
51a : 상부 도어 51b : 하부 도어
52a, 52b : 경사면 53 : 안내돌부
54 : 결합돌기 60 : 탄성 연결 부재
70 : 이동편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용 전자 기기의 케이스 일측에 형성되는 개구를 통해 케이스 내부에 배치된 접속용 컨넥터에 외부 접속단자를 연결하는 경우, 상기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더스트 커버 장치로서, 상부 도어와 하부 도어가 상기 개구의 중간 상,하부에 서로 맞대어지는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개구의 상하 방향으로 미끄럼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상부 도어와 하부 도어의 접촉면에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확개되는 경사면이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드 도어; 및 상기 상부 도어와 하부 도어를 서로 당기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탄성 연결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외부 접속단자를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서 상기 상부 도어와 하부 도어의 경사면에 대항하여 밀어넣는 경우, 상기 상부 도어와 하부 도어가 상하로 열리면서 진입이 이루어지고, 반대로 상기 외부 접속단자를 인출시키는 경우 상기 탄성 연결 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상부 도어와 하부 도어가 닫혀 상기 개구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개폐식 더스트 커버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한 본 고안의 자동 개폐식 더스트 커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 도어와 하부 도어의 상하 미끄럼운동이 가능한 구성은, 상기 개구 내측의 케이스에 상기 상부 도어와 하부 도어를 수용하기 위한 수납홈을 형성하고, 상기 수납홈의 양측이나 상기 상부 도어와 하부 도어의 양측 중 하나에는 세로방향 안내홈을 형성하며,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세로방향 안내홈에 미끄럼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내돌부를 형성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자동 개폐식 더스트 커버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 연결 부재는, 상기 상부 도어와 하부 도어의 이동 거리에 대비하여 와이어 스프링을 구부린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슬라이드 도어의 양측에 하나씩 배치되며, 각각의 양측 단부가 상기 상부 도어와 하부 도어에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자동 개폐식 더스트 커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도어 양측의 케이스에는, 상기 상부 도어와 하부 도어의 접촉면의 연장선상에 가로방향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로방향 안내홈에는 이동편이 미끄럼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이동편에는 상기 와이어 스프링을 구부린 형태로 이루어지는 탄성 연결 부재는 그의 중간부분이 결합됨으로써, 상기 상부 도어와 하부 도어가 상,하로 이동되어 상기 탄성 연결 부재의 양단부가 확장 및 수축되는 경우 상기 이동편이 가로방향 안내홈을 따라 미끄럼 이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더스트 커버 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3에는 단말기의 케이스 내측에서 바라본 상태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단말기의 케이스 만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가, 도 5에는 더스트 커버가 단말기 케이스에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 6에는 도 5의 "A" 방향에서 본 도면이, 도 7에는 도 5의 "B" 방향에서 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기기의 케이스(10) 일측에 형성되는 개구(11)를 통해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된 접속용 컨넥터(도시 생략)에 외부 접속단자(도시 생략)를 연결하는 경우, 상기 개구(11)를 개폐하기 위한 더스트 커버 장치는, 상기 개구(11)를 막음하는 슬라이드 도어(50)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드 도어(50)는, 상부 도어(51a)와 하부 도어(51b)가 상기 개구(12)의 중간 상,하부에 서로 맞대어지는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개구(11)의 상하 방향으로 미끄럼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상부 도어(51a)와 하부 도어(51b)의 접촉면에는 상기 케이스(10)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확개되는 경사면(52a)(52b)이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도어(51a)와 하부 도어(51b)는 탄성 연결 부재(60)로서 연결되어 있다. 상기 탄성 연결 부재(60)는 상기 상부 도어(51a)와 하부 도어(51b)의 이동에 따라 신축되면서 이들을 서로 당기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데이터 전송이나 충전을 위해, 외부의 접속단자를 상기 케이스(10)의 외측에서 상기 상부 도어(51a)와 하부 도어(51b)의 경사면(52a)(52b)에 대항하여 밀어넣는 경우, 상기 경사면(52a)(52b)에 의해 상기 상부 도어(51a)와 하부 도어(51b)가 상,하로 열리면서 진입이 이루어지고, 반대로 상기 접속 단자를 인출시키는 경우 상기 탄성 연결 부재(6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상부 도어(51a)와 하부 도어(51b)가 닫혀 상기 개구(11)를 폐쇄시킴으로써 외부로부터 이물질의 침입이 방지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 도어(51a)와 하부 도어(51b)가 상하 미끄럼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개구(11) 내측의 케이스(10)에는 상기 상부 도어(51a)와 하부 도어(51b)를 수용하기 위한 수납홈(12)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홈(12)의 양측에는 세로방향 안내홈(13)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도어(51a)와 하부 도어(51b)의 양측에는 상기 세로방향 안내홈(13)에 미끄럼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내돌부(53)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안내홈(13)과 안내돌부(53)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서로 위치를 바꾸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안내홈(13)은 상부 도어(51a)와 하부 도어(51b)에 형성되고, 상기 안내돌부(53)는 상기 수납홈(12)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 연결 부재(60)는 상기 상부도어(51a)와 하부 도어(51b)의 이동 거리를 커버할 수 있는 길이의 와이어 스프링을 구부린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슬라이드 도어(50)의 양측에 하나씩 배치된다. 이러한 탄성 연결 부재(60)의 양측 단부는 각각 상기 상부 도어(51a)와 하부 도어(51b)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 도어(51a)와 하부 도어(51b)의 양측에는 결합돌기(54)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 연결 부재(60) 단부는 상기 결합돌기(54)에 걸려진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도어(50) 양측의 케이스(10)에는 가로방향 안내홈(14)이 형성된다, 이 가로방향 안내홈(14)는 상기 상부 도어(51a)와 하부 도어(51b)의 접촉면의 연장선상에, 즉, 개구(11)의 상하 방향 중간에 일치하는 연장선상에 형성된다. 상기한 가로방향 안내홈(14)에는 이동편(70)이 미끄럼운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이동편(70)에는 상기 탄성 연결 부재(60)의 중간부분이 결합되어 일체화 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 도어(51a)와 하부 도어(51b)가 상,하로 이동되어 상기 탄성 연결 부재(60)의 양단부가 확장 및 수축되는 경우 상기 이동편(70)이 상기 가로방향 안내홈(14)을 따라 미끄럼 이동된다. 이 경우, 상기 이동편(70)은 상기 탄성 연결 부재(60)의 안정적인 신축을 유도하면서, 상기 탄성 연결 부재(60)와 협조하여 상기 상부 도어(51a)와 하부 도어(51b)가 자중에 의해 내려가지 않도록 그들의 중량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서는, 상기 전자기기의 케이스(10)는 상부 케이스(10a)와 하부 케이스(10b)로 분할되어 서로 결합되는 형태의 것으로 도시하고 있고, 개구(11)와 수납홈(12) 등도 상기 상부 케이스(10a)와 하부 케이스(10b) 사이에 임의의 비율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특히, 도 4 참조),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한 것이지 본 고안의 케이스(10)의 형태가 도면에 도시된 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케이스(10)의 형태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특성에 따라, 상,하로 2분할 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아니면 그 이외의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첨부도면 도 8에는 더스트 커버가 닫혀 있을 때의 단면도 및 그의 우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컨넥터를 삽입하는 경우 더스트 커버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그의 우측면도이다.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설치 상태에서는 탄성 연결 부재(60)의 탄성에 의해 상부 도어(51a)와 하부 도어(51b)가 서로 밀착되어서 케이스(10)의 개구(11)를 막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 도어(51a)와 하부 도어(51b)의 경사면(52a)(52b)은 상기 케이스(10)의 개구(11)를 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데이터 전송이나 충전을 위해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접속단자(100)를 상기 케이스(10)의 개구(11)를 통해 밀어넣는다. 그러면, 외부 접속단자(100)는 상기 상부 도어(51a)와 하부 도어(51b)의 경사면(52a)(52b)을 밀게 됨으로써 상부 도어(51a)와 하부 도어(51b)가 상,하로 벌어져 외부 접속단자(100)가 개구(11)에 완전히 진입되어 케이스(10) 내부의 컨넥터(도시생략)에 접속된다. 상기와 같이, 상부 도어(51a)와 하부 도어(51b)가 벌어지는 경우, 이들을 탄성적으로 구속하고 있는 탄성 연결 부재(60)의 양단이 벌어지고, 그에따라 탄성 연결부재(60)의 중간 및 이동편(70)이 당겨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외부 접속단자(100)가 상기 케이스(10)의 개구(11)를 통해 진입되어 컨넥터에 접속된 이후, 상기 외부 접속단자(100)를 인출하면, 상기 탄성 연결 부재(6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상부 도어(51a)와 하부 도어(51b)가 닫혀 상기 개구(11)를 폐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더스트 커버 장치는, 도면을 통하여 설명한 입출력 컨넥터를 위한 개구부 뿐만 아니라, 이어잭 컨넥터를 위한 개구부, 핸즈프리 컨넥터를 연결하기 위한 개구부, 카킷(Car-kit) 컨넥터를 연결하기 위한 개구부 등, 휴대용 전자 기기에 외부 접속단자를 연결하기 위한 어떠한 개구부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 개폐식 더스트 커버 장치에서는, 케이스(10)의 개구(11)를 슬라이드 도어(50) 즉, 상부 도어(51a)와 하부 도어(51b)로써 막고, 외부 접속단자를 밀어넣는 동작에 의해 상기 상부 도어(51a)와 하부도어(51b)가 벌어져 외부 접속단자의 진입이 이루어지며, 외부 접속 단자를 인출하면 탄성 연결 부재(60)의 복원력에 의해 상부 도어(51a)와 하부 도어(51b)가 다시 닫혀 케이스(10)의 개구(11)를 밀폐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상부 도어, 하부 도어, 탄성 연결 부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더스트 커버를 케이스에 착탈하는 방식이 아니라, 이들이 모두 케이스에 영구적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더스트 커버를 분실할 염려가 전혀 없다는 장점이있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외부 접속단자를 케이스의 개구에 삽입 및 이탈시키는 동작에 의해 상부 커버와 하부 커버의 개폐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외부 접속단자의 연결이 한층 편리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휴대용 전자 기기의 케이스(10) 일측에 형성되는 개구(11)를 통해 케이스(10) 내부에 배치된 접속용 컨넥터에 외부 접속단자를 연결하는 경우, 상기 개구(11)를 개폐하기 위한 더스트 커버 장치로서,
    상부 도어(51a)와 하부 도어(51b)가 상기 개구(11)의 중간 상,하부에 서로 맞대어지는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개구(11)의 상하 방향으로 미끄럼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상부 도어(51a)와 하부 도어(51b)의 접촉면에 상기 케이스(10)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확개되는 경사면(52a)(52b)이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드 도어(50); 및
    상기 상부 도어(51a)와 하부 도어(51b)를 서로 당기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탄성 연결 부재(60)를 포함하여,
    상기 외부 접속단자를 상기 케이스(10)의 외측에서 상기 상부 도어(15a)와 하부 도어(51b)의 경사면(52a)(52b)에 대항하여 밀어넣는 경우, 상기 상부 도어(51a)와 하부 도어(51b)가 상하로 열리면서 진입이 이루어지고, 반대로 상기 외부 접속단자를 인출시키는 경우 상기 탄성 연결 부재(6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상부 도어(51a)와 하부 도어(51b)가 닫혀 상기 개구(11)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개폐식 더스트 커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도어(51a)와 하부 도어(51b)의 상하 미끄럼운동이 가능한 구성으로서,
    상기 개구(11) 내측의 케이스(10)에는 상기 상부 도어(51a)와 하부 도어(51b)를 수용하기 위한 수납홈(12)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홈(12)의 양측이나 상기 상부 도어(51a)와 하부 도어(51b)의 양측 중 하나에는 세로방향 안내홈(13)이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세로방향 안내홈(13)에 미끄럼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내돌부(5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개폐식 더스트 커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연결 부재(60)는, 상기 상부 도어(51a)와 하부 도어(51b)의 이동 거리에 대비하여 와이어 스프링을 구부린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슬라이드 도어(50)의 양측에 하나씩 배치되며, 각각의 양측 단부가 상기 상부 도어(51a)와 하부 도어(51b)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개폐식 더스트 커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도어(50) 양측의 케이스(10)에는, 상기 상부 도어(51a)와 하부 도어(51b)의 접촉면의 연장선상에 가로방향 안내홈(14)이 형성되고, 상기 가로방향 안내홈(14)에는 이동편(70)이 미끄럼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이동편(70)에는 상기 와이어 스프링을 구부린 형태로 이루어지는 탄성 연결 부재(60)의 중간부분이 결합됨으로써, 상기 상부 도어(51a)와 하부 도어(51b)가 상,하로 이동되어 상기 탄성 연결 부재(60)의 양단부가 확장 및 수축되는 경우 상기 이동편(70)이 상기 가로방향 안내홈(14)을 따라 미끄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개폐식 더스트 커버 장치.
KR20-2004-0008694U 2004-03-30 2004-03-30 자동 개폐식 더스트 커버 장치 KR2003533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8694U KR200353366Y1 (ko) 2004-03-30 2004-03-30 자동 개폐식 더스트 커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8694U KR200353366Y1 (ko) 2004-03-30 2004-03-30 자동 개폐식 더스트 커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3366Y1 true KR200353366Y1 (ko) 2004-06-16

Family

ID=49347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8694U KR200353366Y1 (ko) 2004-03-30 2004-03-30 자동 개폐식 더스트 커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336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09345A1 (en) Battery cover mechanism
US7885055B2 (en) Sliding module having locking function i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677474B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91760B1 (ko) 전자기기의 외부 접속단자 개폐장치
US7319460B2 (en) Electronic device with retractable stylus
US6009168A (en) Hold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955419B1 (ko) 반자동식 마그넷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200353366Y1 (ko) 자동 개폐식 더스트 커버 장치
KR10053303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
KR20090040491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슬라이드힌지장치
KR101006261B1 (ko) 슬라이딩 힌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드 개폐식 휴대단말기
KR100539882B1 (ko) 전자 기기의 단자 커버 장치
KR100606376B1 (ko) 슬라이딩방식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딩 가이드장치
KR10039780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 마이크폰 잭 개폐장치
KR200342552Y1 (ko) 가이드 홈과 접촉핀을 이용한 슬라이드 기구 및 그를이용한 휴대폰 단자 커버
CN113708138B (zh) 工业插头及电源连接装置
KR100810220B1 (ko) 휴대 단말기의 단자 커버 개폐장치
US20100124696A1 (en) Battery cover mechanism
KR20050056666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자홀 커버 장치
KR100844597B1 (ko) 양 방향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CN212183570U (zh) 具有防尘功能的手机充电接口及手机
KR200396251Y1 (ko) 개인휴대단말기용 캡 개폐구조
KR20060095299A (ko) 양방향 슬라이드가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97646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리셉터클 접속구 개폐장치
KR20060040445A (ko) 전자기기의 잭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