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5186A - 접속핀의 보호장치가 구비된 휴대폰 배터리 - Google Patents

접속핀의 보호장치가 구비된 휴대폰 배터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5186A
KR20050055186A KR1020030088140A KR20030088140A KR20050055186A KR 20050055186 A KR20050055186 A KR 20050055186A KR 1020030088140 A KR1020030088140 A KR 1020030088140A KR 20030088140 A KR20030088140 A KR 20030088140A KR 20050055186 A KR20050055186 A KR 20050055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protective cover
battery
phone battery
connection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8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30088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55186A/ko
Publication of KR20050055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518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시에는 보호덮개에 의해 접속핀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충전시에는 자동으로 보호덮개가 개방되어 용이하게 충전이 가능함에 따라, 휴대시 접속핀이 정전기나 금속물질과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여 배터리의 접촉방전, 기중방전 등의 스펙을 해결할 수 있고, 정전기로 인한 핸드폰의 충격방지와 배터리 쇼트(Short)로 인한 폭발위험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배터리의 수명을 늘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기의 고장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접속핀의 보호장치가 구비된 휴대폰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접속핀의 보호장치가 구비된 휴대폰 배터리{A mobile-phone battery of having a protection equipment to connecting pin}
본 발명은 접속핀의 보호장치가 구비된 휴대폰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휴대폰의 배터리에 형성된 접속핀이 휴대 또는 평시에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접속핀의 보호장치가 구비된 휴대폰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에는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무선통신을 할 수 있는 이동전화인 휴대폰이 널리 보급화되어 있으며, 특히 휴대폰의 경우에는 현재 국내에서는 이동전화 가입자의 유선전화 가입자의 수를 추월하여, 총인구대비 보급률도 50%를 상회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폰은 하단에 장착된 데이터 통신포트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기도 하나, 일반적으로 휴대폰의 상면이나 후면에 장착된 휴대폰 배터리를 통하여 전압 및 전류를 공급받게 된다.
도 1은 종래 접속핀을 갖는 휴대폰 배터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 배터리(1)는 본체(10)의 후면 하단에 하나 이상의 접속핀(1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한 접속핀(11)을 충전기(2)에 돌출된 충전단자(2a)와 접속시켜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시킨 다음 휴대폰에 결합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는 휴대폰 배터리는 접속핀이 외부와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사람에게 발생되는 정전기나 휴대중 동전과 같은 금속물질에 의해 배터리의 전원과 그라운드(GROUND) 간의 쇼트(SHORT)로 인한 휴대폰의 오작동 및 폭발 등이 일어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휴대폰 내부에 ESD 프로텍션, 휴즈 등을 이용하여 휴대폰의 손실을 최대한 줄이기 위한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으나, 근본적인 외부요소를 차단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아직까지 여전히 그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구성된 것으로, 평상시에 휴대폰의 배터리의 접속핀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막아 접속핀이 정전기나 금속물질과 접촉되는 것을 차단함에 따라,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한 각종 스펙을 해결할 수 있고, 정전기로 인한 핸드폰의 충격방지와 배터리 쇼트(Short)로 인한 폭발위험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배터리의 수명을 늘릴 수 있고 기기의 고장을 줄일 수 있는 접속핀의 보호장치가 구비된 휴대폰 배터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충전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접속핀이 본체에 형성된 휴대폰 배터리에 있어서,
상기 접속핀의 상면에 장착된 돌기부를 갖는 보호덮개와;
상기 보호덮개의 상측의 본체 내부에 형성되며, 소정의 공간부를 구비하고 있는 수용홈과;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며 그 말단에는 보호덮개와 연결되어 있는 탄성을 갖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핀의 보호장치가 구비된 휴대폰 배터리를 제공함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보기는 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접속핀의 보호장치가 구비된 휴대폰 배터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a 내지 3b는 도 2의 휴대폰 배터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상기 도 2와 도 3a 내지 3b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휴대폰 배터리(1)에는 접속핀의 보호장치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접속핀 보호장치는 본체(10)의 접속핀(11)의 상면에는 돌기부(21)를 갖는 보호덮개(20)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보호덮개(20)의 상측에는 소정의 공간부가 구비된 수용홈(30)이 본체(10)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홈(30)에는 탄성을 갖는 스프링(40)이 보호덮개(20)와 연결된 채 삽입되어 있는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접속핀 보호장치가 구비된 휴대폰 배터리에 있어서, 먼저 보호덮개(20)는 접속핀(11)의 상면에 장착되어 평상시에는 접속핀(11)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러한 보호덮개(20)에는 소정의 높이를 갖는 돌기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보호덮개(20)는 그 재질로서 비전도성 합성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인데, 이는 보호덮개(20)의 하단은 접속핀(11)과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정전기나 각종 전류를 차단하기 위해서는 비전도성을 가져야 하며, 접속핀과 잦은 마찰로 인하여 흠집을 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합성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보호덮개(20)의 상측에는 소정의 공간부를 갖는 수용홈(30)이 본체(10) 내부에 형성되어 있되, 이러한 수용홈(30)이 갖는 공간부는 보호덮개(20)가 그 내부로 충분히 삽입이 가능할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수용홈(30)의 내부에는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40)이 삽입되어 있는데, 이러한 스프링(40)은 그 말단이 보호덮개(20)와 연결되어 있어 보호덮개(20)를 수용홈(30)으로부터 밀어내어 접속핀(11)의 상단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휴대폰 배터리(1)는 보호덮개(20)가 소정의 힘을 받으면 수용홈(30) 내부로 밀려 들어가 삽입이 가능하도록 하되, 삽입된 후에는 수용홈(30) 내부에 장착된 스프링(40)의 탄성력에 의하여 다시 수용홈(30) 밖으로 돌출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접속핀 보호장치가 구비된 휴대폰 배터리의 사용상태를 도 3a와 도 3b를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a는 평소 휴대폰 배터리(1)를 휴대 또는 보관 중일 때의 접속핀 보호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접속핀(11)의 상면에는 보호덮개(20)가 위치되어 있어 접속핀(11)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막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도 3b는 휴대폰 배터리(1)를 충전기에 삽입하여 충전을 할 때의 접속핀 보호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접속핀(11)의 상면에 위치되어 있던 보호덮개(20)는 돌기부(21)가 충전기(2)의 충전단자(2a)와 밀착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밀려 올라가 수용홈(30)의 내부로 삽입이 되고, 이와 같이 보호덮개(20)가 수용홈(30)으로 밀려 올라가게 되면 접속핀(11)이 노출되면서 충전기(2)의 충전단자(2a)와 접속되어 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는 것이다. 이 때 수용홈(30) 내부에 삽입되어 있던 스프링(40)은 내부덮개(20)가 삽입됨에 따라 수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휴대폰 배터리(1)를 충전한 다음 충전기(2)로부터 탈착시키게 되면, 충전기(2)의 충전단자(2a)가 제거됨에 따라 수용홈(30) 내부에서 수축되어 있던 스프링(40)이 탄성력에 의해 보호덮개(20)를 외부로 돌출시켜 다시 접속핀(11)의 상면에 위치시키게 된다는 것이다.
이 때 보호덮개(20)에 형성된 돌기부(21)는 그 모양이 소정의 경사면을 갖는 역삼각형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일반적으로 충전기(2)에 장착된 충전단자(2a) 모양이 삼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충전단자(2a)가 보호덮개(20)를 밀어 올릴 때 충전단자(2a)와 돌기부(21)의 접촉면이 완전히 밀착되어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밀어 올릴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작동관계를 갖는 휴대폰 배터리는 휴대시에는 보호덮개에 의해 접속핀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충전시에는 보호덮개가 개방되어 접속핀을 이용한 충전이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의 스펙에 의한 휴대폰의 오작동 및 폭발을 방지할 수 있고, 배터리의 수명을 늘릴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폰 배터리의 기종이나 모양에 따라 접속핀의 개수와 모양이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에 의해 변형이 가능함을 밝혀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접속핀의 보호장치가 구비된 휴대폰 배터리는 휴대시에는 보호덮개에 의해 접속핀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충전시에는 자동으로 보호덮개가 개방되어 용이하게 충전이 가능함에 따라, 휴대시 접속핀이 정전기나 금속물질과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여 배터리의 접촉방전, 기중방전 등의 스펙을 해결할 수 있고, 정전기로 인한 핸드폰의 충격방지와 배터리 쇼트(Short)로 인한 폭발위험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배터리의 수명을 늘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기의 고장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휴대폰 배터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접속핀의 보호장치가 구비된 휴대폰 배터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a 내지 3b는 도 2의 휴대폰 배터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 : 휴대폰 배터리
10 : 본체 11 : 접속핀
20 : 보호덮개 21 : 돌기부
30 : 수용홈 40 : 스프링
2 : 충전기
2a : 충전단자

Claims (3)

  1. 충전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접속핀이 본체에 형성된 휴대폰 배터리에 있어서,
    상기 접속핀의 상면에 장착된 돌기부를 갖는 보호덮개와;
    상기 보호덮개의 상측의 본체 내부에 형성되며, 소정의 공간부를 구비하고 있는 수용홈과;
    상기 수용홈에 삽입되며 그 말단에는 보호덮개와 연결되어 있는 탄성을 갖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핀의 보호장치가 구비된 휴대폰 배터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호덮개의 돌기부는 소정의 경사면을 갖는 역삼각형으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핀의 보호장치가 구비된 휴대폰 배터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호덮개는 비전도성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핀의 보호장치가 구비된 휴대폰 배터리.
KR1020030088140A 2003-12-05 2003-12-05 접속핀의 보호장치가 구비된 휴대폰 배터리 KR200500551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8140A KR20050055186A (ko) 2003-12-05 2003-12-05 접속핀의 보호장치가 구비된 휴대폰 배터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8140A KR20050055186A (ko) 2003-12-05 2003-12-05 접속핀의 보호장치가 구비된 휴대폰 배터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5186A true KR20050055186A (ko) 2005-06-13

Family

ID=37250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8140A KR20050055186A (ko) 2003-12-05 2003-12-05 접속핀의 보호장치가 구비된 휴대폰 배터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5518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65517B2 (en) Charger unit for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system for protective storage of an adapter plug
ES2331110T3 (es) Telefono movil que comprende una bateria de reserva.
US5909104A (en) Electrostatic enhanced lithium battery circuit
KR100462465B1 (ko) 충방전 겸용잭을 갖는 충전지 케이스구조 및 이에연결되는 방수용 잭플러그
KR20100082812A (ko) 휴대단말기 보호 케이스
KR200423760Y1 (ko) 범용 리튬이온 2차 전지
KR20050055186A (ko) 접속핀의 보호장치가 구비된 휴대폰 배터리
KR100553003B1 (ko) 휴대폰용 소형 배터리 장치
KR101906006B1 (ko) 무정전 배터리 교체가 가능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KR19990039777U (ko) 휴대폰의 다기종 겸용 충전기
JPH05167498A (ja) 充電装置
US7394221B2 (en) Mechanically isolated battery charging apparatus
KR10100342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용 충전기
KR200225206Y1 (ko) 휴대 전화기용 충전기
KR200250874Y1 (ko) 휴대폰 건전지
KR200307358Y1 (ko) 충전기능을 갖춘 휴대용 핸드폰 케이스
CN218586903U (zh) 一种充电按键防护装置
JP3458061B2 (ja) 充電器
KR200224049Y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배터리
KR10058576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구조
KR20060035457A (ko) Ic 카드 소켓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보조 전원장치
KR200446164Y1 (ko) 휴대용 보조배터리
KR200307560Y1 (ko) 삽입형 충전단자를 갖는 배터리
KR200370688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컨넥터 보호장치
KR200382457Y1 (ko) 휴대폰 배터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