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5653A - 휴대용 기기의 보호커버 - Google Patents

휴대용 기기의 보호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5653A
KR20050055653A KR1020050040357A KR20050040357A KR20050055653A KR 20050055653 A KR20050055653 A KR 20050055653A KR 1020050040357 A KR1020050040357 A KR 1020050040357A KR 20050040357 A KR20050040357 A KR 20050040357A KR 20050055653 A KR20050055653 A KR 200500556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device
protective cover
coupling
transparent
rear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0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5170B1 (ko
Inventor
허용우
Original Assignee
허용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용우 filed Critical 허용우
Publication of KR20050055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5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5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51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8Carrying enclosures containing additional elements, e.g. case for a laptop and a print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1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audio devices, e.g. headphones or MP3-play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3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s, e.g. laptop, tablet, netbook, game boy, navigation system, calcul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기기의 보호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용 기기의 표시부에 대응하는 투명부(15)가 형성된 전면부(10)와; 상기 전면부(10)의 상단에 접이식으로 연결된 상면부(20)와; 상기 상면부(20)의 후단에 접이식으로 연결된 후면부(30)와; 상기 전면부(10)의 하단에 접이식으로 연결된 하면부(40)와; 상기 하면부(40)의 양측 후단에 각각 접이식으로 연결된 후방측면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후면부(30)와 후방측면부(50)의 겹침부에는 각각 제 1 결합부(31, 51)와 제 2 결합부(32, 52))가 설치되어 결합되며, 제 2 결합부(32, 52)를 결합하고 제 1 결합부(31, 51)를 분리하여 후면부(30)를 지지대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거치대의 기능을 가지므로 별도로 거치대를 구입하거나 휴대할 필요가 없고, 휴대용 기기에 보호커버를 장착한 상태에서 입출력 단자에 접속할 수 있고 조작부를 조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기기의 보호커버{Protecting cover for portable equipment}
본 발명은 휴대용 기기의 보호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거치대의 기능을 가지므로 별도로 거치대를 구입하거나 휴대할 필요가 없고, 휴대용 기기에 보호커버를 장착한 상태에서 입출력 단자에 접속할 수 있고 조작부를 조작할 수 있는 휴대용 기기의 보호커버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기기의 사용이 증대되고 있으며 특히, 휴대폰,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MP3 플레이어, 휴대용 게임기 등은 그 수요가 점점 증가되는 추세이다. 또한, 과학기술의 발달로 고밀도로 집적된 반도체 기술에 의거해서 각종 기기들이 소형화 및 고급화되어 휴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지만, 제품의 외관 및 표면은 휴대의 간편화와 중량감소를 위해 일반적인 강도를 지닌 플라스틱이 주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사용자가 휴대용 기기를 사용할 경우 휴대용 기기의 외관 및 표시부에 많은 흠집이 발생하여 사용에 많은 불편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휴대용 기기의 미관이 훼손되어 제품의 품질이 저하되므로 사용자의 불만이 증대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휴대용 기기의 외관을 보호하기 위한 주머니, 케이스 등의 보호커버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휴대용 기기의 보호커버는 휴대용 기기를 감싸는 파우치(pouch)형태나 가방형태로 제작되어 휴대용 기기를 사용할 때마다 보호커버에서 휴대용 기기를 꺼내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휴대용 기기가 빈번하게 외부에 노출되어 제품의 미관이 훼손될 우려가 있었다.
이러한 휴대용 기기의 보호커버가 가죽이나 직물류 등의 불투명 소재로 형성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표시부나 조작부의 사용이 불가능하여 휴대용 기기에서 보호커버를 분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휴대용 기기의 외관을 보호커버가 감싸는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는 보호커버도 개발되었으나 휴대용 기기의 외관 전체를 감싸므로 조작버튼의 조작감이 둔화되어 조작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입출력 단자 등에 접속할 경우 휴대용 기기에서 보호커버를 분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 휴대용 기기들은 멀티미디어 기능이 추가되어 복합적으로 사용되는 경우 별도의 거치대를 구입하여 휴대용 기기를 거치한 상태에서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거치대를 별도로 구입해야 하므로 비용이 추가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거치대를 휴대용 기기와 함께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거치대의 기능을 가지므로 별도로 거치대를 구입하거나 휴대할 필요가 없고, 휴대용 기기에 보호커버를 장착한 상태에서 입출력 단자에 접속할 수 있고 조작부를 조작할 수 있는 휴대용 기기의 보호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용 기기의 외관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로서, 휴대용 기기의 표시부에 대응하는 투명부(15)가 형성된 전면부(10)와; 상기 전면부(10)의 상단에 접이식으로 연결된 상면부(20)와; 상기 상면부(20)의 후단에 접이식으로 연결된 후면부(30)와; 상기 전면부(10)의 하단에 접이식으로 연결된 하면부(40)와; 상기 하면부(40)의 양측 후단에 각각 접이식으로 연결된 후방측면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후면부(30)와 후방측면부(50)의 겹침부에는 각각 제 1 결합부(31, 51)와 제 2 결합부(32, 52))가 설치되어 결합되며, 제 2 결합부(32, 52)를 결합하고 제 1 결합부(31, 51)를 분리하여 후면부(30)를 지지대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면부(10)의 투명부(15)는 테두리에 지퍼록(zip-lock)이 형성되어 전면부(10)의 홈부(16)에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면부(40)의 중앙부에 접이식으로 연결되며 내측에 수납공간(61)이 형성된 제 1 수납부(6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면부(10)의 양측 단부에는 복수의 후면연결부(11)가 형성되며, 상기 후면연결부(11)는 후방측면부(50)와 열압착되어 양측면에 개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면부(10)는 휴대용 기기의 조작부가 노출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천공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후면부(30)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단에 마감부(34)가 형성된 제 2 수납부(3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각 면부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접합부가 열압착 방식으로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기기의 보호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기기의 보호커버를 나타내는 전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기기의 보호커버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기기의 보호커버를 나타내는 후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기기의 보호커버를 거치대로 사용하는 사용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기기의 보호커버를 장착한 사용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기기의 보호커버는 전면부(10), 상면부(20), 후면부(30), 하면부(40) 및 후방측면부(50)로 이루어져 휴대용 기기를 보호하는 보호커버이다. 또한, 본 실시예는 휴대폰,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MP3 플레이어, 휴대용 게임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 등의 휴대용 기기 중 휴대용 게임기를 예로서 설명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용 게임기인 휴대용 기기의 외관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로서, 전면부(10)는 도 6에 표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기기(70)의 표시부(76)에 대응하는 부분에 투명부(15)가 형성된다. 투명부(15)는 휴대용 기기(70)에 보호커버를 장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표시부(76)의 인식이 가능하도록 투명한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투명부(15)의 소재로는 인체에 무해한 투명 비닐 류인 우레탄(Urethane)수지 등의 합성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면부(20)는 전면부(10)의 상단에 접이식으로 연결되어 후방으로 접혀져 보호커버의 상면을 구성하게 된다. 또한, 휴대용 기기의 상면에 입출력 단자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필요시에 입출력 단자에 외부에서 케이블 등을 접속하기 위한 단자개방부(21)가 형성된다. 이 단자개방부(21)는 테두리에 절취선을 따라서 절취홈이 형성되어 필요시에만 절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보호커버의 단자개방부(21)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개방할 수 있게 하여 휴대용 기기의 외부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2 및 도 4에 표시된 바와 같이, 후면부(30)는 상기 상면부(20)의 후단에 접이식으로 연결되어 후방으로 접혀져 보호커버의 후면을 구성하게 된다. 후면부(30)의 외측에 형성된 제 2 수납부(33)는 상단에 마감부(34)가 형성되어 수납부에 디스크, 게임이나 영화 타이틀 등의 부속물을 수납한 상태로 마감하게 된다. 즉, 제 2 수납부(33)의 마감부(34)로는 지퍼락(zip-lock) 등의 마감부재를 사용하여 수납부를 밀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디스크나 게임 타이틀을 별도의 케이스에 보관하거나 휴대할 필요없이 보호커버의 수납부에 보관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하면부(40)는 전면부(10)의 하단에 접이식으로 연결되어 후방으로 접혀져 보호커버의 하면을 구성하게 된다. 후방측면부(50)는 하면부(40)의 양측 후단에 각각 접이식으로 연결되어 후방으로 접혀져 보호커버의 후방 양측면을 구성하게 된다.
도 4 및 도 5에 표시된 바와 같이, 후면부(30)와 후방측면부(50)는 결합시 일부가 중복되어 겹쳐지는 겹침부가 형성된다. 후면부(30)의 겹침부에는 제 1 결합부(31)와 제 2 결합부(32)가 각각 설치된다. 후방측면부(50)의 겹침부에는 제 1 결합부(51)와 제 2 결합부(52)가 각각 설치된다. 예를 들면 제 1 결합부(31, 51)로는 벨크로테이프나 지퍼록(zip-lock) 등의 결합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 2 결합부(32, 52)로는 돌기와 홈 형태를 가진 스냅(snap)버튼이나 일반버튼 등의 결합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면의 상측에 설치된 제 2 결합부(32, 52)를 결합하고, 후면의 하측에 라인형태로 설치된 제 1 결합부(31, 51)를 분리하여 후면부(30)를 지지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별도의 거치대를 구입하지 않고 보호커버를 휴대용 기기의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멀티미디어의 기능을 사용하여 영화 등의 감상시 보호커버의 후면부(30)를 지지대로 사용하여 보호커버가 거치대의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휴대용 기기를 예각으로 거치할 경우, 제 2 결합부(32, 52)를 결합한 상태에서 제 1 결합부(31, 51)의 상측부 일부만 결합시키면 된다. 휴대용 기기를 둔각으로 거치할 경우, 제 2 결합부(32, 52)를 결합한 상태에서 제 1 결합부(31, 51)를 완전히 분리시키면 된다. 또한, 제 1 결합부(31, 51)를 완전히 분리한 후 후방으로 젖히면 더욱 둔각으로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제 1 결합부(31, 51)가 서로 결합되는 부위에 따라서 휴대용 기기의 거치 각도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즉 제 2 결합부(32, 52)의 결합력에 의해 후면부(30)가 완전히 접혀지지 않으므로 보호커버가 거치대의 기능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의 "A"부 확대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10)의 투명부(15)는 테두리에 지퍼록(zip-lock)이 형성되어 전면부(10)의 홈부(16)에 탈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투명부(15)의 가장자리에는 지퍼록의 돌기가 라인형태로 형성되고, 전면부(10)의 홈부(16)에는 홈이 라인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투명부(15)가 전면부(10)의 홈부(16)에 끼워맞춤되어 전면부(10)에 결합되고, 끼워맞춤을 해제하여 서로 분리된다.
투명부(15)는 전면부(10)에 탈부착할 수 있게 되므로 휴대용 기기의 표시부가 먼지 등에 의해 오염된 경우 보호커버 전체를 분리할 필요없이 투명부(15)만 분리하여 표시부의 클리닝(cleaning)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투명부(15)가 오염된 경우 새로운 투명부로 교체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보호커버에는 하면부(40)의 중앙부에 접이식으로 연결되어 내측으로 접혀지는 제 1 수납부(60)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수납부(60)의 내측에는 수납공간(61)이 형성되어, 휴대용 기기에 사용되는 메모리카드, 메모리스틱 등의 저장수단을 수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보호커버 내측에 저장수단을 보관할 수 있는 수납부가 형성되므로 저장수단을 별도로 보관하거나 분실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보호커버의 각 면부의 재질은 휴대용 기기의 외관의 품위를 보존하고 그립(grip)을 향상시키기 위해 연성의 투명한 비닐수지, 예를 들면 우레탄(Urethane)이나 PVC(polyvinyl chloride) 등의 합성수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면부의 접합부는 열압착 방식으로 접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특히 전면부(10)에는 휴대용 기기의 전면에 각종 램프류 및 조작버튼 등이 장착되므로 시인성을 유지하기 위해 투명한 비닐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전면부(10) 이외의 다른 부위에는 다양한 색상의 비닐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전면부(10)의 양측 단부에는 복수의 후면연결부(11)가 각각 형성되고, 양측의 후방측면부(50)에는 복수의 접합부(53)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후면연결부(11)는 후방측면부(50)의 접합부(53)에 각각 열압착되어 보호커버의 양측면에 개방부가 형성된다.
즉, 보호커버의 양측면에 개방부가 형성되므로 휴대용 기기의 측면에 설치된 전원스위치나 메모리 슬롯을 보호커버의 분리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전면부(10)에는 휴대용 기기의 각각의 조작부에 대응하는 부위에 제 1 천공부(12), 제 2 천공부(13), 제 3 천공부(14) 및 제 4 천공부(17)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들 천공부 중 적어도 하나가 천공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이들 천공부는 테두리에 절취선을 따라서 절취홈이 형성되어 필요시에만 절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면부의 제 1 천공부(12), 제 2 천공부(13), 제 3 천공부(14) 및 제 4 천공부(17)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절취하여 개방이 가능하므로 휴대용 기기의 외부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5 및 도 6에 표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기기(70)에 보호커버를 장착한 상태에서 휴대용 기기의 제 1 조작부(71), 제 2 조작부(72), 제 3 조작부(75)에 대응하는 보호커버의 전면부(10)의 제 1 천공부(12), 제 2 천공부(13), 제 3 천공부(14)가 천공되어 개방된다. 또한 휴대용 기기의 스피커부에 대응하는 제 4 천공부(17)가 천공되어 개방된다. 따라서 전면부(10)에는 휴대용 기기의 조작부가 노출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천공부가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휴대용 기기 측면의 고리부(73), 전원입력부(74) 및 전원스위치나 메모리 슬롯에 대응하는 보호커버의 측면 개방부와 상측의 입출력 단자에 대응하는 보호커버 상면부(20)의 단자개방부(21)가 개방된다. 따라서 휴대용 기기(70)에 보호커버를 장착한 상태에서 조작부의 조작이 가능하고 입출력 단자에 접속하는 등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후면부를 지지대로 세워서 거치대의 역할을 하므로 별도로 거치대를 구입하거나 휴대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전면부의 투명부가 탈부착이 가능하여 클리닝 및 교환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보호커버의 내측 및 외측에 수납부를 형성하여 메모리, 디스크 등을 수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보호커버의 전면, 측면, 상면 및 하면에 개방부를 형성하여 휴대용 기기에 보호커버를 장착한 상태에서 입출력 단자에 접속할 수 있고 조작부를 조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기기의 보호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기기의 보호커버를 나타내는 전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기기의 보호커버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기기의 보호커버를 나타내는 후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기기의 보호커버를 거치대로 사용하는 사용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기기의 보호커버를 장착한 사용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면부 11 : 후면연결부
12 : 제 1 천공부 13 : 제 2 천공부
14 : 제 3 천공부 15 : 투명부
16 : 홈부 17 : 제 4 천공부
20 : 상면부 21 : 단자개방부
30 : 후면부 31 : 제 1 결합부
32 : 제 2 결합부 33 : 제 2 수납부
34 : 마감부 40 : 하면부
41 : 제 5 천공부 50 : 후방측면부
51 : 제 1 결합부 52 : 제 2 결합부
53 : 접합부 60 : 제 1 수납부
61 : 수납공간 70 : 휴대용 기기
71 : 제 1 조작부 72 : 제 2 조작부
73 : 고리부 74 : 전원입력부
75 : 제 3 조작부 76 : 표시부

Claims (7)

  1. 휴대용 기기의 외관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로서,
    휴대용 기기의 표시부에 대응하는 투명부(15)가 형성된 전면부(10)와;
    상기 전면부(10)의 상단에 접이식으로 연결된 상면부(20)와;
    상기 상면부(20)의 후단에 접이식으로 연결된 후면부(30)와;
    상기 전면부(10)의 하단에 접이식으로 연결된 하면부(40)와;
    상기 하면부(40)의 양측 후단에 각각 접이식으로 연결된 후방측면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후면부(30)와 후방측면부(50)의 겹침부에는 각각 제 1 결합부(31, 51)와 제 2 결합부(32, 52))가 설치되어 결합되며, 상기 제 2 결합부(32, 52)를 결합하고 제 1 결합부(31, 51)를 분리하여 후면부(30)를 지지대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의 보호커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10)의 투명부(15)는 테두리에 지퍼록(zip-lock)이 형성되어 전면부(10)의 홈부(16)에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의 보호커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부(40)의 중앙부에 접이식으로 연결되며 내측에 수납공간(61)이 형성된 제 1 수납부(6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의 보호커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10)의 양측 단부에는 복수의 후면연결부(11)가 형성되며, 상기 후면연결부(11)는 후방측면부(50)와 열압착되어 양측면에 개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의 보호커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10)는 휴대용 기기의 조작부가 노출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천공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의 보호커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부(30)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단에 마감부(34)가 형성된 제 2 수납부(33)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의 보호커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면부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접합부가 열압착 방식으로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의 보호커버.
KR10-2005-0040357A 2005-01-24 2005-05-13 휴대용 기기의 보호커버 KR1005251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02067 2005-01-24
KR2020050002067 2005-0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5653A true KR20050055653A (ko) 2005-06-13
KR100525170B1 KR100525170B1 (ko) 2005-11-02

Family

ID=37250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0357A KR100525170B1 (ko) 2005-01-24 2005-05-13 휴대용 기기의 보호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51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407B1 (ko) * 2012-07-26 2013-04-05 주식회사 베이스디 촬영수단을 가진 휴대폰을 이용한 완구
WO2015060489A1 (ko) * 2013-10-25 2015-04-30 주식회사 베이스디 촬영수단을 가진 휴대폰을 활용하는 완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407B1 (ko) * 2012-07-26 2013-04-05 주식회사 베이스디 촬영수단을 가진 휴대폰을 이용한 완구
WO2015060489A1 (ko) * 2013-10-25 2015-04-30 주식회사 베이스디 촬영수단을 가진 휴대폰을 활용하는 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5170B1 (ko) 2005-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08140B2 (en) Mobile device enclosure system
US8997983B2 (en) Combination protective case and stand for a tablet device and keyboard
US9116665B2 (en) Modular protective cover with accessory slot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887902B1 (en) Mobile device enclosure system
EP1956721B1 (en) Case for electrical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0934120B1 (ko) 휴대폰 케이스
US20110034221A1 (en) Case for electrical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same
KR20110010390U (ko) 휴대용 소형 전자 기기용 스탠드 및 보호 케이싱의 조합체
JPH06202988A (ja) 柔らかくて折畳み可能な民生用電子製品
US20070090007A1 (en) Laptop Pockets
US10361741B2 (en) Mobile device enclosure system
US20130182387A1 (en) Accessory system for portable electronic computing devices
US20140197048A1 (en) Multiple orientation support for electronic device with touch screen and method
KR200452011Y1 (ko) 휴대 단말기 케이스
US20140197049A1 (en) Support from leg of user for electronic device or tablet computer and method
KR101461004B1 (ko) 측면터치가 가능한 스마트폰 케이스
KR100525170B1 (ko) 휴대용 기기의 보호커버
KR101251936B1 (ko) 휴대기기용 지퍼케이스
KR101059568B1 (ko) 휴대용 전자기기 방수 케이스 조립 구조체
CN214756492U (zh) 折叠屏护套
US20120247983A1 (en) Tablet bay and bag incorporating the same
JP3519965B2 (ja) 携帯型電子機器の保護カバー装置及び該保護カバー装置を備えてなる携帯型電子機器
KR200228829Y1 (ko) 케이스와일체된컴퓨터
KR20130094510A (ko) 핸드폰 거치대로도 사용될 수 있는 다용도 핸드폰케이스
JP3130139U (ja) 携帯型記録媒体用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